KR20180118276A - 고리형 쇄클기구 - Google Patents

고리형 쇄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276A
KR20180118276A KR1020170051348A KR20170051348A KR20180118276A KR 20180118276 A KR20180118276 A KR 20180118276A KR 1020170051348 A KR1020170051348 A KR 1020170051348A KR 20170051348 A KR20170051348 A KR 20170051348A KR 20180118276 A KR20180118276 A KR 2018011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unit
rod
ho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102017005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8276A/ko
Publication of KR2018011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276A/ko
Priority to KR2020210001474U priority patent/KR202100010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6Joining insulating bodies together, e.g. by bonding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는 양측으로 분기된 형태로서 중간에 관통홀이 형성된 쇄클아암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쇄클아암에 그 일단이 연결된 걸림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봉은 직선형태의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일측선단에 구비되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큰 형태의 걸림뭉치부와, 상기 막대부의 타측선단에서 이어지며 일정반경으로 굴곡된 형태의 후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의 선단에는 후크부의 굴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형태로 이어지는 꼬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는 상기 꼬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연애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에 의하면, 절연애자와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리형 쇄클기구{hook type shackle unit}
본 발명은 절연애자와의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고리형 쇄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은 발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지상 내지는 지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데, 지상구간에서의 설치방법으로는 전신주를 사용하는 전력선이 지지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신주와 전력선은 전류가 전신주로 통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구조로 연결되는데, 이 같은 절연구조는 전신주의 완금과 전력선 사이에 절연애자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절연애자의 일단에는 클램프가 구비됨으로써, 클램프에 의해 전력선이 클램핑되는 형태로 지지되고, 절연애자의 타단은 쇄클기구에 의해 완금과 연결된다.
종래의 쇄클기구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양측으로 분기된 형태의 쇄클아암과, 쇄클아암에 그 일단이 끼움장착된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며, 쇄클아암과 완금이 코터핀에 의해 체결되고, 연결봉의 타단이 절연애자의 선단과 역시 코터핀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절연애자가 지지된다.
한편, 과거에는 노후되거나 파손된 절연애자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등의 전력선 유지보수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전력선의 전력을 차단하고 작업을 진행하였으나, 이에 따르면 불가피하게 일정기간동안 전력이 공급이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수용가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전력선이 통전된 상태 즉, 활선(活線)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는데, 활선상태에서의 전력선 유지보수 작업은 감전사고 등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작업자는 반드시 절연작업복 및 절연장갑 등을 착용하고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쇄클기구가 코터핀에 의해 절연애자와 연결되는 특성상, 절연애자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쇄클기구의 연결봉과 절연애자를 연결하는 코터핀을 분리하고, 다시 결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코터핀을 분리하기에 앞서 코터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핀을 코터핀으로부터 빼내고, 코터핀을 결합한 다음에 다시 걸림핀을 코터핀에 끼워 넣는 작업은 걸림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세밀한 조작과 주의를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과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시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두터운 절연장갑을 착용하기 때문에, 걸림핀을 빼내고 끼워넣는 세밀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서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과정에서 코터핀이나 걸림핀을 떨어뜨리게 되면 작업에 큰 지장을 받을 우려 또한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쇄클기구와 절연애자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고리형 쇄클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는 양측으로 분기된 형태로서 중간에 관통홀이 형성된 쇄클아암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쇄클아암에 그 일단이 연결된 걸림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봉은 직선형태의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일측선단에 구비되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큰 형태의 걸림뭉치부와, 상기 막대부의 타측선단에서 이어지며 일정반경으로 굴곡된 형태의 후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의 선단에는 후크부의 굴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형태로 이어지는 꼬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는 상기 꼬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연애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에 의하면, 절연애자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고리형태의 형상을 나태낸 사시도
도 3: 고리 형태의 쇄클과 현수애자 결합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 부터 도 3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10)는, 양측으로 분기된 형태로서 중간에 관통홀(12a)이 형성된 쇄클아암(12)과, 상기 관통홀(12a)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쇄클아암(12)에 그 일단이 연결된 걸림봉(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걸림봉(14)은 직선형태의 막대부(141)와, 상기 막대부(141)의 일측선단에 구비되며 관통홀(12a)보다 직경이 큰 형태의 걸림뭉치부(142)와, 상기 막대부(141)의 타측선단에서 이어지며 일정반경으로 굴곡된 형태의 후크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143)의 선단에는 후크부(143)의 굴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형태로 이어지는 꼬리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꼬리부(144)에는 걸림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쇄클기구(10)와 절연애자(5)의 연결시에는 후크부(143)의 꼬리부(144)로 부터 절연애자(5) 선단의 연결단부(7)의 걸림홀에 끼워넣어서 후크부(143)가 상기 연결단부(7)과 걸리도록 하게 된다.
즉, 본발명의 고리형 쇄클기구(10)는, 걸림봉(14)의 꼬리부(144)로부터 후크부(143)를 절연애자(5)의 연결단부(7)의 걸림홀에 끼워넣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절연애자(5)와 연결된다.
반대로, 후크부(143)를 절연애자(5)의 연결단부(7)의 걸림홀로부터 빼내는 조작만으로 절연애자(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리형 쇄클기구(10)는 절연애자(5)와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후크부(143)의 굴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꼬리부(144)가 갖추어진 특성상, 절연애자(5)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원인만으로는 절연애자(5)와 분리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매우 안정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후크부(143)가 절연애자(5)의 연결단부(7)에서 이탈되기 위해서는 우선, 후크부(143)의 굴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외력이 가해진 다음, 다시 꼬리부(144)의 굴곡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외력이 적절한 타이밍으로 가해짐으로써, 고리형 쇄클기구(10)를 기준으로 하는 절연애자(5)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3차원적인 궤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인데, 자연상태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희박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리형 쇄클기구(10)와 절연애자(5)가 연결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강한 인장력이 인가되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됨으로써 더욱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절연애자(5)가 고리형 쇄클기구(10)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꼬리부(144)의 선단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연애자(5)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캡은 꼬리부(144)가 절연애자(5)의 연결단부(7)의 걸림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꼬리부(144)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만에 하나 절연애자(5)의 연결단부가 고리형 쇄클기구(10)의 꼬리부(144)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상기 걸림캡에 걸리게 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절연애자(5)가 고리형 쇄클기구(10)와 분리되는 현상이 절대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5: 절연애자 7: 연결단부
10: 고리형 쇄클기구 12: 쇄클아암
14: 걸림봉 141: 막대부
142: 걸림뭉치부 143: 후크부
144: 꼬리부

Claims (4)

  1. 양측으로 분기된 형태로서 중간에 관통홀이 형성된 쇄클아암과,
    상기 관통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쇄클아암에 그 일단이 연결된 걸림봉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봉이 절연애자의 연결단부에 걸림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쇄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봉은
    직선형태의 막대부와,
    상기 막대부의 일측선단에 구비되며 관통홀보다 직경이 큰 형태의 걸림뭉치부와,
    상기 막대부의 타측선단에서 이어지며 일정반경으로 굴곡된 형태의 후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리형 쇄클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선단에는 후크부의 굴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형태로 이어지는 꼬리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쇄클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연애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리형 쇄클기구.
KR1020170051348A 2017-04-21 2017-04-21 고리형 쇄클기구 KR20180118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48A KR20180118276A (ko) 2017-04-21 2017-04-21 고리형 쇄클기구
KR2020210001474U KR20210001085U (ko) 2017-04-21 2021-05-10 고리형 쇄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48A KR20180118276A (ko) 2017-04-21 2017-04-21 고리형 쇄클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474U Division KR20210001085U (ko) 2017-04-21 2021-05-10 고리형 쇄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276A true KR20180118276A (ko) 2018-10-31

Family

ID=640999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348A KR20180118276A (ko) 2017-04-21 2017-04-21 고리형 쇄클기구
KR2020210001474U KR20210001085U (ko) 2017-04-21 2021-05-10 고리형 쇄클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474U KR20210001085U (ko) 2017-04-21 2021-05-10 고리형 쇄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827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85U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63063Y (zh) 更换直线单联双串悬垂绝缘子的工具
JP4546949B2 (ja) 碍子取付方法および碍子取外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割ピン取付具
US11251594B2 (en) Fastening structure of clamp for supporting power line and insulator
JP2013073767A (ja)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統合体
KR101562464B1 (ko) 전력선 연결용 고리형클램프
KR20180118276A (ko) 고리형 쇄클기구
KR10163655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KR101629566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CN110707599A (zh) 一种带电调整220kv垂直排列双分裂导线弧垂专用工具
KR101629572B1 (ko)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JP2020039215A (ja) 電線仮支持具
CN104348111A (zh) 带电更换耐张绝缘子串导线后备保护装置及其安装方法
KR200401168Y1 (ko) 거리조절후크와 시메라링커를 이용한 전선 이선기구
CN209881241U (zh) 一种防弧线夹绝缘护罩安装工具
CN208241190U (zh) 35千伏至500千伏绝缘子通用卡具
CN209844017U (zh) 一种插拔式的接地线安装装置
KR20200046207A (ko) 현수애자 지지장치
US10673220B2 (en) Electric current conducting assembly
JP2014007902A (ja) 高圧引下線縁線支持具
KR20190014626A (ko) 전신주의 현수애자 연결구조
KR20160000851U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JP5558075B2 (ja) ケーブル支持金具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CN215343015U (zh) 电缆端头及大转角耐张塔接地装置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KR20200001507U (ko) 전신주의 현수애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