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017A - switching valve changed automatically opened state - Google Patents

switching valve changed automatically opened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017A
KR20180118017A KR1020170060141A KR20170060141A KR20180118017A KR 20180118017 A KR20180118017 A KR 20180118017A KR 1020170060141 A KR1020170060141 A KR 1020170060141A KR 20170060141 A KR20170060141 A KR 20170060141A KR 20180118017 A KR20180118017 A KR 2018011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lunger rod
valve
bushing
buoyanc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269B1 (en
Inventor
강찬석
여순록
김동석
백남국
서상현
김재영
정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to PCT/KR2018/0045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94377A1/en
Publication of KR2018011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and, specifically, to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which prevents malfunction of a closed valve when water leaked is removed in a state in which a flow path of a valve is blocked due to a leakag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oyancy member ascending according to the filling up of wat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mov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buoyancy member with buoyancy.

Description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개폐밸브{switching valve changed automatically opened state}A switching valv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an open state when a closed valve is removed.

본 발명은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로 인하여 밸브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폐쇄된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 close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 / close valve that prevents a malfunction of a closed valve when water is leaked in a state where a flow path of the valve is blocked due to leakage.

일반적으로, 밸브는 고압의 가스나 유체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alve is installed in a pipe for transporting high-pressure gas or fluid, and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the transfer of fluid.

이러한 밸브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se valves have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예컨대, 정수기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는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For example, a valve used in a water purifier usually uses a solenoid valve.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고 차단되어야 하는 정수기의 특성상 반복적인 자동으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고 있다.The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and repeatedly opens and closes the flow of the fluid due to the nature of the water purifier that the fluid must flow and be repeatedly blocked.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정수기에서 발생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하여 누수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누수감지 센서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알림 등으로 누수가 발생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되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olenoid valve is provided with a water leakage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akage generated by the water purifier. When a water leakage is detected by the water leakage sensor, the solenoid valve informs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water leakage, The supply is cut off.

즉,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개방시키고, 누수의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유체의 흐름을 폐쇄 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solenoid valve is configured to open the flow of the fluid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to shut off the flow of the fluid by shutting off the power when the leakage occurs.

그러나,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평상시 전원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누수가 전원공급에 닿게 될 경우 누전차단기가 작동되어 건물전원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평상시 전원공급을 받고 있는 또 다른 제품 즉, 냉장고 또는 어항 속 여과기 등과 같은 전원공급이 유지되고 있어야 하는 제품에 전원공급이 끊기게 됨으로써 또 다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solenoid valve normally supplies power, when the leakage reaches the power supply, the leakage circuit breaker is activated to cut off the building power, so that another product that is normally supplied with power, that is, a refrigerator or an aquarium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another power loss occurs due to the power supply being cut off to a product that requires power supply.

따라서 최근에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누수된 물이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에 의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로 등록 특허 10-1239324호에 개시된 바 있다.Recently, a valve for shutting off the supply of raw water by the buoyant force of the water leaking without using the electric power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heat has been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No. 10-1239324.

이러한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구조로,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는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으로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과 상기 플런저 로드의 후단에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상단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은 스토퍼와 플런저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부력부재와 함께 플런저가 이동토록 함과 더불어 승강된 플런저 로드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와 함께 플런저 로드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A buoyant member which is lifted and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wat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when the buoyancy member is moved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A plunger rod which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space provided in the plunger case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cking provided at a tip end of the plunger rod so as to be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flow hole; A stopper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spring surrounding the plunger rod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plunger so that the plunger moves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and the plunger rod is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one will ever with the plunger rod is lowered.

그러나 부력부재의 승강에 따라 함께 플런저가 승강토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은 부력부재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보다 약하게 이루어지도록 세팅됨으로써 정수기에 누수된 물을 제거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력은 수용공간에 발생된 진공압력을 이기지 못하게 되어 개폐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결국 밸브를 분해하여 패킹이 구비된 플런저 로드를 인위적으로 하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plunger to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uoyancy membe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set to be weaker tha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ounted on the buoyancy me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order to open the on-off valve, the valve is disassembled and the plunger rod with the packing is artificially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런저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에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더욱 효과적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for a water purifier, To be conver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밸브에 있어서,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lve comprising a buoyancy member that ascends and descends according to seawater of wat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moves together with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상기 개폐부재는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과, 상기 플런저 로드의 후단에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선단에 플런저 로드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싱이 구비되고, 이때 부싱의 내주연은 플런저 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고, 외주연은 수납공간의 내주연과 밀착토록 하고, 상기 플런저가 수용된 수납공간에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부싱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순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원수가 순환토록하여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The plunger rod includes a plunger case, a plunger rod, and a plunger rod. The plunger rod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plunger case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nger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plunger rod, and a bushing is provided at a tip end of the accommodating space so that the plunger rod can be operated in the up-and-down vertical direction without being moved left and righ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circulation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So that the vacuum pressure is not generated.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수납공간의 구비된 부싱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으로 깊게 수납공간의 내주연으로 순환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Further, the circulation part is provid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torage space deep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position of the bushing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lunger case.

또한 플런저 로드의 외주연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부싱의 내주연은 상기 원형이 외직경과 밀착되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모서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순환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nger rod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bushing has a shape such as a triangular, square, hexagonal, or octagonal shape in which the circular sha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circulation part is provided.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는 물의 비중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자성을 갖는 플런저와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 플런저 로드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Further,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attached to the plunger having magnetism, so that the plunger rod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질 경우 상승된 플런저 로드를 하강토록 하기 위하여 부싱과 플런저 사이에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And a spring for wrapping the plunger ro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unger to lower the raised plunger rod when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은 누수로 인하여 차단된 밸브의 누수를 제거할 경우 부싱과 플런저 케이스 또는 부싱과 플런저 로드의 사이로 구비된 순환부를 통하여 원수가 순환됨으로써 플런저가 구비된 수납공간에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ter leakage from a valve shut off due to leakage is removed, raw water is circulated through a bushing and a plunger case or a circulation part provided between a bushing and a plunger rod so that a vacuum pressure is not gener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with a plunge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valve.

도 1은 종래의 밸브의 절단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의 분해도.
도 7은 바닥 프레임에 구비된 내입홈으로 누수가 흘러들어가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밸브가 승강하여 유로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차단된 개폐밸브가 하강하여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플런저 케이스에 구비된 수납공간의 내주연으로 순환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1 is a cut-away view of a conventional valv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leakage flows into an inner groove provided in a bottom frame;
8 is a use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 / close valve is raised and lowered by using buoyancy to shut off the flow path.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utoff valve is lowered and opened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rculation part is provided with an inner peripheral edge of a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plunger case;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누수로 인하여 차단된 밸브를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변환토록 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that is shut off due to leakage of water, and automatically switches the valv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when water leakage is removed.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 몸체(100)를 구비하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having an inlet 110 through which raw water flows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raw water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S. 2 through 6,

상기 몸체(100)에 개폐부재(200)가 설치되며, 이때 상기 몸체(100)와 개폐부재(200)의 사이로 원수가 이동되는 유로(130)가 형성된다.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and a flow passage 130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moved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이때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개폐부재(200) 사이에는 유로(130)와 연통토록 하는 유입공(321)이 형성된 홀더(320)가 다이어프램 판(310)을 지지하며 몸체(100)에 설치된다.3 to 4, a holder 320 having an inlet hole 321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13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to support the diaphragm plate 310 And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상기와 같은 밸브는 정수기에 설치될 경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내입홈(2)에 부력부재(400)가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When such a valve is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er, it is installed in the bottom frame 1 of the water purifier as shown in FIGS. More specifically,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talled in the inner groove 2 formed in the bottom frame 1.

상기 내입홈(2)은 부력부재(4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부력부재(400)가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내입홈(2)의 내직경은 부력부재(400)의 외직경보다 넓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groove 2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uoyancy member 400 so that the buoyancy member 400 can be easily lifte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wider.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부재(400)가 삽입된 내입홈(2)으로 누수된 물이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바닥 프레임(1)은 내입홈(2)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7, the bottom frame 1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groove 2 so that water leaking into the inner groove 2 inserted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can easily flow desirable.

또한 상기 부력부재(400)가 정수기의 최하단인 바닥 프레임(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누수된 물에 의하여 정수기에 구비된 부품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tal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frame 1, which is the lowermost end of the water purifier, to minimize the contact with part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by water leakage, thereby preventing parts from being damaged.

이때 부력부재(400)는 물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uoyancy member 4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o as to rise by water.

즉, 부력부재(400)는 발포 스티로폼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uoyancy member 400 may be made of foamed styrofoam, plastic, or the like.

또한 상기 부력부재(400)의 내부에는 자석(410)이 마련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magnet 410 is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이때 상기 자석(410)은 중심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석(410)은 부력부재(400)를 제조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부력부재(40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부력부재(400)의 중심으로 구비된 수용부(401)에 자석(410)을 수용한 후에 상기 자석(410)이 부력부재(4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마감부재(402)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 magnet 410 may be formed inside the buoyancy member 400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uoyancy member 400 or may be form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After the magnet 41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40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gnet 410, the finishing member 402 can be coupled so that the magnet 410 is not separated from the buoyancy member 400. [

이때 상기 자석(410)은 후술과 같이 개폐부재(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200)는 부력부재(400)와 함께 이동토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magnet 410 is used as a means for mov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00 as described later,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00 is moved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211)이 형성된 플런저 케이스(210)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22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에 설치된 패킹(230) 및 플런저 로드(220)의 후단에 설치된 플런저(24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를 감싸게 구비된 부싱(250)으로 이루어진다.6,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0 includes a plunger case 210 in which a storage space 211 is formed, a plunger case 210 accommodated in the plunger case 210, A packing 230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220 and a plunger 240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plunger rod 220 and a bushing 250 surrounding the plunger rod 220 .

여기서,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는 몸체(100)가 형성된 방향을 나타내고, 후단부는 부력부재(400)가 설치된 방향으로 설명한 것이다.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rod 220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100 is formed, and the rear end por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talled.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후단부는 부력부재(4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는 몸체(100)에 결합되는 것이다.Further, the rear end of the plunger case 21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buoyancy member 400, and the tip end of the plunger case 210 is coupled to the body 100.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선단부와 몸체(100) 사이의 이음부에 홀더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판(310)이 위치되면서 원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diaphragm plate 310 having the holder is located at the joint between the tip end of the plunger case 210 and the body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low of raw water.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 판(310)은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plate 310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 or rubber.

따라서 플런저 케이스(210)의 선단부와 몸체(100) 사이로 구비된 이음부에 별도의 패킹을 구비하지 않고 고무재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 판이 위치됨으로써 이음부 통해 누수가 발생않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diaphragm plate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disposed without a separate packing in the joint provided between the tip end of the plunger case 210 and the body 100, thereby preventing leakage through the joint.

또한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에는 플런저(240), 부싱(250), 플런저 로드(220), 패킹(230)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이다.The plunger 240, the bushing 250,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acking 230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여기서 상기 플런저(240)의 움직임에 따라 패킹(230)이 구비된 플런저 로드(220)도 함께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Here, the plunger rod 220 having the packing 230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plunger 24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 외주연으로 부싱(250)이 구비됨으로써 플런저 로드(220)는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즉, 홀더(320)에 형성된 유입공(321)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4, the bushing 250 is provid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ng axis 221 of the plunger rod 220 so that the plunger rod 220 does not flow to the right and left, Is used as a guiding means for accurately moving the formed inflow hole 3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low hole 321 is located.

그리고,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하단 즉, 플런저(240)가 수용된 부분으로 원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 외부의 압력차이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게 한 것이다.Th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plunger 240 is accommodate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due to a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이때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211)으로 원수가 순환토록 하기 위하여 부싱(250)의 외주연에 홈테 또는 돌출테를 형성하여 수납공간(211)의 내주연과 상기 부싱의 사이로 순환부(270)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A groove or protruding fram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to circulate the raw water into the storage space 211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irculation unit 27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211 and the bushing .

또한 부싱(250)의 내주연은 모서리가 구비된 도형 즉,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과의 밀착면을 최소화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220)가 승하강이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has a shape such as a triangle, a rectangle, or a pentagon with a corner, thereby minimizing a contact surface of the plunger rod 220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220, So that the lowering can be easily operated.

또한 상기 부싱(250)의 내주연으로 홈테 또는 돌출테를 형성하여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과 밀착되는 부분으로 순환부(270)를 구비토록 함과 더불어 밀착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groove or protruding frame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ushing 250 so that the circulation unit 270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plunger rod 22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220, .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으로 구비된 부싱(250)의 위치보다 깊게 수납공간(211)의 내주연으로 홈테 또는 돌출테를 형성하여 순환부(27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0, a groove or protruding frame may be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storage space 211 deeper than the position of the bushing 250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270 may be provided.

즉, 상기 순환부(270)는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하단까지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 외부의 압력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circulation unit 270 can circulate the raw water up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thereby prevent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또한 상기 부싱(250) 또는 플런저 케이스(210)에 순환부(270)를 구비하기 위하여 홈테로 형성될 경우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돌출테로 이루어질 경우 플런저 로드가 수납공간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 3개 이상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ovide the circulation part 270 in the bushing 250 or the plunger case 210, one or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as grooves, and when the protrusion is formed, the plunger rod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orage spac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at least three or more are 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240)는 자석의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240 has a property of a magnet.

또한 상기 플런저(240)는 봉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plunger 240 may be formed of a rod-like magnet.

이때 플런저(240)에 형성된 극성과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부재(400)에 마련된 자석(410)의 극성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하도록 플런저(240)와 자석(410)을 설치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plunger 240 and the magnet 410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polarity formed on the plunger 240 and the polarity of the magnet 410 provided on the buoyancy member 400 face each other with different polarities.

예컨대, 부력부재(400)에 설치된 자석(410)은 플런저(240)가 위치된 부분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410 installed on the buoyancy member 400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plunger 240 is located.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자석(410)과 플런저(240)의 사이로 자기장이 발생되는 것이다.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installed in this manner.

이때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자석(410)과 플런저(240) 사이에는 인력과 척력이 함께 발생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ttracting force and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by the magnetic field.

이에 따라서 자석(410)과 플런저(240) 사이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And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상기 소정 위치란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는 힘의 중심위치를 의미한다.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a center position of a force acting on an attraction force and a repulsive force.

이에 따라서 플런저(240)는 자석(410)이 설치된 부력부재(400)와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lunger 240 is fixed to the buoyancy member 400 provided with the magnet 410 by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그러므로 부력부재(400)의 자석(410)에 의하여 고정된 플런저(240)는 부력부재(400)의 이동시 자석(410)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동된 플런저(24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lunger 240 fixed by the magnet 410 of the buoyancy member 400 moves along with the plunger 240 interlocked with the magnet 410 as the magnet 410 moves together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moves.

즉, 상기 부력부재(400)가 부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플런저(240)는 부력부재(40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플런저(240)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220) 및 패킹(23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is moved upward by the buoyancy force, the plunger 240 moves upward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At this time,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acking 230, which are connected to the plunger 240, .

따라서, 패킹(230)의 상부에 위치된 유입공(321)에 밀착됨으로써 유로(130)가 폐쇄되어 원수의 공급을 차단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flow channel 130 is clos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flow hole 321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ing 230 to block the supply of raw water.

또한, 상기 폐쇄된 유로(13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력부재(400)에 발생된 부력을 제거 하면된다.In addition, the buoyant force generat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may be removed to open the closed channel 130.

즉, 바닥 프레임(1)에 구비된 내입홈(2)으로 흘러들어간 누수를 제거하면 부력부재(400)가 하강하여 패킹(230)이 유입공(321)과 떨어지며 유로(130)가 개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eakag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groove 2 provided in the bottom frame 1 is removed, the buoyancy member 400 is lowered, the packing 230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hole 321, and the flow path 130 is opened .

이때, 상기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내입홈(2)으로부터 누수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 discharge port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may be provided in order to easily drain water from the inner groove 2 formed in the bottom frame 1.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부력부재(400)에 설치된 자석(410)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런저(240)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플런저(240)를 고정토록 함으로써 함께 이동되도록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410 mounted on the buoyancy member 40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plunger 240 is fixed to the plunger 240 with different polarities. But is not limited to.

예컨대, 플런저(2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부력부재(400)에 구비된 자석(410)과 플런저(240)에 척력만이 발생되어 부력부재(400)의 이동시 상기 플런저(240)는 발생된 척력에 의하여 함께 상측으로 당겨져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since the plunger 2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nly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and the plunger 240, when moving the buoyancy member 400, So that they can be pulled upward and moved together.

또한 부력부재(400)에 구비된 자석(4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런저(24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Also, the magnets 410 of the buoyancy member 4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plunger 240 may hav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물의 비중보다 높으면서 자석으로 이루어진 플런저(240)와의 척력이 발생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 플런저(24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함께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lunger rod 22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and generates a repulsive force with the plunger 240 made of a magnet, It can be.

그리고, 상기 플런저 로드(220)와 플런저(240)는 물의 비중보다 높기 때문에 부력부재(400)가 하강할 경우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lunger 240 are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descends, it can be automatically lowered by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물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하단에 위치한 플런저(240)와 고정된 상태가 아닐 경우 플런저(240)가 하강할 때 플런저 로드(220)도 하강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을 감싸는 스프링(260)은 부싱(250)과 플런저(2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260)의 일단은 부싱(250)에 받침되고 타단은 플런저 로드(220)에 구비된 받침단에 받침토록 한 것이다.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is not fixed to the plunger 24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rod 220. In order to lower the plunger rod 220 when the plunger 240 descends A spring 260 that surrounds the long axis 221 of the plunger rod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bushing 250 and the plunger 240. One end of the spring 260 is supported by the bushing 250, And is supported by a support end provided on the rod 220.

즉, 상기 부싱(250)은 플런저 케이스(210)의 내주연에 고정된 상태로써 스프링(260)의 탄성력은 하단 즉, 플런저(240)가 구비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플런저 로드(220)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That is, the bushing 25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case 210,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60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that is, the plunger 240, It is.

그리고, 상기 부력부재(40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플런저(240)는 스프링(26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승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As the buoyancy member 400 is lifted by the buoyancy force, the plunger 240, which is lifted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ascends and descends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60.

즉, 부력은 탄성력보다 큰 힘을 발휘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buoyancy is exerted to exert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또한 자기장에 의해 고정된 자석(410)과 플런저(240)도 탄성력보다 큰 힘을 발휘함으로써 부력부재(400)가 상승함에 따라서 플런저(24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fixed by the magnetic field also exert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nger 240 moves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400 rises.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내입홈(2)에 부력부재(400)가 안착되도록 밸브가 설치된다.First, a valve is installed so that the buoyancy member (400) is seated on the inner groove (2) formed in the bottom frame (1) of the water purifier.

이때, 밸브는 플런저 케이스(210)의 외측으로 구비된 고정다리(212)에 의해 바닥 프레임(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alve can be stably fixed to the bottom frame 1 by the fixing legs 212 provided outside the plunger case 210.

이러한 밸브는 정수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과 연결된다.These valves are connected to a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to the water purifier.

이때, 정수기에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이 상기 밸브의 몸체(100)에 형성된 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원수가 배출구(120)를 통해 이송된다.A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is connected to an inlet 110 formed in the body 100 of the valve so that raw wat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이때 정수탱크로부터 누수가 발생하거나 각 부품 또는 각 부품이 연결된 부분에서 발생된 누수가 바닥 프레임(1)의 내입홈(2)으로 유입되는 것이다.At this time, leakage water is generat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or leakage water generated from each part or each part is connected to the inner groove (2) of the bottom frame (1).

여기서, 바닥 프레임(1)은 누수가 내입홈(2) 방향으로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Here, the bottom frame 1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leakage water flows easily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groove 2.

따라서, 상기 내입홈(2)으로 유입된 누수에 따라서 부력부재(400)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uoyancy member 400 is lifted by the buoyancy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leakag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groove 2.

또한 상기 부력부재(400)가 상승하면 부력부재(400)에 설치된 자석(410)이 함께 이동되고, 상기 부력부재(400)와 연동된 개폐부재(200)의 플런저(240)는 자석(410)과의 자기장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buoyancy member 400 rises, the magnet 410 installed on the buoyancy member 400 is moved together with the plunger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nterlocked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So that they are moved together.

즉, 상기 플런저(240)가 부력부재(40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플런저(240)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220) 및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에 구비된 패킹(230)이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패킹(230)이 유입공(321)에 밀착되는 것이다.That is, as the plunger 240 moves upward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the plunger rod 220 connected to the plunger 240 and the packing 23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220 move together,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flow hole (321).

이에 따라서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에 형성된 유로(130)가 폐쇄되어 원수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flow path 130 formed betwee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is closed to block the supply of raw water,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leaking.

그리고, 폐쇄된 유로(130)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내입홈(2)에 흘러들어간 물을 제거함으로써 부력부재(400)가 하강토록 함으로써 패킹(230)이 유입공(321)과 떨어져 유로(13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As the buoyancy member 400 is lowered by remov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groove 2 for opening the closed channel 130, the packing 230 is separated from the inlet hole 321, To be opened.

이때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에 결합된 부싱(250)에 구비된 순환부(270)를 통하여 원수가 흘러들어감으로써 패킹(230)이 구비된 플런저 로드(220)가 용이하게 하강토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aw water flows through the circulation part 270 provided in the bushing 250 coupled to the long axis 221 of the plunger rod 220 so that the plunger rod 220 equipped with the packing 230 can be easily lowered It is.

또한 상기 수납공간(211)으로 흘러들어가는 원수의 수압으로 인하여 더욱 용이하게 플런저 로드(220)는 하강토록 한 것이다.Further, the plunger rod 220 is lowered easily due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storage space 211.

따라서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더욱 효과적으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valv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more effectively.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re will be.

1:바닥 프레임 2:내입홈
100:몸체
110:유입구
120:배출구
130:유로
200:개폐부재
210:플런저 케이스 211:수납공간
212:고정다리
220:플런저 로드 221:장축
230:패킹
240:플런저
250:부싱
260:스프링
270:순환부
310:다이어프램 판
320:홀더 321:유입공
400:부력부재 401:수용부
402:마감부재
410:자석
1: bottom frame 2: inner groove
100: Body
110: inlet
120: Outlet
130: Euro
200: opening / closing member
210: plunger case 211: storage space
212: Fixed bridge
220: plunger rod 221: long axis
230: Packing
240: plunger
250: Bushing
260: spring
270: circulation part
310: diaphragm plate
320: holder 321: inflow hole
400: buoyancy member 401: accommodating portion
402: Closing member
410: magnet

Claims (5)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400)와, 상기 부력부재(400)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200)로 이루어진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00)는 부력부재(400)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210)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211)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22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321)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230)과,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후단에 플런저(24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211)의 선단에 플런저 로드(22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싱(250)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250)의 내주연은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과 밀착되고 외주연은 수납공간(211)의 내주연과 밀착토록 하고, 상기 플런저(240)가 수용된 수납공간(211)에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부싱(250)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순환부(270)를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개폐밸브.
A buoyancy member (400) that ascends and descend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wat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that moves together with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40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ncludes a plunger case 210 installed through the buoyancy member 400 and a plunger rod 210 housed in a storage space 211 provided inside the plunger case 210, A packing 230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220 to selectively contact the inflow hole 321 and a plunger 240 at a rear end of the plunger rod 220, The bushing 25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space 211 so that the plunger rod 220 does not move left and right but can be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ushing 250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2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250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211, And a circulation part (27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An open / close valve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an open state when the valve is remo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부싱(250)의 내주연은 상기 원형이 외직경과 밀착되는 변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또는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모서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모서리를 순환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개폐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plunger rod 2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bushing 250 is formed into a triangular shape or a shape having a corner such as a hexagon, Wherein the valve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ove up and down, and to use the corner as a circulation part. The valve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leakage is remo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내주연으로 부싱(250)이 구비된 위치보다 길이 방향으로 깊게 홈테 또는 돌출테를 형성하여 순환부(270)를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개폐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or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case (210) so as to have a circulation part (27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case (210) Open valve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when valve is remo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자성을 갖는 플런저(240)와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 플런저 로드(220)가 하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개폐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attached to the plunger 240 having magnetism so that the plunger rod 2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closed valve is removed automatically,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런저 로드(220)를 감싸게 구비된 스프링(260)의 일단은 부싱(250)에 받침되고, 타단은 플런저(240)가 구비된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 끝단에 받침되어 상기 스프링(260)에 의해 상승된 플런저 로드(220)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개폐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one end of the spring 260 which surrounds the plunger rod 220 is supported by the bushing 25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plunger rod Wherein the plunger rod (220) supported by the spring (260) at the end of the long axis (221) of the valve (2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Opening / closing valve which is converted into a state.
KR1020170060141A 2017-04-20 2017-05-15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KR102012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519 WO2018194377A1 (en) 2017-04-20 2018-04-18 Opening/closing valve configured such that closed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state when leaked water is remov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0865 2017-04-20
KR1020170050865 201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17A true KR20180118017A (en) 2018-10-30
KR102012269B1 KR102012269B1 (en) 2019-08-20

Family

ID=6410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141A KR102012269B1 (en) 2017-04-20 2017-05-15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2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1Y1 (en) * 2000-12-12 2001-05-15 주식회사디엠티 A check valve
KR20120035427A (en) * 2010-10-05 2012-04-16 정휘동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1Y1 (en) * 2000-12-12 2001-05-15 주식회사디엠티 A check valve
KR20120035427A (en) * 2010-10-05 2012-04-16 정휘동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269B1 (en)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324B1 (e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KR101930466B1 (en)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KR20180118017A (en) switching valve changed automatically opened state
KR102053458B1 (en) Solution feeder
CA2932337A1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KR101618122B1 (en) Tube vessel
RU2603213C2 (en) Solenoid valve with magnetizable float
EP0646224A4 (en) Valve assembly and pump including said valve assembly.
KR200463549Y1 (en) Air auto-venting valve
JP7109591B2 (en) Discharge valve structure and humidifier provided with the same
KR10126461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
KR20110100869A (en) Controlling energy saving valve device
JP2011052745A (en) Vent valve for drainage
KR100967935B1 (en) valve for water saving
KR20060100586A (en) Knife gate valve
JP2005350985A (en) Negative pressure destructor for water-service installation
WO2018194377A1 (en) Opening/closing valve configured such that closed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state when leaked water is removed
KR102315066B1 (en) A non-electric power water level adjuster
CN110220021A (en) A kind of family explosion stack integral valve
CN214063802U (en) Pilot-operated type electromagnetic valve
KR20030010942A (en) Normal open solenoid valve
KR102219484B1 (en) Valve with adjustable flow rate and detection
TWM581217U (en) Controlling device of liquid level
KR101347322B1 (en) Electromagnetic val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