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269B1 -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 Google Patents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269B1
KR102012269B1 KR1020170060141A KR20170060141A KR102012269B1 KR 102012269 B1 KR102012269 B1 KR 102012269B1 KR 1020170060141 A KR1020170060141 A KR 1020170060141A KR 20170060141 A KR20170060141 A KR 20170060141A KR 102012269 B1 KR102012269 B1 KR 10201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lunger rod
valve
bush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8017A (en
Inventor
강찬석
여순록
김동석
백남국
서상현
김재영
정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50865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to PCT/KR2018/0045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94377A1/en
Publication of KR2018011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using a permanent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감지 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로 인하여 밸브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폐쇄된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누수감지 차단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과, 상기 플런저 로드의 후단에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선단에 플런저 로드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싱이 구비되고, 이때 부싱의 내주연은 플런저 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고, 외주연은 수납공간의 내주연과 밀착토록 하고, 상기 플런저가 수용된 수납공간에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부싱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순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원수가 순환토록하여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수납공간의 구비된 부싱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으로 깊게 수납공간의 내주연으로 순환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플런저 로드의 외주연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부싱의 내주연은 상기 원형이 외직경과 밀착되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모서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순환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는 물의 비중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자성을 갖는 플런저와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 플런저 로드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질 경우 상승된 플런저 로드를 하강토록 하기 위하여 부싱과 플런저 사이에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such that malfunction of a closed valve does not occur when water is removed while the flow path of the valve is blocked due to leakage.
To this end, in the valve consisting of a buoyancy member to move up and down as the water rise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move together as it moves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nger case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buoyancy member, a plunger rod which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plunger case and m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to selectively enter the inlet hole. A pack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nger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rod, and a bushing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plunger rod can be operated vertically without moving from side to side,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is The outer sp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and the outer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ortion at the inner or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so that the raw water can be circulated in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plunger is accommodated. The raw water is circulated so that no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circulation portion is provid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torage space deep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position of the provided bushing of the storage space of the plunger case.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circular shap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is made of a shape having corners such as triangle, square, hexagon, or octagon such that the circ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thereby minimizing the close contact area. In order to facilitate this and to provide a circulation portion.
In addition,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is attached to the plunger having a magnetic, so that the plunger rod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when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ovided with a spring surrounding the plunger ro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unger to lower the raised plunger rod.

Description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본 발명은 누수감지 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수로 인하여 밸브의 유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폐쇄된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누수감지 차단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such that malfunction of a closed valve does not occur when water is removed while the flow path of the valve is blocked due to leakage.

일반적으로, 밸브는 고압의 가스나 유체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valve is installed in a pipe for transporting a gas or a fluid of high pressure, and is selectively used to open and close the valv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transport of the fluid.

이러한 밸브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se valves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예컨대, 정수기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는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For example, the valve used for a water purifier normally uses a solenoid valve.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고 차단되어야 하는 정수기의 특성상 반복적인 자동으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고 있다.The solenoid valve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flow of the fluid repeatedly due to the nature of the water purifier to be flowed and shut off repeatedly.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정수기에서 발생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하여 누수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누수감지 센서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알림 등으로 누수가 발생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되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solenoid valve has a leak detection sensor installed to detect a leak occurring in the water purifier, and when a leak is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 user is notified of a leak state by a notification or the like and is linked with a solenoid valve. It is made to cut off the supply.

즉,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개방시키고, 누수의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유체의 흐름을 폐쇄 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solenoid valve is configured to open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tate that the power is applied, and close the flow of the fluid by shutting off the power when the leakage occurs.

그러나,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평상시 전원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누수가 전원공급에 닿게 될 경우 누전차단기가 작동되어 건물전원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평상시 전원공급을 받고 있는 또 다른 제품 즉, 냉장고 또는 어항 속 여과기 등과 같은 전원공급이 유지되고 있어야 하는 제품에 전원공급이 끊기게 됨으로써 또 다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solenoid valve normally supplies power, the leakage circuit breaker operates to shut off the building power when the leak comes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which is another product that is normally powered, such as a refrigerator or a filter in a fish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another loss occurs because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o the product that must be maintained.

따라서 최근에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누수된 물이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에 의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로 등록 특허 10-1239324호에 개시된 바 있다.Therefore, recently, a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9324 as a valve to shut off the supply of raw water by buoyancy rising and falling as the water leaks without using a power source.

이러한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구조로,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는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으로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과 상기 플런저 로드의 후단에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상단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은 스토퍼와 플런저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부력부재와 함께 플런저가 이동토록 함과 더불어 승강된 플런저 로드를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와 함께 플런저 로드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The valve structure is opened and closed by using the buoyancy, buoyancy member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wat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move together as it moves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stalled through the buoyancy member A plunger case, a plunger rod which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plunger case and m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to a packing selectively contacting an inlet hole and to a rear end of the plunger rod A plunger is provided, and a stopper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and a spring surrounding the plunger rod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plunger to move the plunger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and to return the elevated plunger rod. Pru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one will ever with the plunger rod is lowered.

그러나 부력부재의 승강에 따라 함께 플런저가 승강토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은 부력부재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보다 약하게 이루어지도록 세팅됨으로써 정수기에 누수된 물을 제거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력은 수용공간에 발생된 진공압력을 이기지 못하게 되어 누수감지 차단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결국 밸브를 분해하여 패킹이 구비된 플런저 로드를 인위적으로 하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spring's elastic force is set to be weaker tha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so that the plunger moves up and down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moves up and down. In order to open the leakage detecting shutoff valve because the pressure cannot be overco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alve must be dismantled to artificially lower the plunger rod provided with the pack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런저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에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더욱 효과적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moving the water leakage in the water purifier by preventing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lunger case more effectively in the open state in the valve automatically closed state To be conver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밸브에 있어서,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ve consisting of a buoyancy member to move up and down as the water rise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o move together as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moves,

상기 개폐부재는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와, 상기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과, 상기 플런저 로드의 후단에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선단에 플런저 로드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싱이 구비되고, 이때 부싱의 내주연은 플런저 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고, 외주연은 수납공간의 내주연과 밀착토록 하고, 상기 플런저가 수용된 수납공간에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부싱의 내주연 또는 외주연으로 순환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원수가 순환토록하여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nger case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buoyancy member, a plunger rod which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inside the plunger case and m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to selectively enter the inlet hole. A pack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nger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rod, and a bushing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plunger rod can be operated vertically without moving from side to side,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is The outer sp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and the outer circumferen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ortion at the inner or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so that the raw water can be circulated in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plunger is accommodated. The raw water is circulated so that no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의 수납공간의 구비된 부싱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으로 깊게 수납공간의 내주연으로 순환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portion is provid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storage space deep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position of the provided bushing of the storage space of the plunger case.

또한 플런저 로드의 외주연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부싱의 내주연은 상기 원형이 외직경과 밀착되는 다각형의 모서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순환부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is formed in a shape having polygonal edges in which the circ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there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to facilitate the ascent and descending circulation. To have wealth.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는 물의 비중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자성을 갖는 플런저와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 플런저 로드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is attached to the plunger having a magnetic, so that the plunger rod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질 경우 상승된 플런저 로드를 하강토록 하기 위하여 부싱과 플런저 사이에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lunger ro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ovided with a spring surrounding the plunger ro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unger to lower the raised plunger rod.

따라서 본 발명은 누수로 인하여 차단된 밸브의 누수를 제거할 경우 부싱과 플런저 케이스 또는 부싱과 플런저 로드의 사이로 구비된 순환부를 통하여 원수가 순환됨으로써 플런저가 구비된 수납공간에 진공압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torage space provided with the plunger by circulating the raw water through the circula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unger case or the bushing and the plunger rod when removing the leak of the valve blocked by the leak It is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valve.

도 1은 종래의 밸브의 절단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의 분해도.
도 7은 바닥 프레임에 구비된 내입홈으로 누수가 흘러들어가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부력을 이용하여 누수감지 차단밸브가 승강하여 유로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차단된 누수감지 차단밸브가 하강하여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플런저 케이스에 구비된 수납공간의 내주연으로 순환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1 is a cutaway view of a conventional val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that the leakage flows into the inlet groove provided in the bottom frame.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is lifted and shut down using a buoyancy to block a flow path.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ak detection cutoff valve blocked in FIG. 8 is lowered and opened; FIG.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rculation part is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a storage space provided in a plunger case;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누수로 인하여 차단된 밸브를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변환토록 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valve shut off due to leakage when the leaked water is remov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 몸체(100)를 구비하고,In order to have the effect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6 includes a body 100 is formed with an inlet 110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20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discharged,

상기 몸체(100)에 개폐부재(200)가 설치되며, 이때 상기 몸체(100)와 개폐부재(200)의 사이로 원수가 이동되는 유로(130)가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and at this time, a flow path 130 through which raw water moves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formed.

이때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개폐부재(200) 사이에는 유로(130)와 연통토록 하는 유입공(321)이 형성된 홀더(320)가 다이어프램 판(310)을 지지하며 몸체(100)에 설치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to 4, the holder 320 having the inlet hole 321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130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00 supports the diaphragm plate 310. And is installed on the body 100.

상기와 같은 밸브는 정수기에 설치될 경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내입홈(2)에 부력부재(400)가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When the valv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er, it is installed in the bottom frame (1) of the water purifier, as shown in Figs. More specifically,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talled in the indentation groove 2 formed in the bottom frame 1.

상기 내입홈(2)은 부력부재(4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부력부재(400)가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내입홈(2)의 내직경은 부력부재(400)의 외직경보다 넓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groove 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uoyancy member 400,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groove 2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buoyancy member 400 so that the buoyancy member 400 can easily rise It is preferable to make it wider.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부재(400)가 삽입된 내입홈(2)으로 누수된 물이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바닥 프레임(1)은 내입홈(2)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tom frame 1 is made to be inclined toward the inlet groove 2 so that water leaked into the inlet groove 2 into which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erted as shown in FIG. 7. desirable.

또한 상기 부력부재(400)가 정수기의 최하단인 바닥 프레임(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누수된 물에 의하여 정수기에 구비된 부품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tal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ttom frame (1) of the bottom of the water purifier to prevent the parts are damaged by minimizing contact with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by the leaked water.

이때 부력부재(400)는 물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uoyancy member 4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e water so as to rise by the water.

즉, 부력부재(400)는 발포 스티로폼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buoyancy member 400 may be made of foamed styrofoam or plastic.

또한 상기 부력부재(400)의 내부에는 자석(410)이 마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gnet 410 is provided inside the buoyancy member 400.

이때 상기 자석(410)은 중심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석(410)은 부력부재(400)를 제조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부력부재(400)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부력부재(400)의 중심으로 구비된 수용부(401)에 자석(410)을 수용한 후에 상기 자석(410)이 부력부재(4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마감부재(402)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agnet 410 is made of a ring shape through the center, the magnet 410 is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by the insert injection method when manufacturing the buoyancy member 400 or buoyancy member 400 After receiving the magnet 410 in the receiving portion 401 provided as the center of the end member 402 may be coupled so that the magnet 410 is not separated from the buoyancy member 400.

이때 상기 자석(410)은 후술과 같이 개폐부재(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200)는 부력부재(400)와 함께 이동토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magnet 410 is used as a means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as described lat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to be moved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211)이 형성된 플런저 케이스(210)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22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에 설치된 패킹(230) 및 플런저 로드(220)의 후단에 설치된 플런저(24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를 감싸게 구비된 부싱(250)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00 is a plunger that is form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plunger case 210 and the plunger case 210, the storage space 211 is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A rod 220, a packing 230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rod 220, and a plunger 24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rod 220 and a bushing 250 provided to surround the plunger rod 220. Is done.

여기서,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는 몸체(100)가 형성된 방향을 나타내고, 후단부는 부력부재(400)가 설치된 방향으로 설명한 것이다.Her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rod 220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100 is formed, and the rear end portion is describ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oyancy member 400 is installed.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후단부는 부력부재(4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는 몸체(100)에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plunger case 210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buoyancy member 400, and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body 100.

또한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선단부와 몸체(100) 사이의 이음부에 홀더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판(310)이 위치되면서 원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iaphragm plate 310 having a holder is positioned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case 210 and the body 10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low of raw water.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 판(310)은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plate 310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 rubber.

따라서 플런저 케이스(210)의 선단부와 몸체(100) 사이로 구비된 이음부에 별도의 패킹을 구비하지 않고 고무재로 이루어진 다이어프램 판이 위치됨으로써 이음부 통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diaphragm plate made of rubber material is positioned without a separate packing portion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lunger case 210 and the body 100 so that no leakage occurs through the joint portion.

또한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에는 플런저(240), 부싱(250), 플런저 로드(220), 패킹(230)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240, the bushing 250,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acking 230 are sequentially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여기서 상기 플런저(240)의 움직임에 따라 패킹(230)이 구비된 플런저 로드(220)도 함께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As the plunger 240 moves, the plunger rod 220 with the packing 230 is also moved together.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 외주연으로 부싱(250)이 구비됨으로써 플런저 로드(220)는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즉, 홀더(320)에 형성된 유입공(321)이 위치된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bushing 250 is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ng axis 221 of the plunger rod 220, so that the plunger rod 220 does not flow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o the holder 320. It is used as a guide means for precisely moving the formed inlet hole 321 is located direction.

그리고,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하단 즉, 플런저(240)가 수용된 부분으로 원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 외부의 압력차이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게 한 것이다.The raw water flows into or discharg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that is, the portion in which the plunger 240 is accommodated,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이때 상기와 같이 수납공간(211)으로 원수가 순환토록 하기 위하여 부싱(25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서 홈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수납공간(211)의 내주연과 상기 부싱의 사이에 순환부(270)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a groove or a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to allow the raw water to circulate in the storage space 2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circulation portion 270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211 and the bushing. ) Is provided.

또한 부싱(250)의 내주연 단면은 모서리가 구비된 도형 즉,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과의 밀착면을 최소화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220)가 승하강이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cross section of the bushing 25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having a corner, that is, a triangle, a pentagon, and a pentagon, thereby minimizing a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plunger rod 220. ) Is to make it easy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부싱(250)의 내주연으로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하여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과 밀착되는 부분에 순환부(270)를 구비토록 함과 더불어 밀착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bushing 250 is formed with a structure formed with a groove or a protrusion so that the circulation portion 270 is provided on the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nger rod 220 and the contact surface can be minimized. It is.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내주연에 수직으로 홈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순환부(27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0, a circulation part 270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groove or a protrus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즉, 상기 순환부(270)는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하단까지 원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 외부의 압력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circulation unit 270 is to prevent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by allowing the raw water to be circula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또한 상기 부싱(250) 또는 플런저 케이스(210)에 순환부(270)를 구비하기 위하여 홈부를 형성할 경우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돌출테로 이루어질 경우 플런저 로드가 수납공간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 3개 이상의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to provide the circulation portion 270 in the bushing 250 or the plunger case 210, one or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nd when the protruding frame is formed, the plunger rod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orage space.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t least 3 or more piec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240)는 자석의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240 has a property of a magnet.

또한 상기 플런저(240)는 봉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240 may be made of a rod-shaped magnet.

이때 플런저(240)에 형성된 극성과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부재(400)에 마련된 자석(410)의 극성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하도록 플런저(240)와 자석(410)을 설치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plunger 240 and the magnet 410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polarity formed in the plunger 240 and the polarity of the magnet 410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face each other with different polarities.

예컨대, 부력부재(400)에 설치된 자석(410)은 플런저(240)가 위치된 부분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magnet 410 install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portion where the plunger 240 is located.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자석(410)과 플런저(240)의 사이로 자기장이 발생되는 것이다.Th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installed in such a structure.

이때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자석(410)과 플런저(240) 사이에는 인력과 척력이 함께 발생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r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by the magnetic field.

이에 따라서 자석(410)과 플런저(240) 사이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상기 소정 위치란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는 힘의 중심위치를 의미한다.The predetermined position means a central position of a force on which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act.

이에 따라서 플런저(240)는 자석(410)이 설치된 부력부재(400)와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lunger 240 is fixed by the buoyancy member 400 provided with the magnet 410 and the attraction force and repulsive force.

그러므로 부력부재(400)의 자석(410)에 의하여 고정된 플런저(240)는 부력부재(400)의 이동시 자석(410)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동된 플런저(24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lunger 240 fixed by the magnet 410 of the buoyancy member 400 is to move the plunger 240 associated with it as the magnet 410 moves together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moves.

즉, 상기 부력부재(400)가 부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플런저(240)는 부력부재(40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플런저(240)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220) 및 패킹(23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moves upward by the buoyancy, the plunger 240 moves upward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At this time,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acking 230 are connected to the plunger 240. Will also move together.

따라서, 패킹(230)의 상부에 위치된 유입공(321)에 밀착됨으로써 유로(130)가 폐쇄되어 원수의 공급을 차단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flow path 130 is clos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hole 321 located above the packing 230 to block the supply of raw water.

또한, 상기 폐쇄된 유로(13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력부재(400)에 발생된 부력을 제거 하면된다.In addition, the buoyancy generat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may be removed to open the closed flow path 130.

즉, 바닥 프레임(1)에 구비된 내입홈(2)으로 흘러들어간 누수를 제거하면 부력부재(400)가 하강하여 패킹(230)이 유입공(321)과 떨어지며 유로(130)가 개방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leak flows into the inlet groove 2 provided in the bottom frame 1, the buoyancy member 400 is lowered so that the packing 230 falls from the inlet hole 321 and the flow path 130 is opened. .

이때, 상기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내입홈(2)으로부터 누수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a discharge por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may be provided to easily drain the leak from the inlet groove 2 formed in the bottom frame (1).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부력부재(400)에 설치된 자석(410)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런저(240)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플런저(240)를 고정토록 함으로써 함께 이동되도록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410 install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is formed to have a ring shape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polarity different from the plunger 240 so as to move together by fixing the plunger 240. It is not limited.

예컨대, 플런저(240)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부력부재(400)에 구비된 자석(410)과 플런저(240)에 척력만이 발생되어 부력부재(400)의 이동시 상기 플런저(240)는 발생된 척력에 의하여 함께 상측으로 당겨져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since the plunger 2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nly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and the plunger 240 is generated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moves. It can be moved upward by pulling together.

또한 부력부재(400)에 구비된 자석(4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런저(24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gnet 410 provid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plunger 240 may hav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made of a magnet.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물의 비중보다 높으면서 자석으로 이루어진 플런저(240)와의 척력이 발생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 플런저(24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함께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hich is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generates a repulsive force with the plunger 240 made of a magnet, the plunger 240 and the plunger rod 220 are interlocked together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connecting means. It can be.

그리고, 상기 플런저 로드(220)와 플런저(240)는 물의 비중보다 높기 때문에 부력부재(400)가 하강할 경우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lunger 240 are high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descends, the plunger rod 220 and the plunger 240 may be automatically lowered by their own weight.

또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물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하단에 위치한 플런저(240)와 고정된 상태가 아닐 경우 플런저(240)가 하강할 때 플런저 로드(220)도 하강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을 감싸는 스프링(260)은 부싱(250)과 플런저(2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260)의 일단은 부싱(250)에 받침되고 타단은 플런저 로드(220)에 구비된 받침단에 받침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nd when the plunger 240 is lowered when the plunger 240 is not fixed, the plunger rod 220 is also lowered. A spring 260 surrounding the long axis 221 of the plunger rod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bushing 250 and the plunger 240, one end of the spring 260 is supported by the bushing 250 and the other end is plunger. It is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end provided in the rod (220).

즉, 상기 부싱(250)은 플런저 케이스(210)의 내주연에 고정된 상태로써 스프링(260)의 탄성력은 하단 즉, 플런저(240)가 구비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플런저 로드(220)가 하강토록 한 것이다.That is, the bushing 25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case 210,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60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that is, the plunger 240, so that the plunger rod 220 is lowered. It is so long.

그리고, 상기 부력부재(40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플런저(240)는 스프링(26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승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240 rising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400 is lifted by the buoyancy is made to elevate while winn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60.

즉, 부력은 탄성력보다 큰 힘을 발휘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buoyancy force is made to exert a force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또한 자기장에 의해 고정된 자석(410)과 플런저(240)도 탄성력보다 큰 힘을 발휘함으로써 부력부재(400)가 상승함에 따라서 플런저(24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gnet 410 and the plunger 240 fixed by the magnetic field also exert a greater force than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plunger 240 moves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400 rises.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내입홈(2)에 부력부재(400)가 안착되도록 밸브가 설치된다.First, a valve is installed so that the buoyancy member 400 is seated in the inlet groove 2 formed in the bottom frame 1 of the water purifier.

이때, 밸브는 플런저 케이스(210)의 외측으로 구비된 고정다리(212)에 의해 바닥 프레임(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alve may be stably fixed to the bottom frame 1 by the fixing leg 212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plunger case 210.

이러한 밸브는 정수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과 연결된다.Such a valve is connected to a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to a water purifier.

이때, 정수기에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이 상기 밸브의 몸체(100)에 형성된 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원수가 배출구(120)를 통해 이송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flow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water purifier, the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is connected to the inlet 110 formed in the body 100 of the valve is the raw wat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outlet 120.

이때 정수탱크로부터 누수가 발생하거나 각 부품 또는 각 부품이 연결된 부분에서 발생된 누수가 바닥 프레임(1)의 내입홈(2)으로 유입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eak occurs from the water purification tank or leaks generated from each part or each part is connected to the inlet groove 2 of the bottom frame (1).

여기서, 바닥 프레임(1)은 누수가 내입홈(2) 방향으로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Here, the bottom frame 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leak easily flows in the indentation groove 2 direction.

따라서, 상기 내입홈(2)으로 유입된 누수에 따라서 부력부재(400)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buoyancy member 400 is raised by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leakage flow into the inlet groove (2).

또한 상기 부력부재(400)가 상승하면 부력부재(400)에 설치된 자석(410)이 함께 이동되고, 상기 부력부재(400)와 연동된 개폐부재(200)의 플런저(240)는 자석(410)과의 자기장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buoyancy member 400 is raised, the magnet 410 installed in the buoyancy member 400 is moved together, the plunger 240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nterlocked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is a magnet 410 As they are fixed by the magnetic field, they move together.

즉, 상기 플런저(240)가 부력부재(40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플런저(240)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220) 및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에 구비된 패킹(230)이 함께 이동하여 상기 패킹(230)이 유입공(321)에 밀착되는 것이다.That is, as the plunger 240 rises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400, the plunger rod 220 connected to the plunger 240 and the packing 230 provided at the tip of the plunger rod 220 move together to pack the packing.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hole (321).

이에 따라서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에 형성된 유로(130)가 폐쇄되어 원수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flow path 130 formed betwee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is closed to prevent the water from leaking by blocking the supply of raw water.

그리고, 폐쇄된 유로(130)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내입홈(2)에 흘러들어간 물을 제거함으로써 부력부재(400)가 하강토록 함으로써 패킹(230)이 유입공(321)과 떨어져 유로(13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acking 230 is separated from the inlet hole 321 by remov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groove 2 so as to open the closed passage 130 so that the packing 230 is separated from the inlet hole 321. The opening of the

이때 플런저 로드(220)의 장축(221)에 결합된 부싱(250)에 구비된 순환부(270)를 통하여 원수가 흘러들어감으로써 패킹(230)이 구비된 플런저 로드(220)가 용이하게 하강토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aw water flows through the circulation portion 270 provided in the bushing 250 coupled to the long axis 221 of the plunger rod 220 so that the plunger rod 220 with the packing 230 is easily lowered. It is.

또한 상기 수납공간(211)으로 흘러들어가는 원수의 수압으로 인하여 더욱 용이하게 플런저 로드(220)는 하강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lunger rod 220 is to be lowered more easily due to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따라서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더욱 효과적으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Thus, when the leaked water is removed, the valve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more effectively.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1:바닥 프레임 2:내입홈
100:몸체
110:유입구
120:배출구
130:유로
200:개폐부재
210:플런저 케이스 211:수납공간
212:고정다리
220:플런저 로드 221:장축
230:패킹
240:플런저
250:부싱
260:스프링
270:순환부
310:다이어프램 판
320:홀더 321:유입공
400:부력부재 401:수용부
402:마감부재
410:자석
1: Bottom frame 2: Inner groove
100: body
110: Inlet
120: outlet
130: Euro
200: opening and closing member
210: plunger case 211: storage space
212: Fixed leg
220: plunger rod 221: long shaft
230: Packing
240: plunger
250: bushing
260 spring
270: circulation
310: diaphragm plate
320: holder 321: inflow hole
400: buoyancy member 401: receiving portion
402: finishing member
410: magnet

Claims (5)

물의 차오름에 따라 승강하는 부력부재(400)와, 상기 부력부재(400)의 부력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개폐부재(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재(200)는 부력부재(400)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210)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공간(211)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토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220)와,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321)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230)과,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후단에 플런저(24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211)의 선단에 플런저 로드(22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싱(250)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250)의 내주연은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과 밀착되고 외주연은 수납공간(211)의 내주연과 밀착되게 구성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40)가 수용된 수납공간(211)에 원수가 유입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부싱(250)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각각 순환부(270)가 구비되고,
상기 부싱(250)의 내주연과 외주연에 각각 형성되는 순환부(270)는 부싱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부싱에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The buoyancy member 400 to move up and down as the water rise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to move together as it moves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40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buoyancy member 400 A plunger case 210 installed through the plunger, a plunger rod 220 which is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211 provided inside the plunger case 210 and m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lunger rod 220 A packing 230 installed at the front end to selectively contact the inlet hole 321 and a plunger 240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rod 220 are provided, and the plunger rod 220 at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space 211. ) Is not flow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bushing 250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22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is a storage space Leak detection block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211 In the probe,
The circulation part 270 is provid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so that the raw water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211 in which the plunger 240 is accommodated to release the vacuum state.
The circulation portion 270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of the bushing, 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or a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ushing, so that the closed valve removes leakage. A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open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20)의 외주연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부싱(250)의 내주연은 상기 원형이 외직경과 밀착되는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의 모서리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면적을 최소화하여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모서리를 순환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circular shap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250 is made of a shape having a polygonal edge made of a side that the circ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Leak detection valve is automatically closed when the valve is closed, characterized in that to facilitate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to utilize the edge as a circulation portion to remove the lea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케이스(210)의 수납공간(211)의 내주연에 상,하 수직으로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순환부(270)를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211 of the plunger case 210, a groove or a protrusion is formed vertically and vertically so that the circulation valve 270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remove the leak. Leakage detection valve that is converted to the open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2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자성을 갖는 플런저(240)와 부착되어 자중에 의해 플런저 로드(220)가 하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nger rod 2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attached to the plunger 240 having magnetic properties so that the plunger rod 2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closed valve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leak is removed. Leak detection shut off val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로드(220)를 감싸게 구비된 스프링(260)의 일단은 부싱(250)에 받침되고, 스프링(260)의 타단은 플런저 로드(220)에 구비된 받침단에 받침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런저 로드(220)가 하강하면서 누수를 제거하면 누수감지 차단밸브가 작동하기 이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spring 260 provided to enclose the plunger rod 220 is supported by the bushing 250,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6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end provided in the plunger rod 2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plunger rod 220 is lowered and the leak is removed, the leak detection shutoff valve may be restored to a state prior to operation. Shut-off valve.
KR1020170060141A 2017-04-20 2017-05-15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KR102012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519 WO2018194377A1 (en) 2017-04-20 2018-04-18 Opening/closing valve configured such that closed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state when leaked water is remov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65 2017-04-20
KR20170050865 2017-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17A KR20180118017A (en) 2018-10-30
KR102012269B1 true KR102012269B1 (en) 2019-08-20

Family

ID=6410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141A KR102012269B1 (en) 2017-04-20 2017-05-15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2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1Y1 (en) * 2000-12-12 2001-05-15 주식회사디엠티 A check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24B1 (en) * 2010-10-05 2013-03-05 정휘동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31Y1 (en) * 2000-12-12 2001-05-15 주식회사디엠티 A chec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17A (en)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324B1 (en)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KR102012269B1 (en)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EP2481963B1 (en) Automatic gas intake and exhaust valve device
JP2007105612A (en) Aeration device
US20180155916A1 (en) Low profile overbalanced backwater valve
JP2005350985A (en) Negative pressure destructor for water-service installation
KR101742090B1 (en) Drip chamber with air shut-off function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KR101726233B1 (en) Air shut-off equipment for medical infusion set
KR200463549Y1 (en) Air auto-venting valve
KR100809640B1 (en) Knife gate valve
KR101849080B1 (en) Air-exhaust check valve and storage tank having the same
EP3222894B1 (en) Check valve
JP5386275B2 (en) Drain valve
KR101932241B1 (en) Supplying Device of Liquid material
WO2018194377A1 (en) Opening/closing valve configured such that closed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state when leaked water is removed
US6754915B2 (en) Scupper with automatic shutoff valve
KR20200094310A (en) Main manhole for vacuum lorry
KR20150049402A (en) An automatic water supply controller
CN205577046U (en) A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outwards discharges
KR20200119625A (en) 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KR101796984B1 (en) Liquid supply apparatus
KR101347322B1 (en) Electromagnetic valve device
KR101739360B1 (en) Air shut-off equipment for medical infusion set
US10167968B1 (en) Check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