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427A -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 Google Patents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5427A KR20120035427A KR1020100096925A KR20100096925A KR20120035427A KR 20120035427 A KR20120035427 A KR 20120035427A KR 1020100096925 A KR1020100096925 A KR 1020100096925A KR 20100096925 A KR20100096925 A KR 20100096925A KR 20120035427 A KR20120035427 A KR 201200354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nger
- buoyancy
- buoyancy member
- valv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that 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누수된 물이 차오름에 따라 상승하는 부력에 의하여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lve for shutting off the supply of raw water by buoyancy that rises as the leaked water rises without using a power source.
일반적으로, 밸브는 고압의 가스나 유체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파이프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유체의 이송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valve is installed in a pipe for transporting a gas or a fluid of high pressure, and is selectively used to open and close the valv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transport of the fluid.
이러한 밸브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정수기에 사용되고 있는 밸브는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고 차단되어야 하는 정수기의 특성상 반복적인 작동으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고 있다.These valves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For example, the valve used for a water purifier normally uses a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opens and closes the flow of the fluid by repetitive oper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water purifier in which the fluid flows repeatedly and is blocked.
또한, 정수기에서 발생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하여 누수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누수감지 센서에 의하여 누수가 감지되면, 알람 등으로 누수가 발생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하여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개방시키고, 누수가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유체의 흐름을 폐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detect leaks generated in the water purifier, a leak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and used. That is, when a leak is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the user is notified of the state of the leak by an alarm or interlocked with the solenoid valve to block the supply of raw water. That is, the solenoid valve is configured to open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state that the power is applied, and shut off the power by closing the power when the leakage occurs.
그러나,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평상시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solenoid valve normally supplies pow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electrical energy is consumed relatively much.
이에, 무전원시 즉,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개방시키는 상시 개방형 밸브구조를 이용하여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유체의 흐름을 폐쇄하도록 하였다.Thus, by using a normally open valve structure that opens the flow of fluid in the state of no power, that is, the power is cut off, when the leakage occurs, the power is applied to close the flow of the fluid.
하지만, 상기 밸브는 정전시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유로가 개방된 상태로 지속됨에 따라 누수 발생시 유로가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못함은 물론, 정수탱크의 물이 넘쳐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the flow path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nd when the leakage occurs, the flow path is not normally shut off,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of the purified water tank overflows, causing consumer complaints.
또한, 이러한 밸브 및 누수감지 센서는 모두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조로서, 그 가격이 고가이며, 전기 에너지를 지속적,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lve and the leak detection sensor is a structure that all operate by receiving electricity, the price is expensiv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use the electric energy continuously, essentially.
아울러, 정전 등에 따른 전원공급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센서 및 밸브의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malfunction of the sensor and the valve occurs due to instability of the power supply due to power fail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누수감지 센서가 불필요함은 물론, 전원을 공급받지 않더라도 누수시 발생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valve that can cut off a flow path for supplying raw water by buoyancy of water generated when water leaks, as well as not requiring a leak detection sensor. The purpos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밸브는, 물이 차오름에 따라 상승하는 부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부재의 부력에 의하여 원수가 유출입되는 유로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buoyancy member that rises as the water ri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aw water flows in and out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부력부재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유로에 형성된 유입공과 밀착됨에 따라 유로를 개폐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stalled on the buoyancy member to move together as the movem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opened and closed close to the inlet hole formed in the flow path.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재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 및 플런저 로드의 후단부에 설치된 플런저;를 구비하고, 플런저는 부력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Preferab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plunger case installed through the buoyancy member; A plunger rod housed in the plunger case and configur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cking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hole; And a plung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rod, wherein the plunger is made to move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바람직하게, 부력부재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자석이 상기 플런저의 극성과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플런저가 위치된 부분보다 아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링 형상의 자석과 봉 형상을 갖는 플런저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플런저가 인력과 척력의 힘이 상응하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플런저가 함께 이동된다.Preferably, the inside of the buoyancy member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magnet located below the portion where the plunger is located so as to face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lunger, and occurs between the ring-shaped magnet and the plunger having a rod shape. The plunge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force of the attractive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is fixed by the magnetic field, and the plunger moves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is lifted by the buoyancy force.
한편, 상기 수납공간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이 스토퍼와 플런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부력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자석에 의하여 고정된 플런저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부력부재와 함께 상승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a spring surrounding the plunger rod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plunger, and the plunger fixed by the magnet with the buoyancy member while the buoyancy member is lifted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to ascen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와 부력부재가 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 케이스에는 축이 이동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부력부재와 플런저를 연결한 축에 의해 플런저가 부력부재와 함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nger and the buoyancy member is connected by a shaft, the plunger case is formed with a long hole for the shaft to move the buoyancy member and plunger as the buoyancy member is raised by the buoyancy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nger is moved together with the buoyancy member by the connected shaft.
바람직하게, 부력부재는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은 누수된 물이 홈을 향하여 흘러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buoyancy member is installe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ottom frame of the water purifier, the bottom frame is inclined so that the leaked water flows toward th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using buoya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누수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밸브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누수감지 센서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저렴하다.First, since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buoyancy of the leaked water, a separate leak detection sensor is not required, so the cost is low.
둘째,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의 낭비가 없으므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함은 물론, 전기를 이용한 밸브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다.Second, since there is no waste of electrical energy to open and close the valve, it saves electrical energy and, of course, the price is lower than that of the valve using electricity.
셋째, 정수기에 설치되는 밸브의 장착위치가 각 부품 장치의 최전단에 위치하여 밸브 이후의 각 연결부품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원수를 차단하므로 피해보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밸브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연결됨에 따라 누수발생시 원수가 유입되는 초입에서 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누수의 피해를 최소화한다.Third, sinc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valve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er is located at the foremost end of each component device, even if a leakage occurs in each connecting part after the valve, raw water is blocked, thereby minimizing damage compensation. That is, since the valve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raw water, it minimizes the damage of the leakage by blocking the raw water at the inlet of the raw water when the leakage occurs.
넷째, 누수된 물을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변환하여 사용이 편리하다.Fourth, when the leaked water is removed, the valve is automatically convert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making it convenient to use.
다섯째, 전원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정전이나 전원공급의 오작동시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Fifth, it is not affected by power failure or malfunction of power supply.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가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자석으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의 흐름을 나타내는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가 동작되어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lve that opens and closes using buoya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using a buoyancy buoya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bottom frame of the water purifier.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a magnet;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using a buoya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d the flow path.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lve that opens and closes using buoyanc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전원을 인가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을 인가받지 않더라도 누수가 발생시 부력에 의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buoyancy when a leakage occurs even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to open and close the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using buoyanc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밸브(100)는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는 부력부재(110) 및 상기 부력부재(110)에 설치되어 부력부재(110)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개폐부재(120)를 구비한다.1 and 2, the
여기서, 상기 밸브(100)는 원수가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를 구비한다.Here, the
몸체(10)에는 개폐부재(12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와 개폐부재(120) 사이에는 원수가 이동되는 유로(14)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0)와 개폐부재(120) 사이에는 유로(14)와 연통되도록 유입공(24)이 형성된 홀더(22)가 다이어프램 판(20)을 지지하며 몸체(10)에 설치된다.The opening and
상기와 같은 밸브(100)는 원수를 공급받는 원수 공급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원수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양한 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유체가 반복적으로 흐르고 차단되는 특성을 갖는 정수기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부력부재(110)가 정수기에 설치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부재(110)는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홈(2)에 삽입된다.When the
상기 홈(2)은 부력부재(110)와 형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부력부재(110)가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홈(2)은 부력부재(110)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부력부재(110)가 삽입된 홈(2)으로 누수된 물이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바닥 프레임(1)은 홈(2)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부재(110)가 정수기의 최하단인 바닥 프레임(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누수된 물에 의하여 정수기에 구비된 부품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부력부재(110)는 물에 의하여 상승하도록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부력부재(110)는 발포 스티로폼,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부력부재(110)는 물보다 비중이 작으며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부력부재(110)의 내부에는 자석(112)이 마련된다. 상기 자석(112)은 중심이 관통된 링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자석(112)은 부력부재(110)를 제조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하여 부력부재(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석(112)은 후술할 개폐부재(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개폐부재(120)는 상기 부력부재(110)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부재(120)는 내부에 수납공간(125)이 형성된 플런저 케이스(124)와, 상기 플런저 케이스(124)의 내부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123)와, 상기 플런저 로드(123)의 선단부에 설치된 패킹(121) 및, 플런저 로드(123)의 후단부에 설치된 플런저(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플런저 로드(123)의 선단부는 몸체(10)가 형성된 방향을 나타내고, 후단부는 부력부재(110)가 설치된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플런저 케이스(124)는 일측 즉, 후단부가 부력부재(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타측 즉, 선단부가 몸체(10)에 설치된다. 플런저 케이스(124)의 수납공간(125)에는 패킹(121), 플런저 로드(123) 및, 플런저(122)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121), 플런저 로드(123) 및 플런저(122)는 함께 움직이도록 연결된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122)는 자석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플런저(122)는 봉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런저(122)에 형성된 극성과 전술한 부력부재(110) 내에 마련된 자석(112)의 극성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플런저(122)와 자석(112)을 설치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부재(110) 내에 설치된 자석(112)의 설치 위치는 플런저(122)가 위치된 부분보다 아래쪽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 자석과 플런저 사이에는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자석(112)과 플런저(122) 사이에는 인력(끌어당기는 힘)과 척력(밀어내는 힘)이 함께 발생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122)가 자석(112)과 플런저(122) 사이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소정 위치란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는 힘의 중심위치를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런저(122)와 자석(112)의 자기장의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척력과 인력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flow of repulsive force and attraction caused by the flow of the magnetic fields of the
먼저, 도 4의 (a)는 봉 형상을 갖는 자석 즉, 플런저(122)와 링 형상을 갖는 자석(112)에 대한 자기장 흐름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자기장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의 형태 및 극성에 따라 자기장의 흐름이 결정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122)가 자석(112)의 상측에 위치될 경우 자석(112)에 의한 인력으로 끌어당겨진다. 여기서, 플런저(122)는 자석(112)으로 끌려오다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12)이 플런저(122)를 끌어당기는 인력과 서로 동일한 극성의 자기장에 의하여 플런저(122)를 밀어내려는 척력이 서로 동일한 힘을 발휘하여 플런저(122)가 인력 및 척력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고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First, FIG. 4A illustrates magnetic field flow states of a rod-shaped magnet, that is, a
이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플런저(122)는, 자석(112)이 설치된 부력부재(110)와 개폐부재(120)가 결합시 플런저(122)가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부력부재(110)의 자석(112)에 의하여 고정된 플런저(122)는 부력부재(110)의 이동시 자석이 함께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부재(110)가 부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플런저(122)는 부력부재(11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122)가 부력부재(110)와 함께 이동시 플런저(122)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123) 및 패킹(121)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에, 패킹(121)은 홀더(22)에 형성된 유입공(24)에 밀착된다. 따라서, 유로(14)가 폐쇄되어 원수의 공급이 차단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또한, 유로(14)를 개방시킬 경우, 상기 부력부재(110)에 발생된 부력을 제거하면 된다. 즉, 홈(도 3의 '2' 참조)으로 흘러들어간 누수된 물이 제거되면 부력부재(110)가 하강하여 패킹(121)이 유입공(24)과 떨어지며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홈(2)으로부터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빼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토출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opening the
한편, 상기 부력부재(110)에 설치된 자석(112)은 플런저 케이스(124)와 인접하도록 플런저 케이스(124)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설치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상기 자석(112)이 플런저(122)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하고 플런저(122)의 하측에 설치되어 플런저(12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척력을 발생시킨다면, 그 형상 및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부력부재(110)에 설치된 자석(112)이 링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플런저(122)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플런저(122)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력부재에 설치된 자석이 봉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석이 플런저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의 극성과 자석의 극성이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즉, 플런저와 자석 사이에 척력만이 발생하여 부력부재가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플런저가 척력에 의하여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 케이스(124)의 수납공간(125)에는 스토퍼(126)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123)를 감싸는 스프링(127)이 플런저(122)와 스토퍼(126)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127)은 부력부재(110)의 복귀를 도우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부력부재(11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플런저(122)는 탄성력을 이기면서 승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부력은 탄성력보다 큰 힘을 발휘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자석(112)과 플런저(122)의 자기장에 의해 고정된 플런저(122)가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1)에 형성된 홈(2)에 부력부재(110)가 안착되도록 밸브(100)가 설치된다. 이때, 밸브(110)는 브라켓(130)에 의하여 바닥 프레임(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First, the
이러한 밸브(100)는 정수기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미도시)과 연결된다. 즉, 밸브(100)는 정수기 내에 설치된 각 부품 장치의 최전단에 위치된다.The
이때, 정수기에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이 상기 밸브(100)의 몸체(10)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연결되어 원수가 배출구(12)를 통해 필터부(미도시)로 이송되며, 필터부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는 정수탱크(미도시)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물넘침이 발생하거나 각 부품 또는 각 부품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시 누수된 물이 흘러내려 바닥 프레임(1)의 홈(2)으로 유입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flow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water purifier, the raw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raw water is connected to the
여기서, 상기 바닥 프레임(1)은 물이 용이하게 흘러들어가도록 홈(2)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Here, the
따라서, 상기 홈(2)으로 물이 유입됨에 따라 부력부재(110)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Therefore, as the water flows into the
상기 부력부재(110)가 상승하면 부력부재(110)에 설치된 자석(12)이 함께 이동하고, 상기 부력부재(110)에 설치된 개폐부재(120)의 플런저(122)가 상기 자석과의 자기장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When the
즉, 상기 플런저(122)가 부력부재(11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플런저(122)와 연결된 플런저 로드(123) 및 플런저 로드(123)의 선단부에 설치된 패킹(121)이 함께 이동하여 패킹(121)이 유입공(24)에 밀착된다. 이에, 유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 형성된 유로(14)가 폐쇄되어 원수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as the
여기서, 상기 밸브(100)가 원수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위치가 원수가 유입되는 초입에서 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밸브(100) 이후의 각 연결부품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고 원수가 공급되는 초입을 차단하여 누수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한편, 상기 플런저 로드(123)를 감싸며 플런저(122)와 스토퍼(126)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7)의 탄성력은 부력부재(110)가 상승하며 자석(112)에 의해 발생된 척력보다 그 힘이 작기 때문에 패킹(121)이 유로(14)를 폐쇄하는데 지장을 받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force of the
폐쇄된 유로(14)의 개방은 상기 누수된 물 즉, 홈(2)에 흘러들어간 물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부력부재(110)가 하강하여 패킹(121)이 유입공(24)과 떨어져 유로(14)가 개방된 상태로 변경된다.The opening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100)는 별도의 누수감지 센서가 필요 없으며, 전기를 인가받지 않더라고 밸브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가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부력부재(110) 및 개폐부재(120)의 이동을 자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동되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부재(110')와 개폐부재(120')의 플런저(122')가 직접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부력에 의하여 유로(14)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도시된 도 2 및 도 3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부재(110')는 플런저(122')와 축(129')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부력부재(110')와 플런저(122')가 축(129')에 의해 연결되어 플런저(122')가 부력부재(110')와 함께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플런저 케이스(124')에는 축(129')이 부력부재(110')와 함께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장공(1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of FIGS. 2 and 3 described above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shown, the buoyancy member 110 'is connected by the plunger 122' and the shaft 129 '. That is, the
이와 같이, 상기 부력부재(110')와 플런저(122')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자석(112)을 이용하여 부력부재(112)가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122)가 함께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누수발생시 전원을 인가받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100' : 밸브 110, 110' : 부력부재
112 : 자석 120 : 개폐부재
121 : 패킹 122, 122' : 플런저
123 : 플런저 로드 124, 124' : 플런저 케이스
130 : 브라켓100, 100 ':
112: magnet 120: opening and closing member
121:
123:
130: bracket
Claims (7)
부력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부력부재에 설치된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유로에 형성된 유입공과 밀착됨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stalled on the buoyancy member to move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mov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hole formed in the flow path.
상기 개폐부재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부력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런저 케이스;
플런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플런저 로드;
플런저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유입공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패킹; 및
플런저 로드의 후단부에 설치된 플런저;를 구비하고,
플런저는 부력부재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plunger cas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installed through the buoyancy member;
A plunger rod housed in the plunger case and configur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cking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plunger ro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hole; And
And a plunge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rod,
The plunger is a valv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move with the buoyancy member.
플런저는 자석의 성질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부력부재의 내부에는 링 형상의 자석이 상기 플런저의 극성과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플런저가 위치된 부분보다 아래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링 형상의 자석과 봉 형상을 갖는 플런저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플런저가 인력과 척력의 힘이 상응하는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플런저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method of claim 3,
The plunger is made to have the properties of a magnet,
Inside the buoyancy member, a ring-shaped magnet is installed to be located below the portion where the plunger is located so as to face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lunger, and a magnet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ring-shaped magnet and the plunger having a rod shape. The plunger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ce of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by the plunger is moved together as the buoyancy member is lifted by the buoyancy.
상기 수납공간에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이 스토퍼와 플런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부력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자석에 의하여 고정된 플런저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부력부재와 함께 상승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topp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spring surrounding the plunger rod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 and the plunger, so that the plunger fixed by the magnet ascends with the buoyancy member while the buoyancy member is lifted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 valve, characterized in that made.
플런저와 부력부재가 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 케이스에는 축이 이동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부력부재와 플런저를 연결한 축에 의해 플런저가 부력부재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method of claim 3,
The plunger and the buoyancy member are connected by a shaft, and the plunger case is formed with a long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can move. A valve, characterized in that moved.
부력부재는 정수기의 바닥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은 누수된 물이 홈을 향하여 흘러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buoyancy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ottom frame of the water purifier and installed
The bottom frame is a valv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so that the water flows toward the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925A KR101239324B1 (en) | 2010-10-05 | 2010-10-05 |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
CN2011101836799A CN102444746A (en) | 2010-10-05 | 2011-07-01 |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6925A KR101239324B1 (en) | 2010-10-05 | 2010-10-05 |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5427A true KR20120035427A (en) | 2012-04-16 |
KR101239324B1 KR101239324B1 (en) | 2013-03-05 |
Family
ID=4600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6925A KR101239324B1 (en) | 2010-10-05 | 2010-10-05 |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9324B1 (en) |
CN (1) | CN102444746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55668A (en) * | 2014-11-28 | 2015-03-25 | 东莞市友胜电子有限公司 | Floater type leakage prevention switch |
CN106763992A (en) * | 2016-12-15 | 2017-05-31 | 肖海涛 | Agricultural water conservation automatic irrigation valve |
CN108006276A (en) * | 2016-12-21 | 2018-05-08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For water purifier wastewater valve and there is its water purifier |
CN108006235A (en) * | 2016-12-21 | 2018-05-08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For water purifier wastewater valve and there is its water purifier |
WO2018194377A1 (en) * | 2017-04-20 | 2018-10-25 | (주)엠씨엠 | Opening/closing valve configured such that closed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state when leaked water is removed |
KR20180118017A (en) * | 2017-04-20 | 2018-10-30 | 주식회사 엠씨엠 | switching valve changed automatically opened stat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42708B (en) * | 2014-01-24 | 2016-03-16 | 杭州神林电子有限公司 | Leakage inductive automatic stop valve |
CN104265985A (en) * | 2014-09-12 | 2015-01-07 | 沁园集团股份有限公司 | Float type mechanical anti-leakage device |
KR101957687B1 (en) * | 2016-09-08 | 2019-03-19 | 코웨이 주식회사 | Ice maker |
CN109827001A (en) * | 2019-03-29 | 2019-05-31 | 宿迁菡束环保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valve bod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18864U (en) * | 1991-11-19 | 1992-10-14 | 兰州市科学技术研究所科技服务部 | Liquid level control valve |
CN2135695Y (en) * | 1992-07-13 | 1993-06-09 | 潘友纲 | Automatic water storage valve |
CN2570559Y (en) * | 2002-06-06 | 2003-09-03 | 扬州开发区日利达有限公司 | Magnetic force controlled float valve |
CN201175268Y (en) * | 2008-03-04 | 2009-01-07 | 于乔治 | Cold-jacket inlet protection structure |
KR101019996B1 (en) * | 2008-11-21 | 2011-03-09 | 논산시 | The wireless water gauge that used a ball top valve |
-
2010
- 2010-10-05 KR KR1020100096925A patent/KR10123932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7-01 CN CN2011101836799A patent/CN102444746A/en active Pending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55668A (en) * | 2014-11-28 | 2015-03-25 | 东莞市友胜电子有限公司 | Floater type leakage prevention switch |
CN106763992A (en) * | 2016-12-15 | 2017-05-31 | 肖海涛 | Agricultural water conservation automatic irrigation valve |
CN108006276A (en) * | 2016-12-21 | 2018-05-08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For water purifier wastewater valve and there is its water purifier |
CN108006235A (en) * | 2016-12-21 | 2018-05-08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For water purifier wastewater valve and there is its water purifier |
WO2018194377A1 (en) * | 2017-04-20 | 2018-10-25 | (주)엠씨엠 | Opening/closing valve configured such that closed valve automatically switches to open state when leaked water is removed |
KR20180118017A (en) * | 2017-04-20 | 2018-10-30 | 주식회사 엠씨엠 | switching valve changed automatically opened st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9324B1 (en) | 2013-03-05 |
CN102444746A (en) | 201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9324B1 (en) |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using buoyancy | |
CN102844600B (en) | Latch valve and flow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 |
CN101258291A (en) |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device | |
US20180002902A1 (en) | Automatic fluid flow controlling device for stopping flow of running fluid | |
WO2017071225A1 (en) | Water flow controller and water flow control method | |
JP4390635B2 (en) | Negative pressure breaker for water supply equipment | |
JP2007187253A (en) | Exhaust valve | |
KR20030050370A (en) | a device for controlling quantity of water in tank | |
CN211341023U (en) | Water draining device | |
KR102152861B1 (en) | Water supply valve | |
CN208565672U (en) | A kind of automatic water tap inner spool holder structure | |
CN206320365U (en) | One-way throttle type magnetic valve | |
CN108644444B (en) | A kind of automatic water tap inner spool holder structure | |
US10899598B2 (en) | Flui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CN219331533U (en) | Liquid storage tank, clean base station and valve body assembly | |
KR102012269B1 (en) | Float Magnetic Valve that is shut off automatically when the valve is closed. | |
CN111924953A (en) | Plain water generator | |
JP2010249231A (en) | Exhaust valve | |
JP2002119590A (en) | Magnetic device for stopping liquid supply | |
JP4535345B2 (en) | Automatic stop nozzle and liquid feeder | |
KR102315066B1 (en) | A non-electric power water level adjuster | |
JP2015129541A (en) | Electromagnetic valve for water server | |
US20220362947A1 (en) | Portable Suction Device Carrier for Assembly Processes | |
US10615402B2 (en) | Battery water-refill plug | |
US8751051B2 (en) | Switch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