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450A -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450A
KR20180117450A KR1020170050582A KR20170050582A KR20180117450A KR 20180117450 A KR20180117450 A KR 20180117450A KR 1020170050582 A KR1020170050582 A KR 1020170050582A KR 20170050582 A KR20170050582 A KR 20170050582A KR 20180117450 A KR20180117450 A KR 2018011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piston
cylinder
beverage
espres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670B1 (ko
Inventor
윤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빈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to KR102017005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670B1/ko
Priority to CN201710338363.XA priority patent/CN108720600B/zh
Priority to CN201720538286.8U priority patent/CN207627090U/zh
Priority to PCT/KR2018/004470 priority patent/WO2018194355A1/ko
Publication of KR2018011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8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operated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바스켓 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 편리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PORTABLE BEVERAGE EXTRACTOR OF ESPRESSO METHOD}
본 발명은 음료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활동 시에는 차,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구입하여 음용하거나, 티백 또는 인스턴트 커피 등을 이용하여 음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 커피 등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원두커피 분말이나 찻잎 분말 등의 원재료를 구입하여, 개개인의 취향대로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방식에는 핸드 드립(Hand drip) 방식,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 방식 및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핸드 드립 방식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커피 제조 방식으로써, 깔때기 모양의 드립퍼(driper)에 여과지를 깔고, 원두커피 분말을 담은 다음 뜨거운 물을 원두커피 분말에 부어 드립퍼 아래에 위치된 용기로 흘러내리게 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방식이다. 또한, 에스프레소 머신 방식은 별도의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고, 프렌치 프레스 방식은 주사기와 같은 형태의 관 유리 용기 안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준 후, 금속 재질의 필터로 원두커피 분말을 가압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판매하는 가게에서는 간편하고 빠른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는 에스프레소 머신 방식을 많이 이용하지만, 에스프레소 머신의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개인이나 일반 가정의 경우에는 핸드 드립 방식이나 프렌치 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한다.
이때, 핸드 드립의 경우에는 물을 붓는 방법이나 물의 양 또는 커피를 만드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커피 맛이 달라지고 커피를 추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프렌치 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프렌치 프레스 방식의 커피 추출방식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리 용기 내에 원두커피 분말과 뜨거운 물을 붓고, 상부로부터 필터가 장착된 거름막을 삽입하여 원두커피 분말을 걸러내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프렌치 프레스 방식은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우러난 커피(물)와 원두커피 분말을 분리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거름망을 이용하는데, 사용자가 원두커피 분말을 눌러서 원두커피 분말과 커피(물)을 분리한 후 컵에 따라내어 음용하게 된다. 이러한 프렌치 프레스 방식은 비교적 커피를 빠르게 우려낼 수 있기 때문에 에스프레소에 근접한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프렌치 프레스 방식으로 추출한 에스프레소에는 근접하지만, 정통 방식에 따른 에스프레소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여기서, 에스프레소는 여러 종류의 커피를 즐기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커피를 의미하며, 에스프레소를 기본으로 하여 모든 커피들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에스프레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두커피 분말을 핸드 드립 커피에 사용되는 가루에 비해 3배 정도 곱게 그라인딩하는 과정, 가루로 만든 원두를 평평하게 다지는 탬퍼링 과정, 물과 탬퍼링된 커피 가루로부터 9 bar 정도의 압력을 이용하여 20초 내지 30초 안에 30mℓ 정도의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스프레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고,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스프레소 추출 머신이 있는 곳이 아니라면 에스프레소를 쉽게 접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에스프레소를 즐길 수 있는 장소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에스프레소 추출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에스프레소 추출기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랫대, 핸들 및 에어펌프 등과 같이 별도로 마련된 도구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높은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압력 상승을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압력을 상승시키더라도 에스프레소의 추출이 가능한 압력까지 도달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20-0480686호 (발명의 명칭: 휴대용 에스프레소 머신, 등록일: 2016.06.20.)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 커피 또는 각종 차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바스켓 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부; 를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실린더부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로의 인입 시 파스칼 원리에 의한 압력 상승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압력 상승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상승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경 대비 1.2 내지 2.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를 에워싸고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피스톤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은, 상기 피스톤부의 둘레를 에워싸는 실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끝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결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를 덮는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하우징은, 상기 피스톤부의 둘레를 에워싸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상부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필터가 안착되고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스켓 본체; 및 음료 추출 시 별도의 컵이나 용기에 대해 상기 바스켓과 결합된 실린더부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하부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샤워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는 상기 바스켓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상기 바스켓과 결합하고, 상기 샤워 스크린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샤워 스크린의 둘레에는 상기 실린더부, 상기 샤워 스크린 및 상기 바스켓 사이를 실링하는 개스킷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개방된 하측을 덥도록 상기 바스켓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음료 추출시 상기 바스켓을 통해 추출되는 음료가 담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컵이나 용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을 담을 때 사용되는 스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푼은 상기 캡이 상기 바스켓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음료를 추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 편리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기와 같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 적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는 적은힘으로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기 위한 각 부품들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 이하 '음료 추출기' 라 함)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부(110), 실린더부(11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스켓(140) 및 실린더부(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실린더부(110)에 수용된 물을 바스켓(140) 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부(1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린더부(1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내부 공간에 음료 추출을 위한 물이 수용된다. 예컨대, 음료 추출기(100)를 이용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음료가 커피 일 경우 내부에 90℃ 이상의 물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린더부(110)는 실린더 본체(112) 및 압력 상승 플랜지(114)를 포함한다. 실린더 본체(112)는 일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이때, 실린더 본체(112)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며, 실린더 본체(112)의 개방된 상측으로 후술할 플랜지부(120)가 인입되게 된다. 참고로,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에는 뜨거운 물이 담기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과 같이 열에 강하고 부식이 잘 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압력 상승 플랜지(114)는 실린더 본체(11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flange)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압력 상승 플랜지(114)는 실린더 본체(1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즉,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내경이 실린더 본체(1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피스톤부(120)로 인입됨에 따라 파스칼 원리(Pascal's principle) 에 의한 압력 상승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파스칼 원리는 단면적이 A1인 피스톤에 작용하는 작은 힘 F1에 의한 압력을 단면적이 A2인 큰 피스톤에 전달하는데, 이때 A1의 단면적을 가진 피스톤과 A2의 단면적을 가진 피스톤이 받는 압력을 동일하다는 이론이다.
한편, 다양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내경은 실린더 본체(112)의 내경 대비 1.2 내지 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린더 본체(112)의 내경이 30mm 로 형성되고,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내경이 50mm로 형성되었을 때 몸무게가 60kg ~ 70kg의 사람이 누르게 되면 9bar 정도의 압력이 발생되게 된다. 여기서 9bar는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한 적정 압력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실린더부(110)의 하단부 즉,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15)가 마련된다. 고정돌기(115)는 후술할 피스톤 하우징(130)의 결합 브라켓(134)에 형성된 고정홈(135)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압력 상승 플랜지(114)와 결합 브라켓(134)이 고정돌기(115)와 고정홈(135)에 의해 결합되게 되므로, 결론적으로 피스톤부(120) 및 피스톤 하우징(130)과 실린더부(110)가 고정 결합되게 된다. 이런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피스톤부(120)는 실린더부(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실린더부(110)에 수용된 물을 후술할 바스켓(140) 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피스톤부(120)는 피스톤(piston) 형태로 형성되어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참고로, 피스톤부(120)의 하단부 말단은 원추형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힘을 주어 피스톤부(120)를 실린더부(1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가압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피스톤부(120)의 하단부 말단에는 고무 재질이 부착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피스톤 하우징(130)을 더 포함한다. 피스톤 하우징(130)은 피스톤부(120)를 에워싸도록 마련된다. 이때, 피스톤 하우징(130)에는 피스톤부(120)의 상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피스톤 하우징(130)에 대해 피스톤부(120)가 고정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피스톤 하우징(130)의 상단부에는 '╋' 형태의 홈이 마련된다. 이때, 피스톤 하우징(130)을 덮도록 별도의 하우징 커버(131)가 마련되고, 하우징 커버(131)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131a)가 마련된다. 하우징 커버(131)의 일면에 마련된 돌출부재(131a)는 피스톤 하우징(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 형태의 홈의 일부에 끼워진다. 또한, 피스톤부(120)의 상단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릿(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21)은 피스톤 하우징(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 형태의 홈의 일부 즉, 하우징 커버(131)의 돌출부재(131a)가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끼워진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것과는 다르게, 하우징 커버(131)와 피스톤부(12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피스톤부(120)를 하우징 커버(131)에 대해 본딩(bonding) 및 융착 등을 방법을 통해 두 부재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피스톤 하우징(130)에 대해 피스톤부(12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피스톤 하우징(130)에 대해 피스톤부(12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하우징 커버(131)의 상면에는 음료 추출기(100) 소유자의 이름을 기재하거나, 회사의 로고(rogo) 등을 인쇄하여 음료 추출기(100)를 판촉물 등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하우징(130)은 하우징 본체(132) 및 결합 브라켓(134)을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32)는 피스톤부(120)의 둘레를 에워싸는 실린더(cylinder) 형상의 부재이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 본체(132)는 내부가 중공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피스톤부(120)가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 본체(132)에는 결합 브라켓(134)이 마련된다. 결합 브라켓(134)은 하우징 본체(132)의 하단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결합 브라켓(134)은 피스톤부(120)가 실린더부(110)의 내부로 끝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실린더부(110)의 하단부 즉, 상술한 압력 상승 플랜지(114)와 결합된다.
또한, 결합 브라켓(134)은 실린더부(110)의 하단부를 덮는 구조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피스톤부(120)가 실린더부(110) 즉,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인입되어 실린더 본체(112)의 상단부에 하단부까지 완전히 인입되면, 피스톤 하우징(130)도 실린더 본체(112)를 완전히 감싸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 본체(132)의 하단부에 마련된 결합 브라켓(134)은 실린더부(110)의 하단부 즉, 압력 상승 플랜지(114)를 덮게 된다.
한편, 결합 브라켓(134)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35)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브라켓(134)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3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5)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부(120)가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고 나면, 결합 브라켓(134)이 실린더부(110)의 압력 상승 플랜지(114)를 덮는다. 이때,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형성된 고정돌기(115)는 결합 브라켓(134)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35) 중에 어느 하나의 고정홈(135)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결국 실린더부(110)와 피스톤부(120) 및 피스톤 하우징(130)이 서로 단단하게 결합된다.
참고로, 결합 브라켓(134)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35)의 폭은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형성된 고정돌기(115)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피스톤부(120)가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인입될 때,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와 피스톤부(120) 사이에 압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압력에 의해 피스톤부(120)가 실린더 본체(112)에 대해 수직으로 인입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약간 회전되거나 움직여서 인입되기 때문이다. 만약, 결합 브라켓(134)의 고정홈(135)의 폭과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고정돌기(115)의 폭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경우에는 고정홈(135)에 고정돌기(115)를 맞춰 끼우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피스톤 하우징(130)에는 상부 핸들(136)이 형성된다. 상부 핸들(136)은 하우징 본체(132)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핸들(136)은 피스톤부(120)를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상부 핸들(136)은 사용자가 피스톤부(120)를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인입할 때 피스톤부(120) 및 피스톤 하우징(130)이 실린더부(110)와 완전히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부 핸들(136)에는 파지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파지홈(137)은 사용자가 상부 핸들(136)을 파지하여 누를 때, 사용자의 손가락 즉, 엄지 손가락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파지홈(137)은 상부 핸들(136)의 일단부를 곡면으로 마련하여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안착되어 상부 핸들(136)을 누르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스켓(140)은 실린더부(110)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바스켓(140)은 바스켓 본체(142) 및 하부 핸들(146)을 포함한다.
바스켓 본체(142)는 내부에 필터(170)가 안착되고 그 위에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된다. 바스켓 본체(142)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추출하고자 하는 음료에 따라 원두커피 분말, 찻잎 가루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바스켓 본체(142)에 안착되는 필터(170)는 금속 필터(metal filter) 또는 종이 필터(paper filter)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므로 금속 필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170)에는 상술한 실린더부(110)의 내부로부터 전달된 물이 브라켓 본체(142)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마련된다. 이때, 필터(170)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는 바스켓 본체(142)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수용되는 내용물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는 압력 상승 플랜지(114)와 결합되고,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는 후술할 캡(16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는 플랜지(flange) 형태로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압력 상승 플랜지(114)는 바스켓(140)의 상단부 즉,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를 수용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는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수용되어 나사 결합된다.
또한,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홈(147)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홈(147)에는 후술할 캡(1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7)가 끼워지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6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60)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에 반드시 돌기홈(147)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또한,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와 후술할 캡(160)은 돌기홈(147)과 결합돌기(167)를 통해 고정 결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캡(16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스켓(140)의 하단부에 별도의 컵 또는 용기(B)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압력 상승 플랜지(114)와 바스켓 본체(142) 상단부(141)의 나사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 바스켓(140)을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대해 회전시키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고정돌기(115)가 결합 브라켓(134)의 고정홈(135)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압력 상승 플랜지(114)와 결합 브라켓(134)은 물론이고 실린더부(110)와 피스톤 하우징(130)의 결합은 유지되고,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대해 바스켓(140) 만 분리되게 된다.
하부 핸들(146)은 음료 추출 시 별도의 컵이나 용기(B) 또는 후술할 캡(160)에 대해 바스켓(140)즉,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와 결합된 실린더부(110)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핸들(146)은 바스켓(140)의 반경 방향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컵이나 용기(B) 또는 캡(160)을 하부 핸들(146)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하부 핸들(146)의 하부에 위치된 컵이나 용기(B) 또는 캡(160)의 내부로 압력이 상승된 물 및 내용물을 통해 추출된 음료가 담기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핸들(146)은 상술한 상부 핸들(136)과 함께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여 편리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피스톤부(120)를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인입할 때, 피스톤부(120)가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로 어느 정도 인입되고 나면 상부 핸들(136)과 하부 핸들(146)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실린더 본체(112)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음료 추출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샤워 스크린(150)을 더 포함한다. 샤워 스크린(150)은 실린더부(110)의 하단부 즉,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내부에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샤워 스크린(150)은 압력 상승 플랜지(114)의 내부에 끼워져서 내용물이 담기는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샤워 스크린(150)은 바스켓 본체(142)에 담긴 내용물에 대해 물이 고루 분사되도록 하여 커피 또는 차가 바스켓 본체(142)에 담긴 내용물의 양만큼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샤워 스크린(150)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마련되며, 물이 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구멍 형태의 스크린홀(15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샤워 스크린(150)의 둘레에는 개스킷(gasket, 152)이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개스킷(152)은 샤워 스크린(15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실린더부(110)의 압력 상승 플랜지(114), 샤워 스크린(150) 및 바스켓(140)의 바스켓 본체(142) 사이를 실링(sealing) 한다. 이러한 개스킷(152)은 고무, 세라믹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스켓(140) 및 실린더부(11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캡(160)을 더 포함한다. 캡(160)은 추출될 음료가 담겨지는 컵(cup)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음료 추출기(100)의 미사용 시에는 음료 추출기(100)의 커버(cove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캡(160)은 바스켓(140)의 개방된 하측을 덮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캡(160)은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캡(160)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음료 추출 시 상단부에 위치된 바스켓(140)을 통해 음료가 담길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참고로, 캡(160)의 형태 및 크기는 변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가 컴팩트(compact) 한 사이즈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음료를 음용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30mℓ정도의 용량의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캡(160)이 꼭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될 음료가 담겨질 수 있도록 별도의 컵 또는 용기(B)가 바스켓(14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캡(16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67)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16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홈(147)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캡(160)은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결합되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결합 돌기(16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160)에는 후술할 스푼(spoon, 180)이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될 수 있는 단턱(162)이 형성된다. 스푼(170)은 바스켓(140)의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을 담을 때 사용된다. 이러한 스푼(18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 컵의 형태로 마련되며, 일측에는 사용자가 스푼(180)을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막대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푼(180)은 바스켓(140)의 내부에 담기는 내용물의 담거나 개량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탬핑(tamping)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탬핑은 에스프레소 커피의 추출 단계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포터필터(porter filter)에 담긴 원두커피의 분말의 표면을 반들반들하게 하고, 원두커피 분말 층 안에 있는 공극들을 제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는 스푼(180)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필요한 만큼의 원두커피 분말을 바스켓 본체(142)에 담고, 스푼(180)의 평평한 면을 이용하여 바스켓 본체(142)에 담긴 원두커피 분말을 평평하게 다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푼(180)은 음료 추출시에는 상기와 같이 이용되지만, 반대로 바스켓(140) 즉,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에 결합되어 음료를 추출하지 않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캡(160)의 내부에 형성된 단턱(162)에 수용되어 보관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참고로, 스푼(180)의 막대 형태의 손잡이 부분은 캡(160)의 일측에 형성된 스푼 안착홈(161)에 안착되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기(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음료 추출기(100)의 실린더부(110), 피스톤부(120), 피스톤 하우징(130), 바스켓(140), 샤워 스크린(150), 캡(160), 필터(170) 및 스푼(180)이 모두 분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료 추출기(100)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차와 같은 다른 음료를 추출할 수도 있다.
먼저, 바스켓(140)의 바스켓 본체(142)에 스푼(180)을 이용하여 추출하고자 하는 에스프레소의 원재료인 원두커피 분말을 담는다. 이때, 스푼(180)의 평평한 면을 이용하여 바스켓(140)에 담긴 원두커피 분말의 표면을 누른다.
그 다음, 실린더부(1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바스켓(140)을 결합시킨다. 다시 말해서, 실린더부(110)의 압력 상승 플랜지(114)에 바스켓 본체(142)의 상단부(141)를 끼운다. 이때, 바스켓(140)과 실린더부(110) 사이에 샤워 스크린(150)을 먼저 안착시킨 후에 바스켓(140)을 실린더부(110)에 결합시킨다.
그 다음,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에 바스켓 본체(142)에 담긴 원두커피 분말의 양에 대응되는 뜨거운 물을 담는다. 담기는 물의 양은 바스켓 본체(142)에 담긴 원두커피 분말의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실린더 본체(112)의 내부에 표시된 표시선(미도시)까지 물을 담을 수 있다. 이때, 실린더 본체(112)에 담기는 물의 양이 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 다음, 추출될 에스프레소가 담길 수 있도록 바스켓 본체(142)의 하단부(143)에 캡(160)을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용기(B)를 바스켓(140)의 하단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별도의 용기(B)의 상단부에 바스켓(130)의 하부 핸들(146)의 단부가 위치된다.
그 다음, 실린더부(110)의 상단에 피스톤부(120) 및 피스톤 하우징(130)을 끼운다.
그 다음, 도 4 및 도 6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피스톤 하우징(130)의 상부 핸들(136)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 여기서, 상부 핸들(136)을 눌러서 피스톤부(120)가 실린더부(110)의 실린더 본체(112) 내부로 어느 정도 인입되었을 경우에는 바스켓(140)의 하부 핸들(146)을 함께 파지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한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를 상부 핸들(136)에 형성된 파지홈(137)에 안착시키고 상부 핸들(136) 및 하부 핸들(146)을 함께 누르면 더욱 효과적으로 압력을 증폭시켜 바스켓 본체(140)에 담긴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커피 추출을 완료한 음료 추출기(100)의 실린더부(110), 피스톤부(120), 피스톤 하우징(130), 바스켓(140), 샤워 스크린(150), 캡(160) 및 스푼(180)을 세척한다. 세척이 완료되고 나면, 실린더부(110), 피스톤부(120), 피스톤 하우징(130), 샤워 스크린(150), 바스켓(140), 스푼(180) 및 캡(160) 순으로 체결시킨 후에 보관하거나 이동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는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 편리하게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는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기와 같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 적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100)는 높은 압력을 발생시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각 부품들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110: 실린더부 112: 실린더 본체
114: 압력 상승 플랜지 115: 고정돌기
120: 피스톤부 121: 슬릿
130: 피스톤 하우징 131: 하우징 커버
131a: 돌출부재 132: 하우징 본체
134: 결합 브라켓 135: 고정홈
136: 상부 핸들 137: 파지홈
140: 바스켓 141: 상단부
142: 바스켓 본체 143: 하단부
146: 하부 핸들 147: 돌기홈
150: 샤워 스크린 151: 스크린홀
152: 개스킷 160: 캡
161: 스푼 안착홈 162: 단턱
167: 결합돌기 170: 필터
180: 스푼

Claims (13)

  1.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실린더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바스켓 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피스톤부;
    를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로의 인입 시 파스칼 원리에 의한 압력 상승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압력 상승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상승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경 대비 1.2 내지 2.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를 에워싸고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피스톤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은,
    상기 피스톤부의 둘레를 에워싸는 실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끝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라켓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를 덮는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하우징은,
    상기 피스톤부의 둘레를 에워싸는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상부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필터가 안착되고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바스켓 본체; 및
    음료 추출 시 별도의 컵이나 용기에 대해 상기 바스켓과 결합된 실린더부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하부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샤워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는 상기 바스켓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구조로 상기 바스켓과 결합하고,
    상기 샤워 스크린은 상기 실린더부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샤워 스크린의 둘레에는 상기 실린더부, 상기 샤워 스크린 및 상기 바스켓 사이를 실링하는 개스킷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개방된 하측을 덥도록 상기 바스켓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음료 추출시 상기 바스켓을 통해 추출되는 음료가 담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컵이나 용기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음료 추출을 위한 내용물을 담을 때 사용되는 스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푼은 상기 캡이 상기 바스켓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음료를 추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캡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KR1020170050582A 2017-04-19 2017-04-19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KR10192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82A KR101926670B1 (ko) 2017-04-19 2017-04-19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CN201710338363.XA CN108720600B (zh) 2017-04-19 2017-05-15 意式浓咖啡型便携式饮料提取器
CN201720538286.8U CN207627090U (zh) 2017-04-19 2017-05-15 意式浓咖啡型便携式饮料提取器
PCT/KR2018/004470 WO2018194355A1 (ko) 2017-04-19 2018-04-18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82A KR101926670B1 (ko) 2017-04-19 2017-04-19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50A true KR20180117450A (ko) 2018-10-29
KR101926670B1 KR101926670B1 (ko) 2018-12-07

Family

ID=6286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582A KR101926670B1 (ko) 2017-04-19 2017-04-19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26670B1 (ko)
CN (2) CN108720600B (ko)
WO (1) WO20181943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77B1 (ko) * 2020-03-31 2020-09-04 고남석 커피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670B1 (ko) * 2017-04-19 2018-12-07 (주)빈스코프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CN109260954A (zh) * 2018-11-30 2019-01-25 张军毅 一种压力式样品提取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01992A0 (fi) * 1989-05-15 1990-04-20 Hag Ag Foerbaettrad kaffeburk.
US7849784B2 (en) * 2005-05-18 2010-12-14 Adler Alan J Coffee or tea filtering press
US20100098823A1 (en) * 2008-10-20 2010-04-22 Chris Nenov Portable electrical piston-driven espresso machine
WO2014092406A1 (ko) * 2012-12-10 2014-06-19 컨벡스코리아(주)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1536620B1 (ko) * 2012-12-26 2015-07-17 김철구 커피 머신
KR101610588B1 (ko) * 2015-04-07 2016-04-20 주식회사 애니프레소 커피 압출기
WO2017023101A2 (ko) * 2015-08-03 2017-02-09 주식회사 빈스코프 압력을 이용한 휴대용 음료 추출기
KR101703818B1 (ko) * 2016-07-13 2017-02-07 주식회사 휴김 핸드 에스프레소 머신
CN106175450A (zh) * 2016-08-26 2016-12-07 宁波胜诺电器有限公司 一种手持便携式胶囊咖啡机
CN106175456A (zh) * 2016-09-19 2016-12-07 韩健 一种便携式手动咖啡机
CN106419560B (zh) * 2016-11-30 2019-05-28 武汉工程大学 增压式便携咖啡萃取设备
KR101926670B1 (ko) * 2017-04-19 2018-12-07 (주)빈스코프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377B1 (ko) * 2020-03-31 2020-09-04 고남석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20600A (zh) 2018-11-02
CN207627090U (zh) 2018-07-20
KR101926670B1 (ko) 2018-12-07
WO2018194355A1 (ko) 2018-10-25
CN108720600B (zh)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3942B2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9010238B2 (en) Tea-maker having a closable pouring spout
KR101926670B1 (ko) 에스프레소 방식의 휴대용 음료 추출기
US20150282664A1 (en) Beverage pod press
US20110308399A1 (en) Receptacle device for holding coffee capusle
US11045036B2 (en) Beverage filtering system
EP1322211A2 (en)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US9060643B2 (en) Extraction device for immersion beverage primary liquid
KR101711415B1 (ko) 휴대용 압력식 음료 추출기
CN101703362B (zh) 双支架半自动浓缩咖啡机
CN204765083U (zh) 滴漏式咖啡壶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CN208799072U (zh) 咖啡研磨冲泡一体杯
CA2394105A1 (en) Filter with a fastening device for a coffee-making apparatus
US20200305632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KR101341852B1 (ko)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CN210673060U (zh) 冷泡器
KR20170016404A (ko) 휴대용 압력식 음료 추출기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US20220273128A1 (en) Flexible Pour-over Filter Apparatus
JP2010063510A (ja) 飲料抽出器
CN111317363A (zh) 冷泡器
CN203709716U (zh) 胶囊泡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