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369A -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369A
KR20180117369A KR1020170050373A KR20170050373A KR20180117369A KR 20180117369 A KR20180117369 A KR 20180117369A KR 1020170050373 A KR1020170050373 A KR 1020170050373A KR 20170050373 A KR20170050373 A KR 20170050373A KR 20180117369 A KR20180117369 A KR 2018011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pigment
pesticides
vegetables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575B1 (ko
Inventor
이광무
Original Assignee
이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무 filed Critical 이광무
Priority to KR102017005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57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to enhance the sticking of the active ingredient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이다. 특히, 색소가 첨가된 액상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농약 및 색소를 포함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농약 및 식용 색소를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분말의 농약과 색소를 물에 녹여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야채나 과일에 살포되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고,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 야채나 과일로부터 제거되어, 농약 조성물의 존재 여부가 육안으로 확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Agricultural 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pigments}
본 발명은 농약 조성물, 특히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약은 농산물이나 가축· 임산물 등을 해치는 병균과 해충을 없애거나, 동 · 식물을 보호하는 데 쓰이는 약이다. 살균제 · 제초제 · 살충제 · 생장 조절제 따위가 있다. 오늘날에는 생물 농약이라 하여 해충의 몸에 기생하여 해충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까지 농약에 포함한다.
실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농약의 조건으로는 적은 양으로도 효과가 확실하고, 약에 의한 피해가 없어야 하며, 가축이나 사람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한다. 또한, 해충의 천적이나 이로운 곤충류에 대한 피해가 없어한다. 그러나, 농약은 대부분 흰색 분말이고, 물에 타는 경우 무색 무취로 농약이 존재하는지를 구별할 수 없어서, 가축이나 사람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유기염소계인 엔도설판의 액제는 투명했지만 독한 냄새를 풍기므로 고의적이 아닌 이상 중독사고가 발생하진 않았다. 그러나, 흰색 분말인 농약의 경우 밀가루와 혼동하여 농약 부침개 등 사고가 문제시 되자 농약 분말에 색소를 섞어, 밀가루 등과 식용분말과 구분할 수 있는 회색 분말로 구성하였다.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hE)를 이용하여 과일과 채소의 잔류 살충제를 검출하는 방법하는 방법으로서 에 관한 것으로, 꿀벌의 AChE를 이용한 SBPR(simple bioassay for pesticide residues)에 의해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잔류 살충제를 검출함으로써 잔류물에 오염된 과일과 채소의 시판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장고풍, 농약의 종류와 잔류독성, http://poiema.or.kr/xeboard/257852011.04.29, 특허출원 제2004-0002416호
농약은 우리가 섭취하는 과일, 곡물 또는 채소가 병충해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사용하는 것으로 사람이나 가축 등 동물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 농약을 제거하지 않은 과일, 곡물, 채소 등을 사람이 섭취하게 되면 인체에 해를 미칠 수 있고 가축의 사료로 사용할 때에도 농약이 묻은 식물을 먹이게 되면 가축에게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농약에는 반감기가 있어서 약제를 살포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2차 중독의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하지만, 이 반감기라는게 한번 살포한 기준으로 측정하는 것이라 농업 특성상 2차, 3차 살포가 이루어 졌을 때 과연 그 측정결과가 적용 될 수 있는지에도 의문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과일, 채소, 곡물 등 사람이 먹는 부분이나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는 풀에 액체(농약 수용액)로 살포하는 농약에 색소를 첨가함으로써 사람의 육안으로 농약이 묻어있는 것을 확인하게 하여 과일이나 채소를 닦아 먹을 때 이 색소가 첨가된 농약이 잘 씻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고 농약이 묻은 식물을 동물의 사료로 사용하는데 기준을 삼음으로써 농약에 의한 사람이나 가축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이다. 특히, 색소가 첨가된 액상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농약 및 색소를 포함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농약 및 식용 색소를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분말의 농약과 색소를 물에 녹여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야채나 과일에 살포되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고,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 야채나 과일로부터 제거되어, 농약 조성물의 존재 여부가 육안으로 확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 농약 조성물은 농약과 색소 분말의 무게 비가 1 : 1 내지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상 농약 조성물은 색소의 입자 크기는 10 nm 내지 3㎛, 바람직하게는 50 nm 내지 2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상 농약 조성물은 농약이 살충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제초제, 살비제, 살선충제, 살서제, 또는 식물생장조절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액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상 농약 조성물은 증량제 또는 전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색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색소는 용액이 아니라 미세한 분말로 사용되며, 페인트와 인쇄용 잉크 및 플라스틱에 사용된다. 색소는 유기 또는 무기 물질로 유기색소는 일반적으로 무기색소에 비해 색이 선명하고 수명이 길다. 천연원료에서 추출한 색소는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왔지만,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색소는 합성된 것이다. 합성 유기 색소는 콜타르와 여러 석유화학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무기색소는 주로 산화반응과 같은 비교적 단순한 화학반응을 통해 만들어지거나 토류(土類)로 천연에서 산출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에 첨가되는 색소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지니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 식용 색소를 사용하면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합성색소를 사용하더라도 식용 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일정 기간, 바람직하게는 6개월 내지 1년동안 햇빛에 의하여 변색이 심하게 발생해서는 안 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햇빛에 의하여 탈색하거나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푸른 채소나 여러 가지 색을 띠는 과일 같은 경우에는 보색효과가 뚜렷한 색소를 사용하고 키위와 같은 흙색 과일의 경우 초록색 색소를 사용하면 농장 등 사용 현장에서 혐오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농약을 액체로 도포할 경우 농약에는 계면활성제 또는 전착제처럼 농약이 식물에 쉽게 부착하도록 하는 약제가 포함되어 있어 색소가 농약과 비슷할 정도로 식물에 접착되어 있을 정도만 되면 된다. 농약보다 색소의 점착력이 조금 좋아도 오히려 완벽한 세척을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5) 색소가 과일, 채소, 곡물에 붙어 표면이나 내부로 이염(移染)이 되지 않아야 한다. 보통 우리가 먹는 채소, 과일, 곡물 등은 표면에 큐티큘라층이 있어 색소가 과일, 채소, 곡물 표면이나 내부로 이염이 잘 발생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색소가 침투한다면 농약도 침투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세척을 한다면 오히려 농약의 침투에 의한 피해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6) 색소가 첨가된 농약에 색소의 양이 너무 많게 되면 색소에 의하여 광합성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색소의 양을 적정화하여 광합성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육안으로 묻어 있는 것을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색소의 적정량은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을 살포하는 대상 작물에 따라, 특히 작물의 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정량은 농약 분말 무게와 색소 분말 무게의 비가 1 : 1 내지 10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내지 1 : 7, 또는 1 : 3 내지 1 : 5일 수 있다.
7) 색소가 고르게 살포되기 위해서는 액체 농약 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분산성이 좋아야 한다. 따라서 색소의 입자가 너무 굵으면 가라앉게 되어 안되며 너무 입자가 작아도 색소 입자간 응집력에 의하여 뭉칠 수 있으므로 색소 입자의 크기도 알맞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생산되는 식용 색소는 음식에 잘 섞여야 하므로 입자가 매우 작지만 응집할 정도의 크기는 아니다. 따라서 색소의 크기는 대략 10 nm 내지 3㎛, 바람직하게는 50 nm 내지 2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 ㎛이며, 농약 분말로 사용되는 농약의 입자 크기와 비슷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농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약을 사용할 수 있다.
농약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분류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나누어질 수 있다. 즉 대상목적에 따라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등으로, 화학성분에 따라서는 유기인계, 유기염소계, 카바메이트계, 피레트로이드계, 페녹시계 농약 등으로, 제형에 따라서는 유제, 수화제, 액제, 수용제, 분제, 입제, 훈연제 등으로 표현된다. 생태학적 독성기준에 따라서는 세계보건기구에서 맹독성, 고독성, 보통독성, 저독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 체계는 유동적인 것으로 새로운 기능과 형태의 변화에 따라 분류가 변화 될 수 있다. 다양하고 많은 농약들 중 건강과 관련되어 그 동안 주로 연구되어온 농약은 합성유기농약으로서의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등을 의미한다.
농약의 분류
가. 대상목적(Functional class)
살충제 (insecticide), 살균제 (fungicide), 제초제 (herbicide), 살비제 (acaricide), 살선충제 (nematocide), 살서제 (rodenticide), 식물생장조절제 (plant growth regulator)
나. 화학성분(Chemical class)
무기농약 (무기황제, 비소제 등), 천연유기농약 (담배의 니코틴 등), 유기합성농약 (organophosphorous, organochlorine, phenoxy, carbamate, pyrethroid, triazine 등)
다. 제형(Formulation)
유제 (emulsifiable concentrate), 수화제 (wettable powder), 액제 (soluble concentrate), 수용제 (water soluble powder), 분제 (dustable powder), 입제 (granule), 연무제 (aerosol), 훈연제 (smoking generator)
라. 독성(Toxicity, WHO)
맹독성 (Ia), 고독성 (Ib), 보통독성 (II), 저독성 (III), 미독성 (U)
본 발명은 위의 분류 중에서 다항의 제형에 따른 분류에서 액체로 사용되며 과일, 채소, 곡물 등 우리가 직접 먹는 부분에 살포되는 농약 모두를 포함하며 가항, 나항, 라항 모두를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이다.
농약 [農藥, pesticide] 은 농작물의 재배·저장 중 발생한 병·해충·잡초를 방제하는 데 사용하는 화학농약 및 생물농약,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생장조정제, 약효를 증진시키는 보조제 등의 총칭한다. 넓은 의미에서 농약은 비료까지도 포함시키며 토양소독으로부터 종자소독, 발아에서 결실, 저장에 이르기까지 농업경영상 동식물에 의한 피해를 막는 데 쓰이는 모든 약제를 말한다.
농약의 작용효과에 따라 식물진균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殺菌劑), 식물세균병 방제를 위한 살세균제(殺細菌劑), 해충방제용 살충제(殺蟲劑), 응애방제용 살비제(殺·劑), 선충을 죽이는 살선충제(殺線蟲劑), 잡초를 죽이는 제초제(除草劑), 쥐를 죽이는 살서제(殺鼠劑)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농약은 분제(粉劑)·입제(粒劑) ·액제(液劑) ·훈증제(燻蒸劑)·훈연제(燻煙劑) ·연무제(煙霧劑) 등으로 조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입제는 과립 형태로 된 농약제, 분제는 분말 형태로 된 농약제, 수화제는 물에 타서 뿌리는 불수용성 농약제, 수용제는 물에 녹여서 뿌리는 수용성 농약제, 액제는 액체 형태로 된 농약제, 기화제는 기체 형태로 살포하는 농약제, 분사제는 에프킬라 형태로 뿌리는 농약제, 훈증제는 약 성분을 공기 중으로 퍼뜨리는 농약제로서 창고 등 밀폐된 장소에서 주로 쓰이며, 훈연제는 연막 형태로 뿌리는 농약제, 도포제는 연고, 파스처럼 바르거나 부착하는 식으로 사용되는 농약제를 포함한다.
살균제 [殺菌劑, germicide]는 넓은 의미에서 미생물을 살상시키거나 생장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지닌 농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감염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페놀수·크레졸수·승홍수(昇汞水)·클로르칼크 ·포르말린 외에 가정용으로 알려진 알코올 ·크레졸비누액 ·과산화수소수 등의 소독제가 있다. 또한 항균성(抗菌性)이 있는 항생물질도 여기에 포함된다. 좁은 의미의 살균제로는 진균(眞菌), 이른바 곰팡이를 살상시키는 약제를 말하며 무좀과 같은 피부병을 치료하는 의학용 살균제와 식물에 격심한 피해를 주는 진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약, 즉 농업용 살균제가 주가 되고 있다. 살균제는 작물재배 중 식물체에 살포하거나 그 밖의 종자 ·토양 등에 처리된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살균제는 예방효과가 있는 보호살균제(protectant fungicide)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분제 ·액제로서 식물체에 살포한다. 이러한 살균제는 식물 큐티쿨라를 침투하지 못하며 식물체 내에 이동되지 않으나,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보호적 효과뿐만 아니라 치료적 효과가 뚜렷한 침투성 살균제(systemic fungicide)는 뿌리 ·잎 ·종자를 통하여 흡수, 식물체 내로 이동한다.
살균제의 작용기구에 따라 직접(eradicant) ·보호적(protectant) ·치료적(curative) 살균제로 구별된다. 그러나 살균제를 효과에 따라 엄격하게 구별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화학구조별로 나눌 수 있다.
① 무기살균제: 보르도액 ·석회황합제 등이 있으나 약해가 있고 잔류문제 때문에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② 유기수은제: 한국에서는 1954년 이후부터 주로 벼 도열병의 방제용으로 ·세례산·이 사용되었으나, 잔류독성문제로 1972년부터 종자소독용으로만 쓰이다가 1977년 12월 이후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③ 디티오카르바메이트:본래 고무의 경화제로서 개발되었던 것으로 살균효과가 발견되면서 순수한 유기합성 살균제의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이 살균제는 약효가 넓고 구리, 황제제와 비교하여 식물에 친화성이 좋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과수 ·화훼 ·채소 재배에서 잎에 반점을 형성하는 여러 병방제에 사용된다. 다이센엠 45 ·지네브 ·마네브 ·안트라콜(propineb) ·지오람 등이 있다.
④ 프탈라마이드제:작물에 약해가 적고 좋은 약효를 나타내며 캡탄, 캡티폴(디폴라탄), 폴펫 등이 여기에 속한다.
⑤ 벤디미다졸제:베노밀(벤레이트)이 1967년 침투성 살균제로 개발된 이후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티오판에이트에틸(톱신) 등이 이에 속하며 잎면살포제 ·종자소독제 ·토양소독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⑥ 트리아졸제:최근에 널리 사용하는 침투성 살균제로 트리아디메폰(바리톤) ·트리시크라졸(빔) 등이 있어 흰가루병 ·녹병 ·도열병 방제에 유효하다.
⑦ 기타 유기살균제:메탈락실(리도밀)은 예방효과 ·치료작용 ·침투이행작용이 좋아 노균병 ·역병방제에 효과가 뚜렷하다. 다찌가렌(hymexazol) ·키타진(IBP), 히노산(edifenphos) ·후지왕(isoprothiolane) 등이 벼재배에 사용되고 있다.
⑧ 농용항생제:방선균과 같은 토양미생물에서 생성된 항생물질이 작물재배에 사용되고 있다. 스트렙토마이신 ·시크로헥사마이드 ·블라스티시딘 S ·카수가마이신 ·폴리옥신 ·발리다마이신 등이 있다.
살비제 [acaricide]는 응애류를 선택적으로 살상시키는 약제이다. 채소 ·과수 ·화훼 재배에서 곤충에 못지않게 큰 피해를 주는 응애류 방제에 유기합성 살충제는 크게 기여하였다. 파라티온 ·말라티온 ·EPN 등의 유기인 살충제는 응애의 성충에 대해 살충력은 있으나 살란력(殺卵方)은 거의 없어 살비제로서 실용성이 낮다.
살비제 중에는 곤충류에 대해 살충력이 있는 것도 있으나 응애류에 대해서만 선택적인 살비력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살비제가 지녀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성충 ·유충뿐만 아니라 알에 대해서 효과가 커야 한다.
② 응애의 발생기간이 길기 때문에 잔존 실효성이 길어야 한다.
③ 응애류에만 선택적 효과가 있어야 한다.
④ 여러 응애에 대해 효과가 좋아야 한다.
⑤ 작물에 대해 약해가 없어야 한다.
응애류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살비제로는 켈탄(dicotol) ·테디온(tedion:tetraditon) ·살비(chlorofenson) ·에이카롤(bromopropylate) ·모레스탄(chinomethionat) ·페로팔(azocyclotin) 등이 있다.
살선충제 [殺線蟲劑, nematocide]는 토양 또는 식물체 내에 기생하는 선충을 죽이는 약제를 말한다. 1930년 이후부터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선충류에 주목을 끌게 되어 살선충제의 살포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근년에 채소, 관상식물, 묘목 등의 집약재배에서 연작과 단일작물 재배는 지난 수년 동안 토양을 선충으로 감염시켜 살선충제 살포가 강조되고 있다.
파라치온 ·메타시스톡스 등의 유기인제는 벼, 심고선충(心枯線蟲)과 같은 작물의 지상부에 기생하는 선충에 유효할 뿐이고, 피해가 가장 심한 뿌리혹선충 ·뿌리썩이선충 ·시스트선충 등에는 클로로피크린 ·메칠브로마이드 등의 토양훈증제가 유효하나 독성이 강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 다른 살선충제로는 디-디제 ·다조메트 ·카밤 ·에토프 ·타보 ·프리미 등이 토양선충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살서제 [殺鼠劑, rodenticide]는 농림업상 해를 주는 쥐 ·두더지 및 그 밖의 설치류를 방제할 목적으로 쓰이는 약제이다. 쥐약이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농약으로 취급하지 않고 보건약제로 취급하고 있다. 살서제는 그 독작용에 따라 급성적인 것과 만성적인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급성적인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급성적인 독작용을 나타내는 것에는 아비산제 ·바륨제 ·유기불소제 ·인화아연 등이 있고, 만성적인 독작용을 나타내는 것에는 쿠마린(coumarin)계 살서제인 와르파린(Warfarin) ·토모린(Tomorin) 등이 있다. 급성적인 독작용을 나타내는 약제에도 속효성인 것과 지효성인 것이 있는데 프라톨은 속효성이고 황린제(黃燐劑)는 지효성 살서제에 속한다.
농약으로 사용하려면 다음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① 소량으로써 약효가 커야 한다. ② 농작물에 대한 약해(藥害)가 없어야 한다. ③ 사람 ·가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한다. ④ 농생태계(農生態界)에 대한 부작용이 적어야 한다. ⑤ 농약값과 살포비용이 저렴해야 한다.
농약은 적은 양만이 순수한 유효성분으로 되어 있고 농약의 생물적 효과를 가장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농약의 유효성분과 보조제를 혼합한다. 보조제는 증량제(增量劑)와 전착제(展着劑)로 세분한다. 농약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보조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증량제 [增量齊, diluent]
농약의 제제형태 중 주제(主劑)의 희석 또는 주제의 약효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로서, 현재 증량제로 사용되는 것은 주로 광물성 증량제로 규조토 ·고령토 ·탤크(talc:滑石)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이다.
전착제 [展着劑, spreader]
농약 중 에멀션[乳化劑]·수화제(水和劑)·액제를 첨가하여 살포액의 물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작용은 살포액을 대상으로 하는 작물이나 병해충의 표면에 균일하게 퍼지고(濕展性), 잘 붙어(附着性), 풍우에도 유실하지 않는 성질(固着性)이나 살포액에 침투성을 부가하여 약제를 작물의 조직 내에 침투시키는 성질(浸透性)을 증강시키는 일이다. 전착레로는 비누·카세인석회·중성세제(soapless soap)·비해리성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야채나 과일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거된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흐르는 물로 세척하여 야채나 과일로부터 제거된다. 최근 사용되는 농약들은 물에 잘 씻기고, 햇빛에 자연분해 된다. 국내산 과일이나 채소류는 손으로 잘 문질러가며 흐르는 물과 고인 물에 충분히 씻어주기만 해도 크게 문제는 없다. 과일이나 야채의 종류에 따라 1분에서 5분정도 물에 담가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소금물이나 식초물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금물에 20분 담근 후, 흐르는 물에 씻고 약한 식초물로 행구거나 천연 식초물에 20분간 담근후에 다시 흐르는 물에서 씻으면 농약등 해로운 유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 과일 껍질에 남아 잇는 왁스 성분은 소주를 약간 묻힌 솜으로 닦아서 제거할 수 있다.
레몬, 오렌지 같은 수입하는 과일은 표면의 왁스나 제거할 수 있지, 소금이나 식초만으로는 제거하기 힘들다. 레몬처럼 껍질의 겉부분을 사용하는 과일은 농약섭취를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다만 요즘은 이런 경우를 위해 따로 과일이나 채소를 씻을 때 쓰는 세척제가 따로 판매되고 있고, 쌀뜨물발효액에 자몽씨추출물, 소주나 식초 등을 섞어서 직접 세척제를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색소가 첨가된 액체 농약을 우리가 먹는 채소, 곡물, 과일에 살포하게 되면 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색소가 첨가된 농약이 묻어 있는 채소, 곡물, 과일 등을 깨끗이 씻어 먹는다면 농약이 완전히 제거된 안전한 먹거리라고 여길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렇게 색소가 포함된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한 채소, 곡물, 과일 등을 사용하는 식당에서는 고객을 위하여 더욱 철저히 씻게 되어 식당에서 안심하고 채소, 과일, 곡물을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채소, 곡물, 과일 등을 재배하는 업체나 농가에서 색소가 첨가된 농약이 묻어있는 것을 깨끗이 세척하여 판매한다면 세척에 대한 추가 이윤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는 가정이나 식당, 기업에서는 농약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에 들어가는 시간 및 노동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렇게 색소가 첨가된 액체 농약으로 채소, 곡물, 과일에 살포하게 되면 유기농 농산물과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도 1: 2,000 : 1로 물에 희석된 농약
도 2: 색소가 1 : 1 (농약 : 색소) 첨가된 농약
도 3: 색소가 1 : 10 (농약 : 색소) 첨가된 농약
도 4: 깻잎에 1 : 5 (농약 : 색소)의 색소농도로 20회 뿌린 모습
도 5: 양배추에 1 : 5 (농약 : 색소)의 농도로 10회 뿌린 모습
도 6: 양배추에 1 : 5 (농약 : 색소)의 농도로 20회 뿌린 후 건조된 모습
도 7: 10초 동안 색소가 묻은 양배추를 수세한 모습
도 8: 50초 동안 색소가 묻은 양배추를 수세한 모습
도 9: 배추와 양배추에 1 : 10 (농약 : 색소)의 농도로 20회 뿌린 후 건조된 모습
도 10: 20초 동안 색소가 묻은 배추를 수세한 모습
도 11: 20초 동안 색소가 묻은 양배추를 수세한 모습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분말의 농약과 색소를 물에 녹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사용된 농약은 동부팜한농(주)에서 만든 살충제(상품명 : 코니도)로써, 희석배수 2,000배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물과 농약의 비율을 2,000 : 1로 하여 농약을 도 1과 같이 제조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희석된 농약은 무색이었다. 위와 같이 제조된 농약에 천연 식용 색소((주)밀양한천, 블랙 칼라)를 농약 파우더와 무게비로 1 : 1, 1 : 2, 1 : 3, 1 : 4, 1 : 5, 1 : 7.5, 1 : 10 등 7가지를 만들었다. 검은 색의 천연 식용 색소의 무게비가 높아질수록 농약의 색이 진해짐을 알 수 있다.
색소가 첨가된 농약을 뿌릴 채소는 양배추와 깻잎 두 가지로 정하여 실험하였다.
색소가 첨가된 농약을 뿌리는 것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스프레이를 사용하였으며 스프레이 뿌리는 횟수를 5회, 10회, 15회, 20회로 하였다. 깻잎의 경우 깻잎의 초록색 색깔이 진하여 색소의 농도를 1 : 5로 하여 20회 스프레이하였으나 색소의 색이 구분이 되지 않아 (도 4) 양배추만 실시하였다.
양배추의 경우 낮은 색소의 첨가에서도 색소가 양배추에 묻어 있는 표시가 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5 및 도 6). 스프레이 횟수가 증가할수록 또한 색소의 농도가 커질수록 채소에 색소가 선명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이 색소가 첨가된 농약을 채소에 스프레이하고 건조한 후 세척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1:10 농도로 20회 뿌린 양배추 및 배추를 세척 시간을 변수로 두어 실험하였으며 흐르는 물은 일정 수압으로 하여 5초, 10초, 20초, 30초, 40초, 50초로 세척하였다.
세척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양배추 표면에 묻은 색소가 잘 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8) 색소가 묻은 농약을 사용하면 위의 도면과 같이 기존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농약의 세척 정도를 쉽게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추와 양배추에 동일하게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을 살포한 후, 모두 20초씩 세척을 하였지만 배추의 경우 표면에 주름이 많아 세척이 양배추보다 훨씬 덜 되었다. (도 9, 도 10 및 도 11) 이 것은 세척해야 할 채소, 과일, 곡물 등의 표면 조건이 세척의 정도를 달리하여야 농약이 제거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차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농약이 완전히 제거된 채소, 과일, 곡물이 먹기에 안전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채소 등에는 큐티큘라 층이 있어 색소가 식물 속으로 잘 들어가지 않지만 잘린 부분은 조금의 이염성을 보이고 있다. (도 7 및 도 8) 이렇게 이염이 되었다면 거기에도 농약이 확산되었을 것이므로 이염된 부분을 완벽하게 세척하던지 제거하고 먹는 것이 농약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사람의 육안으로 농약이 묻어있는 것을 확인하게 하여 과일이나 채소를 닦아 먹을 때 이 색소가 첨가된 농약이 잘 씻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고 농약이 묻은 식물을 동물의 사료로 사용하는데 기준을 삼음으로써 농약에 의한 사람이나 가축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농약 및 색소를 포함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식용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과 색소의 분말의 무게 비가 1 : 1 내지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의 입자 크기는 100 nm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은 살충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제초제, 살비제, 살선충제, 살서제, 또는 식물생장조절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액상 농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증량제 또는 전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농약 조성물.
KR1020170050373A 2017-04-19 2017-04-19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KR101950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73A KR101950575B1 (ko) 2017-04-19 2017-04-19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73A KR101950575B1 (ko) 2017-04-19 2017-04-19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69A true KR20180117369A (ko) 2018-10-29
KR101950575B1 KR101950575B1 (ko) 2019-02-21

Family

ID=6410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73A KR101950575B1 (ko) 2017-04-19 2017-04-19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5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242A (en) * 1973-07-13 1976-01-27 Procid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lored maneb
JPS5933202A (ja) * 1982-08-20 1984-02-23 Asahi Chem Ind Co Ltd 着色した農薬組成物
JPH09296126A (ja) * 1996-04-30 1997-11-18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農薬着色用易分散性顔料
KR100193027B1 (ko) * 1990-11-28 1999-06-15 오시따 도시아끼 포옴상 제초제 조성물 및 그 적용방법
KR101008308B1 (ko) * 2010-03-25 2011-01-14 (주)이지플렉스 조류 퇴치용 조성물
KR101104357B1 (ko) * 2010-02-09 2012-01-16 주식회사락희제약 살서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6133011A1 (ja) * 2015-02-17 2016-08-25 日本曹達株式会社 農薬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242A (en) * 1973-07-13 1976-01-27 Procid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lored maneb
JPS5933202A (ja) * 1982-08-20 1984-02-23 Asahi Chem Ind Co Ltd 着色した農薬組成物
KR100193027B1 (ko) * 1990-11-28 1999-06-15 오시따 도시아끼 포옴상 제초제 조성물 및 그 적용방법
JPH09296126A (ja) * 1996-04-30 1997-11-18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農薬着色用易分散性顔料
KR101104357B1 (ko) * 2010-02-09 2012-01-16 주식회사락희제약 살서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08308B1 (ko) * 2010-03-25 2011-01-14 (주)이지플렉스 조류 퇴치용 조성물
WO2016133011A1 (ja) * 2015-02-17 2016-08-25 日本曹達株式会社 農薬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고풍, 농약의 종류와 잔류독성, http://poiema.or.kr/xeboard/257852011.04.29, 특허출원 제2004-000241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575B1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ai Weed management
US9572348B2 (en) Combination animal repellents
AU2004241797B2 (en) Insect repellent
Libs et al. Formulation of essential oil pesticides technology and their application
CN107920513A (zh) 含有百里香酚或香芹酚、表面活性剂和溶剂的用于控制害虫或调节植物生长的水性组合物
Peck et al. Integrated and organic fruit production systems for ‘Liberty’apple in the Northeast United States: a systems-based evaluation
CN104604938A (zh) 一种杀菌剂组合物及其用途
Fleming Integrating control of the Japanese beetle: a historical review
Hollingsworth et al. Caffeine as a novel toxicant for slugs and snails
Manisankar et al. Recent trends in chemical weed management: A review
Salem et al. Semi-field evaluation of some natural clean insecticides from essential oils on armored and soft scale insects (Homoptera: Diaspididae and Coccidae) infesting mango plants
Sarwar et al. Success stories of eco-friendly organically acceptable insecticides as natural products discovery
KR101882678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 및 효과증진제를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Ambarish et al. Phytotoxicity and their bio-efficacy of pesticides against key insect pests of Rabi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Bird et al. Insect, disease and nematode control for commercial vegetables
Fogel Insect mycophagy: a preliminary bibliography
KR101950575B1 (ko) 색소가 첨가된 농약 조성물
CN102265871A (zh) 一种含灭草松与2,4-二氯苯氧乙酸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US20060258535A1 (en) Method of using sodium carbonate peroxyhydrate as an herbicide
CN101341877B (zh) 一种鱼藤酮、拟除虫菊酯与辛硫磷混配的农药制剂
Wandiga et al. Pesiticdes in Kenya
CN103988843B (zh) 一种杀菌组合物
Mahindru Food contaminants-Origin, propagation & analysis
CN103999870B (zh) 一种杀菌组合物
CN102027940B (zh) 一种含吡氟草胺与精恶唑禾草灵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