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125A -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 Google Patents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125A
KR20180117125A KR1020187026797A KR20187026797A KR20180117125A KR 20180117125 A KR20180117125 A KR 20180117125A KR 1020187026797 A KR1020187026797 A KR 1020187026797A KR 20187026797 A KR20187026797 A KR 20187026797A KR 20180117125 A KR20180117125 A KR 20180117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ystem
speaker
hollow space
sound wav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377B1 (ko
Inventor
안드레아 루스코니 크레리치 벨트라미
펠루치오 보트토니
Original Assignee
유사운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사운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유사운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8011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8Communication systems, e.g. where useful sound is kept and noise is cancelled
    • G10K2210/1081Earphones, e.g. for telephones, ear protectors or headse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9Geometry of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04R1/34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for obtaining a phase-shift between the front and back acoustic wa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2)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하기 위한 캐리어 부재(4)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목표한 귀의 귀 개구(22)의 방향으로 향하는 기본 개구(11, 12, 1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26, 27, 28)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공간(26, 27, 28)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 6, 7)를 가지며, 상기 중공 공간의 캐비티(14, 15, 16)는 제1 중공 공간 영역(29)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해 제1 음파(35)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 배치된 귀 방향으로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시스템(2)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은 제1 중공 공간 영역(29)에 배치되는 보조 개구(17, 18, 19)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제2 음파(36)가 상기 스피커(5, 6, 7)에 의해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변 영역을 향하여 상기 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지향되며, 상기 제2 음파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2)에 의해 상기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가 감소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35)와 위상에서 오프셋 된다.

Description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본 발명은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하기 위한 캐리어 부재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 부재가 목표한대로 배치될 때 목표한 귀의 귀 개구의 방향으로 향하는 기본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고, 중공 공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가지며, 상기 중공 공간의 캐비티는 상기 캐리어 부재의 제1 중공 공간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공간을 통해 제1 음파가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된 귀 공간 방향으로 상기 기본 개구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아이웨어(eyewear), 특히 데이터 안경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및 음향 사운드 가이드 요소를 포함하는 아이웨어가 미국 특허 제 2014/0270316 A1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웨어를 통해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가 사용자의 귀 개구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가이드 요소는 아이웨어의 이어피스(earpiece)에서 사용자의 귀 개구까지 연장된다. 이 경우의 단점은 상기 귀 개구에 상기 사운드 가이드 요소의 직접 배치가 주변 소리를 약화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이 상기 귀 개구에 또는 상기 귀 개구 내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방해가 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정보가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들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상태로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주변 소리가 감쇄되지 않으며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과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고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아이웨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2)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하기 위한 캐리어 부재(4)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목표한 귀의 귀 개구(22)의 방향으로 향하는 기본 개구(11, 12, 1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26, 27, 28)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 6, 7)를 가지며, 상기 중공 공간의 캐비티(14, 15, 16)는 제1 중공 공간 영역(29)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공간에 의해 제1 음파(35)가 상기 개구(11, 12, 13)로부터 이격 배치된 귀 방향으로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은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29)에 배치되는 보조 개구(17, 18, 19)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개구는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제2 음파(36)가 상기 스피커(5, 6, 7)에 의해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주변 영역을 향하여 상기 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제2 음파(36)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2)에 의해 상기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의 볼륨이 감소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35)와 위상에서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개구(11, 12, 13) 및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는 상기 캐리어 부재(4)의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다른 면(20, 21)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들은 서로 90° 이상 180°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음향 빔 형성을 위한 제어 유닛(2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스피커(5, 6, 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부재(4)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 6, 7)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35)가 상기 귀 개구(22)의 영역에 집중될 수 있고, 상기 제2 음파(36)가 상기 제1 음파(35)에 대해 실질적으로 180°의 위상 오프셋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5, 6, 7)는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로 안내하고 제2 중공 공간 영역(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8, 9,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 부재(4)는 서로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이 구현되는 두 개의 하우징부(31, 32)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5, 6, 7)는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 중 하나에 구현되는 장착 리세스(33)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중공 공간 영역(29, 30)은 상기 영역들(29, 3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스피커(5, 6, 7)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실링 부재(34)에 의해 서로 봉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 부재(34)는 프레임으로서 구현되고 상기 스피커, 특히 상기 장착 리세스(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스피커의 단부면과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31, 32) 중 하나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5, 6, 7)는 저음 또는 고음 스피커로 구현되고 스트로크 축(37)을 따라 변위 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스(MEMS) 스피커(5, 6, 7)이고, 상기 기본 개구(11, 12, 13) 및/또는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는 상기 스트로크 축에 대해, 특히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적어도 두 개의 고음 스피커(5, 6)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의 기본 개구(11, 12)는 서로, 특히 1cm 내지 5cm 사이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2cm 만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25)은 음향 빔 형성을 위해,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5, 6)가 이격 간격의 함수로서 결정된 위상 오프셋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5, 6, 7)의 기본 개구(11, 12, 13)는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상기 개구들(11, 12, 13)이 상기 귀 개구(22)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 부재(4)의 구부러진 외부면(23)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포착된 배경 잡음이 스피커(5, 6, 7)를 대응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억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 부재(4)는 아이웨어 이어피스(3)에 통합되거나 아이웨어 이어피스(3)로 구현되고, 상기 스피커들(5, 6, 7)의 기본 개구들(11, 12, 13)은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하부면(20)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들(5, 6, 7)의 보조 개구들(17, 18, 19)은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상부면(2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오디오 시스템 갖는 아이웨어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고 오디오 시스템(2)을 갖는 아이웨어(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상기 기술적 특징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 정보가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들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상태로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주변 소리가 감쇄되지 않으며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earpiece)에 통합된 개략적으로 보여준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eyewear)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하부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기본 개구와 상부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보조 개구를 갖는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의 투시 후면도이다.
도 3은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를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 영역에서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를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eyewear)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가 명확해질 수 있도록, 상부, 하부, 위, 아래, 상측, 하측, 왼쪽, 오른쪽, 수직 및 수평과 같은 관련 용어는 각 도면이 참조하는 대상체의 위치를 위하여 사용된다.
도면에서 보여주는 소자 또는 구성요소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용어들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래서 상기 도면들에 대해 보여주는 소자 또는 구성요소의 방향이 반전된다면, 상부로 명시된 특징은 다음에서 설명되는 도면에서 하부로 명시될 수 있다. 결국, 사용되는 관련 용어는 단지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이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상기 시스템은 귀, 특히 귀 개구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하기 위한 캐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기본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기본 개구는 상기 캐리어 부재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상기 개구가 목표한 귀의 귀 개구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캐리어 부재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본 개구는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한 귀에 이격 배치되고(배치되거나) 바람직하게 귀의 측면에 존재하고/존재하거나 상기 귀 개구의 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상기 중공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는 바람직하게 멤스(MEMS) 스피커이다. 상기 스피커의 캐비티는 상기 중공 공간의 제1 중공 공간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1 음파는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 배치된 귀 방향으로 상기 기본 개구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오디오 신호가 최소로 감소되고(감소되거나) 사용자의 귀 개구 상에 실질적으로 집중되는 음향 빔 형성 또는 "빔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중공 공간은 상기 캐리어 부재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보조 개구가 상기 주변 영역 쪽으로 상기 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에 배치되는 보조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음파로부터 위상이 오프셋(offset) 된 제2 음파가 상기 보조 개구를 통해 상기 스피커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위상 오프셋은 상기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상기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의 볼륨이 감소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청각 정보는 상기 정보가 근처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인지될 수 없더라도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유리하게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귀에서 이격 배치되는 오디오 시스템의 비접촉식 구현 및 관련된 높은 수준의 착용감은 매우 높은 수준의 고객 호평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가 귀와 이격된 영역으로부터 귀 개구까지 집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귀 개구의 바로 근처에서 방해 요소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기본 개구와 상기 보조 개구는 상기 캐리어 부재의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다른 면들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두 개의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은 목표한 귀 개구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되고, 다른 측면은 상기 귀 개구로부터 멀어지고 주변 영역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상기 기본 개구를 통해 주변 영역으로 부분적으로 방출되는 음파를 상기 보조 개구를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본 개구 및 상기 보조 개구가 서로 90° 이상 180°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개구가 상기 귀 개구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격되어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만이 제거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보조 개구의 개구 표면적이 상기 기본 개구의 개구 표면적과 크기가 약간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이 음향 빔 형성을 위해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부재에 통합 내장된다. 따라서, 관련 오디오 정보가 사용자에게만 이용 가능하게 되고, 주변 영역에 있는 사람들은 아무것도 들을 수 없도록 상기 스피커가 작동되도록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본 개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가 상기 귀 개구의 영역에 집중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가 감소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음파가 실질적으로 180°의 위상 오프셋을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더 바람하하다. 상기 기본 개구를 통해 주변 영역으로 부주의하게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는 상기 보조 개구를 통해 180° 오프셋 된 상기 제2 음파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영역에 있는 사람은 사용자와 관련된 오디오 정보를 인식할 수 없다.
상기 스피커의 배치에서 더 큰 자유도를 가지기 위해, 상기 스피커가 상기 기본 개구에 안내하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은 상기 중공 공간의 제2 중공 공간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음파는 상기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기본 개구로 안내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제조 및 후속 교체를 단순화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부재가 함께 결합되어 그 사이에 중공 공간이 구현되는 두 개의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부들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또는 제2 중공 공간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및 제2 부분에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상기 하우징부들은 내부로 오목하게 만곡되고 조립될 때 상기 중공 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더 용이한 조립을 위해, 상기 스피커가 상기 하우징의 두 부분 사이에 배치 및/또는 보강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의 두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 상기 스피커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장착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는 특히 측면 및/또는 두 개의 단부 중 하나의 에지 영역에서 상기 장착 리세스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서, 상기 두 개의 중공 공간 영역은 상기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스피커에 의해 및/또는 실링 부재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가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으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피하게 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실링 부재는 또한, 상기 스피커에 의해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2 음파가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으로 투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매우 높은 오디오 음질이 보장될 수 있다.
완전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실링 부재가 프레임으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상기 스피커, 특히 상기 장착 리세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스피커의 단부면과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 중 하나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컴팩트한 디자인을 위해, 상기 스피커가 멤스(MEMS)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는 바람직하게는 압전 멤스(MEMS) 스피커이다. 상기 스피커는 멤브레인(membrane) 및 압전 액추에이터 층(piezoelectric actuator layer) 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 상기 멤스(MEMS) 스피커의 멤브레인은 상기 액추에이터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층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로크(stroke) 구조체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바람직하게는 스트로크(stroke) 축을 따라 변위 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개구 및/또는 상기 보조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로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90°로 기울어진 각도로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매우 컴팩트한 설계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저음(bass) 스피커 및/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음(treble)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 형성(beam shaping)을 위해,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의 기본 개구들이 서로, 특히 1cm 내지 5cm 사이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2cm 만큼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가 거리에 의존하는 위상 오프셋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음향 빔 형성을 위해 구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가 귀 개구에 집중될 수 있고,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고음 스피커들은 보조 개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음 스피커가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들 사이에 배치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매우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고, 결국 빔 형성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저음 스피커가 스피커 어레이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면, 그 캐비티가 인접 스피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유리하다.
귀 윤곽을 따르는 영역에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들을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들의 기본 개구가 상기 캐리어 부재의 구부러진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부재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모든 기본 개구들이 상기 귀 개구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빔 형성의 품질이 바람직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이 마이크로폰, 특히 멤스(MEMS)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포착된 배경 잡음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대응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억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 부재가 아이웨어(eyewear)의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earpiece)에 통합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캐리어 부재는 또한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의 기본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의 하부면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의 보조 개구는 상기 아이웨어(eyewear) 이어피스의 측면 및/또는 상부면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기본 개구는, 특히 상기 하부면이 구부러진 디자인을 가진다면, 상기 귀 개구에 정렬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의 보조 개구는 동시에 상기 귀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주변 영역으로 지향된다.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아이웨어(eyewear), 특히 데이터 안경이 추가로 제안된다.
상기 아이웨어(eyewear)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상술한 설명에 따라 구현되며, 표시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높은 착용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eyewear)가 생산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오디오 시스템의 어떤 구성품들도 상기 귀 개구 바로 근처 또는 심지어 상기 귀 개구 자체에 배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대신,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비접촉 방식으로 착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귀 개구와 완전히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정보는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들도 들을 수 없이, 상기 아이웨어(eyewear)에 의해 사용자에게 독점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도 1은 통합된 오디오 시스템(2)을 갖는 아이웨어(eyewear)(1)를 보여준다.
상기 아이웨어(eyewear)(1)는 데이터 안경으로서 구현되며, 이를 통해 시각 정보, 특히 AR 정보(증강 현실)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아이웨어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 유닛 및 상기 아이웨어(1)가 다른 시스템, 특히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웨어(1)는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을 통해 사용자에게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상기 아이웨어(eyewear)(1)의 아이웨어 이어피스(eyewear earpiece)(3)에 통합된다. 그러나 대안으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아이웨어(1)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의 다른 구성품들이 통합되는 캐리어 부재(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는 상기 캐리어 부재(4)를 형성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캐리어 부재(4)는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 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별개의 구성품일 수도 있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복수의 스피커들(5, 6, 7)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들은 여기에서 멤스(MEMS) 스피커로 구현된다. 상기 스피커들(5, 6, 7)은 각각 상기 스피커(5, 6, 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에 하나의 기본 개구(11, 12, 13)를 갖는 하나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8, 9, 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들(5, 6, 7)의 각각은 캐비티(14, 15, 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들(14, 15, 16)은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응하는 스피커 (5, 6, 7)의 측면 상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들(5, 6, 7)의 캐비티들(14, 15, 16) 각각은 하나의 보조 개구(17, 18, 19)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개구들(17, 18, 19)은 상기 각각의 관련된 기본 개구(11, 12, 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캐리어 부재(4)의 면 상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부재(4) 및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상기 기본 개구들(11, 12, 13)은 상기 캐리어 부재(4)의 하부면(20) 상에 배치된다. 대조적으로, 상기 보조 개구들(17, 18, 19)은 상기 캐리어 부재(4)의 대향하는 상부면(21)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본 개구들(11, 12, 13) 및 상기 대응하는 보조 개구들(17, 18, 19)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위치되고 및/또는 상기 캐리어 부재(4)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된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기본 개구들(11, 12, 13)은 상기 아이웨어(1)가 의도 된대로 배치될 때 상기 개구들이 사용자의 귀 개구(22)를 향해 정렬되도록 상기 하부면(20) 상에 배치되고 및/또는 정렬된다. 상기 기본 개구들(11, 12, 13)은 상기 귀 개구(22)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를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캐리어 부재(4)의 상기 하부면(20)은 상응하는 구부러진 외부면(23)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면(23)은 상기 목적을 위하여 오목하게 구부러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높이는 렌즈(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스피커 어레이의 최전방 스피커(7)는 상기 귀 개구(22)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방으로 정렬된다.
도 1에 따른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제어 유닛(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스피커들(5, 6, 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리어 부재(4) 또는 아이웨어 이어피스(3)에 통합된다. 상기 제어 유닛(25)은 또한 오디오 신호의 빔 형성이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들(5, 6, 7)에 의해 방출되는 음파는 사용자의 귀 개구(22)에 집중되고 및/또는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는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에 의해 방출되는 오디오 정보가 아이웨어(eyewear)(1)의 착용자에게 독점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고, 바로 근처에 존재하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인지될 수 없다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2)은 세 개의 스피커들(5, 6, 7)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5) 및 제2 스피커(6)는 여기에서 고음 스피커로서 구현된다. 반면, 제3 스피커(7)는 저음 스피커로서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스피커(7)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5, 6)와 비교하여 더 큰 캐비티(16)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들(5, 6)은 도 1에 따라 서로 직접 인접해 있다. 상기 스피커 어레이에서 저음 스피커는 최전방 스피커(7)를 형성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저음 스피커(7)가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들(5, 6)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피커들(5, 6)의 기본 개구들(11, 12)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캐리어 부재(4) 및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를 통한 종단면을 도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캐리어 부재(4)는 벽들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의 중공 공간들(26, 27, 28)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도 4 참조). 상기 중공 공간들(26, 27, 28)은 상기 스피커들(5, 6, 7) 중 하나와 각각 관련된다. 상기 스피커들(5, 6, 7)은 제1 중공 공간 영역(29)이 상기 관련된 스피커(7)의 캐비티(1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도 3에 따른 상기 대응하는 관련된 중공 공간(26, 27, 28)에 배치된다. 상기 대응하는 스피커(7)는 제2 중공 공간 영역(30)이 구현되도록 상기 관련된 중공 공간(28)을 더 분리시킨다.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30)은 상기 대응하는 스피커(7)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10)을 형성한다. 명확성을 위해, 상기 중공 공간들(26, 27, 28) 중 단지 하나만이 도 3에서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 4는 상기 제3 스피커(7)의 영역 내에서 상기 캐리어 부재(4)를 통과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스피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음 스피커로서 구현된다. 도 4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부재(4)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31, 32)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들(31, 32)은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본 개구(13) 및 상기 보조 개구(19)는 각각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들(31, 32) 사이에 구현된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들(31, 32)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의 손상된 구성품이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7)는 상기 제1 하우징부(31)에 완전히 내장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하우징부(31)는 상기 스피커(7)의 에지 영역이 확실하게 유지되는 장착 리세스(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7)는 상기 중공 공간(28)의 제1 및 제2 중공 공간 영역(29, 30) 사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29)은 상기 캐비티(16)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30)은 상기 스피커(7)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10)을 형성한다.
실링 부재(34)가 상기 중공 공간(28)에 추가로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피커(7)에 의해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30)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35)가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29)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7)에 의해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29)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2 음파(36) 또한 상기 실링 부재(34)에 의해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30)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중공 공간 영역들(29, 30)은 상기 실링 부재(34)에 의해 서로 음향적으로 분리되고 및/또는 봉쇄된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7)는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상기 스피커(7)의 멤브레인이 변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스트로크 축(3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7)는 상기 스트로크 축(37)이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본 개구(13) 및 상기 보조 개구(19)는 상기 스피커(7)의 스트로크 축(37)에 대해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로 정렬된다.
특히,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음파(35)는 상기 스피커(7)를 대응하게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사운드 가이드 채널(10) 또는 상기 제2 중공 공간 영역(30)을 통해 상기 기본 개구(13)로 안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파(35)는 상기 기본 개구(13)를 통해 상기 캐리어 부재(4)의 중공 공간(28)을 빠져나와 상기 귀 개구(22)에 도달한다(도 1 참조).
상기 보조 개구(19)로 인해,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또한 제2 음파(36)가 주변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7)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음파(36)는 상기 캐비티(16) 또는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29)을 통해 상기 보조 개구(19)에 도달하여, 상기 음파(36)는 상기 캐리어 부재(4)를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제2 음파(36)가 상기 제1 음파(35)와 비교하여, 특히 180°만큼 위상이 오프셋 되도록 상기 스피커(7)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귀 개구(22)를 향해 방출되지 않고 오히려 의도하지 않게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35)의 일부는 상기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상기 제2 음파(36)에 의해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음파(35)는 상기 귀 개구(22)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독점적으로 들릴 수 있다.
상기 보조 개구(19)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련된 기본 개구(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 개구(19)는 상기 기본 개구(13)보다 더 작은 크기로 구현된다. 상기 보조 개구(19)는 상기 기본 개구(13)보다 바람직하게 5 %, 10 %, 20 %, 25 % 또는 30 % 이하로 더 작다.
고음 스피커들로서 구현되는 상기 스피커들(5,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고음 스피커들로서 구현되는 상기 스피커들(5, 6)은 임의의 보조 개구(17, 18)를 포함하지 않고 오히려 저음 스피커로서 구현되는 상기 스피커(7)만이 포함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어 유닛(25)은 음향 빔 형성을 위해, 고음 스피커들로서 구현되는 상기 두 개의 스피커들(5, 6)이 서로에 대해 위상 오프셋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위상 오프셋은 상기 두 개의 스피커들(5, 6) 사이의, 특히 그들의 상기 두 개의 기본 개구들(11, 12) 사이의 간격 거리의 함수로서 상기 제어 유닛(25)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청각 정보(제1 음파 (35))는 상기 정보가 근처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인지될 수 없는 상태에서 전술한 오디오 시스템(2)에 의해 사용자에게 바람직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의 비접촉식 구현, 즉 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구현 및 관련된 높은 수준의 착용감은 매우 높은 수준의 고객 호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고 기재된 실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고 설명된다고 할지라도, 특성들의 조합과 마찬가지로, 청구항들의 범위 내의 변형들이 가능하다.
1 : 아이웨어(eyewear) 2 : 오디오 시스템
3 : 아이웨어 이어피스(earpiece) 4 : 캐리어 부재
5 : 제1 스피커 6 : 제2 스피커
7 : 제3 스피커 8 :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
9 :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 10 : 제3 사운드 가이드 채널
11 : 제1 기본 개구 12 : 제2 기본 개구
13 : 제3 기본 개구 14 : 제1 캐비티
15 : 제2 캐비티 16 : 제3 캐비티
17 : 제1 보조 개구 18 : 제2 보조 개구
19 : 제3 보조 개구 20 : 하부면
21 : 상부면 22 : 귀 개구
23 : 구부러진 외부면 24 : 렌즈
25 : 제어 유닛 26 : 제1 중공 공간
27 : 제2 중공 공간 28 : 제3 중공 공간
29 : 제1 중공 공간 영역 30 : 제2 중공 공간 영역
31 : 제1 하우징부 32 : 제2 하우징부
33 : 장착 리세스(recess) 34 : 실링(sealing) 부재
35 : 제1 음파 36 : 제2 음파
37 : 스트로크 축

Claims (14)

  1. 귀의 외부 영역에 배치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2)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하기 위한 캐리어 부재(4)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목표한 귀의 귀 개구(22)의 방향으로 향하는 기본 개구(11, 12, 13)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26, 27, 28)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 6, 7)를 가지며,
    상기 중공 공간의 캐비티(14, 15, 16)는 제1 중공 공간 영역(29)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공간에 의해 제1 음파(35)가 상기 개구(11, 12, 13)로부터 이격 배치된 귀 방향으로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은 상기 제1 중공 공간 영역(29)에 배치되는 보조 개구(17, 18, 19)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개구는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제2 음파(36)가 상기 스피커(5, 6, 7)에 의해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주변 영역을 향하여 상기 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제2 음파(36)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2)에 의해 상기 주변 영역으로 방출되는 음파의 볼륨이 감소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음파(35)와 위상에서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개구(11, 12, 13) 및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는 상기 캐리어 부재(4)의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다른 면(20, 21)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들은 서로 90° 이상 180°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음향 빔 형성을 위한 제어 유닛(25)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스피커(5, 6, 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 부재(4)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 6, 7)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제1 음파(35)가 상기 귀 개구(22)의 영역에 집중될 수 있고, 상기 제2 음파(36)가 상기 제1 음파(35)에 대해 실질적으로 180°의 위상 오프셋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5, 6, 7)는 상기 기본 개구(11, 12, 13)로 안내하고 제2 중공 공간 영역(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8, 9, 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4)는 서로 결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중공 공간(26, 27, 28)이 구현되는 두 개의 하우징부(31, 32)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5, 6, 7)는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 중 하나에 구현되는 장착 리세스(33)에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채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중공 공간 영역(29, 30)은 상기 영역들(29, 3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스피커(5, 6, 7)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실링 부재(34)에 의해 서로 봉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34)는 프레임으로서 구현되고 상기 스피커, 특히 상기 장착 리세스(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스피커의 단부면과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31, 32) 중 하나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5, 6, 7)는 저음 또는 고음 스피커로 구현되고 스트로크 축(37)을 따라 변위 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멤스(MEMS) 스피커(5, 6, 7)이고, 상기 기본 개구(11, 12, 13) 및/또는 상기 보조 개구(17, 18, 19)는 상기 스트로크 축에 대해, 특히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적어도 두 개의 고음 스피커(5, 6)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의 기본 개구(11, 12)는 서로, 특히 1cm 내지 5cm 사이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2cm 만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25)은 음향 빔 형성을 위해, 상기 두 개의 고음 스피커(5, 6)가 이격 간격의 함수로서 결정된 위상 오프셋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5, 6, 7)의 기본 개구(11, 12, 13)는 상기 캐리어 부재(4)가 목표 한대로 배치될 때 상기 개구들(11, 12, 13)이 상기 귀 개구(22)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캐리어 부재(4)의 구부러진 외부면(23)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25)은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포착된 배경 잡음이 스피커(5, 6, 7)를 대응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억제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4)는 아이웨어 이어피스(3)에 통합되거나 아이웨어 이어피스(3)로 구현되고, 상기 스피커들(5, 6, 7)의 기본 개구들(11, 12, 13)은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하부면(20)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들(5, 6, 7)의 보조 개구들(17, 18, 19)은 상기 아이웨어 이어피스(3)의 상부면(21)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4.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고 오디오 시스템(2)을 갖는 아이웨어(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2)은 상기 청구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KR1020187026797A 2016-02-26 2017-02-08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KR102604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3477.0A DE102016103477A1 (de) 2016-02-26 2016-02-26 Audiosystem mit strahlformenden Lautsprechern sowie Brille mit einem derartigen Audiosystem
DE102016103477.0 2016-02-26
PCT/EP2017/052673 WO2017144269A1 (de) 2016-02-26 2017-02-08 Audiosystem mit strahlformenden lautsprechern sowie brille mit einem derartigen audio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125A true KR20180117125A (ko) 2018-10-26
KR102604377B1 KR102604377B1 (ko) 2023-11-20

Family

ID=5801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797A KR102604377B1 (ko) 2016-02-26 2017-02-08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0728651B2 (ko)
EP (2) EP3420554B1 (ko)
KR (1) KR102604377B1 (ko)
CN (1) CN108780641B (ko)
AU (1) AU2017224015A1 (ko)
CA (1) CA3013327A1 (ko)
DE (1) DE102016103477A1 (ko)
ES (2) ES2833925T3 (ko)
HK (1) HK1256915A1 (ko)
IL (1) IL261150B (ko)
MY (1) MY190655A (ko)
RU (1) RU2739517C2 (ko)
SG (2) SG11201806271YA (ko)
WO (1) WO20171442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575B1 (ko) * 2020-03-04 2020-09-18 에스텍 주식회사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20220000693U (ko) * 2020-09-17 2022-03-24 쳉 쉬-슈 자기 블루투스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8562B2 (en) 2011-12-23 2022-12-13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601761B2 (en) 2011-12-23 2023-03-07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716575B2 (en) 2011-12-23 2023-08-01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595760B2 (en) 2011-12-23 2023-02-28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641551B2 (en) 2011-12-23 2023-05-02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483661B2 (en) 2011-12-23 2022-10-25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641552B2 (en) 2011-12-23 2023-05-02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950055B2 (en) 2014-01-06 2024-04-02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974097B2 (en) 2014-01-06 2024-04-30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589171B2 (en) 2014-01-06 2023-02-2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617045B2 (en) 2014-01-06 2023-03-28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627419B2 (en) 2014-01-06 2023-04-1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WO2020220720A1 (zh) * 2019-04-30 2020-11-05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声学输出装置
US11706574B2 (en) 2014-01-06 2023-07-18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368800B2 (en) 2014-01-06 2022-06-2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832060B2 (en) * 2014-01-06 2023-11-28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570556B2 (en) 2014-01-06 2023-01-3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20210219074A1 (en) * 2014-01-06 2021-07-15 Shenzhen Voxtech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582564B2 (en) 2014-01-06 2023-02-14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805375B2 (en) * 2014-01-06 2023-10-31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622209B2 (en) 2014-01-06 2023-04-04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1582563B2 (en) 2014-01-06 2023-02-14 Shenzhen Shokz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sound leakage
US10397681B2 (en) * 2016-12-11 2019-08-27 Base Corporation Acoustic transducer
US10950217B1 (en) * 2017-09-20 2021-03-16 Amazon Technologies, Inc. Acoustic quadrupole system for head mounted wearable device
US10440468B1 (en) * 2017-10-30 2019-10-08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udio
US10555071B2 (en) * 2018-01-31 2020-02-04 Bose Corporation Eyeglass headphones
USD864283S1 (en) * 2018-03-05 2019-10-22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10578875B1 (en) * 2018-05-30 2020-03-03 Facebook Technologies, Llc Head-mounted display with integrated speaker enclosure
USD865040S1 (en) * 2018-07-31 2019-10-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D865041S1 (en) * 2018-07-31 2019-10-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20210044888A1 (en) * 2019-08-07 2021-02-11 Bose Corporation Microphone Placement in Open Ear Hearing Assistance Devices
US10609465B1 (en) * 2018-10-04 2020-03-31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US11295718B2 (en) * 2018-11-02 2022-04-05 Bose Corporation Ambient volume control in open audio device
US11796833B2 (en) * 2018-12-12 2023-10-24 Solos Technology Limited Modularized eyewea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CN113170248A (zh) * 2018-12-14 2021-07-23 索尼集团公司 扬声器装置
WO2020161545A2 (en) * 2019-02-05 2020-08-13 Solos Technology Limited Personalized directional audio for head/worn audio projectio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10812896B2 (en) * 2019-03-21 2020-10-20 Facebook Technologies, Llc High compliance microspeakers for vibration mitigation in a personal audio device
CN109862496A (zh) * 2019-04-12 2019-06-07 深圳市广扬科技有限公司 一种近耳的定向出音结构及其音频眼镜
US11234071B2 (en) * 2019-05-09 2022-01-25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DE102019121258A1 (de) * 2019-08-06 2021-02-11 USound GmbH Mobiltelefon mit einem eine rückseitige Sekundäröffnung aufweisenden Audiosystem
US11197083B2 (en) 2019-08-07 2021-12-07 Bose Corporation Active noise reduction in open ear directional acoustic devices
CN110972029B (zh) * 2019-11-25 2021-05-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定向发声装置及电子设备
CN110944079B (zh) * 2019-11-29 2021-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D933736S1 (en) * 2019-12-20 2021-10-1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D923693S1 (en) * 2019-12-20 2021-06-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D923692S1 (en) * 2019-12-20 2021-06-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D923690S1 (en) * 2019-12-20 2021-06-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USD923691S1 (en) * 2019-12-20 2021-06-29 Bose Corporation Audio eyeglasses
KR20210101701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및 스피커를 위한 음향 출력 경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1356757B2 (en) * 2020-03-09 2022-06-07 Bose Corporation Individually assignable transducers to modulate sound output in open ear form factor
EP4177668A4 (en) * 2020-11-26 2024-03-27 Shenzhen Shokz Co Ltd PORTABLE DEVICE
EP4009663A1 (en) 2020-12-01 2022-06-08 HTC Corporation Speaker module and wearable device
DE102020132254A1 (de) * 2020-12-04 2022-06-09 USound GmbH Brille mit parametrischer Audioeinheit
US11582553B2 (en) 2021-04-27 2023-02-14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Electronic module having transducers radiating ultrasonic waves
US11792565B2 (en) 2021-04-27 2023-10-17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Electronic module
WO2023142745A1 (zh) * 2022-01-27 2023-08-03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佩戴件、可穿戴设备及充电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0480A1 (en) * 2010-07-26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acoustic imaging
US20130308786A1 (en) * 2007-02-16 2013-11-21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Ear-worn speaker-carrying devices
US20140268016A1 (en) * 2013-03-13 2014-09-18 Kopin Corporation Eyewear spectacle with audio speaker in the temp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987A (en) * 1991-10-17 1992-11-17 Raven Jay R Personal stereo speaker assembly
US6729726B2 (en) * 2001-10-06 2004-05-04 Stryker Corporation Eyewear for hands-free communication
US7760898B2 (en) 2003-10-09 2010-07-20 Ip Venture, Inc. Eyeglasses with hearing enhanced and other audio signal-generating capabilities
US20090180657A1 (en) 2003-06-04 2009-07-16 Plantronics, Inc. A Delaware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audio leakage
TW201018982A (en) * 2008-11-04 2010-05-16 Neovictory Technology Co Ltd Sphenoid tempor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and/or hearing aid device
US9124976B2 (en) * 2014-01-21 2015-09-01 Eastern Technologies Holding Limited Treble and bass headphone structure
US9456284B2 (en) * 2014-03-17 2016-09-27 Google Inc. Dual-element MEMS microphone for mechanical vibration noise cancellation
TW201626818A (zh) * 2015-01-05 2016-07-16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控制功能之耳機裝置
CN104853278A (zh) * 2015-05-26 2015-08-19 北京亮亮视野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音箱
US9794677B2 (en) * 2016-01-12 2017-10-17 Bose Corporation Head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8786A1 (en) * 2007-02-16 2013-11-21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Ear-worn speaker-carrying devices
US20120020480A1 (en) * 2010-07-26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acoustic imaging
US20140268016A1 (en) * 2013-03-13 2014-09-18 Kopin Corporation Eyewear spectacle with audio speaker in the temp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575B1 (ko) * 2020-03-04 2020-09-18 에스텍 주식회사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20220000693U (ko) * 2020-09-17 2022-03-24 쳉 쉬-슈 자기 블루투스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0655A (en) 2022-05-09
CA3013327A1 (en) 2017-08-31
HK1256915A1 (zh) 2019-10-04
ES2939935T3 (es) 2023-04-28
IL261150B (en) 2021-10-31
US20200329305A1 (en) 2020-10-15
CN108780641A (zh) 2018-11-09
ES2833925T3 (es) 2021-06-16
EP3420554B1 (de) 2020-08-26
RU2018128312A (ru) 2020-02-03
EP3420554A1 (de) 2019-01-02
RU2739517C2 (ru) 2020-12-25
EP3757987B1 (de) 2022-12-07
US10986439B2 (en) 2021-04-20
WO2017144269A1 (de) 2017-08-31
KR102604377B1 (ko) 2023-11-20
SG11201806271YA (en) 2018-08-30
US10728651B2 (en) 2020-07-28
AU2017224015A1 (en) 2018-08-16
CN108780641B (zh) 2023-05-02
DE102016103477A1 (de) 2017-08-31
US20190052954A1 (en) 2019-02-14
EP3757987A1 (de) 2020-12-30
IL261150A (en) 2018-10-31
RU2018128312A3 (ko) 2020-02-06
SG10202008191TA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7125A (ko)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US10972823B2 (en) In-ear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US10462549B2 (en)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CN112913259B (zh) 声学设备
EP3468222B1 (en) Headphone
USD504419S1 (en) Microphone boom for a communications headset
US8139806B2 (en) Earphone for placement in an ear
US9794676B2 (en) Headphone
CN1788522B (zh) 耳机装置
US20100054501A1 (en) Face plate, vibration speaker hav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D573137S1 (en) Earloop for headset
JP2007013873A (ja) ヘッドホン装置
EP1971181A2 (en) Headphone
US11496822B2 (en) Microphone mounting structure for headset
USD618670S1 (en) Audio earphone
US20200029147A1 (en)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JP5062150B2 (ja) イヤホン
TW201129108A (en) Ear pad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JP2017139523A (ja) ヘッドホン
KR102222624B1 (ko) 안경용 음량 증폭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