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575B1 -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 Google Patents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575B1
KR102157575B1 KR1020200026933A KR20200026933A KR102157575B1 KR 102157575 B1 KR102157575 B1 KR 102157575B1 KR 1020200026933 A KR1020200026933 A KR 1020200026933A KR 20200026933 A KR20200026933 A KR 20200026933A KR 102157575 B1 KR102157575 B1 KR 10215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rame
speaker
cover
temp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규
제종성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제1진동축을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스피커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배치되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유입을 위한 음향 유입구와, 음향 유입구에서 유입된 음향의 유출을 위한 음향 유출구, 및 음향 유입구에서 음향 유출구로 연장되어 음향을 안내하는 음향 안내용 내주면을 가지는 음향 송출부를 포함하여 소리의 외부 방사를 억제하고 소리의 지향성을 귀로 집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THE TEMPLE ASSEMBLY WITH HIGH SOUND DIRECTIVITY AND THE GLASSES THEREOF}
본 발명은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방사를 최소화하여 음향 지향성을 귀로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스마트 안경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안경은 그 내부에 스피커를 포함한다. 즉, 스마트 안경 내부의 스피커가 진동으로 소밀파를 생성한다. 따라서 스마트 안경 착용자는 안경을 통해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안경의 경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음향은 하우징에 관통홀로 형성된 음향 송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송출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하우징에 단순히 관통홀이 형성되고, 에어가 관통홀에서 유출되면서 방사상으로 확산된다. 즉, 음향이 관통홀을 중심으로 외부로 방사되어 음향이 떨어진다. 또한, 에어가 관통홀을 유출입하면서, 에어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외부 방사를 최소화하고 에어 노이즈로 인한 왜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탬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는, 제1진동축을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스피커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배치되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유입을 위한 음향 유입구와, 음향 유입구에서 유입된 음향의 유출을 위한 음향 유출구, 및 음향 유입구에서 음향 유출구로 연장되어 음향을 안내하는 음향 안내용 내주면을 가지는 음향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송출부를 통해 음향을 일정 거리 안내하여 음향 지향성이 귀로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송출부를 통하는 에어의 노이즈 및 이에 의한 왜율을 감소시켜 음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를 분리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좌측 커버 및 스피커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피커와 지지 모듈을 확대 도시한 일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의 하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지지 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좌측 커버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모듈과 도 8에 도시된 커버 돌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10) 및 안경(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10)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좌측 커버(210) 및 스피커(100)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1000)은 저음 성능 향상된 템플 조립체(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1000)은 좌우 한 쌍의 템플 조립체(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템플 조립체(10)는 음향 지향성을 귀로 집중시켜 외부 방사를 억제하고, 에어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피커(100), 하우징(200), 음향 송출부(300)를 포함한다. 스피커(1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진동축(A)을 따라 진동한다. 스피커(100)는 그 진동에 따라 음향을 생성한다. 하우징(200)은 스피커(100)를 수용한다. 음향 송출부(300)는 하우징(200)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로, 음향 송출부(300)는 음향 유입구(310), 음향 유출구(330) 및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을 가진다. 음향 유입구(310)는 스피커(100)에서 생성된 음향의 유입을 유입시킨다. 음향 유출구(330)는 음향 유입구(310)와 연통되어 음향 유입구(310)에서 유입된 음향을 유출시킨다.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은 음향 유입구(310)에서 음향 유출구(330)로 연장되어, 음향을 안내한다.
음향 유입구(310)는 하우징(200)의 외면으로부터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음향 유출구(330)는 하우징(200)의 외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음향 유입구(310)로 유입된 음향은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에 의해 음향 유출구(330)로 원할히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은 음향 유입구(310)에서 음향 유출구(3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가진다. 즉, 음향은 귀에 집중되고, 다른 방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은 음향(소밀파)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므로, 관통홀을 유출입하며 발생되는 에어 노이즈 및 이에 의한 왜율을 감소시켜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음향 유입구(310)는 하우징(200)의 외면으로부터 2 mm 이상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이하의 경우, 음향 지향성 집중 및 왜율 감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좌측 커버(210), 우측 커버(230) 및 측면 프레임(25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커버(210) 및 우측 커버(230)는 스피커(10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본다. 측면 프레임(250)은 좌측 커버(210) 및 우측 커버(230)의 사이를 차폐한다. 여기서, 측면 프레임(250)은 상부 프레임(251), 전방 프레임(253), 하부 프레임(255) 및 후방 프레임(2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51)은 좌측 및 우측 커버(210, 230)의 상단에 배치된다. 전방 프레임(253)은 좌측 및 우측 커버(210, 230)의 전단에 배치된다. 전방 프레임(253)은 안경테 장착용 홈(253a)을 가진다. 후방 프레임(255)은 좌측 및 우측 커버(210, 230)의 후단에 배치된다. 안경테는 전방 프레임(253)에 힌지로 연결된다.
좌측 커버(210), 우측 커버(230) 및 측면 프레임(250)은 디자인적으로 소정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하부 프레임(255)은 귀를 감싸게 소정 곡률로 연장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음향 송출부(300)는 하부 프레임(255)의 곡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또한, 음향 송출부(300)는 곡면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예컨대, 음향 송출부(300)는 하부 프레임(255)과 상부 프레임(25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 송출부(300)에서 송출된 음향이 귀를 향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의 내부에 메인 PCB(11), 보조 PCB(12), 밧데리(14), 제 1 마이크(15) 및 제 2 마이크(16)가 배치된다. 메인 PCB(11)는 스피커(100)의 왼편에 배치되고, 보조 PCB(12)는 스피커(100)의 오른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PCB(12)는 밧데리(14)로부터 제 1 마이크(15) 및 제 2 마이크(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메인 PCB(11)와 보조 PCB(12)는 스피커(100), 제 1 마이크(15), 제 2 마이크(16) 등을 구동한다. 밧데리(14)는 보조 PCB(12)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마이크(15)는 전화 통화 시 사용된다. 또한, 제 2 마이크(16)는 주변 소음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피커(100)와 지지 모듈(400)을 확대 도시한 일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10)의 하면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D-D를 따라 자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255)의 두께는 음향 송출부(300)의 일단에서 후방 프레임(257)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진다. 즉, 하부 프레임(255)의 두께는 후방 프레임(257)에서 음향 송출부(300)의 일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진다. 또한, 하부 프레임(255)의 두께는 음향 송출부(300)의 타단에서 전방 프레임(253)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진다. 즉, 하부 프레임(255)의 두께는 전방 프레임(253)에서 음향 송출부(300)의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진다. 이에 의해, 음향 유입구(310)에서 음향 유출구(3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의 연장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키고, 에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 유입구(310)의 일단에서 음향 유출구(330)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의 두께(t1)는 음향 유입구(310)의 타단에서 음향 유출구(33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의 두께(t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음향 송출부(300)의 상단 두께(t1)가 음향 송출부(300)의 하단 두께(t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스피커(1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음향 송출부(300)의 상단에서 음향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긴 음향 안내용 내주면(350)을 통해 더욱 귀를 향해 집중될 수 있다. 또한, 에어 소음을 줄여 음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10)는 지지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모듈(40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지지 모듈(400)은 스피커(100)를 지지하며, 스피커(100)에 의해 생성된 음향을 음향 송출부(300)로 안내한다. 지지 모듈(400)은 스피커(100)의 전면 공간과 후면 공간을 분리한다. 이에 의해, 스피커(100)의 전면 공간의 공기와 스피커(100)의 후면 공간의 공기는 서로 유동되지 못할 수 있다.
지지 모듈(400)은 안착부(410)와 가이드부(430)를 포함한다. 안착부(410)는 스피커(100)를 지지하며, 관통홀(미도시) 및 음향 송출부(300)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O)를 가질 수 있다. 안착부(410)의 관통홀은 스피커(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켜, 스피커(100)의 진동 시 스피커의 후면 공간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안착부(410)는 안착 프레임(411)과 측벽 프레임(413)을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411)은 스피커(100)를 지지하며, 스피커(100)의 후면을 노출시키는 관통홀(미도시)을 가진다. 측벽 프레임(413)은 안착 프레임(4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피커(100)의 측면을 둘러싸며, 음향 송출부(300)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O)를 포함한다. 측벽 프레임(413)은 안착 프레임(411)으로부터 우측 커버(230)를 향해 돌출되어 밀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피커(100)에 의해 생성된 소밀파는 측벽 프레임(413)과 우측 커버(230)에 의해 개구부(O)로 진행된다.
가이드부(430)는 가이드 프레임(431)과 가이드 배리어(433)를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431)은 안착 프레임(411)에서 음향 송출부(300)를 향하여 연장된다. 가이드 배리어(433)는 가이드 프레임(43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가이드 프레임(431)으로부터 제1진동축(A)을 따라 돌출되어 우측 커버(230)에 밀착된다. 또한, 가이드 배리어(433)는 안착 프레임(411)에서 음향 송출부(230)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에 의해, 소밀파는 우측 커버(230)와 가이드부(430)의 사이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은 지지 모듈(400)과 우측 커버(230)의 사이를 유동하며, 음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430)는 스피커(100)의 후면과 전면 사이의 공기 유동을 위한 관통구(H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프레임(431)은 관통구(H1)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모듈(400)과 스피커(100)에 의해 스피커(100)의 전면과 스피커(100)의 후면은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관통구(H1)는 스피커(100)의 전면과 후면간 공기의 유동을 위한 채널이 될 수 있다. 스피커(100)의 전면과 후면간 공기 유동을 통해 충분한 소밀파 생성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음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차폐 배리어가 안착부(410)를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 배리어(433)의 단부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 프레임(413)의 단부 사이를 차폐한다. 가이드 배리어(433)의 단부와 측벽 프레임(413)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스피커(100)에서 인출된 인출선(미도시)이 측벽 프레임(413)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피커(100)의 인출선은 스피커(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좌측 커버(210)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모듈(400)과 도 8에 도시된 커버 돌기(22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템플 조립체(10)는 커버 돌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돌기(220)는 우측 커버(230) 또는 좌측 커버(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커버 돌기(220)는 측벽 프레임(413) 및 가이드 배리어(433)에 대응한다.
일 실시 예로, 커버 돌기(220)는 커버 가이드 배리어(221), 커버 측벽 프레임(223) 및 절곡 프레임(225)을 포함한다. 커버 가이드 배리어(221)는 음향 송출부(300)의 일단에서 가이드 배리어(433)를 따라 연장된다. 커버 측벽 프레임(223)은 커버 가이드 배리어(221)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때, 커버 가이드 배리어(221)는 제1진동축(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곡 프레임(225)은 커버 가이드 배리어(221)의 단부에서 이격된 커버 측벽 프레임(223)의 단부에서 음향 송출부(300)를 향하여 절곡된다.
커버 돌기(220)는 측벽 프레임(413)과 가이드 배리어(433)에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돌기(220)는 가이드 배리어(433)와 측벽 프레임(413)의 내측에 삽입된다. 즉, 커버 돌기(220)의 외측면은 가이드 배리어(433)와 측벽 프레임(413)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밀착된다. 이에 의해, 스피커(100)에서 발생된 음향의 누설이 방지되고, 음향은 음향 송출부(300)로 안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템플 조립체
1000 : 안경
100 : 스피커
200 : 하우징
210 : 좌측 커버
220 : 커버 돌기
230 : 우측 커버
250 : 측면 프레임
300 : 음향 송출부
310 : 음향 유입구
330 : 음향 유출구
350 : 음향 안내용 내주면
400 : 지지 모듈
410 : 안착부
430 : 가이드부

Claims (11)

  1. 제1진동축을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스피커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배치되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유입을 위한 음향 유입구와, 음향 유입구에서 유입된 음향의 유출을 위한 음향 유출구, 및 음향 유입구에서 음향 유출구로 연장되어 음향을 안내하는 음향 안내용 내주면을 가지는 음향 송출부;및
    스피커에서 음향 송출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음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스피커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좌측 및 우측 커버; 및
    좌측 및 우측 커버의 사이를 차폐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측면 프레임은,
    좌측 및 우측 커버의 상단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
    좌측 및 우측 커버의 전단에 배치된 전방 프레임;
    좌측 및 우측 커버의 하단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 및
    좌측 및 우측 커버의 후단에 배치된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하부 프레임의 두께는 음향 송출부의 일단에서 후방 프레임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져 음향을 안내하는 음향 안내용 내주면을 형성하고,
    또한, 하부 프레임의 두께는 음향 송출부의 타단에서 전방 프레임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져 음향을 안내하는 음향 안내용 내주면을 형성하는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은 귀를 감싸게 소정 곡률로 연장된 곡면을 가지며,
    음향 송출부는 하부 프레임의 곡면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곡면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음향 유입구의 일단에서 음향 유출구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음향 안내용 내주면의 두께는 음향 유입구의 타단에서 음향 유출구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음향 안내용 내주면의 두께 보다 두꺼운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피커를 지지하며, 스피커의 전면 공간과 후면 공간을 분리하는 지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지지 모듈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피커를 지지하며, 스피커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관통홀 및 음향 송출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안착부는 스피커를 지지하는 안착 프레임과 안착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음향 유입구의 타단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 측벽 프레임을 포함하며,
    가이드부는 안착 프레임에서 음향 송출부를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 프레임과 가이드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음향 송출부의 일단에서 안착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 배리어를 포함하는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좌측 커버 또는 우측 커버는 측벽 프레임 및 가이드 배리어에 대응하여 돌출된 커버 돌기를 포함하는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커버 돌기는,
    음향 송출부의 일단에서 가이드 배리어를 따라 연장된 커버 가이드 배리어;
    커버 가이드 배리어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호 형상으로 연장된 커버 측벽 프레임; 및
    커버 가이드 배리어의 단부에서 이격된 커버 측벽 프레임의 단부에서 음향 송출부를 향하여 절곡된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커버 돌기는 가이드 배리어 및 측벽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된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11. 제 1 항의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안경.
KR1020200026933A 2020-03-04 2020-03-04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10215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933A KR102157575B1 (ko) 2020-03-04 2020-03-04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933A KR102157575B1 (ko) 2020-03-04 2020-03-04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575B1 true KR102157575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933A KR102157575B1 (ko) 2020-03-04 2020-03-04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5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75U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KR20180117125A (ko) * 2016-02-26 2018-10-26 유사운드 게엠바하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US20190273984A1 (en) * 2018-01-31 2019-09-05 Bose Corporation Eyeglass Headpho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125A (ko) * 2016-02-26 2018-10-26 유사운드 게엠바하 빔 형성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아이웨어
KR20170003975U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US20190273984A1 (en) * 2018-01-31 2019-09-05 Bose Corporation Eyeglass Headph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0710B2 (ja) ヘッドホン
US20210173232A1 (en) Glasses
CN111771387A (zh) 眼镜耳机
CN112913259A (zh) 声学设备
US20180068648A1 (en) Noise-cancelling headphone
KR101937032B1 (ko)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JP6668138B2 (ja) イヤホン
US11395060B2 (en) Receiver having pressure equilibrium structure
US20210352398A1 (en) Duct structure of earphone speaker unit
KR102107049B1 (ko)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US20220312098A1 (en) Acoustic device
KR102157575B1 (ko) 음향 지향성을 집중시킨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KR102110324B1 (ko) 음향 제어 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유닛
KR102205697B1 (ko)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102145400B1 (ko) 저음 성능 향상된 템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EP4270984A1 (en) Acoustic device
CN105828234A (zh) 一种耳机
US11895459B2 (en) Sound output device
US11317194B2 (en) Speaker
JP2019165420A (ja) ヘッドホン
CN213126383U (zh) 一种麦克风消噪结构、镜架和头戴式显示设备
KR20090035881A (ko) 디스플레이 기기
JP2020043547A (ja) イヤホン用スピーカ
KR102577012B1 (ko) 리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EP3219096B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