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669A -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669A
KR20180116669A KR1020170049283A KR20170049283A KR20180116669A KR 20180116669 A KR20180116669 A KR 20180116669A KR 1020170049283 A KR1020170049283 A KR 1020170049283A KR 20170049283 A KR20170049283 A KR 20170049283A KR 20180116669 A KR20180116669 A KR 2018011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lifting
suture
multifilament
body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209B1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17004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20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이 조절가능한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및 그를 이용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분해 속도가 상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들을 복수개로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그를 이용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 및 시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Biodegradable multi-component filament, surgical thread and operation tool for the lif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 속도가 상이한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braiding)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삽입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의 생분해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해되면서 조직 재생을 유도하여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의 탄력을 회복하기 위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얼굴이나 외부로 드러나는 신체 부위의 미용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고, 또한 최근 동안 열풍으로 인하여 '미인’이란 말보다 '동안'이란 말이 더 큰 칭찬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동안 시술이 성행중이며, 이러한 동안 시술의 대표적인 시술 중 하나가 실 리프팅(lifting) 시술이다. 이러한 실 리프팅 시술은 레이져와 수술의 중간 정도의 시술로서 일상생활에 크게 부담없이 수술에 버금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상기 실 리프팅 시술은 리프팅용 봉합사(50)를 늘어지고 처진 피부의 피하층에 삽입한 후, 피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리프팅하는 시술 방법이다.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삽입된 부위는 피부 탄력을 관장하는 콜라겐이 재생되어 주름과 피부 처짐 현상이 방지되고, 진피 내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피부의 탄력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실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봉합사는 여러 종류가 있고, 상기 봉합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실 리프팅 시술에 사용되는 봉합사에는 생체내 흡수성에 따라 시술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분해되어 생체 내로 흡수되는 흡수성 봉합사와, 시술한 조직이 접합된 후에도 분해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어서 재수술에 의해 제거해야 하는 비흡수성 봉합사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봉합사는 인체 내에 삽입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분해되어 강도가 저하된다. 그런데 봉합사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초기 강도, 강도 유지율 및 생분해 특성이 상이하다. 즉, 많이 사용되는 생분해성 봉합사는 대개 봉합시술 후 2주 후에 강도 유지율이 초기 강도의 50~80%로 감소되며 4주 후 에는 10~30% 정도까지 감소된다. 리프팅에 사용되는 폴리다이옥사논 봉합사는 4주후 60~80%까지 강도가 유지되며 6주 후에도 약 50% 정도의 강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리프팅 효과가 최대한 발현될 때 까지 봉합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 강도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5683호(2014.11.04.)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PCL(Poly-capcolactone), 폴리유산수지(Polylactic acid; PLA), 키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생분해성이 우수한 리프팅용 봉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리프팅용 봉합사는 단일 성분의 고분자 소재로 제조되어 생분해 속도 및 강도 유지율의 조절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010319호(1999.02.18.)에는 강도 유지율 및 생분해성이 조절가능한 2성분계 고분자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2성분계 수술용 봉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생분해성이 조절가능한 2성분계 고분자를 복합방사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그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고분자의 소재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흡수성 봉합사의 제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일 종류의 생분해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계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조하므로, 단일성분의 특성만을 갖게 된다. 또한 2성분계 흡수성 봉합사는 그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고분자의 소재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생분해 특성을 만족하는 최적의 특성을 가지는 봉합사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사유로 인체 내에서 생분해 속도가 상이한 다양한 고분자 소재를 활용하여 시술되는 신체 부위의 특성에 따라 생분해성과 강도 유지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생체 조직이 재생되어 접합될 때까지 일정 강도 이상을 유지하고, 시술이 간편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분해 속도가 상이한 복수의 모노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삽입시 모노 필라멘트의 생분해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해되면서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와 그 시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제조하기 위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는 생분해 속도가 상이한 복수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생분해 고분자 소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및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글리콜라이드(glycolide), 엘-락타이드(L-lactide), 디-락타이드(D-lactid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및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methylenecabonat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1 내지 500 데니어이며,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의 굵기는 0.03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합사 또는 블레이딩시 모노 필라멘트는 2~24가닥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합사시 추가로 꼬임(twist)이 부여될 수 있다.
또힌 본 발명은 상기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제공하며, 일측의 상단 끝부분으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침관상단 홀(30)을 포함하는 침관(20)과, 타측의 하단 끝부분에 위치하며,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와 결합되게 하는 침관 끝단부재를 포함하는 바늘(10)과;; 상기 홀침관끝단부재(40)와 결합되어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와; 상기 침관 상단 홀(hole, 30)에 삽입되어 안면 또는 신체에 삽입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를 포함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 시술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및 그를 이용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는 상기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에 따라 생분해 특성과 시술후 강도 유지율을 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안면 또는 신체에 시술한 후, 생체 조직이 재생되어 접합될 때까지 일정 강도 이상을 유지하고, 통증과 비용과 시술 횟수를 줄이고 간단히 시술할 수 있는 리프팅용 봉합사(50) 및 시술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는 복수개의 모노 필라멘트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되므로 일자 형태나 꼬아 놓은 형태 모두가 가능하고, 봉합사의 굵기를 조절이 가능하므로, 시술시 통증 및 시술의 횟수를 줄여 시술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a) 또는 블레이딩(b)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를 나타낸 사진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를 나타낸 사진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 및 시술 기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안면 및 신체의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는 polydioxanone(이하 PDO), poly-L-lactic acid(이하, PLLA), poly(ε-caprolactone)(이하 PCL) 또는 poly(glycolic acid)(이하 PGA)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섬유상으로 방사되어 제조된다. 이외에도 Poly(glycolic acid), poly(DETOSU-1,6 HD-t-CDM ortho ester), poly(DTE carbonate), poly(methyl 2-cyanoacrylate), poly(p-methyl phenoxy)(ethyl glycinato) phosphazene, poly(PCPP-SA anhydride) 등 많은 생분해성 고분자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을 섬유상으로 방사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중 PDO는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시 안전하고 시술시 이물감이 적다. 또한 통상적으로 시술후 몸 속에서 6개월에 걸쳐 분해가 일어난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PLLA는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시 몸 속에서 1년 내지 2년에 걸쳐 서서히 분해가 진행된다. 그러나 시술후 이물감이 느껴진다는 단점이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PCL은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시 몸 속에서 분해되는데 2년 정도가 소요되어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에 비해 지속기간이 길며, 또한 합성시 중합도에 따라 분해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PCL은 시술후 이물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인장 강도가 커서 시술시 끊어질 염려가 거의 없다.
Figure pat00003
그리고 PGA는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시 몸 속에서 분해되는데 60일 내지 90일이 소요되고, 콜라겐 단백질이나 항원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여 염증 반응이 경미하고 감염 속도가 낮은 장점이 있다.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는 상기 PDO, PLLA, PCL 또는 PG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는 파라-다이옥사논(p-dioxnaone), 글리콜라이드(glycolide), 엘-락타이드(L-lactide), 디-락타이드(D-lactid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methylenecabonate)의 6가지 모노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노 필라멘트 제조방법은,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용융한 후, 용융물을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시키고, 이어서 냉각 수조에서 고화한 후 연신하여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즉,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가 공급되는 호퍼와, 공급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용융하여 실과 같은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가공기와, 압출되어 뽑아져 나온 원사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부와, 냉각된 원사가 가열되어 연신(延伸) 되어지는 연신부와, 연신 되어진 원사가 이탈되지 않게 하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켜 단사없이 무사히 와인딩부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안내롤러로 구성되어지는 원사 생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모노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상기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굵기가 1 내지 5 데니어 정도로 방사되어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된 모노 필레멘트는 필요한 경우 다음 공정을 위하여 각각의 모노 필라멘트로 나누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의 분사 공정을 거치거나, 리와인딩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제조하기 위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는 도 1과 같이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복수개를 합사(合絲) 또는 블레이딩(braiding)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도 1의 (a)는 8가닥의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로 제조된 리프팅용 봉합사(50)의 모식도이며, (b)는 3가닥의 모노 필라멘트들이 블레이딩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로 제조된 리프팅용 봉합사(50)의 모식도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는 합사기를 이용하여 합사한다. 상기 합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원사를 합사시키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 때 합사시 꼬임(twist)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딩은 모노 필라멘트를 서로 교차하여 제작되는 제품의 긴 쪽 방향으로 섬유가 경사져 배향하고, 끝부분에서 되접어 꺽어 절단됨이 없이 연속된 상태로 제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블레이딩은 편조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항 제조된 멀티 필라멘트는 인장력이 커서, 시술후 외력에 의해 시술 부위가 잘 벌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합사 및 블레이딩 공정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 2~24가닥을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굵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가닥 이하의 모노 필라멘트가 합사 또는 블레이딩 되는 경우에는 봉합사의 인장 강도가 약하고, 시술후 강도 유지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시술 부위가 벌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24가닥 이상을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는 경우에는 봉합사의 굵기가 커서 시술시 출혈과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50)는 시술 부위의 조직 두께 또는 피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50)의 굵기를 변화하여 시술하여야 한다, 즉, 눈 밑 및 이마 등의 얇은 피부에 시술할 때에는 ?은 실을 사용하고, 안면 및 볼 등 피부가 두꺼운 시술 부위에는 굵은 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술 부위에 따라 리프팅용 봉합사(50)의 굵기를 결정하고,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는 모노 필라멘의 수를 증감하여 합사 또는 블레이딩함으로서 봉합사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용 봉합사(50)는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강도 유지율이 상이하다. 따라서 장기간의 강도 유지율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PLLA 또는 PCL로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를 위주로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며, 단기간의 강도 유지율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PGA 또는 PDO로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를 위주로 합사 또는 블레이딩한다. 이와 같이, 분해시 장기간이 소요되는 고분자 소재의 모노 필라멘트와 분해시 단기간이 소요되는 모노 필라멘트를 적절히 합사 또는 블레이딩함으로써 리프팅용 봉합사(50)의 시술후 강도 유지율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50)의 굵기는 시술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시술 부위의 진피층까지의 깊이 및 시술 범위 등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제조하기 위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의 굵기는 0.03 ~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봉합사의 길이는 시술의 범위에 따라 충분한 길이가 되면 무방하다. 즉, 얼굴(face) 주름의 리프팅용인 경우에는 20 ~ 200 mm 정도가 바람직하고, 바디(body) 주름의 리프팅용인 경우에는 경우에는 50 ~ 600 mm가 바람직하며,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용인 경우에는 100 ~ 900 m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는 상기와 같이 생분해 특성이 상이한 모노 필라멘트를 복수개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하며, 상기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안면 및 신체 부위를 리프팅하는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안면 및 신체 부위에 리프팅하는 시술 기구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용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80)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70)를 구비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80)를 나타낸 사진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80)는 일측의 상단 끝부분으로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침관상단 홀(30)을 포함하는 침관(20)과, 타측의 하단 끝부분에 위치하며,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60)와 결합되게 하는 침관끝단부재(40)를 포함하는 바늘(10)과; 상기 침관끝단부재(40)와 결합되어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60)와; 일부는 침관 상단 홀(30)을 통해 상기 바늘(10)에 삽입되고, 일부는 바늘(10)의 외부로 노출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를 구비하며, 상기 침관(20)의 외부로 노출된 리프팅용 봉합사(50)를 고정하기 위해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삽입되어 있는 침관(20)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부재(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80)를 구성하는 각 기술적 구성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늘(10)은 일측의 상단 끝부분으로 본 발명의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침관상단 홀(30)을 포함하는 침관(20)과, 타측의 하단 끝부분에 위치하며,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60)와 결합되게 하는 침관끝단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침관(20)의 내경은 규격화된 타입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관끝단부재(40)의 재질은 합성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나, 금속류의 재질도 가능하며, 상기 바늘(10)의 재질은 금속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침관(20)의 끝부분은 뾰족하거나 또는 둥근 형태의 모양이 가능하나, 이외의 다른 형태의 모양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침관상단 홀(30)의 형태는 원형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나,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사다리꼴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도 모두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60)는 상기 침관끝단부재(40)와 결합되어 시술자가 잡고 용이하게 시술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60)의 재질은 합성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나, 금속류의 재질도 가능하다.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50)는 상기 침관상단 홀(30)로 삽입되며, 바늘(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침관(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리프팅용 봉합사(50)의 일부가 침관상단 홀(30)을 통해 상기 바늘(10)에 삽입되고,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의 일부는 바늘(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본 발명의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가 완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일부는 바늘에 삽입되고, 또한 일부는 바늘의 외부로 노출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를 도시한 사진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50)는 합사 또는 블레이딩 공정에 의해 일자 형태 또는 꼬아 놓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따라 생분해 특성과 시술시의 강도 유지율을 임의 조절이 가능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 및 시술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모노 필라멘트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제조되므로 일자 형태나 꼬아 놓은 형태 모두가 가능하고, 봉합사의 굵기를 조절이 가능하므로, 시술시 통증 및 시술의 횟수를 줄여 시술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 및 시술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바늘, 20 : 침관, 30 : 홀, 40 : 침관끝단부재, 50 : 리프팅용 봉합사, 70 : 고정부재, 80 :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

Claims (8)

  1.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를 제조하기 위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로서,
    생분해 속도가 상이한 복수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생분해 고분자 소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및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고분자 소재는 파라-디옥사논(p-dioxanone), 글리콜라이드(glycolide), 엘-락타이드(L-lactide), 디-락타이드(D-lactid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및 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trimethylenecabonate)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가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1 내지 500 데니어이며,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의 굵기는 0.03 내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합사시 모노 필라멘트에는 추가로 꼬임(twist)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사 또는 블레이딩시 모노 필라멘트는 2~24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
  7.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로서,
    상기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
  8.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80)에 있어서,
    일측의 상단 끝부분으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침관상단 홀(30)을 포함하는 침관(20)과, 타측의 하단 끝부분에 위치하며,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와 결합되게 하는 침관 끝단부재를 포함하는 바늘(10)과;
    상기 홀침관끝단부재(40)와 결합되어 시술자가 잡고 시술하기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와;
    상기 침관 상단 홀(30)에 삽입되어 안면 또는 신체에 시술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50); 를 포함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시술 기구(80)

KR1020170049283A 2017-04-17 2017-04-17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KR10192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3A KR101925209B1 (ko) 2017-04-17 2017-04-17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3A KR101925209B1 (ko) 2017-04-17 2017-04-17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69A true KR20180116669A (ko) 2018-10-25
KR101925209B1 KR101925209B1 (ko) 2018-12-04

Family

ID=6413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83A KR101925209B1 (ko) 2017-04-17 2017-04-17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55B1 (ko) * 2019-11-06 2020-1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475A (ko) * 2019-04-04 2020-10-14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주사침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931B2 (en) * 2006-11-02 2013-01-15 Covidien Lp Long term bioabsorbable barbed su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55B1 (ko) * 2019-11-06 2020-1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이종소재 복합 시스-코어 필라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209B1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834B1 (en) Composite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
US8641732B1 (en) Self-retaining suture with variable dimension filament and method
EP2501300B1 (en) Braided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s
US20110282386A1 (en) Continuous-filament thread having a plurality of barbs and a barbed suture
US8876865B2 (en) Self-retaining sutures with bi-directional retainers or uni-directional retainers
CA2709328C (en) Self-retaining sutures with heat-contact mediated retainers
EP2427125B1 (en) Thread having coated anchoring structures for anchoring in biological tissues
US201100466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retainers on self-retaining sutures
WO2003083191A1 (en) Monofilament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373226A1 (en) Surgical thread with sheath-core construction
US11098422B2 (en) Method for forming a barbed suture and the barbed suture thus obtained
EP2427127B1 (en) Elastomeric thread having anchoring structures for anchoring in biological tissues
KR101925209B1 (ko)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KR20200145314A (ko)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KR102534808B1 (ko) 생분해성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사
KR20240052478A (ko) 봉합사 외주면의 전면에 걸쳐 미늘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외주면의 전면에 걸쳐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
Nambi Gowri et al. Mechanical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bioresorbable barbed sutures with different barb geome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