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475A - 주사침 세트 - Google Patents

주사침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475A
KR20200117475A KR1020190039627A KR20190039627A KR20200117475A KR 20200117475 A KR20200117475 A KR 20200117475A KR 1020190039627 A KR1020190039627 A KR 1020190039627A KR 20190039627 A KR20190039627 A KR 20190039627A KR 20200117475 A KR20200117475 A KR 20200117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uture
hub
cap
injec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미향
유재원
김민호
김영수
Original Assignee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김영수
김민호
신미향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김영수, 김민호, 신미향, 유재원 filed Critical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475A/ko
Priority to PCT/KR2019/016663 priority patent/WO2020204302A1/ko
Publication of KR2020011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61B17/3496Protecting sleeves or inner probes; Retractable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08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주사침을 효과적으로 밀봉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주사침의 수납성을 개선하는 주사침세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침 세트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타단은 니들과 결합된 허브가 형성되는 주사침, 상기 니들 및 허브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허브와 결합되는 보호캡 및 상기 허브의 일단을 둘러싸며 상기 허브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안전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침 세트{INJECTION NEEDLE SE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주사침 세트에 관한 것으로, 주사침을 안전하게 밀봉하는 주사침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인체에 약액을 주입하거나 인체에서 혈액을 채취하는 의료 시술에 사용되는 의료 기구이고 위생을 위해 주사침을 멸균 한 후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주사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니들(Needle)은 인체에 직접 접촉되므로 오염 방지를 위해 보호캡이 사용되고 있지만 니들과 결합된 허브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얇은 멸균지를 통해 밀봉되어 주사침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고 주사침들이 케이스에서 수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3945호는 주사기용 어댑터 세트 및 그를 포함한 주사기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8905호는 주사침 수납가능한 주사침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주사침들은 니들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수납성이 개선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주사침을 효과적으로 밀봉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주사침의 수납성을 개선하는 주사침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사침 세트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타단은 니들과 결합된 허브가 형성되는 주사침, 상기 니들 및 허브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허브와 결합되는 보호캡 및 상기 허브의 일단을 둘러싸며 상기 허브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안전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캡은 일단은 상기 허브의 일단을 둘러싸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보호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허브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보호캡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캡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캡, 상기 캡에서 상기 허브의 안쪽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캡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보호캡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커버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사침 세트는 상기 니들의 끝단에 결합되고, 흡수성 폴리디옥사논의 소재로 형성되는 봉합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사침 세트는 내부에 상기 안전캡들이 삽입되는 수납유닛들이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침세트는 보호캡의 외부로 노출된 주사침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안전캡을 통해 주사침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복수의 주사침들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수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주사침세트는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주사침들의 수납이 가능하고, 안전캡을 주사침에서 분리한 상태에는 재사용이 방지되어 위생상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침세트의 정면도 및 분해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주사침세트의 안전캡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주사침세트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 및 5들은 도 1의 봉합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 5는 도 3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주사침세트에 사용되는 주사침들을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침세트의 사용상태도 및 부분절개도들.
도 8은 도 7의 주사침세트의 일부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사침세트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침세트의 정면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주사침세트의 안전캡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주사침세트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침세트(100)는 주사침(200), 봉합사(300), 보호캡(400), 결합부(500), 안전캡(600) 및 봉인부(700)를 포함한다.
주사침세트(100)는 수술용 봉합사(300)가 결합된 주사침(200)을 사용함에 있어서 주사침(200)의 개봉전까지 안전하게 주사침(200)의 이송이 가능하고, 주사침(20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포함한다.
주사침(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에 해당하는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보호캡(4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주사침(200)이 보호캡(400)의 내부에 삽입 및 결합된 상태에서, 허브(202)의 일단은 보호캡(400)의 외부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의 끝단 외측면은 링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허브(202)의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보호캡(40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니들(204)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니들(204)과 결합되어 니들(204)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니들(204)의 일단은 허브(202)의 타단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허브(202)와 결합되고, 타단은 관 형태로 제1 방향(10)을 향해 연장되어 보호캡(400)의 내부에서 봉합사(300)와 연결된다.
봉합사(300)는 니들(204)의 타단과 연결되고, 외측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가시(Cog)들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각도를 달리하도록 형성되고, 보호캡(4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결합부(500)는 스펀지 소재로 제작되고, 니들(204)의 타단을 둘러싸는 원통형태로 니들(204)과 결합되며, 동시에 봉합사(300)와 결합되어 봉합사(300)를 니들(204) 주변에 고정시킨다.
보호캡(400)의 일단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허브(202)의 중앙부를 둘러싸고, 타단은 제1 방향(10)을 향해 연장되어 허브(202)의 타단 및 니들(204)을 밀봉한다.
안전캡(600)의 일단은 허브(202)의 일단을 둘러싸며 허브(202)의 저면과 밀착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및 안쪽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호캡(400)의 일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보호캡(400)과 밀착되며, 허브(202)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안전캡(600)에는 캡(620), 삽입부(640) 및 커버부(660)들이 형성된다.
캡(620)은 허브(202)의 일단을 둘러싸는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허브(202)의 일단 저면 및 외측면 일부분과 밀착되어 허브(202)와 밀착되며 허브(202)의 저면을 밀봉한다.
삽입부(640)의 일단은 캡(620)의 상부면 안쪽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캡(6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원통형으로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허브(202)의 일단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부(640)의 타단 끝단 외측면은 제1 방향(10)을 향해 외측면이 축소되며 연장되어 타단 외측면이 테이퍼(Taper)진 형태로 형성되며 테이퍼진 형태의 외측면에는 허브(202)의 내측면 및 제1 방향(1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이 형성된다.
삽입부(640)가 허브(202)의 일단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640)는 허브(202)의 내측면에 의해 삽입부(640)의 타단이 안쪽을 향해 이동하여 허브(202)의 내측면을 향해 복원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허브(202)와 결합된다.
커버부(660)의 일단은 캡(620)의 가장자리에 원통 형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보호캡(400)의 일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제1 방향(10)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허브(202)의 외측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안전캡(600)은 허브(202)의 일단 내측면 및 외측면들과 밀착된 상태로 제1 방향(10)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허브(202)와 결합되고, 보호캡(400)의 일단쪽에 노출된 허브(202)의 일부분을 외부와 차단시켜 허브(202) 및 니들(204)의 위생을 확보한다.
또한, 주사침세트(100)는 보호캡(400)의 타단이 상부를 향해 위치하고, 안전캡(600)이 하부를 향해 배치된 상태에서 안전캡(600)의 저면이 주사침세트(100)들을 보관하는 케이스의 내부 바닥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이물질에 의한 허브(202) 또는 니들(204)의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주사침세트(100)들은 개폐가 가능한 용기에 보호캡(400)이 상부를 향하고 안전캡(600)의 일단 저면이 용기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 내부에 거치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주사침세트(100)들을 격자 형태로 용기에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5들은 도 1의 봉합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 및 5들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봉합사(300)는 도 4 및 5들에 (a) 내지 (l)까지 도시되는 봉합사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되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각각은 흡수성 폴리디옥사논(Absorbent Polydioxanone)소재로 제작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봉합사(301)는 봉합사의 일단 일부분은 가시 형태로 형성되고, 봉합사의 타단 나머지 부분은 가시가 없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니들(204) 또는 결합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b)에 도시된 봉합사(302)는 중앙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봉합사(302)의 일단 또는 타단의 가시들이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가시들은 봉합사(302)의 일측 및 중앙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되며, 타단에 형성되는 가시들은 봉합사(302)의 일측 및 중앙을 향해 서로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C)에 도시된 봉합사(303)는 중앙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고 가시들이 봉합사(303)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형성되고, 일단에 형성되는 가시들은 중앙부와 이격되는 일단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에 형성되는 가시들은 중앙부와 이격되는 타단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d)에 도시된 봉합사(304)는 봉합사(304)의 일단, 중앙부 및 타단 일측면 전체에 일단 또는 타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로 가시들이 형성되고, 가시들 각각의 위치에서 가시들이 연장되는 방향쪽에는 날카로운 홈들이 형성된다.
(e)에 도시된 봉합사(306)는 일단에는 확대된 'A' 부분과 같이 가시들 각각이 봉합사(306)의 일측에서 타단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봉합사(306)의 중앙부에는 확대된 'B'부분과 같이 가시들 각각이 봉합사(306)의 일측에서 일단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봉합사(306)의 타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시들은 가시들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봉합사(306)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시들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봉합사(306)의 타단에 형성된 가시들은 봉합사(306)의 타단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f)에 도시된 봉합사(307)의 일단 일부분은 확대된 'C' 부분과 같이, 가시들이 봉합사(307)의 일측에서 타단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서 중앙부에 인접한 나머지 부분은 확대된 'D'부분과 같이 가시들이 봉합사(307)의 일측에서 일단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봉합사(307)의 중앙부는 가시들이 형성되지 않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고, 봉합사(307)의 타단 일측에는 확대된 'D' 부분과 같이 가시들이 봉합사(307)의 일측에서 일단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봉합사(307)의 타단에서 중앙부에 인접한 타단의 나머지 부분은 확대된 'C'부분과 같이 가시들이 봉합사(307)의 일측에서 타단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g)에 도시된 봉합사(308)의 일단은 확대된 'E' 부분과 같이, 가시들이 봉합사(308)의 일측 및 타측을 번갈아가면서 타단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고, 봉합사(308)의 중앙부까지 배치된다.
봉합사(308)의 타단은 확대된 'F' 부분과 같이, 가시들이 봉합사(308)의 일측 및 타측을 번갈아가면서 일단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고, 봉합사(308)의 중앙부까지 배치된다.
(h)에 도시된 봉합사(309)의 일단에서 중앙부까지의 일측면에는 봉합사(309)의 타단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된 3개의 가시들이 제1 그룹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룹의 가시들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봉합사(309)의 일단에서 중앙부까지의 타측면에는 봉합사(309)의 타단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된 3개의 가시들이 제2 그룹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룹의 가시들은 상기 제1 그룹들 사이의 위치에서 봉합사(309)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봉합사(309)의 타단에서 중앙부까지의 일측면에는 봉합사(309)의 일단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된 3개의 가시들이 제3 그룹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3 그룹의 가시들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봉합사(309)의 타단에서 중앙부까지의 타측면에는 봉합사(309)의 일단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된 3개의 가시들이 제4 그룹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4 그룹의 가시들은 상기 제3 그룹들 사이의 위치에서 봉합사(309)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i)에 도시된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봉합사(310)의 일단 외측면에서 타단 외측면 사이에는 가시들 각각이 봉합사(3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봉합사(310)의 외측면에서 나선 형태로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서 배치되고 각각이 봉합사(310)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120도 각도만큼 인접한 가시들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j)에 도시된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봉합사(311)의 일단 외측면에서 타단 외측면 사이에는 가시들 각각이 봉합사(31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봉합사(311)의 외측면에서 나선 형태로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서 배치되고, 각각의 가시들은 봉합사(311)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60도의 각도만큼 인접한 가시들과 이격되도록 봉합사(31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k)에 도시된 봉합사(31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물방울 형태의 돌기들이 봉합사(312)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l)에 도시된 봉합사(313)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의 일측 및 타측 외측면들 각각에 봉합사(313)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평행사변형 형태로 형성되는 가시들이 형성된다.
봉합사(313)의 일단 일측면에는 일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의 가시들이 서로 균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일단 타측면에는 일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의 가시들이 일단 일측면에 형성된 가시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봉합사(313)의 타단 일측면에는 타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의 가시들이 서로 균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타단 타측면에는 타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의 가시들이 타단 일측면에 형성된 가시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6은 도 1의 주사침세트에 사용되는 주사침들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 (1)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되는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대신하여 허브(212) 및 니들(214)들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14)에 연결되는 봉합사(300)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니들(214)에는 결합부(500)가 결합되어 봉합사(300)를 니들(214)에 고정시킬 수 있고, 1개의 봉합사(300)를 더 추가하여 봉합사(300)들이 꼬여있는 상태로 니들(214)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니들(214)에는 한 가닥의 봉합사(300)가 니들(214)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1개의 봉합사(300)를 추가하여 2가닥의 봉합사(300)들이 나선 형태로 니들(214)의 외측면에 꼬아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니들(214)에는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한 번의 매듭으로 니들(214)에 묶여지고 결합부(500)를 통해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이 니들(214)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니들(214)에는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복수개의 매듭으로 니들(214)에 묶여지고 결합부(500)를 통해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이 니들(214)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니들(214)에는 서로 꼬여져 있는 2개 이상의 봉합사(300)들의 일부분이 니들(214)에 연결되고, 2개 이상의 결합부(500)들을 통해 봉합사(300)들 각각의 나머지 부분들이 니들(214)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니들(214)에는 서로 꼬여 있는 2개 이상의 봉합사(300)들이 니들(214)에 연결되면서 니들(214)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고, 결합부(500)를 통해 니들(214)의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2)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되는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대신하여 허브(222) 및 니들(224)들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24)에 연결되는 봉합사(300)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니들(224)의 끝단은 니들(224)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부분이 절단된 형태로 형성되고,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은 니들(224)에 연결되며,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은 결합부(500)를 통해 니들(224)의 외측에 고정된다.
니들(224)의 외측면에는 날개형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고, 서로 꼬여 있는 두 가닥의 봉합사(300)들은 니들(224)에 끼워진 후 결합부(500)를 통해 봉합사(300)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니들(224)에는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니들(224)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면서 니들(224)의 외측면에 결합부(50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니들(224)에는 외측면에 니들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고,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니들(224)에 연결된 후 나머지 부분이 니들(224)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니들(224)에는 두 가닥의 봉합사(300)들 각각의 일부분이 연결될 수 있고, 봉합사(300)들 각각의 나머지 부분은 니들(224)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면서 결합부(500)들을 통해 니들(224)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니들(224)에는 서로 꼬여있는 두 가닥의 봉합사(300)들 각각의 일부분이 니들(224)에 연결되고,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으니들(224)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면서 복수의 결합부(500)들을 통해 니들(224)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니들(224)에는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모사 일부분이 니들(224)에서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고,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의 자사들이 상기 모사의 고리 안쪽에 끼워져 결합부(500)를 통해 니들(224)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3)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되는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대신하여 허브(232) 및 니들(234)들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34)에 연결되는 봉합사(300)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니들(234)의 끝단은 'C' 자 형태로 형성되고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니들(234)에 연결되며,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은 결합부(500)를 통해 니들(234)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4)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되는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대신하여 허브(242) 및 니들(244)들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44)에 연결되는 봉합사(300)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니들(242)의 끝단은 'L'자 형태로 형성되고,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니들(244)에 연결되며,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은 니들(242)의 외측면에 결합부(500)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니들(242)에는 니들(242)의 끝단에 인접한 위치에 니들(242)의 외측면을 감싸는 니들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고, 한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은 니들(242)의 끝단에 연결되며,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은 니들(242)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싼 후 한번 또는 두번 니들(242)의 외측면에 매듭지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니들(242)에는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모사 일부분이 니들(242)에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고,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의 모사의 자사들이 모사의 고리에 끼워져 결합부(500)를 통해 니들(242)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5)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되는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대신하여 허브(252) 및 니들(254)들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44)에 연결되는 봉합사(300)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허브(252)에 결합된 니들(254)은 끝단이 'N'자 형태로 형성되고,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이 니들(254)의 끝단에 연결되며,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은 결합부(500)를 통해 니들(254)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도 6의 (6)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되는 주사침(200)은 허브(202) 및 니들(204)을 대신하여 허브(262) 및 니들(264)들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64)에 연결되는 봉합사(300)는 봉합사(301, 302, 303, 304,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허브(262)에 결합되는 니들(264)의 끝단은 'W' 자 형태로 형성되고, 한 가닥의 봉합사(300)의 일부분은 니들(264)의 끝단에 연결되며, 봉합사(300)의 나머지 부분은 니들(264)의 외측면에 결합부(500)를 통해 고정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침세트의 사용상태도 및 부분절개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주사침세트의 일부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사침세트(120)는 안전캡(800) 및 케이스(9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주사침세트(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8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침세트(120)는 안전캡(800) 및 케이스(900)를 포함한다.
안전캡(800)은 커버부(820) 및 고정판(840)을 포함한다.
안전캡(8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은 캡 형태로 형성되어 주사침(200)의 일단 저면을 둘러싸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통 형태로 연장되어 주사침(200)의 일단에 인접한 외측면을 커버한다.
안전캡(800)은 주사침(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안전캡(800)의 일단측 내측면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환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주사침(200)의 일단 외측면에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안전캡(800)의 내측면 일부분은 안전캡(800)이 주사침(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주사침(200)이 안전캡(800)과 분리되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캡(800)의 일단 저면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하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후술할 수납유닛(960)에 형성되는 돌출부(964)가 삽입된다.
커버부(820)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 저면의 일부분은 직육면체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하부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고정판(840)의 일단은 커버부(820)의 일단 내측면에 연결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환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고정판(840)의 타단은 안전캡(800)이 주사침(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주사침(200)이 안전캡(800)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판(840)의 일단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커버부(820)의 내측면에는 링 형태로 커버부(820)의 외측면을 향해 함몰되어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해당 사용자가 커버부(820)의 외측면을 잡고 일단을 당기면 상기 가이드홈에 해당하는 커버부(820)의 외측면이 파손되면서 커버부(820)의 일단 및 외측면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된다.
커버부(820)의 일단이 외측면과 분리되면 안전캡(800)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주사침(200)의 재사용이 방지되고, 사용된 주사침(200)을 수납유닛(960)에 다시 거치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주사침(200)의 재포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케이스(900)는 용기(920), 커버(940) 및 수납유닛(960)들을 포함한다.
케이스(900)는 내부에 복수의 주사침(200)들이 배치될 수 있고 상부를 향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케이스(900) 내부의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9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용기(920)는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의 안전캡(800)들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유닛(960)들이 격자 형태로 용기(92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다.
커버(940)는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공간이 하부를 향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용기(920)의 일측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커버(940)의 일측을 축으로 회동시켜 용기(92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수납유닛(960)은 바디(962), 돌출부(964) 및 압박돌기(966)를 포함한다.
수납유닛(960)의 일단은 용기(920)의 내부공간에서 용기(92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수납유닛(960)의 내부공간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주사침(200)과 결합된 안전캡(800)은 수납유닛(960)의 타단을 지나 수납유닛(960)의 내부로 삽입되면, 안정적으로 용기(920)의 내부에 보관이 가능하고, 커버(940)를 통해 용기(92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주사침(200)들의 멸균이 용이하다.
또한, 수납유닛(960)의 내측면 일부분은 안전캡(800)에 삽입되거나 안전캡(800)을 압박하여, 사용자가 보호캡(400) 및 주사침(200)을 잡고 회전시킨 후 상부를 향해 당기면 안전캡(800)이 수납유닛(960)에 남겨진 상태로 주사침(200) 및 보호캡(400)들만 용기(9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962)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964)의 일단은 바디(962)의 일단 내측면 중앙에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안전캡(800)이 바디(962)의 내부에 삽입되면 안전캡(800)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봉인부(700)를 통해 주사침(200)과 연결된 안전캡(800)이 바디(962)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돌출부(964)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호캡(400) 및 주사침(200)을 회전시키면, 봉인부(700) 또는 커버부(820)의 일부분이 파손되고, 주사침(200) 및 보호캡(400)만을 용기(9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압박돌기(966)들 각각은 바디(962)의 타단 내측면의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바디(962)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압박돌기(966)들 각각은 안전캡(800)이 바디(962)의 내부에 삽입되면 바디(962)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안전캡(800)을 안정적으로 수납유닛(960)에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박돌기(966)들 각각은 안전캡(800) 및 봉인부(700)를 압박하여 봉인부(700) 및 안전캡(800)의 외측면의 접착력을 강화하고, 봉인부(700) 및 안전캡(800)의 접착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주사침(200) 및 보호캡(400)을 회전시키면, 봉인부(700)의 접착력이 커버부(820)의 외측면을 회전시켜 커버부(820)의 일단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주사침세트 200: 주사침
202: 허브 204: 니들
300: 봉합사 400: 보호캡
500: 결합부 600, 800: 안전캡
900: 케이스

Claims (5)

  1.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어 타단은 니들과 결합된 허브가 형성되는 주사침;
    상기 니들 및 허브의 타단을 커버하며 상기 허브와 결합되는 보호캡; 및
    상기 허브의 일단을 둘러싸며 상기 허브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안전캡;을 포함하는 주사침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일단은 상기 허브의 일단을 둘러싸는 캡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보호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허브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보호캡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캡;
    상기 캡에서 상기 허브의 안쪽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캡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보호캡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커버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끝단에 결합되고, 흡수성 폴리디옥사논의 소재로 형성되는 봉합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안전캡들이 삽입되는 수납유닛들이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침 세트










KR1020190039627A 2019-04-04 2019-04-04 주사침 세트 KR20200117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27A KR20200117475A (ko) 2019-04-04 2019-04-04 주사침 세트
PCT/KR2019/016663 WO2020204302A1 (ko) 2019-04-04 2019-11-29 주사침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27A KR20200117475A (ko) 2019-04-04 2019-04-04 주사침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475A true KR20200117475A (ko) 2020-10-14

Family

ID=7266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627A KR20200117475A (ko) 2019-04-04 2019-04-04 주사침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17475A (ko)
WO (1) WO2020204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4150B2 (en) * 2020-05-12 2024-02-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afety need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841A (en) * 1961-05-24 1963-08-27 Mfg Process Lab Inc Needle package
KR101556479B1 (ko) * 2014-10-02 2015-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침 세트
KR20160106884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미용용 실 삽입도구
KR101879955B1 (ko) * 2016-11-25 2018-07-18 최근욱 스틱 인저리 방지 기능을 갖는 채혈, 약물 주입용 기구
KR101925209B1 (ko) * 2017-04-17 2018-12-04 김태영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와 이를 이용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시술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302A1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634B2 (en) Method of storing both new and used pen needles
US8887912B2 (en) Living hinge needle assembly for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8336151B2 (en) Microbial scrubbing device
US9352140B2 (en) Medical component scrubbing device with detachable cap
US8671496B2 (en) Insert for a microbial scrubbing device
US4183431A (en) Access suture package
JP5635984B2 (ja) トレイ組立品
JP2017522985A (ja) 針先端部構造
GB1582265A (en) Hypodermic syringe
KR20200117475A (ko) 주사침 세트
US6394987B1 (en) Portable disinfectant apparatus
US7059368B2 (en) Needle guide
RU177743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иоматериала
US3212670A (en) Dispensing container for vaccinating needles
US20040153022A1 (en) Medicinal germfree dry smearing piece attached on a shell containing germfree medicinal solution
KR20140008875A (ko) 일회용 소독용구
RU153619U1 (ru) Флакон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и нанесения жидкого средства
IT8948447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 tubulazioni di guide utilizzate in flaconi di sangue e simili
TWM469068U (zh) 藥物塗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