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71A - 평균율 단소 - Google Patents

평균율 단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71A
KR20180116071A KR1020170049269A KR20170049269A KR20180116071A KR 20180116071 A KR20180116071 A KR 20180116071A KR 1020170049269 A KR1020170049269 A KR 1020170049269A KR 20170049269 A KR20170049269 A KR 20170049269A KR 20180116071 A KR20180116071 A KR 2018011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tongue
hole
cut
d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일
Original Assignee
이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일 filed Critical 이희일
Priority to KR102017004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071A/ko
Publication of KR2018011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소의 취구부 내경, 외경, 두께 그리고 취구의 각도 및 지공간의 거리를 데이터화하여 일률적인 단소를 제작토록 함으로서 평균율에 맞게 똑같은 음을 낼 수 있음은 물론 초보자들도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한 평균율 단소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소본체의 전체길이는 410mm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4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341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고, 상기 3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305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며, 상기 2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249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고, 상기 1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211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평균율 단소{A DANSO}
본 발명은 평균율 단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소의 취구부 내경, 외경, 두께 그리고 취구의 각도 및 지공간의 거리를 데이터화하여 일률적인 단소를 제작토록 함으로서 평균율에 맞게 똑같은 음을 낼 수 있음은 물론 초보자들도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한 평균율 단소에 관한 것이다.
단소는 국악 연주에 쓰이는 국악기 중에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소리가 청아하고 맑은 대중적인 목관 악기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단소 연주는 일반인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국악 연주 분야일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초등과정을 포함하는 교과 과정에 일 과목으로 반영되어 있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통 단소는 단소 연주자의 입술과 접촉하는 면이 원형 평면의 수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소를 배우고자 하는 일반인 또는 입문자들은 그 구조적 특성상 단소 내부로 입김을 불어 넣기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부터 단소 연주에 대한 흥미를 잃고,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입문자의 경우 호흡이 고르지 못하거나, 입김이 불규칙하게 들어가는 경우, 또는 입술의 모양과 위치가 잘못된 경우 등이 단소 연주의 어려움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단소는, 계면단소로서, 정면, 위로부터 1번지공, 2번지공, 3번지공 및 4번지공이 형성되고, 배면, 상부부분에 뒷지공이 형성되며, 정면상단에 취구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소는 통상 대나무를 깍아 제작하게 되는 데, 이러한 단소 제작에는 아직까지 표준으로 정해진 규격이 없이, 이미 만들어져있는 악기를 표본으로 해서 눈대중이나 어림짐작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더욱이 대나무로 만든 단소는 대나무 자체의 내경과 두께, 외경이 모두 틀려서 취구를 아무리 잘 깍아도 음정의 피치나 음력의 차이가 조금씩 나타나 일률적인 평균율을 내는것이 불가능함으로서 단소의 대중화 및 세계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대나무로 만든 단소는 모든 단소의 내경과 두께, 외경이 틀려서 취구를 아무리 잘 깍아도 일률적인 소리를 내게 할 수 없어
더욱이 서양 음악은 7음 음계를 사용하는 데, 다섯 개의 지공만을 가진 전통단소로는 7음계의 연주가 어렵다. 즉, 7음을 모두 내기 위해서는 일부 지공의 반을 막아 음을 만들어내는 반규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초보자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일 뿐만 아니라, 전문가라 할지라도 빠른 악곡을 연주해야 할 경우 정확한 음정(예: C음을 2번지공을 반개한 상태로 연주함에 따라 정확한 C음을 발생시키기 어려움)을 내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1-0001568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소의 내경, 외경, 두께 그리고 취구의 각도 및 지공간의 거리를 데이터화하여 일률적인 단소를 제작토록 함으로서 평균율에 맞게 똑같은 음을 낼 수 있음은 물론 초보자들도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한 평균율 단소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전, 후면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단소 본체, 상기 단소 본체의 전방에 형성되는 취구부, 상기 단소 본체의 전면에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1번 내지 4번지공 및 상기 단소 본체의 배면에 관통 형성되는 뒷지공으로 구성한 단소에 있어서, 상기 단소본체의 전체길이는 410mm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4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341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고, 상기 3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305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며, 상기 2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249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고, 상기 1번지공은 상기 단소본체의 취구부에서 211mm 떨어진 지점에 6.5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구부는 내경을 13mm, 외경을 18mm, 그리고 두께를 2.5mm 가지도록 제작하며, 상기 취구부의 일측에는 취구를 함몰 형성하되, 상기 취구는 가로길이 8mm, 세로길이 4mm로 제작하고, 상기 취구의 내주면은 배면쪽에서 전면쪽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45°경사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소의 내경, 외경, 두께 그리고 취구의 각도 및 지공간의 거리를 데이터화하여 일률적인 단소를 제작토록 함으로서 누가 불더라도 기술적인 부분이 정확하다면 평균율에 맞게 정확하게 음을 낼 수 있으며, 또한 일반적인 단소보다 소리를 내기 쉬워서 초보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어 단소의 대중화 및 세계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소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하나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된 평균율이라 함은 단소마다 음의 차이가 나지 않고 누가 사용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음이 나오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소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균율 단소는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전, 후면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단소 본체(10), 상기 단소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취구부(20), 상기 단소 본체(10)의 전면에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1번 내지 4번지공(40, 50, 60, 70) 및 상기 단소 본체(10)의 배면에 관통 형성되는 뒷지공(8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단소본체(10)의 길이는 410mm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단소본체(10)의 길이에 맞추어 각 지공들의 거리 그리고 취구부(20)의 치수 데이터를 접목시켰을 때, 평균율을 구사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는 단소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평균율 단소를 제작할 때, 상기 취구부(20)의 치수 즉, 취구부(20)의 내경, 두께 및 외경 그리고 지공간의 거리를 데이터화한 후,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단소를 제작토록 함으로서 평균율에 맞게 똑같은 음을 낼 수 있는 단소를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누가 불더라도 기술적인 부분이 정확하다면 평균율에 맞게 정확하게 음이 나와야 한다는 것과 종래의 일반적인 단소보다 소리를 내기 쉬워서 초보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소를 제작토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취구부(20)의 내경, 두께 및 외경 그리고 지공간의 거리를 데이터화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단소를 제작함으로서 위 목적 즉, 평균율을 내면서도 누구나 쉽게 소리를 낼 수 있는 단소를 제작할 수 있었다.
먼저, 취구부(20)는 단소의 소리를 내기 위한 곳으로서, 상기 취구부(20)의 일측에는 단소로 입김을 불어넣기 위한 취구(30)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취구부(20)는 입술이 두꺼운 사람들과 입술이 가늘고 얇은 사람들이 각각 소리를 내었을 때, 소리가 다르게 날 수 있음으로 입술이 두꺼운 사람 및 가는 사람 모두가 소리를 무리 없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적의 취구부 데이터값을 찾아야 하며, 본 발명자는 무수한 실험을 거쳐 취구부(20)의 내경을 13mm, 외경을 18mm, 그리고 두께를 2.5mm 제작하였을 때, 누구나 쉽게 단소의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취구부(20)가 만들어지고 나면 상기 취구부(20)의 일측에 언급한 취구(30)를 형성하여야 하는 데, 이때의 취구(30)는 가로길이 8mm, 세로길이 4mm로 제작하고, 상기 취구의 내주면에는 배면쪽에서 전면쪽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45°경사(R)지도록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취구(30)의 치수 데이터로 단소를 제작토록 하여 누구나 쉽게 단소의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음은 물론 최적의 상태로 소리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단소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1번 내지 4번지공(40, 50, 60, 70) 그리고 뒷지공(80)은 데이터에 근거한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형성시켜 평균율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단소의 길이를 410mm로 하고 취구의 길이와 각도를 만든 상태에서 지공을 하나도 내지 않은 상태에서 두 개의 파음(G4, E5)이 나오면 된다. 이런 상태에서 5개의 지공을 하나씩 순서대로 평균율에 맞게 내야한다.
먼저, 4번지공(7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341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때의 4번지공(70)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소를 불면, 솔음(A4, A5)이 난다.
3번지공(6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305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때의 3번지공(60)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소를 불면, 라음(B4, B5)이 난다. 상기 3번지공과 4번지공의 거리차이는 36mm이다.
2번지공(5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249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때의 2번지공(50)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소를 불면, 도음(D5, D6)이 난다. 상기 2번지공(50)과 3번지공(60)의 거리차이는 56mm이다. 이때 2번지공(50)을 형성한 상태에서 3번지공(60)을 막고 부르면 시음(C5#, C6#)이 난다.
1번지공(4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211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때의 1번지공(40)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소를 불면, 레음(E5, E6)이 난다. 상기 1번지공(40)과 2번지공(50)의 거리차이는 38mm이다.
그리고 단소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뒷지공(80)은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180mm 떨어진 지점에 6.5mm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때의 뒷지공(80)을 형성한 상태에서 단소를 불면, 미음(F5#)이 나고, 그리고 상기 뒷지공(80)과 2번지공(50)을 막고 강하게 불면 높은 미음(F6#)이 나며, 제일 높은 3옥타브의 파음(G6)은 1번지공(40)과 2번지공(50)을 막고 강하게 불면 되고, 제일 높은 3옥타브의 솔음(A6)은 뒷지공(80), 1번지공(40) 그리고 3번지공(60)을 막고 강하게 불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뒷지공(80) 그리고 1번지공 내지 4번지공(40, 50, 60, 70)의 위치를 정확히 수치로 데이터화한 상태로 단소를 제작함으로서 누가 불더라도 정확한 평균율을 낼 수 있으며, 더욱이 7음계의 평균율을 구사하여 단소의 깊고 맑은 소리로 유리의 전통 정악, 가요, 가곡, 팝송 등 모든 음악의 연주가 가능해진다.
10: 단소본체 20: 취구부
30: 취구 40: 1번지공
50: 2번지공 60: 3번지공
70: 4번지공 80: 뒷지공

Claims (2)

  1.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전, 후면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 단소 본체(10), 상기 단소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취구부(20), 상기 단소 본체(10)의 전면에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1번 내지 4번지공(40, 50, 60, 70) 및 상기 단소 본체(10)의 배면에 관통 형성되는 뒷지공(80)으로 구성한 단소에 있어서,
    상기 단소본체(10)의 전체길이는 410mm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4번지공(7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341mm 떨어진 지점에 6.5mm 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고;
    상기 3번지공(6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305mm 떨어진 지점에 6.5mm 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며;
    상기 2번지공(5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249mm 떨어진 지점에 6.5mm 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고;
    상기 1번지공(40)은 상기 단소본체(10)의 취구부(20)에서 211mm 떨어진 지점에 6.5mm 지름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균율 단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구부(20)는 내경을 13mm, 외경을 18mm, 그리고 두께를 2.5mm 가지도록 제작하며;
    상기 취구부(20)의 일측에는 취구(30)를 함몰 형성하되, 상기 취구(30)는 가로길이 8mm, 세로길이 4mm로 제작하고, 상기 취구(30)의 내주면은 배면쪽에서 전면쪽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45°경사(R)지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균율 단소.
KR1020170049269A 2017-04-14 2017-04-14 평균율 단소 Ceased KR20180116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69A KR20180116071A (ko) 2017-04-14 2017-04-14 평균율 단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69A KR20180116071A (ko) 2017-04-14 2017-04-14 평균율 단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71A true KR20180116071A (ko) 2018-10-24

Family

ID=6413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69A Ceased KR20180116071A (ko) 2017-04-14 2017-04-14 평균율 단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49B1 (ko) 2022-05-26 2023-02-28 민민에듀 주식회사 단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49B1 (ko) 2022-05-26 2023-02-28 민민에듀 주식회사 단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8312A (en) Golf putter
JP2010026111A (ja) 金管楽器のマウスピース
US7326840B2 (en) Mouth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KR20180116071A (ko) 평균율 단소
CN207397687U (zh) 一种24孔重音口琴
US10699680B2 (en) Elliptical high-mass mouthpiece for brass musical instruments
US6872876B2 (en) Ocarinas with an inner liner and an outer shell
CN106940994A (zh) 用于优化音质的流线型古琴腹腔结构
JP5716150B2 (ja) リン
CN205004020U (zh) 一种简易笛子
JP3191831U (ja) リン
KR101812481B1 (ko) 색소폰 마우스피스용 공명 스티커
US3198054A (en) Musical instrument of the wind type
CN107924670A (zh) 竖笛弱音器
CN207704844U (zh) 一种可调节长度的唢呐
US9613601B1 (en) Minawi straw
US1092507A (en) Musical instrument.
JP2005266732A (ja) 打楽器
Fader Development of the Flute From Pre-history to Modern Days
JPH0234715Y2 (ko)
JP2003036075A (ja) ボックスドラム及びボックスドラムセット
JPH0664458B2 (ja) 管楽器の歌口
WO2000065570A1 (fr) Bec de saxophone
US2268641A (en) Reed for musical instruments
KR101812479B1 (ko)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