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68A - 의자용 목 베개 - Google Patents

의자용 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68A
KR20180116068A KR1020170048850A KR20170048850A KR20180116068A KR 20180116068 A KR20180116068 A KR 20180116068A KR 1020170048850 A KR1020170048850 A KR 1020170048850A KR 20170048850 A KR20170048850 A KR 20170048850A KR 20180116068 A KR20180116068 A KR 2018011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neck pillow
neck
pillow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옥
Original Assignee
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옥 filed Critical 정병옥
Priority to KR102017004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068A/ko
Publication of KR2018011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볼 때,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 지지되는 뒷머리 받침부와 상기 뒷머리 받침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경추 받침부가 경추 형태에 맞게 만곡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경추 받침부와 뒷머리 받침부의 뒷면에 삽입구의 지퍼를 여닫아 조절부재를 수납하여, 받침부의 두께(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갖추고, 목 베개 본체의 상단에 조절끈이 연결된 태엽 케이스에 내장된 태엽이 장착되고, 태엽 케이스에 스토퍼가 장착되어 조절끈의 길이를 조절, 목의 위치에 맞게 목 베개를 이동 배치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목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의 사용은 장시간의 업무에도 머리의 하중이 목 베개를 통해 의자 등받이로 분산되는 비율이 높아져서, 피로의 누적이 현저히 감소되고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크다.

Description

의자용 목 베개{neck Pillows for chairs}
본 발명은 의자에 장착 사용하는 의자용 목 베개로; 사용자의 체형과 의자에 앉는 습관 및 자세에 맞게 의자용 목 베개의 두께(높이) 조절과, 목 베개의 높이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의자용 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운전, 미싱, 컴퓨터 등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고정된 자세의 업무 직종이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직업병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장시간 동안 고정된 자세로 앉아 업무를 보다보다 보면, 고정된 자세로의 피로와 머리의 하중으로 인한 피로가 복합 누적되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의자 즉 운전석에 앉아 운전하는 경우, 브레이크 작동 등의 작은 반동은 물론, 충돌 시의 큰 충격 시는 정신적인 긴장과 신체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의자용 목 베개는, 베개를 바닥에 두고 위에 누워서 사용하는 일반 베개와 달리, 수직으로 앉은 자세에서 사용하는 의자용 목 베개는, 경추부(목과 뒷머리)와 목 베개 간에는 목을 숙였다 폈다 하면서 접촉과 분리가 되풀이 되게 된다.
또한 머리의 하중으로, 척추의 굴곡 상태가 누웠을 때 보다 심하여, 의자 등받이와의 공간의 차이가 사람에 따라 크게 달라, 같은 두께(높이)의 목 베개가 모두에게 맞을 수가 없는 바, 의자용 목 베개의 두께를 사용자에게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꼭 필요하다.
누워 사용하는 일반 베개는 베개가 놓인 위치에 맞춰 사람이 눕게 되지만, 의자에서는 사용자의 앉은키에 의해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높이 위치가 정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위치한 높이에 목 베개가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차 운전석의 경우, 장시간 동안 운전을 하다보면 피로가 누적되어 휴게소에 들려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상체를 비스듬히 뉘인 자세에서 잠시 눈을 붙이고 피로를 풀고 난 후, 운전을 하게 된다.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의자 좌판과 등받이(50) 간의 각이 벌어져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위치가 등받이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목 베개가 있는 위치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 수단으로 안출된 것으로
의자용 목 베개의 두께(높이) 조절 수단은 조절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포켓을, 경추지지부와 뒷머리 지지부 뒷면에 형성하고, 수납 포켓의 규격에 맞는 일정 두께의 조절부재를 가감 수납함으로서 해결될 수가 있다.
또한, 의자용 목 베개의 높이 위치 조절 수단은 목 베개의 상단에 조절 끈이 연결된 스토퍼를 갖춘 태엽(스프링)을 장착하고, 조절끈의 다른 끝을 등받이 상단(헤드 레스트)에 장착 고정한다. 상기 조절 끈을 늘리거나 줄여 목 베개를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위치에서 스토퍼로 고정하여 목 베개를 이동 배치 장착 사용토록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 베개는 앉은키가 다른 사람이 업무를 보게 되거나, 의자 등받이(50)를 뒤로 젖히고 몸을 뉘인 상태에서 편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 수단으로 안출된 것으로
의자용 목 베개의 두께(높이) 조절 수단은 조절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포켓을, 경추지지부와 뒷머리 지지부 뒷면에 형성하고, 수납 포켓의 규격에 맞는 일정 두께의 조절부재를 가감 수납함으로서 해결될 수가 있다.
또한, 의자용 목 베개의 높이 위치 조절 수단은 목 베개의 상단에 조절 끈이 연결된 스토퍼를 갖춘 태엽(스프링)을 장착하고, 조절끈의 다른 끝을 등받이 상단(헤드 레스트)에 장착 고정한다. 상기 조절 끈을 늘리거나 줄여 목 베개를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위치에서 스토퍼로 고정하여 목 베개를 이동 배치 장착 사용토록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 베개는 앉은키가 다른 사람이 업무를 보게 되거나, 의자 등받이(50)를 뒤로 젖히고 몸을 뉘인 상태에서 편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용 목 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곡선 형태에 맞출 수 있도록 목 베개의 경추 받침부와 뒷머리 받침부의 두께를 따로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경추와 의자 등받이와의 간극을 줄이고, 의자용 목 베개의 높이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춤으로서, 앉은 자세에서의 목에 가해지는 하중이 의자 등받이로 분산되어, 장시간의 업무로 인해 누적되는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운전자의 의자에서는 운전자의 등과 목 그리고 뒷머리로 이어지는 굴곡에 맞춰 지지함으로서 브레이크 제동은 물론, 충돌하게 될 때, 반동의 여지가 최소화되어 있어, 정신적 긴장의 완화는 물론, 신체적인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차량 의자에 장착된 의자용 목 베개의 경우, 휴게소 등에서 의자 등받이(50)를 뒤로 젖히고 몸을 뉘여 쉴 때, 하방으로 낮아지는 목의 높이에 맞게 의자용 목 베개 높이의 위치를 하방으로 용이하게 조절 장착 사용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의 구조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자세로 앉아있을 때, 의자용 목 베개가 의자에 장착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비스듬히 누웠을 때,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위치에 맞게 의자용 목 베개를 하방으로 이동 장착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1에 도시된 목 베개에서 조절끈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도5에 도시한 의자용 목 베개를 정자세로 앉았을 때의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위치한 위치에 목 베개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상기 도5에 도시한 의자용 목 베개를, 의자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누웠을 때,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놓이는 위치에 맞게 하방으로 이동, 장착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1)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1)의 구조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1)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의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용 목 베개(1)의 뒷머리 받침부(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 뒷머리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뒷머리가 안착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경추 받침부(10)는 뒷머리 받침부(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의 뒷머리가 뒷머리 받침부(20)에 안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경추의 C자형 형태에 맞게 전방으로 돌출, 만곡지게 형성한다.
의자 사용자 체형의 조건이나 베개(1)가 놓이는 위치가 바뀌었을 때, 달라질 수 있는 의자 등받이와 사용자의 경추부(목과 뒷머리) 간의 차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목 베개(1)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의자용 목 베개(1)의 경추 받침부(10)와 뒷머리 받침부(20)의 뒷면에 조절부재(13, 2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포켓(11, 21)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포켓(11, 21)은 조절부재(13, 23)를 수납하고, 조절부재 삽입구(12, 22)의 지퍼를 여닫아 조절부재(13, 2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한다.
조절 부재(13, 23)는 미리 정해진 일정 두께의 중경도 재질로 각각의 포켓(11,21) 규격에 맞는 플레이트 형상의 복수개의 두께조절 부재(13, 23)가 구비되어진다.
의자용 목 베개(1)의 재질은 사용자의 피로감이 최소화되도록 쿠션감이 좋은 우레탄폼으로 형성하고 천이나 레자로 감싸여지게 된다.
또한, 의자용 목 베개(1)를 사용자의 앉은키나 의자 등받이(50)를 뒤로 젖히고 몸을 뉘어 휴식을 취할 때, 달라지는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놓이는 위치에 목 베개(1)를 설치, 사용하기 위해, 의자용 목 베개(1)의 뒷머리 받침부(20)의 상단 중앙부에, 조절끈(34)이 연결된 케이스(32)에 내장된 태엽(31)을 장착하고, 조절 끈(34)의 반대 쪽 끝을 의자 등받이(50)의 상단 중앙에 조절끈 고정부(40)를 장착, 고정시킨다.
특히 태엽(31)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태엽 케이스(32)에 내장되고, 태엽 케이스(32)에는
태엽(31)의 동력을 차단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33)가 구비되어, 적정 길이의 높이에서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3은 사용자가 의자에 정자세로 앉아 있을 때, 의자용 목 베개(1)가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놓이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사용자가 의자 등받이(50)를 뒤로 젖히고, 비스듬히 누워 휴식을 취할 때,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위치에 맞게, 목 베개(1)가 이동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3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에 따라 다른, 앉은키의 차이에 맞는 위치에 목 베개(1)를 장착, 도3과 같이 사용하다가 앉은키가 다른 사람이 앉거나 휴식을 취하고자 의자 등받이(50)를 뒤로 젖히고 비스듬히 누워 휴식을 취할 때,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위치의 높이에, 태엽(31)의 조절끈(34)을 늘려 적절한 길이에서 스토퍼(33)로 고정하여 도4와 같이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높이 위치에 목 베개(1)를 쉽게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100)의 위치를 이동 장착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5는 상기 도1의 의자용 목 베개(1)에서 높이 위치 조절 수단(30)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6은 사용자가 의자에 바로 앉아 있을 때, 사용자의 경추부(목과 뒷머리) 높이의 위치에 목 베개(10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의자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고자, 의자 등받이(500)를 뒤로 젖히고 몸을 뉘인 상태에서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의자용 목 베개(100)를 이동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5 내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목 베개(100)는, 도1의 두께 조절의 수단(30)과 같이, 설명이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하면, 의자 등받이(500)의 상단을 씌우도록 제작된 일정 규격의 등받이 커버(510)의 전면 중앙에 일정규격의 걸림고리 벨크로(550)를 부착하고, 목 베개의 뒷면은 갈고리 벨크로(150)를 부착 처리하여, 목 베개(100)가 의자 등받이(500)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목 베개(100)를 사용자의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는 경추부(목과 뒷머리) 높이의 위치에 목 베개(100)를 장착 사용하고, 의자 등받이(500)를 뒤로 젖히고 몸을 뉘어 휴식을 취할 때 등은, 하단으로 이동되는 사용자의 경추부(목과 뒷머리)의 위치에 맞춰, 목 베개(100)를 쉽게 이동시켜 장착, 사용토록 형성한다.
장시간 동안 고정된 자세로의 피로와, 머리의 하중으로 인한 피로가 누적되어 업무의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의자용 목 베개(1, 100)를 사용함으로써 피로의 누적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운전석에 상기의 목 베개(1, 100)를 장착 사용함으로써 운전으로 인한 긴장과 피로가 줄어들어 안전 운전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모두 포함할 것이다.
1 : 의자용 목 베개
10 : 경추 받침부
11 : 경추받침부 조절부재 수납포켓
12 : 경추받침부 높이조절부재 삽입구
13 : 경추받침부 조절부재
20 : 뒷머리 받침부
21 : 뒷머리받침부 조절부재 수납포켓
22 : 뒷머리 받침부 조절부재 삽입구
23 : 뒷머리 받침부 조절부재
30 : 높이 위치 조절수단
31 : 태엽
32 : 태엽 케이스
3 : 3스토퍼
34 : 조절 끈
40 : 조절끈 고정부
50 : 의자 등받이
100 : 목 베개
110 : 경추 받침부
111 : 경추받침 수납포켓
115 : 경추 받침부 조절부재
120 : 뒷머리 받침부
121 : 뒷머리받침 수납포켓
125 : 뒷머리받침부 조절부재
150 : 목 베개 뒷면 갈고리 벨크로
500 : 의자 등받이
510 : 등받이 커버
550 : 등받이 전면 걸림고리 벨크로

Claims (4)

  1. 의자 등받이와 의자 사용자의 경추부(목과 뒷머리)와의 사이 공간을 적절한 두께(높이)로 받쳐 줄 수 있도록 목 베개의 뒷머리 받침부와 경추 받침부 뒷면에 일정한 규격의 두께 조절부재를 수납할 수 있는 조절부재 수납포켓을 설치하여 목 베개의 두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과, 상기 목 베개를 사용자의 경추부(목과 뒷머리)가 위치하는 높이의 위치에 목 베개를 이동 조절 장착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목 베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목 베개의 뒷머리 받침부와 경추 받침부의 뒷면에 일정 규격의 조절부재 복수개를 수납할 수 있는 두께조절부재 수납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포켓에 조절부재를 가감 수납하여 목 베개의 두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목 베개.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길이 조절 끈이 연결된 태엽 케이스에 내장된 태엽이 목 베개의 상단에 장착되고, 조절끈의 반대쪽 끝은 등받이의 상단 중앙에 장착 고정하고, 태엽 케이스에 장착된 스토퍼로 조절 끈을 일정 길이에서 고정, 목 베개의 높이 위치에 목 베개를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목 베개.
  4. 의자 등받이 상단을 감싸 씌우도록 제작된 커버의 전면 중앙에, 정해진 규격의 걸림고리 벨크로를 부착하고, 목 베개의 뒷면에 갈고리 벨크로를 부착하여 등받이와 목 베개 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의자용 목 베개를 위아래로 쉽게 이동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목 베개.


KR1020170048850A 2017-04-16 2017-04-16 의자용 목 베개 KR20180116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850A KR20180116068A (ko) 2017-04-16 2017-04-16 의자용 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850A KR20180116068A (ko) 2017-04-16 2017-04-16 의자용 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68A true KR20180116068A (ko) 2018-10-24

Family

ID=6413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850A KR20180116068A (ko) 2017-04-16 2017-04-16 의자용 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0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250B2 (en) Back support
JP6741425B2 (ja) 姿勢保持具
JP2010505507A5 (ko)
JP2006020733A (ja) 車両用シート
WO2006119351A2 (en) Maternity pillow
JP6028108B2 (ja) 椅子
US20150189996A1 (en) Cushioning system
US20110031790A1 (en) Selective Stabilization Seatback Support Assembly
US20170361747A1 (en) Portable lumbar support apparatus
US8469449B2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KR20180116068A (ko) 의자용 목 베개
US20220225779A1 (en) Piano bench
KR101495603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WO2008054225A1 (en) Chair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0439162Y1 (ko) 의자용 요추 완충장치
JP7300223B1 (ja) カスタムクッション式シートバック
US20110095582A1 (en) Head supporting device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JP2010142365A (ja) 着座姿勢調整装置
US20080150336A1 (en) Back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