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546A -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546A
KR20180115546A KR1020170048013A KR20170048013A KR20180115546A KR 20180115546 A KR20180115546 A KR 20180115546A KR 1020170048013 A KR1020170048013 A KR 1020170048013A KR 20170048013 A KR20170048013 A KR 20170048013A KR 20180115546 A KR20180115546 A KR 2018011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heat
composition
isorhamne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서은
최재환
이승지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04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546A/ko
Publication of KR2018011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61K39/001136Cytokines
    • A61K39/00114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61K39/001154Enzymes
    • A61K39/001158Proteinases
    • A61K39/001159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은 열에 의해 증가하는 TRPV1의 발현을 억제하고, MMP-1 및 인터루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바, 피부 열 노화 및 열에 의한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rmal skin aging comprising Inula britannica extracts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표피 및 표피 부속기, 진피 표피 경계부, 진피(유두진피, 그물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자외선, 적외선, 대기오염과 같은 물리적 요인과 활성산소와 같은 내적 요인, 스트레스 등이 존재한다.
피부노화는 크게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노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을 말하며, 광노화는 태양광, 추위, 바람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오랫동안 노출된 얼굴, 손등, 목 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한다. 광노화 현상은 내인성 노화에 비해 거친주름, 색소침착, 피부탄력 손실, 피부암 등과 같은 깊은 연관이 있지만, 자외선의 노출을 피하면 이를 예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 적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발생하게 되는 열노화가 노화의 한 종류로 주목받고 있다.
열노화란 피부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피부 속에 있는 기질단백질분해효소 등과 같은 다양한 효소들이 영향을 받아 피부 붉어짐 및 피부 건조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피부 세포 손상에 따른 피부 노화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광노화와는 별개로 열에 의하여 발생된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이를 치료하는 물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선복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것으로 꽃과 잎이 무성하고 둥근 것이 아래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선복(旋覆)이라 불리며, 식용 및 한방에서 약용으로 쓰이고 있다. 선복화는 뭉친 기를 순환시켜 풀어주어 가래나 기침, 딸꾹질, 트림, 천식, 만성기관지염, 급성늑막염, 가슴이 항상 그득한 것처럼 답답한 증상에 쓰며 입덧, 유암, 유옹 등에 사용한다. 또한, 약리작용으로 기관지의 항경련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나, 선복화의 열노화 억제 기작에 대해서는 어떠한 것도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열노화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선복화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이 효과적으로 피부 열노화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특허출원번호 10-2012-0023754 국내특허출원번호 10-2015-0044313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은 열에 의해 증가하는 TRPV1의 발현을 억제하고, MMP-1 및 인터루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바, 피부 열 노화 및 열에 의한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열처리 조건에서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한 TRPV1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섬유아세포에 열처리 후,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한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각질형성세포에 열처리 후,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한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열처리 조건에서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한 p-ERK 및 p-P38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열처리 조건에서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한 p-c-jun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열처리 조건에서 선복화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인터루킨-6(IL-6)의 생성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열처리 조건에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한 인터루킨-6(IL-6)의 생성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선복화"는 국화과의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japonica(Thunb.) Franch. & Sav)의 꽃을 말린 약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캠퍼롤(kaempferol)"은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은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선복화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 추가로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한 분획물이 본 발명의 "추출물"에 넓은 범위에서 포함된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에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v/v) 에탄올이다.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에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수득한 분획물을 포함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노화"는 정상 피부 온도인 37℃ 초과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8도 내지 60℃의 온도에서 발생한 노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피부 온도가 37℃를 초과하게 되면, 열에 의해 혈관 면적이 증가하고 콜라겐 섬유 및 탄력 섬유가 파괴되어 피부 노화가 가속된다.
상기 열노화는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흡연, 음주, 화상, 열성 홍반 및 장시간 운동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가 열에 노출되어 피부 온도의 상승으로 발생하는 피부 노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은 열에 의해 증가하는 TRPV1의 발현을 억제하고, MMP-1 및 인터루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바, 피부 열 노화 및 열에 의한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화장품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능성 화장품(cosmedical, cosmeceutical)"이란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기능이 도입되어, 일반 화장품과 달리 생리활성적인 효능, 효과가 강조된 전문적인 기능성을 갖는 제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 열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는 제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 스크린 크림 또는 선오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열노화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제화가 어렵고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열노화를 방지하거나, 열노화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 또한 식품 조성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또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 (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 (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 (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 (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 (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 (예, 라면 스프 등), 식품첨가제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써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에 의한 피부 질환"은 열에 의한 화상, 땀띠 또는 열성 홍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원인으로 분류하면 화염화상, 열탕화성, 전기화성, 화학화성 및 접촉 화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화염화상은 화재사고나 가스의 폭발로 인하여 화상을 입는 것이고, 상처가 깊고 호흡기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열탕화상은 뜨거운 물이나 수증기 등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경우이다. 주로 2도 화상이 많다. 전기화상은 전류가 몸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화상으로 보통은 고압선 작업이나 우연한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이다. 화학화상은 산, 알칼리 및 유기용매 등의 접촉에 의하여 일어나는 화상이다. 접촉화상은 감각이 떨어진 당 환자 등에서 뜨거운 온돌방이나 전기장판 등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다. 화상의 깊이에 따라, 1도 화상, 2도 화상, 3도 화상 및 4도 화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1도 화상은 피부의 상피층만 손상이 된 화상을 의미하고, 2도 화상은 피부의 상피층 및 진피층의 일부까지 손상된 화상을 의미한다. 3도 화상은 피부의 상피층, 진피층은 물론 피하조직까지 손상된 화상이며, 4도 화상은 피부의 모든 층과 함께 피하 근육, 힘줄, 신경 또는 골조직까지 손상된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상기 화상의 원인 및 깊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화상에 의한 노화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성 홍반"은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된 후 발생하는 그물 모양의 색소침착 피부 병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1일 1 mg/kg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0 mg/kg 내지 500 mg/kg일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이 포함되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로써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의약외품에 포함시킬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크림제, 로션제, 에어로졸제, 샴푸제, 젤제 또는 팩제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안정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pH 조정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선복화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선복화(금불초 꽃) 1.5 kg을 70%(v/v) 에탄올 15L에 넣은 후, 6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0.45 um 페이퍼 필터를 통해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상기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완전 제거한 후, 농축액 70g을 얻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득한 농축액을 선복화 추출물로써 이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캠퍼롤 및 이소람네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선복화 추출물에 500mL의 정제수를 넣고 분산시킨 후 n-헥산(hexane) 500mL을 이용하여 비극성 성분을 제거하였으며,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00mL을 넣고 분획한 층을 감압농축하여 1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물로부터 캠퍼롤 및 이소람네틴을 분리하였으며, 이의 구체적인 화학 구조를 각각 화학식 1 및 2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실험예 1. 열 유도 TRPV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피부 세포에 열을 가하면 ROS가 발생하여 교원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가 증가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사이토카인의 합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피부세포에 존재하는 TRPV 수용체가 피부 온도변화를 인지하는 것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이에 따라 TRPV1의 매개 MMP-1 유발 억제를 통한 열노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열(43℃)에 30분간 노출된 각질형성세포 HaCaT(immortal keratinocyte cell line)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선복화 추출물(25~100ug/ml),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1.25~5u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한 후, TRPV1 항체(Santa Cruz:sc-398417)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및 이소람네틴은 농도 의존적으로 열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TRPV1을 억제함으로써 열노화 방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열 유도 MMP -1 (Matrix metalloproteinase -1)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콜라겐을 분해하고 노화를 촉진하는 효소인 MMP-1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열(42 또는 43℃)에 30분간 노출된 섬유아세포 또는 각질형성세포 HaCaT(immortal keratinocyte cell line)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선복화 추출물(25~100ug/ml),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캠퍼롤(1.25~5ug/ml) 또는 이소람네틴(1.25~5u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MMP-1 ELISA kit(Santa Cruz:sc-398417)를 이용하여 세포 내 MMP-1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피부의 온도보다 높아질 경우(42 또는 43℃), 섬유아세포(도 2) 및 각질형성세포(도 3) 모두에서 MMP-1의 생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및 이소람네틴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생성이 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선복화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30% 에탄올 추출물 보다 1/10의 낮은 농도에서도 유사한 수준의 열노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험을 통해 확인한 MMP-1 생성 억제가 어떠한 신호전달 경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열(43℃)에 30분간 노출된 각질형성세포 HaCaT(immortal keratinocyte cell line)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선복화 추출물(25~100ug/ml),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캠퍼롤(1.25~5ug/ml) 또는 이소람네틴(1.25~5u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한 후, MMP-1 생성 억제 신호전달 경로인 p-ERK(Cell Signaling, #4370), p-P38(Cell Signaling, #9215) 및 p-c-jun(Cell Signaling, #3270)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 및 캠퍼롤은 p-ERK 및 p-p38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열에 의해 증가하는 MMP-1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 및 이소람네틴은 p-c-ju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열에 의해 증가하는 MMP-1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은 ERK 및 c-jun 신호전달 체계를 모두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열 유도 IL-6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열노화를 촉진하고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IL-6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열(42℃)에 30분간 노출된 섬유아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선복화 추출물(25~100ug/ml),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캠퍼롤(2.5~10ug/ml) 또는 이소람네틴(2.5~10u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IL-6 ELISA kit(R&D systems:D6050)를 이용하여 IL-6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을 처리할 경우, 열에 의해 유도된 IL-6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일련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선복화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은 열에 의해 증가하는 TRPV1의 발현을 억제하고, MMP-1 및 인터루킨-6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바, 피부 열노화 및 열에 의한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 1. 산제의 제조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2-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 0.5 %
베타-1,3-글루칸 1.0 %
부틸렌글리콜 2.0 %
프로필렌글리콜 2.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
폴리솔베이트 80 0.4 %
에탄올 10.0 %
트리에탄올아민 0.1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2-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의 제조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 0.5 %
베타-1,3-글루칸 1.0 %
밀납 4.0 %
폴리솔베이트 60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
유동파라핀 0.5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3.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2-3. 영양크림의 제조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 또는 이소람네틴 1.0 %
베타-1,3-글루칸 5.0 %
밀납 10.0 %
폴리솔베이트 60 1.5 %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
유동파라핀 10.0 %
스쿠알란 5.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
글리세린 5.0 %
부틸렌글리콜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
트리에탄올아민 0.2 %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

Claims (9)

  1.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노화는 38℃ 내지 60℃의 온도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복화 추출물은 50 내지 80 %(v/v)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또는 인터루킨-6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에 의한 피부질환은 화상, 땀띠 또는 열성 홍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 예방의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선복화 추출물, 캠퍼롤(kaempferol) 또는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을 포함하는 열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70048013A 2017-04-13 2017-04-13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KR20180115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13A KR20180115546A (ko) 2017-04-13 2017-04-13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13A KR20180115546A (ko) 2017-04-13 2017-04-13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46A true KR20180115546A (ko) 2018-10-23

Family

ID=6410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013A KR20180115546A (ko) 2017-04-13 2017-04-13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5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115753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60054673A (ko) 마치현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379698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재생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47591B1 (ko)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160054681A (ko) 원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5546A (ko) 선복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열노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454515B1 (ko) 베라트릭 산 또는 이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60869B1 (ko) 헵타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30139952A (ko) 천년초 및 금화규 유래의 식물성 콜라겐,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220003850A (ko)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4069A (ko) 참외 줄기 또는 오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4670A (ko)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503588B1 (ko)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