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426A -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426A
KR20180115426A KR1020170047735A KR20170047735A KR20180115426A KR 20180115426 A KR20180115426 A KR 20180115426A KR 1020170047735 A KR1020170047735 A KR 1020170047735A KR 20170047735 A KR20170047735 A KR 20170047735A KR 20180115426 A KR20180115426 A KR 20180115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fixing structure
beverage pack
pack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훈
양재만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426A/en
Publication of KR2018011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 for a beverage having a straw fixing structure. The pack for a beverage allows a person to easily drink contents to the end by putting a straw therein, and a straw fixing structure fixating the straw inside the pack for a beverage is provided.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side of one edge among vertical edges of the pack for a beverage and fixated to enable a lower end of the straw to be positioned on a floor of the edge where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erson to drink the contents at the last by using the straw without tilting the pack for a beverage.

Description

빨대 고정 구조물이 구비된 음료용 팩{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ack having a straw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빨대 고정 구조물이 구비된 음료용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물이 음료용 팩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전 빨대를 용이하게 고정한 후 음료용 팩의 하부에 남아있는 마지막 음료까지도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 고정 구조물이 구비된 음료용 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ack provided with a straw fix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fixing a straw, which is provided inside a beverage pack to easily fix a straw before a user drinks the bever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ack having a straw fixing structure for allowing even the last beverage remain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w to be easily consumed.

음료용 팩이란 우유 또는 각종 음료를 넣고 밀봉시켜 보관하도록 하고 음용 시 쉽고 간편하게 팩을 개봉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beverage pack is to store milk and various beverages in a sealed container, and to easily and easily open the pack when drinking.

통상, 우유 등을 담는 음료용 팩의 경우에는 상부에 표시된 안내에 따라 팩의 상부를 개봉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개봉된 상부에 입을 대고 마시는 것은 여러가지로 불편할 뿐 아니라 자칫 잘못하면 음료를 흘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팩을 기울이지 않고도 쉽게 마실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는 빨대를 꽂아 섭취한다. Generally, in case of a beverage pack containing milk or the like, the upper part of the pack can be opened and drunk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shown at the upper par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rink the beverage at the opened top, In general, it is recommended to use a straw so that you can drink easily without tipping the pack.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는 제대로 우유를 섭취하기 어려우므로 빨대를 꽂아 음료를 마시게 한다. Especially, in case of a child, it is difficult to properly feed milk without using a straw, so a straw is inserted to drink.

그런데, 빨대로 우유 등의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 음료의 마지막 부분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우유 팩을 기울이거나 빨대를 기울여서 빨대의 하단을 우유 팩의 모서리에 맞추고 빨아들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when drinking a milk or other drink with a straw,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milk pack was tilted or the straw was tilted to fit the bottom of the straw to the corner of the milk pack and to suck it in order to consume the last portion of the drink.

이는 빨대를 맞추는 불편함도 초래하지만, 음료를 모두 섭취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에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suffers from the inconvenience of matching straws, but it is difficult to receive all the drinks.

한국등록특허 제10-1184045호.Korean Patent No. 10-118404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음료용 팩의 내부에 담겨진 음료를 마지막까지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빨대를 고정할 수 있는 관 형태의 구조물을 음료용 팩 안에 구비하여, 특히 어린아이와 같은 경우 우유 팩을 기울이지 않고 섭취할 수 있으므로 우유를 흘리는 일 없이 끝까지 마실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음료용 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pack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tube capable of fixing a straw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pack can be easily consumed until the e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pack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user to drink the beverage without tipping the milk because the beverage can be ingested without tipping the milk pa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빨대를 꽂아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 팩으로서, 상기 음료용 팩의 내부에 상기 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빨대 고정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빨대의 하단이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이 설치된 모서리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고정 가능하여, 상기 음료용 팩을 기울이지 않고도 상기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pack for allowing a straw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wherein a straw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straw inside the beverage pack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adjacent to one of the corners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everage pack and is fix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raw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rner where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can be finally consumed by using the straw without tipping the beverage pack.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개봉부에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vertically oriented edge of the beverage pack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내부 하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하면에서 소정만큼 위로 올라오는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aw fixing structure may be form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so as not to directly touc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본 발명에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w fixing structure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and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한편,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이 설치되는 음료용 팩의 상면에는 상기 빨대를 꽂으면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perforated lin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in which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such that a hole is formed when the straw is inserted.

또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음료용 팩을 개봉한 후 개봉부를 통해 상기 빨대를 꽂기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aw fixing structure may have a shape of an upper light-tight shape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straw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fter opening the beverage pack.

이뿐 아니라,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모서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빨대를 꽂기 용이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traw fixing structure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corner of the beverage pack,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o easily insert the straw.

본 발명에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상기 음료용 팩의 내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w fixing structure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 for beverage deployed in the course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pack.

또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료용 팩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료용 팩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분리한 후 접어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raw fixing structur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verage pack, and the beverage pack may be partially cut off or folded after the beverage pack is manufactur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빨대를 고정할 수 있는 관 형식의 구조물을 음료용 팩 안에 구비하여 빨대가 고정될 수 있어서 마지막 음료들까지도 기울이지 않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aw-like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straw can be provided in a beverage pack, so that the straw can be fixed, so that even the last beverage can be easily ingested without being til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내부에 빨대를 꽂아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 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음료용 팩(10)은 내부에 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빨대 고정 구조물(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p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w fixing structure (20) capable of fixing a straw therein, .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빨대의 하단이 음료용 팩(10)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빨대를 고정하여, 상기 음료용 팩(10)을 기울이지 않고도 상기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can secure the straw so that the bottom of the straw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everage pack 10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onsumed for the last time by using the straw without tilting the beverage pack 10 .

이를 위해,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상기 음료용 팩(10)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12) 내부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즉, 통상의 우유 팩과 같은 음료용 팩(10)은 개봉하기 위한 상부를 제외하고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구조이므로 4개의 수직방향 모서리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상기 음료용 팩(10)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For this purpose,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installed adjacent to inside any one of the vertical edges of the beverage pack 10. That is, since the beverage pack 10 such as a normal milk pack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except for the upper part for opening, four vertical edges are provided. 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stalled inside any one of the vertical edges of the beverage pack (10).

여기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용 팩(10)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개봉부에 인접한 모서리(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n edge 12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corner of the beverage pack 10.

즉, 음료용 팩(10)의 상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열어 빨대를 꽂기 용이하려면 수직방향 모서리 중에서도 개봉부에 인접한 2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빨대 고정 구조물(20)이 설치되어야 한다. That is, in order to open the open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verage pack 10 and make it easy to insert the straw,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should be installed on any one of the two corners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이와 같은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그 하단이 상기 음료용 팩(10)의 내부 하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음료용 팩(10)의 바닥면에서 소정만큼 위로 올라오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form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does not directly touc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즉,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이 음료용 팩(10)의 바닥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그 사이에 공간(14)을 띄어 놓아야 빨대를 꽂았을 때 빨대가 모서리 하부(16)에 닿게 됨으로써, 빨대를 통해 음료의 마지막까지 섭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음료용 팩(10)의 바닥면에서 소정만큼 위로 올라오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상기 개봉부에 인접한 2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남겨진 음료를 쉽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not formed up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but the space 14 must be spaced therebetween so that the straw touches the bottom edge 16 when the straw is stuck, So that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formed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At this time,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installed in any one of two corners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so that the drink left on the floor can be easily consumed.

이러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상기 모서리(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빨대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12 and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raw.

이 경우,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이 설치되는 음료용 팩(10)의 상면에는 상기 빨대를 꽂으면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취선(18)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erforated line 1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where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installed, so that a hole is formed when the straw is inserted.

즉,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이 설치된 상기 모서리(12)의 상부에 해당하는 음료용 팩(10)의 상면에 절취선(18)이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18)에 빨대를 꽂으면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에 빨대가 들어가게 되어 음료를 마시기도 쉬울뿐더러 팩이나 빨대를 기울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음료의 마지막까지 용이하게 마실 수 있게 된다. That is, a perforated line 1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edge 12 on which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is installed so that 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line 18, It is easy to drink a beverage because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structure (20), and it is possible to drink easily until the end of the beverage without the trouble of tipping the pack or the straw.

또한, 도 2에는 통상적인 우유 팩에 빨대 고정 구조물(20)과 절취선(18)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두유 팩과 같이 직육면체의 음료용 팩에 빨대 고정 구조물(20)을 적용할 수 있다. 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traw fixing structure 20 and a perforated line 18 are formed on a conventional milk pac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beverage pack f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can be applied.

통상 두유와 같은 장기보존 가능한 팩은 종이에 은박 또는 비닐 코팅한 소재로 직육면체의 형상의 팩을 사용하며, 특히 팩 상부 일단에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빨대를 꽂고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을 팩의 모서리에 설치하면 상기 구멍에 빨대를 꽂음과 동시에 빨대가 빨대 고정 구조물(20)에 유입되어 내용물을 쉽게 끝까지 마실 수 있게 된다. Generally, long-shelf packs such as soy milk are packed in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silver or vinyl coated paper, and are provided with a hole for plugging the straw at the top of the pack, . In this case, when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pack,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straw is introduced into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consumed.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 팩은 모서리(12)에 길게 설치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에 빨대(2)가 꽂혀진 상태로 제품으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빨대(2)가 노출된 부위에는 비닐 커버가 씌워짐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제3 실시예는 별도로 빨대를 꽂지 않고 빨대(2)의 비닐 커버만 제거하면 바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3, the beverage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ckaged and sold in a state that the straw 2 is inserted into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provided on the edge 12 at a long distan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vinyl cover is covered on the exposed part of the straw 2. In the third embodiment, if only the plastic cover of the straw 2 is removed without plugging the straw separately, So it has a very convenient advantage.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30)은 음료용 팩(10)을 개봉한 후 개봉부를 통해 상기 빨대를 꽂기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음료용 팩(10)을 개봉한 후 개봉부를 통해 빨대를 꽂는 것도 용이하지만, 상기 절취선(18)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절취선(18)의 형성범위를 좀더 넓게 가질 수 있으므로, 음료용 팩(10)의 제조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traw fixing structure 3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vertical barrel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straw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fter opening the beverage pack 10. In this case, it is easy to insert the straw through the unsealing portion after the beverage pack 10 is opened. However, even when the perforated line 18 is formed, since the forming range of the perforated line 18 can be made wider, The manufacture of the pack 10 may be easier.

이와 같은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은 그 길이가 길게 또는 짧게 형성함도 가능하다. 도 5에서는 관형의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20)이 짧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길이가 짧은 빨대 고정 구조물(20)의 경우 음료용 팩(10)을 개봉한 후 개봉부를 통해 상기 빨대를 빨대 고정 구조물(20)에 꽂을 때 긴 길이의 빨대 고정 구조물(20)보다 용이할 수 있으며, 그 형성위치는 모서리(12)의 하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may be long or short. 5 shows that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of a tubular shape is formed short. In the case of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having a short length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raw is inserted into the straw fixing structure 2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fter opening the beverage pack 10, And its forming position is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dge 1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팩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the beverag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 실시예에서의 빨대 고정 구조물(50)은 상기 음료용 팩(10)의 모서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빨대(2)를 꽂기 용이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straw fixing structure 5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rner of the beverage pack 10 and has a rectangular shape for easy insertion of the straw 2.

이와 같은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50)은 상기 음료용 팩(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상기 음료용 팩(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관형의 빨대 고정 구조물 또는 사각형 형상의 빨대 고정 구조물(50)은 음료용 팩(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용 팩이 펼쳐진 상태에서 음료용 팩 내면에 부착되어 설치한 후, 음료용 팩을 접는 등의 다음 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The straw fixing structure 5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10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pack 10. That is, the tub-type straw fixing structure or the rectangular-shaped straw fixing structure 50 is attach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pack is unfold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pack 10, It may b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ollowing process such as folding the pack is carried out.

또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50)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50)이 상기 음료용 팩(10)과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료용 팩(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료용 팩(10)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분리한 후 음료용 팩(10)의 접는 공정을 통해 빨대 고정 구조물(5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When the straw fixing structure 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traw fixing structure 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verage pack 10. That is, in the course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pack 10, the straw fixing structure 50 may be formed through the folding process of the beverage pack 10 after the beverage pack 10 is partially cut or separated It is.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용 팩(10)의 모서리 하부에 설치된 빨대 고정 구조물(50)에 빨대(2)가 꽂혀진 상태로 음료용 팩을 포장하여, 사용자가 팩의 상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빨대(2)가 외부로 노출되어 바로 음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when the straw 2 is inserted into the straw fixing structure 5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edge of the beverage pack 10, the beverage pack is packed, The straw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able to drink immediately.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빨대를 고정할 수 있는 관 형태의 빨대 고정 구조물을 음료용 팩 안에 구비하여, 특히 어린아이와 같은 경우 우유 팩을 기울이지 않고도 음료를 끝까지 섭취할 수 있으므로 우유를 흘리는 일 없이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traw-type straw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straw is provided in a beverage pack,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hild, a beverage can be completely ingested without tilting the milk pack. There is an effect.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겸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에서 제시되는 구조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원에서 제시한 빨대 고정 구조물은 매우 다양한 구조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teachings and capabilities of the invention. .

10: 음료용 팩 12: 모서리
14: 여유 공간 16: 모서리 하부
20, 30, 40, 50: 빨대 고정 구조물
10: Beverage pack 12: Corner
14: free space 16: bottom edge
20, 30, 40, 50: straw fixing structure

Claims (9)

내부에 빨대를 꽂아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 팩으로서,
상기 음료용 팩의 내부에 상기 빨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빨대 고정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빨대의 하단이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이 설치된 모서리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고정 가능하여, 상기 음료용 팩을 기울이지 않고도 상기 빨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마지막까지 음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A beverage pack for inserting a straw in the inside to make it possible to drink contents easily to the last,
And a straw fix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straw inside the beverage pack,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provided adjacent to one of the corners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everage pack and is fix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raw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rner where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Wherein the straw can be used to drink the contents for the last time without tilting the stra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수직방향 모서리 중 개봉부에 인접한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at an edge of the vertically oriented edge of the beverage pack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내부 하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하면에서 소정만큼 위로 올라오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form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so as not to directly touch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관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formed in a long tubular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이 설치되는 음료용 팩의 상면에는 상기 빨대를 꽂으면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취선이 형성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erforated lin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in which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the perforation line being formed when the straw is insert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음료용 팩을 개봉한 후 개봉부를 통해 상기 빨대를 꽂기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has a shape in which the straw is opened so as to easily insert the straw through the opening portion after opening the beverage pac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의 모서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빨대를 꽂기 용이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corner of the beverage pack and has a rectangular shape for easy insertion of the straw.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상기 음료용 팩의 내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7,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stalled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everage pack unfolded in the course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pack.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 구조물은 상기 음료용 팩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음료용 팩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료용 팩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분리한 후 접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팩.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raw fixing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everage pack, and a part of the beverage pack is cut or separated after folding the beverage pack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everage pack.


KR1020170047735A 2017-04-13 2017-04-13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KR201801154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35A KR20180115426A (en) 2017-04-13 2017-04-13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35A KR20180115426A (en) 2017-04-13 2017-04-13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26A true KR20180115426A (en) 2018-10-23

Family

ID=6410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35A KR20180115426A (en) 2017-04-13 2017-04-13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4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en) Cup
US20180044054A1 (en) Container for encasement
KR200490841Y1 (en) Disposable Cup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US20120145571A1 (en) Plastic bottle having a depression for receiving a drinking straw
KR100872185B1 (en) cup having an inhole tube
KR20180115426A (en) Drink Pack with Straw Fixing Structure
JP3180950U (en) Paper pack with straw
KR100440593B1 (en) the cover of disposable vessel
KR102099903B1 (en) Food container having dual receptacles
KR20190073720A (en) Folding cup holder
KR20110037186A (en) Standing pouch having straw
CN110870651A (en) Combined straw container
KR100456030B1 (en) Standing pouch having straw
US20160095456A1 (en) Cup holder with a handle
KR200185021Y1 (en) A drink container for internal type of a straw
KR200461046Y1 (en) Beverage containers
US11465821B1 (en)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KR102114856B1 (en) Package for containing sanitary gloves or sanitary bag
WO2017155383A1 (en) Device for mixing and sealing beverages contained in a container such as a disposable cup
KR100855300B1 (en) Packge pouch for liqid
KR20110005335U (en) Drink vessel having straw
JP6953654B2 (en) Cup holder
JP2009298451A (en) Cake storage container made of synthetic resin
KR20130011057A (en) Beverage containers
JP2002145359A (en) Straw-equipped beverage-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