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398A -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398A
KR20180115398A KR1020170047672A KR20170047672A KR20180115398A KR 20180115398 A KR20180115398 A KR 20180115398A KR 1020170047672 A KR1020170047672 A KR 1020170047672A KR 20170047672 A KR20170047672 A KR 20170047672A KR 20180115398 A KR20180115398 A KR 2018011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rket
prosumer
data block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590B1 (ko
Inventor
신지강
김준성
박희정
최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4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590B1/ko
Priority to PCT/KR2017/008537 priority patent/WO2018190473A1/ko
Publication of KR2018011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프로슈머가 참여할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시장을 프로슈머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며, 검증된 시장의 참여자 정보를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시장 검색 및 참여부, 판매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 거래 계약을 관리하고 전력 계량 데이터를 토대로 전력 거래 계약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거래 관리부, 및 데이터 블록 체인에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 사항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P2P BASED ELECTRIC POWER TRANSACTION INTERMEDI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G(Smart Grid), MG(Micro Grid) 등의 다양한 소규모 전력 환경과 전력 계통 상황에서 프로슈머(prosumer) 간 전력거래를 안정적으로 중개할 수 있도록 하는 피투피(P2P : Peer to Peer)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슈머(prosumer)는, '생산자'를 뜻하는 영어'producer'와 '소비자'를 뜻하는 영어'consumer'의 합성어로서,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의미한다. 상기 프로슈머는 1980년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그의 저서 "제3의 물결"에서, 21세기에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질 것이라 예견하면서 처음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슈머는 전력(또는 에너지)을 소비하면서 또한 전력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 겸 생산자를 의미한다.
최근 소규모 빌딩이나 가정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태양광 발전설비(신재생 발전설비)가 확산되면서 사용자가 직접 생산하여 쓰고 남은 전력을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프로슈머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미국, 호주, 독일을 중심으로 에너지 프로슈머가 급속히 활성화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잉여전력을 전력회사로부터 구입한 전력구입량에 상계할 수 있는 상계거래 제도가 시행중이고, 네덜란드, 및 독일 등에서는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커뮤니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전력 소매시장 완전 개방에 따라, 전자기업들과 건설업체들이 에너지 프로슈머 사업에 진입하고 있다.
한국 내에서는 적은 발전량도 거래할 수 있는 프로슈머 시장이 2017년도부터 개설될 예정이다. 이러한 에너지 프로슈머 시장이 개설되면, 프로슈머는 생산된 전력을 기업(예 : KPX)과 한국전력공사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에게도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로슈머가 전력을 거래하는 방법은 크게 전력회사와 거래하는 상계모델과 전기소비자간 직접 거래(이하, P2P거래)하는 두 가지 모델로 분류된다.
상기 상계모델은 프로슈머가 생산하고 남은 전력을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사용량에 상계하여 전기요금을 할인받는 것으로서 미국 전역에서 시행중이다. 상기 P2P거래는 전력회사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가 프로슈머로부터 전력을 직접 구입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SM)와 마이크로 그리드(MG)가 확산되면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프로슈머 간 전력거래는 기존 전력거래와 구별되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특징은 참여자의 역할이 가변적이라는 것이다. 즉, 신재생 발전설비(도 1의 10)를 가진 모든 사람이 판매자이면서 소비자가 될 수 있다. 이때 소비자는 자신의 전력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전력이 부족한 시간대에서는 전력을 사고(구입하고) 생산 전력이 남는 시간대에서는 전력을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특징은 다양한 시장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프로슈머 간 전력거래는 주로 스마트 그리드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 내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프로슈머가 속해있는 계통환경 및 여건이 반영된 시장규칙이 적용된다.
예컨대 한국의 경우 2016년 현재 월단위로 전력거래 실적을 정산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산대금을 현금으로 직접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한전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요금에 상계하도록 되어 있다. 해외의 경우 네덜란드에서는 소규모 공동체를 대상으로 15분단위로 프로슈머 간 전력거래가 이루어지며 판매자와 소비자간 직접 정산이 이루어진다.
마지막 세 번째 특징으로서 프로슈머 시장(즉, 전력거래 시장)에서는 적은 양의 전력이 거래된다. 즉, 전력을 소비하고 남은 잉여전력이 거래의 대상이 되므로 거래의 규모는 작지만 다양한 참여자가 있는 만큼 잦은 빈도로 거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계량기의 성능에 따라 시간단위 뿐만 아니라 15분 또는 더 작은 시간 단위로도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특징들 때문에 기존의 전력거래 기술은 프로슈머 시장(즉, 전력거래 시장)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전력거래 기술은 참여자의 역할이 정해져 있고 그 숫자가 많지 않으며 단시간에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프로슈머 시장(즉, 전력거래 시장)에서는 판매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별도로 없고 누구나 시장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적인 시장 환경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전력거래 기술은 하나의 시장(즉, 전력거래 시장)을 운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전력시장운영규칙을 적용하기 어렵고 SW(소프트웨어)의 경우, 시장운영규칙이 변경될 때마다 대대적인 수정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든 거래와 정산 과정이 검증되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보안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높은 수준의 보안 요구사항은 프로슈머 시장(즉, 전력거래 시장)이 생성되는데 방해가 되는 장해요인 가운데 하나로서, 프로슈머 시장(즉, 전력거래 시장)에서 거래되는 전력거래의 양은 소규모이지만 거래되는 빈도수가 많기 때문에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운영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5071호(2016.10.06. 공개, 전력 거래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SG(Smart Grid), MG(Micro Grid) 등의 다양한 소규모 전력 환경과 전력 계통 상황에서 프로슈머(prosumer) 간 전력거래를 안정적으로 중개할 수 있도록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은,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프로슈머가 참여할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시장을 프로슈머의 프로파일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며, 검증된 시장의 참여자 정보를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시장 검색 및 참여부; 판매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 거래 계약을 관리하고, 전력 계량 데이터를 토대로 전력 거래 계약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거래 관리부; 및 데이터 블록의 체인에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 사항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방법은, 프로파일 관리부가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 시장 검색 및 참여부가 프로슈머가 참여할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시장을 프로슈머의 프로파일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며, 검증된 시장의 참여자 정보를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 거래 관리부가 판매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 거래 계약을 관리하고, 전력 계량 데이터를 토대로 전력 거래 계약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데이터 블록의 체인에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 사항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SG(Smart Grid), MG(Micro Grid) 등의 다양한 소규모 전력 환경과 전력 계통 상황에서 프로슈머(prosumer) 간 전력거래를 안정적으로 중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프로파일 관리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참여자(예 : BOB)가 새로운 태양광 발전설비(예 : PV3)를 추가할 경우에 구성되는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시장운영규칙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시장 검색 및 참여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있어서, 시장 검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상기 도 7에 있어서,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시장 참여자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의 변화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11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거래 관리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있어서, 두 참여자(예 : BOB과 ALICE) 간에 계약이 발생한 후의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사용자 간에 실제 거래가 발생한 후의 거래 블록체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검증부의 데이터 블록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은, 프로파일 관리부(110), 시장 검색 및 참여부(120), 거래 관리부(130), 및 검증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110)는 전력거래 참여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예 : 참여자, 전력생산 용량, 판매시간/용량/단가, 구매시간/용량/단가 등)를 관리한다. 참고로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즉, 프로슈머를 위한 전력거래 시장)에서 모든 참여자는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의 두 가지 역할 가운데 어느 한 가지를 가진다. 여기서 프로슈머는 거래에 참여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시장 참여자이고, 시장 운영자는 시장운영규칙을 정하고 모든 거래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프로파일 관리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입력 처리부(111),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112),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113),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114), 및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115)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 처리부(111)는 프로슈머 또는 시장 운영자로부터 정보(예 : 시장운영규칙 정보)를 입력받아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113) 또는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112)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전력거래시장에 참여하는 프로슈머라면, 시장 참여에 필요한 프로파일 정보를 작성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크게 전력소비에 대한 정보와 전력생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소비에 대한 정보는, 계약전력, 계약종, 계약한 전력회사, 및 연결된 계통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생산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력설비들에 대해서 설비 종류, 발전 용량, 가동상태, 및 가동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시장 참여자를 다른 참여자와 구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전력회사, 현재 속한 계통의 정보, 보유하고 있는 신재생 발전설비의 모델정보, 용량정보, 설치된 계통 정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신재생 발전설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프로파일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가공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블록은 발생 순서에 따라 앞선 데이터 블록과의 연결 관계를 가지는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 블록의 내부 구조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트리(Tree) 형태로 구성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정보에 변동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112)는 변경된 내용(즉, 사용자 정보)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기존 데이터 블록과 연결 관계를 만든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참여자(예 : BOB)가 새로운 태양광 발전설비(예 : PV3)를 추가할 경우에 구성되는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을 보인 예시도이다. 즉, 도 4는 참여자 프로파일에 변경사항이 발생했을 경우에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한편 상기 시장 운영자는 전력거래가 이루어지는 기반이 되는 시장운영규칙을 정하고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시장 운영자는 최소/최대 전력 거래량, 정산 주기 및 방법, 및 계통 사고 시 시장 운영 절차 등의 시장운영규칙을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시장운영규칙은 거래 가능한 발전설비의 용량제한, 한 번에 거래할 수 있는 최대 거래량, 최소 거래량, 거래 시간의 단위, 거래결과에 대한 정산방법, 거래결과에 대한 정산 주기, 거래 제한 시간, 프로슈머가 어떠한 계통에 속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시장운영규칙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113)는 시장 운영자로부터 입력받은 시장운영규칙 정보를 데이터 블록으로서 관리한다.
상기 시장운영규칙 정보에 변경이 발생할 때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는 방법은 상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112)의 동작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시장 운영자가 시장운영규칙을 만든 다음 기존 거래 시간 단위를 1시간에서 30분 단위로 변경한 경우를 보인 예시도이다.
만약, 사용자가 프로슈머라면 사용자는 시장운영규칙을 생성할 수 없다.
즉, 프로슈머의 경우 자신이 참여하고자 하는 시장을 결정하면, 해당 시장에 참여중인 다른 프로슈머 또는 해당 시장을 운영하는 시장 운영자로부터 시장운영규칙 정보를 전송받아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115)에 저장한다.
상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112) 및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113)는 데이터 블록으로서 관리하고 있던 정보가 변경되면 그 변경된 내용을 동일한 시장에 참여중인 모든 사용자들에게 전달한다.
도 7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시장 검색 및 참여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장 검색 및 참여부(120)는 시장 검색부(121), 시장 검증부(122),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123), 및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124)을 포함한다.
상기 시장 검색부(121)는 참여자(즉, 시장 참여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시장 참여자가 참여하고 있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상의 모든 이웃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현재 운영중인 시장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다.
도 8은 상기 도 7에 있어서, 시장 검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장 검색부(121)는 참여자(즉, 시장 참여자, 프로슈머)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는다(S101).
상기 시장 검색부(121)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시장(즉, 프로슈머 시장)을 탐색한다(S102).
상기 탐색(S102)을 통해 상기 시장 참여자가 참여하고 있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상의 이웃 노드에 시장 정보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S103).
상기 체크(S103) 결과, 이웃 노드에 시장 정보가 존재하면(S103의 예), 상기 참여자(즉, 시장 참여자, 프로슈머)가 시장 참여 조건을 만족하는지 체크한다(S104). 그러나 상기 체크(S103) 결과 이웃노드에 시장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S103의 아니오) 탐색범위를 이웃노드의 이웃노드로 확대하여(S107) 프로슈머 시장 탐색 과정(S102 ~ S106)을 반복한다.
상기 체크(S104) 결과, 참여자(즉, 시장 참여자, 프로슈머)가 시장 참여 조건을 만족하면(S104의 예), 상기 시장 검색부(121)는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정보를 구성한다(S105). 그러나 상기 체크(S104) 결과 참여자(즉, 시장 참여자, 프로슈머)가 시장 참여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S104의 아니오) 탐색범위를 이웃노드의 이웃노드로 확대하여(S107) 프로슈머 시장 탐색 과정(S102 ~ S106)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시장 검색부(121)는 모든 사용자들(예 : 프로슈머, 시장 운영자)을 대상으로 프로슈머 시장을 탐색했는지 체크한다(S106).
상기 체크(S106) 결과, 모든 사용들을 대상으로 프로슈머 시장을 탐색했으면(S106의 예) 종료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S106의 아니오) 탐색범위를 이웃노드의 이웃노드로 확대하여(S107) 프로슈머 시장 탐색 과정(S102 ~ S106)을 반복한다.
참고로 상기 시장 검색부(121)로부터 조회 메시지(즉, 프로슈머 시장 정보 조회 메시지)를 수신한 이웃노드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프로슈머 시장 정보를 회신하고, 또한 자신의 이웃노드들에게 상기 프로슈머 시장 정보 조회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조회 메시지의 전파는 P2P 네트워크상에 있는 모든 노드들이 회신할 때까지 이어진다.
한편 상기 시장 검증부(122)는 상기 검색된 시장 정보들 가운데, 현재 프로슈머가 참여할 수 있는 시장 정보를 추려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시장 검증부(122)는 시장운영규칙에 명시된 참여 제한 사항과 프로슈머 프로파일의 전력소비 정보 및 전력생산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시장(즉, 프로슈머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또는 검증)한다.
예컨대 상기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참여자가 지정된 참여자 범위(예 : 유성DL)에 속해있는 경우에만 거래(즉 프로슈머 시장)에 참여할 수 있으며, 만약 참여자가 유성DL에 속해있지 않다면 해당 시장에 참여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검증이 완료되어 참여가 가능하다고 판정된 시장들 중 참여하고자 하는 시장을 결정한다. 사용자가 참여할 시장을 결정하면, 시장에 참여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네트워크상의 모든 이웃 노드들에게 전파한다.
상기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123)는 사용자가 현재 소속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프로슈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관리한다.
만약 시장에 신규 참여자가 발생할 경우, 상기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123)는 해당 정보(즉, 신규 참여자 정보)를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124)에 추가하고, 자신이 보유한 시장 참여자의 전체 데이터 블록을 신규 참여자에게 전송한다.
도 9는 상기 도 7에 있어서,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시장 참여자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의 변화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새로운 시장 참여자(예 : 참여자 ID : ALICE)가 시장참여를 하고자 할 때, 상기 새로운 시장 참여자(예 : 참여자 ID : ALICE)는 시장 운영자(예 : MO)와 시장 참여자(예 : BOB)로부터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124)을 공유 받는다.
상기 새로운 시장 참여자(예 : 참여자 ID : ALICE)는 검증코드를 생성할 때, 가장 최근에 추가된 블록(예 : 블록ID : 1)에 자신의 블록 정보(예 : 블록 ID : 2)를 결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새롭게 생성된 블록 정보를 시장 운영자(예 : MO)와 시장 참여자(예 : BOB)에게 전송한다.
한편 이전에 시장에 참여하고 있던 이전 참여자(예 : BOB)가 시장참여를 철회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전 참여자(예 : BOB)는 시장참여를 하지 않는다는 새로운 블록(블록ID : 3)을 생성한 후, 다른 시장 참여자(예 : MO와 ALICE)에게 전송한다.
이때 시장 운영자는 시장운영규칙을 생성한 후,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의 최초의 블록으로서 자신의 정보를 생성한다(예 : 도 9의 블록 ID: 0). 이를 통해 시장 참여자는 자신이 현재 참여한 시장의 시장 운영자가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거래 관리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래 관리부(130)는 계량 데이터 취득부(131), 계량 데이터 DB(132), 거래 정보 관리부(133), 계약 관리부(134), 정산 관리부(135), 및 전력 거래 데이터 블록(136)을 포함한다.
상기 거래 관리부(130)는 거래 시장(즉, 프로슈머 시장)에서 입찰 및 낙찰결과를 계산하고 실제 거래량에 따른 정산을 실행한다.
여기서 모든 참여자(즉, 시장 참여자)는 자신이 속한 시장의 시장운영규칙, 참여자, 거래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입찰/낙찰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계량 데이터 취득부(131)는 프로슈머의 스마트 미터(20) 또는 신재생 발전설비(10)와 통신하여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계량 데이터 DB(32)에 저장한다. 이렇게 수집된 계량 데이터는 향후, 상기 정산 관리부(135)에서 거래 결과를 검증하고 정산할 때 활용된다.
상기 거래 정보 관리부(133)는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와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136)으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방법은 시장운영규칙에 따르며, 본 실시예에서는 판매자가 판매정보를 등록하고 구매자도 호가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가 상호 확인 및 합의하에 거래 계약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예컨대 도 12는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136)에 판매자의 판매 정보(이벤트 유형에 판매 표시)와 구매자의 구매정보(이벤트 유형에 구매 표시)가 함께 기록된 예시도로서, 블록 생성자(예 : BOB)가 2016년 12월 30일 10:00부터 14:00까지 10kwh의 전력을 1kwh당 120원으로 판매하고, 블록 생성자(예 : ALICE)가 12월 30일 9:00부터 12:00까지 10kwh의 전력을 1kwh당 130원으로 구매하고자 할 때의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계약 관리부(134)는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계약 정보를 생성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계약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시장운영규칙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조건(즉, 거래 조건)이 맞는 판매 정보와 구매 정보를 매칭하여 자동적으로 계약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시장 운영자 측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시장운영규칙에 따라, 입찰 시간이 종료되면 시간대별 전력 공급자와 해당하는 소비자가 결정된다. 이때 모든 참여자는 자신이 현재 속한 시장의 시장운영규칙, 참여자, 입찰 내역 등을 모두 공유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어떤 사용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 또는 판매했는지 판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계약 관리부(134)는, 시장운영규칙을 참조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간 계약이 성립할 수 있는 상품 내역을 검색하고, 참여자 또는 시장 운영자의 판단에 따라 계약이 성사된 정보를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계약이 성사된 정보는, 계약된 거래 시간 정보, 거래량, 및 거래 단가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계약으로 판매자와 구매자의 판매 또는 구매량이 모두 만족되지 않았을 경우, 부족한 부분만큼의 판매자의 판매 정보와 구매자의 구매정보를 잔여 거래 정보로 새롭게 발생하되, 해당하는 판매자의 상품 정보, 구매자의 구매 정보, 계약 후 발생하는 상기 잔여 거래 정보와의 관계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해당 데이터 블록의 ID를 상기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내용 안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블록 생성자(즉, 참여자, 예 : ALICE)가 10:00부터 12:00까지 BOB으로부터 1kwh당 120원의 가격으로 전력을 구매한다고 가정한다면, 거래가 발생하게 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이 구성된다. 그리고 두 참여자(예 : BOB과 ALICE)가 거래한 내용이 블록으로 구성되어 추가된다(도 13의 블록 ID : 2 참조).
도 13은 상기 도 12에 있어서, 두 참여자(예 : BOB과 ALICE) 간에 계약이 발생한 후의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참여자(예 : BOB과 ALICE) 간에 거래가 완료되면, 구매자(예 : ALICE)는 본래 구매하려고 했던 시간 중 거래되지 않은 나머지 대상 시간(9시부터 10시까지)의 전력량만을 구매하게 되고(블록 ID : 4), 판매자(예 : BOB)는 본래 판매하려고 했던 시간 중 거래되지 않은 나머지 대상 시간(10시부터 12시까지)의 전력만 판매하게 된다(블록 ID : 3). 아울러 상기 거래의 결과로 생성된 블록들(예 : 블록 ID : 2, 블록 ID : 3, 블록 ID : 4)은 향후 거래 결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관련된 블록 정보(즉, 참조 블록)를 포함한다.
도 14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사용자 간에 실제 거래가 발생한 후의 거래 블록체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정산 관리부(135)는 발생한 계약 건에 대하여, 계약에 명시된 대상 시간이 되면 스마트 미터(20)와 신재생 발전설비(10)로부터 계측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거래량을 산출한다.
예컨대 구매자와 판매자는 각자의 계량기(예 : 전력 계량기)에서 취득한 정보와 시장운영규칙을 바탕으로 상기 정산 관리부(135)를 통해 정산한 결과를 생성하여 시장 참여자들에게 전송하고, 시장 운영자는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가 생성한 정산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정산 관리부(135)를 통해 최종 정산 결과를 결정하여 시장 참여자들에게 전송한다(도 14 참조).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검증부(140)는 시장운영규칙 블록체인, 시장참여자 블록체인, 전력거래 블록체인에 변경 사항이 발생했을 때 해당 내용이 적합한지 검증한다.
도 1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검증부의 데이터 블록 검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검증부(140)는 두 가지 방법으로 검증을 수행하는데, 첫 번째는 검증 코드가 올바른지 검사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다른 시장 참여자들의 검증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다. 상기 두 가지 검증을 모두 통과한 경우에만 정상적인 데이터 블록으로 처리된다.
상기 데이터 블록의 검증코드는 데이터 블록의 처음부터 최신 블록까지의 모든 정보를 결합하고(S201), MD5(Message-Digest algorithm 5)와 같은 HASH 함수를 적용하여 생성된다(S202).
가령 새로운 데이터 블록이 전송되면, 거래에 대한 데이터 블록인지 체크하여(S203), 거래에 대한 데이터 블록이 아니면(S203의 아니오), 상기 검증부(140)는 해당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검증코드와 직접 생성한 검증코드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 일치한다는 사실을 시장 참여자들에게 전파한다(S205).
한편 상기 검증부(140)는, 상기 새로운 데이터 블록이 거래에 대한 데이터 블록인 경우(S203의 예), 검증코드 뿐만 아니라, 거래의 내용이 논리적으로 올바른지 검사하는 과정을 추가로 시행한다(S204).
예컨대 도 13을 참조하면, 블록 ID : 2에 대해서 검증한다고 가정할 때, 이 블록 ID :2에 연관된 블록(블록 ID : 0, 1, 3, 4)과 시장운영규칙 블록체인의 내용을 함께 참조하여 논리적으로 거래가 성립할 수 있는지 검증한다.
또한 상기 검증부(140)는 자신이 계산한 검증코드가 일치하고(S206의 예) 아울러 전체 시장 참여자의 과반 수 이상으로부터 일치한다는 검증 결과를 수신한 경우(S207의 예)에만 정상적인 정보로 판단하여 기존의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에 해당 정보(예 : 거래 정보)를 추가한다(S208).
참고로 만약 시장 참여자의 수가 시장 운영자를 포함하여 짝수인 경우, 블록을 생성한 사람의 검증결과는 검증에 반영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프로슈머 간 전력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어떠한 한 가지 시장에 특화되지 않고 다양한 시장(전력거래 시장) 환경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참여자 간 상호 검증에 기반하여 프로슈머 간 직접 거래 및 거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존의 거래 시장 운영기술은 시장 운영자가 전체 시장을 감시하며 모든 거래를 검증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스템이 중앙 집중화되어 있고 고성능 장비와 운영 인력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시장 운영에 필요한 모든 기술들이 시장 참여자들의 시스템에서 분산되어 구동하므로 시장 참여자의 숫자와 관련없이 한 대의 PC만으로도 전력거래 시장을 운영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신재생 발전설비 20 : 스마트 미터
110 : 프로파일 관리부 111 : 사용자 정보 입력 처리부
112 :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
113 :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
114 :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115 :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120 : 시장 검색 및 참여부 121 : 시장 검색부
122 : 시장 검증부 123 :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
124 :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 130 : 거래 관리부
131 : 계량 데이터 취득부 132 : 계량 데이터 DB
133 : 거래 정보 관리부 134 : 계약 관리부
135 : 정산 관리부 136 :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
140 : 검증부

Claims (21)

  1.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프로슈머가 참여할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시장을 프로슈머의 프로파일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며, 검증된 시장의 참여자 정보를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시장 검색 및 참여부;
    판매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 거래 계약을 관리하고, 전력 계량 데이터를 토대로 전력 거래 계약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거래 관리부; 및
    데이터 블록의 체인에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 사항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은,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각기 설치되고, 사용자들 간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직접 통신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의 모든 참여자 혹은 사용자는,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의 두 가지 역할 가운데 어느 한 가지 역할을 가지며,
    상기 프로슈머는 거래에 참여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시장 참여자이고,
    상기 시장 운영자는 시장운영규칙을 정하고 모든 거래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장 참여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시장 운영자의 시장운영규칙 정보, 및 프로슈머의 전력소비에 대한 정보와 전력생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소비에 대한 정보는, 계약전력, 계약종, 계약한 전력회사, 및 연결된 계통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생산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한 전력설비들에 대해서 설비 종류, 발전 용량, 가동상태, 및 가동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운영규칙은,
    거래 가능한 발전설비의 용량제한, 한 번에 거래할 수 있는 최대 거래량, 최소 거래량, 거래 시간의 단위, 거래결과에 대한 정산방법, 거래결과에 대한 정산 주기, 거래 제한 시간, 및 프로슈머가 어떠한 계통에 속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는,
    프로슈머 또는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 또는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에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 처리부;
    프로슈머로부터 입력받은 프로파일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가공하여 관리하는 상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 및
    시장 운영자로부터 입력받은 시장운영규칙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가공하여 관리하는 상기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변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변경된 프로파일 정보의 해당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 방식으로 기존 데이터 블록과 연결 관계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시장 운영자는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프로슈머는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조회할 수만 있는 권한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 및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는,
    데이터 블록으로서 관리하고 있던 참여자 프로파일 정보나 시장운영규칙 정보가 변경되면 그 변경된 내용을 동일한 시장에 참여중인 모든 사용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 검색 및 참여부는,
    시장 참여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장 참여자가 참여하고 있는 P2P 네트워크상의 모든 이웃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현재 운영중인 시장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시장 검색부;
    시장운영규칙에 명시된 참여 제한 사항과 프로슈머 프로파일의 전력소비 정보 및 전력생산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어 참여가 가능하다고 판정된 시장들 중 참여할 시장을 사용자가 결정하면, 시장에 참여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네트워크상의 모든 이웃 노드들에게 전파하는 시장 검증부; 및
    사용자가 현재 소속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프로슈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관리하는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는,
    시장에 신규 참여자가 발생할 경우, 신규 참여자 정보를 시장 참여자 데이터 블록에 추가하고, 자신이 보유한 시장 참여자의 전체 데이터 블록을 신규 참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관리부는,
    프로슈머의 스마트 미터 또는 신재생 발전설비와 통신하여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계량 데이터 DB에 저장하는 계량 데이터 취득부;
    프로슈머 중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와 프로슈머 중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하는 거래 정보 관리부;
    시장운영규칙에 따라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계약 정보를 생성하는 계약 관리부; 및
    스마트 미터 및 신재생 발전기로부터 수신한 계측 전력량을 바탕으로 거래 계약이 완료된 건에 대한 실제 전력 판매량 또는 구매량을 계산하여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시장운영규칙을 참조로 최종 정산 결과를 생성하여 시장 참여자들에게 전송하는 정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은,
    판매자의 판매 정보, 구매자의 구매 정보, 판매자와 구매자 간 계약이 성사된 정보,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진 전력 사용량 및 정산 정보를 포함하며, 먼저 발생한 최근의 정보와 블록 체인 방식으로 연결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 관리부는,
    판매자로부터 입력받은 판매 정보와 구매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매 정보를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며, 발생한 변경사항을 P2P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동일 시장 참여자들에게 모두 전송하며,
    상기 판매 정보는 판매자의 식별정보, 판매 대상 시간대, 시간대별 판매량, 판매 단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자의 구매 정보는 구매 대상 시간대, 시간대별 구매량, 및 구매 단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부는,
    시장운영규칙을 참조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간 계약이 성립할 수 있는 상품 내역을 검색하고, 참여자 또는 시장 운영자의 판단에 따라 계약이 성사된 정보를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며,
    상기 계약이 성사된 정보는, 계약된 거래 시간 정보, 거래량, 및 거래 단가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계약으로 판매자와 구매자의 판매 또는 구매량이 모두 만족되지 않았을 경우, 부족한 부분만큼의 판매자의 판매 정보와 구매자의 구매정보를 잔여 거래 정보로 새롭게 발생하되, 해당하는 판매자의 상품 정보, 구매자의 구매 정보, 계약 후 발생하는 상기 잔여 거래 정보와의 관계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해당 데이터 블록의 ID를 상기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의 내용 안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전송받은 프로파일 정보, 시장운영규칙 정보, 시장 참여자 정보, 및 거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으면 해당 정보에 대한 위변조 여부를 검증하되,
    검증 대상이 되는 데이터 블록의 처음부터 최신 블록까지의 모든 정보를 결합하여 해시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해시 코드가 전송받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 코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하였을 경우에 검증 결과를 네트워크 상의 동일한 시장에 참여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을 검증할 때, 판매자의 판매 정보와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함께 비교하여 논리적으로 올바른지 검사하는 검증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18. 프로파일 관리부가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
    시장 검색 및 참여부가 프로슈머가 참여할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시장을 프로슈머의 프로파일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며, 검증된 시장의 참여자 정보를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
    거래 관리부가 판매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 거래 계약을 관리하고, 전력 계량 데이터를 토대로 전력 거래 계약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데이터 블록의 체인에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변경 사항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가 프로슈머와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 입력 처리부가 프로슈머 또는 시장 운영자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 또는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에 전송하는 단계;
    참여자 프로파일 데이터 블록 관리부가 프로슈머로부터 입력받은 프로파일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가공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시장운영규칙 데이터 블록 관리부가 시장 운영자로부터 입력받은 시장운영규칙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가공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 검색 및 참여부가 프로슈머가 참여할 프로슈머 전력거래 시장을 검색하고, 검색된 시장을 프로슈머의 프로파일 정보와 비교하여 검증하며, 검증된 시장의 참여자 정보를 데이터 블록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는,
    시장 검색부가 시장 참여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장 참여자가 참여하고 있는 P2P 네트워크상의 모든 이웃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현재 운영중인 시장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시장 검증부가 시장운영규칙에 명시된 참여 제한 사항과 프로슈머 프로파일의 전력소비 정보 및 전력생산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어 참여가 가능하다고 판정된 시장들 중 참여할 시장을 사용자가 결정하면, 시장에 참여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네트워크상의 모든 이웃 노드들에게 전파하는 단계; 및
    시장 참여자 정보 관리부가 사용자가 현재 소속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프로슈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관리부가 판매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발생된 전력 거래 계약을 관리하고, 전력 계량 데이터를 토대로 전력 거래 계약에 대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계량 데이터 취득부가 프로슈머의 스마트 미터 또는 신재생 발전설비와 통신하여 계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계량 데이터 DB에 저장하는 단계;
    거래 정보 관리부가 프로슈머 중 판매자가 제시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와 프로슈머 중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전력거래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하는 단계;
    계약 관리부가 시장운영규칙에 따라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계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정산 관리부가 스마트 계량기 및 신재생 발전기로부터 수신한 계측 전력량을 바탕으로 거래 계약이 완료된 건에 대한 실제 전력 판매 또는 구매량을 계산하여 실제로 거래가 이루어진 전력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시장운영규칙을 참조로 최종 정산 결과를 생성하여 시장 참여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방법.
KR1020170047672A 2017-04-13 2017-04-13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672A KR101954590B1 (ko) 2017-04-13 2017-04-13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7/008537 WO2018190473A1 (ko) 2017-04-13 2017-08-08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672A KR101954590B1 (ko) 2017-04-13 2017-04-13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398A true KR20180115398A (ko) 2018-10-23
KR101954590B1 KR101954590B1 (ko) 2019-03-06

Family

ID=6379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672A KR101954590B1 (ko) 2017-04-13 2017-04-13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4590B1 (ko)
WO (1) WO2018190473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751B1 (ko) * 2019-02-26 2019-06-21 주식회사 상림이씨엠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061008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야베스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프로슈머 에너지거래방법
WO2020116738A1 (ko) * 2018-12-05 2020-06-1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계층적 블록체인 기반 다중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12683B1 (ko) * 2019-04-11 2020-06-24 (주)머클루트 무선 백업망 서비스 방법, 서비스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WO2021215761A1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와이즈테크놀로지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 전력 거래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거래 데이터 검증 및 분산 저장 방법
KR20220048387A (ko) 2020-10-12 2022-04-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2p 전력 거래 자동 중개 장치 및 방법
WO2023120749A1 (ko) * 2021-12-20 2023-06-2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2p 전력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30096229A (ko) * 2021-12-23 2023-06-30 (주)누리플렉스 피어-투-피어 계약을 위한 전력 거래 중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전력 거래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507B1 (ko) * 2019-07-25 2021-08-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자동차 거래 방법
KR102222356B1 (ko) * 2019-08-08 2021-03-03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주택 잉여전력 p2p 직거래 서비스를 위한 dc 전력 중계 스위치시스템 및 블록체인기반 p2p 프로슈밍 서비스 플랫폼
KR102559101B1 (ko) 2020-02-24 2023-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계량 장치, 전력 계량 서버 및 블록 체인 기반의 전력 계량 방법
CN112214732A (zh) * 2020-09-25 2021-01-12 河北电力交易中心有限公司 电力市场主体综合活力指数评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
CN114707788B (zh) * 2021-12-29 2023-08-08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需求侧-负荷聚集商-微电网的p2p交易模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5556A (ja) * 2010-02-25 2011-09-08 Sony Corp 電力取引サーバ、グリーン市場管理サーバ、取引管理方法、及びグリーン取引管理方法
US20160284033A1 (en) * 2015-03-24 2016-09-29 Intelligent Energy Limited Energy resourc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036A (ko) * 2015-04-09 2016-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거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5556A (ja) * 2010-02-25 2011-09-08 Sony Corp 電力取引サーバ、グリーン市場管理サーバ、取引管理方法、及びグリーン取引管理方法
US20160284033A1 (en) * 2015-03-24 2016-09-29 Intelligent Energy Limited Energy resource network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008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야베스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프로슈머 에너지거래방법
WO2020116738A1 (ko) * 2018-12-05 2020-06-1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계층적 블록체인 기반 다중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91751B1 (ko) * 2019-02-26 2019-06-21 주식회사 상림이씨엠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112683B1 (ko) * 2019-04-11 2020-06-24 (주)머클루트 무선 백업망 서비스 방법, 서비스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WO2020209668A1 (ko) * 2019-04-11 2020-10-15 (주)머클루트 무선 백업망 서비스 방법, 서비스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WO2021215761A1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와이즈테크놀로지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 전력 거래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거래 데이터 검증 및 분산 저장 방법
KR20220048387A (ko) 2020-10-12 2022-04-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2p 전력 거래 자동 중개 장치 및 방법
WO2023120749A1 (ko) * 2021-12-20 2023-06-2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2p 전력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30096229A (ko) * 2021-12-23 2023-06-30 (주)누리플렉스 피어-투-피어 계약을 위한 전력 거래 중개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전력 거래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590B1 (ko) 2019-03-06
WO2018190473A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590B1 (ko)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Hua et al. A blockchain based peer-to-peer trading framework integrating energy and carbon markets
Di Silvestre et al. Blockchain for power systems: Current trends and future applications
Andoni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energy sector: A systematic review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ukral Emergence of blockchain-technology application in peer-to-peer electrical-energy trading: A review
Capper et al. Peer-to-peer, community self-consumption, and transactive energ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local energy market models
Doan et al. Peer-to-peer energy trading in smart grid through blockchain: A double auction-based game theoretic approach
Liu et al. Electric vehicle power trading mechanism based on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in V2G network
Antal et al. Blockchain based decentralized local energy flexibility market
Hahn et al. Smart contract-based campus demonstration of decentralized transactive energy auctions
US20190164236A1 (en) Method of matching renewable energy production to end-user consumption via blockchain systems
Oprea et al. Two novel blockchain-based market settlement mechanisms embedded into smart contracts for securely trading renewable energy
Masaud et al. A blockchain-enabled decentralized energy trading mechanism for islanded networked microgrids
CN110826940A (zh) 一种可扩展的多微网环境下的分布式电力交易方法
Teng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energy blockchain: Application scenarios and development trends
Saxena et al. Blockchain based transactive energy systems for voltage regulation in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Dzobo et al. Proposed framework for blockchain technology in a decentralised energy network
Muzumdar et al. A permissioned blockchain enabled trustworthy and incentivized emission trading system
Tushar et al. Roles of retailers in the peer-to-peer electricity market: A single retailer perspective
Zuo Tokenizing 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recs)—a blockchain approach for rec issuance and trading
CN112785429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局域多微电网电力交易配对方法
Abou El Houda et al. Next-power: Next-generation framework for secure and sustainable energy trading in the metaverse
Su et al. A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model for secured energy trading management in smart microgrids
Liu et al. Blockchain-enabled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trading: A secure and privacy-preserving approach
Guo et al. Peer-to-peer energy trading and smart contracting platform of community-based virtual power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