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751B1 -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1751B1 KR101991751B1 KR1020190022288A KR20190022288A KR101991751B1 KR 101991751 B1 KR101991751 B1 KR 101991751B1 KR 1020190022288 A KR1020190022288 A KR 1020190022288A KR 20190022288 A KR20190022288 A KR 20190022288A KR 101991751 B1 KR101991751 B1 KR 1019917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network
- grid
- surplus
- ti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4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03 electron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전력망간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로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가 포함되어 구획된 전력망을 둘 이상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제어시스템이 각각의 전력망 내에서의 소비전력, 발전전력 및 에너지저장장치 저장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계산하여 다른 전력망에 전송하면서,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전송받는 실시간 현황들과 자신이 속한 전력망의 실시간 현황을 종합하여 잉여전력을 송배전망에 공급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송배전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실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망 단위로 자신들의 분산전원이나 에너지저장장치를 제어하여 송배전망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받음으로써 전력망 상호간에 전력거래를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 가능한 공간 즉 저장여유전력을 갖는 제1전력망에서, 발전전력이 소비전력 및 저장가능전력을 합한 값보다도 큰 전력망 즉 잉여전력을 갖고 있는 제2전력망을 찾은 후, 송배전망을 통하여 잉여전력을 실시간으로 공급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전력망간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로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가 포함되어 구획된 전력망을 둘 이상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제어시스템이 각각의 전력망 내에서의 소비전력, 발전전력 및 에너지저장장치 저장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계산하여 다른 전력망에 전송하면서,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전송받는 실시간 현황들과 자신이 속한 전력망의 실시간 현황을 종합하여 잉여전력을 송배전망에 공급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송배전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실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망 단위로 자신들의 분산전원이나 에너지저장장치를 제어하여 송배전망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받음으로써 전력망 상호간에 전력거래를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그리드 또는 마이크로그리드를 포함하는 전력망에서, 신재생에너지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발전되는 각종 분산전원에서 발생되는 전력 중 해당 전력망 내에서 소비하고 남는 잉여전력을, 전력망 상호 간에 공유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자원에 대한 활용을 극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가스 등의 에너지 유틸리티들은 특정지역에 대한 독점적 배급권한을 갖는 공급회사들에 의해 소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분배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들은 그 특성상 공급방법이 경직되어 있는데, 특히 전기의 경우 발전되는 순간 전력망에 연결된 설비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소비되거나 에너지저장시설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지 않으면 소모되는 휘발성 에너지이기 때문에, 발전소 등의 전원에서 전력이 발전되는 즉시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에너지의 효율적 생산과 사용을 위하여 분산전원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분산전원이란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등 대규모 집중형 전원과는 달리, 전력소비지 부근에 분산하여 배치가 가능한 소규모 발전설비를 말하는 것인데, 신에너지 또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설비는 물론 디젤, 가스 등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자가용 발전설비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신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 에너지와는 다른 새로운 에너지 자원으로서, 연료전지와 수소 에너지 등이 있다. 그리고 재생에너지는 태양에서 나오는 빛이나 열, 바람, 물 등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자원을 변환하여 사용 가능한 에너지로 만든 것을 말하는데,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등장과 더불어 전력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분산전원의 설치 및 운용방법에 관한 기술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분산전원의 도입으로 전력망 그리드의 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데, 이는 전력소비자들이 전력소비 시 가격이나 기타 여건을 고려하여 분산전원과 송전전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질 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 통신기술과 결합하여 분산전원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산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전원 중 많은 부분은 주로 풍력, 태양광, 조력, 파력 등의 자연 상태로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자원을 이용한 재생에너지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재생에너지의 출력은 전적으로 자연현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활용에는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예를 들어, 풍력발전의 원천인 바람은 항상 일정하게 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풍력터빈에서 나오는 전력은 그 변동이 심하다. 그리고 태양광발전의 경우 시간대에 따라, 구름 량에 따라 또는 강수 및 강설에 따라 일조량이 변하기 때문에 출력전력 또한 불안정하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매 순간 발전량이 변경될 수 있는 분산전원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리 및 거래를 위한 제어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편 분산전원과는 별개의 개념으로, 또는 분산전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장치로서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에 대한 기술과 적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는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전력계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였다가 전력 피크 시간대와 같이 전력이 많이 필요할 때에 전력을 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저가격 전력시간대에는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에 충전하였다가 고가격 전력시간대에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사용하게 되면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전체 또는 국가 전체 입장에서는 최대부하에 대비한 발전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되므로 발전소건설 및 운용에 따른 비용절감과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등 이점과 장점이 매우 크다. ESS를 사용하게 되면 전력 피크 시에도 용이하게 부하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량이 수시로 변하는 재생에너지 분산전원과 결합시키는 경우 분산전원의 전력을 일정하게 공급하게 할 수 있는 등 분산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대표적인 에너지 저장장치로는 배터리를 이용한 ESS를 들을 수 있다. 배터리기반 ESS에는 전기를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EMS(Energy Management System),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의 관련 구성들이 포함된다.
산업발전에 따른 전력수요가 해마다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전력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여서 전력생산설비 즉 발전소의 건설에 많은 예산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범 국가적인 에너지정책의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설치 장려와 함께 개별주택, 공동주택, 사무공간, 공장시설 등 다양한 수용가에게 분산전원과 ESS의 설치를 장려 및 지원하는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분산전원이나 ESS 구축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필요한 구성들이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수용가 입장에서는 분산전원이나 ESS를 자체적으로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된다. 무엇보다도, 분산전원과 ESS는 그 설치주체 및 장소 등의 특성에 따라 전력 사용량 및 사용 패턴이 상이하므로, 구축 이후에 에너지 활용 및 절감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관리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대규모 수용가나 소규모 발전사업자 입장에서는 분산전원과 ESS를 통해서 발생되는 전력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어야 하며, 지역이나 국가 입장에서도 전체적인 자원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분산전원 등 소규모 전력생산자와 이를 소비하는 전력소비자 간에 전력망 내에서의 전력거래가 가능한 스마트그리드 및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이 개발되고 다양한 적용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소비자가 태양광발전설비 등 분산전원을 소유하고, 자신의 설비에 대한 전력소비에 분산전원을 활용하기도 하고, 남는 전력은 전력망을 통하여 다른 소비자에게 판매하기도 할 뿐만 아니라, 생산되는 전력에 대하여 자신들은 소비하지 않고 판매만을 목적으로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등 분산전원을 설치, 운용하는 소규모 발전사업자들도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전력망을 통하여 전력거래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전력망의 관리자가 원하는 시간대 및 방식으로만 판매가 가능하고,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직거래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직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하더라도 같은 전력망 내에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른 정해진 시간대에만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시간 관점에서 볼 때 그때그때 낭비되는 자투리 전력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등이 있어 왔다. 또한 중간에 거래시스템을 두는 중앙집중형 거래이기 때문에 별도의 거래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여야 하고, 복잡한 거래과정 처리에 따른 보안이슈 및 자료량의 증가에 따라 많은 컴퓨팅자원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히 전력망 내부에서 각각의 객체 간 전력거래는 용이할 수도 있지만, 전력망 각각에서 전체적인 입장에서 볼 때는 발전용량, 소비전력 및 저장공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어느 전력망에서는 발전전력이 남아돌고, 어느 전력망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저장공간이 남아도는 등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망 간의 균형있는 발전, 소비 및 저장을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은,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실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 가능한 여유 공간(KW, MW)을 갖는 제1전력망에서, 자신의 발전전력(KW, MW)이 자신의 소비전력(KW, MW)과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 중인 전력(KW, MW)을 합한 값보다도 큰 전력망 즉 잉여전력(KW, MW)을 갖고 있는 제2전력망을 찾은 후, 송배전망을 통하여 잉여전력을 실시간으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잉여전력의 실시간 공급이라 함은, 잉여전력을 갖고 있는 제2전력망에서 송배전망으로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동일시간 동안, 저장여유전력을 갖는 제1전력망이 송배전망으로 부터 잉여전력만큼의 전력을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송배전망 입장에서는 공급받는 전력과 공급하는 전력을 상계 처리하는 것이며, 제1전력망 및 제2전력망 입장에서는 송배전망을 통하여 전력을 주고받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전력망이 송배전망을 통하여 잉여전력을 실시간으로 공급하고, 저장여유전력을 갖는 제1전력망이 상기 잉여전력만큼을 송배전망을 통하여 공급받아 저장함에 있어, 별도의 중앙집중식 거래시스템이나 통제시스템 또는 중개시스템을 두지 않고도, 전력망들 상호간의 자체적인 정보교환 및 판단을 통하여, 한 쪽에서는 전력을 공급하고, 상대방은 동일시간대에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분산형 전력거래 및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제1전력망이 중심이 되어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제2전력망에 대하여 제안요청신호를 보낸 후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들로부터 공급제안신호를 받아 잉여전력을 공급할 제2전력망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송배전망 전체를 볼 때 저장여유공간에 비하여 공급전력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저장여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전력망이 제1전력망에 대하여 송배전망을 통하여 잉여전력을 실시간으로 공급하고, 제1전력망이 저장여유공간에 공급받는 전력을 저장함에 있어서, 제1전력망에서 필요한 전력을 하나의 제2전력망에서 공급하는 전력만으로 충당할 수 없는 경우, 다수의 제2전력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그 반대로 하나의 제2전력망에서, 하나의 제1전력망에 공급하는 전력이 자신의 잉여전력보다 작아서 잉여전력의 공급여력이 남는 경우 다른 제1전력망을 찾아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자간 전력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선택하여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함에 있어 공급비용이 낮은 순의 전력망, 공급거리가 짧은 순의 전력망 또는 이전에 자신에게 전력을 공급받았던 전력망 등 전략적 우선순위를 정하여 제2전력망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함에 있어 일정시간 즉 제1시간을 정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전력이나 소비전력의 변동 등 여건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잉여전력의 변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반면, 제1시간 종료 시 직전에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으로 서로 연계되었던 전력망들을 계속 이어서 연계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전력을 상호간에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전력망에서 제1전력망의 에너지저장장치로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도중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이 더 발생하는 경우, 추가로 증가된 새로운 잉여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제1전력망을 찾아서 증가되는 잉여전력을 추가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 중에 있는 제1전력망에서 저장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제2전력망으로부터의 잉여전력을 추가로 공급받아 추가로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전력망에서 제1전력망으로 잉여전력을 공급함에 있어 공급전력이 제1전력망에서 정한 공급한도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제1전력망에 대하여 공급을 취소하고, 제1전력망은 제2전력망에서 취소된 만큼 축소하여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 상호간에 ‘주고받는 내용을 해싱 한 해시값’을 주고받는 신호에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전송데이터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함은 물론 최초신호와 최종신호에 송신자의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인증신호를 포함하도록 하고, 수신자는 송신자의 공개키로 인증신호를 복호화하도록 함으로써 주고받는 전력량에 대한 검증과 부인방지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거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가 포함되어 구획된 전력망을 둘 이상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각각의 전력망에 포함된 각각의 제어시스템이 실시간 측정값을 기반으로 전력을 거래하기 위하여 분산전원 및 에너지저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전력망에서, 자신의 분산전원으로 공급 가능한 전력인 발전전력, 자신의 부하설비에서 소비중인 전력인 소비전력,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중인 전력인 제1저장전력 및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하여 추가 저장이 가능한 전력인 제2저장전력을 현재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되, 상기 발전전력 중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중인 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소비전력에 포함하는 제1단계; 각각의 전력망에서, 상기 발전전력 중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해 줄 수 있는 잉여전력 또는 다른 전력망으로 부터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여유전력을 계산하되, - 상기 잉여전력의 크기는 상기 발전전력, 상기 소비전력 및 상기 제1저장전력의 크기에 따라 계산하며, -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는 상기 발전전력, 상기 소비전력, 상기 제1저장전력, 상기 제2저장전력 및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잉여전력의 크기에 따라 계산하는 제2단계;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 중 하나인 제1전력망에서, 다른 전력망의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계속하여 저장할 시간을 정하여 이를 제1시간으로 한 뒤, 자신의 식별코드 및 상기 제1시간이 포함된 제안요청서를 제안요청신호에 담아 각각의 전력망에 대하여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전송받은 전력망 중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검증하고, 상기 제1시간동안 자신이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공급가능한도로 한 뒤, 자신의 식별코드 및 상기 공급가능한도가 포함된 공급제안서를 공급제안신호에 담아 상기 제1전력망에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제1전력망에서, 상기 공급제안신호를 전송한 전력망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제2전력망으로 선택한 후, 상기 저장여유전력과 상기 공급가능한도를 감안하여 정한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을 포함하는 제안승낙서를 제안승낙신호에 담아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제2전력망에서, 상기 제안승낙서에 의한 자신의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시작시각을 포함하는 수신확인서를 수신확인신호에 담아 상기 제1전력망에 전송하는 제6단계; 상기 제1전력망에서,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검증한 뒤 상기 시작시각부터 상기 제1시간동안 상기 송배전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되, 상기 제5단계에서 정한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의 합과 같은 크기의 전력을 저장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2전력망에서, 상기 시작시각부터 상기 제1시간 동안 상기 송배전망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제5단계에서 정한 공급한도에 따라 공급하면서, 상기 분산전원의 발전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에 따라 조절하는 제8단계; 상기 제1전력망 및 상기 제2전력망에서,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 일정시점부터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6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될 때 제7단계 및 제8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제9단계; 를 포함하되, - 상기 제9단계는,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한 계속하여 반복되며, -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시작시각은, 직전에 반복된 제3단계에서 정한 상기 제1시간의 종료시각과 같으며, -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의 저장여유전력은, 직전에 반복된 제7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는 중에 있는 전력을 상기 저장여유전력에 더한 값으로 하며, -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은, 직전에 반복된 제8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전력망에 공급하는 중에 있는 잉여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에서 제외한 후 계산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 하여,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잉여전력 및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계산은, - 에너지저장장치가 없고 분산전원이 있으며,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작은 전력망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크기의 잉여전력을 갖는 전력망으로 하며,
* 잉여전력 = (발전전력-소비전력) - 제1저장전력
- 분산전원이 없고 에너지저장장치가 있으며, 상기 제1저장전력 및/또는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는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 및/또는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이하인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있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보다 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저장전력 이하인 전력망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크기의 저장여유전력을 갖는 전력망으로 하며,
*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제2저장전력 - (발전전력-소비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 나머지 전력망에 대하여는 상기 잉여전력 및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없는 전력망으로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각각의 제어시스템에는, 자신이 속한 전력망이 상기 제1전력망이 되었을 때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우선순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전력망부터 순차적으로 n개(n은 1 이상인 정수)를 선택하되, 각각의 공급가능한도를 합한 값이 상기 저장여유전력보다 커질 때까지 선택하며,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정하는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상기 공급한도는 아래와 같으며,
- n-1번째까지의 제2전력망 공급한도 = 각각의 공급가능한도
- n번째 제2전력망 공급한도 = 저장여유전력 - (n-1번째까지의 공급한도를 합한 값)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우선순위정보에도 불구하고, 직전에 선택되었던 제2전력망을 더 우선으로 선택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특징들 모두에 더하여,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제2전력망은, 상기 발전전력 또는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상기 송배전망에 대한 전력공급이 상기 공급한도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전력망에 대하여 공급취소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송배전망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며, 상기 제7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은, 상기 제2전력망으로부터 상기 공급취소신호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상기 송배전망으로부터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전력의 크기를, 상기 공급취소신호를 전송한 제2전력망의 공급한도만큼 축소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각각의 제어시스템은, 자신의 개인키 및 다른 전력망의 제어시스템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제안요청서를 해싱한 제1해시값, 상기 제안요청서에 상기 제1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2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을 상기 제1전력망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제1인증코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안요청신호에 대한 검증은, 상기 제안요청서에 상기 제1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값과, 상기 제1인증코드를 상기 제1전력망의 공개키로 복호화 한 값이 서로 서로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검증하며, 상기 공급제안신호에는, 상기 제2해시값 및 상기 공급제안서에 상기 제2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3해시값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안승낙신호에는, 상기 제3해시값 및 상기 제안승낙서에 상기 제3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4해시값이 더 포함되며, 상기 수신확인신호에는, 상기 제4해시값, 상기 수신확인서에 상기 제4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5해시값, 상기 제5해시값을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제2전력망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제2인증코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수신확인신호에 대한 검증은, 상기 수신확인서에 상기 제4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값과, 상기 제2인증코드를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한 제2전력망의 공개키로 복호화 한 값이 서로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검증하며,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안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해시값은, 상기 제5해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은,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실시간데이터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창안된 판단 알고리즘을 통하여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 가능한 여유공간을 갖는 제1전력망과 잉여전력을 갖고 있는 제2전력망을 찾아낼 뿐만 아니라 제1전력망들의 저장여유전력의 크기 및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의 크기를 계산해 낼 수 있고,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찾아서 송배전망을 통하여 잉여전력을 실시간으로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망 내에서 분산전원의 발전전력으로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을 하고도 저장 여유공간이 남아 있을 때 다른 전력망에서 남는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망 사이에 에너지저장장치의 여유분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전력망 내에서 내부적인 거래시스템을 통하여 거래하고 남는 전력들에 대하여 다른 전력망과 전력망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소비량에 비하여 생산전력은 부족한 반면 에너지저장설비에 여유가 있는 전력망(제1전력망)이, 소비량에 비하여 생산되는 전력은 많은 반면 에너지저장장치가 부족한 전력망(제2전력망)으로부터 전력을 이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력망 간의 소비 및 저장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에너지저장장치의 활용 극대화와 더불어 분산전원의 발전전력에 대한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전력망 상호간 잉여전력의 공유, 저장여유공간의 공유를 통하여 전체적인 전력망 입장에서 잉여전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비어있는 저장공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활용을 극대화 하고, 설비투자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산전원을 건설함에 있어 분산전원의 공급을 위한 분산전원용 ESS용량을 다소 적게 하더라도, 다른 전력망에서 남아도는 ESS들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분산전원을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설비에 여유가 있는 전력망인 제1전력망이 중심이 되어 잉여전력을 가지는 제2전력망에 대하여 제안요청신호를 보낸 후,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들로부터 공급제안신호를 받아 잉여전력을 공급해 줄 제2전력망을 선택하도록 하기 때문에, 송배전망 전체를 볼 때 비어있는 저장여유공간에 비하여 잉여전력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저장여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지는 전력망이 중심이 되어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들을 찾아서 공급해줄 전력을 최대한 확보한 후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함에 있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해당하는 제1시간 동안만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잉여전력의 변동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발전전력의 변동 폭이 심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의 발전특성에 능동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1시간은 발전출력과 소비전력의 변동이 없는 시간대에는 1시간이나 2시간 등 장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불안정한 시간대에는 5분이나 10분 등 매우 짧은 시간으로 설정해도 무방하며, 심지어는 수 십초 단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남는 잉여전력을 최대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1시간이 끝나기 직전인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 일정시점부터”제1전력망이 다시 제2전력망을 선정하여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준비를 하고, 제1시간이 끝나는 시간에 맞추어 새로운 제2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고, 제1시간이 끝나게 되서 새로운 제2전력망을 선정할 때는 직전에 공급해주던 제2전력망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기 때문에 잉여전력이나 저장여유전력의 변동이 다소 있더라도 제1전력망은 제2전력망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끊임없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잉여전력의 변동에 대비하여 제1시간을 짧게 설정한다 하더라도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의 연결 상태는 지속적으로 계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으로부터 송배전망을 통하여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함에 있어, 하나의 제2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이 저장여유전력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는, 다수의 제2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전력망에 잉여전력의 자투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최대한 저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서 각 전력망에 있는 잉여전력과 에너지저장장치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제1전력망 및 제2전력망이 되어 잉여전력을 주고받는 도중에도, 주고받는 전력이 아닌 저장여유전력 및 잉여전력을 계속하여 계산해 내고 이에 대하여 새로운 제안요청신호 및 공급제안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1전력망이 잉여전력을 공급받는 도중 에너지저장장치에 추가적인 저장여분 생기는 경우 현재 공급받는 제2전력망이 아닌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추가적인 제안요청신호를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여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2전력망에 추가적인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경우 새로운 제1전력망으로부터 추가적인 제안요청신호를 받아 공급제안을 할 수 있으며,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 감소로 제1전력망의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한 저장에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 제2전력망에서 공급취소신호를 보내도록 함으로써, 제1전력망이 새로운 제2전력망에 대하여 새로운 제안요청을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 변동현황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발전전력이나 소비전력에 대한 예측데이터에 기반하여 공유 또는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측정데이터에 근거하여 공유하거나 거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장여유전력과 잉여전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저장여유공간을 가지는 제1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가지는 제2전력망을 선택하기 때문에 송배전망 전체에 잉여전력이 저장여유공간보다 많은 경우 모든 저장여유공간에 잉여전력을 최대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제어시스템에는, 자신이 속한 전력망이 제1전력망이 되었을 때 제2전력망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우선순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경우,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전력망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기 때문에 공급비용이 낮은 순이나 공급거리가 짧은 순 또는 전력망 상호간의 전략적 제휴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예를 들어 이전에 자신의 잉여전력을 공급받았던 적이 있는 제2전력망을 우선으로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2전력망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 전력망간에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를 공유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분산전원 과잉인 전력망에서 에너지저장장치의 추가설치 없이도 타 전력망의 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할 수 있고, 분산전원이 없거나 부족한 전력망에서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집중식 전력교환이 아니라, 각각의 전력망 제어시스템 간에 직접적인 제안요청 및 승낙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망간의 중개시스템이 없이도 전력망간 전력의 직거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산형 장부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거래 시스템이 없이도 전력을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들이 상호간에 주고받는 신호 즉 제안요청신호, 공급제안신호 등에는 그 내용을 해싱한 해시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해시값은 이전 해시값까지도 포함하여 해싱한 것이기 때문에 주고받는 신호들 서로는 해시값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어 사후 위조나 변경이 불가능하고, 하나의 신호 값을 위변조하기 위해서는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들이 주고받은 모든 신호를 고쳐야 하기 때문에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이로 인하여, 전력망간 직거래를 하더라도, 거래당사자간의 거래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시값으로 서로 연결된 신호 중 최초신호에 해당하는 제안요청신호에는 제1전력망의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제1인증코드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2전력망에서 제1전력망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검증하도록 하고, 최종신호에 해당하는 수신확인신호에는 제2전력망의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제2인증코드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1전력망에서 제2전력망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주고받는 전력량에 대한 검증과 부인방지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전력망간 전력거래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들이 상호간에 주고받는 신호들 즉 하나의 거래를 위한 다수의 트랜젝션들은 서로 해시값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최초신호와 최종신호는 송신자의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인증코드를, 수신자가 송신자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들이 상호간에 주고받는 신호들에 대한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주고받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망간 전력거래의 안정화 및 신뢰성을 크게 제고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신호를 암호화하지 않고 최초신호와 최종신호만 암호화 하더라도 중간신호들은 해시코드를 통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중간신호 생성 및 전송 시 암호화에 따른 부담 없이도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저장여유전력을 가진 제1전력망과 잉여전력을 가진 제2전력망을 판단하는 방법 및 절차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 및 제2전력망의 판단과 저장여유전력 및 잉여전력의 크기를 계산해 내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계산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선택하여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제2전력망이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절차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절차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이 주고받는 신호에 대한 구조를 포함하는 절차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저장여유전력을 가진 제1전력망과 잉여전력을 가진 제2전력망을 판단하는 방법 및 절차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 및 제2전력망의 판단과 저장여유전력 및 잉여전력의 크기를 계산해 내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계산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선택하여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제2전력망이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절차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이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절차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이 주고받는 신호에 대한 구조를 포함하는 절차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을 소비하는 수용가들의 부하설비(110)와 더불어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120)을 포함하고 있거나,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130)를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120)과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130) 모두를 포함되도록 구획된 전력망(100)을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또는 마이크로그리드 송배전망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전력망(100)에 포함된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은 자신의 전력망에 대한 소비전력(KW, MW), 자신의 전력망 내 포함된 분산전원의 발전전력(KW, MW) 및 자신의 전력망 내 포함된 에너지저장장치의 저장가능전력(KW, MW) 등에 대하여 현재시점에서 측정한 실시간 측정값을 기반으로, 자신의 전력망(100)에 포함된 에너지저장장치(130) 및 분산전원(120)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전력망(100)은 스마트계량기 등으로 수용가나 전력설비의 전력생산 및 사용현황을 원격으로 측정하여 상기 제어시스템(101) 등에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또는 마이크로그리드 전력망이 바람직하며, 또한 각각의 전력망(100)은 송배전망(200)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공급하는 구조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전력망(100) 중에는 상기 부하설비(110)와 상기 분산전원(120)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부하설비(110)와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부하설비(110)와 상기 분산전원(120) 및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하설비 없이 분산전원(120)이나 에너지저장장치(130)만 가지는 전력망을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부하설비(100)와 상기 분산전원(120)만 포함하는 전력망(100)의 경우에는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발전되는 발전전력이 전력망(100) 내부의 부하설비(110)에서 전부 소비될 수도 있지만, 시간대에 따라서 또는 일시적인 여건에 따라서 전부 소비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발전되는 발전전력이 해당 전력망(100)의 최대 소비전력보다도 큰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발전되는 발전전력에서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반면 전력망(100) 내에 상기 부하설비(110) 외에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용전력의 비용이 저렴한 시간대에 상용전력으로 충전하였다가 피크시간 대에 방전하도록 하는 피크관리용 또는 차익거래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력망 내부에 분산전원(120)이 없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전원을 사용할 수는 없고 상용전원의 저가격 시간대를 사용하여 충전해야만 할 것인데, 상용전원의 저가격 시간대에 충전을 다 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전력망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충전을 다하지 못하여 에너지저장장치(130)의 저장 공간에 여유가 발생하는 수도 있고, 이로 인하여 에너지저장장치(130)를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전력망(100) 내에 상기 부하설비(110)와 더불어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발전되는 발전전력은 상기 부하설비(110)에서 전부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부하설비(110)에서 전부 다 사용되지 못하고 여유전력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여유전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산전원(120)의 발전 및 소비시간대에 따라서 또는 해당 전력망의 부하여건이나 특성에 따라서, 또는 심지어 분산전원 설비용량이 과다하여,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발전되는 발전전력이 자신의 전력망(100) 내부에서 전부 소비되지 못하고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발전되는 발전전력이 자신의 전력망(100) 내 부하설비(110)에 사용되고, 남는 여유전력에 대하여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의 설비용량이나 기타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여유전력을 모두 저장하지 못하여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반대의 경우로서 상기 분산전원(120)의 발전전력은 부하설비(110)의 소비전력에 훨씬 못 미쳐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에 대한 에너지저장에 상기 발전전력이 사용되지 못하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에 대한 전력저장은 상용전원만 이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전력망 각각에서 분산전원의 발전전력에 비하여 에너지저장장치 저장 공간의 수급 불균형이 일어날 때 전력망 상호간의 직거래를 통하여 전력설비의 수급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를 판단하고 저장여유전력의 크기(KW, MW) 및 잉여전력의 크기(KW, MW) 를 계산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력망(100)에서 잉여전력 및 저장여유전력을 계산하는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력망(100)의 제어시스템(101)은 항상 자신이 속한 전력망(100)이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를 판단하고, 잉여전력의 크기와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를 반복하여 계산하도록 하는 등 자신의 전력망 내에서 발생되는 발전전력 중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해 줄 수 있는 ‘잉여전력’과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여유전력’즉 전력저장이 가능한 공간을 항상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0 ~ s191, 제1단계 및 제2단계).
이를 위하여 각각의 전력망(100)에 포함된 제어시스템(101) 각각은, 자신에게 포함된 분산전원(120)으로 공급 가능한 전력인 발전전력(KW, MW), 자신의 전력망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모든 부하설비에서 소비중인 전력인 소비전력(KW, MW),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중인 전력인 제1저장전력(KW, MW) 및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에 대하여 추가 저장이 가능한 전력인 제2저장전력(KW, MW)을 현재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발전전력(KW, MW) 중에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중인 전력(KW, MW)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소비전력(KW, MW)에 포함하여 계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전력의 경우, 자신이 속한 전력망(100) 내에 있는 모든 분산전원(120) 각각으로부터 발전 가능한, 현재시점에서의 생산전력(KW, MW)을 측정, 수집한 후 전력망 내 전체 합계를 계산하여 이를 발전전력(KW, MW)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0). 상기 발전전력은 자신의 분산전원(120) 각각에서 현재 발전중인 전력에 대하여만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현재시점에서 발전중은 아니지만 추가로 즉시 발전하여 공급 가능한 발전전력의 합계까지도 합하여 계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전력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분산전원(120)의 각각에 포함된 제어장치 등에서 자신의 발전전력(발전중인 전력 + 추가발전 가능전력)을 측정 및 계산하여 상기 제어시스템(101)에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시스템(101)에서는 이에 대한 합계만 계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분산전원(120) 각각에서 전송하는 각종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어시스템(101)에서 계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소비전력의 경우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이 자신의 전력망(100)에 포함된 모든 수용가의 부하설비(110)에서 현재시점에 소비중인 평균전력(KW, MW)을 원격으로 측정하여 그 합계를 계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s130), 각각의 수용가에 설치되는 스마트계량기 등 원격측정이 가능한 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 및 전송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시스템(101)이 수집하여 계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전력망(100)에서 상기 송배전망(200)을 통하여 다른 전력망(100)으로 자신의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중인 경우, 즉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의 경우에는, 다른 전력망(100)에 공급하는 잉여전력도 상기 소비전력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소비전력에, 다른 전력망(100)에 공급하는 잉여전력을 포함하는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새로이 공급 가능한 잉여전력을 계산하기 위함인데, 나중에 후술하겠지만, 자신의 발전전력 중에서, 자신의 전력망에서 소비되고 있는 전력 및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에 공급 중인 전력은 물론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이미 공급중인 전력까지 모두 공제한 나머지 전력이 순수한 잉여전력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은 자신이 속한 전력망(100)내에 있는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들에 저장중인 전력(KW, MW)을 파악하여 이를 제1저장전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저장전력은 해당 전력망 내에서 현재 저장중인 에너지저장장치들에 대한 현재시점의 저장전력(MW, KW)인데,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배터리인 경우 PCS의 충전전력(MW, KW)이 될 것이며, 공기압축 에너지저장장치(CAES)인 경우에는 공기압축기를 가동하는 현재시점 가동전력(MW, KW)이 될 것이다. 상기 제1저장전력에 대한 전력공급원으로는, 자신의 분산전원에서 생산하고 있는 상기 발전전력이 포함될 수도 있고, 다른 전력망에서 보내주는 잉여전력일 수도 있으며, 송배전망을 통해 통상적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중인 전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충전중인 전력인 제1저장전력을 파악하는 이유는, 각각의 전력망에서 충전중인 전력 즉 상기 제1저장전력의 유무에 따라서도 상기 잉여전력을 가진 전력망인지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진 전력망인지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저장전력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잉여전력이나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저장전력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일정한 계산식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관하여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저장전력 중 일부크기를 저장여유전력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제1저장전력 즉 충전 중인 전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상용전원의 전력으로 충전중일 경우, 해당 충전전력은 다른 전력망의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 가능한 공간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이미 충전중인 전력인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있다 하더라도 그 중 상용전원으로 충전중인 부분을 가려내어 이를 저장여유전력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대신 상기 잉여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에, 상용전원의 사용한 에너지저장을 최소화 시키고 가능한 한 최대한의 잉여전력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관한 상세한 계산식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은 또한 자신이 속한 전력망(100)내에 있는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들에 추가로 저장이 가능한 전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고 계산하여 이를 제2저장전력(KW, MW)으로 하게 되는데, 상기 제2저장전력은 전력망 내에서, 충전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들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크기의 합계이다. 따라서 이는 곧 충전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들의 PCS 크기에 대한 합계가 될 것이며, 이미 충전이 완료되어 방전대기 중이거나 방전 중인 것들 또는 현재 충전 중인 전력인 상기 제1저장전력을 제외한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저장전력은 저장 가능한 총 전력량(KWH, MWH)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일시에 충전 가능한 최대전력(KW, MW)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전력의 크기(KW, MW)는 상기 제1저장전력 중 일부의 크기(KW, MW)와 함께 해당 전력망에 대한 저장여유전력의 크기(KW, MW)가 될 것이다.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의 파악을 위해서 상기 제어시스템(101)은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들 각각으로부터 충, 방전 정보를 상시적으로 수집하면서, 현재시점에서 각각의 에너지저장장치(103)들에 대한 충전중인 전력(KW, MW) 및 충전가능 전력(KW, MW)을 계산하고 자신의 전력망(100) 내 모든 에너지저장장치(130) 들에 대한 충전중인 전력(KW, MW)의 합계를 상기 제1저장전력(KW, MW)으로 하고 충전가능전력의 합계(KW, MW)를 제2저장전력(KW, MW)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 중에는 제1저장전력 및 제2저장전력에 해당되는 전력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의 소유주체가 정한 충, 방전 스케줄에 따라, 현재시점에서 상기 잉여전력을 통한 충전이 불필요하여 의도적으로 제외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의 파악 시 이러한 경우도 감안하여 자동으로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전력, 상기 소비전력,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을 측정 및 계산한 후에 상기 각각의 전력망에 대한 제어시스템(101)은 측정 및 계산된 값을 이용하여 자신이 속한 전력망이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지 또는 상기 잉여전력이나 상기 저장여유전력 모두를 가지지 않는 전력망인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잉여전력과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도 계산하게 된다.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과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에 대하여 판단하는 본 발명에 의한 기준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 없이 상기 분산전원(120)이 존재하는 전력망의 경우(s150), 현재시점에서의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적으면, 상기 분산전원(120)에서 생산되는 상기 발전전력은 상기 전력망(100)내의 부하설비에 의하여 모두 소비되고 있는 상태이고, 부족한 부분은 상기 송배전망을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전력으로 충당되고 있다는 결과이므로, 상기 잉여전력은 당연히 발생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없으므로 상기 저장여유전력 또한 당연히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 없이 상기 분산전원(120)이 존재하는 전력망에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이하인 상태는 잉여전력도 존재하지 않고 저장여유전력도 가지지 않는 전력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 없이 상기 분산전원(120)이 존재하는 전력망의 경우(s150)로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경우에는(s151),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만큼은 상기 전력망 내부의 부하설비에서 소비되지 못하고 전력이 남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지는 전력망(s180)이 되며, 이 경우 잉여전력의 크기(KW, MW)는 상기 발전전력(KW, MW)과 상기 소비전력(KW, MW)과의 차이값(KW, MW)이 되는데. 이 잉여전력 만큼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이경우의 잉여전력 계산식은 아래와 같이 된다.
잉여전력 = 발전전력 - 소비전력
그 다음으로 전력망(100)내에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s160).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에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도 상기 제2저장전력도 없는 상태가 있을 수 있다(s161). 이런 경우는, 상기 전력망(100)내에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는 모두 완전 충전된 상태이거나 완충상태는 아니라 할지라도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의 관리주체에 의하여 현재시점에서 충전이 불필요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충전중인 에너지저장장치(130) 또한 하나도 없는 상태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만큼은 상기 전력망 내부의 부하설비에서 소비되지 못하고 남는 상태 즉 잉여전력을 가지지는 전력망(s180)이 되며, 이 때 잉여전력의 크기를 계산하면(s181) 위의 경우와 동일하게 아래와 같은 계산식을 갖게 된다.
잉여전력 = 발전전력 - 소비전력
한편,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이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저장전력은 없고 상기 제1저장전력만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만일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저장전력과 같거나 미만인 경우에는 발전전력이 모두 상기 소비전력과 상기 제1저장전력에 사용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잉여전력이 발생될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과의 차이값이 충전중인 전력 즉 상기 제1저장전력보다 크면 그 큰 만큼이 잉여전력이 될 것이다. 즉 상기 발전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에 공급하고, 상기 제1저장전력에 사용하고도 남는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저장전력보다 큰 상태이면(s162), 상기 전력망(100)내에 충전 중인 에너지저장장치(130)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상기 잉여전력의 크기 계산은(s181) 아래와 같이 된다.
잉여전력 = (발전전력 - 소비전력) - 제1저장전력
위 경우와 관련하여,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며,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저장전력과 상기 잉여전력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살펴보면, 만일, 잉여전력이 있는 상태에서 제2저장전력인 저장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가 연결된다면,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과의 차이는 곧바로 상기 제2저장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 저장되기 시작할 것이며, 이는 곧 상기 제1저장전력의 증가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 즉 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저장전력이 발생한다면, 곧 바로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력으로 상기 제2저장전력을 발생시킨 에너지저장장치를 충전하기 시작할 것이며, 이는 상기 제1저장전력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력으로 상기 제2저장전력을 발생시킨 에너지저장장치를 모두 충전할 수 없다면, 나머지는 상기 제2저장전력으로 존재하겠지만, 이 경우에는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가 모두 에너지저장장치 충전에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잉여전력이 없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잉여전력 및 저장여유전력의 판단 및 계산에 있어서는,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다면 잉여전력은 존재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잉여전력 발생 상황들을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에서 잉여전력이 발생되는 위한 전력망의 조건은 ①분산전원이 있어야 하며, ②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커야 하며, ③제2저장전력이 없어야 하며, ④제1저장전력이 있는 경우, 제1저장전력의 크기는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작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 에너지저장장치가 없고 분산전원이 있으며,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작은 전력망의 경우인데,
이 세 가지 경우에만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경우에는 잉여전력이 발생될 수 없다. 그리고 위 세 경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잉여전력의 크기 계산식은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식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은 위 경우 중 세 번째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나머지의 경우에는 0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될 것이다.
잉여전력 = (발전전력 - 소비전력) - 제1저장전력
다음으로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을 살펴본다.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전력망 내에 분산전원(120) 없이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는 경우이다(s170). 이 경우 분산전원(120)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상기 잉여전력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고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경우만 존재한다. 그러나 분산전원(120) 없이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몇 가지 경우에는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하나의 경우는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이 둘 다 측정되지 않는 경우이다. 상기 제1저장전력이 없다는 것은 충전중인 에너지저장장치가 없다는 것이며, 상기 제2저장전력이 측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완전충전이 되어 있거나 충전이 불가능하거나 기타 여러 사유로 현재 시점에서 볼 때 더 이상의 전력을 저장할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이므로 이런 전력망의 경우에는 저장여유전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그리고 또 하나의 경우는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있지만,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는데, 다른 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공급받는 경우로서, 공급받는 전력이 상기 제1저장전력의 크기보다 같거나 큰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여유전력은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할 공간의 크기인데, 이 경우는 에너지저장장치(130)를 충전중이면서, 저장할 빈 공간(제2저장전력)은 없으며, 충전중인 전력은 이미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중인 것이므로 새롭게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여력 즉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분산전원(120) 없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만 존재하는 경우 중(s171), 다른 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있거나, 다른 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공급받는 중이라 할지라도 공급받는 크기가 상기 제1저장전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90). 상기 분산전원(120) 없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만 존재하는데, 다른 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있다는 것은 상기 제1저장전력 전체는 상용전력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장치에 충전하는 중이라는 의미이고, 이러한 부분은 상용전력 대신 상기 잉여전력으로 대체해서 공급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있는 경우는 상기 제1저장전력 전체에 해당하는 크기를 상기 저장여유전력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전력망에서 잉여전력을 공급받는 중이라 할지라도, 공급받는 크기가 상기 제1저장전력보다 작은 경우라는 것은 상기 제1저장전력 중 일부는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중이고, 나머지는 상용전력으로 저장하고 있다는 의미인데, 상용전력으로 저장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도 상기 잉여전력으로 대체가능하도록 그 부분을 상기 저장여유전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저장전력 중 상용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중인 부분에 해당하는 크기는 모두 잉여전력으로 대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부분은 상기 저장여유전력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산전원만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만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저장여유전력 계산식은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받는 중인 잉여전력
한편 상기 분산전원(120) 없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2저장전력만 가지는 전력망의 경우에는(s171) 특별히 고려해야 할 요소가 없으므로, 상기 제2저장전력에 해당하는 크기의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산전원(120) 없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과 상기 제2저장전력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는, 위에서 살펴본 “분산전원 없이 에너지저장장치를 가지는 전력망에서, 제1저장전력만 가지는 경우”와 “분산전원 없이 에너지저장장치를 가지는 전력망에서, 제2저장전력만 가지는 경우”를 결합시킨 것이므로, 이 경우의 저장여유전력 계산식은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제2저장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받는 중인 잉여전력
다음으로는,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에서(s160),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인데도,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발생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에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저장전력이 측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과의 차이 값만큼 남는 전력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잉여전력이 있는 것도 아니라면,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과의 차이 값은 전력망 밖으로 나가는 것이 아니므로 전력망 내 에너지저장장치(130)에 대한 충전에 사용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이고,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있는 경우라 해서 모두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상태는 아닌데, 위에서 살펴본 경우인 “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잉여전력이 발생되는 경우”즉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제1저장전력이 작은 전력망”은 제외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발생되는 경우는,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저장전력이하인 경우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력으로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에 대한 충전전력에도 다 충당하지 못하는 상태이며, 결국 이 상태는 상기 제1저장전력 중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력만큼을 넘어서는 부분은 상용전력이나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중이라는 것인데, 그 중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중인 부분은 이미 잉여전력으로 채워지는 상태이므로 고려할 필요는 없으나, 상용전원으로 공급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다른 전력망의 잉여전력으로 채울 수 있도록 저장여유전력으로 계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전력만 존재하면서 상기 제1저장전력이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 값보다 크면, 나머지 부분은 상용전력과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으로 채워지는 것이므로, 상용전력으로 충전되는 부분만 떼어내서 상기 저장여유전력으로 계산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 상기 저장여유전력은 상기 제1저장전력 중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만큼은 당해 분산전원(120)에서 공급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아니며, 또한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 주는 부분도 잉여전력으로 공급하는 것이므로 상기 저장여유전력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즉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에서, 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크고,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제1저장전력이 작은 전력망”중 제1저장전력만 존재하는 전력망에서의 저장여유전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발전전력-소비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그리고 위의 경우에 상기 제2저장전력도 동시에 존재한다면, 즉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에서, 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크고,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제1저장전력이 작은 전력망”중 제1저장전력과 제2저장전력이 동시에 존재하는 전력망에 대하여는, 현재 충전중이 아닌 공간 즉 상기 제2저장전력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포함하여 상기 저장여유전력으로 계산되어야 할 것인데, 그 계산식은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제2저장전력 (발전전력-소비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한편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는 전력망에서,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크고, 상기 제1저장전력과 상기 제2저장전력이 동시에 존재하면서 상기 제1저장전력이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값과 같으면, 상기 제1저장전력은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값으로 전체가 충당되고 남거나 부족한 전력이 없으므로 상기 제2저장전력에 해당하는 부분만 저장여유전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 다른 경우로서,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가 모두 존재하며,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이하인 상태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는 상기 발전전력은 모두 전력망(100)내 부하설비(110)에서 소비되는 것이므로 잉여전력은 발생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은 없고 상기 제2저장전력만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저장여유전력은 상기 제2저장전력과 같은 크기로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전력은 없고 상기 제1저장전력만 있는 경우는, 전력망 내 분산전원의 발전전력은 남는 부분이 없으므로 상기 제1저장전력은 상용전원이나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전력으로 충전중이며, 그 중 상용전원으로 충전중인 부분만 저장여유전력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 저장여유전력은 아래 식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그러나 상기 제1저장전력과 상기 제2저장전력까지 같이 측정되는 경우는 위의 식과 같이 계산된 저장여유전력에 상기 제2저장전력을 더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아래 식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제2저장전력-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이상에서 살펴본 저장여유전력 발생 상황들을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에서 저장여유전력이 발생되기 위한 전력망의 조건은 ①에너지저장장치가 있어야 하며, ②제1저장전력 또는 제2저장전력 중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여야 하며, ③발전전력이 소비전력 이하이거나, 발전전력이 소비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제1저장전력이 있고 제1저장전력의 크기가 발전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 분산전원이 없고 에너지저장장치가 있으며, 상기 제1저장전력 및/또는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는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 및/또는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이하인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있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보다 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저장전력 이하인 전력망의 경우인데,
이 세 가지 경우에만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경우에는 저장여유전력이 발생될 수 없다. 그리고 위 세 경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저장여유전력의 크기 계산식은 아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식에서 상기 제1저장전력, 제2저장전력 및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은 각각 존재하는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될 것이다.
*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제2저장전력 - (발전전력-소비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그리고 위에서 살펴본 6가지 경우, 즉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의 3가지 유형 및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의 3가지 유형 외 나머지 전력망에 대하여는 상기 잉여전력 및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없는 전력망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는 없고 상기 분산전원(120)을 가지는 전력망에서 발전전력이 소비전력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를 가지지만, 제1저장전력과 제2저장전력도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이하인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과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 크기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판단 및 계산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산전원(120)과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의 제어를 통하여 전력망간의 분산형 전력거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중인 전력 중 상용전원으로 저장중인 부분까지도 가려내어 이를 상기 잉여전력으로 대체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송배전망 내에서 저장여유공간과 잉여전력을 최대한 찾아내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제1전력망이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제2전력망을 선택하여 상기 제2전력망들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즉, 위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력망에 대한 현재시점의 잉여전력/저장여유전력 보유여부 판단과 크기 측정 및 계산과정”이후에 이루어지는 절차에 대한 것이다(연결점 A 참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여유전력(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전력망간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여 상기 제2전력망들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전체 송배전망에 연결된 전력망들에 대한 저장여유공간의 합계가 잉여전력의 합계보다 많은 경우, 즉 발전전력 중 남는 전력에 비하여 저장공간이 작은 경우에 유리한 방법이다. 이는 저장장치 여유공간에 비하여 잉여전력이 많은 상태이기 때문에 저장여유전력을 가진 망 입장에서는 가장 조건이 좋은(예를 들면 공급비용이 저렴한) 잉여전력에 우선순위를 두어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공급해주는 잉여전력은 저장장치 여유공간에 모두 저장하고도 남을 만큼 많기 때문에 저장장치 여유공간을 최대한 발굴하여 잉여전력을 최대한 저장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제1전력망이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인 제2전력망을 선택하되 잉여전력의 충분한 여유분을 갖도록 선택하여 잉여전력을 공급받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송배전망에 연결된 전력망들 전체를 놓고 볼 때 저장공간보다 잉여전력이 많으므로 저장공간을 가지는 전력망이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을 선택할 때, 저장공간을 모두 채우는 크기 이상으로 공급한도를 정할 수 있으며,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에서는 잉여전력의 변동까지도 감안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크기를 공급가능한도로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경우 잉여전력이 다소 변동되더라도 공급한도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저장 공간에 실시간 저장되는 크기는 변동없이 저장되며, 이에 따라 저장여유공간에 공급되는 전력의 자투리가 남지 않고 모든 저장여유공간에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최대전력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s110 ~ s140) 및 상기 2단계(s150 ~ s191)에서, 각각의 전력망(100)의 제어시스템(101)은 자신이 속한 전력망(100)이 현재시점에서 측정된 소비전력 등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고 있는지(s180),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고 있는지(s190) 또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지 여부와 함께 상기 잉여전력 또는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시점에서 그 크기까지도 계산하게 된다(s181, s191). 그리고 난 후 자신이 저장여유전력을 가진 전력망이라고 판단하는 전력망 중 하나인 제1전력망(100a)은 먼저, 자신의 전력망에 포함된 분산전원(120)의 상황, 소비전력, 에너지저장장치에 남아있는 저장가능용량(KWH) 등을 감안하여 제1시간을 설정하게 되는데(s210), 상기 제1시간은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상기 잉여전력을 계속하여 공급받을 예정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력망(100a)은 상기 제1시간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 공급을 받기 시작하면, 상기 제1시간동안 가급적 변동 없이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1시간은 전력망에 포함된 분산전원들의 발전전력 및 소비전력의 변동추이 등을 감안하여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당 분산전원의 발전스케줄과 날씨 등 발전여건 및 그 변화추이와 함께 부하설비(110)에 대한 시간대별 소비전력 및 예상 변화추이 등을 감안하여 상기 제1시간을 시간대별로 적정한 시간으로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각 전력망의 제어시스템(101)은 상기 제1시간을 적정하게 정할 수 있는 판단자료로서 각 전력망에 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1전력망(100a) 별로, 그리고 시간대나 발전여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시간으로서, 부하변동이 심한 시간대 이거나 상기 분산전원(120)의 발전전력 변화가 심하거나,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 등의 경우에는 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으로 나누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전전력이 안정적이고, 부하변동이 심하지 않은 시간대에는 상기 제1시간을 충분한 시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상기 제1시간을 잉여전력의 변동 폭이 없거나 작은 범위 내에서 정하여 잉여전력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제1시간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안정적인 잉여전력의 공급과 저장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1시간을 잉여전력의 변동추이를 감안하여 탄력적으로 정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1시간을 최소한의 짧은 시간으로 고정하여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시간은 짧으면 짧을수록 잉여전력의 변동 폭이 작으므로 공급받는 전력망 입장에서는 상기 제1시간동안 변동 폭이 작은 전력을 공급받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시간이 짧다는 것은 공급받는 전력망과 공급하는 전력망의 관계가 빠른 주기로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여서 잉여전력의 수급관계를 불안정하게 만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해줄 제2전력망을 다시 선택하도록 하되, 직전에 선택되었던 제2전력망이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고 새로운 제1시간이 시작되더라도 특별한 변동이 없는 한 직전에 공급하던 전력망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잉여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시간을 짧게 설정해도 안정적인 수급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시간은 최소한의 짧은 시간으로 고정하여 운영하더라도 전력망간 전력거래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전력망(100a)은 이렇게 상기 제1시간을 정한 후에(s210) 자신의 저장여유공간에 잉여전력을 공급받겠다는 제안요청신호를 상기 송배전망에 연결된 모든 전력망(100b, 100c, 100d ,,,)에 대하여 전송하는 제3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 s220). 그런데, 상기 저장여유공간을 가지는 전력망이 송배전망 내에 여러 개가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를 위하여 전력망 상호간에 저장여유전력의 크기정보를 전송하여 서로 공유하도록 하고, 현재시점에서 저장여유전력의 크기가 가장 큰 전력망을 상기 제1전력망으로 하여 먼저 제안요청신호를 보내도록 한 뒤, 계속하여 다음 전력망이 순차적으로 제안요청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제1전력망(100a) 자신의 식별코드와 상기 제1시간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제1전력망(100a) 자신의 식별코드는, 각각의 전력망(100)이 갖는 고유한 식별코드로서, 상기 식별코드는 각각의 전력망(100)을 서로 식별할 수 있는 각각의 유일코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전력망(100)의 제어시스템(101)은 상기 식별코드에 의하여 다른 전력망을 구분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전력망별 식별코드에 대한 정보자료(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나 구매가격 등의 구매조건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는 제안요청 및 제안과정에서 필요치 않으며, 구매조건의 경우 사전에 정해진 바에 따라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이 보유하고 있으면 되므로 생략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력망(100)의 제어시스템(101)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양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줄이고, 처리 및 응답속도를 빨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전력망(100b, 100c, 100d ,,, )들이 자신들이 수신한 상기 제안요청신호가, 권한 있는 제1전력망(100a)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 인증코드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안요청신호의 검증 및 인증코드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전송받은 전력망(100b, 100c, 100d ,,, ) 중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100b, 100c, 100d)들은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전송한 상기 제안요청신호가, 권한 있는 제1전력망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를 검증하고(s221), 자신의 전력망에서 상기 제1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계속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공급가능한도로 한 후(s230), 자신의 식별코드 및 상기 공급가능한도가 포함된 공급제안서를 공급제안신호에 담아 상기 제1전력망(100a)에 전송하는(s240) 제4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급가능한도는 자신의 전력망에 있는 분산전원(120)에서 생산되는 발전전력 중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계산된 상기 잉여전력의 한도 내에서 상기 분산전원(120)의 발전스케줄과 날씨 등 발전여건 및 그 변화추이와 함께 상기 부하설비(110)에 대한 시간대별 소비전력 및 예상 변화추이, 에너지저장장치에 남아있는 저장가능용량(KWH) 등을 감안하여 안정적인 범위 내에서 공급 가능한 전력을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부하변동이나 발전전력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시간대일 경우 잉여전력보다 다소 낮은 수준의 전력을 공급가능전력으로 설정하여 약간의 여유만 두도록 하고, 부하변동이 심한 시간대 이거나 발전전력 변화가 심하거나,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의 경우에는 잉여전력의 변동 하한선으로 예측되는 수준보다 훨씬 낮은 전력을 공급가능전력으로 설정하여 충분한 여유를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전송받은 전력망(100b, 100c, 100d)들이 전송한, 상기 공급제안서들을 수신한 상기 제1전력망(100a)은, 상기 공급제안신호를 전송한 전력망(100b, 100c, 100d) 중 하나 이상(100b, 100d)에 대하여,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제2전력망으로 선택한 후, 선택된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 대하여, 상기 공급가능한도를 감안하여 정한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기 시작하는 예정시각인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을 포함하는 제안승낙서를 제안승낙신호에 담아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 전송하는 제5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s240에서 상기 전력망들(100b, 100c, 100d)이 상기 공급제안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전력망(100a)은 상기 공급제안신호를 전송한 전력망(100b, 100c, 100d)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제2전력망(100b, 100d)으로 선택하고(s250),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를 결정한 후(s260) 상기 제안승낙신호를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에 대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70). 여기서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을 보내는 이유는,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송배전망(200)부터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하기 시작하는 순간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은 송배전망에 대하여 잉여전력을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이며, 상기 제1전력망(100a)과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은 상기 시작시각으로부터 상기 제1시간동안 송배전망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을 선택하는 방법 및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를 정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5를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이, 상기 제안승낙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안승낙신호에 의하여 전달된 상기 제안승낙서에 의한 자신의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시작시각을 포함한 수신확인서를 수신확인신호에 담아 상기 제1전력망(100a)에 전송하는 제6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80). 상기 수신확인서에, 상기 제안승낙서에 의한 자신의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시작시각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제1전력망(100a)과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 상호간에 동일한 내용을 주고받도록 하는 확인서로서 일종의 전자계약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이 보내는 상기 수신확인서에는 상기 제1전력망(100a)이 보낸 상기 제안요청서처럼 인증코드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의 인증코드는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이 보내는 내용에 대한 인증으로서 상기 인증코드 및 이에 대한 상기 제1전력망(100a)의 검증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검증한 뒤(s281) 상기 시작시각부터 상기 제1시간 동안 상기 송배전망(2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하되, 상기 제5단계(s260)에서 정한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의 합과 같은 크기의 전력을 저장하는 제7단계(s30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들은 상기 시작시각부터 상기 제1시간 동안 상기 송배전망(200)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제5단계(s260)에서 정한 공급한도에 따라 공급하면서, 상기 분산전원(120)의 발전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에 따라 조절하는 제8단계(s31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전원(120)의 발전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에 따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소비전력에 따라 상기 잉여전력이 변동할 수밖에 없는데, 이에 따라 상기 공급한도를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발전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공급한도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는 상기 제4단계(s230)에서 상기 공급가능한도를 정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잉여전력의 한도 내에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범위로 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전력망(100a) 및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들이 상기 제7단계 및 상기 제8단계를 수행하는 중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 일정시점이 된 경우에는(s320) 상기 일정시점부터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s350)까지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6단계를 다시 수행하고(s340, s322),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될 때(s350) 제7단계 및 제8단계를 다시 수행하는(s351, s352) 제9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제9단계는,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할 수 있는 한, 즉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한, 계속하여 반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점은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직전으로서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8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면 족하므로, 수초(sec) 이내가 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시스템의 처리속도나 데이터전송망의 전송속도가 빠르다면 수백 내지 수십 미리초(ms) 심지어는 수 ms 이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과정은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직전에,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아직도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면, 그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제2전력망을 미리 선정하여 대기시켰다가, 상기 제1시간이 끝나자마자 계속 이어서 공급받기 위함인데, 상기 제1전력망(100a) 입장에서는 다음에 잉여전력을 공급해줄 제2전력망이 이미 정해져서 기다리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더라도 송배전망(200)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중단했다가 다시 재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잉여전력을 안정적으로 끊임없이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시간의 종료직전 새롭게 선택하는 제2전력망은, 직전에 선택했던 제2전력망(100b, 100d)들에 우선순위를 두어서 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1전력망의 저장여유전력이나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에 대한 큰 폭의 변동이 없다면, 이 때 선택되는 제2전력망들은 직전에 선택했었던 제2전력망(100b, 100d)들과 동일한 전력망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전력망(100a)과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들 간의 전력을 주고받는 연결 관계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서 실시간 측정값을 기반으로 분산전원 및 에너지저장장치를 제어하여 모든 잉여전력 전부를 끊김 없이 거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전전력이나 소비전력의 변동이 심하여 잉여전력의 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상기 제1시간을 짧게 하여 거래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시간이 짧더라도 직전의 연결 관계를 우선으로 제2전력망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전력망(100a)과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들의 잉여전력 수급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9단계를 1회 반복할 수 있는 시간보다만 길으면 가능하며, 이러한 길이로 하는 경우 전력망의 상태변화가 매우 심하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시간의 길이를 전력망의 상황에 따라서 변동되도록 하지 않고, 상기 제9단계를 1회 반복할 수 있는 시간이상으로 설정해서 고정해놓고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제1전력망(100a)과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들의 전력공급 관련 연결 관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제9단계는,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시작시각”은, “직전에 반복 수행된 제3단계에서 정한 상기 제1시간”의 종료시각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새로운 제1시간이 즉시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100a)의 저장여유전력은, 직전에 반복된 제7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는 중에 있는 전력을 상기 저장여유전력에 더한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시간이 경과 중인 동안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남아있는 저장여유전력은 원래의 저장여유전력에서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을 제외한 값으로 계산될 것이며,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에 비하여 상기 일정시점이 지난 상태에서의 공급전력이 변동이 없다면 상기 일정시점이 지난 현재시점의 저장여유전력은 계산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제1시간이 다시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제2전력망(100a)으로부터 공급받던 잉여전력 만큼의 저장여유전력이 다시 생기는 것이므로, 현재시점에서의 실제 저장여유전력에 현재 공급받고 있는 중에 있는 전력을 합한 값을, 다음에 반복되는 제1시간에서의 저장여유전력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은, 직전에 반복된 제8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전력망에 공급하는 중에 있는 잉여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에서 제외한 후 계산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1시간이 경과중인 동안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 남아있는 잉여전력은 원래의 잉여전력에서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대하여 공급되는 잉여전력을 제외한 값으로 계산 될 것이며,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에 비하여 상기 일정시점이 지난 상태에서의 잉여전력이 변동이 없다면 상기 일정시점이 지난 현재시점의 잉여전력은 0으로 계산되거나, 또는 상기 공급한도가 상기 잉여전력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에 남아있던 잉여전력과 같은 값으로 계산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제1시간이 다시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대하여 공급하던 잉여전력을 다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현재시점에서 계산되는 실제 잉여전력에, 현재 공급 중에 있는 잉여전력을 합한 값을, 다음에 반복되는 제1시간에서의 잉여전력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전력망간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우선순위는, 상기 제1전력망 각각의 입장에서 공급비용이 가장 낮은 전력망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서 전력의 전송비용이 저렴한 순으로 선택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거리 또는 비용이 아니더라도 전력망간 전략적 제휴 등에 의하여 상호간에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에는, 자신이 속한 전력망(100)이 상기 제1전력망(100a)이 되었을 때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우선순위정보를 포함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우선순위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우선순위정보에도 불구하고, 직전에 선택되었던 제2전력망(100b 100d)을 더 우선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들로부터 공급제안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241)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2전력망들을 선택하게 된다(적색 점선 사각형 참조). 즉,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전력망부터 순차적으로 한 개씩 총 n개(n은 1 이상인 정수)의 제2전력망을 선택하며(s251), 순차적으로 제2전력망을 한 개씩 추가할 때마다 각각의 공급가능한도를 추가하여 합계를 계산하며(s252), 각각의 공급가능한도를 합한 값이 상기 저장여유전력보다 커질 때까지(s253) 그 선택 및 공급가능한도 합계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장여유전력이 900KW이고, 우선순위 높은 순으로 4개의 전력망들 각각의 공급가능한도가 300KW(100f), 400KW(100g), 400KW(100h) 및 200KW(100i)일 때, 세 번째 전력망(100h)까지 선택되었을 때 상기 공급가능한도의 합계가 1,100KW가 되어 저장여유전력(900KW)를 넘어가게 되므로 세 개의 전력망(100f, 100g, 100h)까지가 제2전력망이 되며, 네 번째 전력망(100i)는 제2전력망으로 선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전력망(100a)은,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2전력망들을 선택한 후에, 선택된 제2전력망들 각각에 대한 상기 공급한도를 정하게 되는데(s260), 상기 제1전력망이 정하는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상기 공급한도는 아래와 같이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n-1번째까지의 제2전력망 공급한도 = 각각의 공급가능한도
- n번째 제2전력망 공급한도 = 저장여유전력 - (n-1번째까지의 공급한도를 합한 값)
따라서 3개 전력망이 제2전력망으로 선택된 위의 사례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제2전력망 각각의 공급한도는 각각의 저장한도인 300KW(100f) 및 400KW(100g)가 되며, 마지막 제2전력망인 세 번째 제2전력망(100h)의 경우, 900KW - (300KW + 400KW) = 200KW 가 되므로, 200KW가 공급한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서 상기 발전전력 또는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 등 여건변화로 인한 잉여전력의 감소로, 상기 제1시간이 안 지난 상태에서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대한 공급전력이 감소하여 상기 공급한도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대하여 공급취소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송배전망(200)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으로부터 상기 공급취소신호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상기 송배전망으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에너지저장장치(130)에 저장하는 전력의 크기를, 상기 공급취소신호를 전송한 제2전력망(100b, 100d)의 공급한도만큼 축소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들(100b, 100d)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하는 도중에 저장여유공간이 추가로 발생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저장여유공간에 잉여전력을 공급할 새로운 제2전력망을 찾아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급취소신호로 인한 저장여유공간 증가 또는 상기 발전전력이나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 등 여건변화에 따라 추가로 발생되는 저장여유공간에 대하여 다른 전력망(100)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력망(100a)에서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변동되면,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변동분에 대하여도 즉시 다른 제2전력망들을 찾아서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으로부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도중에,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추가로 발생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발생되는 저장여유전력에 대하여 상기 제3단계, 상기 제5단계 및 상기 제7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전력망(100a)과 제2전력망(100b, 100d)들이 상호간에 주고받는 거래내용에 대한 위변조 방지와 거래 당사자 간 거래내용에 대한 부인방지 등을 위하여 본 발명만의 특징적인 보안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전력망(100a)과 제2전력망들(100b, 100d)이 상호간에 주고받는 일련의 신호들, 즉 제1전력망이 전송하는 제안요청신호에서 부터 제2전력망들이 보내는 수신확인신호까지, 하나의 단위거래(제7단계 및 제8단계)를 성립시키기 위한 다수의 트랜젝션(제안요청, 제안, 승낙 등, 제3단계 내지 제6단계)들을 해시값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모든 단위거래들 또한 앞뒤의 단위거래와 해시값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데, 각각의 신호에는 그 내용을 해싱한 해시값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해시값은 이전 해시값까지도 포함하여 해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고받는 신호들 서로는 해시값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변경이 불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즉 하나의 신호 값을 위변조하기 위해서는 제1전력망(100a)과 제2전력망들(100b, 100d) 각각이 주고받은 모든 신호를 고쳐야 하는데, 모든 트랜잭션들은 자신의 받은 이전 트랜잭션과 연결되고, 각각의 신호기록들은 각각의 전력망들에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보안성이 뛰어나며, 이로 인하여, 잉여전력에 대하여 별도의 중개시스템 없이 전력망간 직거래를 하더라도, 거래당사자간의 거래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시값으로 서로 연결된 신호 중 하나의 단위거래에서 최초신호에 해당하는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제1전력망(100a)의 개인키(PKI기반의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제1인증코드를 포함하도록 한 후,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서 확인 시에는 상기 제1전력망(100a)의 공개키(PKI기반의 공개키)로 상기 제1인증코드를 복호화하여 검증하도록 하였고, 하나의 단위거래에서 최종신호에 해당하는 수신확인신호에는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의 개인키로 해시값을 암호화한 제2인증코드를 포함하도록 한 후, 상기 제1전력망(100a)에서 확인 시에는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의 공개키로 상기 제2인증코드를 복호화하여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주고받는 전력량에 대한 검증과 부인방지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전력망간 전력거래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제어시스템(101)은, 자신의 개인키 및 다른 전력망(100) 제어시스템(101)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포함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전력망과 제2전력망이 주고받는 신호에 대한 구조를 포함하는 절차흐름을 도시한 것인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생성할 때에는(s219), 자신의 식별코드와 상기 잉여전력의 크기 및 제1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제안요청서를 일방향 해싱함수로 해싱한 제1해시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안요청서에 상기 제1해시값을 더 포함하여 같은 해싱함수로 해싱한 제2해시값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해시값을 상기 제1전력망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제1인증코드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 전송하는 상기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제안요청서, 상기 제1해시값, 제2해시값 및 상기 제1인증코드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20).
상기 제1전력망(100a)으로부터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은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사용한 해시함수와 동일한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안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안요청서에 상기 제1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후 그 결과값을, 상기 제1인증코드를 상기 제1전력망(100a)의 공개키로 복호화한 결과 값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안요청신호가 상기 제1전력망(100a)으로부터 온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s221). 그리고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이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대하여 보내는 상기 공급제안신호에는 상기 제2해시값과 함께 ‘상기 공급제안서와 상기 제2해시값’을 상기 해싱함수로 해싱한 제3해시값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39, s240).
또한 상기 제1전력망(100a)이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에 대하여 보내는 상기 제안승낙신호에는 상기 제3해시값과 함께 ‘상기 제안승낙서와 상기 제3해시값’을 해싱한 제4해시값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69, s270). 여기서 상기 제4해시값을 생성할 때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으로 선택된 모든 전력망에서 보내온 각각의 제3해시값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제안승낙서와 함께 해싱한 값을 상기 제4해시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 위변조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게 되고 보안성이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력망(100b)이 상기 제1전력망(100a)에 대하여 보내는 상기 수신확인신호에는 상기 제4해시값과 함께 ‘상기 제안승낙서와 상기 제4해시값’을 해싱한 제5해시값을 더 포함하며, 이와 함께 상기 제5해시값을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제2인증코드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79, s280).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받은 제1전력망(100a)은, ‘상기 수신확인서와 상기 제4해시값을 해싱한’값이 상기 제2인증코드를 상기 제2전력망(100b, 100d)의 공개키로 복호화 한 값과 서로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검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81). 이와 같이 일련의 신호들은 서로 해시값을 통하여 링크드되어 있기 때문에 일련의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라도 위조 또는 변조하게 되면 연결된 해시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위조나 변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위거래마다 최초 신호(제1전력망 → 제2전력망)와 최종신호(제2전력망 → 제1전력망)에는 각자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인증코드가 들어 있어서 거래내용에 대한 부인방지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초나 최종이 아닌 중간에 주고받는 신호들은 해시값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암호화한 인증코드를 넣지 않아도 되므로 암호화 및 복호화에 따른 컴퓨팅자원의 부담을 완화하고 처리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안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해시값은, 상기 제5해시값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계속하여 수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이전 트랜잭션의 해시값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링크드된다. 즉 제1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각각의 단위거래들은 앞뒤의 단위거래들과 해시값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안성을 한 층 더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력망
101 제어시스템
110 부하설비
120 분산전원
130 에너지저장장치
200 송배전망
101 제어시스템
110 부하설비
120 분산전원
130 에너지저장장치
200 송배전망
Claims (4)
- 하나 이상의 분산전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저장장치가 포함되어 구획된 전력망을 둘 이상 포함하는 스마트그리드 송배전망에서, 송배전망 전체를 볼 때 저장 가능한 전력에 비하여 공급 가능한 전력이 큰 경우에, 각각의 전력망에 포함된 각각의 제어시스템이 현재시점에서 측정한 실시간 측정값을 기반으로 전력을 거래하기 위하여 분산전원 및 에너지저장장치를 제어하되, 저장 가능한 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이 중심이 되어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전력망에서, 자신의 분산전원으로 공급 가능한 전력인 발전전력, 자신의 부하설비에서 소비중인 전력인 소비전력,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중인 전력인 제1저장전력 및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대하여 추가 저장이 가능한 전력인 제2저장전력을 현재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되, 상기 발전전력 중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중인 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소비전력에 포함하는 제1단계;
각각의 전력망에서, 상기 발전전력 중 다른 전력망에 대하여 공급해 줄 수 있는 잉여전력 또는 다른 전력망으로 부터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여유전력을 계산하되,
- 상기 잉여전력의 크기는 상기 발전전력, 상기 소비전력 및 상기 제1저장전력의 크기에 따라 계산하며,
-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는 상기 발전전력, 상기 소비전력, 상기 제1저장전력, 상기 제2저장전력 및 다른 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잉여전력의 크기에 따라 계산하며,
-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를 다른 전력망 각각에 대하여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전력망 중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크기가 가장 큰 전력망인 제1전력망에서, 다른 전력망의 잉여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반복하여 계속 저장할 반복시간을 정하여 이를 제1시간으로 한 뒤, 자신의 식별코드 및 상기 제1시간이 포함된 제안요청서를 제안요청신호에 담아 각각의 전력망에 대하여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전송받은 전력망 중 상기 잉여전력을 가지는 전력망에서, 상기 제안요청신호를 검증하고, 상기 제1시간동안 자신이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계산하여 이를 공급가능한도로 한 뒤, 자신의 식별코드 및 상기 공급가능한도가 포함된 공급제안서를 공급제안신호에 담아 상기 제1전력망에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제1전력망에서, 상기 공급제안신호를 전송한 전력망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잉여전력을 공급받을 제2전력망으로 선택한 후, 상기 저장여유전력과 상기 공급가능한도를 감안하여 정한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제1시간의 시작시각을 포함하는 제안승낙서를 제안승낙신호에 담아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제2전력망에서, 상기 제안승낙서에 의한 자신의 공급한도, 상기 제1시간 및 상기 시작시각을 포함하는 수신확인서를 수신확인신호에 담아 상기 제1전력망에 전송하는 제6단계;
상기 제1전력망에서,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검증한 뒤 상기 시작시각부터 상기 제1시간동안 상기 송배전망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신의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되, 상기 제5단계에서 정한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공급한도의 합과 같은 크기의 전력을 저장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2전력망에서, 상기 시작시각부터 상기 제1시간 동안 상기 송배전망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제5단계에서 정한 공급한도에 따라 공급하면서, 상기 발전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의 변동에 따라 조절하는 제8단계;
상기 제1전력망 및 상기 제2전력망에서,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 일정시점부터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6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이 종료될 때 제7단계 및 제8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제9단계; 를 포함하되,
- 상기 제9단계는,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저장여유전력을 가지는 한 계속하여 반복되며,
-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제5단계에서 상기 시작시각은, 직전에 반복된 제3단계에서 정한 상기 제1시간의 종료시각과 같으며,
-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제2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의 저장여유전력은, 직전에 반복된 제7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전력망으로부터 공급받는 중에 있는 전력을 상기 저장여유전력에 더한 값으로 하며,
-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제2단계에서 상기 제2전력망의 잉여전력은, 직전에 반복된 제8단계에 의하여 상기 제1전력망에 공급하는 중에 있는 잉여전력을 상기 소비전력에서 제외한 후 계산한 값으로 하며
상기 제1시간의 길이는 상기 제9단계를 1회 반복할 수 있는 시간이상이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잉여전력 및 상기 저장여유전력의 계산은,
- 에너지저장장치가 없고 분산전원이 있으며,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 및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큰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2저장전력이 없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보다 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보다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작은 전력망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크기의 잉여전력을 갖는 전력망으로 하며,
* 잉여전력 = (발전전력-소비전력) - 제1저장전력
- 분산전원이 없고 에너지저장장치가 있으며, 상기 제1저장전력 및/또는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는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 및/또는 상기 제2저장전력이 있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이하인 전력망이거나,
- 분산전원과 에너지저장장치가 있고, 상기 제1저장전력이 있고, 상기 발전전력이 상기 소비전력 보다 크고, 상기 발전전력과 상기 소비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저장전력 이하인 전력망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크기의 저장여유전력을 갖는 전력망으로 하며,
* 저장여유전력 = 제1저장전력 + 제2저장전력 - (발전전력-소비전력) - 다른 전력망에서 공급해주는 잉여전력
- 나머지 전력망에 대하여는 상기 잉여전력 및 상기 저장여유전력이 없는 전력망으로 하며,
상기 각각의 제어시스템에는, 자신이 속한 전력망이 상기 제1전력망이 되었을 때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기 위한 각각의 우선순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전력망부터 순차적으로 n개(n은 1 이상인 정수)를 선택하되, 각각의 공급가능한도를 합한 값이 상기 저장여유전력보다 커질 때까지 선택하며,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정하는 상기 제2전력망 각각에 대한 상기 공급한도는 아래와 같으며,
- n-1번째까지의 제2전력망 공급한도 = 각각의 공급가능한도
- n번째 제2전력망 공급한도 = 저장여유전력 - (n-1번째까지의 공급한도를 합한 값)
상기 제9단계에 의하여 반복되는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전력망이 상기 제2전력망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우선순위정보에도 불구하고, 직전에 선택되었던 제2전력망을 더 우선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시스템은, 자신의 개인키 및 다른 전력망의 제어시스템 각각에 대한 공개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안요청신호에는, 상기 제안요청서를 해싱한 제1해시값, 상기 제안요청서에 상기 제1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2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을 상기 제1전력망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제1인증코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안요청신호에 대한 검증은, 상기 제안요청서에 상기 제1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값과, 상기 제1인증코드를 상기 제1전력망의 공개키로 복호화 한 값이 서로 서로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검증하며,
상기 공급제안신호에는, 상기 제2해시값 및 상기 공급제안서에 상기 제2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3해시값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안승낙신호에는, 상기 제3해시값 및 상기 제안승낙서에 상기 제3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4해시값이 더 포함되며,
상기 수신확인신호에는, 상기 제4해시값, 상기 수신확인서에 상기 제4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제5해시값, 상기 제5해시값을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제2전력망의 개인키로 암호화한 제2인증코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수신확인신호에 대한 검증은, 상기 수신확인서에 상기 제4해시값을 포함하여 해싱한 값과, 상기 제2인증코드를 상기 수신확인신호를 전송한 제2전력망의 공개키로 복호화 한 값이 서로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여 검증하며,
상기 제9단계의 반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제안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해시값은, 상기 제5해시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288A KR101991751B1 (ko) | 2019-02-26 | 2019-02-26 |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288A KR101991751B1 (ko) | 2019-02-26 | 2019-02-26 |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1751B1 true KR101991751B1 (ko) | 2019-06-21 |
Family
ID=6705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288A KR101991751B1 (ko) | 2019-02-26 | 2019-02-26 |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17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4645B1 (ko) * | 2020-04-13 | 2020-11-30 |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 실시간 발전량에 기반한 전력 거래 방법, 이를 위한 ems |
KR102575401B1 (ko) * | 2022-11-07 | 2023-09-06 |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전력설비 감시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전력 보완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285A (ko) * | 2014-06-24 | 2016-01-04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크로그리드의 실시간 전력 수급, 전력 수급 예측 및 전력 공유 제어 장치 |
KR20160061572A (ko) * | 2014-11-21 | 2016-06-01 | 한국전력공사 | 전력거래 중계방법 |
KR101887347B1 (ko) * | 2017-01-13 | 2018-09-1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직거래 중개 방식에 기반한 마이크로그리드 간 가상 전력 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에이전트 장치 |
KR20180115398A (ko) * | 2017-04-13 | 2018-10-23 | 한국전력공사 |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
2019
- 2019-02-26 KR KR1020190022288A patent/KR101991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285A (ko) * | 2014-06-24 | 2016-01-04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크로그리드의 실시간 전력 수급, 전력 수급 예측 및 전력 공유 제어 장치 |
KR20160061572A (ko) * | 2014-11-21 | 2016-06-01 | 한국전력공사 | 전력거래 중계방법 |
KR101887347B1 (ko) * | 2017-01-13 | 2018-09-1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직거래 중개 방식에 기반한 마이크로그리드 간 가상 전력 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에이전트 장치 |
KR20180115398A (ko) * | 2017-04-13 | 2018-10-23 | 한국전력공사 | 피투피 기반 전력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4645B1 (ko) * | 2020-04-13 | 2020-11-30 |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 실시간 발전량에 기반한 전력 거래 방법, 이를 위한 ems |
KR102575401B1 (ko) * | 2022-11-07 | 2023-09-06 | 주식회사 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전력설비 감시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전력 보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1759B1 (ko) | 잉여전력을 가진 전력망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
KR101996882B1 (ko) | 전력망간 전력거래를 위한 송배전망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 |
Chen et al. | Optimal sizing for grid-tied microgrids with consideration of joint optimization of planning and operation | |
Gimelli et al. | Optimal configuration of modular cogeneration plants integrated by a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providing peak shaving service | |
EP1255340A1 (en) | Power supply/demand control system | |
Rajasekharan et al. | Optimal energy consumption model for smart grid households with energy storage | |
Javadi et al. | Robust energy hub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gap decision theory | |
JP7460422B2 (ja) | 電力取引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 |
Benyaghoob-Sani et al. | A RA-IGDT model for stochastic optimal operation of a microgrid based on energy hub including cooling and thermal energy storages | |
Melhem | Optimization methods and energy management in" smart grids" | |
KR20190105173A (ko) |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가상 발전소 | |
Jirdehi et al. | Risk-aware energy management of a microgrid integrated with battery charging and swapping stations in the presence of renewable resources high penetration, crypto-currency miners and responsive loads | |
KR101991751B1 (ko) | 저장여유공간을 가진 전력망을 중심으로, 송배전망에서 분산형 전력거래를 제어하는 방법 | |
Qayyum et al. | Predictive optimization based energy cost minimization and energy sharing mechanism for peer-to-peer nanogrid network | |
Chakir et al. | Managing a hybrid energy smart grid with a renewable energy source | |
Mohamed et al. | Stacking battery energy storage revenues in future distribution networks | |
Qayyum et al. | Hybrid renewable energy resources management for optimal energy operation in nano-grid | |
Secchi et al. | Peer-to-peer electricity sharing: Maximising PV self-consumption through BESS control strategies | |
KR101991745B1 (ko) | 전력망간 전력거래를 위한 송배전망의 분산형 제어방법 | |
Charadi et al. | Bi-objective optimal active and reactive power flow management in grid-connected AC/DC hybrid microgrids using metaheuristic–PSO. | |
Minhas et al. | A rule-based expert system for home power management incorporating real-life data sets | |
Raju et al. | A Day Ahead Demand Aggregation in Islanded Microgrid considering Uncertainty | |
Taghizad-Tavana et al. | Multi-dimensional management of smart distribution networks: Comparative analysis of box and polyhedral methods for modeling uncertainties | |
Zhang et al. | Capacity configuration optimization of energy storage for microgrids considering source–load prediction uncertainty and demand response | |
Adeyemo et al. | Sizing of energy storage for spinning reserve and efficiency increase in isolated power systems within a stochastic unit commitment frame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