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025A -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 Google Patents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025A
KR20180115025A KR1020170047140A KR20170047140A KR20180115025A KR 20180115025 A KR20180115025 A KR 20180115025A KR 1020170047140 A KR1020170047140 A KR 1020170047140A KR 20170047140 A KR20170047140 A KR 20170047140A KR 20180115025 A KR20180115025 A KR 2018011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de
pressure
spool
mounting groov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태
Original Assignee
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훌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025A/ko
Publication of KR2018011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463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15B11/04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by means in the feed line, i.e. "meter 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측 장착홈과,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와 고압측 안내유로 및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블럭; 상기 고압측 장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노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고압측 스풀; 상기 고압측 스풀의 둘레면에 위치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압유가 고압측 스풀의 노치를 통해서만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로 유동되도록 연통홀을 가로막음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탄력 설치된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유압 윈치에의 적용을 위한 대유량의 압유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counter balance valve for hydraulic winch}
본 발명은 카운터밸런스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 윈치에의 적용을 위한 대유량의 압유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앵커를 권하하거나 혹은, 권상하는데 사용되는 윈치가 제공되며, 이러한 윈치는 유압에 의해 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앵커의 권상 및 권하 작업에 상관없이 동일한 유압이 제공된다면 앵커를 권상할 때에는 충분한 유압의 제공이 이루어져 원활히 동작될 수 있는 반면, 앵커를 권하할 때에는 실제 운동량보다 적은 유압이 제공되어 앵커의 급격한 낙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윈치드럼의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유압 라인상에 카운터밸런스 스풀 및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운터밸런스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권하 작업시에는 설정된 배압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앵커의 권하가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압 윈치에 카운터밸런스 밸브가 적용된 기술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191674호에 언급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체크밸브와 카운터밸런스 스풀이 서로 구분되면서 별개로 설치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한 조립 작업 역시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유압 윈치용이 아닌 건설기계용이나 혹은, 여타 용도로 사용되는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경우 등록특허공보 제10-147046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5991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밸런스 스풀에 체크밸브를 내장시키는 구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체크밸브가 카운터밸런스 스풀의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권상 작업시 대용량의 압유를 원활히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그의 조립을 위한 작업 역시 매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191674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7046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25991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 윈치에의 적용을 위한 대유량의 압유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에 따르면 어느 한 벽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수직하게 관통된 고압측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측 장착홈 내의 끝단 부위와는 연통홀을 통해 연통되는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 및 고압측 안내유로를 통해 상기 고압측 장착홈 내의 끝단 부위에 연통되는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블럭; 상기 고압측 장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 둘레면에는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상기 고압측 장착홈 내의 끝단 부위와 상기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 간의 압유 유동을 안내하는 노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고압측 스풀; 상기 고압측 스풀의 둘레면 중 장착홈 내의 끝단 부위에 위치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압유가 고압측 스풀의 노치를 통해서만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로 유동되도록 연통홀을 가로막음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연통홀을 개방하도록 탄력 설치된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의 직경은 장착홈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연통홀의 둘레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측 스풀은 일부가 고압측 장착홈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블럭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고압측 장착홈에는 상기 몸체블럭 외부로 노출되는 고압측 스풀의 다른 일부가 수용되는 파일럿캡이 더 구비되며, 상기 파일럿캡의 외측 끝단면에는 상기 고압측 스풀의 동작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플러그가 위치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고압측 스풀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둘레면에는 상기 고압측 장착홈 내의 끝단 부위가 제공하는 공간에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끝단의 둘레면에는 확장턱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끝단 모서리는 끝단면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부의 확장턱에는 상기 체크밸브부에 탄성 이동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측 스풀의 끝단 부위 중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상기 체크밸브부 내에 위치되는 부위는 여타의 부위에 비해 직경이 작은 소경부로 형성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과 체크밸브부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고압측 스풀에 체크밸브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고압측 스풀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고압측 스풀의 축방향을 향해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구조가 단순하고, 이로 인해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압유가 고압측 스풀의 내부를 경유하는 구조가 아니라 고압측 스풀의 외부를 거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압 윈치에의 적용을 위한 대유량의 압유 유동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유압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권상 작동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스풀과 체크밸브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스풀과 체크밸브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권상 작동시 유압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압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권하 작동시 유압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압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권하 작동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권상 작동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크게 몸체블럭(100)과, 고압측 스풀(200) 및 체크밸브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체크밸브부(300)는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끝단 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해당 고압측 스풀(200)을 경유하여 지나는 압유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립 구조가 단순화됨과 더불어 대용량의 압유가 유동되는 유압 윈치에 적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블럭(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몸체블럭(100)의 어느 한 벽면(도면상 상면)에는 일정 깊이만큼 수직하게 관통된 고압측 장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블럭(10))의 다른 한 벽면(도면상 저면)에는 일정 깊이만큼 수직하게 관통된 저압측 장착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은 후술될 고압측 스풀(200)의 동작을 위한 부위이고, 상기 저압측 장착홈(120)은 저압측 스풀(40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또한, 상기 몸체블럭(100)의 내부에는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통해 연통되는 한 쌍의 고압측 유출입포트(131,132) 및 저압측 안내유로(140)를 통해 연통되는 한 쌍의 저압측 유출입포트(141,14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압측 유출입포트(131,132) 및 한 쌍의 저압측 유출입포트(141,142)는 각각 별도의 유압 라인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유압펌프 혹은, 유압모터와 연결되면서 압유가 반복하여 순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압측 유출입포트(131,132)는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의 길이 방향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이하, “연통공간”이라 함)(111)와는 연통홀(112)을 통해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압유가 유출됨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외부로부터 압유가 유입되는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와,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통해 상기 연통공간(111)과 연통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외부로부터 압유가 유입됨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압유가 유출되는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13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통홀(112)의 직경은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연통홀(112)의 둘레를 따라 단턱(113)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턱(113)에 의해 후술될 체크밸브부(300)가 해당 연통홀(112)을 가로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한 쌍의 저압측 유출입포트(141,142)는 상기 저압측 장착홈(120) 내에 확장 형성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외부로부터 압유가 유입됨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압유가 유출되는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141)와, 저압측 안내유로(140)를 통해 상기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141)와 연통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압유가 유출됨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외부로부터 압유가 유입되는 저압측 제2유출입포트(1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141)는 작동압유로(150)를 통해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저압측 제2유출입포트(142)를 통해 유입되어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141)로 유동되는 압유의 일부가 상기 작동압유로(150)를 통해 고압측 장착홈(110)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유의 일부가 고압측 스풀(200)의 하강 이동을 위한 작동압으로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측 스풀(200)은 유압 윈치의 권상 혹은, 권하 작동을 위해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통한 압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압측 스풀(200)은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는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을 벗어나 몸체블럭(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특히,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내측 끝단(몸체블럭 내에 위치되는 도면상 하측 끝단) 둘레면에는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연통공간(111)으로부터 연통홀(112)을 통과하여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로 향하는 압유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노치(2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내측 끝단 부위 중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후술될 체크밸브부(300) 내에 위치되는 부위는 여타의 부위에 비해 직경이 작은 소경부(220)로 형성되고, 상기 노치(210)는 상기 소경부(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면서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와 체크밸브부(30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몸체블럭(100)의 고압측 장착홈(110)에는 상기 몸체블럭(100) 외부로 노출된 고압측 스풀(200)의 다른 일부가 수용되는 파일럿캡(5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파일럿캡(500)의 외측 끝단면에는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동작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플러그(510)가 위치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조절 플러그(510)의 위치 조작을 통해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동작 거리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치(210)의 형상과 함께 배압의 크기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 플러그(510)는 나사식으로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동작 방향을 향해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동작 거리에 대한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상단측 둘레면에는 작동압유로(150)와 연통되는 유출입공(231)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유출입공(231)은 연결공(232)을 통해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상면과 파일럿캡(500) 사이의 공간으로 작동압을 제공하여 상기 고압측 스풀(20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체크밸브부(300)는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압유가 고압측 스풀(200)의 노치(210)를 통해서만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로 유동되도록 하는 배압 제공을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부(300)는 고압측 스풀(200)의 소경부(220)를 감싸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고압측 스풀(200)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연통홀(112)을 통과하지는 않을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끝단의 둘레면에는 확장턱(310)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끝단 모서리는 끝단면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체크밸브부(300)의 둘레면에는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가 제공하는 공간에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320)이 관통 형성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연통홀(112)을 가로막음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연통홀(112)을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크밸브부(300)의 확장턱(310)과 상기 파일럿캡(500) 간의 대향면 사이에는 상기 체크밸브부(300)에 탄성 이동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330)이 설치됨으로써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상기 체크밸브부(300)가 상기 연통홀(112)을 가로막을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작동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3과 도 4 및 도 7은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 상태 및 유압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즉, 유압 위치의 권상 작동시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압유는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를 통해 몸체블럭(100) 내로 유입되어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따라 유동한 후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132)를 통해 몸체블럭(100) 외부로 유출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블럭(100) 외부로 유출된 압유는 저압측 제2유출입포트(142)를 통해 재유입되어 저압측 안내유로(140)를 따라 유동한 후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141)를 통해 몸체블럭(100) 외부로 유출된 후 다시금 상기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를 통해 몸체블럭(100) 내로 유입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권상 작동시 고압측 스풀(200)은 상향 이동됨과 더불어 체크밸브부(300) 역시 상기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를 통해 유입되는 압유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연통홀(112)을 개방함에 따라 상기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로 유입된 압유는 연통홀(112)과 연통공간(1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고압측 안내유로(130)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에는 전술된 권상 작동시의 유압 흐름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압유가 유동되며, 이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유압 위치의 권하 작동시 유압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압유는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132)를 통해 몸체블럭(100) 내로 유입되어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따라 유동한 후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를 통해 몸체블럭(100) 외부로 유출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블럭 외부로 유출된 압유는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141)를 통해 재유입되어 저압측 안내유로(140)를 따라 유동한 후 저압측 제2유출입포트(142)를 통해 몸체블럭(100) 외부로 유출된 후 다시금 상기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132)를 통해 몸체블럭(100) 내로 유입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권하 작동시 고압측 스풀(200)은 하향 이동됨과 더불어 체크밸브부(300) 역시 상기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통해 연통공간(111) 내로 유입되는 압유 및 복원스프링(330)의 복원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면서 연통홀(112)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간(111) 내로 유입된 압유는 고압측 스풀(200)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노치(210)를 통해서만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로 유동되고, 이러한 배압의 영향에 의해 권하 작동시의 유압 윈치는 급격한 동작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고압측 스풀(200)에 체크밸브부(300)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체크밸브부(300)는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축방향을 향해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구조가 단순하고, 이로 인해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는 압유가 고압측 스풀(200)의 내부를 경유하는 구조가 아니라 고압측 스풀(200)의 외부를 거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압 윈치에의 적용을 위한 대유량의 압유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100. 몸체블럭 110. 고압측 장착홈
111. 연통공간 112. 연통홀
113. 단턱 120. 저압측 장착홈
130. 고압측 안내유로 131.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
132.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 140. 저압측 안내유로
141. 저압측 제1유출입포트 142. 저압측 제2유출입포트
150. 작동압유로 200. 고압측 스풀
210. 노치 220. 소경부
231. 유출입공 232. 연결공
300. 체크밸브부 310. 확장턱
320. 관통홀 330. 복원스프링
400. 저압측 스풀 500. 파일럿캡
510. 조절 플러그

Claims (5)

  1. 어느 한 벽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수직하게 관통된 고압측 장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와는 연통홀(112)을 통해 연통되는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 및 고압측 안내유로(130)를 통해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에 연통되는 고압측 제2유출입포트(132)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블럭(100);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 둘레면에는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와 상기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 간의 압유 유동을 안내하는 노치(2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고압측 스풀(200);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둘레면 중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에 위치되면서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압유가 고압측 스풀(200)의 노치(210)를 통해서만 고압측 제1유출입포트(131)로 유동되도록 연통홀(112)을 가로막음과 더불어 유압 윈치의 권상 작동시에는 연통홀(112)을 개방하도록 탄력 설치된 체크밸브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112)의 직경은 고압측 장착홈(11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연통홀(112)의 둘레를 따라 단턱(113)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부(300)는 상기 연통홀(112)을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스풀(200)은 일부가 고압측 장착홈(110)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블럭(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에는 상기 몸체블럭(100) 외부로 노출되는 고압측 스풀(200)의 다른 일부가 수용되는 파일럿캡(5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파일럿캡(500)의 외측 끝단면에는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동작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플러그(510)가 위치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부(300)는 상기 고압측 스풀(200)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둘레면에는 상기 고압측 장착홈(110) 내의 끝단 부위가 제공하는 공간에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320)이 관통 형성되고, 끝단의 둘레면에는 확장턱(310)이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끝단 모서리는 끝단면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체크밸브부(300)의 확장턱(310)에는 상기 체크밸브부(310)에 탄성 이동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33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밸브.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스풀(200)의 끝단 부위 중 유압 윈치의 권하 작동시 상기 체크밸브부(300) 내에 위치되는 부위는 여타의 부위에 비해 직경이 작은 소경부(220)로 형성되고,
    상기 노치(210)는 상기 소경부(220)의 외주면과 체크밸브부(30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KR1020170047140A 2017-04-12 2017-04-12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KR20180115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40A KR20180115025A (ko) 2017-04-12 2017-04-12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40A KR20180115025A (ko) 2017-04-12 2017-04-12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25A true KR20180115025A (ko) 2018-10-22

Family

ID=6410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40A KR20180115025A (ko) 2017-04-12 2017-04-12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0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002A (ko)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두산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002A (ko)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두산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2744B2 (ja) 複動形流体流れ方向制御弁
KR20180071261A (ko) 유체 제어 밸브
KR20210015930A (ko) 릴리프 밸브
JP2010101336A (ja) スプール弁
KR20180115025A (ko) 유압 윈치용 카운터밸런스 밸브
WO2015092875A1 (ja) 衝撃動工具
CN108825577B (zh) 一种可变液控比的平衡阀
JP4842716B2 (ja) パイロットチェック弁及びこれを備えた流体圧回路
CN107676519B (zh) 一种轴流式水控调节阀
JP2012233512A (ja) 給排気調整装置、給排気調整システム
US20140137968A1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CN110486512B (zh) 一种安全阀
JP6773455B2 (ja) 流量調整弁及び弁構造体
KR100998611B1 (ko) 건설중장비용 홀딩밸브
US11293560B2 (en) Solenoid flow control valve
CN108999828B (zh) 一种平衡阀
JP2005240994A (ja) 建設重装備用流量制御装置
CN108050121B (zh) 一种插装式控制阀及卷扬制动器的液压控制系统
CN108953713B (zh) 流量型平衡阀
JP3923993B2 (ja) 垂直スプール型切換弁における上部パイロット油室内の空気抜き装置
CN109140003B (zh) 一种微型调压阀
CN109058202B (zh) 压力补偿阀
KR101068010B1 (ko) 유압 핸드펌프
CN106050784B (zh) 一种平衡阀
KR20160141240A (ko) 프론트로더 유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