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941A -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941A
KR20180114941A KR1020187027415A KR20187027415A KR20180114941A KR 20180114941 A KR20180114941 A KR 20180114941A KR 1020187027415 A KR1020187027415 A KR 1020187027415A KR 20187027415 A KR20187027415 A KR 20187027415A KR 20180114941 A KR20180114941 A KR 20180114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window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data packe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273B1 (ko
Inventor
하이펑 위
펑 위
광웨이 위
우룽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하여,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구현하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인가 스펙트럼 (unlicensed spectrum)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기들 간의 무선 통신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스펙트럼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 가지 유형은 인가된(Licensed) 스펙트럼이고, 다른 유형은 비인가된(Unlicensed) 스펙트럼이다.
복수의 시스템은 비인가 대역을 공유한다. 따라서,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의 경우, 복수의 시스템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 기기는 비인가 스펙트럼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결정한 후에만 비인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기기가 비인가 스펙트럼을 점유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통화 전 청취(listen before talk, LBT) 프로세스라고 한다
상이한 시스템들 내의 통신 기기들은 상이한 검출 능력들을 갖는다. 검출 능력 차이의 영향으로 인해,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비교적 먼 곳에 있는 단말 기기는 심각한 신호 감쇠를 겪는다. 따라서, LBT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다른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와 커버리지 내의 비교적 먼 곳에 있는 이러한 유형의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고, 그 다른 단말 기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비인가 스펙트럼을 점유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일으켜,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비교적 저하시킨다.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을 위해, 통신 기기가 비인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기반 송신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면,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스케줄링 기반 송신 모드는 모든 단말 기기에 적용 가능하지는 않다.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내에서 비교적 먼 곳에 있는 단말 기기는 심각한 신호 감쇠를 겪는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단말 기기에 스케줄링 명령을 여러 번 전송해야 할 수 있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스펙트럼 자원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방식에서는 스케줄링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증가된다. 스케줄링 시그널링 송신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채널 자원이 제한되기 때문에, 스케줄링 기반 송신 모드는 커버리지 내의 비교적 먼 곳에 있는 이러한 유형의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는 부적합하다.
결론적으로, 상이한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방지하면서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켜,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안을 설계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송신을 구현하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한을 충족시키면서 상이한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remaining duration)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center user) 또는 에지 사용자(edge user)이며,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데이터 패킷 속성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기기는 제1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므로, 단말 기기는 시스템 동기화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알게 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이거나,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는 경합 방식(contention manner) 또는 저듀티 사이클 방식(low duty cycle manner)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단말 기기에 의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 프로세스에 시차를 둘 수 있으므로, 상이한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를 전송하는 것 -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는 스케줄링 기반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의 전송될 데이터 패킷은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기 때문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이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기에 불충분하면, 단말 기기는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면서 BSR을 실어 전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기 위해, 단말 기기가 BSR을 다시 네트워크 기기에 독립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여전히 계속하여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으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의 수신을 기다릴 필요가 없고, 대신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충족시키고, 단말기 기기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추가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단말 기기로부터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신 상태를 피드백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specified information)의 제2 임계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임계치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3 임계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3 임계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임계치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는 것 -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물리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임계치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는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의 상기 단말 기기의 동작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구성은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의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지원한다. 상기 단말 기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 기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구성은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되는 다운링크 정보의 수신을 지원한다.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상기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 및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및 에지 사용자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데이터 패킷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및 작은 데이터 패킷을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상기 단말 기기가 선택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이거나,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전송하는 것 -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제1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기기는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 자원의 수량 및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제1 임계치를 설정하고 동적으로 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은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의 구성 및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업링크 채널)의 구성 등을 포함하므로, 제3 시간 윈도에서 자원 활용을 보장하면서 부하 균형을 이룬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제3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소형 데이터 패킷인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다운링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상기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의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 그리고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및 에지 사용자를 포함함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상기 단말 기기가 선택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전송하는 것 -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물리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제1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전술한 방법 설계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은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방법에서의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네트워크 기기를 지원하도록 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될 다운링크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전술한 방법에서의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상기 단말 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전술한 방법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전술한 측면에서의 상기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에서, 경쟁 및 스케줄링에 기초한 혼합된 송신 방법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다운링크 정보를 단말 기기에 전송하고,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적절히 선택한다. 단말 기기는 사용자 속성 및 데이터 패킷 속성을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모드를 선택하거나, 단말 기기는 사용자 속성을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모드를 선택하므로, 비인가 스펙트럼을 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한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프레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한다. 명백하게, 기술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에 불과하고 전부는 아니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가 창의적인 노력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경쟁 및 스케줄링에 기초한 혼합된 송신 방법이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술적 방안에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속성 및 데이터 패킷 속성을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는 사용자 속성을 참조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므로, 보다 유연하게 비인가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다. 에지 사용자의 단말 기기는 경쟁 방식 또는 듀티 사이클 방식으로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선택하므로,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는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한다. 상기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사한 원칙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단말 기기 및 방법의 구현을 위해, 상호 참조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부분의 세부사항은 기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기기,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형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무선 단말 기기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 기기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cellular)"전화라고 함)와 같은 이동 단말 기기, 및 이동 단말 기기를 갖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언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형, 소형(pocket-sized),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내의 이동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기기는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ed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무선 단말 기기는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원격국(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 기기(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 기기기(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 기기(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장비(User Device)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 일 수 있거나,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된 무선 프레임(received over-the-air frame)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무선 단말 기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라우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에서의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거나, 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에서의 노드B(NodeB)일 수 있거나, 또는 LTE에서의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은, sub-1 GHz 이하의 비인가 스펙트럼과 같은, 비인가 스펙트럼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비인가 스펙트럼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는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에 속하는 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서로 다른 거리, 즉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에 기초하여 센터 사용자와 에지 사용자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실시예의 제시 순서는 단지 실시예의 순서를 나타낼 뿐이며, 실시예에서 제공된 기술적 방안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단말 기기의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므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송신을 구현할 수 있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201.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이다. 매핑 관계에서의 데이터 패킷 속성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포함하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이다.
S202. 단말 기기가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프레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의 구성은, 도 3은 채널 상태 평가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시간 윈도 및 채널 점유 시간 윈도를 포함한다.
CCA 시간 윈도: 네트워크 기기가 비인가 스펙트럼을 사용하기 전에, 네트워크 기기는 CCA 시간 윈도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에 대한 LBT 채널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CCA 시간 윈도는 네트워크 기기가 비인가 스펙트럼에 대한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시각을 시작 시각으로 사용한다. CCA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시스템 동작 대역에서 채널이 이용 가능한지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채널상에 신호가 있음을 검출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그 채널이 "사용중(busy)" 상태인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채널의 비인가 스펙트럼이 점유되어 있고, CCA 시간 윈도가 계속됨을 의미한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채널 상에 신호가 없음을 검출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그 채널이 "유휴(idle)" 상태인 것으로 생각한다. 이는 채널의 비인가 스펙트럼이 점유되지 않아서, 네트워크 기기가 비인가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고 CCA 시간 윈도가 끝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CCA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휴면(slee)하거나 네트워크 기기가 신호 등을 보내는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CCA 시간 윈도에서의 단말 기기의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채널 점유 시간 윈도: CCA 시간 윈도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 후, 네트워크 기기는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 진입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비인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단말 기기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제1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므로, 단말 기기는 시스템 동기화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 포함되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각각의 시간 윈도의 시간 구성, 및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시간 윈도는 또한 무경쟁 윈도(Contention free window, CFW) 또는 스케줄링 윈도라고도 지칭될 수 있고, 제3 시간 윈도는 또한 경쟁 기반 윈도(Contention base window, CBW)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프로시저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40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1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알게 된다. 그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의 시간 구성, 그리고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의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을 포함한다.
S402. 단말 기기가 제2 임계치 및 제3 임계치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2 임계치 및 제3 임계치를 알게 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S401 및 S402의 시퀀스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1 임계치를 알게된다. 제1 임계치는 제1 시간 윈도에서 전송되는 것이 허용된 데이터 패킷의 최대 수량이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임계치는 사용자 속성 결정 임계치이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임계치는 특정 정보의 임계치이다.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알게 된 후, 단말 기기는 제2 임계치 및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또한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한다. 그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이하의 몇 가지 방법으로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방법 1: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알게되는 제2 임계치를 갖는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즉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의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이거나, 또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의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이다.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한 후, 단말 기기는 커버리지 레벨과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센터 사용자인지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는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하는 데 종래 기술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거리에 기초하여 세 가지 커버리지 레벨로 분류된다. 세 가지 커버리지 레벨은 CC0, CC1 및 CC2로 순차적으로 번호가 부여되고, 2개의 2진 비트: 00, 01, 및 10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표현된다. CC0은 가장 작은 커버리지(가장 높은 수신 신호 에너지 및 가장 가까운 커버리지 거리)를 갖는 커버리지 레벨을 나타내고, CC2는 가장 큰 커버리지(가장 낮은 수신 신호 에너지 및 가장 먼 커버리지 거리)를 갖는 커버리지 레벨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실리는 커버리지 레벨은,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의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인 것을 지시고,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커버리지 레벨 번호를 실을 수 있거나, 또는 커버리지 레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2진 비트를 실을 수 있다.
[표 1]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실린 커버리지 레벨과 커버리지 레벨에 의해 지시되는 의미 사이의 대응관계
Figure pct00001
방법 2: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알게 되는 제2 임계치를 갖는 특정 정보는 RSRP, 즉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의 RSRP 임계치이다. 단말 기기는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RSRP를 결정한 후, 단말 기기의 RSRP가 RSRP 임계치 이상이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의 RSRP가 RSRP 임계치보다 작으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RSRP 임계치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프셋 및/또는 보상 값을 더 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오프셋 Delta를 더 싣는다. 단말 기기의 RSRP가 RSRP 임계치와 Delta의 합 이상이면, 즉 단말 기기의 RSRP≥RSRP 임계치+Delta이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의 RSRP가 RSRP 임계치과 델타의 합보다 작으면, 즉 단말 기기의 RSRP<RSRP 임계치+Delta이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Delta 값, 즉 열거형(enumeration type)의 Delta 값을 지시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수 비트가 사용된다.
방법 3: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시퀀스를 수신한다. 동기화 시퀀스에 실린, 제2 임계치를 갖는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이다. 즉, 동기화 시퀀스에 실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의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이거나, 또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에지 사용자의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이다.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한 후, 단말 기기는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와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센터 사용자인지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는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을 통해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동기화 시퀀스는 다음의 방식으로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를 실어 전달할 수 있다.
방식 1: 상이한 주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가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를 대응하게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방식 2: 상이한 부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가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을 대응하게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방식 3: 상이한 SSS 시퀀스 조합이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를 대응하게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방식 4: PSS와 SSS 사이의 상이한 상대 위치가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를 대응하게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커버리지 레벨 CC0 내지 CC23을 지원하고,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가 CC1인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즉 커버리지 레벨이 CC0 및 CC1인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커버리지 레벨이 CC2 내지 CC23인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PSS와 SSS 사이의 대응하는 상대 위치는 다음과 같다: PSS는 SSS 이전이고, PSS와 SSS는 두 개의 타임슬롯으로 분리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현재의 부하 및 간섭에 기초하여 커버리지 레벨 임계치로서 CC1을 선택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후속하는 동기화 신호 전송에서 SSS 이전에 PSS를 전송한다. 두 개의 신호는 두 개의 타임슬롯에 의해 분리된다.
제3 임계치는 데이터 패킷 속성 결정 임계치이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3 임계치를 알게 된 후, 단말 기기는 제3 임계치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결정한다. 제3 임계치는 절대 데이터 패킷 길이 L(단위: 비트) 또는 데이터 패킷 길이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의 길이 비율일 수 있다.
S403.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404를 실행하고,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405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보다 작은 경우,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말 기기는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 및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총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을 알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길이 및 데이터 패킷 송신 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S402에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1 임계치를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추가로, 제1 임계치를 참조하여,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을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S404. 단말 기기가 현재의 데이터 패킷 전송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말 기기는 S403에서,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는 S403에서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총족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현재의 프로시저를 종료한다.
S405. 단말 기기가 제2 임계치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라고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406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라고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407을 실행한다.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S402를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406. 단말 기기가 제3 임계치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작은 데이터 패킷인 것으로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407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이라고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408을 실행한다.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S402를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407. 단말 기기가 제1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제1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는 다음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이거나;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작은 데이터 패킷이다.
단말 기기가 제1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단말 기기는 경쟁 방식 또는 듀티 사이클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일 수 있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가용 업링크 채널을 알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용 업링크 채널이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모든 가용 업링크 채널 중에서 업링크 채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제1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며,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보는 확인응답(Acknowledge, ACK) 또는 부정 확인응답(Negative Acknowledge, NACK)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은 PDCCH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과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다.
S408. 단말 기기가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제2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는 다음을 충족해야한다: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이다.
제2 송신 모드는,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 기기가 스케줄링 기반 방식으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 기기가 제2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BSR을 전송하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은 PUSCH일 수 있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가용 업링크 채널을 알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용 업링크 채널이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모든 가용 업링크 채널 중에서 무작위로 업링크 채널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BSR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은 PDCCH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과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다운링크 채널을 검출하면,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에실린 업링크 할당 정보를 파싱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알게 된다.
단계 3: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단계 3에서, 선택적으로, 현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단말 기기가 독립적으로 BSR을 네트워크 기기에 다시 전송함으로 인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면서 BSR을 실어서,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단계 4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며,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보는 ACK 또는 NACK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은 PDCCH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과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가 여전히 계속하여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으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충족시키고,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이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할 수 있다. 제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에 대해, 이 방법에서 언급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다.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에 대해, 이 방법에서 언급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되는 BSR이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한다.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단말 기기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신 상태를 단말 기기에 피드백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임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제1 임계치는 제1 시간 윈도에서 전송되도록 허용된 데이터 패킷의 최대 수량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실시간으로 제1 임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고, 브로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1 임계치를 단말 기기에 통지한다.
제1 임계치는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단말 기기가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를 충족하면, 단말 기기는 복수의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여, 단말 기기에 의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기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단말 기기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신 상태를 단말 기기에 피드백한다. 제1 임계치를 지나치게 작게 설정하는 것은 제3 시간 윈도에서의 자원 이용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제1 임계치를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는 것은 제3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경쟁이 악화되어, 네트워크 기기에서 캐시 축적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 및 제3 시간 윈도에서의 가용 업링크 채널 자원의 수량에 기초하여 제1 임계치를 설정하고 동적으로 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은 제2 시간 윈도에서의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업링크 채널)의 구성 및 다운링크 채널의 구성 등을 포함하여, 제3 시간 윈도에서 자원 이용을 보장하면서 부하 균형을 이룬다.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에서, 경쟁 및 스케줄링에 기반한 혼합 방법이 사용된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비인가 스펙트럼을 보다 융통성있게 사용하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서,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여,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구현하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501.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시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이다.
S502. 단말 기기가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이 본 실시예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 무선 프레임의 무선 인터페이스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의 구성은 CCA 시간 윈도 및 채널 점유 시간 윈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 2에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프레임의, 도 3에 도시된 무선 인터페이스 구성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의 내용을 참조한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프로시저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60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1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알게 된다. 이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의 시간 구성, 및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을 포함한다.
S602. 단말 기기가 제2 임계치를 결정한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2 임계치를 알게 된다.
S601 및 S602의 시퀀스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1 임계치를 알게 된다. 제1 임계치는 제1 시간 윈도에서 전송되도록 허용된 데이터 패킷의 최대 수량이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깃을 전송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임계치는 사용자 속성 결정 임계치이며, 단말 기기가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된다. 제2 임계치는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이다.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알게 된 후에, 단말 기기는 제2 임계치 및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판정한다.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RSRP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임계치를 단말 기기에 통지하는 방법 및 제2 임계치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가 사용자 속성을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1에서의 내용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S603.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 하면, 단말 기기는 S604를 실행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정하면, 단말 기기는 S605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보다 작은 경우,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S602에서,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1 임계치를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추가로, 제1 임계치를 참조하여,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거나;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S604. 단말 기기가 현재의 데이터 패킷 송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말 기기는 S603에서,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고, 단말 기기가 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데이터 패킷을전송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S603에서 단말 기기가 데이터 패킷 송신 조건을 충족하지 않고,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 기기는 현재 프로시저를 종료한다.
S605. 단말 기기가 제2 임계치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한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것으로 판정하면 S606을 실행하거나,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라고 판정하면 S607을 수행한다.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S602를 참조한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606. 단말 기기가 제1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제1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는 다음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자 속성은 에지 사용자이다.
단말 기기가 제1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기기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경쟁 방식 또는 듀티 사이클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은 PUSCH일 수 있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가용 업링크 채널을 알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용 업링크 채널이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모든 가용 업링크 채널 중에서 업링크 채널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제1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며,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보는 ACK 또는 NACK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은 PDCCH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과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다.
S607. 단말 기기다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제2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2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단말 기기는 다음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이다.
단말 기기가 제2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BSR을 전송하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채널은 PUSCH일 수 있고,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가용 업링크 채널을 알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용 업링크 채널이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모든 가용 업링크 채널 중에서 무작위로 업링크 채널을 선택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BSR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은 PDCCH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과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단말 기기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다운링크 채널을 검출하면,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에실린 업링크 할당 정보를 파싱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알게 된다.
단계 3: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단계 3에서, 선택적으로, 현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된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단말 기기가 독립적으로 BSR을 네트워크 기기에 다시 전송함으로 인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면서 BSR을 실어서,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단계 4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며,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보는 ACK 또는 NACK이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다운링크 채널은 PDCCH일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커버리지 레벨과 다운링크 채널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가 여전히 계속하여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을 가지고 있으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충족시키고,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이라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할 수 있다. 제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에 대해, 이 방법에서 언급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다.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에 대해, 이 방법에서 언급된 데이터 패킷은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되는 BSR이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한다.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단말 기기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신 상태를 단말 기기에 피드백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1 임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제1 임계치는 제1 시간 윈도에서 전송되도록 허용된 데이터 패킷의 최대 수량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실시간으로 제1 임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고, 브로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1 임계치를 단말 기기에 통지한다. 네크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 및 제3 시간 윈도에서의 가용 업링크 채널 자원의 수량에 기초하여 제1 임계치를 설정하고 동적으로 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은 제2 시간 윈도에서의 가용 자원 및 다원링크 채널을 점유 등을 포함하여, 제3 시간 윈도에서 자원 이용을 보장하면서 부하 균형을 이룬다.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에서, 경쟁 및 스케줄링에 기반한 혼합 방법이 사용된다.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 송신 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비인가 스펙트럼을 보다 융통성있게 사용하고, 비인가 스펙트럼의 사용에 대한 규제 제약을 충족시키면서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단말 기기를 나타낸다. 단말 기기는 도 2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 기기(700)는 처리 모듈(701) 및 전송 모듈(7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700)는 수신 모듈(703)을 더 포함한다.
처리 모듈(701)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의 전송 모듈(702)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간의 매핑 관계로부터, 전송 모듈(7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이다. 매핑 관계에서의 데이터 패킷 속성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포함하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이다.
전송 모듈(702)은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처리 모듈(701)에 의해,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3 시간 윈도는 전송 모듈(702)에 의해,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처리 모듈(701)에 의해,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는 전송 모듈(702)에 의해,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단말 기기가 시스템 동기화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구성 정보를 알 수 있도록, 단말 기기는 제1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와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를 위해, 단말 기기에 포함된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이거나;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를 위해, 단말 기기에 포함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전송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는 경합 방식 또는 저 듀티 사이클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여, 단말 기기에 의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프로세스에 시차를 둘 수 있고, 서로 다른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703)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모듈(7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를 위해, 단말 기기에 포함된 처리 모듈(7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는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전송 모듈(702)은 추가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
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703)을 더 포함한다.
네크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전송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고 또한 수신 모듈(703)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는 스케줄링 기반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므로, 서로 다른 시스템들 간의 상호 신호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제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말 기기의 전송될 데이터 패킷은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기 때문에, 현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단말 기기가 독립적으로 BSR을 네트워크 기기에 다시 전송함으로 인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단말 기기의 전송 모듈(702)은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면서 BSR을 실어서,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703)은 추가로,
전송 모듈(702)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7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처리 모듈(701)은 추가로,
전송 모듈(7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702)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가 계속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 패킷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의 수신을 대기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에, 처리 모듈(701)이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하기 위한 지속기간을 충족시키고, 단말 기기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이인 것으로 결정하면, 전송 모듈(702)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계속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703)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응답 정보를 획득한다. 확인응답 정보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단말 기기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신 상태를 단말 기기에 피드백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제3 시간 윈도에서의 가용 업링크 채널 자원의 수량 및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제1 임계치를 설정하고 동적으로 조정한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능력은 제2 시간 윈도에서의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업링크 채널)의 구성 및 다운링크 채널의 구성 등을 포함하여, 제3 시간 윈도에서의 자원 이용을 보장하면서 부화 균형을 이룬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전송 모듈(702)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처리 모듈(701)은 추가로,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결정하고 - 여기서 제2 임계치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를 포함함-;
제2 임계치 및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또한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7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처리 모듈(701)은 추가로,
제3 임계치를 결정하고 - 여기서 제3 임계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제3 임계치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유닛의 분할은 일례이고, 단지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로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 가능한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단말 기기는 도 2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단말 기기와 동일한 기기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기기(800)는 프로세서(801), 송신기(802), 수신기(803), 버스(804) 및 메모리(8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01), 송신기(802), 수신기(803) 및 메모리(805)는 버스(804)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버스(804)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 확장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용이한 표현을 위해, 도 8에서는 단 하나의 굵은 선을 사용하여 버스를 표현하지만, 이것이 하나의 버스 또는 한 유형의 버스만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프로세서(801)는 도 7의 처리 모듈(701)에 대응하고, 도 8의 송신기(802)는 도 7의 전송 모듈(702)에 대응하고, 도 8의 수신기(803)은 도 7의 수신 모듈(703)에 대응한다. 단말 기기(800)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8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연산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805)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1)는 메모리(805)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구현한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한다. 단말 기기는 도 5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기기(900)는 처리 모듈(901) 및 전송 모듈(9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900)는 수신 모듈(903)을 더 포함한다.
처리 모듈(901)은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의 전송 모듈(902)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전송 모듈(9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이다.
전송 모듈(902)은 처리 모듈(901)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며, 제1 시간 윈도는 처리 모듈(901)에 의해,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3 시간 윈도는 처리 모듈(9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전송 모듈(902)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며, 제1 시간 윈도는 처리 모듈(901)에 의해,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는 처리 모듈(9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전송 모듈(902)에 의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에 대해, 단말 기기에 포함된 처리 모듈(9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9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전송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903)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고,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모듈(9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대해, 단말 기기에 포함된 처리 모듈(901)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는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전송 모듈(902)은 추가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903)을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전송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고 또한 수신 모듈(903)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903)은 추가로,
전송 모듈(902)이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 후,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모듈(9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9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처리 모듈(901)은 추가로,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9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처리 모듈(901)은 추가로,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결정하고 - 여기서 제2 임계치는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를 포함함-;
제2 임계치 및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또한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이 단말 기기는 도 5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단말 기기와 동일한 기기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기기(1000)는 프로세서(1001), 송신기(1002), 수신기(1003), 버스(1004) 및 메모리(10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1), 송신기(1002), 수신기(1003) 및 메모리(1005)는 버스(1004)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버스(1004)는 PCI 버스, EISA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용이한 표현을 위해, 도 10에서는 단 하나의 굵은 선을 사용하여 버스를 표현하지만, 이것이 하나의 버스 또는 한 유형의 버스만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0의 프로세서(1001)는 도 9의 처리 모듈(901)에 대응하고, 도 10의 송신기(1002)는 도 9의 전송 모듈(902)에 대응하고, 도 10의 수신기(1003)은 도 9의 수신 모듈(903)에 대응한다. 단말 기기(1000)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0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연산 명령어를 포함한다. 메모리(1005)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1)는 메모리(1005)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을 구현한다.
[실시예 5]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 기기(1101) 및 단말 기기(110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1101)는, 다운링크 정보를 결정하고 - 여기서 다운링크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102)의 처리 시작 시각, 그리고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및 에지 사용자를 포함하고, 매핑 관계에서의 데이터 패킷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및 작은 데이터 패킷을 포함함 -; 단말 기기(1102)에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기기(1102)는 네트워크 기기(1101)에 의해 전달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102)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1102)가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매핑 관계로부터, 다운링크 정보, 단말 기기(1102)의 사용자 속성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 여기서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단말 기기(1102)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매핑 관계에서의 데이터 패킷 속성은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포함함 -;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1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1101)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11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1101)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1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유저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이거나,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한다.
제1 송신 모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기기(1102)는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1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송신 모드는,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102)는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1101)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101)가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1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제2 송신 모드는,
단말 기기(1102)가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101)에 버퍼 상태 보고 (BSR)를 전송하는 것 - 여기서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1101)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기기(11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102)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1101)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단말 기기(1102)가 네트워크 기기(1101)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송신 모드는,
단말 기기(1102)가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1102)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1101)에 의해 피드백되는 수신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확인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101)가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정보는 제1 임계치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단말 기기(1102)는 추가로,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보다 이하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정보는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포함한다.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단말 기기(1102)는 추가로,
제2 임계치 및 단말 기기(1102)에 의해 측정되고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1102)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정보는 제3 임계치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11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1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단말 기기(1102)는 추가로,
제3 임계치 및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6]
실시예 2 및 실시예 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200)은 네트워크 기기(1201) 및 단말 기기(120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기(1201)는, 다운링크 정보를 결정하고 - 여기서 다운링크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202)의 처리 시작 시각, 그리고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고,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및 에지 사용자를 포함함 -; 단말 기기(1202)에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기기(1202)는 네트워크 기기(1201)에 의해 전달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202)의 처리 시작 시각에,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단말 기기(1202)가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매핑 관계로부터,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기기(1202)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12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 여기서 매핑 관계에서의 사용자 속성은 단말 기기(1202)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함 -;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2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2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201)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1201)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12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제1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2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201)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는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네트워크 기기(1201)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2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유저인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한다.
제1 송신 모드는, 단말 기기(1202)가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2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송신 모드는,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202)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1201)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확인응답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201)가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1201)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제2 송신 모드는,
단말 기기(1202)가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01)에 버퍼 상태 보고 (BSR)를 전송하는 것 - 여기서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네트워크 기기(1201)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기기(1201)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1202)가 물리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1201)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단말 기기(1202)가 네트워크 기기(1201)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송신 모드는,
단말 기기(1202)가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단말 기기(1202)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기기(1201)에 의해 피드백되는 수신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확인 정보는 네트워크 기기(1201)가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송신되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정보는 제1 임계치를 더 포함한다.
단말 기기(12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단말 기기(1202)는 추가로,
단말 기기(12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201)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보다 이하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정보는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더 포함하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포함한다.
단말 기기(1202)에 의해 네트워크 기기(1201)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단말 기기(1202)는 추가로,
제2 임계치 및 단말 기기(1202)에 의해 측정되고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단말 기기(1202)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 후 이들 실시예를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모든 변경예 및 수정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되는 보호 범위 내에 있는 한, 그러한 수정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4)

  1. 비인가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center user) 또는 에지 사용자(edge user)이며,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데이터 패킷 속성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이거나,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는 것 -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임계치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제3 임계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3 임계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3 임계치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과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의 사용자 속성인,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된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1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2 시간 윈도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모드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버퍼 상태 리포트(buffer status report, BSR)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하는 것 -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물리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획득하는 것;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상기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포함함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임계치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8. 단말 기기로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단말 기기의 전송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데이터 패킷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및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전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의 사용자 속성이며,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데이터 패킷 속성은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은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
    단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를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포함된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 또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작은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를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포함된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제1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기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이고 전송될 데이터 패킷이 큰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갖는 단말 기기를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포함된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고 또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기기.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로,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결정하고 -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를 포함함-;
    상기 제2 임계치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또한 상기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로,
    제3 임계치를 결정하고 - 상기 제3 임계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이 큰 데이터 패킷인지 또는 작은 데이터 패킷인지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3 임계치 및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속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27.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 기기로서,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처리 시작 시각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잔여 지속기간이 상기 단말 기기의 전송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지속기간 이상인 경우,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에 기초하여, 사용자 속성 및 송신 모드 사이의 매핑 관계로부터,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및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전송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에서의 상기 사용자 속성은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은 센터 사용자 또는 에지 사용자의 사용자 속성인,
    단말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는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윈도는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시스템 동기화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시간 윈도 및 상기 제3 시간 윈도는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에지 사용자인 단말 기기를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포함된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제1 송신 모드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기기.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각각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가 제1 시간 윈도, 제2 시간 윈도 및 제3 시간 윈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매핑 관계는,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 단말 기기를 위해, 상기 단말 기기에 포함된 처리 모듈에 의해 선택되는 송신 모드가 제2 송신 모드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전송 모듈은 추가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3 시간 윈도에서 가용 업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버퍼 상태 리포트(BSR)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BSR은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할당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현재 채널 점유 시간 윈도 다음의 채널 점유 시간 윈도의 제2 시간 윈도에서, 물리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전송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되고 또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패킷 송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추가로,
    상기 전송 모듈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다운링크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피드백되는 확인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인응답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기기.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로,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의 수량이 제1 임계치 이하인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추가로,
    특정 정보의 제2 임계치를 결정하고 -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이 센터 사용자인지 또는 에지 사용자인지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커버리지 레벨 또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를 포함함-;
    상기 제2 임계치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측정되고 또한 상기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기기의 사용자 속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기기.
KR1020187027415A 2016-02-29 2016-02-29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 KR102148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4873 WO2017147760A1 (zh) 2016-02-29 2016-02-29 一种非授权频谱下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941A true KR20180114941A (ko) 2018-10-19
KR102148273B1 KR102148273B1 (ko) 2020-08-26

Family

ID=5974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415A KR102148273B1 (ko) 2016-02-29 2016-02-29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57930B2 (ko)
EP (1) EP3410809B1 (ko)
KR (1) KR102148273B1 (ko)
CN (1) CN108702790B (ko)
WO (1) WO2017147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9923A (zh) * 2017-07-26 2019-02-05 索尼公司 电子装置、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WO2019056370A1 (zh) 2017-09-25 2019-03-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11700595B2 (en) * 2018-01-11 2023-07-11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CN111147209B (zh) 2018-11-02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示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CN113711677B (zh) * 2019-01-11 2023-09-1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支持其的设备
US11425705B2 (en) 2019-02-28 2022-08-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WO2023044864A1 (zh) * 2021-09-26 2023-03-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43837A1 (en) * 2022-01-25 2023-08-03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8679A (zh) * 2006-11-17 2009-10-1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当信道质量参数降落到预定义的阈值以下时经由单独上行链路与基站通信的移动站
KR20130104426A (ko) * 2012-03-14 2013-09-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사용자 혼성 매체 접근 제어 기반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KR20130109179A (ko) * 2010-11-24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비허가대역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행하는 방법
CN103781187A (zh) * 2012-10-19 2014-05-0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文件传输的方法及终端
WO2016000549A1 (zh) * 2014-07-03 2016-0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抢占方法、站点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60005759A (ko) * 2013-05-06 2016-01-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트래픽 인지 매체 액세스 선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1097A1 (en) * 2006-11-16 2008-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ofdm receiver with multi-dimensional window processing unit for robustly decoding rf signals
CN101997600B (zh) * 2009-08-27 2014-02-19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减小移动通信系统中保护时间间隔的方法和基站
JP2013135332A (ja) * 2011-12-26 2013-07-08 Sharp Corp 基地局装置、許容重複数決定方法、許容重複数決定プログラム、移動局装置、許容重複数通知方法及び許容重複数通知プログラム
US9706433B2 (en) * 2012-04-05 2017-07-1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unlicensed band with network assistance
JP5916507B2 (ja) * 2012-05-11 2016-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BR112015007590B1 (pt) * 2012-10-05 2022-09-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nidade de transmissão e recepção sem fio (wtru) e método realizado em uma unidade de transmissão e recepção sem fio (wtru)
KR101523509B1 (ko) * 2013-07-01 2015-06-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 네트워크에서 다중 포인트 협력 통신 기반의 셀간 간섭 제어에 따른 성능 분석 장치 및 방법
US10285167B2 (en) * 2013-09-20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CN109687950B (zh) * 2014-03-31 2021-06-2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非授权频带上的传输方法和装置
US10356807B2 (en) * 2014-08-22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occupancy identifier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WO2016068668A2 (ko) * 2014-10-31 2016-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60135148A1 (en) * 2014-11-06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operation of lte cells on unlicensed spectrum
US10091713B2 (en) * 2015-01-27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y and frames for networks in the sub-1GHz (S1G) band
JP2018152626A (ja) * 2015-08-05 2018-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4084567A1 (en) * 2015-08-14 2022-1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rating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network supporting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EP3372042A1 (en) * 2015-11-06 2018-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8679A (zh) * 2006-11-17 2009-10-1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当信道质量参数降落到预定义的阈值以下时经由单独上行链路与基站通信的移动站
KR20130109179A (ko) * 2010-11-24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비허가대역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행하는 방법
KR20130104426A (ko) * 2012-03-14 2013-09-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사용자 혼성 매체 접근 제어 기반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CN103781187A (zh) * 2012-10-19 2014-05-0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文件传输的方法及终端
KR20160005759A (ko) * 2013-05-06 2016-01-1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트래픽 인지 매체 액세스 선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0549A1 (zh) * 2014-07-03 2016-0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抢占方法、站点及计算机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4595A1 (en) 2019-01-10
KR102148273B1 (ko) 2020-08-26
WO2017147760A1 (zh) 2017-09-08
CN108702790A (zh) 2018-10-23
EP3410809A1 (en) 2018-12-05
CN108702790B (zh) 2020-09-29
US11057930B2 (en) 2021-07-06
EP3410809A4 (en) 2019-01-09
EP3410809B1 (en)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273B1 (ko) 비인가 스펙트럼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시스템 및 단말 기기
US20200236662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JP6736692B2 (ja) 基準信号のトリガ及び制御シグナリング
US10736139B2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51544B1 (ko)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496314B1 (en) Method for ack/nack feedback under unlicensed frequency spectrum, and relevant device
JP6148635B2 (ja) ユーザ装置及び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
US10893541B2 (en) Clear channel assesment (CCA) in unlicensed wireless spectrum
CN104854940A (zh) 用户装置以及发送控制方法
US20230209540A1 (en) Method of allocating uplink data packet resource and user equipment
CN112106423A (zh) 用于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监测的方法、终端设备和基站
US2018014573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Device
CN105474736B (zh) 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CN108141843B (zh) 数据发送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JP6438524B2 (ja) ユーザ装置及び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
JP2021510979A (ja) アンライセンス無線周波数帯域にアクセスするネットワークノード、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およびそれらにおける方法
WO2017167270A1 (zh) 控制信道检测方法、tti长度的上报方法及装置
EP3840495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12919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detection threshold
WO2023123387A1 (zh) 一种资源分配指示域的大小的确定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WO2023115275A1 (zh) 一种共享信道占用时间的方法及其终端设备
WO2021227071A1 (zh) 保护间隔的确定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8140516A (zh) 一种资源分配指示域的确定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