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952A - 휴대용 방폭 등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폭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952A
KR20180113952A KR1020180119253A KR20180119253A KR20180113952A KR 20180113952 A KR20180113952 A KR 20180113952A KR 1020180119253 A KR1020180119253 A KR 1020180119253A KR 20180119253 A KR20180119253 A KR 20180119253A KR 20180113952 A KR20180113952 A KR 2018011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roof
portable
lamp
gl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석
Original Assignee
서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석 filed Critical 서동석
Priority to KR102018011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952A/ko
Publication of KR2018011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면서도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인증 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를 감싸며 밀폐결합되는 글로브 및 램프와 연결되어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글로브의 외측에는 용기 표면 저항값이 1GΩ 이하의 투명 재질인 폴리카바네이트 계열로 제작된 방폭 글로브가 이중 사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방폭 등기구{PORTABLE EXPLOSION PROOF LAMP}
본 발명은 휴대용 방폭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볍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면서도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인증 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폭 등기구의 경우 법규에서 규정한 일정 요건들을 모두 충족시켜야 하며, 특히,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 비점화방폭의 경우 통기제한과 함께 폭발가능성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용 등기구에 사용되는 글로브의 재질은 PC(폴리카바네이트) 계열로 구성되므로, 고정용의 경우 마찰과 정전기 발생이 적어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해서도 인증이 가능하나, 이동용과 휴대용의 경우에는 사용 특성상 마찰과 정전기 발생률이 높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로브의 재질(PC 재질)로는 폭발가능성에 취약하여 인증이 불가능하고, 별도로 방폭 등기구를 제작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현재 당 업계에서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에 적용되는 글로브를 강화유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강화유리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무게가 상당하므로 휴대성(이동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별다른 대안이 없어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방폭 글로브는 전무한 실정이다.
(0001) 등록특허 제10-1393507호(엘이디 방폭등기구) (0002) 등록실용신안 제20-0462057호(엘이디 방폭 등기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재질을 이용한 방폭 글로브를 사용하면서도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 비점화방폭 인증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강화유리에 비해 가볍고, 휴대성이 우수하며,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 사용되던 글로브에 이중 사출 작업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면서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는, 램프를 감싸며 밀폐결합되는 글로브 및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글로브의 외측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방폭 글로브가 이중 사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폭 글로브는, 용기 표면 정전용량이 1GΩ 이하의 투명 재질인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로 구성된 것으로 정전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글로브를 용기 표면 정전용량이 1GΩ 이하의 투명 재질인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로 제작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아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에 있어 비점화방폭 인증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화유리에 비해 가볍고, 내광성이 우수하며, 제작단가가 낮은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글로브에 방폭 글로브를 이중 사출작업에 의해 제작할 경우, 기성품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고정용, 정전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아 이동용 및 휴대용에 있어 방폭 인증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방폭 등기구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방폭 글로브의 재질은 합성수지(PVC)로 표면저항값이 1GΩ 이하로서 정전기 방전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즉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로 구성할 경우, 투명한 재질로 인해 조도의 변화가 없으므로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방폭 인증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성품에도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효율성이 높고, 간단한 이중 사출 작업에 의해 제작할 수 있어 제작성이 우수하므로 산업상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방열부의 상부에 고정지지부, 평면거치부, 곡면거치부 및 밀착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원형의 파이프는 물론 각파이프 등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밀착고정부의 구성으로 이동용과 휴대용은 물론 고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거치부의 형태만 다른 것으로, 도 1 및 도 2의 확대 단면도 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100)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는, 램프를 감싸며 밀폐결합되는 글로브(100) 및 방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글로브(100)는 사출 작업에 의해 제작되며, 글로브(100)의 재질은 용기 표면 저항값이 1GΩ 이하의 투명 재질인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SABIC사 제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SABIC사 제품)으로 구성할 경우 정전기 발생이 일어나지 않아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에 있어 비점화방폭 인증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램프는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및 엘이디등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글로브(100)는 램프를 감싸며 밀폐결합되는 것으로, 램프, 글로브(100) 및 방열부(200)의 구성 등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에 있어 비점화방폭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램프, 글로브(100) 및 방열부(200)의 결합 구성 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의 확대 단면도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100)의 구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는 램프를 감싸며 밀폐결합되는 글로브(100) 및 램프와 연결되어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200)를 포함하며, 글로브(100)의 외측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방폭 글로브(100-1)가 이중 사출되어 구성된다.
방폭 글로브(100-1)는 조도를 유지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폭 글로브(100-1)가 일반적인 글로브의 외측 둘레면에 이중 사출되어 구성된다.
이중 사출작업은 공지된 기술로써,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방폭 글로브'라 함은 용기 표면 정전용량이 1GΩ 이하로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는 투명 재질로 구성된 글로브를 지칭하는 것으로,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SABIC사 제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면 다른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글로브(100)는 종래 제작된, 특히,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 등기구에 적용된 글로브(100)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중 사출작업에 의해 종래의 글로브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글로브 외측에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SABIC사 제품)로 이중 사출하여 제작할 경우 글로브(100)를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SABIC사 제품)로만 제작하는 것에 비하여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최적의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해 글로브(100)를 구성한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의 방열부(200)의 상부에는, 방열부(200)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300); 고정지지부(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평면으로 구성된 평면거치부(400); 평면거치부(400)와 연이어져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며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된 단부는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로 이격되어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곡면거치부(500); 및 곡면거치부(500)의 연장된 단부에 결합되어, 평면거치부(400)의 상부에서 승강되는 밀착고정부(600);가 구성된다.
고정지지부(300), 평면거치부(400), 곡면거치부(500) 및 밀착고정부(600)의 구성은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작업장소에 거치하거나 고정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 방열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원형의 파이프(20) 및 각형의 파이프(20)는 물론, 다양한 시설물에 용이하게 거치하거나 고정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고정지지부(300)는 평면거치부(400)의 하부 둘레면에서 복수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된다.
체결홀의 내측 둘레면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어 형성된 체결볼트(도면부호 미기재) 등으로 방열부(200)의 상부에 체결고정된다.
고정지지부(300) 및 체결홀의 형성 위치, 개수, 크기, 형상 등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평면거치부(400)는 하부몸체 역할을 하며, 고정지지부(300)가 연결된다.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며, 주로 본 발명인 휴대용 방폭 등기구를 설치할 구조물(시설물)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재는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면 자체에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수 개의 돌기, 굴곡 또는 절곡면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돌기, 굴곡면, 절곡면 등으로 구성할 경우 시설물의 하부면에 지지될 최상부에 위치된 돌기, 굴곡면 및 절곡면은 적어도 복수 개의 부위가 수평선상에 위치되어야 한다.
곡면거치부(500)는 평면거치부(400)의 일측에서 연이어져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며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된 단부는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곡면거치부(500)는 옷걸이의 고리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내측면이 곡면으로 구성된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개방된 부위로는 파이프(20) 등이 삽입되며, 삽입된 파이프(20) 등은 곡면거치부(500)의 연장된 단부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밀착고정부(600)에 의해 지지된다.
밀착고정부(600)는 볼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정역회전에 의해 평면거치부(400)의 상부에서 승강된다.
밀착고정부(600)의 하단부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한 밀착지지부재(610)가 체결된다.
밀착지지부재(610)는 평면거치부(400)의 상부 또는 곡면거치부(500)의 내측면에 안착지지되는 파이프(20)나 시설물 등이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높여준다.
밀착지지부재(610)의 구조, 형상, 크기 및 재질 등도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거치부(400)와 밀착고정부(600)를 통해 각형의 파이프(20)에 고정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곡면거치부(500)와 밀착고정부(600)를 통해 원형의 파이프(20)에도 고정결합 및 거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20) 이외에도 다양한 시설물에 거치 또는 체결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300), 평면거치부(400) 및 곡면거치부(5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며, 고정지지부(300)의 하부에서부터 평면거치부(400)와 곡면거치부(500) 사이의 일측면에는 케이블글랜드(10)가 체결된다.
따라서, 방열부(200)의 상부로 인출된 전원연결선(미도시) 등은 케이블글랜드(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선(미도시)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깔끔한 케이블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곡면거치부(5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탄성보강홈(510)이 더 구비된다.
탄성보강홈(510)을 통해 곡면거치부(500)의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내구성의 향상으로 소정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현상까지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사용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각 파이프(20)의 경우 각 파이프(20)의 하부면에 평면거치부(400)의 상부면을 밀착시킨다.
이후, 밀착고정부(600)를 하강시켜 각 파이프(20)의 상부면을 지지함으로써 고정하게 된다.
도 4의 사용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원 파이프(20)의 경우 원 파이프(20)를 곡면거치부(500)의 내측면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밀착고정부(600)를 하강시켜 원 파이프(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 등에 지지하는 구조일 수도 있으나, 거치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파이프(20)나 시설물의 직경 및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곡면거치부(500)의 내경 및 평면거치부(400)의 면적 등은 설치될 장소의 시설물들의 환경에 따라 달리 제작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비점화방폭 인증기준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고정용, 이동용 및 휴대용 등기구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 케이블그랜드 20 : 파이프
100 : 글로브 100-1 : 방폭 글로브
200 : 방열부 300 : 고정지지부
400 : 평면거치부 500 : 곡면거치부
510 : 탄성보강홈 600 : 밀착고정부
610 : 밀착지지부재

Claims (3)

  1.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램프를 감싸며 밀폐결합되는 글로브; 및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의 외측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방폭 글로브가 이중 사출되어 구성되며,
    상기 방폭 글로브는,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투명한 재질로서,
    용기 표면 정전용량이 1GΩ 이하로 정전기 방지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바네이트 계열의 투명한 재질은 그레이드 번호 63000CTC-NA9D0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
  3. 제1항에서 방열부의 상부에는 상기 방열부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평면으로 구성된 평면거치부;
    상기 평면거치부와 내측에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평면거치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된 단부는 상기 평면거치부의 상부로 이격되어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형성되는 곡면거치부; 및
    상기 곡면거치부의 연장된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평면거치부의 상부에서 승강되는 밀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폭 등기구.
KR1020180119253A 2018-10-05 2018-10-05 휴대용 방폭 등기구 KR20180113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53A KR20180113952A (ko) 2018-10-05 2018-10-05 휴대용 방폭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53A KR20180113952A (ko) 2018-10-05 2018-10-05 휴대용 방폭 등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080A Division KR20180042644A (ko) 2016-10-18 2016-10-18 휴대용 방폭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952A true KR20180113952A (ko) 2018-10-17

Family

ID=6409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53A KR20180113952A (ko) 2018-10-05 2018-10-05 휴대용 방폭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9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39B1 (ko) 2019-01-04 2019-06-05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방폭 작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39B1 (ko) 2019-01-04 2019-06-05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방폭 작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344B2 (en) Double-shaft hinge and lamp using the same
US9951931B1 (en) LED lamp
US11698171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lamp comprising the illumination devices
TWI444127B (zh) 防水裝置
US10856653B2 (en) Light-emitting desk or stool
TW201531200A (zh) 電源裝置
TW201520464A (zh) Led路燈
KR20180113952A (ko) 휴대용 방폭 등기구
KR20180042644A (ko) 휴대용 방폭 등기구
CN205991335U (zh) 发光二极管照明灯具
JP2015022829A (ja) Led照明装置
US10151457B2 (en) Assembling mechanism for LED downlight
US20120140491A1 (en) Led lamp
US20190120266A1 (en) Fixing devic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N205717124U (zh) 发光二极管照明模组
CN112325244A (zh) 一种led气球灯
CN103423715B (zh) 灯座固定结构及含有该灯座固定结构的船用防振灯
CN206563185U (zh) 一种易组装的灯具
RU2431078C2 (ru) Светильник
CN219140566U (zh) 灯具安装结构及嵌入式灯具
CN204665028U (zh) 一种筒灯
CN206539915U (zh) Led灯泡
JP3222886U (ja) 線状照明装置
CN212056917U (zh) Led三防灯
CN215570327U (zh) 一种防爆应急两用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4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15

Effective date: 20200907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