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15A -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15A
KR20180113715A KR1020170045139A KR20170045139A KR20180113715A KR 20180113715 A KR20180113715 A KR 20180113715A KR 1020170045139 A KR1020170045139 A KR 1020170045139A KR 20170045139 A KR20170045139 A KR 20170045139A KR 20180113715 A KR20180113715 A KR 2018011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bud
electronic device
earbuds
pair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539B1 (ko
Inventor
윤범식
나현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04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5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블루투스 기능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와 연결가능한 유선 연결 기능을 구비하되,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시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이어 버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동안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콘텐츠를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이어 버드를 접합 상태에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전원 소모에 대한 걱정없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블루투스 기능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와 연결가능한 유선 연결 기능을 구비하는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무선 이어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경우, 이어폰 내에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어 휴대용 전자 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를 무선으로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이어폰은 스피커 모듈의 수에 따라, 모도 이어폰과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테레오 이어폰은 양이 효과(binaural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서, 휴대폰보다는 MP3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들을 때 유용하다. 또한, 무선 이어폰은 장착 형태에 따라, 귀에 거는 이어(ear) 타입 이어폰, 목에 거는 넥(neck) 타입 이어폰, 머리에 거는 헤드(head) 타입 이어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10)은 배터리, 블루투스 모듈, 제어부(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내장된 본체(11)와, 사용자의 양쪽 귀에 장착하기 위한 스피커(12), 및 스테레오 구현을 위해 양쪽 스피커(12)를 연결하는 연결선(13)으로 구성된다. 블루투스 모듈을 동작시키는 경우,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무선으로 발신된 음성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는 스피커(12)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된다. 이 때, 블루투스 모듈은 본체(11)에 내장된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데, 블루투스 이어폰의 본체 크기가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어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배터리의 전원이 소모되면 블루투스 이어폰(10)의 기능도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로부터 중요한 통화를 하고 있거나 중요한 정보를 청취하고 있는 중이라면 갑작스런 전원 종료는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무선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도 연결가능한 구조를 개시한 바가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 10-1132975 호(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는 톱니바퀴 형상을 릴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이어폰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절환가능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99765 호(백 헤드 타입 블루투스 유무선 겸용 이어셋)은 이어폰의 배터리가 소모되었을 때 유선 이어폰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연장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13422 호(유무선 겸용 음성신호 재생장치)는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와 오디오 잭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이어폰과 휴대용 전자 기기를 연결하여 유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여러가지 사정에 의하여 유선 연결을 해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무선 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변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이어폰을 별도로 충전하지 않는 이상 잠시동안 유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효과적인 무선 이어폰의 사용이 어려운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132975 호 (2012.03.2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99765 호 (2005.10.2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13422 호 (2006.03.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구조를 가지되,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시 결합 가능한 한 쌍의 이어 버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는 무선 통신 모듈, 배터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접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 버드와, 상기 이어 버드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이어 버드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어 버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가 접합부를 통해 결합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내에 있는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및 와이파이(WiFi) 중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제1 이어 버드는 제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제2 이어 버드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합부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부는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는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는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는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는 상기 전자 기기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유닛은 USB 단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무선 통신 모듈, 배터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접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 버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이어 버드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어 버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가 접합부를 통해 결합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내에 있는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에 의해서 이어폰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이어폰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스피커가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전자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된 동안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콘텐츠를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이어 버드를 접합 상태에서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전원 소모에 대한 걱정없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 이어폰의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이어 버드를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에서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어폰 장치에서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경우의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사용자의 좌측 귀와 우측 귀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이어 버드(110a, 110b)와 이들 이어 버드(110a, 110b)를 연결하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어 버드(ear bird)라 함은 이어폰의 본체(114a, 114b)와 스피커(112a, 112b)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우측 스피커(112a)는 우측 본체(114a)에 결합되어 우측 이어 버드(110a)를 구성하고, 좌측 스피커(112b)는 좌측 본체(114b)에 결합되어 좌측 이어 버드(110b)를 구성한다.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우측 본체(114a)와 좌측 본체(114b)에는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합부(116a, 116b)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접합부(116a, 116b)는 상호 결합을 위하여 암수 관계에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접합부(116a, 116b)는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금속 소재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측 접합부(116a)를 자석으로 구성하고, 좌측 접합부(116b)는 플런저(plunger)와 배럴(barrel) 사이에 스프링이 내재된 포고 핀(pogo pin)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4a, 114b)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피커(112a, 112b)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부(118a, 118b)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4a, 114b)는 이어 버드(110a, 110b)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4a, 114b)는 무선 통신 모듈, 배터리, 제어부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부품들은 우측 본체(114a) 또는 좌측 본체(114b) 모두에 수용될 수도 있고, 한 쪽의 본체에만 수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어폰(100)의 경우, 우측 이어 버드(110a) 및 좌측 이어 버드(110b) 사이에 이어 버드 연결선(120)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에 각각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4a, 114b)에는 각각 스피커(112a, 112b)가 결합되어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우측 스피커(112a)는 우측 본체(114a)에 결합되고, 좌측 스피커(112b)는 좌측 본체(114b)에 결합된다. 스피커(112a, 112b)는 전자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각각 본체(114a, 114b)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112a, 112b)는 크리스탈(crystal) 소자의 압전 효과를 이용해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크리스탈 리시버, 또는 코일에 음성 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마그네틱 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는 우측 및 좌측 이어 버드(110a, 11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우측 및 좌측 결합 유닛(122a, 122b)과 이들 결합 유닛(122a, 122b)을 연결하는 이어 버드 연결선(124)으로 구성된다. 우측 결합 유닛(122a)은 우측 이어 버드(110a)에 결합되고, 좌측 결합 유닛(122b)은 좌측 이어 버드(110b)에 결합되며, 이어 버드 연결선(124)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다.
우측 및 좌측 결합 유닛(122a, 122b)은 오디오 잭(audio jack) 표준에 따른 플러그 잭(3.5 파이), 이동 통신 단말기 표준에 따른 플러그 잭(2.5 파이),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형태의 잭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이어폰(100)은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기기와 결합이 가능한 USB, 특히 USB C-type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에서, 이어 버드 연결부(120)의 우측 및 좌측 결합 유닛(122a, 122b)과 연결되는 부분은 결합 유닛(122a, 122b)을 수용할 수 있도록 USB 등의 단자 수용 구조로 형성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이어 버드 연결선(124)의 중간에는 하우징이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에 이어 버드(110a, 110b)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무선 통신부, 배터리, 제어부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이어 버드(110a, 110b)의 본체(114a, 114b)와 하우징은 상술한 각종 부품들을 각각 나누어 수용하거나 중복하여 수용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는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지만, 한 쪽 이어 버드(110a, 110b)와 전자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어 버드 연결부(120)는 이어 버드(110a, 110b)와 탈착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어 버드(110a, 110b)를 전자 기기에 연결한다. 이어 버드 연결선(124)은 이어 버드(110a, 110b)와 전자 기기 사이에서 전원 및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이어 버드(110a, 110b)가 연결되는 전자 기기는 휴대용 전자 기기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용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PDA 장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이어 버드를 자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서 이어 버드(110a)는 스피커(112a)와 본체(114a)로 구분될 수 있다. 스피커(112a)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각각 본체(114a)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꾸어 출력한다. 본체(114a)는 다른 쪽 본체(114b)와 결합이 가능한 접합부(116a)와, 스피커(112a)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입력부(118a)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116a)는 다른 쪽 본체(114b)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쪽 본체(114b)의 접합부(116b)와 암수 관계에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쪽 접합부(116a)는 자석으로 구성하고, 다른 쪽 접합부(116b)를 포고 핀(pogo pin)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이어 버드(110a, 110b)는 자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상기 접합부(116a, 116b)를 통해 양쪽 이어 버드(110a, 110b)를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합부(116a, 116b)를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18a)는 사용자가 스피커(112a)의 볼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 버드(110a)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다른 쪽 이어 버드(110b)와 연결이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18a)를 통해 스피커(112a)의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의 예시 화면을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어폰 장치에서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5a와 같이 이어 버드 연결부(120)의 일측 결합 유닛(122a)을 전자 기기(200)에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어 버드 연결부(120)의 결합 유닛(122a, 122b)은 USB C-type과 같이, 스마트 폰이나 MP3 플레이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 5b와 같이 이어 버드 연결부(120)의 다른 쪽 결합 유닛(122a)을 이어 버드(110a)에 연결한다. 그 결과, 이어 버드 연결부(120)의 한쪽 결합 유닛(122b)은 전자 기기(200)에 있는 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쪽 결합 유닛(122a)은 이어 버드(110a)에 연결되기 때문에, 전자 기기(200)와 이어 버드(110a)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한 쪽 이어 버드(110a)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하여 전자 기기(200)에 연결되지만, 다른 쪽 이어 버드(110b)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와 연결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5c와 같이, 이어 버드(110a, 110b)에 구비된 접합부(116a, 116b)를 이용하여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이어 버드(110b)를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116a, 116b)를 자석과 같은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어 버드(110a, 110b)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합부(116a, 116b)는 금속과 같이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자 기기(200)로부터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공급되는 전원은 한쪽 이어 버드(110a)를 통해 접합부(116a, 116b)로 결합된 다른 쪽 이어 버드(110b)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d는 접합부(116a, 116)를 통해 결합된 이어 버드(110a, 110b)로 전자 기기(200)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200)가 유선으로 연결이 되면, 전자 기기(200)의 데이터가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전달되고 연결된 이어 버드(110a)의 스피커(112a)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전자 기기(200)에 연결된 이어 버드(110a)는 유선 모드로 동작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 때의 유선 모드는 한 쪽 이어 버드(110a)만을 사용하는 모노 모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이어 버드(110a)와 전자 기기(200)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하여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전자 기기(2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는 접합부(116a, 116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한 쌍의 이어 버드(110a, 110b)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 여부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도 6a와 같이, 좌측 이어 버드(110b)와 우측 이어 버드(110a)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이들 이어 버드(110a, 110b)를 연결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는 사용자의 목 뒤에 위치시키거나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좌측 이어 버드(110b) 및 우측 이어 버드(110a)가 연결되는 경우, 이어 버드(110a, 110b)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는 유선으로 전달될 것이다. 만약,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좌측 이어 버드(110b) 또는 우측 이어 버드(110a)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이어 버드(110a, 110b)는 내부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우측 이어 버드(110a) 및 좌측 이어 버드(110b)가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스테레오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는 내부에 탑재된 무선 통신 모듈(116)에 의해서도 무선 스테레오 모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6b와 같이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사용하지 않고, 좌측 이어 버드(110b)와 우측 이어 버드(110a)만을 동시에 귀에 착용하거나, 좌측 이어 버드(110b) 또는 우측 이어 버드(110a) 한쪽 만을 귀에 착용할 수도 있다. 좌측 이어 버드(110b)와 우측 이어 버드(110a)를 동시에 착용하는 경우,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는 내부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고, 전기적 신호는 무선으로 주고받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우측 이어 버드(110a) 또는 좌측 이어 버드(110b) 중 한쪽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귀에 착용한 이어 버드(110a 또는 110b)만이 전자 기기(200)와 무선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쪽 이어 버드(110a 또는 110b)와 전자 기기(200)가 무선으로 연결되지만 다른 쪽 이어 버드(110a 또는 110b)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무선 모노 모드로 동작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도 6와 같이,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이용하여 우측 또는 좌측 이어 버드(110a, 110b)와 전자 기기(200)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 버드 연결부(120)의 일측 결합 유닛(122a)은 좌측 또는 우측 이어 버드(110a, 110b)에 연결되고 다른 측 결합 유닛(122b)은 전자 기기(200)에 있는 단자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와 전자 기기(200)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전자 기기(200)의 데이터가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전달되고 연결된 이어 버드(110b)의 스피커(112b)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원이 출력된다. 이 때, 이어폰 장치(100)는 한 쪽 이어 버드(110b)만 전자 기기(200)에 연결되기 때문에 유선 모드로 동작하게 되며, 이 때의 유선 모드는 모노 모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하여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전자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이어 버드(110b)는 접합부(116b)를 통하여 다른 쪽 이어 버드(110a)에 결합될 수 있으며, 양쪽 이어 버드(110a, 110b)가 접합부(116a, 116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다른 쪽 이어 버드(110a)의 내부 배터리도 충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 그리고, 우측 및 좌측 이어 버드(110a, 110b)를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우측 이어 버드(110a) 또는 좌측 이어 버드(110b)와 전자 기기(200)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이어 버드 연결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는 각각 스피커(112a, 112b)와 입력부(118a, 118b), 메모리(119a, 119b), 배터리(113a, 113b),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 및 제어부(117a, 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12a, 112b)는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음악 등의 콘텐츠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출력하는 출력 장치에 해당하며, 스피커(112a, 112b) 외에도 메모리(119a, 119b)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입력부(118a, 118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는 휴대용 전자 기기 중 이동 통신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핸즈 프리(Hands Free) 구현을 위해 유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메모리(119a, 119b)는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119a, 119b)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과 ROM(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의 장기(long 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상기 메모리(119a,119b)가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배터리(113a, 113b)는 전자 기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자 기기(20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13a, 113b)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기기(200)와 블루투스 이어폰의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리튬-이온 배터리의 정격 전압은 3.7V ~ 4.2V로 같기 때문에, 전자 기기(200)의 전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는 각 이어 버드에 구비된 접합부(116a, 116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이어 버드(110b)가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전자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자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유선으로 연결된 좌측 이어 버드(110b) 내의 배터리(113b)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우측 이어 버드(110a)는 접합부(116a, 116b)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접합부(116a, 116b)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우측 이어 버드(110a) 내의 배터리(113a)도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116a, 116b)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금속 소재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측 이어 버드(110a) 및 좌측 이어 버드(110b)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자석과 포고 핀(pogo pin)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은 무선 송수신 회로와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회로는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전자 기기(200)가 인식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무선 송수신 회로와 제어부(117a, 117b)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를 처리한다.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은 블루투스 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이 밖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17a, 117b)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에 의한 무선 신호의 제어, 스피커(112a, 112b) 및 입력부(118a, 118b)의 동작을 제어하지만,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전자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배터리(113a 113b)의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이어 버드 연결부(120)가 전자 기기(200)에 연결되면 전자 기기(200)로부터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전류가 제어부(117a, 117b)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200)로부터 제어부(117a, 117b)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어부(117a, 117b)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어 버드(110a, 110b) 내의 배터리(113a, 113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배터리(113a, 113b)로 공급하여 배터리(113a, 113b)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어 버드(110a, 110b) 내에 있는 배터리(113a, 113b)의 전원 소모를 줄일 뿐만 아니라 배터리(113a, 113b)의 충전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이어폰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113a, 113b)를 충전할 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2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가 전자 기기(200)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지면, 전자 기기(200)의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을 통하여 수신하지 않고,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하여 유선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배터리(113a, 113b)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도, 전자 기기(2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피커(112a, 112b)를 구동함으로써 이어폰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 중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을 구동하기 위해 소비하는 전력이 없기 때문에 배터리(113a, 113b)의 충전을 위해 더욱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13a, 113b)의 충전을 더욱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이어폰 장치(100)는 OS(Operating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OS는 이어폰 장치(100)의 동작 및 리소스의 지정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OS를 통하여 이용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OS 및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19a, 119b)에 상주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의 경험에 따라, 다른 표현으로 기술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및 동작에 대한 표현 기호에 따라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컴퓨터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OS 또는 적당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 및 기능은 전기 신호의 변환 또는 차단을 유발하는 데이터 비트 등의 전기 신호에 대한 제어부(117a, 117b)의 처리와, 이어폰 장치(100)의 동작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메모리(119a, 119b) 내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 신호에 대한 관리를 포함한다. 데이터 비트 신호가 관리되는 메모리 영역은 데이터 비트에 해당하는 전기, 자기 또는 광학 특성을 갖는 물리 영역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0), 전자 기기(200)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유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 유선 통신 모드에서 이어폰 장치(100)의 배터리(113a, 113b)를 충전하는 단계(S30),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및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경우 무선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0)에서, 이어폰 장치(100)의 제어부(117a, 117b)는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어폰 장치(100)가 전자 기기(200)에 유선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가 없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가 있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충전용 전류는 제품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지만 수십 mA ~ 수백 mA 정도의 전류 값을 가지는 범위 내에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유선 통신 모드(S20)에서는 이어폰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113a, 113b)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어 버드 연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어 버드 연결 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를 이어폰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113a, 113b)로 공급하여 충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S30).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장치(100)는 접합부(116a, 116b)를 통해 우측 이어 버드(110a)와 좌측 이어 버드(110b)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한쪽 이어 버드(110a 또는 110b)와 전자 기기(20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동시에 양쪽 이어 버드(110a, 110b)의 배터리(113a, 113b)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200)의 전원을 사용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작동하면서도 이어폰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113a, 113b)를 충전할 수 있어서, 배터리(113a, 113b) 소모에 대한 걱정없이 보다 안전하게 이어폰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선 통신 모드(S20)에서 이어폰 장치(100)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115a, 115b)을 통하여 수신하지 않고,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하여 유선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유선 통신 모드(S20)에서 이어폰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고, 데이터를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하여 수신하므로 실질적으로 유선 이어폰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 해제를 판단하는 단계(S40)는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을 판단하는 단계(S10)와 동일하게,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류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이어폰 장치(100)가 전자 기기(200)로부터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 버드 연결부(120)를 통해 이어폰 장치(100)로 입력되는 전류가 없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200)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 통신 모드(S50)로 전환한다.
무선 통신 모드(S50)에서는 이어 버드(110a, 110b) 내부의 배터리(113a, 113b)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이어폰 장치(1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어폰 장치 110a, 110b: 이어 버드
112a, 112b: 스피커 113a, 113b: 배터리
114a, 114b: 본체 115a, 115b: 무선 통신 모듈
116a, 116b: 접합부 117a, 117b: 제어부
118a, 118b: 입력부 119a, 119b: 메모리
120: 이어 버드 연결부 122a, 122b: 결합 유닛
124: 이어 버드 연결선 200: 전자 기기

Claims (15)

  1.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 배터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접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 버드;
    상기 이어 버드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이어 버드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어 버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가 접합부를 통해 결합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내에 있는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이어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및 와이파이(WiFi) 중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는 이어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제1 이어 버드는 제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제2 이어 버드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접합부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부는 포고 핀을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는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이어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는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이어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는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어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어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는 상기 전자 기기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USB 단자인 이어폰 장치.
  10. 무선 통신 모듈, 배터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접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 버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이어 버드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어 버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가 접합부를 통해 결합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내에 있는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의 전원에 의해서 이어폰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이어폰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가 상기 한 쌍의 이어 버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 버드가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전자 기기와 유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이어 버드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45139A 2017-04-07 2017-04-07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1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39A KR101914539B1 (ko) 2017-04-07 2017-04-07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39A KR101914539B1 (ko) 2017-04-07 2017-04-07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15A true KR20180113715A (ko) 2018-10-17
KR101914539B1 KR101914539B1 (ko) 2018-11-02

Family

ID=6409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139A KR101914539B1 (ko) 2017-04-07 2017-04-07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30B1 (ko) * 2019-12-10 2020-12-08 에스텍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모듈
WO2022080684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765Y1 (ko) * 2005-06-08 2005-10-28 편준범 백 헤드 타입 블루투스 유무선 겸용 이어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530B1 (ko) * 2019-12-10 2020-12-08 에스텍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모듈
WO2022080684A1 (ko)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539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324B2 (en) Wireless headset carrying case with digital audio output port
US10440460B2 (en) Wireless in-ear headphones
EP33892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headset with convenient charging
KR102384519B1 (ko)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70295421A1 (en) Wireless earphone set
KR102121185B1 (ko)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
US82291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ed battery charging and loading in a stereo headset
US20180109864A1 (en) Bluetooth Headphone With Charging and Analog Pass Through Connector
CN112738676B (zh) 耳机系统
KR101914539B1 (ko)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N210577849U (zh) 便携式充电盒
KR200489052Y1 (ko) 이어폰 장치
KR101889023B1 (ko)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N212115613U (zh) 耳机系统
WO2023020322A1 (zh) 无线耳机、耳机盒及无线耳机系统
KR20180136629A (ko) 넥밴드형 무선 이어폰
CN111095945B (zh) 用于将耳机耦接至移动装置的附接模块
CN212013028U (zh) Tws耳机独立供电电路和充电盒
KR101889021B1 (ko) 멀티 모드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011549A (ko) 무선 이어셋
KR102251322B1 (ko)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어폰 시스템
KR101561782B1 (ko) 분리형 도킹 스피커
CN218124933U (zh) 一种双蓝牙音响
CN211089938U (zh) 耳机音箱组合系统
AU2020104095A4 (en) Head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