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339A -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339A
KR20180113339A KR1020170044746A KR20170044746A KR20180113339A KR 20180113339 A KR20180113339 A KR 20180113339A KR 1020170044746 A KR1020170044746 A KR 1020170044746A KR 20170044746 A KR20170044746 A KR 20170044746A KR 20180113339 A KR20180113339 A KR 20180113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vehicle
mounting bracket
mounting
br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969B1 (ko
Inventor
박건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9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 상기 차체의 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차체의 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너트를 구비하는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차체를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파이프 너트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Mounting bracket for subframe of vehicle and mount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서브 프레임은, 엔진, 변속기 및 구동축 서스펜션 등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차체의 측부를 이루는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다.
차량과 장애물이 충돌한 경우에 서브 프레임이 차량에 인가되는 충돌 에너지에 의해 사이드 멤버로부터 이탈되면, 서브 프레임은 사이드 멤버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충돌 에너지의 일부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충돌 에너지 중 승객에게 흡수되는 승객 흡수 에너지(RTE)는 서브 프레임이 흡수한 충돌 에너지의 비율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브 프레임은 볼트 기타 고정 부재에 의해 서브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은, 차량과 장애물이 충돌한 경우에, 서브 프레임이 고정 부재로 인해 사이드 멤버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지 않아 승객 흡수 에너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과 장애물이 충돌한 경우에 서브 프레임이 사이드 멤버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체와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너트; 및 상기 파이프 너트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 유도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파이프 너트가 파단된 경우에 상기 파이프 너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파단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파이프 너트로부터 상기 파단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에 천공되는 안내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연결 부위에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파단 유도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유도 노치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단 유도 노치는 상기 파단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파이프 너트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파단 유도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 상기 차체의 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차체의 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너트를 구비하는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차체를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파이프 너트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 유도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차체는, 상기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제1 삽입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파이프 너트가 상기 파단되는 경우에 상기 마운팅 볼트를 상기 파단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상기 파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는, 상기 파이프 너트가 상기 파단되는 경우에 상기 마운팅 볼트를 상기 파단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천공된 볼트 안내홀을 더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는, 파단 유도부를 갖는 마운팅 브래킷을 구비하여,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파단 유도부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이 파단됨으로써 서브 프레임을 사이드 멤버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이탈 후 서브 프레임이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멤버의 제1 삽입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이드 멤버의 저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멤버의 볼트 안내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이드 멤버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B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의 X-X'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의 Y-Y' 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이 파단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멤버의 제1 삽입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이드 멤버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멤버의 볼트 안내홀을 설명하기 위한 사이드 멤버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0)와, 사이드 멤버(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20)과, 사이드 멤버(10)의 타면에 배치되는 마운팅 브래킷(100)과, 서브 프레임(20)과 사이드 멤버(10)를 관통하여 마운팅 브래킷(100)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마운팅 브래킷(100)은, 차량과 장애물이 충돌한 경우(이하, '충돌이 발생한 경우'라고 함)에 미리 정해진 파단 방향으로 파단되어 서브 프레임(20)을 차체의 사이드 멤버(10)로부터 상기 파단 방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파단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파단 방향이란, 차량에 인가된 충돌 에너지에 의해 마운팅 브래킷(100)이 파단되는 방향으로서, 마운팅 브래킷의 파단으로 인해 서브 프레임(20)이 사이드 멤버(1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마운팅 브래킷(100)은 정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차량의 후측 방향으로 파단되어 서브 프레임(20)이 사이드 멤버(10)로부터 차량의 후측 방향으로 이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정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서브 프레임(20)을 사이드 멤버(10)로부터 차량의 후측 방향(이하, '후측 방향'이라고 함)으로 이탈시키기 위하여, 파단 방향이 차량의 후측 방향이 되도록 마운팅 브래킷(100)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이드 멤버(10)는, 차체의 측부를 이루는 부재로서, 차체의 양측에 각각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사이드 멤버(10)는 서브 프레임(20)과 결합되도록 사이드 멤버(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부(10a)를 구비한다.
고정부(10a)는, 사이드 멤버(10) 제조 시 사이드 멤버(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후 사이드 멤버(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0a)는, 후술할 마운팅 볼트(150)의 나사부(152)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제1 삽입홀(11)을 갖는다.
제1 삽입홀(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연장부(1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2)는 마운팅 브래킷(100)이 후측 방향으로 파단되는 경우에 마운팅 볼트(150)를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볼트(150)를 후측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볼트 안내홀(13)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볼트 안내홀(13)은, 제1 삽입홀(11)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고정부(10a)에 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볼트 안내홀(13)이 연장부(12) 대신 고정부(10a)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0a)는, 연장부(12)와 볼트 안내홀(13)을 함께 가질 수도 있다.
서브 프레임(20)은, 엔진, 변속기 및 구동축 서스펜션 등을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사이드 멤버(10)의 고정부(10a) 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서브 프레임(20)은 후술할 마운팅 브래킷(100)과 마운팅 볼트(150)에 의해 사이드 멤버(10)와 결합된다. 이러한 서브 프레임(20)은, 마운팅 볼트(150)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제2 삽입홀(21)을 갖는다.(도 7 참조)
도 4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영역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의 X-X'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의 Y-Y'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마운팅 브래킷(100)은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서브 프레임(20)과 사이드 멤버(10)를 상호 분리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마운팅 브래킷(100)은, 사이드 멤버(10)의 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디(110)와, 바디(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너트(120)와, 파이프 너트(120)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 유도부(130)와, 파단된 파이프 너트(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40)를 구비한다.
바디(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0)의 타면과 대응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사이드 멤버(10)의 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파이프 너트(120)는, 마운팅 볼트(150)가 장착되며, 충돌이 발생한 경우 술할 파단 유도부(130)에 의해 파단이 발생되는 부재이다.
파이프 너트(12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너트 구조를 갖고, 바디(110)에 돌출 형성되어 마운팅 볼트(150)가 장착된다. 다만, 파이프 너트(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 너트(120) 내주면에는 후술할 나사부(152)의 나사산과 체결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파단 유도부(130)는, 파이프 너트(120)에 형성되며,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파이프 너트(120)가 미리 정해진 파단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파이프 너트(120)의 파단을 유도한다.
파단 유도부(130)는, 파이프 너트(120)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유도 노치(1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파단 유도 노치(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단 유도 노치(131a)와 제2 파단 유도 노치(131b)를 포함한다.
제1 파단 유도 노치(131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이 발생한 경우 파이프 너트(120)가 후측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파이프 너트(120)에 형성된다. 제2 파단 유도 노치(13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너트(120)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파이프 너트(120)에 형성된다. 이처럼, 파단 유도 노치(131)는 파이프 너트(120)에 여러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파단 유도 노치(131)의 형성 방향에 따라 파이프 너트(120)가 여러 방향으로 파단될 수 있게 한다.
파단 유도부(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와 파이프 너트(12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파단 유도홀(13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단 유도홀(132)은 파단 유도 노치(131)를 보조하여 파이프 너트(120)가 더욱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파이프 너트(120)의 파단을 유도한다.
안내부(14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내부(140)는 파이프 너트(120)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바디(110)에 형성되는 슬릿 형상의 안내홀(141)을 구비할 수 있다.
마운팅 볼트(150)는 서브 프레임(20)과, 사이드 멤버(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마운팅 볼트(150)는, 서브 프레임(20)의 일면에 걸림되는 헤드(151)와, 서브 프레임(20)과 사이드 멤버(10)를 관통하여 파이프 너트(120)에 체결되는 나사부(152)를 갖는다.
헤드(151)는, 플랜지 형상을 갖고 서브 프레임(20)의 제2 삽입홀(21)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다. 나사부(152)는 제1 삽입홀(11)과 제2 삽입홀(21)에 삽입되도록 헤드(15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 너트(120)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갖는다.
이러한, 마운팅 볼트(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51)가 서브 프레임(20)의 일면에 걸림되고, 나사부(152)가 서브 프레임(20)의 제2 삽입홀(21)과 사이드 멤버(10)의 제1 삽입홀(11)을 관통해 파이프 너트(1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운팅 볼트(150)는 사이드 멤버(10)와 서브 프레임(20)을 헤드(151)와 마운팅 브래킷(1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마운팅 브래킷이 파단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마운팅 브래킷의 파단에 의해 서브 프레임이 사이드 멤버로부터 이탈되는 양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10)와 서브 프레임(20)은 마운팅 브래킷(100)과 마운팅 볼트(15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정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20)은 충돌 에너지에 의해 후측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마운팅 볼트(150)는 서브 프레임(20)에 의해 후측 방향 쪽으로 가압되고, 파이프 너트(120)는 이러한 마운팅 볼트(150)의 나사부(152)에 의해 후측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파단 유도부(130)가 갈라짐으로써 파이프 너트(120)는 후측 방향으로 파단된다.
또한, 마운팅 볼트(150)의 나사부(152)는 연장부(12) 또는 볼트 안내홀(13)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후측 방향으로 밀려나고, 파이프 너트(120)의 일부 조각은 안내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후측 방향으로 밀려난다. 도 9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파이프 너트(1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121)이 형성되고, 마운팅 볼트(150)의 나사산은 이처럼 형성된 파이프 너트(1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파이프 너트(120)로부터 이탈된다.
여기서, 제공되는 공간이란 연장부(12) 또는 볼트 안내홀(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는 고정부(10a)에 마운팅 볼트(15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정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운팅 볼트(150)에 의해 연장부(12) 또는 볼트 안내홀(13)이 밀리면서 마운팅 볼트(150)가 밀려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 결과, 서브 프레임(20)은, 사이드 멤버(10)로부터 이탈되고, 차량의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충돌에너지 중 승객에게 흡수되는 승객 흡수 에너지(RTE)를 저감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구조(2)는 파단 유도부(160)의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파단 유도부(130)와 차이점이 있다.
파단 유도부(160)는, 파이프 너트(120)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파단 유도홀(16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단 유도홀(161)은 파이프 너트(120)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파이프 너트(120)가 제2 파단 유도홀(161)을 따라 파단되도록 파이프 너트(120)의 파단을 유도한다.
따라서, 파이프 너트(120)는, 차량에 충돌이 발생한 경우 제2 파단 유도홀(161)에 의해 갈라짐으로써 후측 방향으로 파단되고, 파단된 파이프 너트(120)는 안내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후측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단 유도부에 의한 마운팅 브래킷의 구체적인 파단 과정은 전술한 마운팅 브래킷의 파단 유도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이드 멤버
20 : 서브 프레임
100 : 마운팅 브래킷
110 : 바디
120 : 파이프 너트
130 : 파단 유도부
131 : 파단 유도 노치
132 : 제1 파단 유도홀
140 : 안내부
150 : 마운팅 볼트
160 : 파단 유도부
161 : 제2 파단 유도홀

Claims (11)

  1. 차체와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너트; 및
    상기 파이프 너트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가 파단된 경우에 상기 파이프 너트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파단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파이프 너트로부터 상기 파단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에 천공되는 안내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바디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연결 부위에 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파단 유도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외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단 유도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도 노치는 상기 파단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파이프 너트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파단 유도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8. 차체;
    상기 차체의 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차체의 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너트를 구비하는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차체를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파이프 너트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파단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 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마운팅 볼트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제1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파이프 너트가 상기 파단되는 경우에 상기 마운팅 볼트를 상기 파단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상기 파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파이프 너트가 상기 파단되는 경우에 상기 마운팅 볼트를 상기 파단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도록 천공된 볼트 안내홀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구조.
KR1020170044746A 2017-04-06 2017-04-06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KR10192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46A KR101926969B1 (ko) 2017-04-06 2017-04-06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46A KR101926969B1 (ko) 2017-04-06 2017-04-06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39A true KR20180113339A (ko) 2018-10-16
KR101926969B1 KR101926969B1 (ko) 2018-12-07

Family

ID=6413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46A KR101926969B1 (ko) 2017-04-06 2017-04-06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9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60B1 (ko) * 2011-05-12 2012-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969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106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WO2014167902A1 (ja) 車両前部構造
US8500191B1 (en) Frangible connector for a vehicle
US9199591B2 (en) Frame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20060082121A1 (en) Steering gearbox mounting structure
US9944322B2 (en) Composite subframe detachment
CN104936802B (zh) 车轮悬挂装置的引导车轮的导杆与法兰之间的连接系统
JP6943164B2 (ja) バンパリンフォース取付構造
US20100090498A1 (en) Cockpit cross member for a motor vehicle
JP2018100055A (ja) エネルギ吸収構造
US10363964B2 (en) Stay drop-off structure in case of impact load input
CN109808771B (zh) 一种车辆、副车架安装结构及其设计方法
JP6149880B2 (ja) 車両前部構造
KR10139164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1926969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마운팅 구조
JP2007112212A (ja) 車体フレーム構造
CN113518742B (zh) 带有通过可熔联接件闭合的环的转向柱碰撞能量吸收器
KR101664505B1 (ko)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파단형 티엠 마운트 브라켓
US10227093B2 (en) Sub-frame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leasing a front section of the subframe
KR20160063853A (ko) 차량 차륜부의 스몰 오버 랩 충돌 대응구조
JP7130531B2 (ja) 衝撃吸収機構
CN102616287A (zh) 防止rops与车架分离的安全机构
US9561807B2 (en) Elastic coupling between rail vehicle wagons
KR20160122402A (ko) 래터럴 암의 휠 거동 제어 구조
KR101506975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