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92A -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92A
KR20180112492A KR1020170043636A KR20170043636A KR20180112492A KR 20180112492 A KR20180112492 A KR 20180112492A KR 1020170043636 A KR1020170043636 A KR 1020170043636A KR 20170043636 A KR20170043636 A KR 20170043636A KR 20180112492 A KR20180112492 A KR 20180112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auxiliary
support
coupl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현
Original Assignee
윤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현 filed Critical 윤상현
Priority to KR102017004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92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대와, 하부지지대와, 이동지지대로 구성된 의자에 설치되는 등판지지대에 설치되는 의자등받이의 외측에 결합부가 일체로 돌설되게 형성되어 이 결합부를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설치되게 하여 기존의 의자등받이에 별개의 독립구성으로 결합부를 구성하여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부를 조립하고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없애도록하여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등받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결합하도록한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Structure of chair-back}
본 발명은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대와, 하부지지대와, 이동지지대로 구성된 의자에 설치되는 등판지지대에 설치되는 의자등받이의 외측에 결합부가 일체로 돌설되게 형성되어 이 결합부를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설치되게 하여 기존의 의자등받이에 별개의 독립구성으로 결합부를 구성하여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부를 조립하고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없애도록하여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등받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결합하도록한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용 등받이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자(500)에 구비되고, 이동지지대(501)를 구비한 지지대(502)상에 설치된 좌대(510)의 후방에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등판지지대(520)와, 상기 등판지지대(520)에 형성된 나사통공(521)과, 복수개의 나사공(531)을 갖는 보조등받이(530)와, 상기 보조등받이(530)를 갖는 의자등받이(540)와, 상기 의자등받이(540)의 중앙에 결합공(5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41)의 주위에 통공(542)을 갖는 결합원턱(543)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541)에 삽입되게 중앙에 결합나사공(551)을 구비한 결합부(550)와, 상기 결합부(550)의 가외둘레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공(541)의 외측둘레면에 결합되는 플랜지(552)와, 상기 플랜지(552)에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통공(553)과, 상기 결합통공(553)은 상기 통공(542)을 갖는 상기 결합원턱(543)과 결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판지지대(520)에 나사통공(521)과, 상기 결합부(550)의 상기 결합나사공(551)에 볼트(b)가 결합되고, 양 상기 통공(542)과, 상기 보조등받이(530)의 양 상기 나사공(531)에 볼트(b)가 각각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의자(500)의 상기 등판지지대(520)에 설치되는 상기 의자등받이(540)는 상기 등판지지대(520)와 결합되기 위해서, 독립적으로 상기 결합부(550)를 구성하여 상기 등판지지대(520)에 상기 의자등받이(540)와, 상기 결합부(550)가 서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550)를 상기 의자등받이(540)의 상기 결합공(541)에 결합하고 난 다음 다시 상기 보조등받이(530)의 양 상기 나사공(531)과 상기 의자등받이(540)의 양 상기 통공(542)을 서로 일치하게 하고 난 다음 상기 볼트(b)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550)의 상기 결합나사공(551)과 상기 등판지지대(520)의 상기 나사통공(521)이 서로 일치하게 한 다음에 상기 볼트(b)를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등판지지대(520)와, 상기 의자등받이(540)와, 상기 결합부(550)와, 상기 보조등이(530)의 조립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이 조립공정에 투여되는 조립 인건비가 상승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자등받이(620)에 커버(640)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커버(640)의 상부단부에 상부걸대(642)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640)의 양측단부에 측면걸대(646)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40)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부(648)에 삽입되는 하부걸대(644)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걸대(642)는 상기 의자등받이(62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마감판(632)에 형성된 걸림홈(633)에 삽입결합되어지고, 상기 측면걸대(646)는 상기 의자등받이(62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626)에 삽입결합되어지며, 상기 하부걸대(644)가 삽입된 상기 걸이부(648)의 외측면이 상기 의자등받이(6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마감부재(634)에 설치된 복수개의 걸림턱(635)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640)의 상기 상부걸대(642)가 상기 걸림홈(633)에 삽입되고, 상기 측면걸대(646)가 상기 측면홈(626)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걸대(644)가 삽입된 상기 걸이부(648)의 외측면이 양 상기 걸림턱(635)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640)를 상기 의자등받이(620)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버(640)와 상기 의자등받이(620)의 조립공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좌대와, 하부지지대와, 이동지지대로 구성된 의자에 설치되는 등판지지대에 설치되는 의자등받이의 외측에 결합부가 일체로 돌설되게 형성되어 이 결합부를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설치되게 하여 기존의 의자등받이에 별개의 독립구성으로 결합부를 구성하여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부를 조립하고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없애도록하여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등받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결합하도록한 새로운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등판지지대에 한쌍으로 설치되고, 보조등받이가 정면에 설치된 의자등받이와, 상기 의자등받이에 설치된 결합부가 등판지지대에에 설치되며, 상기 등판지지대가 설치된 좌대와, 상기 좌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된 이동지지대로 구비된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의자등받이의 배면중앙에 상기 결합부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등판지지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노출된 볼트의 노출부에 형성된 나사부는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결합공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진 후 다시 상기 보조등받이(21)에 형성된 조립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공을 갖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조립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과 일치되도록 상기 보조등받이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나사결합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등받이와, 상기 보조좌대와, 상기 보조받침대의 외측을 감싸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가외둘레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압부의 일면에 입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조임끈이 삽입되고, 상기 조임끈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입출공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임끈을 갖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양 상기 의자등받이와 결합되는 상기 보조등받이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좌대와 결합되는 보조좌대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등판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좌대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의 보조받침대의 배면 가외둘레에 형성된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마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의 하부중앙에 인접하여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기 커버의 상기 삽입부에 내재된 상기 조임끈의 양단이 노출된 상기 입출공에서 상기 조임끈의 일단과 타단을 서로 묶은 부위가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마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의자등받이와 결합되는 상기 보조등받이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좌대와 결합되는 보조좌대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등판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좌대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의 보조받침대의 배면 가외둘레에 돌출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둘레에 상기 삽입부가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대와, 하부지지대와, 이동지지대로 구성된 의자에 설치되는 등판지지대에 설치되는 의자등받이의 외측에 결합부가 일체로 돌설되게 형성되어 이 결합부를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설치되게 하여 기존의 의자등받이에 별개의 독립구성으로 결합부를 구성하여 의자등받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부를 조립하고 등판지지대에 볼트로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없애도록하여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등받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의 좌대에 구비된 보조좌대와, 양 의자등받이의 보조등받이와, 보조허리받침대의 보조받침대의 배면에 커버를 씌운 다음에 의자의 좌대에 구비된 보조좌대와, 양 의자등받이의 보조등받이와, 보조받침대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부에 커버의 조임끈이 삽입된 삽입부를 삽입하여 삽입부에 삽입되고 입출공에 노출된 조임끈의 양단을 한번에 신속하게 잡아당겨 커버를 보조좌대와, 보조등받이와, 보조받침대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커버가 보조좌대와, 의자등받이와, 보조허리받침대에 설치되는 공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며, 보조좌대와, 의자등받이와, 보조허리받침대에 커버를 씌운 다음 조임끈의 일단과 타단을 묶은부위를 감추도록 삽입홈부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하고 개폐마개를 결합하여 조임끈의 묶은부위가 보조좌대와, 보조등받이와, 보조받침대의 배면에 돌출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에 구성된 등판지지대와, 의자등받이와 결합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의자등받이에 커버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를 나타낸 다른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와, 등판지지대와, 보조등받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와, 등판지지대와, 보조등받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좌대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부, 결합마개 및 커버의 삽입부, 입출공, 조임끈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자등받이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부, 결합마개 및 커버의 삽입부, 입출공, 조임끈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받침대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부, 결합마개 및 커버의 삽입부, 입출공, 조임끈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홈부에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에 삽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좌대에 커버가 설치되어 조임끈을 묶은부위 및 안착홈, 개폐마개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와, 등판지지대와, 보조등받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등받이의 결합부와, 등판지지대와, 보조등받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좌대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부, 결합마개 및 커버의 삽입부, 입출공, 조임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자등받이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부, 결합마개 및 커버의 삽입부, 입출공, 조임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받침대의 일면에 형성된 삽입홈부, 결합마개 및 커버의 삽입부, 입출공, 조임끈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홈부에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에 삽입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좌대에 커버가 설치되어 조임끈을 묶은부위 및 안착홈, 개폐마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는 도 3a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등판지지대(10)에 한쌍으로 설치되고, 보조등받이(21)가 정면에 설치된 의자등받이(20)와, 상기 의자등받이(20)에 설치된 결합부(30)가 등판지지대(10)에 설치되며, 상기 등판지지대(10)가 설치된 좌대(40)와, 상기 좌대(4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50)와, 상기 하부지지대(50)의 하부에 연결된 이동지지대(60)로 구비된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는 등판지지대(10)와, 의자등받이(20)와, 결합부(30)와, 좌대(40)와, 하부지지대(50)와, 이동지지대(60)와, 보조허리받침대(80)와, 삽입홈부(90)와, 커버(100)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의자는 좌대(40)와 상기 좌대(40)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대(50)와 상기 하부지지대(50)의 하부에 연결된 이동지지대(60)로 구성되며, 상기 좌판(40)의 일측중앙면에 고정설치된 상기 등판지지대(10)에 한쌍으로 설치되고, 보조등받이(20)가 정면에 설치된 상기 의자등받이(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등판지지대(10)에 한쌍으로 설치되고, 보조등받이(21)가 정면에 설치된 의자등받이(20)로 구성된다.
상기 의자등받이(20)에 설치된 결합부(30)가 등판지지대에(10)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등판지지대(10)가 설치된 좌대(40)로 구성된다.
상기 좌대(4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5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50)의 하부에 연결된 이동지지대(6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의자등받이(20)의 배면중앙에 상기 결합부(30)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31)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판지지대(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삽입되어 노출된 볼트(70)의 노출부에 형성된 나사부(70a)는 상기 나사공(31)에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70a)는 상기 결합공(11)과, 상기 나사공(31)에 나사결합되어진 후 다시 상기 보조등받이(21)에 형성된 나사결합공(21a)에 나사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의자등받이(20)의 배면중앙에 상기 결합부(30)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의자등받이(20)의 배면중앙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의자등받이(20)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등판지지대(10)에 볼트(70)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31)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판지지대(10)의 상기 결합공(11)과 상기 나사공(31)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진 상기 볼트(70)가 상기 나사공(31)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나사공(31)의 외측에 노출된 상기 볼트(70)의 나사부(70a)는 상기 보조등받이(21) 일면 중앙에 형성된 나사결합공(21a)에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볼트(70)로 상기 등판지지대(10)에 상기 의자등받이(20)와, 상기 보조등받이(2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나사공(31)을 갖는 상기 결합부(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30a)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0)가 삽입되도록 상기 의자등받이(20)에 형성된 조립나사공(20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나사공(31)과 일치되도록 상기 보조등받이(21)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나사결합통공(2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30a)를 갖는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의자등받이(20)의 상기 조립나사공(20a)에 결합되고, 상기 등판지지대(10)의 상기 결합공(11)과, 상기 나사공(31)과, 상기 나사결합공(21a)에 상기 볼트(70)가 결합되어 상기 등판지지대(10)에 상기 의자등받이(20)와 상기 결합부(30)와, 상기 보조등받이(21)가 조립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부(30)가 상기 의자등받이(20)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은,
종래에 의자(500)의 등판지지대(520)에 설치되는 의자등받이(540)는 등판지지대(520)와 결합되게 하기 위해서, 독립적으로 결합부(550)를 구성하여 상기 등판지지대(520)에 상기 의자등받이(540)와, 상기 결합부(550)가 서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550)를 상기 의자등받이(540)의 상기 결합공(541)에 결합하고 난 다음에, 다시 상기 보조등받이(530)의 양 상기 나사공(531)과 상기 의자등받이(540)의 양 상기 통공(542)을 서로 일치하고 난 다음 상기 볼트(b)를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550)의 상기 결합나사공(551)과 상기 등판지지대(520)의 상기 나사통공(521)이 서로 일치하게 된 다음에 상기 볼트(b)를 결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등판지지대(520)와, 상기 의자등받이(540)와, 상기 결합부(550)와, 상기 보조등이(530)의 조립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이 조립공정에 투여되는 조립인건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등받이(21)에는 스폰지(미도시)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좌대(40)와, 상기 좌대(10)의 상부후방과,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80)의 외측을 감싸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00a)를 갖는 커버(1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00a)는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의 전방면이 상기 수용부(100a)의 내측면에 맞닿게 수용되고, 상기 수용부(100a)를 갖는 커버(100)의 가외둘레는 상기 수용부(100a)는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의 후방의 가외둘레의 안쪽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위치하여 상기 커버(1000)의 가외둘레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101)에 삽입된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잡아당겨서, 상기 커버(100)가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에 고정설치되게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서로 묶어 묶은부위(103c)를 형성하여준다.
상기 커버(100)의 가외둘레에 삽입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삽압부(101)의 일면에 입출공(10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01)의 내부에 조임끈(103)이 삽입되고,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이 상기 입출공(10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조임끈(103)을 갖는 상기 삽입부(101)가 삽입되도록, 양 상기 의자등받이(20)와 결합되는 상기 보조등받이(21)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좌대(40)와 결합되는 보조좌대(40a)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와 상기 좌대(4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80)의 배면 가외둘레에 형성된 삽입홈부(9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홈부(9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마개(9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부(90)의 하부중앙에 인접하여 상기 삽입홈부(90)에 삽입된 상기 커버(100)의 상기 삽입부(101)에 내재된 상기 조임끈(103)의 양단이 노출된 상기 입출공(102)에서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서로 묶은 묶은부위(103c)가 삽입되도록 안착홈(9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홈(92)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마개(9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좌대(40)에 결합되는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좌대(10)의 상부후방과,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80)에 결합되는 보조받침대(80a)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100)에 상기 삽입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00)가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보조받침대(80a)의 외측둘레를 각각 감싸고 난 다음에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부(90)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101)의 내재되어 상기 입출공(102)에 노출된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잡아당겨서 상기 커버(100)를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의 일면에 고착시키고 난 다음에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묶은 묶은부위(103c)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커버(100)를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에 단번에 신속하게 감싸아 커버하여, 종래의 양 상기 보조등받이와, 상기 보조좌대와, 상기 보조좌대 및 상기 보조받침대에 상기 커버의 가외둘레를 양 상기 보조등받이와, 상기 보조좌대와, 상기 보조받침대의 가외둘레에 감싸고, 양 상기 보조등받이와, 상기 보조좌대와, 상기 보조받침대의 가외둘레를 감싸고 남은 상기 커버의 나머지부분을 양 상기 보조등받이와, 상기 보조좌대(40)와, 상기 보조받침대의 배면에 스테이플러로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없애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입출공(102)의 노출된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이 노출된 부위인 양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의 상기 보조받침대(80a)에 안착홈(92)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묶은부위(103c)를 상기 안착홈(92)에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묶은부위(103c)가 삽입된 상기 안착홈(92)에 개폐마개(93)를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좌대(40a), 양 상기 보조등받이(21), 상기 보조허리받침대(80)의 상기 보조받침대(80a)에 상기 안착홈(92)을 형성하여 의자의 상기 좌대(40)와 결합되는 스폰지(미도시)를 구비한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의자등받이(20)와 결합되는 스폰지(미도시)를 구비한 양 상기 의자등받이(20)와, 상기 보조허리받침대(80)와 결합되는 스폰지(미도시)를 구비한 보조받침대(80a)의 상기 커버(100)를 씌우고 나서 상기 삽입부(101)에 형성된 상기 입출공(102)에 노출된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한번에 잡아당겨 상기 묶은부위(103c)를 상기 안착홈(92)에 삽입하여 상기 안착홈(92)과 결합되는 상기 개폐마개(93)를 구성하여 상기 조임끈(103)의 묶은부위(103c)가 상기 보조좌대(40a)와, 양 상기 보조받침대(21)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상에서 돌출되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양 상기 의자등받이(20)와 결합되는 상기 보조등받이(21)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좌대(40)와 결합되는 보조좌대(40a)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와 상기 좌대(4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80)의 보조받침대(80a)의 배면 가외둘레에 돌출형성된 돌출부(90a)와, 상기 돌출부(90a)의 외측둘레에 상기 커버(100)의 상기 삽입부(102)가 걸리도록 설치되게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좌대(40)와, 상기 하부지지대(50)와, 상기 이동지지대(60)로 구성된 의자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10)에 설치되는 상기 의자등받이(20)의 외측에 상기 결합부(30)가 일체로 돌설되게 형성되어 이 상기 결합부(30)를 상기 등판지지대(10)에 상기 볼트(70)로 고정설치되게 하여 기존의 의자등받이(540)에 별개의 독립구성으로 결합부(550)를 구성하여 의자등받이(540)에 형성된 결합공(541)에 결합부(550)를 조립하고 등판지지대(520)에 볼트(b)로 고정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을 없애도록하여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의자등받이(2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상기 등판지지대(10)에 상기 볼트(70)로 결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등판지지대 11: 결합공
20: 의자등받이 21: 보조등받이
21a: 나사결합공 30: 결합부
31: 나사공 40: 좌대
40a: 보조좌대 50: 하부지지대
60: 이동지지대 70: 볼트
70a: 노출부위 80: 보조허리받침대
80a: 보조받침대 90: 삽입홈부
90a: 돌출부 91: 결합마개
92: 안착홈 93: 개폐마개
100: 커버 100a: 수용부
101: 삽입부 102: 입출공
103: 조임끈 103a: 일단
103b: 타단 103c: 묶은부위

Claims (5)

  1. 등판지지대(10)에 한쌍으로 설치되고, 보조등받이(21)가 정면에 설치된 의자등받이(20)와, 상기 의자등받이(20)에 설치된 결합부(30)가 등판지지대에(10)에 설치되며, 상기 등판지지대(10)가 설치된 좌대(40)와, 상기 좌대(4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대(50)와, 상기 하부지지대(50)의 하부에 연결된 이동지지대(60)로 구비된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의자등받이(20)의 배면중앙에 상기 결합부(30)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31)과, 상기 등판지지대(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삽입되어 노출된 볼트(70)의 노출부에 형성된 나사부(70a)는 상기 나사공(31)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부(70a)는 상기 결합공(11)과, 상기 나사공(31)에 나사결합되어진 후 다시 상기 보조등받이(21)에 형성된 조립나사공(21a)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공(31)을 갖는 상기 결합부(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30a)와, 상기 결합부(30)가 삽입되도록 상기 의자등받이(20)에 형성된 조립나사공(20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31)과 일치되도록 상기 보조등받이(21)의 중앙에형성된 상기나사결합통공(2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등받이(21)와, 상기 보조좌대(40a)와, 상기 보조받침대(80a)의 외측을 감싸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00a)를 갖는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의 가외둘레에 삽입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삽압부(101)의 일면에 입출공(10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01)의 내부에 조임끈(103)이 삽입되고,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이 상기 입출공(10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임끈(103)을 갖는 상기 삽입부(101)가 삽입되도록;
    양 상기 의자등받이(20)와 결합되는 상기 보조등받이(21)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좌대(40)와 결합되는 보조좌대(40a)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와 상기 좌대(4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80)의 보조받침대(80a)의 배면 가외둘레에 형성된 삽입홈부(90)와, 상기 삽입홈부(9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마개(9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90)의 하부중앙에 인접하여 상기 삽입홈부(90)에 삽입된 상기 커버(100)의 상기 삽입부(101)에 내재된 상기 조임끈(103)의 양단이 노출된 상기 입출공(102)에서 상기 조임끈(103)의 일단(103a)과 타단(103b)을 서로 묶은 묶은부위(103c)가 삽입되도록 안착홈(9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92)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마개(9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양 상기 의자등받이(20)와 결합되는 상기 보조등받이(21)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좌대(40)와 결합되는 보조좌대(40a)의 배면 가외둘레와,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와 상기 좌대(4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등판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허리받침대(80)의 보조받침대(80a)의 배면 가외둘레에 돌출형성된 돌출부(90a)와, 상기 돌출부(90a)의 외측둘레에 상기 삽입부(102)가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KR1020170043636A 2017-04-04 2017-04-04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KR20180112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36A KR20180112492A (ko) 2017-04-04 2017-04-04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36A KR20180112492A (ko) 2017-04-04 2017-04-04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656A Division KR20190121281A (ko) 2019-10-18 2019-10-18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92A true KR20180112492A (ko) 2018-10-12

Family

ID=6387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36A KR20180112492A (ko) 2017-04-04 2017-04-04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036B1 (ko) * 2021-07-18 2022-04-08 최차희 양쪽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036B1 (ko) * 2021-07-18 2022-04-08 최차희 양쪽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9853B2 (en) Plane for the seat of armchairs, divans, chairs or similar, with devices for the fixing of the belts that take advantage of the tension of themselves in order to constrain them to the support framework
US5545110A (en) Trampoline
JP2018126579A (ja) いす組立体
CN109152483A (zh) 家具防翻倒系统
US20080073955A1 (en) Slipcover with separate cushion cover
US4408797A (en) Furniture article with padding attached to a supporting shell
KR20180112492A (ko)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US7331629B2 (en) Child bicycle seat
TW201700332A (zh) 交通工具之人體工學座椅
CA2988919C (en) Surface mounted furniture having concealed mount
US20080253831A1 (en) Height adjustable accessory structure
US20170340121A1 (en) Waist support structure of seat back
JP2008104543A (ja) 肘掛け装置付き椅子
KR101485134B1 (ko) 의자용 다리 프레임 체결구
JP2003135200A (ja) 椅子の背凭れ
US20120299347A1 (en) Seating furniture
KR20190121281A (ko) 의자용 의자등받이의 결합부 결합구조
KR200452513Y1 (ko) 의자
KR102088567B1 (ko) 교체가 용이한 팔걸이를 갖는 소파
JPH08323073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KR101697023B1 (ko) 접이식 침대
KR0158338B1 (ko) 조립시 버스시트골조
WO2013129966A2 (ru) Стул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KR200482176Y1 (ko) 조립식 보조 테이블
JP5096999B2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