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313A -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313A
KR20180112313A KR1020170043037A KR20170043037A KR20180112313A KR 20180112313 A KR20180112313 A KR 20180112313A KR 1020170043037 A KR1020170043037 A KR 1020170043037A KR 20170043037 A KR20170043037 A KR 20170043037A KR 20180112313 A KR20180112313 A KR 2018011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sk pack
model
user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420B1 (ko
Inventor
이성원
서정은
김지훈
최양규
정주아
박혁곤
이해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4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20B1/ko
Priority to CN201880034553.5A priority patent/CN110678104B/zh
Priority to PCT/KR2018/003936 priority patent/WO2018186666A1/ko
Publication of KR2018011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 촬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입체적인 3D 모델에 촬영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피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피부 특성이 표현되어 있는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수단; 및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을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ED MASK PACK}
본 발명은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팩은 얼굴 모양에 맞추어 제작된 시트를 이용하여 피부에 다양한 영양분과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는 화장품의 한 종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얼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눈,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멍이 뚫려 뚫려 있을 수 있다. 제조사는 부직포, 필름 등의 원단에 기능성 물질을 함침시키고, 원단을 재단하고, 포장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빠른 시간 내에 다량의 마스크 팩을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을 대량 생산하여 시장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대량 생산되어 제공되는 마스크 팩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일정 수준의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나, 대량 생산 시스템의 한계 상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딱 맞는 마스크 팩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피부에 여드름이 많아 이를 치료하기 위한 기능성 물질이 함침된 마스크 팩을 원하고, 어떤 사람은 미백 효과를 갖는 기능성 물질이 함침된 마스크 팩을 원하나, 상기와 같은 대량 생산의 방식으로는 각각의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성 물질을 선택하고, 이의 함침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도 단순히 사용자에게 기능성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만 준 것일 뿐이고, 사용자의 얼굴 형태나 피부 상태가 고려되지는 않은 것이어서 마스크 팩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얼굴 크기, 눈, 코, 입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은 사용자마다 다 다르나, 종래의 마스크 팩은 모두 동일한 위치에 눈, 코, 입에 대응되는 구멍이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실제 착용해 보면 잘 맞지 않고 들뜨는 등 불편한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는 부위마다 서로 다른 문제점을 가질 수 있는데, 종래의 마스크 팩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이어서, 각 부위별로 필요한 효과를 한번에 얻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한번의 마스크 팩의 사용으로 사용자의 피부 각각의 위치에 필요한 기능성 물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피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해당 부위가 사용자의 얼굴에서 정확하게 어느 위치에 해당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4096호 (2012.03.30. 등록)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1718호 (2016.09.2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을 고려하여 제작된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부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한번에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형상 및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 촬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입체적인 3D 모델에 촬영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피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피부 특성이 표현되어 있는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수단; 및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을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데이터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촬영한 동영상 또는 복수 개의 사진이고, 진단 수단은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3D 모델 및 진단 데이터 생성에 이용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은 촬영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촬영 수단으로 피드백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단 수단은,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3D 모델 생성부와,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 상태 진단부와, 3D 모델에 피부 특성을 표현한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와, 3D 모델 또는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밍 데이터 생성부와,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마스크 팩 베이스에 피부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맵핑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는 3D 모델에서의 기준점과 진단 데이터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3D 모델에 피부 특성을 표현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은 복수 개의 기준점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진단 데이터는 복수 개의 기준점의 2차원 위치 정보 및 피부 특성의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는, 3D 모델의 기준점의 위치와 진단 데이터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3D 모델 상에서의 피부 특성의 위치를 산출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 생성부와 피부 상태 진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의 기준점 정보를 분석하고, 다른 하나는 기준점 정보를 공유 받아 사용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밍 데이터는 사용자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절개부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의 입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스크 팩 베이스에 형성되는 슬릿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맵핑 데이터는 도포하고자 하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 도포 위치, 도포 범위, 도포 양, 도포 순서, 도포 속도, 도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맵핑 데이터는 포밍 데이터에 의해 절개가 수행된 마스크 팩 베이스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피부 특성은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갖는 피부 특성을 포함하고, 피부 특성은 3D 모델에 3차원 또는 2차원 객체를 추가하거나, 3D 모델의 렌더링 정보를 변경하거나, 텍스처 맵핑을 하는 방법으로 표현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은, 마스크 팩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포밍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는 포밍부와,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부와,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마스크 팩 베이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팩 베이스는 평면의 부직포 또는 필름으로 제공되고, 기능성 물질 도포부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기능성 물질 분사부와,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리니어 모터와,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리니어 모터와,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단 수단은, 3D 모델, 진단 데이터, 3D 진단 데이터, 포밍 데이터, 맵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정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이력 관리를 위해 사용자별로 3D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촬영 수단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수집 수단에서 수집하는 단계; 촬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촬영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피부 특성에 관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모델에 진단 데이터를 적용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모델 또는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를 절개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에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마스크 팩 제조 수단에서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를 전달받아 마스크 팩 베이스를 포밍하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맞춤형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3D 모델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평면 프레임 이미지 상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및 기준점의 위치에 대한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D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3D 모델에서의 기준점의 위치와 진단 데이터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기준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3D 모델에 적용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와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는 서로 동일한 것이 사용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 생성 및 진단 데이터 생성을 위해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미지는, 기준점이 3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피부 특성 중 입체적인 요철 형태인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3D 모델에 표현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을 고려하여 제작된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부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한번에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형상 및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마스크 팩을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진단 수단에서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의 기능성 물질 도포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마스크 팩 제조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마스크 팩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진단 수단에서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의 기능성 물질 도포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마스크 팩 제조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마스크 팩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10)은 사용자를 촬영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과,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3D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포밍(forming) 데이터 및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의 맵핑(mapping)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수단(200)과, 진단 수단(200)에서 제공되는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크 팩은 소정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얼굴에 밀착시켜 부착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이 직접 피부에 작용하도록 하는 피부 미용 도구를 의미한다. 아울러,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10)은 각각의 구성이 서로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제공될 수 있는 촬영 수단(20)을 통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촬영 수단(20)과 통신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수신 장치 또는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진단 수단(20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진단 수단(200)으로서 제공되는 PC, 노트북 등의 소정의 전자 장치에 설치되고, 촬영 수단(20)과 유/무선 통신하여 촬영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수단(20)에서 수집하는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 얼굴의 기 설정된 기준점들 중 복수 개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점이란 사용자의 얼굴 중 표지점(Landmark)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위치로서, 촬영 데이터 상의 특정한 픽셀 또는 복셀의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점은 사용자의 눈의 양쪽 꼬리 끝 점, 눈썹의 양쪽 꼬리 끝 점, 입술의 양쪽 꼬리 끝 점, 콧구멍의 최광폭을 이루는 점, 귀의 시작점과 끝점 등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사용자의 우측 눈의 양쪽 끝점 및 입술의 일측 끝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각각 P1, P2, 및 P3로 표시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러나 기준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들은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기준점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3D 진단 데이터의 생성 시 진단 데이터와의 매칭을 위해, 각 기준점에는 식별 코드가 부여되고, 이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되어 3D 모델 생성부(210)와 피부 상태 진단부(220) 및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 등에 공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 수단(20)은 사용자 또는 화장품 판매자 등이 소지한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의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이거나, 시스템(10)을 구비하고 있는 매장 등에 비치된 카메라, 3D 스캐너 등일 수 있다. 촬영 수단(20)은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3D 모델 및 피부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수단(20)으로서 스마트폰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때, 촬영 수단(20)에서 제공하는 촬영 데이터는 동영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영상이란 기 설정된 프레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정지 이미지의 묶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프레임 이미지는 어느 한 순간의 정지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프레임의 동영상은 1/60초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프레임 이미지의 묶음이다. 이 경우, 진단 수단(200)은 동영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프레임 이미지 중 중 적합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3D 모델 생성 및 피부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 수단(20)은 사용자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도 2의 (a))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촬영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소정 각도 범위 이상의 촬영을 위해 촬영 수단(20)은 조작자에게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촬영 수단(20)이 동영상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 촬영 시작 명령을 입력한 후 얼굴 주변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고 동영상 촬영 종료 명령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한 촬영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촬영 수단(20)으로부터 전달된 촬영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촬영 수단(20)으로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으며, 촬영 수단(20)은 이를 조작자에게 음향 또는 영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재촬영이 이뤄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수단(20)으로부터 동영상을 제공받는 걸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촬영 수단(20)은 사용자의 얼굴을 복수 개의 특정 각도에서 촬영한 후,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이 경우에도 전달받은 촬영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촬영 수단(20)으로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수단(20)이 별도로 제공되고, 촬영 수단(20)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이 전달 받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직접 사용자의 촬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 수단(2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촬영 수단(20)이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의 일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은 스마트폰에 대응될 수도 있다.
진단 수단(200)은 촬영 수단(20)에서 촬영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3D 진단 데이터,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3D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입체적인 3D 모델에 사용자의 피부를 진단한 결과인 피부 특성 정보를 표현한 데이터로 이해되며, 그 물리적인 형태는 컴퓨터 상에서 소정의 그래픽 툴에 의해 입체적으로 표현 가능한 파일일 수 있다. 일 예로, 그래픽 툴은 AUTOCAD, 3DS MAX 등의 상용화된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3D 진단 데이터는 AUTOCAD, 3DS MAX 에서 읽기 가능한 파일일 수 있다. 이러한 3D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 외형을 나타내는 3D 모델이 피부 진단 데이터에 따라 수정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포밍(forming) 데이터는 마스크 팩(30)이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스크 팩 베이스(B)에 형성할 복수 개의 절개부(32)의 위치, 크기, 형상에 관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으며, 포밍은 마스크 팩 베이스(B)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때, 마스크 팩이 평면의 소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그에 대응되는 포밍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포밍이 이뤄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어떠한 구성(예를 들어, 절개부(32))의 위치는 해당 구성을 2D 또는 3D로 표현함에 있어서 해당 구성에 포함되는 어떠한 특정 지점의 위치 또는 이러한 지점의 위치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구성의 위치는 해당 구성에 포함된 일 지점의 픽셀(pixel) 또는 복셀(voxel)의 위치로 이해되거나, 이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구성의 크기는 해당 구성이 나타내는 너비, 폭, 면적 또는 부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어떠한 구성의 형상은 2D 또는 3D로 나타나는 해당 구성의 모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어떠한 구성의 크기나 형상은 모두 픽셀 또는 복셀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맵핑(mapping) 데이터는 마스크 팩의 베이스(B)에 어느 위치에 어떠한 기능성 물질을 어느 정도로 도포할 지에 대한 정보로서, 도포하고자 하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 도포 위치, 도포 범위, 도포 양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기능성 물질의 도포 순서, 도포 속도, 도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단 수단(200)은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3D 모델 생성부(210),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 생성된 3D 모델에 피부 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 마스크 팩 베이스(B)를 절개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 마스크 팩 베이스(B)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수단(200)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60)와,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부(270)와, 상술한 촬영 데이터, 3D 진단 데이터, 포밍 데이터, 맵핑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80)와, 외부 기기 또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 또는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3D 모델 생성부(210)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에서 제공되는 촬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3D 모델의 생성을 위해서는 적어도 2장 이상의 이미지가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촬영 데이터가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 개의 프레임 이미지 중 일부가 3D 모델 생성부(210)에 의해 추출되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모델 생성부(210)는 한 장의 프레임 이미지에 3개 이상의 기준점이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3D 모델을 생성하고, 3개 이상의 기준점이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다른 일부를 활용하여 생성된 모델을 검증, 보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한편, 3D 모델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3D 모델은 입체적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와 함께, 3D 모델 상에서의 기준점의 좌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3D 모델은 도 2의 (a)와 같은 입체 형상일 수 있으며, 3D 모델 상에서의 P1, P2, 및 P3의 3차원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2D 이미지로부터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도포 가능한 기능성 물질에 의해 개선이 가능한 피부 특성의 종류, 위치, 크기, 형상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D 이미지는 3D 입체 모델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평면 이미지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피부 특성은 마스크 팩에 함침된 기능성 물질에 의해 개선이 가능한 피부 상태로서, 크게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으로는 주름, 모공, 흉터, 부스럼 등이 있고,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으로는 색소 침착이나 붉은기, 피부색 등이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 개의 이미지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해당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피부 특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기준점이 적어도 3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즉,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각각의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개수를 산출함과 동시에 해당 프레임 이미지를 피부 특성 진단을 위해 선택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가 직접 피부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3D 모델에 사용한 프레임 이미지를 전달받아 활용할 수도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먼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종류, 위치 등의 기준점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전달받아 3D 모델 생성에 활용할 수도 있다. 즉, 피부 상태 진단부(220)와 3D 모델 생성부(210) 중 어느 하나에서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의 기준점 정보를 분석하고, 다른 하나는 이를 공유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기준점을 적어도 3개 이상 포함한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유는 피부 특성의 위치를 3개의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로서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함이며, 경우에 따라 더 많은 기준점의 개수를 기준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도 2의 (b)의 왼쪽 그림에 도시된 것처럼 한 장의 프레임 이미지에 기준점으로 설정될 수 있는 양측 눈과 코와 입술과 일측 귀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이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 내에서 피부 특성을 판단할 영역을 도 2의 (b)의 왼쪽 그림과 같이 설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도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선택된 이미지 상에 포함되어 있는 피부 특성의 종류, 위치, 크기, 형상을 판단하여 진단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주름의 깊이/너비/길이/개수, 모공의 깊이/넓이/개수, 색소 침착 면적 및 색상, 붉은기 면적 및 색상 등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피부 특성은 도 2의 (b)의 우측 그림의 검은색 부분과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산출하는 피부 특성의 위치는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산출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기준점은 3D 모델에 생성되어 있는 기준점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3D 모델에 생성된 기준점들에 1:1로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특성이 나타난 지점의 위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 좌표로 산출되거나, 기준점과의 거리로 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 특성이 나타난 지점의 위치가 각각의 기준점과의 거리로 표시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도 2의 (b)에 검은색 영역으로 나타난 피부 특성의 일 지점의 위치를 P1으로부터 d1, P2로부터 d2, P3로부터 d3만큼의 거리로 파악할 수 있으며, 세 개의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피부 특성의 일 지점의 정확한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피부 특성이 소정의 면적을 가져 이미지 상에 여러 개의 픽셀 또는 복셀로서 표현이 되는 경우,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각각의 픽셀에 대한 상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이와 같이 피부 상태를 진단한 프레임 이미지의 인덱스(index)와, 해당 프레임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종류 및 위치, 해당 프레임 이미지에서 추출된 피부 특성의 종류, 위치, 크기, 형상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하거나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3D 모델 생성부(210)에 의해 생성된 3D 모델은 촬영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형성된 입체 형상이기는 하나, 사용자의 구체적인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 모공, 흉터, 부스럼과 같이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의 경우, 아주 작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3D 모델에 그 입체적인 요철 형태가 정확하게 반영되기 어렵다. 또한, 색소 침착이나 붉은기, 피부색 등과 같이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의 경우 단순한 3D 모델에는 표현되기 어렵다. 이 경우, 텍스처 맵핑(Texture Mapping)에 의해 2D로 표현된 프레임 이미지 상의 피부 특성을 입체에 덧씌울 수 있기는 하나, 이는 단순하게 입체 형상에 색상이 칠해져 있는 것과 다르지 않으며 이를 통해 피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 및 피부 상태에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는 맞춤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해,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마스크 팩의 제조에 활용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3D 진단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3D 모델로부터 직접 피부 상태를 측정하여 마스크 팩의 제조에 활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3D 모델에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생성된 진단 데이터를 결합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위치와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전달받은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기준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피부 특성 정보를 3D 모델에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측정한 피부 특성의 위치는 2차원 상에서의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이고 3D 모델은 3차원 좌표로서 표현되는 바,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생성된 피부 특성의 위치가 3D 모델 상에 표현될 수 있도록 피부 특성의 위치 정보를 3D 모델에 대응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물론, 3D 모델 데이터를 2D로 변환하여 매칭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피부 진단 화면(도 5의 (b))에서, 기준점들(P1, P2, P3)과 피부 특성의 일 지점까지의 거리는 각각 d1, d2, d3로 측정되나, 이는 사용자 얼굴의 입체적 형상을 반영하지 않은 거리이다. 이에,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을 평면에 투영한 후 d1, d2, d3를 적용하여 피부 특성의 일 지점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를 다시 3D 모델에 투영함으로써 피부 특성의 일 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3D 모델 상에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3D 모델을 평면에 투영하는 방향은 피부 상태 진단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피부 상태를 진단한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되는 3D 모델의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을 프레임 이미지에 나타난 얼굴에 형태에 일치시키기 위해 3D 모델의 회전, 이동, 및 크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을 매개변수화(Parameterization)하여 텍스쳐 메쉬(Texture Mesh)를 형성하고, 이를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사용한 프레임 이미지에 대응시킴으로써 기준점의 매칭 및 피부 특성의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3D 모델에 2D 이미지 상에서의 특정 부분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표지점 기반 3D 변환(3D Affine Transformation Based Landmark)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론이 활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 상에서의 피부 특성의 위치를 결정한 후, 피부 특성을 3D 모델을 수정하여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적 형상을 가진 피부 특성은 3D 모델을 직접 수정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상태 진단부(200)에서는 부스럼의 높이/면적/개수/위치 등의 정보를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에 전달할 수 있고,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각각의 부스럼에 대응되는 3차원 객체를 생성하여 기 생성된 3D 모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적 형상을 가진 피부 특성에 대응되는 3차원 객체를 새로 생성하고 이를 추가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 3D 모델을 수정하는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도 3D 모델을 수정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상태 진단부(200)에서는 색소 침착이 발생된 부분의 위치/면적/형상 등의 정보를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에 전달할 수 있고,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색소 침착이 발생된 영역의 3D 모델의 렌더링(Rendering) 정보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2차원 객체를 생성하여 3D 모델에 추가하거나,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해당 영역을 추출하여 텍스처 맵핑(Texture Mapping)시킬 수도 있다. 입체적 형상을 가진 피부 특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을 3D 모델에 반영하는 방법은 그 외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입체적인 요철 형태인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3D 모델에 표현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자신의 피부 특성을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우측 눈의 양 끝점과 입술의 일측 끝점을 기준점(P1, P2, P3)으로 하고, 사용자의 우측 볼에 있는 색소 침착 영역을 진단한 후, 이를 3D 모델의 렌더링을 수정하여 표현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생성된 3D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진단된 피부 상태를 입체적 형상인 3D 모델에 반영하는 바, 사용자의 얼굴 형상 및 피부 상태가 정확하게 반영되어 있는 3D 진단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는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3D 진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B)를 절단, 절개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는 3D 진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B)에 형성할 사용자의 눈, 코, 입에 대응되거나, 사용자의 얼굴 형상을 고려하여 마스크 팩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절개부(32)들의 위치, 크기, 형상 정보를 포함하는 포밍 데이터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포밍 데이터는 마스크 팩 베이스(B)에서 사용자의 눈과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멍, 사용자의 코의 윤곽, 형상, 및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슬릿, 사용자의 얼굴 크기, 형상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B)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스크 팩 베이스(B)의 일부 영역이 중첩되거나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슬릿 등의 크기, 모양,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포밍 데이터는 3D 진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얼굴 형상의 구체적인 특징이나, 피부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바, 마스크 팩이 사용자의 얼굴에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고 들뜸 현상이 방지되며, 동시에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포밍 데이터는 눈, 입과 같이 기 설정된 절개 영역의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과, 3D 진단 데이터를 평면으로 언랩(unwrap)하는 과정에서, 메시(Mesh)나 폴리곤(Polygon)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중첩되거나 깨지거나, 기 설정된 평면 레벨을 벗어나는 영역을 추출하여 절개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가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는 3D 모델을 이용하여 포밍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할 기능성 물질의 종류, 기능성 물질의 도포 위치, 기능성 물질의 도포 범위, 기능성 물질의 도포 양을 포함하는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280)에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진단 가능한 피부 특성과, 각각의 피부 특성 또는 피부 특성의 정량적 또는 정성적 특성에 매칭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 또는 복수의 기능성 물질의 조합비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280)에는 색소 침착의 정도에 따라 도포되어야 할 기능성 물질의 양, 농도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3D진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피부 특성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할 기능성 물질을 데이터베이스부(280)로부터 읽어 맵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되어 있던 값을 기초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기능성 물질의 양이나 농도, 조합비 등의 맵핑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위치에 복수 개의 피부 특성이 있는 것으로 진단된 경우, 해당 위치에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이 모두 도포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선택된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3D 진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피부 특성의 위치, 크기, 형상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할 위치 및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와 마찬가지로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3D 진단 데이터를 언랩할 수 있으며, 언랩에 의해 마스크 팩 베이스(B) 상에 맵핑되는 피부 특성의 위치를 그에 대응되는 기능성 물질의 도포 위치 및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맵핑 데이터는 기능성 물질의 도포 순서, 도포 경로, 도포 속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3D 진단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기의 데이터들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일 예로,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기능성 물질의 점도에 따라 노즐(336a, 336b, 336c)의 직경 및, 리니어 모터(332, 334, 335)의 이동 속도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여기서 도포 경로는 진단 결과에 의해 도출된 도포 범위를 최단시간 내에 도포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진단 수단(200)은 상술한 3D 모델 생성부(210), 피부 상태 진단부(220),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의 처리 과정 및 처리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270)를 조작하여 생성된 3D 모델, 피부 상태 진단 데이터, 3D 진단 데이터, 포밍 데이터, 맵핑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이들을 직접 수정할 수도 있다.
또한, 진단 수단(200)은 사용자별로 상기와 같이 생성된 3D 진단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하여 이력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맞춤형 마스크 팩의 사용에 따라 자신의 피부가 어떻게 개선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바,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진단 수단(200)은 통신부(290)를 통해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 및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보, 상기의 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 기초 데이터, 기능성 물질 정보 등을 마스크 팩 제조사의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받을 수도 있고, 데이터 생성 결과를 공유하거나, 사용자의 스마트 폰, SNS 계정 등으로 생성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은 마스크 팩 베이스(B)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부(310)와, 마스크 팩 베이스(B)를 포밍 데이터에 따라 가공하는 포밍부(320)와,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맵핑 데이터에 따라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와,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을 냉각하는 냉각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팩 베이스(B)로 부직포, 필름 등 평면 형상을 갖는 원단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이송부(310)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마스크 팩 베이스(B)가 포밍부(320),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 냉각부(340)를 통과하며 가공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마스크 팩(30)을 이동시키며,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가공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이송과 대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부(310)는 컨베이어 벨트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일 수 있다. 이송부(310)로는 소정의 마스크 팩 베이스(B) 공급 수단으로부터 마스크 팩 베이스(B)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크 팩 베이스(B) 공급 수단은 부직포와 같은 원단이 보빈에 감겨져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원단은 이송부(310)의 컨베이어 벨트에 이송된 후 소정의 절단 장치에 의해 원형으로 절단되어 포밍부(320)로 공급될 수 있다.
포밍부(320)는 진단 수단(200)의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포밍 데이터를 전달 받아 마스크 팩 베이스(B)에 절개부(32)를 가공한다. 이를 위해, 포밍부(320)는 마스크 팩 베이스(B)를 자를 수 있는 커터, 펀치 등의 컷팅 수단과, 컷팅 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절단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진단 수단(200)의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에서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전달 받아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한다. 예를 들어,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컨베이어 벨트인 이송부(31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마스크 팩 베이스(B)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이송부(310)는 기 설정된 정위치에 마스크 팩 베이스(B)가 위치하면 이송을 정지하여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에 의한 공정이 이뤄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에 전달된 맵핑 데이터는 3개의 기능성 물질(a, b, c)를 도면을 기준으로 마스크 팩 베이스(B)의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도포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맵핑 데이터에 따라 순차적으로 a, b, c를 도포한다. 이때, a, b, c의 도포 위치는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맵핑 데이터를 형성하는 과정에 의해 설정된 것인 바, 사용자가 향후 마스크 팩을 착용하면 a, b, c 각각은 이들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피부 특성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3축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제1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이송시키는 제1 리니어 모터(332)와,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도면의 지면 방향)으로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이송시키는 제2 리니어 모터(334)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이송시키는 제3 리니어 모터(3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리니어 모터(332)는 제3 리니어 모터(335)의 이동 블록(335a)에 고정되고, 제2 리니어 모터(334)는 제1 리니어 모터(332)의 이동 블록(332a)에 고정되며,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는 제2 리니어 모터(334)의 이동 블록(334a)에 고정됨으로써,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가 3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가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3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축 방향으로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이송시키거나 3차원 극좌표계에서 이송시킬 수도 있다.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336a, 336b, 336c)을 구비하며,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의 내부에는 기능성 물질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즐(336a, 336b, 336c)은 기능성 물질 공급 라인(338a, 338b, 338c)과 연결되어 기능성 물질 저장부(미도시)로부터 기능성 물질을 소정 압력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전달 받은 맵핑 데이터에 따라 제1 리니어 모터(332), 제2 리니어 모터(334), 제3 리니어 모터(335)를 제어하여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설정된 위치 및 경로로 이동시키면서 a, b, 및 c의 순서대로, 설정된 양과 속도로 기능성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3 리니어 모터(335)를 통한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의 이동은 기능성 물질이 중첩되도록 분사할 때 이뤄질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의 도포가 완료되면, 이송부(310)는 마스크 팩 베이스(B)를 냉각부(340)로 이송시킨다. 냉각부(340)는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된 기능성 물질을 건조, 냉각 시킴으로써 최종 제품으로서 완성시키며, 자연 냉각, 강제 냉각 등 다양한 공지의 냉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마스크 팩(30)은 마스크 팩 베이스(B) 상에 기능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34)을 가지며, 맵핑 데이터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2개의 영역(34a, 34b)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2개의 영역(34a, 34b)은 3D 진단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특성이 위치되어 있는 정확한 위치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에 의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팩(30)은 복수 개의 절개부(32)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절개부(32) 또한 3D 진단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것인 바, 절개부(32)에 의해 마스크 팩(30)은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얼굴에 보다 정확하게 밀착되고, 들뜸이 방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능성 물질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팩 베이스(B)가 평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마스크 팩 베이스(B)는 입체적인 형상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10)은 별도로 3D 모델 또는 3D 진단 데이터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을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부(310)에는 마스크 팩 베이스(B)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포밍부(320) 및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3축 이동을 위한 구동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맞춤형 마스크 팩(3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을 촬영 수단(20)으로 촬영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한다.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 기준 좌우로 소정 각도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촬영 수단(20)은 정확한 3D 진단 데이터 생성을 위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동영상 녹화를 시작하고 촬영 수단(20)을 얼굴 주변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만으로도 간편하게 맞춤형 마스크 팩 제작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촬영 수단(20)에서 생성된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에 의해 수집되며, 촬영 데이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진단 수단(200)은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이 수집한 촬영 데이터를 전달받고, 3D 모델 생성부(210)에서는 촬영 데이터를 활용해 사용자의 얼굴 외형을 모사한 3D 모델을 생성한다. 3D 모델은 소정의 그래픽 툴에 의해 읽기 가능한 파일 포맷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때, 3D 모델 생성부(210)는 전달 받은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 이미지 일부를 선택하여 3D 모델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모델은 각각의 기준점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진단 수단(200)의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이 수집한 촬영 데이터 중 일부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특성을 진단, 추출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도 전달 받은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 이미지 일부를 선택하여 피부 진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피부 상태 진단부(220)가 사용하는 프레임 이미지는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3D 모델 생성에 사용한 이미지일 수 있다. 즉, 피부 상태 진단부(220)와 3D 모델 생성부(210)는 선택한 프레임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별도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바, 보다 빠른 속도로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는 사용자의 피부에 나타난 피부 특성들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을 포함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로 제공한다. 이때, 피부 상태 진단부(220)의 진단 데이터 생성은 3D 모델 생성부(210)의 3D 모델 생성과 동시에 병렬적으로 진행되거나, 3D 모델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된 결과물을 보여줘서,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특성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3D 모델에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생성된 진단 데이터를 적용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의 기준점의 위치를 기초로 진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피부 특성을 3D 모델에 적용한다. 이때, 피부 특성의 위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 거리 등의 상대 위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과 진단 데이터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에 따라 3D 모델에 피부 특성을 표현한다. 기준점의 매칭 및 피부 특성 상대 위치의 산출은 3D 모델에 2D 진단 데이터를 매칭시키거나, 2D 진단 데이터에 3D 모델을 매칭시키는 방법 모두에 의해 가능하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에서 진단된 피부 특성에는 크게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이 포함되는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은 3D 모델의 외형을 직접 수정함으로써 피부 특성이 입체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하고,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은 3D 모델의 렌더링을 수정하거나 텍스쳐 맵핑을 통해 피부 특성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진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진단 수단(200)에서 생성된 자신의 얼굴에 대응되는 3D 진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70)를 통해 3D 진단 데이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정확한 3D 진단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생성된 3D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의 입체적인 형상뿐만 아니라 피부 특성의 성질, 위치까지 정확하게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마스크 팩은 사용자에게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이 정확한 위치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진단 수단(200)의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는 3D 진단 데이터를 기초로 마스크 팩 베이스(B)를 가공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포밍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의 입체적인 형상 및 피부 특성에 따라 마스크 팩(30)이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마스크 팩 베이스(B)에 형성될 절개부(32)의 위치, 크기, 형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생성된 포밍 데이터는 통신부(290)를 통해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3D 진단 데이터를 기초로 마스크 팩 베이스(B)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맵핑 데이터는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할 기능성 물질의 종류, 기능성 물질의 도포 위치, 도포 범위, 도포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생성된 맵핑 데이터는 통신부(290)를 통해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포밍 데이터의 생성 이후 맵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맵핑 데이터 중 기능성 물질의 도포 위치는 포밍된 이후의 마스크 팩 베이스(B) 상에서의 위치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맵핑 데이터는 기능성 물질의 도포 속도, 도포 경로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3D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 ID 등의 식별 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사용자 별로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진단 수단(200)은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특정 사용자의 3D 진단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보여줌으로써, 맞춤형 마스크 팩의 사용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효과를 보고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은 진단 수단(200)으로부터 전달받은 포밍 데이터와 맵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30)을 제조한다.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의 이송부(310)는 소정의 마스크 팩 베이스(B)의 공급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마스크 팩 베이스(B)를 포밍부(320),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 냉각부(340)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완성된 마스크 팩(30)을 배출할 수 있다.
포밍부(320)는 진단 수단(200)으로부터 전달받은 포밍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320)를 가공한다. 이를 위해, 포밍부(320)는 소정의 컷팅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포밍이 완료된 마스크 팩 베이스(320)에 맵핑 데이터에 따라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를 제1 리니어 모터(332)와 제2 리니어 모터(334) 및 제3 리니어 모터(335)를 이용하여 3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기능성 물질을 분사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 분사부(336)에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도포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노즐(336a, 336b, 336c)이 제공되어 여러 기능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물질 도포부(330)는 실시예에 따라 한번에 하나의 노즐만 구동되도록 하거나, 복수 개의 노즐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맵핑 데이터에 따라 기능성 물질은 사용자의 피부 특성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포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마스크 팩 베이스(B) 상에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2개의 영역(34a, 34b)이 존재할 수 있다. 2개의 영역(34a, 34b)의 위치는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했을 때 피부 특성의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마스크 팩 베이스(B)는 냉각부(340)에서 냉각되어 마스크 팩(30)으로 완성되고,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어 포장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10)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을 고려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B)를 가공하는 바, 사용자 얼굴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된 맞춤형 마스크 팩(3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진단 결과에 따라 나타난 피부 특성에 따라 적합한 기능성 물질을 공급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피부 특성에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적용할 수 있도록 맵핑 데이터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 팩(30)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처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3D 모델을 이용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얼굴에 나타난 피부 특성의 정확한 위치, 크기, 형상을 3D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제 얼굴 및 피부에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진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를 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바, 마스크 팩(30)의 효과 및 사용자의 마스크 팩(30)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에서, 촬영 수단(2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에 의해 수집된다(S100). 이때,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기 설정된 범위에서 촬영한 동영상이거나, 기 설정된 각도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복수 개의 사진일 수 있다.
3D 모델 생성부(210)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으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전달 받아 3D 모델을 생성하고(S210), 3D 모델로부터 기준점의 3차원 위치를 산출하여 저장한다(S220).
그리고,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100)으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전달 받고, 촬영 데이터 중 피부 상태를 진단할 이미지를 추출한다(S310). 이때, 피부 상태를 진단할 이미지는 동영상의 일부 프레임 이미지일 수 있으며, 기준점이 3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추출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개수 및 위치를 산출하고(S320),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피부 상태를 진단한다(S330). 그리고,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진단된 피부 특성의 종류, 위치, 크기, 형상을 포함하는 진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330). 이때, 진단 데이터에 포함되는 피부 특성은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그 위치가 정의될 수 있으며,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S320 단계에서 산출된 기준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산출한다(S34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가 촬영 데이터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한 후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종류, 개수, 위치 등을 먼저 산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진단할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 상태 진단부(220)가 촬영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내에서 기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의 위치는 3D 모델 생성부(210)에 의해서 산출될 수도 있고, 피부 상태 진단부(220)는 3D 모델 생성부(210)에서 산출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점의 위치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S220 단계에서 산출되는 기준점의 위치는 3D 모델 상에서의 3차원 위치이고, S320 단계에서 산출되는 기준점의 위치는 평면 프레임 이미지에서의 2차원 위치일 수 있다. 또한, S220 단계에서 위치가 산출되는 기준점은 S320 단계에서 위치가 산출되는 기준점과 실질적으로 1:1로 매칭될 수 있다.
아울러, S210 단계 내지 S220 단계는 3D 모델 생성 단계(S200), S310 내지 S340 단계는 진단 데이터 생성 단계(S300)라고도 할 수 있다.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에 진단 데이터를 적용하여 3D 지단 데이터를 생성한다(S400). 구체적으로,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230)는 3D 모델의 기준점에 진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점을 매칭시킨 후, 피부 특성의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를 3D 모델에 표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 적용을 위해 3D 모델을 평면에 투영한 후 다시 복원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3D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입체적인 모델에 피부 특성을 표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드러난 피부 특성의 위치, 크기,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바, 포밍 데이터 및 기능성 물질 맵핑 데이터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밍 데이터 생성부(240)는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B)에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S500). 이때, 포밍 데이터는 절개부의 위치, 크기, 형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개부는 눈, 입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멍, 코나 얼굴의 입체적인 형상에 따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 맵핑부(250)는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할 기능성 물질의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S600). 이때, 맵핑 데이터는 진단된 피부 특성의 종류, 위치, 크기,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마스크 팩 베이스(B)에 도포할 기능성 물질의 종류, 도포 위치, 도포 범위, 도포량, 도포 속도, 도포 경로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포밍 데이터와 맵핑 데이터는 진단 수단(200)으로부터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으로 전달되고, 마스크 팩 제조 수단(300)은 전달 받은 정보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B)를 포밍하고 마스크 팩 베이스(B)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맞춤형 마스크 팩을 제조한다(S7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의 작용 및 효과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에서 살펴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 촬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입체적인 3D 모델에 촬영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피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피부 특성이 표현되어 있는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수단; 및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을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2는, 촬영 데이터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항목 1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3은,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촬영한 동영상 또는 복수 개의 사진이고, 진단 수단은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3D 모델 및 진단 데이터 생성에 이용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2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4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은 촬영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촬영 수단으로 피드백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3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5는, 진단 수단은,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3D 모델 생성부와,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 상태 진단부와, 3D 모델에 피부 특성을 표현한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와, 3D 모델 또는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밍 데이터 생성부와,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마스크 팩 베이스에 피부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맵핑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4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6은,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는 3D 모델에서의 기준점과 진단 데이터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3D 모델에 피부 특성을 표현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5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7은, 3D 모델은 복수 개의 기준점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진단 데이터는 복수 개의 기준점의 2차원 위치 정보 및 피부 특성의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는, 3D 모델의 기준점의 위치와 진단 데이터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3D 모델 상에서의 피부 특성의 위치를 산출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6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8은, 3D 모델 생성부와 피부 상태 진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의 기준점 정보를 분석하고, 다른 하나는 기준점 정보를 공유 받아 사용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7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9는, 포밍 데이터는 사용자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절개부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의 입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스크 팩 베이스에 형성되는 슬릿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8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0은, 맵핑 데이터는 도포하고자 하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 도포 위치, 도포 범위, 도포 양, 도포 순서, 도포 속도, 도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9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1은, 맵핑 데이터는 포밍 데이터에 의해 절개가 수행된 마스크 팩 베이스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항복 1 내지 항목 10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2는, 피부 특성은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갖는 피부 특성을 포함하고, 피부 특성은 3D 모델에 3차원 또는 2차원 객체를 추가하거나, 3D 모델의 렌더링 정보를 변경하거나, 텍스처 맵핑을 하는 방법으로 표현되는 항복 1 내지 항목 11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3은,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은, 마스크 팩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포밍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는 포밍부와,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 베이스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부와,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마스크 팩 베이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12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4는, 마스크 팩 베이스는 평면의 부직포 또는 필름으로 제공되고, 기능성 물질 도포부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기능성 물질 분사부와,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리니어 모터와,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리니어 모터와,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13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5는, 진단 수단은, 3D 모델, 진단 데이터, 3D 진단 데이터, 포밍 데이터, 맵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정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이력 관리를 위해 사용자별로 3D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14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이다.
항목 16은, 촬영 수단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수집 수단에서 수집하는 단계; 촬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촬영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피부 특성에 관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모델에 진단 데이터를 적용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모델 또는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를 절개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에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마스크 팩 제조 수단에서 포밍 데이터 및 맵핑 데이터를 전달받아 마스크 팩 베이스를 포밍하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맞춤형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복 1 내지 항목 14의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에 의한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다.
항목 17은,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3D 모델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평면 프레임 이미지 상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및 기준점의 위치에 대한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D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3D 모델에서의 기준점의 위치와 진단 데이터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기준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3D 모델에 적용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6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다.
항목 18은,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와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는 서로 동일한 것이 사용되는 항복 1 내지 항목 17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다.
항목 19는, 3D 모델 생성 및 진단 데이터 생성을 위해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미지는, 기준점이 3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인 항복 1 내지 항목 18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다.
항목 20은,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피부 특성 중 입체적인 요철 형태인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3D 모델에 표현되는 항복 1 내지 항목 19의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20: 촬영 수단
100: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 200: 진단 수단
210: 3D 모델 생성부 220: 피부 상태 진단부
230: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 240: 포밍 데이터 생성부
250: 기능성 물질 맵핑부 260: 디스플레이부
270: 사용자 입력부 280: 데이터베이스부
290: 통신부 300: 마스크 팩 제조 수단
310: 이송부 320: 포밍부
330: 기능성 물질 도포부 340: 냉각부
30: 마스크 팩 32: 절개부
34: 기능성 물질 영역 P1, P2, P3: 기준점
B: 마스크 팩 베이스 a, b, c: 기능성 물질

Claims (20)

  1.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사용자의 얼굴을 형상화한 입체적인 3D 모델에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피부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입체적인 얼굴 형상에 피부 특성이 표현되어 있는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고,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상기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수단; 및
    상기 포밍 데이터 및 상기 맵핑 데이터에 따라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을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집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는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촬영한 동영상 또는 복수 개의 사진이고,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3D 모델 및 상기 진단 데이터 생성에 이용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 수단은 상기 촬영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각도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재촬영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촬영 수단으로 피드백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3D 모델을 생성하는 3D 모델 생성부와,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대한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 상태 진단부와,
    상기 3D 모델에 상기 피부 특성을 표현한 상기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3D 모델 또는 상기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포밍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3D 진단 데이터로부터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상기 피부 특성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맵핑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3D 모델에서의 기준점과 상기 진단 데이터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상기 3D 모델에 상기 피부 특성을 표현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은 복수 개의 기준점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데이터는 복수 개의 기준점의 2차원 위치 정보 및 상기 피부 특성의 기준점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3D 진단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3D 모델의 기준점의 위치와 상기 진단 데이터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킨 후, 상기 3D 모델 상에서의 상기 피부 특성의 위치를 산출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 생성부와 상기 피부 상태 진단부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의 기준점 정보를 분석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기준점 정보를 공유 받아 사용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 데이터는 사용자의 눈, 코, 입에 대응되는 절개부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사용자 얼굴의 입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에 형성되는 슬릿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데이터는 도포하고자 하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 도포 위치, 도포 범위, 도포 양, 도포 순서, 도포 속도, 도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데이터는 상기 포밍 데이터에 의해 절개가 수행된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특성은 입체적인 요철 형태를 갖는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갖는 피부 특성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특성은 상기 3D 모델에 3차원 또는 2차원 객체를 추가하거나, 상기 3D 모델의 렌더링 정보를 변경하거나, 텍스처 맵핑을 하는 방법으로 표현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 제조 수단은,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포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를 가공하는 포밍부와,
    상기 맵핑 데이터에 따라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는 기능성 물질 도포부와,
    기능성 물질이 도포된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는 평면의 부직포 또는 필름으로 제공되고,
    상기 기능성 물질 도포부는,
    서로 다른 기능성 물질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기능성 물질 분사부와,
    상기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리니어 모터와,
    상기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리니어 모터와,
    상기 기능성 물질 분사부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3D 모델, 상기 진단 데이터, 상기 3D 진단 데이터, 상기 포밍 데이터, 상기 맵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데이터를 수정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이력 관리를 위해 사용자별로 상기 3D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16. 촬영 수단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 수집 수단에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복수 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대응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피부 특성에 관한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에 상기 진단 데이터를 적용하여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 또는 상기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 베이스를 절개하기 위한 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에 상기 진단 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마스크 팩 제조 수단에서 상기 포밍 데이터 및 상기 맵핑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마스크 팩 베이스를 포밍하고,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맞춤형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평면 프레임 이미지 상에서의 기준점의 위치 및 기준점의 위치에 대한 상기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D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3D 모델에서의 기준점의 위치와 상기 진단 데이터에서의 기준점의 위치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기준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피부 특성의 상대 위치를 상기 3D 모델에 적용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와 상기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는 서로 동일한 것이 사용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 생성 및 상기 진단 데이터 생성을 위해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미지는, 기준점이 3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3D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부 특성 중 입체적인 요철 형태인 피부 특성과 색상 변화를 수반하는 피부 특성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상기 3D 모델에 표현되는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
KR1020170043037A 2017-04-03 2017-04-03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92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37A KR101923420B1 (ko) 2017-04-03 2017-04-03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N201880034553.5A CN110678104B (zh) 2017-04-03 2018-04-03 匹配型面膜制造系统及制造方法
PCT/KR2018/003936 WO2018186666A1 (ko) 2017-04-03 2018-04-03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37A KR101923420B1 (ko) 2017-04-03 2017-04-03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313A true KR20180112313A (ko) 2018-10-12
KR101923420B1 KR101923420B1 (ko) 2019-02-27

Family

ID=6371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37A KR101923420B1 (ko) 2017-04-03 2017-04-03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23420B1 (ko)
CN (1) CN110678104B (ko)
WO (1) WO201818666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69A (ko) 2019-01-24 2020-08-03 김송현 센서 네트워크와 mes 기반 레고식 페이셜 마스크팩 자동화 시스템
WO2021172966A1 (ko) * 2020-02-28 2021-09-02 박행운 피부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4096555A1 (ko) * 2022-11-04 2024-05-10 주식회사 피부다움 사용자 맞춤형 홈 뷰티 마스크팩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760A (ko) * 2018-12-18 2021-08-25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개인맞춤형 국소 적용 패치
CN114468984A (zh) * 2020-10-27 2022-05-13 上海美宝帝国际贸易有限公司 制备面膜及诊断皮肤类型的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469752A (zh) * 2020-10-27 2022-05-13 上海美宝帝国际贸易有限公司 制造面膜的面膜生产设备
WO2023160616A1 (en) * 2022-02-25 2023-08-31 Basf Se A hydrogel composition for preparing customized mask pack
CN117474923B (zh) * 2023-12-27 2024-03-19 苏州镁伽科技有限公司 膜片图像的处理方法和膜片缺陷检测方法及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96B1 (ko) 2011-08-29 2012-04-13 양성식 마스크 팩 제조 및 포장시스템
KR20130022041A (ko) * 2011-08-24 2013-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부 다해상도 3차원 얼굴 고유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얼굴 피부 관리 시스템
KR20140028415A (ko) * 2012-08-29 2014-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부분석을 위한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85089A (ja) * 2013-03-22 2014-10-02 Panasonic Corp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プログラム
KR101556078B1 (ko) * 2015-03-17 2015-09-25 이지숙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휴대용단말기가 구비된 마스크팩 제조장치
KR20160111718A (ko) 2015-03-17 2016-09-27 강길성 맞춤형 마스크팩의 마사지액 함침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마사지액 튜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1536B2 (ja) * 2013-02-01 2016-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プログラム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CN104077804B (zh) * 2014-06-09 2017-03-01 广州嘉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帧视频图像构建三维人脸模型的方法
CN204542924U (zh) * 2015-04-10 2015-08-12 崔江旭 功能性面膜
CN104872981B (zh) * 2015-05-19 2018-06-01 上海中医药大学附属岳阳中西医结合医院 一种私人订制面膜的方法
CN105055182A (zh) * 2015-09-01 2015-11-18 河北润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制作护理膜的方法
CN105796373B (zh) * 2015-11-11 2018-10-12 佛山轻子精密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面膜制作系统
CN105596222A (zh) * 2016-01-25 2016-05-25 广东工业大学 一种精准修复与护理面膜的制备方法
CN106504285A (zh) * 2016-11-09 2017-03-15 湖南御泥坊化妆品有限公司 贴片式面膜模板构建方法与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041A (ko) * 2011-08-24 2013-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부 다해상도 3차원 얼굴 고유 모델 생성 장치, 방법 및 얼굴 피부 관리 시스템
KR101134096B1 (ko) 2011-08-29 2012-04-13 양성식 마스크 팩 제조 및 포장시스템
KR20140028415A (ko) * 2012-08-29 2014-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부분석을 위한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85089A (ja) * 2013-03-22 2014-10-02 Panasonic Corp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プログラム
KR101556078B1 (ko) * 2015-03-17 2015-09-25 이지숙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휴대용단말기가 구비된 마스크팩 제조장치
KR20160111718A (ko) 2015-03-17 2016-09-27 강길성 맞춤형 마스크팩의 마사지액 함침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마사지액 튜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69A (ko) 2019-01-24 2020-08-03 김송현 센서 네트워크와 mes 기반 레고식 페이셜 마스크팩 자동화 시스템
WO2021172966A1 (ko) * 2020-02-28 2021-09-02 박행운 피부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4096555A1 (ko) * 2022-11-04 2024-05-10 주식회사 피부다움 사용자 맞춤형 홈 뷰티 마스크팩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78104A (zh) 2020-01-10
CN110678104B (zh) 2022-08-30
WO2018186666A1 (ko) 2018-10-11
KR101923420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420B1 (ko)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US20220288372A1 (en) Robotic tattooing systems and related technologies
CN111344124B (zh) 用于使用混合现实进行对象修改的系统和方法
US109455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571698B2 (en) Simple techniques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US20150217465A1 (en) User interface and modeling techniques for automated hair cutting system
CN108875485A (zh) 一种底图录入方法、装置及系统
KR101793468B1 (ko) Ar을 이용한 셀프 뷰티앱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US11928766B2 (en) Personalized stylized avatars
US20140043328A1 (en) Reference Object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US20190371059A1 (en) Method for creat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presentation of a person
CN102810214B (zh) 一种在线定制服装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649617B1 (ko) 자동화된 쇼핑 어시스턴트를 사용하는 개인화된 쇼핑을 위한 시스템, 플랫폼 및 방법
KR20170143164A (ko) 3d 얼굴 모델링을 통한 피부 분석 진단 시스템
CN108466265A (zh) 机械手臂路径规划与作业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KR102506352B1 (ko) 전자상거래를 위한 3d 인체 측정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윈 아바타 제공 시스템
KR101951235B1 (ko) 맞춤형 피부 미용 팩, 맞춤형 피부 미용 팩 패키지 및 맞춤형 피부 미용 팩 제조 시스템
KR102136137B1 (ko) 맞춤형 led 마스크 팩의 제조 장치
JP2001012922A (ja) 3次元データ処理装置
KR20110101106A (ko) 개인별 맞춤형 인조손톱 제작공급 서비스 시스템
JP745962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053706A (ja) 身体情報分析装置および顔形診断方法
EP3568835A1 (en) A system for manufacturing personalized products by means of additive manufacturing doing an image-based recognition using electronic devices with a single camera
US20230005229A1 (en) Generation of digital 3d models of body surfaces with automatic feature identification
WO20231877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neurophysiological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