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72A - 식재용 매설관 - Google Patents

식재용 매설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72A
KR20180112272A KR1020170042949A KR20170042949A KR20180112272A KR 20180112272 A KR20180112272 A KR 20180112272A KR 1020170042949 A KR1020170042949 A KR 1020170042949A KR 20170042949 A KR20170042949 A KR 20170042949A KR 20180112272 A KR20180112272 A KR 20180112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tree
plan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득
Original Assignee
문인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득 filed Critical 문인득
Priority to KR102017004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272A/ko
Publication of KR2018011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으로써,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을 상호 연통 결합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과 연통되어 있는 배출관과; 상기 결합관과 연통되어 있는 유입관과; 상기 유공관의 외벽을 따라 체결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어 수목의 직립을 도모하는 지주대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관 또는 유입관을 통해, 수목 뿌리 및 토양에 수분, 공기 또는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더욱이, 매설된 유공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수목의 직립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결합관 혹은 유공관의 저면에 수분이 저수될 수 있어, 저수된 수분은 토양의 건조도에 따라 증발하면서, 토양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재용 매설관{Buried pipe line for planting}
본 발명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으로서, 순환공이 다수 천공 되어있는 유공관을 수목의 뿌리 인근에 매설하여 공기, 수분 또는 영양분을 수목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원 조성 시에는 기후조건 및 토질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토양은 수목뿌리에 수분 및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토양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기능을 하는 모체이다. 토양이 상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목 뿌리 주변 토양에 공기의 통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한다. 즉, 토양의 통풍성에 따라 수목 뿌리의 영양분 및 수분의 흡수율이 가변 할 수 있으며 이는 수목신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토양의 통기가 차단되면, 산소부족으로 수목의 호흡작용이 제한되고, 토양이 환원상태로 변질되어, 다양한 토양 및 뿌리에 유해물질이 축적되어 뿌리의 생육을 저해시킬 수 있다.
상기 토양에 공기의 통풍을 개선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10-2002-0054060호 배수 및 관수기둥을 설치하는 수목 식재공법에서는 수목 식재 시 다수의 유공관 기둥을 수목 뿌리 주변에 설치하고 상기 유공관에 인공토 또는 수분을 넣거나 통풍을 시켜 공기, 수분 또는 영양분의 부족 시 영양분 보충, 수분 또는 공기 공급을 원할하게 하는 수목 식재공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의 유공관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 시 산소의 원활한 공급이 제한되며, 우천 시 침수되어 수목 뿌리가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유공관의 측면 또는 상면에 일정배열의 순환공이 다수 천공되어 있으며, 배출관 및 유입관이 유공관과 연통되어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유입관 또는 배출관에 공기, 영양분 또는 수분을 투입하고 이는 유공관의 순환공을 통해 수목뿌리에 공급하거나 수목뿌리 토양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유공관에 체결되어 있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수목의 직립을 지지할 수 있는 지주대를 구비하고 있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으로써, 수목의 뿌리 주변에 매설되어 공기, 수분 또는 영양분이 수목뿌리를 통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식재용 매설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목의 직립을 지지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관 또는 유공관의 일정 수위의 수분을 저수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목의 뿌리 주변에 매설될 수 있으며 일정배열의 순환공이 측면 혹은 상면에 다수 천공되어 있는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을 결합할 수 있으며, 유공관과 연통될 수 있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과 연통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출관 또는 유입관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관 또는 유입관을 통해 공기, 수분 또는 영양분이 공급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공관에 체결될 수 있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어, 수목의 직립을 지지할 수 있는 지주대로; 구성된 식재용 매설관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공관 측면 혹은 상면에 순환공이 천공되어 있어, 수분이 유공관 내부공간부의 저면에 저수되거나, 혹은 결합관에 저수부가 형성되어 있어, 저수분에 일정 수위의 수분이 저수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으로서,
유공관, 결합관, 배출관 또는 유입관은 상호 연통되어 있어, 공기, 수분 또는 영양분을 배출관 또는 유입관을 통해 수목의 뿌리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더욱이, 매설된 유공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수목의 직립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결합관 혹은 유공관의 저면에 수분이 저수될 수 있어, 저수된 수분은 토양의 건조도에 따라 유공관의 상면 또는 측면의 순환공을 통해 증발하면서, 토양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매설 사시도이다.
도 2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매설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원형 사시도이다.
도 6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는 식재용 매설관의 결합관에 대한 세부실시단면도이다.
도 8은 식재용 매설관의 유공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으로써,
크게, 유공관(10)과; 상기 유공관(10)을 상호 연통 결합하는 결합관(20)과; 상기 결합관(20)과 연통되어 있는 배출관(21)과; 상기 결합관(20)과 연통되어 있는 유입관(22)과; 상기 유공관(10)의 외벽을 따라 체결되는 클램프(30)와; 상기 클램프(30)와 결합되어 수목(40)의 직립을 도모하는 지주대(33)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관(21) 또는 유입관(22)을 통해, 수목(40) 뿌리 및 토양에 수분, 공기 또는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식재용 매설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공관(10)은 그 측면 또는 상면에 일정 배열로 다수 천공된 순환공(12)과; 그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관(20)은 유공관(10)을 상호 연통 결합할 수 있도록 유공관(10)과 그 직경이 동일한 삽결부(23)와; 결합관(20)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수부(20a)와; 결합관(20) 상면을 통해 연통 설치된 배출관(21)과; 결합관(20) 상면을 통해 연통 설치되어 있으며, 지면토양, 쥐 또는 뱀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22a)를 구비한 유입관(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30)는 유공관(10)의 외벽을 따라 고정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31)와; 상기 체결부(31)와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 지주대(33)가 고정 결합되어 수목(40)직립을 도모할 수 있는 고정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 예로는,
수목(40) 뿌리 주면에 결합관(20)으로 상호 연통 결합되어 있는 유공관(10), 배출관(21) 및 유입관(22)을 매설할 수 있다. 매설된 유공관(10)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순환공(12)이 천공되어 있어, 배출관(21) 및 유입관(22)을 통해, 수목(40)뿌리 및 수목(40)뿌리 주변 토양에 수분, 공기 또는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토양의 과다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유입관(22) 또는 배출관(21)을 통해 유공관(10)에 수분을 공급할 때, 수분의 일부는 결합관(20) 저면의 저수부(20a)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수분은 토양의 건조도에 따라 증발하면서, 토양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합관(20) 저수부(20a)의 수분이 유공관(1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유공관(10) 일단에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어, 도 5와 같이, 결합관(20)의 저수 용량을 향상시켰다. 즉, 수분, 영양분 및 공기는 유공관(10)의 순환공(12)을 통하여, 토양 및 수목 뿌리에 전달 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0)가 유공관(10)에 결합하는 방법은 기존의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그 유추가 용이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또한, 유공관은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8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목 뿌리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요성 재질의 주름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유공관
11: 내부공간부
12: 순환공
13: 걸림턱
20: 결합관
20a: 저수부
21: 배출관
22: 유입관:
22a: 커버
23: 삽결구
30: 클램프
31: 체결부
32: 고정부
33: 지주대
40: 수목
50: 지면

Claims (7)

  1. 식재용 매설관에 있어서,
    상면 또는 측면에 일정배열의 순환공이 다수 천공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을 상호 연통 결합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과 연통되어 있는 배출관 또는 상기 결합관과 연통되어 있는 유입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2. 제 1항에 있어서,
    유공관의 외벽을 따라 체결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와 결합되어 수목의 직립을 도모하는 지주대를; 더 포함하여, 수목의 직립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3. 제 1항에 있어서,
    결합관은 그 저면에 형성된 저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4. 제 1항에 있어서,
    유공관은 그 일단에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5. 제 1항에 있어서,
    결합관은 그 일단에 유공관이 삽결될 수 있는 삽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6. 제 1항에 있어서,
    유입관은 지면토양, 쥐 또는 뱀 등의 작은 동물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7. 제 1항에 있어서,
    유공관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매설관.
KR1020170042949A 2017-04-03 2017-04-03 식재용 매설관 KR20180112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9A KR20180112272A (ko) 2017-04-03 2017-04-03 식재용 매설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9A KR20180112272A (ko) 2017-04-03 2017-04-03 식재용 매설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72A true KR20180112272A (ko) 2018-10-12

Family

ID=6387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49A KR20180112272A (ko) 2017-04-03 2017-04-03 식재용 매설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2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81B1 (ko) * 2019-10-14 2020-06-0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관수 기능을 갖는 가로수 보호판
KR20220039098A (ko) * 2020-09-21 2022-03-29 어스그린코리아(주) 수목 생육을 위한 빗물저류와 IoT 융합 비점 오염 제거형 급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75525A (ko) * 2020-11-30 2022-06-08 조경주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CN115885786A (zh) * 2022-11-30 2023-04-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雨养旱地春玉米防衰增产地膜覆盖种植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81B1 (ko) * 2019-10-14 2020-06-0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관수 기능을 갖는 가로수 보호판
KR20220039098A (ko) * 2020-09-21 2022-03-29 어스그린코리아(주) 수목 생육을 위한 빗물저류와 IoT 융합 비점 오염 제거형 급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75525A (ko) * 2020-11-30 2022-06-08 조경주 고설재배장치에 매설되는 유공관장치
CN115885786A (zh) * 2022-11-30 2023-04-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雨养旱地春玉米防衰增产地膜覆盖种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2272A (ko) 식재용 매설관
JP6675388B2 (ja) モジュール式容器及びモジュール式注水システム
US20150282444A1 (en) Hydroponic flood table
US20170359964A1 (en) Base tray for a planter
US20210015056A1 (en) Aeration and Irrigation Apparatus for Plants and Seeds
US8347552B1 (en) Potted plant pot and saucer construction
KR20110004305U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CN104115692A (zh) 蓄排水种植槽
KR101473152B1 (ko) 식생용 백
KR20140004090U (ko) 식재 보조 장치
US7707770B2 (en) Watering device
JP2018166407A (ja) 田畑転換方法および灌漑排水システム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CN207653132U (zh) 育苗床
JP3182017U (ja) 環境保護媒質栽培槽
CN113016475A (zh) 一种土壤水分饱和区域树木栽植方法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RU666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почвенного полива комнатных растений
CN220255183U (zh) 自动维持良好生长条件的植栽容器
CN212184354U (zh) 一种园林绿化生态架
CN108934658A (zh) 一种用于喀斯特地区的集水覆膜装置
TWM481590U (zh) 可串聯式自動灌排植栽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