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71A -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71A
KR20180112271A KR1020170042945A KR20170042945A KR20180112271A KR 20180112271 A KR20180112271 A KR 20180112271A KR 1020170042945 A KR1020170042945 A KR 1020170042945A KR 20170042945 A KR20170042945 A KR 20170042945A KR 20180112271 A KR20180112271 A KR 2018011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disaster
test
experienc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충길
문수원
Original Assignee
고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충길 filed Critical 고충길
Priority to KR102017004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271A/en
Publication of KR2018011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ing and educating system to experience a phenomenon by using virtual reality when a life accident such as a fire or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and also to easily learn how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when the natural disaster or the life accident occurs. The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ing and educating system includes: a safety experience hall (10) for allowing a user to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using the video of a virtual reality; a VR test hall which produces a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d in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by using the video of a virtual reality and testes each survivor in order to overcome disasters or to escape safely through a proper selection in various situations where disasters occur.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시스템{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지진 등의 자연재해 또는 화재를 비롯한 생활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연재해나 생활안전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하는 방법을 쉽게 익일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experience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a fire or a fire occurs by using a virtual reality in advance, and when a natural disaster or a life safety accident occurs, it responds to various situa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우리나라의 경우 환태평양 조산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진안전지대로 여겨져 왔으나, 우리나라에도 다수의 활성단층이 존재하고 그로 인해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지진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Korea has been regarded as an earthquake-safe area that is not affected by the Pacific Rim and the Pacific Rim.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active faults in Korea and it is confirmed that earthquakes can occur, interest in earthquakes is increasing.

또, 사람들은 상기한 지진 이외에도 태풍이나 쓰나미(지진해일), 파랑, 홍수, 산사태 등 다양한 자연재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를 입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earthquakes, people can be exposed to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tsunamis (tsunami), waves, floods, and landslides.

또한, 사람들은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교통 사고 등의 다양한 안전사고를 겪을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도 추락 등 다양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people can suffer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gas accidents, fire accidents, electric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특히, 최근에는 자연재해나 사회적 재난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생활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람들이 당황하게 되면 대처하기가 쉽지 않으며, 정확하게 대처한다면 작은 피해로 막을 수도 있는 자연재해나 안전사고에서 잘못된 대처로 인해 큰 피해를 입기도 한다. 즉, 자연재해나 안전사고에 따른 충격이 사람들을 당황케 함으로써, 정상적인 대처를 할 수 없게 만들고, 그로 인해 피해가 커지는 것이다.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risks of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are increasing,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are increasing. If such natural disasters or safety accidents happen, it is not easy to cope with people's disorientation, and if you deal with it correctly, it can cause serious damage due to natural disasters that may be prevented by small damages or wrong actions in safety accidents. In other words, shock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or safety accidents cause people to be embarrassed, making it impossible for them to cope with normal actions, and causing damage to them.

이와 관련하여, 사람들이 미리 자연재해나 안전사고 등의 재난을 미리 체험하게 되면, 재난에 따른 충격에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함으로써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재현하는 다양한 지진체험장치가 개발되어,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this regard, if people experience a disaster such as a natural disaster or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by coping with the shock caused by the disaster. Accordingly, a variety of seismic experienc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reproduce the shaking motion of the building when an earthquake occurs, so that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situation when an earthquake occurs.

그리고,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교통 사고 등의 안전사고나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추락 사고 등의 재해에 대해서도, 이들 생활 안전사고나 산업재해에 대한 사전 대비를 위한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for safety accidents such as gas accidents, fire accidents, electric accidents, traffic accidents, and accidents such as falling accidents occurring in industrial sites,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these life safety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Is emerging.

하지만, 태풍, 호우, 지진, 해일, 낙뢰, 토사붕괴 등 다양한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사고의 유형에 맞게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거의 없는 실정이며, 생활 안전사고나 산업재해를 모두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으며, 특정 재난사고를 선택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설 역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However, there are very few facilities that can be adapted to the type of disaster caused by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heavy rain, earthquake, tsunami, lightning strike, and landslide collapse, and there are facilities that can experience all life safety accidents and industrial disasters Has not yet been developed, and there is a very limited facility for selectively experiencing specific disaster accidents.

더욱이, 기존의 안전체험시설들은 대부분 각종 자연재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 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뿐, 재해 또는 재난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이 없거나 별도의 강의실에서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하도록 하고 있어 교육 효과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existing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are mostly designed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natural disasters, life safety accidents, industrial accidents, etc., but there is no training course to cope with disasters or disasters properly or in a separate classroom And the education effect is not high.

한편, 재해나 재난 발생시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상황에 맞게 정확하게 대처하는 것인데, 각 상황의 대응 방법을 반복 훈련함으로써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모건 스탠리사의 안전요원인 릭 레스콜라는 " 재난이 닥쳤을 때 인간의 뇌를 움직이는 최상의 방법은 똑같은 훈련을 반복하는 것뿐이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모건 스탠리사에서는 재난 발생에 따른 대피훈련을 반복함으로써 테러로 인해 대형 빌딩이 붕괴될 때 소수의 피해자를 제외하고 대부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었으며, 이 일화는 반복훈련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st way to deal with a disaster or a disaster i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situation. In this regard, Rick Rescorra, a security officer at Morgan Stanley in the United States, has argued that "the best way to move a human brain when a disaster strikes is to repeat the same training." Morgan Stanley was able to evacuate most of the buildings except for a few victims when terrorist attacks collapsed due to terrorism by repeating disaster evacuations,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repetitive training.

다시 말해서, 각종 자연재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 등의 재난을 미리 체험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상황에 맞게 대처하는 방법을 반복 교육함으로써, 재난 발생시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be able to cope with disasters such as various natural disasters, life safety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in advance to cope without any embarrassment in case of accidents, have.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에서 지진 체험과 관련한 몇 개의 특허문헌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patent documents have been searched, and a few patent literature related to the earthquake experience will be introduced as follows.

특허문헌 1은, 단순한 구성수단에 의해서도 지진발생시 흔들림이나 요동에 의한 연출이 무난한 실내주방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콘테이너 철구조물로 된 체험부스내에 입실한 체험자들에게 전신으로 지진발생에 따른 흔들림이나 요동을 체감하도록 하며, 방진스프링상에 안착하고 진동모터와 장착한 체험부스체와 그 하방에 중간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이 상호 길이방향의 축방향으로 조립된 틸팅로드를 기준으로 S파동의 체감과 동시에 P파의 체감을 위한 중간프레임상에 마련된 LM가이드모듈시스템에 의하여,P파와,S파, 복합파인 L파와 같은 복합적인 지진파동효과의 보다 다이나믹한 지진체험학습을 제공하도록 하는, 지진체험학습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a vibration or shaking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n a living body in an experience booth made of a container steel structure displayed like an indoor kitchen with a simple construction by a shaking or rocking motion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a tilting rod that is mounted on a vibration-proof spring and mounted on a vibration motor and a tilting rod in which an intermediate frame and a lower frame are assembl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low the tilting rod, An earthquake experiential learning device that provides more dynamic earthquake experience learning of a complex earthquake wave effect such as P wave, S wave, and complex fine L wave by an LM guide module system provided on an intermediate frame for bodily sensation .

특허문헌 2는, 베이스의 상부에 X축으로 진동되는 X축 진동플레이트와 Y축으로 진동되는 Y축 진동플레이트 및 상하로 진동되는 상하 진동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Y축과 X축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으므로, 좌우측 방향으로만 진동되던 종래의 지진체험장치에 비해, 더욱 다양한 패턴의 지진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지진체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an X-axis vibration plate oscillated in the X-axis, a Y-axis vibration plate oscillated in the Y-axis, and a vertical vibration plate oscil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earthquake experienc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reproducing an earthquake of a wider variety of patterns than a conventional earthquake-experienced apparatus that has been vibrated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특허문헌 3은, 수평방향 작동부와 수직방향 작동부에 의해 체험패널이 모의 지진파를 연출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모듈; 상기 구동모듈과 조립되어, 체험패널을 확장하는 확장체험패널과, 작동부와 연계되어 확장체험패널이 모의 지진파를 연출하도록 안내하는 이송부가 구비되는 확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모듈과 확장모듈이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구비되어 휴대성이 좋고, 수평방향 작동부와 수직방향 작동부에 의해 360° 전방향에 대해서 수평, 수직 가진을 정밀하게 연출함과 아울러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높이방향 사이즈가 축소되어 실내와 같이 천장이 낮은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용이한, 지진체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Patent Literature 3 discloses a driving module in which an experience panel is provided by a horizontal direction actuating por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ctuating portion so as to produce a simulated seismic wave; And an expansion module including an expansion experience panel that is assembled with the drive module to expand the experience panel and a transfer unit that is linked with the operation unit to guide the extension experience panel to produce a simulated seismic wave. The module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has good portability. Horizontal and vertical motions are precisely directed 360 ° in all directions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ctuators. In addition, due to its compact structure, And is easy to install even in a narrow space with a low ceiling as in a room.

KRKR 10-092062710-0920627 B1B1 KRKR 10-106975510-1069755 B1B1 KRKR 10-159095510-1590955 B1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자연재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를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재난시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재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 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재난 현장으로부터 도피하거나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system capable of realizing various natural disasters, It provides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quickly escape from the disaster site and cope appropriately in the event of a natural disaster, a life safety accident, or an industrial accident by educating the appropriate coping methods to occur.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체험관과;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체험관에서 체험한 재난상황을 연출하고 재난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각 체험자가 올바른 선택을 통해 재난을 극복하거나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테스트하는 VR 테스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game system including a safety experience hall for experiencing a disaster situation using a moving picture of a virtual reality; VR Test Pavilion that uses the video of virtual reality to direct the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d in the safety experience hall and to test each experient in various situations during disasters in order to overcome disaster or to escape safely through the right choice .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안전체험관은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와, 상기 체험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생성된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과, 상기 체험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experience hall includes an evaluation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can stand up, one or more projection apparatuses for expressing a situation occurring in a disaster as a virtual reality video, A display structure arranged to surround a trial board and displaying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generat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a display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ial board and configured to move the trial board in six axia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a disaster situation;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VR 테스트관은 하나의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체험자가 각각 고글을 착용한 상태로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test tube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visitors can simultaneously test a moving image of a single virtual reality while worn goggles .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VR 테스트관은 가상현실과 체험자가 인터렉티브하게 동기화되어 체험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전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test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rtual reality is interactively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ing person so that the moving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xperience person.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VR 테스트관에서 체험자가 동기화된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어 체험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in which an experient is synchronized in the VR test tube is stored as a separate file to be provided to the experiencer.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VR 테스트관은 각 에피소드에서 체험자가 정확한 선택을 한 경우에만 다음 에피소드를 진행하고 체험자의 선택이 잘못된 경우에는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게임 형태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test center proceeds the next episode only when the experient makes an accurate selection in each episode, and if the selection of the experient is wrong, Of the test data.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안전과 관련한 이론 교육과 실습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강의관, 재난상황에 대한 VR 콘텐츠를 관람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재난 콘텐츠 관람관 및 방사능 사고 발생에 따른 대처 요령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사능 교육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purpose lecture hall for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e related to safety, a disaster content viewing hall for watching VR contents for disaster situations, And one or more of the radiation education units capable of receiving training on coping tips in the event of a radiation accident.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은 안전체험관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동영상과 체험판의 진동을 통해 지진 상황을 비롯한 각종 재난상황을 실감나게 체험한 후, VR 테스트관에서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대한 대응 요령을 테스트하도록 함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정확하게 대응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including the earthquake situation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video and the trial version using the virtual reality in the safety experience hall, By testing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respond accurately and safely evacuate without disaster in a disaster situation.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안전체험관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표출하게 되므로, 거실이나 사무실 등을 세트화하여 체험실을 꾸밀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진동에 의해 부서지지 않게 되어 높은 진도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상황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 상황을 현실감 있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자연재해는 물론 생활안전사고와 같은 각종 재난에 대한 체험 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isaster situation is expressed using a video using a virtual reality in a safety experience hall, there is no need to set up a living room or an office, It is also possible to show the situation when a high-intensity earthquake occurs because it is inexpensive and can not be broken by vibration It is possible to represent various disaster situations occurring in various places in a realistic manner, so that the effect of experiencing various disasters such as a natural disaster as well as a life safety accident is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VR 테스트관에서 가상현실과 체험자의 인터렉티브한 동기화를 통해 체험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변화되도록 하므로, 현실감 있는 테스트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rtual reality video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xperiential person through the interactive synchroniz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nd the experient in the VR test tube, .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체험자가 동기화된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여 체험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체험자가 제공된 동영상 파일을 통해 테스트 내용을 숙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 can be stored as a separate file and provided to the experient, the experient can know the test contents through the provided video fi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VR 테스트관에서 게임 형식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에서의 에피소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체험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테스트 참여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an episode in a disaster situation by using a game format in a VR test tube, .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따르면, 추가 설치된 다목적 강의관이나 재난 콘텐츠 관람관 및 방사능 교육관을 이용하여 다양한 재난 상황과 안전 교육을 수행할 수 있어, 체험자들의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disaster situations and safety education by using a multipurpose lecture hall, a disaster content viewing hall, and a radiation education hall, The coping ability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안전체험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지진 상황에 대한 테스트를 위한 시나리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지진 상황에서의 선택에 따른 테스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지진 상황에서의 테스트 화면을 나타낸 참고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afety experience hall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cenario for testing for an earthquake situa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test procedure according to selection in an earthquake situation;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test screen in an earthquake situ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체험관(10)과;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체험관(10)에서 체험한 재난상황을 연출하고 재난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각 체험자가 올바른 선택을 통해 재난을 극복하거나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테스트하는 VR 테스트관(20)과; 안전과 관련한 이론 교육과 실습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강의관(30)과; 재난상황에 대한 VR 콘텐츠를 관람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재난 콘텐츠 관람관(40); 및 방사능 사고 발생에 따른 대처 요령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사능 교육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fety experience hall 10 for allowing a user to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using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A VR test facility that uses a virtual reality video to produce a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d at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and to test each experient in order to overcome a disaster or to escape safely through a proper selection i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during a disaster (20); A multi-purpose lecture hall (30) capable of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on safety; A disaster content viewing center 40 for viewing and training VR contents on a disaster situation; And a radiation education center (50) capable of receiving education on coping tips in the event of a radiation accident.

상기 안전체험관(10)은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11)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15)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12)와, 상기 체험판(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12)에 의해 생성된 가상현실의 동영상(15)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3)과, 상기 체험판(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11)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14)를 포함한다.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includes an evaluation board 11 on which a plurality of persons can be brought up, one or more projection apparatuses 12 for expressing a situation occurr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moving image 15 of a virtual reality, A display structure 13 arranged to surround the test board 11 and displaying a moving image 15 of the virtual reality generat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12 and a display structure 13 installed below the test board 11, And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s 14 for moving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11 in six axial directions.

상기 영사장치(12)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의 영상 또는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는 생활 안전사고의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음향시설을 포함하고 있다The projection apparatus 12 displays a video of a natural disaster including an earthquake, a tsunami, a typhoon, and blue, or a video of a life safety accident including a gas accident, a fire accident, an electric accident, and a traffic accident as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 And sound facilities to make them feel realistic

그리고, 상기 VR 테스트관(20)은 하나의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체험자가 각각 고글을 착용한 상태로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상현실과 체험자가 인터렉티브하게 동기화되어 체험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 체험자가 동기화된 가상현실의 영상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어 체험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R test tube 20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experients can watch a virtual reality video simultaneously while goggles are worn, and the virtual reality is interactively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 person, So that the moving picture of the virtual reality is switch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R test tube 20 stores the images of the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ynchronized in a separate file to be provided to the experiencer.

한편, 상기 VR 테스트관(20)은 각 에피소드에서 체험자가 정확한 선택을 한 경우에만 다음 에피소드를 진행하고 체험자의 선택이 잘못된 경우에는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게임 형태의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eantime, the VR test tube 20 preferably performs a game type test so that the next episode proceeds only when the experient makes an accurate selection in each episode, and the test is terminated if the experiential selection is wro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각종 자연재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를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종 재해 발생시의 여러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통해 적절한 대처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ealizes various natural disasters, life safety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by using virtual reality, and realizes scenarios of various situations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various disasters So that appropriate countermeasures can be found.

안전체험관(10)에서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3)에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15)을 통해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사고와 같은 각종 생활안전 사고 및 산업재해를 체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글을 착용한 체험자가 체험판(11) 위에 올라가도록 한 후, 영사장치(12)와 3차원 구동장치(14)를 작동시킴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사고 등의 생활안전 재난에 대한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allows users to experience various life safety accidents such as earthquakes and fire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the video 15 of the virtual reality displayed on the display structure 13. [ Specifically, after the experiential wearer wearing the goggles climbs up on the trial board 11, the projection device 12 and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14 are operated so as to prevent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a fire safety accident Let the experience take place.

그리고, VR 테스트관(20)에서는 고글을 통해 나타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체험관(10)에서 체험한 재난상황을 연출하고 재난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체험자가 극복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게 된다. 즉, 각 체험자가 판단을 통해 직면한 재난상황을 극복하거나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선택을 하는지 테스트함으로써, 추후 동일 또는 유사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n, the VR test tube 20 uses the virtual reality video that appears through the goggles to direct the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d in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and to check whether the experienced person can overcome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during the disaster Test. That is, each experient can test whether he or she is able to overcome the disaster situation faced by the judgment or to make a choice to escape safely, so that he or she can cope correctly in the same or similar situations without confusion.

또, 다목적 강의관(30)은 다수의 체험자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수행함과 아울러 소화기 사용법, 심장 제세동기 사용법 및 심폐소생술 등의 소방안전교육의 이론 교육과 그 실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재난 콘텐츠 관람관(40)은 자연재해나, 화재 등의 각종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와 같은 재난 상황에 대한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VR 콘텐츠를 관람하고, 재난 상황과 관련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다. 그리고, 방사능 교육관(50)은 원전 사고나 방사능 누출 등 방사능과 관련한 사고에 대한 각종 대처 요령을 교육받을 수 있는 공간이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lecture hall (30) is a space in which the orientation of many experienced users is performed, the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e of fire safety education such as the use of fire extinguisher, cardiac defibrillator usage and CPR are performed, 40) is a space where visitors can watch VR contents composed of virtual reality videos about disaster situations such as natural disasters, fire safety, and industrial accidents, and receive education related to disaster situations. In addition, the Radiation Education Center (50) is a space where various kinds of coping techniques for radiation-related accidents such as nuclear accident or radiation leakage can be educated.

이에 따라 체험자들은 상기 다목적 강의관(30)과 재난 콘텐츠 관람관(40), 방사능 교육관(50), 안전체험관(10)의 순서로 체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체험관(10)에서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하여 체험한 후에는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 해당 재난에 따른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experience person can perform the experience in the order of the multi-purpose steel pipe 30, the disaster content viewing pipe 40, the radiation education pipe 50, and the safety experience pipe 10, After experiencing the situation, the VR test center 20 can test the ability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due to the disaster.

즉, 체험자들이 입소하면, 다목적 강의관(30)에서 오리엔테이션과 시설에 대한 소개를 마친 후, 체험자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세 명의 인솔자가 각 그룹을 인솔하게 한다. 이때, 제1그룹이 재난 콘텐츠 관람관(40)과 방사능 교육관(50)을 차례로 체험하는 동안 제2그룹과 제3그룹은 상기 다목적 강의관(30)을 두 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소방안전교육을 수행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participants ent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orientation and facilities at the multi-purpose lecture hall (30), th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ree leaders lead each group. At this time, while the first group experiences the disaster content viewing hall 40 and the radiation education hall 50 in turn,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divides the multi-purpose river tube 30 into two sections, .

대략 15~20분이 경과하면, 제2그룹이 재난 콘텐츠 관람관(40)으로 이동하여 체험을 시작하고 제1그룹은 안전체험관(10)에서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한 체험을 한 후 VR 테스트관(20)으로 이동하여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테스트한다. 남아 있는 제3그룹은 상기 다목적 강의관(30) 내에서 나머지 소방안전교육을 수행한다. After about 15 to 20 minutes have elapsed, the second group is moved to the disaster content viewing hall 40 to start the experience, and the first group experiences th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at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 To test the ability to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The remaining third group performs the remaining fire safety training in the multi-purpose steel pipe 30.

다시 15~20분이 경과하면, 제3그룹이 재난 콘텐츠 관람관(40)으로 이동하여 체험을 시작하고 제2그룹은 안전체험관(10)에서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한 체험을 한 후 VR 테스트관(20)으로 이동하여 재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을 테스트하며, 제1그룹은 상기 다목적 강의관(30)으로 이동하여 소방안전교육을 수행한다.After another 15 to 20 minutes have elapsed, the third group is moved to the disaster content viewing center 40 to start the experience. The second group experiences th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at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10, and then the VR test center 20 ) To test their ability to deal with the disaster situation, and the first group moves to the multi-purpose lecture hall (30) to conduct fire safety education.

이와 같이, 체험자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로테이션 방식으로 체험하도록 함에 따라 체험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각 체험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us, by dividing the experimenters into three groups and experiencing them in a rotation manner, the time required for the experience can be greatly shortened and the size of each experience hall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는 하나의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체험자가 각각 고글을 착용한 상태로 동시에 테스트한다. 이때, 동영상으로 나타나는 가상현실과 체험자가 인터렉티브하게 동기화되어, 체험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전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 체험자가 동기화된 가상현실의 동영상은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어 체험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는 각 에피소드에서 체험자가 정확한 선택을 한 경우에만 다음 에피소드를 진행하고 체험자의 선택이 잘못된 경우에는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게임 형태의 테스트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VR test tube 20, a plurality of experients test one virtual reality video while wearing their goggles. At this time, the experient is synchronized interactively with the virtual reality appearing as a moving picture, so that the moving picture of the virtual reality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experient. In the VR test tube 20, the moving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ynchronized is stored as a separate file to be provided to the experiencer. In the VR test tube 20, a game type test is performed so that the next episode proceeds only when the experient makes an accurate selection in each episode, and the test is terminated if the experient's selection is wrong.

예를 들면, 지진 상황에 대한 테스트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 발생과 같은 재난 상황을 알리는 도입 단계를 거쳐, 지진 상황을 연출하는 전계 단계와,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대한 미션을 수행하는 하이라이트 단계와, 안전하게 대피를 완료하는 엔딩 단계로 이루어진 테스트 게임 시나리오를 이용한다.For example, at the time of testing for an earthquake condition, as shown in Fig. 3, there are provided an electric field stage for producing an earthquake situation through an introduction step for informing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n earthquake occurrence, And an ending stage to safely complete the evacuation.

도 4와 5를 참조하여 지진 상황에 대한 테스트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est procedure for the seismic situ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먼저, 상기 안전체험관(10)에서 체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난 중에서 테스트하고자 하는 상황에 맞는 옵션, 즉 지진 체험 테스트를 선택하여 체험을 진행한다. 체험이 시작되면 도 5의 (a)와 같이 지진 체험을 알리는 화면이 표출된 후 지진 발생을 나타내도록 방안이 흔들리는 상황이 연출된다. First of all, the user experiences an earthquake experience test by selecting an option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to be tested among the various disasters that can be experienced in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When the experience starts, a scene informing the earthquake experience is displayed as shown in (a) of FIG. 5, and a situation is shown in which the plan is shaken to indicat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이어, 화면이 정지되면서 도 5의 (b)와 같이 테이블 아래 또는 침대 위 중 어느 곳으로 대피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침대 쪽의 경우 낙하물에 의한 부상 위험을 피할 수 없는 잘못된 선택이므로, 실패(Fail)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테스트가 종료된다. 그리고, 테이블 쪽을 선택할 경우 테스트가 계속 진행되며, 체험자의 위치가 테이블 아래로 있도록 화면이 전환된다. 이에 따라, 체험자는 테이블의 아래에서 지진 강도에 따른 상황을 지켜본다. Next, while the screen is stopped, the user selects which of the below table or bed should be evacuated as shown in FIG. 5 (b).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bed, the test is terminated with a signal indicating failure because it is an erroneous selection that can not avoid the risk of injury due to falling objects. If the user selects the table side, the test is continu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ser is below the table. Thus, the experimenter watches the situation under the earthquake intensity at the bottom of the table.

이어, 하이라이트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인 불 꺼짐 현상이 연출된다. 즉, 지진이 멈추면서 방안이 암전됨과 아울러, 시야 확보를 위한 선택 옵션이 화면상에 표출된다. 즉, 손전등과 라이터 및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라이터 또는 스위치를 선택하면 실패(Fail)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테스트가 종료되고, 손전등을 선택할 경우에만 테스트가 계속 진행된다.Then, a lighting-off phenomenon, which is an episode corresponding to a highlight, is produced. That is, as the earthquake stops, the room is darkened, and a selection option for securing visibili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either the flashlight, the lighter, or the switch. If a lighter or switch is selected, the test is terminated with a signal indicating failure, and the test continues only when a flashlight is selected.

여기서, 라이터는 충분한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함과 아울러 지진 상황에서 누출될 수 있는 가스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잘못된 선택에 해당한다. 그리고, 스위치는 정전으로 인해 시야 확보가 불가능할 수 있고, 전기가 통할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시 발생하는 불꽃으로 인해 가스 폭발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잘못된 선택에 해당한다.Here, the lighter is an erroneous choi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visibility and there is a risk of gas explosion that may leak in an earthquake situation. In addition, the switch may be impossible to secure visibility due to a power failure, and in the case of electricity, it is a wrong choice because the risk of gas explosion can not be excluded due to the flame generated when the switch is operated.

손전등을 선택하게 되면 손전등의 불빛 크기에 대응하는 시야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손전등에 의지하여 전기 차단기를 내리도록 유도한다. 이는 감전 사고와 가스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f a flashlight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field of view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lashlight, so that it is guided by the flashlight to lower the electric circuit breaker.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and gas explosion.

이후, 갑자기 방안이 밝아지면서 부엌에서 연기가 발생하는 등 화재 상황에 따른 에피소드가 연출되고, 화재 진압을 위한 선택 옵션이 화면상에 표출된다. 즉, 화재 진압을 위하여 소화기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싱크대의 물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화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실패(Fail)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테스트가 종료되고, 소화기를 선택할 경우에만 화재가 진압되고 테스트가 계속 진행된다. Then, suddenly the room becomes bright, and an episode is created according to the fire situation, such as smoke is generated in the kitchen, and a selection option for the fire suppress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hoose whether to use fire extinguisher or sink water for fire suppression. At this time, since the fire situation can not be accurately grasped, when the water is selected, the test is terminated with a signal indicating a failure, and only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lected, the fire is suppressed and the test is continued.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면, 2차 화재의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가스밸브를 잠그도록 유도한 후, 안전한 대피를 위하여 신발장과 문(door)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 옵션이 화면상이 표출된다. 여기서, 문을 선택하게 되면 신발을 착용하지 않고 대피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실패(Fail)을 알리는 신호와 함께 테스트가 종료되고 신발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신발 착용 후 대피하는 화면이 표출된 후, 대피 성공을 알리는 화면과 함께 테스트가 성공하였음을 축하하는 음악이 발생한다. Upon completion of the suppression of the fire, a selection op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to guide the user to lock the gas valve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econdary fire, and then select one of the shoe boxes and doors for safe evacuation. Here, if the door is selected, the test may be terminated with a signal notifying the failure because the damage may be caused in the process of evacuation without wearing the shoes. When the shoe box is selected, a screen for evacuation is displayed After that, there is a screen to announce the evacuation success and music to celebrate the success of the test.

이와 같이,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는 재난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에피소드를 하이라이트화하여 게임 형식으로 나타내게 되므로, 체험자가 흥미를 느끼면서 안전체험관(10)에서 체험한 여러 재난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을 숙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R test tube 20 highlights the episodes of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during a disaster and displays them in the form of a game. Therefore, while experiencing the interest of the experiencer, It become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untermeasur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안전체험관
11...체험판
12...영사장치
13...디스플레이 구조물
14...3차원 구동장치
15...동영상
20...VR 테스트관
30...다목적 강의관
40...재난 콘텐츠 관람관
50...방사능 교육관
10 ... Safety Experience Hall
11 ... trial version
12 ... projection apparatus
13 ... Display structure
14 ...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15 ... video
20 ... VR test tube
30 ... Multi-purpose steel pipe
40 ... Disaster content viewer
50 ... Radiation Education Hall

Claims (7)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체험관(10)과;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체험관(10)에서 체험한 재난상황을 연출하고 재난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각 체험자가 올바른 선택을 통해 재난을 극복하거나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테스트하는 VR 테스트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A safety experience hall 10 for allowing a user to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using a virtual reality video;
A VR test facility that uses a virtual reality video to produce a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d at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and to test each experient in order to overcome a disaster or to escape safely through a proper selection in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during a disaster (20).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체험관(10)은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11)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15)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12)와, 상기 체험판(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12)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15)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3)과, 상기 체험판(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11)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experience hall 10 includes an evaluation board 11 on which a plurality of persons can be brought up, one or more projection apparatuses 12 for expressing a situation occurr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moving image 15 of a virtual reality, A display structure 13 disposed to surround the test board 11 and displaying a moving image 15 generat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12 and a display structure 13 installed below the test board 11, And one or mor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s (14) moving in six axial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 테스트관(20)은 하나의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체험자가 각각 고글을 착용한 상태로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R test tube (20) is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experients can test simultaneously a single virtual reality video while goggles are wo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 테스트관(20)은 가상현실과 체험자가 인터렉티브하게 동기화되어 체험자의 선택에 따라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전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R test tube (20) is synchronized with the virtual reality interactively so that the virtual reality video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virtual reality us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VR 테스트관(20)에서 체험자가 동기화된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어 체험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ynchronized in the VR test tube (20) is stored as a separate file to be provided to the experien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 테스트관(20)은 각 에피소드에서 체험자가 정확한 선택을 한 경우에만 다음 에피소드를 진행하고 체험자의 선택이 잘못된 경우에는 테스트가 종료되도록 게임 형태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R test center (20) executes the game type test so that the next episode proceeds only when the experient makes an accurate selection in each episode and the test is terminated if the experiential selection is wrong.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과 관련한 이론 교육과 실습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강의관(30), 재난상황에 대한 VR 콘텐츠를 관람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재난 콘텐츠 관람관(40) 및 방사능 사고 발생에 따른 대처 요령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방사능 교육관(5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전체험 및 교육 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30), which can conduct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e related to safety, a disaster content viewing center (40) where visitors can observe VR contents on disaster situations and receive education And a radiation education center (50) capable of receiving the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50).
KR1020170042945A 2017-04-03 2017-04-03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KR201801122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5A KR20180112271A (en) 2017-04-03 2017-04-03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5A KR20180112271A (en) 2017-04-03 2017-04-03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71A true KR20180112271A (en) 2018-10-12

Family

ID=6387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45A KR20180112271A (en) 2017-04-03 2017-04-03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27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8899A1 (en) * 2020-02-24 2021-09-02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Simulated intera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ed to smart shoe
KR20220099878A (en) 2021-01-07 2022-07-14 이정훈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experience virtual reality-based events
CN115273588A (en) * 2022-06-23 2022-11-01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A simulation acetylene explosion experience device for safety train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8899A1 (en) * 2020-02-24 2021-09-02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Simulated intera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ed to smart shoe
KR20220099878A (en) 2021-01-07 2022-07-14 이정훈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experience virtual reality-based events
CN115273588A (en) * 2022-06-23 2022-11-01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A simulation acetylene explosion experience device for safety training
CN115273588B (en) * 2022-06-23 2023-11-28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Acetylene explosion simulating experience device for safety tra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Earthquake safety training through virtual drills
Hsu et al. State of virtual reality based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training
KR20180112271A (en)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Conges et al. Crisis management exercises in virtual reality
Iguchi et al. Evacuation instruction trai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smartphone-based head mounted display
CN108874147A (en) A kind of VR-BOX experience interactive device
CN202306951U (en) Earthquake house model
Lu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nfined space rescue training prototype based on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erious game
KR102048349B1 (en)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Schildkraut et al. Lockdown drills: Connecting research and best practices for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parents
Berndt et al. Immersion and Presence in Virtual Reality Training for Mass Casualty Incidents.
Takahashi et al. Experience-based training in earthquake evacuation for school teachers
CN110874964A (en) Fire-extinguishing training equipment
CN112949048B (en) Mine emergency rescue comprehensive training exercise system
CN114093228A (en) Simulation line walking experience practical training system
KR20180052904A (en)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Vacková et al. The use of virtual reality resources to increase safety in the training of fire and rescue corps units
Lin Virtual reality of earthquake ground motions for emergency response
Bhookan et al. Disaster Surviva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NAKANISHI et al. Why do we not develop a social game about evacuation simulation for disasters preparedness?
Peretti et al. Gamified first responder training solution in virtual reality
CN110941335A (en) VR (virtual reality) technology-based emergency treatment plan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RU176947U1 (en) SIMULATOR FOR EXERCISE OF FIRST MEDICAL CARE SKILLS
Balahadia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YFIREQUAKE: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Disaster Preparedness of Children
Frost No safe spaces: Notes on the national september 11 muse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