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70A -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70A
KR20180112270A KR1020170042944A KR20170042944A KR20180112270A KR 20180112270 A KR20180112270 A KR 20180112270A KR 1020170042944 A KR1020170042944 A KR 1020170042944A KR 20170042944 A KR20170042944 A KR 20170042944A KR 20180112270 A KR20180112270 A KR 20180112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virtual reality
disaster
display structure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8349B1 (en
Inventor
고충길
문수원
Original Assignee
고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충길 filed Critical 고충길
Priority to KR102017004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49B1/en
Publication of KR2018011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experience tool using virtual reality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experience a phenomenon, which occurs 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the like, or a life accident such as fire is generated, by using virtual reality in advance; and performing education for a plurality of safety experiences in a school or a public office by enabling the user to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with a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The safety experience tool using virtual reality comprises an experience plate (30), one or more projecting devices (20), a display structure (10), one or more 3D driving devices (40), and a controlling unit (50).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stand up on the experience plate (30). One or more projecting devices (20) display a situation which occurs in disaster generation on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The display structure (1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experience plate (30) and displays the video generated by the projecting devices (20). One or more 3D driving devices (40) are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experience plate (30), and move the experience plate (30) in a 6-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The controlling unit (50) controls the projecting devices (20) and the 3D driving devices (40).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지진 등의 자연재해 또는 화재를 비롯한 생활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며,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재난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여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 다수에 대한 안전체험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experience in advance a phenomenon occurring 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a fire occurs, using a virtual reality, and to experience a disaster situation using a virtual reality video It is about safety experience organization using virtual reality that can perform safety experience education for a large number in school and public office.

우리나라의 경우 환태평양 조산대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진안전지대로 여겨져 왔으나, 우리나라에도 다수의 활성단층이 존재하고 그로 인해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지진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그리고, 지진 발생시 원활한 대응을 위하여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Korea has been regarded as an earthquake-safe area that is not affected by the Pacific Rim and the Pacific Rim. However, since there are many active faults in Korea and it is confirmed that earthquakes may occur, interest in earthquakes is increasing. In order to respond smoothly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more and more people are trying to experience the situation indirectly.

이에 따라,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재현하는 다양한 지진체험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중요 도시에 지진체험관을 설치하여 지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earthquake experience devices that reproduce the shaking of the building when an earthquake occurs are being developed, and an earthquake experience center is installed in a major city so that the earthquake can be experienced.

통상적인 지진체험장치는 일반적인 건물의 실내 공간처럼 형성된 체험실과, 이 체험실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체험실에 들어간 상태에서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체험실을 진동시킴으로써 지진이 일어날 때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A typical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includes a experiencing room formed like a general indoor space of a building and a vibrating device for vibrating the experience room. When an earthquake occurs by vibrating the experience room using a vibration device while people are in the experience room, So that it can reproduce shaking.

그러나, 상기한 지진체험장치는 단순히 건물의 흔들림만 모사할 수 있을 뿐 실제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지진 체험의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apparatus for experiencing earthquakes can only simulate a shaking motion of a building, and does not show various phenomena that appear when an actual earthquake occurs, and thus the effect of the earthquake experience is not high.

또한, 높은 진도로 체험실을 진동시킬 경우 체험실이 부서질 수 있어 일정 진도 이하의 지진만 체험할 수 있으며, 체험실을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 등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어 사람들이 생활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지진을 모두 체험할 수 없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erience room is vibrated at a high level of intensity, the experience room may be broken, so that only an earthquake of a certain magnitude or less can be experienced, and the experience room can not be formed as a living room or office at home. There are other problems that can not be experienced at all.

특히, 지진체험관이 설치된 도시가 많지 않아 지진체험을 위해서는 이들 도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지진을 체험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을 경우에는 장시간 동안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not many cities equipped with earthquake experience centers, so there are inconveniences to move to these cities in order to experience earthquak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f there are many people who want to experience earthquakes, they have to wait for a long time.

물론, 지진체험장치를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체험실을 크게 만들기가 어려워 체험인원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earthquake experience device as a portable type. 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experience room large, which limits the number of experienced personnel.

한편, 지진 체험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prior art related to the earthquake experience, many patent documents have been searched, and some of them are as follows.

특허문헌 1은, 단순한 구성수단에 의해서도 지진발생시 흔들림이나 요동에 의한 연출이 무난한 실내주방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콘테이너 철구조물로 된 체험부스내에 입실한 체험자들에게 전신으로 지진발생에 따른 흔들림이나 요동을 체감하도록 하며, 방진스프링상에 안착하고 진동모터와 장착한 체험부스체와 그 하방에 중간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이 상호 길이방향의 축방향으로 조립된 틸팅로드를 기준으로 S파동의 체감과 동시에 P파의 체감을 위한 중간프레임상에 마련된 LM가이드모듈시스템에 의하여,P파와,S파, 복합파인 L파와 같은 복합적인 지진파동효과의 보다 다이나믹한 지진체험학습을 제공하도록 하는, 지진체험학습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a shaking or rocking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n an experienced booth in an experience booth made of a container iron structure displayed as an indoor kitchen in which an image can be displayed smoothly due to shaking or rocking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a tilting rod that is mounted on a vibration-proof spring and mounted on a vibration motor and a tilting rod in which an intermediate frame and a lower frame are assembl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low the tilting rod, An earthquake experiential learning device that provides more dynamic earthquake experience learning of a complex earthquake wave effect such as P wave, S wave, and complex fine L wave by an LM guide module system provided on an intermediate frame for bodily sensation .

특허문헌 2는, 베이스의 상부에 X축으로 진동되는 X축 진동플레이트와 Y축으로 진동되는 Y축 진동플레이트 및 상하로 진동되는 상하 진동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Y축과 X축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으므로, 좌우측 방향으로만 진동되던 종래의 지진체험장치에 비해, 더욱 다양한 패턴의 지진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지진체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an X-axis vibration plate oscillated in the X-axis, a Y-axis vibration plate oscillated in the Y-axis, and a vertical vibration plate oscil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earthquake experienc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reproducing an earthquake of a wider variety of patterns than a conventional earthquake-experienced apparatus that has been vibrated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특허문헌 3은, 수평방향 작동부와 수직방향 작동부에 의해 체험패널이 모의 지진파를 연출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모듈; 상기 구동모듈과 조립되어, 체험패널을 확장하는 확장체험패널과, 작동부와 연계되어 확장체험패널이 모의 지진파를 연출하도록 안내하는 이송부가 구비되는 확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모듈과 확장모듈이 분해 조립이 간편하게 구비되어 휴대성이 좋고, 수평방향 작동부와 수직방향 작동부에 의해 360° 전방향에 대해서 수평, 수직 가진을 정밀하게 연출함과 아울러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높이방향 사이즈가 축소되어 실내와 같이 천장이 낮은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용이한, 지진체험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Patent Literature 3 discloses a driving module in which an experience panel is provided by a horizontal direction actuating por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ctuating portion so as to produce a simulated seismic wave; And an expansion module including an expansion experience panel that is assembled with the drive module to expand the experience panel and a transfer unit that is linked with the operation unit to guide the extension experience panel to produce a simulated seismic wave. The module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has good portability. Horizontal and vertical motions are precisely directed 360 ° in all directions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ctuators. In addition, due to its compact structure, And is easy to install even in a narrow space with a low ceiling as in a room.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지진체험장치는 대부분 바닥의 흔들림만 모사할 수 있을 뿐 지진 발생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상을 표현할 수 없어 현실감이 떨어지고 체험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most of the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can simulate only the shaking motion of the floor and can not express various phenomena that occur when an earthquake occurs, resulting in a lowered reality and a lesser experience effect.

한편, 사람들은 상기한 지진 이외에도 태풍이나 쓰나미(지진해일), 파랑, 홍수, 산사태 등 다양한 자연재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재해를 미리 체험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양한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사고의 유형에 맞게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없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arthquakes, people can be exposed to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tsunamis (tsunami), waves, floods, landslides, and the lik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cope with such natural disasters in advance. However, there is no facility to experience the type of disaster caused by various natural disasters.

또한, 사람들은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교통 사고 등의 다양한 안전사고를 겪을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도 추락 등 다양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안전 사고나 산업재해에 대한 사전 대비를 위한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재난사고를 모두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으며, 특정 재난사고를 선택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설 역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In addition, people can suffer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gas accidents, fire accidents, electric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afety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safety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facilities for experiencing all of these various disaster incidents have not been developed yet, and facilities for selectively experiencing specific disaster incidents are also in short supply.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4에는 체험자가 올라서서 제자리걸음을 할 수 있게 하는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일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체험자의 상하 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후방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조립체의 타단에 일체로 기립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를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좌우 회전시키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재, 풍수해 및 지진과 관련된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재난상황을 이해하고 재난 속에서 체험자가 올바른 대처요령을 사전에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종합 안전체험 시뮬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base assembly for allowing an experienced person to stand upright, a rear assembly integrally installed on one end of the base assembly to sense motion signals of an experienced person, An upper case integral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to output an image related to a disaster and to produce an effect related to a disaster disaster, and an upper cas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By including the lower cas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each disaster situation while watching the virtual experience video related to the fire, flood, and earthquake outputted from the video output unit, and to realize the comprehensive safety An experience simulator is disclosed,

그러나, 특허문헌 4는 화면에 출력되는 가상체험 영상을 보면서 재난상황을 이해하도록 하고 있어 현실감이 낮고, 소수의 인원만 이용할 수 있어 체험인원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Patent Document 4 has a problem in that the reality is low and the number of people is limited because the disaster situation is understood while viewing the virtual experience image outputted on the screen.

한편,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Virtual Reality (VR), on the other hand, refers to a human-computer interface that makes a certain environment or situation computerized and makes the person who uses it behave as if they are interacting with the actual surroundings / environment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people to show and manipulate the environment as if they are in the environment without experiencing the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experience everyday.

따라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지진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생기는 여러 가지 현상이나 생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use of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ll be able to be expressed as images of various phenomena occurring whe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occur, life safety accidents and industrial disasters in various environments.

KRKR 10-092062710-0920627 B1B1 KRKR 10-106975510-1069755 B1B1 KRKR 10-159095510-1590955 B1B1 KRKR 10-112503610-1125036 B1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진체험장치를 비롯한 각종 안전체험장치에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 등의 생활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일어나는 각종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현실성 있는 재난체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학교나 관공서 등에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재난체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By presenting various situations as moving images of virtual realit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realistic disaster experience, and a safety experience facility using virtual reality that enables many people to experience disaster at the same time in schools and government office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와; 상기 체험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과; 상기 체험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와; 상기 영사장치와 3차원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projection device for displaying a situation occurr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virtual reality video; A display structure arranged to surround the trial plate and display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ial plate and moving the trial plate in six axial directions in response to a disaster situ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apparatus and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apparatus.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돔 형상 또는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tructure is formed in a dome shape or a cube shape.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고정 시설물 또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tructure is a fixed facility or a mobile display structure.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폴대와,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폴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와, 상기 폴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display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dome structure or a cube structure, An inner cover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pole so as to display a moving image of the pole, and an outer cover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pole.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3차원 구동장치는 체험판의 중앙 하부에 1대가 배치되거나, 상기 체험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apparatuses is disposed in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trial board, or four unit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long the edge of the trial board.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상기 영사장치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의 영상 또는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는 생활 안전사고의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apparatus can be used for life safety including video images of natural disasters including earthquakes, tsunamis, typhoons, and waves or gas accidents, fire accidents,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accident as a moving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따르면, 재난상황에 따라 상기 영사장치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바람, 연기, 비, 냄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제공하는 부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apparatus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wind, smoke, rain, and smell corresponding to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display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disaster situation .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는 일반인들이 가상현실을 이용한 동영상과 체험판의 진동을 통해 지진 상황을 비롯한 각종 재난상황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제 재난 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example The safety experience system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invention enables the ordinary people to experienc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including the earthquake situation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video and the trial version using the virtual reality so that the user can actively cope with the actual disaster in case of a disaster It is effective.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거실이나 사무실 등을 세트화하여 체험실을 꾸밀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진동에 의해 부서지지 않게 되어 높은 진도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상황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 상황을 현실감 있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자연재해는 물론 생활안전사고와 같은 각종 재난에 대한 체험 효과가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t up a living room or an office so as to set up the experience room, so that the cost is low, Not only can you show situations It is possible to represent various kinds of disaster situations occurring in various places in a realistic manner,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perience effect on various disasters such as a natural disaster as well as a life safety accident is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가상현실의 재난 동영상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이동형 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디스플레이 구조물의 중량이 가볍고 이동이 가능하므로, 학교나 관공서, 공원 등 일정한 공간만 있으면 어디에든 설치가 가능하고, 그로 인해 지진체험관 등의 재난체험시설이 설치된 곳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structure in which the disaster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is displayed is formed as a movable structure, the weight of the display structure is light and can be moved.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anywhere if there is spa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o a place where a disaster experience facility such as an earthquake experience hall is installed.

또,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여러 장소를 모사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장소에서의 상황만 체험할 수 있는 기존의 재난 체험시설에 비해 더욱 다양한 형태의 재난 체험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ate various places where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by using the virtual real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disaster experience facility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various types of disaster experience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 기구에 따르면, 체험판의 중앙 또는 체험판의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배치된 3차원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전후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고 경우에 따라 회전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모사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실감나고 현실성 있는 재난 체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driving apparatus symmetrical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rial board or at the edge of the trial board is used to s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more realistic and realistic disaster experien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디스플레이 구조물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디스플레이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3차원 구동장치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afety experience mechanism using a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safety experience mechanism using a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structur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isplay structur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afety experience mechanism using a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30)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20)와; 상기 체험판(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과; 상기 체험판(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30)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와; 상기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ial board 30 o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can stand; At least one projection device (20) for displaying a situation occurr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virtual reality video; A display structure (10) arranged to surround the trial plate (30) and displaying moving images generated by the projection device (20);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ial plate (30) and moving the trial plate (30) in six axial directions in response to a disaster situation;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apparatus (20) and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apparatus (40).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은 돔 형상 또는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학교나 관공서의 건물 내에 설치된 고정 시설물일 수도 있고,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일 수도 있다.Here, the display structure 10 may be a dome-shaped or cube-shaped fixed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of a school or a public office, a removable display structure capable of being separated and reassembled, It is possible.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이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인 경우, 이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폴대(11)와,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폴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12)와, 상기 폴대(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13)로 이루어진다.When the display structure 10 is a mobile display structure, the mobile display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11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dome structure or a cube structure, An inner cover 12 disposed inside the pole 11 to display an image of a virtual reality to be displayed and an outer cover 13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pole 11. [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는 상기 체험판(30)을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X축과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시킬 수 있는 6축 방식의 구동장치로서, 6축 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다면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는 상기 체험판(30)의 중앙 하부에 1대가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체험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대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is a six-axis type driving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trial plate 3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ing the trial plate 30 with respect to the X axis, the Y axis,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as long as movement in the six-axis direction is possible. One of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s 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test plate 30, and four test plates may be installed at an interval of 90 degrees along the edge of the test plate 30.

상기 영사장치(20)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의 영상 또는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는 생활 안전사고의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음향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The projection device 20 displays a video of a natural disaster including an earthquake, a tsunami, a typhoon, and blue, or a video of a life safety accident including a gas accident, a fire accident, an electric accident, , And sound facilities to make you feel realistic.

그리고, 재난상황에 따라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바람, 연기, 비, 냄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제공하는 부가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풍이나 태풍 상황에 대응하도록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장치나, 화재상황에 대응하도록 연기를 제공하는 연기발생장치, 폭우 상황에 대응하도록 물을 뿌려주는 스프레이 장치, 가스 사고에 대응하도록 가스 냄새를 발생하는 냄새 발생기 등을 부가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Further, an additional devi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wind, smoke, rain, and smell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display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20 according to a disaster situ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Specifically, a ventilation device that provides wind to respond to a storm or a typhoon, a smoke generator that provides smoke to cope with a fire situation, a spray device that sprays water to cope with a heavy rain situation, a gas smell And an odor generator for generating an odor generato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는 지진에 따른 진동만 모사하던 기존 지진체험장치나 화면에 나타난 영상으로만 재난 상황을 나타내던 기존 안전체험장치와는 달리 재난상황에 따른 각종 현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과 진동으로 표출함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사고 등의 각종 생활 안전사고에 대한 체험 효과를 높이게 된다.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the virtual re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arthquake experience simulator simulating vibration due to an earthquake or the existing safety experience apparatus showing only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s expressed by moving images and vibrations of virtual reality, it enhances the experience effect on various life safety accidents such as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fire accidents.

지진체험을 원하는 학교나 관공서, 공원, 놀이 시설 등으로 이동한 후, 강당이나 운동장 등에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을 설치한다. 즉, 다수의 폴대(11)를 조립하여 돔 형상 또는 큐브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한 후, 그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내부 커버(12)와 외부 커버(13)를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설치를 완료한다. 물론, 학교나 관공서와 같은 건물에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조립 설치하지 않고 해당 건물의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이용한다. After moving to a school, a public office, a park, a playground or the like where an earthquake experience is desired, a display structure 10 is installed in an auditorium or a playground. That is, a plurality of poles 11 are assembled to form a dome-shaped or cube-shaped structure, and then the inner cover 12 and the outer cover 13 are join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ole structure 11, . Of course, when a display structure 10 is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school or a government office, the display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used without assembling a separate display structure.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체험판(30)을 설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출입구를 통해 들어온 체험자가 그 위로 올라설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메인 구조물(10)의 내부에 영사장치(20)와 제어부(5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50)에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연결함으로써 안전체험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isplay structure 10 is completed,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is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structure 10 and the trial plate 30 is installed on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10) so that the experient who came through the doorway can climb above it. A projection device 20 and a control unit 50 are installed in the main structure 10 and a projection device 20 and a three 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Is completed.

안전체험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글을 착용한 체험자가 체험판(30) 위에 올라가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작동시킴으로써 지진 등의 자연재해나 화재 사고 등의 생활안전 재난에 대한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afety experience apparatus is completed, the user who wears the goggles is allowed to climb on the trial board 30, and then the projection apparatus 20 and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apparatus 40 are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50, And experience of life safety disaster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fire accidents.

지진 체험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가 지진의 진도에 대응하여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를 작동시킴으로써 체험판(30)이 전후좌우로 진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지진에 따른 진동을 체험한다. 동시에 지진의 진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이 영사장치(20)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내부에 표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체험판에(30) 올라선 체험자들이 체험판(30)의 움직님과 고글을 통한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통해 지진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n earthquake experience, the controller 50 operates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an earthquake to cause the trial plate 30 to oscillat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or move up and down, So as to experience vibration due to the earthquake. At the same time,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of the earthquake is displayed inside the display structure 10 by the projection apparatus 20. [ Accordingly, the users who have ascended to the trial board (30) can experience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during the earthquake in a realistic manner through the moving images of the virtual reality through the movements and goggles of the trial board (30).

이때, 상기 영사장치(20)는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과 같은 일반적인 건물 내부는 물론 백화점이나 터미널, 역사 등 다중 이용 시설의 내부와 외부, 거리나 도로 등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모두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여 각각의 장소에서 지진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진체험자들이 언제 어디서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projection apparatus 20 can be used not only in a general building such as a living room or an office of a home, but also in a specific area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terminal, By making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earthquake in each place by displaying it as a video, the earthquake experimenters can calmly cope whenever and where an earthquake occurs.

폭풍우 등을 체험하는 경우에는 부가된 송풍장치와 물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바람과 물을 뿌려주면서 상기 영사장치(20)를 통해 폭풍우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의 내부에 표출함으로써, 폭풍우에 따른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experiencing a storm or the like, a moving image of a virtual reality corresponding to a storm is displayed on the inside of the display structure (10) through the projector (20) while spraying wind and water using the added blowing device and water spraying device So that they can experience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storm.

그리고, 화재 사고나 가스 사고 및 전기 사고와 같은 생활안전재난을 체험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사장치(20)를 이용하여 해당 재난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구조물(10) 내부에 표출함으로써, 체험자가 고글을 통해 나타나는 영상을 통해 사고 상황을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체험자는 일반 생활 중에 직면할 수 있는 각종 사고 상황을 체험하고, 해당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experiencing a life safety disaster such as a fire accident, a gas accident, or an electric accident, the moving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rresponding to the disaster is displayed inside the display structure 10 by using the projection apparatus 20, Experients can experience the accident situation in a realistic way through the images that appear through goggles. As a result, the experiencer can experience various situations of accidents that can be encountered in ordinary life and learn how to cope with such situations.

이상의 과정을 거쳐 지진체험이나 재난체험이 완료되면, 영사장치(20)와 제어부(50)를 제거하고, 체험판(30)을 분리한 후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거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이 이동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을 형성하는 내부 커버(12)와 외부 커버(13)를 분리하고,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하고 있는 폴대(11)를 분리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다음 체험장소로 이동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When the earthquake experience or disaster experience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rojection device 20 and the control unit 50 are removed, the trial plate 30 is separated, and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is removed.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structure 10 is a movable structure, the inner cover 12 and the outer cover 13 forming the display structure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ole 11 forming the skeleton of the structure is separated Thereby minimizing the overall volume. Then, the user moves to the next experience place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이에 따라 각종 재난이 발생할 경우 미리 체험한 재난상황을 기반으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various disasters occur, it is possible to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disasters by responding calmly without confounding based on the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d beforehand.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디스플레이 구조물
11...폴대
12...내부 커버
13...외부 커버
20...영사장치
30...체험판
40...3차원 구동장치
50...제어부
10 ... Display structure
11 ... Poles
12 ... inner cover
13 ... outer cover
20 ... projection device
30 ... trial
40 ...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50 ... control unit

Claims (7)

다수의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체험판(30)과; 재난 발생시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하나 이상의 영사장치(20)와; 상기 체험판(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구조물(10)과; 상기 체험판(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재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체험판(30)을 6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구동장치(40)와; 상기 영사장치(20)와 3차원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A trial board 30 in which a plurality of persons can stand up; At least one projection device (20) for displaying a situation occurr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a virtual reality video; A display structure (10) arranged to surround the trial plate (30) and displaying moving images generated by the projection device (20);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 (4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ial plate (30) and moving the trial plate (30) in six axial directions in response to a disaster situation;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apparatus (20) and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apparatus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은 돔 형상 또는 큐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structure (10) is formed in a dome shape or a cub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10)은 고정 시설물 또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structure (10) is a fixed facility or a mobile display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돔 구조 또는 큐브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폴대(11)와,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폴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커버(12)와, 상기 폴대(11)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부 커버(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display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11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dome structure or a cub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virtual mirrors 11 arranged inside the pole 11 for displaying virtual reality moving images display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20 (12) and an outer cover (13)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pole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동장치(40)는 체험판(30)의 중앙 하부에 1대가 배치되거나, 상기 체험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4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three-dimensional driving devices (40) is dispos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trial plate (30), or four units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along the edge of the trial plate (3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사장치(20)는 지진, 쓰나미, 태풍, 파랑을 포함하는 자연재해의 영상 또는 가스 사고나 화재 사고, 전기 사고 및 교통 사고를 포함하는 생활 안전사고의 영상을 가상현실의 동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on apparatus 20 can display a video of a natural disaster including an earthquake, a tsunami, a typhoon, and blue, or a video of a life safety accident including a gas accident, a fire accident, an electric accident, A security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난상황에 따라 상기 영사장치(20)에 의해 표출되는 가상현실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바람, 연기, 비, 냄새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제공하는 부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안전체험기구.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devi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wind, smoke, rain, and smell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display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20) according to a disaster situation Experience organization.
KR1020170042944A 2017-04-03 2017-04-03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KR102048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4A KR102048349B1 (en) 2017-04-03 2017-04-03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44A KR102048349B1 (en) 2017-04-03 2017-04-03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70A true KR20180112270A (en) 2018-10-12
KR102048349B1 KR102048349B1 (en) 2019-11-25

Family

ID=6387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44A KR102048349B1 (en) 2017-04-03 2017-04-03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6425B1 (en) 2018-11-12 2020-05-19 Dataking. Inc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vice
KR102228282B1 (en)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Booth type typhoon experience apparatus to experience typhoon situation
KR102228283B1 (en)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Booth type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to experience earthquake situa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27B1 (en) 2009-01-13 2009-10-08 김랑일 The earthquake experience study system
KR101069755B1 (en) 2011-05-30 2011-10-04 (주)미디어스페이스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KR101125036B1 (en) 2008-05-16 2012-03-21 (주) 전시나라 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KR20140110675A (en) * 2013-03-06 2014-09-17 주식회사 알브이소프트 3 Dimensional Simulation Device with 4-Dimensional Effect
KR20150115272A (en) * 2014-04-03 2015-10-14 신동호 A rotating simulator for multi passanger and circle structure simulating system with rotating simulator
KR101590955B1 (en) 2014-08-27 2016-02-18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Experience earthquake device
JP2016180203A (en) * 2013-08-09 2016-10-13 剛 月井 Dome-like structure using air film, and framework thereof
KR20170013522A (en)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포디존 Disaster and safety simulato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036B1 (en) 2008-05-16 2012-03-21 (주) 전시나라 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KR100920627B1 (en) 2009-01-13 2009-10-08 김랑일 The earthquake experience study system
KR101069755B1 (en) 2011-05-30 2011-10-04 (주)미디어스페이스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KR20140110675A (en) * 2013-03-06 2014-09-17 주식회사 알브이소프트 3 Dimensional Simulation Device with 4-Dimensional Effect
JP2016180203A (en) * 2013-08-09 2016-10-13 剛 月井 Dome-like structure using air film, and framework thereof
KR20150115272A (en) * 2014-04-03 2015-10-14 신동호 A rotating simulator for multi passanger and circle structure simulating system with rotating simulator
KR101590955B1 (en) 2014-08-27 2016-02-18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Experience earthquake device
KR20170013522A (en)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포디존 Disaster and safety simul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6425B1 (en) 2018-11-12 2020-05-19 Dataking. Inc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vice
KR102228282B1 (en)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Booth type typhoon experience apparatus to experience typhoon situation
KR102228283B1 (en) 2019-11-25 2021-03-16 씨앤에스 주식회사 Booth type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to experience earthquake si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49B1 (en)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2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immersive environment
KR102048349B1 (en) Safety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CN106652625A (en) Interactive virtual reality fire training system
CN108806357A (en) A kind of fire-fighting teaching training system with Function of Evaluation
Gong et al. A novel earthquake educ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CN106547362A (en) A kind of VR BOX experience interactive device
KR101803313B1 (en) Simulation apparatus to experience earthquake
KR20090119681A (en) A simulation system for experiencing misfortune
Iguchi et al. Evacuation instruction trai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smartphone-based head mounted display
WO2011132205A2 (en) Process for creating earthquake disaster simula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2002366021A (en) Virtual field training device
JP2003066825A (en) Virtual reality device
KR20090119747A (en) 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Sinha et al. Earthquake disaster simulation in immersive 3d environment
KR20180052904A (en)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using Virtual Reality
KR20180112271A (en) Virtual Reality Based Safety Experience and Education System
CN103366612B (en) Multi-scene quake escape practice demonstration device capable of simulating earthquake
CN202523235U (en) Multi-scene quake escape practice demonstration device capable of simulating earthquake
CN106205242A (en) Three-dimensional geographical projector equipment
Alkurdi Augmented reality electric circuit experiment
CN113577795B (en) Stage visual space construction method
KR102233584B1 (en) Urban Type Earthquake Audio-Visual Education Kit
KR102206778B1 (en) An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CN210574409U (en) Earthquake simulation platform
WO2021250597A1 (en) Aqua dome space theat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