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34A -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34A
KR20180112234A KR1020170042834A KR20170042834A KR20180112234A KR 20180112234 A KR20180112234 A KR 20180112234A KR 1020170042834 A KR1020170042834 A KR 1020170042834A KR 20170042834 A KR20170042834 A KR 20170042834A KR 20180112234 A KR20180112234 A KR 2018011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meter reading
gas
remot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767B1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102017004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76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측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및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및 가스공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며,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청구액과 상기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하는 원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에 의해 세대별 수도, 전기, 가스등 사용량을 원격 검침할 때에 실제 계량값과 원격 검침 값이 불일치함에 따라 도출될 수 있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Remote Inspection System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TV를 활용한 원격 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대 내에서 수도, 가스, 전력량, 온수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해서는 계량기의 수치를 읽어들여야 한다. 기존의 계량기는 댁내에 구비되는 경우가 대다수여서 일일이 검침원이 각 세대를 직접 방문하여 검침을 해야한다.
그런데 검침원이 일일이 각 세대를 방문하여 검침을 수행하는 방법은 번거롭고, 인력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검침을 위해 외부인이 집안으로 방문하는 경우에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날 우려도 있어 외부에서 세대 내의 수도, 가스, 전력량, 온수 등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원격 검침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원격 검침을 위해서는 세대에 기 설치된 검침기와 별개로 원격 검침용 검침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원격 검침을 위해 설치되는 검침장치에서 측정되는 원격 검침값과 기 설치된 장비의 실제 계량값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정확한 검침을 위해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두 장치의 값을 일치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했다.
따라서 기존의 원격 검침 방법에 따르더라도 점검 및 보정을 위한 인력이 필요하고, 세대원 입장에서도 외부인이 집안으로 방문해야 한다는 불편함도 여전히 남아있다.
(실용신안문헌1) KR 20-0430811 B 2006.11.03 등록 (실용신안문헌2) KR 20-0325154 B 2003.08.25 등록 (실용신안문헌3) KR 20-0423208 B 2006.07.28 등록 (실용신안문헌4) KR 20-0317048 B 2003.06.09 등록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제 1 목적은 세대별 수도, 전기, 가스등 사용량을 원격 검침할 때에 실제 계량값과 원격 검침 값이 불일치하는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다.
또한, 제 2 목적은 검침 및 전용 앱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검침 결과 및 검침 결과에 따른 사용료 정보의 확인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검침값이나 사용료 산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그에 대한 확인 및 대처를 용이하게 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측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및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및 가스공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며,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청구액과 상기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하는 원격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촬영 수단이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 측을 촬영하는 단계,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및 가스공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청구액과 상기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대별 수도, 전기, 가스등 사용량을 원격 검침할 때에 실제 계량값과 원격 검침 값이 불일치함에 따라 도출될 수 있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제 1 효과가 있다.
또한, 검침 전용 앱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검침 결과 및 검침 결과에 따른 사용료 정보의 확인을 손 쉽게 할 수 있으며, 사용료 산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그에 대한 확인 및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 2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검침기 자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원격 검침을 위해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 소모를 줄일 수 있고, 고장시에 손쉽게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다는 제 3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원격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은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에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원격 관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촬영 수단(10) 및 원격 관리 장치(20)을 포함한다.
촬영 수단(10)은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측을 촬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수단(10)은 CCTV 카메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소형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원격 관리 장치(20)는 촬영 수단(10)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고, 촬영 수단(10)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취합하여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며,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 즉, 해당 월에 내야할 수도세, 전기세, 가스비 등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예상 청구액과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주택 관리 서버(30-d)는 각 세대별로 사용료를 징수하고, 그에 따른 납부 내역을 관리하는 아파트와 같은 집단 주택의 관리실 서버일 수 있다.
원격 관리 장치(20)는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 즉, 해당 월에 납부해야하는 세대별 수도세, 전기세, 가스비 등을 산출한다.
여기서 세대별 수도세, 전기세, 가스비를 산출하는 것은 아파트 전체 사용료에 해당 세대의 사용 검침값에 따른 사용 비율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세대별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예상 청구액과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이의 제기 메시지를 출력한다.
공동주택 관리서버(30-d)를 통해 이의 제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은 일 예로 아파트 관리실의 납부 관리자가 확인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원격 관리 장치(20)는 촬영 수단 제어부(210), 검침값 추출부(220), 청구액 산출부(230), 이의 제기부(240), 환불 처리부(250) 및 데이터 저장부(260)를 포함한다.
촬영 수단 제어부(210)는 촬영 수단(10)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촬영 수단(10)으로 전송한다.
이때 촬영 수단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40)에 설치된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동작 시간 설정, 촬영 방향 전환 및 촬영 방향 회전 각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의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출시에도 사용자 단말기(40)의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실행시켜 촬영 수단(10)의 촬영 방향을 손쉽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댁내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방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사생활 보호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40)의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실행시켜 촬영 수단(10)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때, 엄격한 계측 측정 의무 명령을 받으면 특정 시간, 예를 들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촬영 수단(10)이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측을 촬영하기에 최적방향으로 자세 이동하여 촬영을 우선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침값 추출부(220)는 촬영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한다.
청구액 산출부(230)는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검침값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한다.
이의 제기부(240)는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청구액과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한다.
이때, 일 양상에 따른 원격 관리 장치(20)는 사용자 단말기(40)에 설치된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통해 입력되는 촬영 수단(10) 또는 세대별 고유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촬영 수단(10)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검침값 및 산출된 예상 청구액을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통해 제공한다.
촬영 수단(10) 또는 세대별 고유 식별 정보는 촬영 수단(10)이 세대 내에 설치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40)에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설치하면서,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세대별 고유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일 수도 있다.
추 후에 원격 관리 장치(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또는 촬영 수단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40)의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제공한다.
환불 처리부(250)는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의 제기에 따른 과금 오류발생 여부가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환불 계좌 정보에 따라 환불 계좌로 환불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환불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 과금에 대한 환불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통해 해당 과금 오류에 대한 사과 메시지 및 환불 처리 완료 메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원격 관리 장치(20)는 검침값 추출부(220)에서 추출되는 검침값의 변화량을 파악하여 계량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파악한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동작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40)의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비정상 동작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이의 제기부(240)에서 이의 제기에 따른 과금 오류발생 여부가 확인되면, 계량기 오작동, 계량기 고장, 누전 누수 현상 발견에 따른 수치 급상승과 같은 이상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40)의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비정상 동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부(260)는 메모리장치로 구현되며, 검침값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검침값과, 수도공사 서버(30-a), 한국전력공사 서버(30-b), 가스공사 서버(30-c)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3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 청구액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예상 청구액을 세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60)는 세대별로 촬영 수단(10) 또는 세대별 고유식별 정보, 환불 계좌 정보를 더 저장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촬영 수단이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 측을 촬영한다(S300). 촬영 수단은 CCTV 카메라일 수 있다.
이때 원격 관리 장치는 촬영 수단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촬영 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S310). 촬영 수단은 원격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S320). 예를 들어 촬영 수단의 온/오프, 구동 시간, 촬영 방향 전환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관리 장치는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한다(S330).
이후에 원격 관리 장치가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한다(S340).
그리고 원격 관리 장치는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한다(S350).
이때 원격 관리 장치가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예상 청구액과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S360),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S370).
그리고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의 제기에 따른 과금 오류발생 여부가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환불 계좌 정보에 따라 환불 계좌로 환불 처리를 수행한다(S380).
또한, 원격 관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입력되는 촬영 수단 또는 세대별 고유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검침값 및 산출된 예상 청구액을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제공한다(S390).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촬영수단 20 : 원격 관리 장치
30-a : 수도공사 서버 30-b : 한국전력공사
30-c : 가스공사 서버 30-d : 공동주택관리 서버
40 : 사용자 단말기
210 : 촬영수단 제어부 220 : 검침값 추출부
230 : 청구액 산출부 240 : 이의 제기부
250 : 환불 처리부 260 : 데이터 저장부

Claims (7)

  1.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측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 및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및 가스공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며,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청구액과 상기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하는 원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촬영 수단 또는 세대별 고유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검침값 및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을 상기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동작 시간 설정, 촬영 방향 전환 및 촬영 방향 회전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원격 검침 제어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이의 제기에 따른 과금 오류발생 여부가 확인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환불 계좌 정보에 따라 환불 계좌로 환불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상기 추출되는 검침값의 변화량을 파악하여 상기 계량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
  6. 촬영 수단이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계량기의 검침 계수가 노출되는 일 측을 촬영하는 단계;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촬영 수단의 온/오프 및 방향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세대별 수도, 전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검침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주기적으로 수도공사 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및 가스공사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가액 산출 정보에, 상기 추출된 검침값을 적용하여 예상 청구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과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실제 청구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상 청구액과 상기 실제 청구액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수도공사서버, 한국전력공사 서버, 가스공사 서버 및 공동주택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이의를 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촬영 수단 또는 세대별 고유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관리 장치가 상기 수신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촬영 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검침값 및 상기 산출된 예상 청구액을 상기 원격 검침 제어 전용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70042834A 2017-04-03 2017-04-03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04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34A KR102047767B1 (ko) 2017-04-03 2017-04-03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34A KR102047767B1 (ko) 2017-04-03 2017-04-03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34A true KR20180112234A (ko) 2018-10-12
KR102047767B1 KR102047767B1 (ko) 2019-11-22

Family

ID=6387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34A KR102047767B1 (ko) 2017-04-03 2017-04-03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76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329A (ko) * 2000-01-14 2001-08-01 박대영 상수도 무선 검침 자동화 시스템
KR200317048Y1 (ko) 2003-02-21 2003-06-25 유영재 무선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장치
KR200325154Y1 (ko) 2003-05-21 2003-09-02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원격 검침기능을 갖는 분전함
KR20040111287A (ko) * 2004-12-06 2004-12-31 주식회사 혜만테크 디지털 적산전력계의 원격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3208Y1 (ko) 2006-05-23 2006-08-03 한국전력공사 패치안테나를 이용한 집합형 공동주택 전기원격검침장치
KR200430811Y1 (ko) 2006-08-25 2006-1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통신 모듈
KR20110108517A (ko) * 2010-03-29 2011-10-06 (주) 엑스루션이엔지 메시방식 원격가스검침시스템
KR20110131537A (ko) * 2010-05-31 2011-12-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실시간 에너지 정보 표시 시스템
KR20140062737A (ko) * 2012-11-15 2014-05-26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원격 검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329A (ko) * 2000-01-14 2001-08-01 박대영 상수도 무선 검침 자동화 시스템
KR200317048Y1 (ko) 2003-02-21 2003-06-25 유영재 무선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장치
KR200325154Y1 (ko) 2003-05-21 2003-09-02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원격 검침기능을 갖는 분전함
KR20040111287A (ko) * 2004-12-06 2004-12-31 주식회사 혜만테크 디지털 적산전력계의 원격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3208Y1 (ko) 2006-05-23 2006-08-03 한국전력공사 패치안테나를 이용한 집합형 공동주택 전기원격검침장치
KR200430811Y1 (ko) 2006-08-25 2006-11-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통신 모듈
KR20110108517A (ko) * 2010-03-29 2011-10-06 (주) 엑스루션이엔지 메시방식 원격가스검침시스템
KR20110131537A (ko) * 2010-05-31 2011-12-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실시간 에너지 정보 표시 시스템
KR20140062737A (ko) * 2012-11-15 2014-05-26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원격 검침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767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3403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itializing a meter reading device
US20140279712A1 (en) Utility monitoring and billing systems, and methods
US9523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correcting metering data in non-metered section
IT202000015196A1 (it) Contatore dell'acqua controllabile da remoto e relativi sistema di monitoraggio e metodo di controllo
EP3054437A2 (en) Digital power meter reader system for remote meter reading, and utilizing method using same
CN113992728A (zh) 智能水表的远程控制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Chore et al. IoT based smart electricity meter and billing system
KR20180112234A (ko)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08117247A (ja) 前払い式のlpガス料金徴収方法およびシステム
Shinde et al. New development in energy meter reading system
KR20200130103A (ko)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및 취합 서버
KR20180007159A (ko) 자가발전원 적용 바코드 스캔을 이용한 유량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10004409A (ko) 자율형 통합 원격검침 및 요금고지 시스템
KR102297670B1 (ko) 스마트 원격검침 rtu
JP6023258B2 (ja) プリペイド型電力量計
KR101627963B1 (ko) 수도 자동 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100504210B1 (ko) 원격화상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 유수율관리 및유량검침 시스템
KR101932056B1 (ko) 가스 사용량 디지털 데이터화 및 열감지 센서 분석을 통한 가스제어시스템 을 이용한 원격통합관리시스템
KR20220127018A (ko) 복수의 수용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한 상수도 누수 검출 시스템
KR101342691B1 (ko) 유량계 원격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계 고장 판단장치 및 방법
JP6147205B2 (ja) メータデータ確認装置及びメータデータ確認方法
KR20160073504A (ko) 빌딩 내부 ems 에너지 유출 방지를 위한 개별센서기반 에너지 가디언 시스템
US20170300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monitoring and budgeting for utilities consumption
KR100601335B1 (ko) 원격 검침 시스템
KR100582213B1 (ko) 전력량 자동 원격 검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