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20A - 콘카락 - Google Patents

콘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20A
KR20180112220A KR1020170042403A KR20170042403A KR20180112220A KR 20180112220 A KR20180112220 A KR 20180112220A KR 1020170042403 A KR1020170042403 A KR 1020170042403A KR 20170042403 A KR20170042403 A KR 20170042403A KR 20180112220 A KR20180112220 A KR 2018011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rotrusion
tube
pi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복
Original Assignee
김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복 filed Critical 김경복
Priority to KR102017004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220A/ko
Publication of KR2018011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카락(10)은 선단원주외측 돌기(1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116)와 외측돌기(112,(113,114,115)구비 및 와류와 대칭되며, 대칭사이에 칼집구비 관(1)과 관(1) 또는 관(1)과 박스(2) 또는 박스(2)와 박스(2)에 연결되는 출원자의 탄성체의 콘카락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에 있어서, 상기 칼집; 과 상기 칼집 통상의 일측에 상기 선단원주외측 돌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 및 외측돌기: 와 상기 칼집 통상의 타측에 상기 선단원주외측 돌기보다 적거나 또는 큰 선단원주 및 외측 돌기(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통상의 외측돌기(12): 와 상기 일측에 상기 내측돌기(116) 또는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상기 내측돌기(11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통상의 일측 외측돌기(113,114)의 외압으로 확대 관(2 일예16)을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의 돌기(116)가 통상의 관(2)을 고정하며, 통상의 타측에 상기 일측 보다 적거나 또는 큰 관(2 일예22)을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의 돌기(116)가 통상의 관(2)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통상의 일측 외측돌기(114,115)의 외압으로 축소 박스(1)의 삽입공(1a)에 외측돌기(11)를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 돌기(11) 및 외부 돌기(12)가 통상의 고정하며, 통상의 타측에 외측돌기(114,115)의 외압으로 축소 상기 일측 보다 적거나 또는 큰 박스(1)의 삽입공(1a)에 외측돌기(11)를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 돌기(11) 및 외부 돌기(12)가 통상의 고정한다.

Description

콘카락{pipe+pipe, box+box, hole combined}
본 발명은 배선을 보호하는 관과 관, 관과 박스, 박스와 박스연결하는 커넥타+ 커푸링 겸용인 출원자의 특허 및 출원의 콘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관을 상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커푸링겸용의 콘카락에 관한 것이다.
도 4 출원자의 특허10-1163835 동일관과 관연결 및, 관과 박스연결 대칭, 출원1020150077004의 콘카락(100)의 와류축경/확경/대칭 및 일측(A)및 타측(B)에 동일 관(1) 체결의 사용,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관과 박스연결하는 다양한 등록특허,실용의 콘넥타 및 카푸링의 사용상태 및 단면,사시도.
도 4 출원자의 배선관 상호를 연결하는 특허10-0234676,특허101163835,출원1020150077004는 5소재의 1규격의 관과 관, 관과 박스 및 박스와 박스연결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관을 상호를 연결하지 못하는 불편의 문제가 있다.
도 5 관과 박스연결하는 다양한 등록특허,실용의 콘넥타 및 카푸링의
관과 박스연결용 등록특허10-0432471, 10-0493456,10-0796728, 등록실용신안 20-0466523,20-0424190들은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하는 연결구들로서 배선관 상호를 연결하지 못하는 불편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단원주외측 돌기(1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116)와 외측돌기(112,(113, 114,115)구비 및 와류의 구비 및 대칭인 타측(B)구비되며, 대칭사이에 칼집구비 관(1)과 관(1) 또는 관(1)과 박스(2) 또는 박스(2)와 박스(2)에 연결되는 출원자의 탄성체의 콘카락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에 있어서, 상기 일측(A)의 선단원주외측 돌기보다 적거나 또는 큰 선단원주 및 외측 돌기(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통상의 외측돌기(12)구비의 타측(B): 상기 일측(A) 또는 상기 타측(B)에 상기 내측돌기(116)구비 또는 상기 일측(A) 및 타측(B)에 상기 내측돌기(116)구비의 콘카락(10)이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카락(10)은 선단원주외측 돌기(1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116)와 외측돌기(112,(113,114,115)구비 및 와류의 구비 및 대칭인 타측(B)구비되며, 대칭사이에 칼집구비 관(1)과 관(1) 또는 관(1)과 박스(2) 또는 박스(2)와 박스(2)에 연결되는 출원자의 탄성체의 콘카락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에 있어서, 상기 일측(A)의 선단원주외측 돌기보다 적거나 또는 큰 선단원주 및 외측 돌기(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통상의 외측돌기(12)구비의 타측(B): 상기 일측(A) 또는 상기 타측(B)에 상기 내측돌기(116)구비 또는 상기 일측(A) 및 타측(B)에 상기 내측돌기(116)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콘카락(10)은 출원자의 출원1020150077004의 축경/확경 손잡이(113),(114),(115)와 손잡이의 구멍 및 관통구(111a)의 물차단의 불편의 출원 및 상기 특허, 출원들의 철박스, 수지박스의 개별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는 상기 박스(2)들의 분기공(2a)에 고정되는 통상의 돌기(112)와 돌기(11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홈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돌기(112a)가 추가구비되며, 박스(2)들의 분기공(2a)에 고정(도 1, 통상의 얇은 박스(2)(철박스), 또는 고정(도 2, 통상의 두꺼운 박스(2)(수지박스))되게 구비할 수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측(A)에 통상의 내측돌기(116)구비 또는 타측(B) 또는 일측(A) 타측(B) 에 상기 내측돌기(116)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콘카락(10)은 일측(A)과 타측(B)이 연결되는 통상의 형상구비 또는 별도의 연결체를 결합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카락(10)은 통상의 탄성체로 구비되며, 와류축경되게 손잡이(113),(115)를 외압 박스(2)의 분기공(2a)에 선단원주 돌기(111)를 삽입후 외압 제거 엠보(112a) 또는 돌기(112)로 고정되며, 와류확경되게 손잡이(13),(15)를 외압 이때 배선관(1)을 삽입 및 외압을 해소하면 이때 복귀 및 내부의 관 삽입방향 경사구비의 돌부(1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선관(1)을 압착 고정되며, 손잡이(13),(14),(15)의 홈(미도시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의 도면참조)이 커버되게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카락은 특허10-1163835, 출원1020150077004 등은 양측에 5소재 1규격크기의 관(일예16)을 상호연결 하는 장점이 있으나 양측에 서로 다른 규격 즉 관(일예16)과 관(일예22)를 연결하지 못하는 불편을 해결한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크기의 관을 상호를 연결할 수 있는 콘카락(커넥터+커푸링겸) 효과의 본 특허의 장점이 있다.
이는 종래 4개부품의 주물커넥타를 1개로 커넥타와 커푸링을 겸용 대체 또한 7개 이상 부품의 방수후렉시볼 커넥타를 캡구성 2개의 부품으로 커넥타와 커푸링을 겸용한 대체 및 박스의 두께에 상관없이 고정되며, 경량 및 간편한 시공 및 다양한 겸용기능으로 배선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며, 지구자원절약 및 탄소배출 절약의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카락(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도 1의 일측(A)에 박스(2)의 분기공(2a)에 돌기(111),(112)고정 및 타측(B)의 관(1)체결의 내측돌기(116)를 중심으로 개약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도 1의 일측(A)에 체결의 관(1) 및 타측(B)의 관(1)의 크기 및 관(1)의체결의 내측돌기(116)를 중심으로 개약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 출원자의 특허10-1163835 동일관과 관연결 및, 관과 박스연결 대칭, 출원1020150077004의 콘카락(100)의 와류축경/확경/대칭 및 일측(A)및 타측(B)에 동일 관(1) 체결의 사용,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관과 박스연결하는 다양한 등록특허,실용의 콘넥타 및 카푸링의 사용상태 및 단면,사시도.
먼저, 출원자의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의 배선관 및 배선박스에 탈착되는 연결구는 선단원주 돌기(111) 및 돌기(111)의 일정거리에 돌기(112)구비, 돌기(112)의 일정거리에 축경의 한쌍의 손잡이(113,114,115) 및 돌기(116)구비의 대칭이 공지되고, 특허101163835는 손잡이(114)와 손잡이(113)의 와류외측 및 손잡이(113)의 관통(111a)을 통과 연장 및 상기 손잡이(113)와 통상의 확경되게 구성되는 손잡이(114)구비 및 칼집구비의 대칭이 출원되어 있다. 이들로 대체되며, 의견은 이들의 제시로 해결이 통상의 기술자가 인지하는 것으로 간주해 생락한다.
또한 출원과 다양한 등록특허,실용들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등록상 동일한 참조부호가 다르다 이들은 종래 관 탈착의 손잡이 위치의 개별구성의 불편함을 재선한 도 5 출원1020150077004는 원주에 일정거리에 나란히 손잡이를 구비하여 박스 및 배선관의 탈착 등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및 공지의 것으로 참조 및 대체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카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카락(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도 1의 일측(A)에 박스(2)의 분기공(2a)에 돌기(111),(112)고정 및 타측(B)의 관(1)체결의 내측돌기(116)를 중심으로 개약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도 1의 일측(A)에 체결의 관(1) 및 타측(B)의 관(1)의 크기 및 관(1)의체결의 내측돌기(116)를 중심으로 개약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도 3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콘카락(10)은 선단원주외측 돌기(1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116)와 외측돌기(112,(113,114,115)구비 및 와류와 대칭되며, 대칭사이에 칼집구비 관(1)과 관(1) 또는 관(1)과 박스(2) 또는 박스(2)와 박스(2)에 연결되는 출원자의 탄성체의 콘카락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에 있어서, 상기 칼집; 과 상기 칼집 통상의 일측에 상기 선단원주외측 돌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 및 외측돌기: 와 상기 칼집 통상의 타측에 상기 선단원주외측 돌기보다 적거나 또는 큰 선단원주 및 외측 돌기(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통상의 외측돌기(12): 와 상기 일측에 상기 내측돌기(116) 또는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상기 내측돌기(116)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통상의 일측 외측돌기(113,114)의 외압으로 확대 관(2 일예16)을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의 돌기(116)가 통상의 관(2)을 고정하며, 통상의 타측에 상기 일측 보다 적거나 또는 큰 관(2 일예22)을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의 돌기(116)가 통상의 관(2)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통상의 일측 외측돌기(114,115)의 외압으로 축소 박스(1)의 삽입공(1a)에 외측돌기(11)를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 돌기(11) 및 외부 돌기(12)가 통상의 고정하며, 통상의 타측에 외측돌기(114,115)의 외압으로 축소 상기 일측 보다 적거나 또는 큰 박스(1)의 삽입공(1a)에 외측돌기(11)를 내부에 삽입하고 외압제거에 복귀되며 내부 돌기(11) 및 외부 돌기(12)가 통상의 고정한다.
이상에서 각구성의 및 형성을 고루하게 설명할 수 있으나 제시된 등록특허,실용의 공지의 것들의 사용자 및 통상의 지식인이 인지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한 거절의 빌미가 되어서는 안 되며 참고 및 제시될 수 있다.

Claims (1)

  1. 선단원주외측 돌기(1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내측돌기(116)와 외측돌기(112,(113,114,115)구비 및 와류의 구비 및 대칭인 타측(B)구비되며, 대칭사이에 칼집구비 관(1)과 관(1) 또는 관(1)과 박스(2) 또는 박스(2)와 박스(2)에 연결되는 출원자의 탄성체의 콘카락 특허101163835 및 출원1020150077004에 있어서,
    상기 일측(A)의 선단원주외측 돌기보다 적거나 또는 큰 선단원주 및 외측 돌기(11) 및 적어도 하나 이상 통상의 외측돌기(12)구비의 타측(B):
    상기 일측(A) 또는 상기 타측(B)에 상기 내측돌기(116)구비 또는 상기 일측(A) 및 타측(B)에 상기 내측돌기(1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카락(100).
KR1020170042403A 2017-04-01 2017-04-01 콘카락 KR20180112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403A KR20180112220A (ko) 2017-04-01 2017-04-01 콘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403A KR20180112220A (ko) 2017-04-01 2017-04-01 콘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20A true KR20180112220A (ko) 2018-10-12

Family

ID=6387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403A KR20180112220A (ko) 2017-04-01 2017-04-01 콘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2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20583B2 (en) Enteral feeding connector
AU2017420801A1 (en) Multiports and devices having a connector port with a rotating securing feature
JPH07198083A (ja) コネクタ
TW201024558A (en) Universal joint
US983580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20180112220A (ko) 콘카락
US10493260B2 (en) Rotating connector
US20140329402A1 (en) Securing member for a connector
CN205031212U (zh) 一种内窥镜接头连接装置
US9964712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9242687B2 (en) Seat assembly
KR101264320B1 (ko) 산업용배관 연결용 피팅구
KR101810318B1 (ko) 배선관 및 배선박스용 콘카락
CN209839431U (zh) 一种燃气软管接头定位装置
JP6613136B2 (ja) 管ユニット
CN206988655U (zh) 一种弯头管件
CN209638627U (zh) 水管螺接结构
JP2005301152A (ja) アダプタユニット及び光プラグ
KR200445830Y1 (ko) 잔수 처리기의 흡입장치
JP3151344U (ja) 医療用コネクタ
CN208204284U (zh) 一种物料软管快速连接头
CN106051289B (zh) 一种水龙头把手
WO2022173312A8 (en) A pipe coupling
CN106996494A (zh) 一种弯头管件
KR200359043Y1 (ko) 마이크로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