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655A - Interlocking mechanism - Google Patents

Interlocking mech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655A
KR20180111655A KR1020180036755A KR20180036755A KR20180111655A KR 20180111655 A KR20180111655 A KR 20180111655A KR 1020180036755 A KR1020180036755 A KR 1020180036755A KR 20180036755 A KR20180036755 A KR 20180036755A KR 20180111655 A KR20180111655 A KR 2018011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transmitting
rack
lock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츠시 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11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6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Abstract

Provided is an interlocking mechanism, flexibly designing a layout and rapidly and stably interlocking two members. The interlocking mechanism comprises: a plurality of gears (71a, 71b) connecting a first member (10) to a second member (20); and an interlocking member (70) used as a deformation delivery member, freely deforming the gears (71a, 71b) in a non-linear shape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are relatively lifted, and the plurality of gears (71a, 71b) can be interlocked through the deformation delivery member, compressed by being twisted in the movement direction.

Description

연동기구{INTERLOCKING MECHANISM}Interlocking mechanism {INTER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떨어지는 방향 또는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ocking mechanism for moving at least one of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종래, 연동기구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콘솔에 구비된 컵홀더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홀더는, 원 형상의 컵 트레이와 원환(圓環) 형상의 규제체가 래크·피니언을 통해서 연결된 구성이다. 탑승자에 의해서 조작 버튼이 눌리면, 컵 트레이가 하강함과 함께 규제체가 상승해, 음료 등의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규제체가 밀려 내려가면, 컵 트레이가 밀려 올라가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래크·피니언은 컵 트레이 및 규제체의 둘레 가장자리 중 1개소에 배치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n interlocking mechanism is used, for example, in a cup holder provided in a console of an automobile. The cup holder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ircular cup tray and a circular-shaped regulating member are connected through a rack and pin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by a passenger, the regulator is lifted with the cup tray descending, and the container becomes able to accommodate a container such as a drink.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gulating body is pushed down, the cup tray is pushed up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rack pinion is disposed at one of the peripheral edges of the cup tray and the regulating body.

이렇게,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홀더는 단일한 래크·피니언에 의해 가동하기 때문에, 컵 트레이와 규제체가 수평으로 승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규제체를 밀어내릴 때의 하중이 래크·피니언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가해지면, 하중이 가해진 위치를 향해 규제체가 경사진다.In this way, the cup hold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operated by a single rack / pinion, so that the cup tray and the regulating member may not be able to move up and down horizontally. Particularly, when the load at the time of pushing down the regulating member is appli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rack and pinion, the regulating member is inclined toward the position where the load is applied.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 홀더 장치는, 상부 프레임체와 하부 프레임체가 래크·피니언을 통해서 연결되고, 피니언이 회전축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회전축은 봉 형상이며 하부 프레임체의 양단에 걸쳐서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축을 통해서 양단의 피니언이 연동함으로써, 래크와 함께 상하 각 프레임체가 승강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iner holder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connected via a rack and pinion, and the pin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The rotary shaft is rod-like and linearly arranged over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body.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inions at both ends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otary shaf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rame bodies ar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rack.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10745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07456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22199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21992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컵홀더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한 래크·피니언에 의해 가동하기 때문에, 컵 트레이와 규제체가 수평으로 승강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 홀더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이 봉 형상이며 하부 프레임체의 양단에 걸쳐서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이나 래크·피니언의 레이아웃이 제한된다. 그 때문에,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cup hold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operated by a single rack and pin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cases where the cup tray and the regulating body can not be raised or lowered horizontally.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holder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rod-shaped rotary shaft and is linearly arranged over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body, so that the layout of the rotary shaft and the rack and pinion is limited. Therefore, the layout can not be flexibly designed.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해서 제안된 것이다. 즉,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고, 2개의 부재를 빠르면서도 안정되게 연동시킬 수 있는 연동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is situation. Tha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locking mechanism capable of flexibly designing a layout and interlocking two members quickly and stab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떨어지는 방향 또는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부재가 구비된 연동기구로서, 상기 연동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전달 부재와, 상기 연결 전달 부재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자유롭게 비선형상(非線形狀)으로 변형하는 변형 전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이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변형 전달 부재를 통해서 복수의 상기 연결 전달 부재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locking member for mo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interlocking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for connec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deformation which freely deforms into a nonlinear shape while connecting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with each oth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rotating in the moving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부재는, 이동 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1 래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이동 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2 래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전달 부재는, 상기 제 1 래크와 상기 제 2 래크를 맞물리게 하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racks in the moving direction,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racks in the moving direction, Is a gear that engages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 변형 전달 부재가 밀착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상기 밀착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 contact coil spring,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contact coil spring is compressed.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 변형 전달 부재가 와이어이며,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 wir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wire is compressed.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 연결 전달 부재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관통된 상기 변형 전달 부재를 통해서 상기 연결 전달 부재끼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penetrating the opening.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 제 1 부재에, 수용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용물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부재에, 수용물이 얹어놓아지는 착좌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가 이동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제 2 래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가 이동한 후에 있어서 상기 착좌면부의 주위에 상기 제 1 래크가 배치되고, 상기 연동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n acceptanc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ide face of the receptacle and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face portion on which the receptacle is placed, The second rack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receptacle holding portion before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first rack is provided arou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after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interlock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 수용물 지지부 및 상기 착좌면부가, 이동 방향을 축으로 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are circular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xis.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상기한 구성이다. 즉, 변형 전달 부재가 자유롭게 만곡 또는 굴곡됨으로써 비선형상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연동 부재의 레이아웃이 자유로워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변형 전달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각 연결 전달 부재가 거의 동시에 연동하기 때문에, 빠르면서도 안정되게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at is,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deformed into a non-linear shape by freely curving or bending. Therefore, the layout of the interlocking member is free, and the layout can be flexibly designed. Further, since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can be moved quickly and stably because each of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coincide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에 따르면, 제 1 부재는 이동 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1 래크가 구비되고, 제 2 부재는 이동 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2 래크가 구비되고, 연결 전달 부재는 제 1 래크와 제 2 래크를 맞물리게 하는 기어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래크를 통해서 기어가 회전함과 함께 변형 전달 부재가 회전하고, 변형 전달 부재를 통해서 각 기어가 거의 동시에 회전한다. 동시에, 각 래크를 통해서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빠르면서도 안정되게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rack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rack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econd rack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ith this configuration, as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the gear rotates through the rack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rotates, Each gear rotates almost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relatively move through the respective racks. Therefor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can be moved relatively quickly and stably.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변형 전달 부재가 밀착 코일스프링이며,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밀착 코일스프링이 압축된다. 즉, 밀착 코일스프링이 자유롭게 만곡되기 때문에, 연동 부재의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밀착 코일스프링이 비틀림으로써, 밀착 코일스프링이 압축되어 강성이 높아지고, 각 연결 전달 부재가 거의 동시에 연동한다. 따라서, 빠르면서도 안정되게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n urging coil spring,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urging coil spring is compressed. That is, since the contact coil spring is bent freely, the layout of the interlocking member can be flexibly designed. Further, the contact coil spring is twis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moved, so that the contact coil spring is compressed to increase the rigidity, and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are interlocked almost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can be moved quickly and stably.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변형 전달 부재가 와이어이며,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와이어가 압축된다. 즉, 와이어가 자유롭게 만곡되기 때문에, 연동 부재의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와이어가 비틀림으로써, 와이어의 강성이 높아지고, 각 연결 전달 부재가 거의 동시에 연동한다. 따라서, 빠르면서도 안정되게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 wir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wire is compressed. That is, since the wire is curved freely, the layout of the interlocking member can be flexibly designed. Further, since the wire is twis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moved, the rigidity of the wire is increased, and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are interlocked almost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can be moved quickly and stably.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연결 전달 부재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관통된 변형 전달 부재를 통해서 연결 전달 부재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적은 부품으로 연동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penetrating the opening. Therefore, the interlocking member can be constituted by a small number of parts.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제 1 부재에 수용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용물 지지부가 구비되고, 제 2 부재에 수용물이 얹어놓아지는 착좌면부가 구비되고,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하기 전에 있어서 수용물 지지부의 내주측에 제 2 래크가 배치되고,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가 이동한 후에 있어서 착좌면부의 주위에제 1 래크가 배치되고, 연동 부재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래크를 통해서 수용물 지지부가 상승함과 함께 착좌면부가 하강하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용물을 착좌면부에 얹어놓고 수용물 지지부에 지지시킬 수 있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n acceptanc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ide face of the receptacle and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face portion on which the receptacle is placed and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moved The second rack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accommodating support portion before the first member is moved, the first rack is disposed arou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after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moved, And is disposed between the members. That is,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rises through the respective racks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descends,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 in the direction of falling. Therefore, the acceptance can be supported on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by being placed on the seating surfac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구는, 수용물 지지부 및 착좌면부가 이동 방향을 축으로 한 원형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음료 용기 등의 수용물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are circular in shape with the moving direction as the axis. Therefore, for example, the receptacle such as a beverage container can be suitably sup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전의 상태가 도시된 작동전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후의 상태가 도시된 작동후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한 부재가 도시되며, 도 5(a)는 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b)는 측방에서 바라본 A-A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한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의 연동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전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9(a)는 내부의 사시도, 도 9(b)는 도 9(c)에 있어서의 B-B 부분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9(c)는 평면 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중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0(a)는 내부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0(c)에 있어서의 C-C 부분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c)는 평면 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후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a)는 내부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c)에 있어서의 D-D 부분 단면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c)는 평면 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전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2(a)는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E-E 측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전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3(a)는 측면도, 도 13(b)는 도 13(a)의 F-F 평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중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4(a)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G-G 측면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중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5(a)는 측면도, 도 15(b)는 도 15(a)의 H-H 평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후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6(a)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I-I 측면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의 작동후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7(a)는 측면도, 도 17(b)는 도 17(a)의 J-J 평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가 구비된 컵홀더에 있어서의 한 부재의 변형예와 작동 상태가 도시되며, 도 18(a)는 한 부재의 사시도, 도 18(b)는 작동전의 상태가 도시된 부분 단면 개략도, 도 18(c), 도 18(d)는 작동중의 상태가 도시된 부분 단면 개략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fter operation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provided with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provided with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top plan view of the cup holder.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mber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locking member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provided with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Fig. 9 (b) 9 (c) is a plan view perspective view
Fig. 10 shows a state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operation. Fig. 10 (a)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Fig. 10 (b) 10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Fig. 11 shows a state after operation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a)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Fig. 11 (b) 11 (c) is a plan view perspective view
12 (a) is a plan view, and FIG. 12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side elevation of the EE of FIG. 12 (a)
13 (a) is a side view, and Fig. 13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FF plane of Fig. 13 (a)
14 (a) is a plan view, and FIG. 14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ide elevation of the GG in FIG. 14 (a)
15 (a) is a side view, and Fig. 15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in Fig. 15 (a)
Fig. 16 shows a state after operation of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a) is a plan view, Fig. 16 (b)
17 (a) is a side view, and Fig. 17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in Fig. 17 (a)
18 (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member, and Fig. 18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a member in the cup holder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c) and Fig. 18 (d) are partial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s showing the state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는, 2개의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각 부재가 떨어지는 방향 또는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다양한 기구에 이용된다. 그 일례인 본 실시형태는, 연동기구가 예를 들면 자동차(도시 생략)의 콘솔에 구비된 컵홀더에 조립된 경우의 구성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를 컵홀더와 함께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t least one of the two members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member falls or in a direction to approach each member and is used for various mechanisms.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s one example of 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rlocking mechanism is assembled in a cup holder provided in, for example, a console of an automobile (not shown). Hereinafter,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gether with the cup holder.

도 1 및 도 2는 연동기구가 조립된 컵홀더(1)가 콘솔(2)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은 컵홀더(1)가 사용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2는 컵홀더(1)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3은 연동기구가 조립된 컵홀더(1)의 구성 부재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컵홀더(1)와 함께 연동기구가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1 with the interlocking mechanism assembled is attached to the console 2. Fig. 1 shows a state before the cup holder 1 is used, Fig. 2 shows a state before the cup holder 1 1) is being used. Fig. 3 shows the appearance of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cup holder 1 in which the interlocking mechanism is assembled.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together with the cup holder 1.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컵홀더(1)는 서로가 상대적으로 승강하는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가 지지체(40)에 지지되며, 각 부재(10, 20)가 서로 다가가는 방향 또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컵홀더(1)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각 부재(10, 20)가 콘솔(2)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어서 평탄하게 배치되며 콘솔(2)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 중일 경우, 콘솔(2)의 표면으로부터 제 1 부재(10)가 돌출함과 함께, 제 2 부재(20)가 콘솔(2)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부재(10, 20)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승하는 방향을 위쪽으로 하고, 하강하는 방향을 아래쪽으로 하고,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측방으로 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10, 20)의 위치를 제 1 위치로서의 비사용 위치로 하고(도 12(b)의 부호(Y1) 참조), 사용 중의 상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10, 20)의 위치를 제 2 위치로서의 사용 위치(Y2)로 한다(도 16(b)의 부호(Y2) 참조).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up holder 1 is supported by a support body 40, in which a first member 10 and a second member 20, which are relatively lifted and lower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20 are movable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1, when the cup holder 1 is not in use, the respective members 10 and 20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of the console 2 and are arranged flat and the inside of the console 2 Respectively. 2, when the first member 10 is in use, the first member 10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console 2, and the second member 20 is led into the inside of the console 2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s of upward movement of the members 10, 20 are upward, the downward direction is downward,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lateral. The positions of the members 10 and 20 in the unused state are set as the non-use positions as the first positions (see reference sign (Y 1 ) in FIG. 12 (b)), and the position of the members 10 and 20 to the use position as a second position (Y 2) (reference numeral (Y 2) of FIG. 16 (b)).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컵홀더(1)는,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와, 각 부재(10, 20)를 비사용 위치(Y1)와 사용 위치(Y2)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40)와, 이 지지체(40)에 제 2 부재(20)와 함께 지지되어 제 2 부재(20)를 비사용 위치(Y1)에서 로크하는 로크 부재(60)와,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연동시키는 연동 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3 and 4, the cup holder 1 includes a first member 10 and a second member 20, and the respective members 10 and 20 are placed in a non-use position Y 1 , use position (Y 2) the second member (20) is supported together with the second member 20, the non-use position to a support 40, a support 40 that movably supported between the (Y 1) And an interlocking member 70 for interlocking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with each other.

여기에서, 지지체(40)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지지체(40)의 평면 및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Here, the support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5 show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 of the support 40. Fig.

<지지체(40)><Support (40)>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체(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통부(41)와, 이 하측 통부(41)의 상단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접되어 측방을 향해 벌어진 원환 형상의 지지체 바닥부(44)와, 이 지지체 바닥부(44)의 상면에 형성되어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바깥쪽 상측 통부(45) 및 안쪽 상측 통부(47)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바닥부(44)는 상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한 걸림봉부(48)가 형성되어 있다.4 and 5, the support body 40 includes a lower tube portion 4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annular-shaped portion 41 which is joined to the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portion 41 and laterally A support bottom part 44 and a cylindrical upper outer tubular part 45 and an inner upper tubular part 4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ttom part 44 and arranged concentrically. The supporting body bottom portion 44 is formed with a latching bar portion 48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하측 통부(41)는 상단의 둘레 가장자리의 내측에 고정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42)는 내측을 향해 돌출해서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통부(41)의 내측인 수용 구멍(43)은 상하로 관통해 있다. 바깥쪽 상측 통부(45)는, 지지체 바닥부(44)의 원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올려지고, 상단의 원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측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부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46)는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사방에 배치되어 있다. 안쪽 상측 통부(47)는, 바깥쪽 상측 통부(45)보다도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함께 바깥쪽 상측 통부(45)보다도 내측에 배치되며, 또한 하측 통부(41)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cylinder portion 41 has a fixing portion 42 formed inside the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end thereof. The fixing portion 4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The receiving hole 43,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ular portion 41, passes vertically. The outer upper tubular portion 45 is raised up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upport bottom portion 44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attachment portions 46 extending sideways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at the upper end. The attachment portions 46 are arranged at four sides with a spacing of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40. The inner upper tubular portion 47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outer upper tubular portion 45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an the outer upper tubular portion 45 and larger in diameter than the lower tubular portion 41.

지지체 바닥부(44)는 하면에 있어서 하측 통부(41)의 측방에 연동 부재 수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동 부재 수용부(49)는 한 쌍이며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동 부재 수용부(49)는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며 연동부 지지부(50)와 래크 수용 구멍(52)이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동부 지지부(50)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한 연동부 지지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래크 수용 구멍(52)은 지지체 바닥부(44)를 상하로 관통해 있다. 래크 수용 구멍(52)은, 안쪽 상측 통부(47)와 바깥쪽 상측 통부(45)의 사이에 배치된 바깥쪽 수용 구멍(53)과, 안쪽 상측 통부(47)와 하측 통부(41)의 사이에 배치된 안쪽 수용 구멍(54)으로 구성되어 있다.An interconnecting member receiving portion 49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ttom portion 44 on the side of the lower tubular portion 41. These interlocking member receiving portions 49 are a pair and are arranged at a distance of about 180 degrees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ing body 40. Further, the interlocking member receiving portion 49 protrudes downward, and the interlocking portion supporting portion 50 and the rack receiving hole 52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interlocking portion support portion (50) is formed with an interlocking portion support hole (51) penetr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ck receiving hole 52 penetrates the support bottom portion 44 up and down. The rack receiving hole 52 is formed by an outer receiving hole 53 disposed between the inner upper tubular portion 47 and the outer upper tubular portion 45 and between the inner upper tubular portion 47 and the lower tubular portion 41 And an inner receiving hole 54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다음으로, 제 1 부재(10) 및 제 2 부재(20)를 도 3 및 도 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Next,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제 1 부재(10)>&Lt; First member 10 >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10)는 제 1 부재 본체부(11)와 수용물 지지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 본체부(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부재 바닥부(12)와, 이 제 1 부재 바닥부(1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위쪽을 향해 세워올려진 제 1 래크(13a, 1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재 바닥부(12)는 중앙에 제 2 부재(20)가 통과하는 통과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래크(13a, 13b)는 한 쌍이며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래크(13a, 13b)는 서로 대면하며 서로가 대면하는 측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물 지지부(1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래크(13a, 13b)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수용물 지지부(15)는, 예를 들면 음료용기 등의 수용물(도시 생략)이 수용되는 크기이며 용기의 측면이 지지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member 10 is composed of a first member main body portion 11 and an acceptance support portion 15. As shown in Fig. The first member body portion 11 includes a first member bottom portion 12 formed in a disk shape and first racks 13a and 13b raised upward from the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member bottom portion 12 ). The first member bottom (12) has a through hole (14) through which the second member (20) passes. The first racks 13a and 13b are a pair and are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body 40. [ The first racks 13a and 13b face each other and have teeth formed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racks 13a and 13b.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is sized to accommodate, for example, a receptacle (not shown) such as a beverage contain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ptacle is supported.

<제 2 부재(20)>&Lt; Second member 20 >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는 제 2 부재 본체부(21)와 제 2 부재 구동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재 본체부(2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착좌면부(22)와, 이 착좌면부(22)의 중앙에 형성된 조작부(23)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작부(23)의 하면에 조작용 코일스프링(24)(도 12 참조)을 통해서 연결된 해제 부재(25)와, 착좌면부(2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된 제 2 래크(32a, 32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재 구동부(33)는, 해제 부재(25)가 관통되는 제 2 가압 부재로서의 구동용 코일스프링(34)과, 이 구동용 코일스프링(34)의 하단에 부착됨과 함께 해제 부재(25)의 하단에 접속되는 원통 형상 또는 원주 형상의 제 2 부재 바닥부(35)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econd member 20 is composed of a second member main body portion 21 and a second member driver 33. As shown in Fig. The second member main body portion 21 includes a seating surface portion 22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 operating portion 2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A releasing member 25 connected via the operating coil spring 24 (see Fig. 12), and second racks 32a and 32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edg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ember driving unit 33 includes a driving coil spring 34 as a second pressing member through which the releasing member 25 passes, a second member driving member 34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coil spring 34, And a second member bottom portion 35 of cylindrical shape or columnar shap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member 25.

해제 부재(25)는, 상하로 연장된 원주 또는 원통 형상의 지주부(26)의 측면에 걸림 돌출부(27) 및 맞닿음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7)는 한 쌍이며, 지주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7)는, 지주부(26)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임과 함께 측방을 향해 돌출되며 일부에 걸림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8)는 노치이다. 맞닿음 돌출부(29)는 한 쌍이며 지주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맞닿음 돌출부(29)는 지주부(26)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임과 함께 측방을 향해 돌출되며 일부에 공극(30)이 형성되어 상하로 분단되어 있다. 공극(30)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29)의 하단면에 맞닿음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7) 및 맞닿음 돌출부(29)는 지주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28)와 맞닿음부(31)는 상하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27, 29)는 지주부(26)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번갈아서 배치되어 있다.The releasing member 25 is formed with a latch projection 27 and an abutment projection 29 on the side surfaces of a circumferential or cylindrical support portion 26 extending vertically. The engaging protrusions 27 are a pair and are disposed at intervals of about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portion 26. [ The latching projection 27 protrudes sideways together with the rod-shaped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latching portion 28 is formed in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latching portion 26. The latching portion 28 is a notch. The abutting protrusions 29 are a pair and are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portion 26. [ The abutting protrusion 29 protrudes sideways with the bar-shaped upstanding extending vertically on the side surface of the abutment portion 26, and a gap 30 is formed in a part thereof and is vertically divided. An abutting portion 31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butment projection 29 in the gap 30. The engaging protrusions 27 and the abutting protrusions 29 are disposed at intervals of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portion 26. The engaging portion 28 and the abutting portion 31 are arrang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protrusions 27 and 29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interval of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upport portion 26.

제 2 래크(32a, 32b)는 한 쌍이며 지지체(4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2 래크(32a, 32b)는 서로 대면하며 서로가 대면하는 측과 반대측의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착좌면부(22)는 용기가 얹어놓아지는 크기이다.The pair of second racks 32a and 32b are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body 40. [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face each other, and teeth are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each other.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is the size to which the container is placed.

다음으로, 로크 부재(60)를 도 6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로크 부재(6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Next, the lock member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6 shows the appearance of the lock member 60. Fig.

<로크 부재(60)><Locking Member (60)>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60)는 원환이며, 내주면에 한 쌍의 통과 홈부(61)와 한 쌍의 걸림 홈부(6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63)가 형성되고, 상면에 걸림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 홈부(61)는 한 쌍이며, 로크 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 홈부(62)도 한 쌍이며 로크 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8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홈부(61, 62)는 로크 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번갈아서 배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60)는 상면에 있어서, 통과 홈부(61)와 걸림 홈부(62)의 사이에 평면부로서의 제 1 평면부(65) 및 제 2 평면부(69)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평면부(65, 69)는 각 홈부(61, 62)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로크 부재(60)의 중심을 향해 돌출해 있다.6, the lock member 60 is a toric member, and has a pair of passing groove portions 61 and a pair of engaging groove portions 6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ortions 63 And an engagement projecting portion 6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pair of passage grooves 61 are formed at a distance of about 180 degrees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ck member 60.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grooves 62 are also paired and are formed at intervals of about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ck member 60. [ The grooves 61 and 62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interval of abo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ck member 60. [ A first flat surface portion 65 and a second flat surface portion 69 as planar portions are formed between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and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6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 member 60. [ In other words, each flat surface portion 65, 69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lock member 60 between the respective groove portions 61, 62.

통과 홈부(61)는 제 1 평면부(65)와의 경계에 감속부로서의 감속 경사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감속 경사면부(66)는 통과 홈부(61)에 있어서, 로크 부재(6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경사져 있다. 환언하면,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감속 경사면부(66)의 양측에 평면부(65)와 통과 홈부(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속 경사면부(66)는 소정의 슬라이딩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갖는 부재이다.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is formed with a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as a deceleration portion at the boundary with the first flat face portion 65.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is inclined in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by gradually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upper face of the lock member 60 toward the lower face. In other words, the flat surface portion 65 and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celeration slanting surface portion 6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urther,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is a member having a frictional force causing a predetermined sliding resistance.

걸림 홈부(62)는 제 2 평면부(69)와의 경계에 걸림 경사면부(67)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경사면부(67)는 걸림 홈부(62)에 있어서, 로크 부재(6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경사져 있다. 환언하면, 원주 방향에 있어서 걸림 경사면부(67)의 양측에 제 2 평면부(69)와 걸림 홈부(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engaging groove portion 62 is formed with a locking slant surface portion 67 at the boundary with the second flat surface portion 69. The engaging slope 67 is inclined in the engaging groove 62 by gradually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 member 60 toward the lower surface. In other words, the second flat surface portion 69 and the engaging groove portion 6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slant surface portion 67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돌기부(63)는 측방을 향해 돌출되며, 로크 부재(60)의 중심축에 대해서 서로 약 120도의 간격을 두고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64)는 위쪽을 향해 돌출함과 함께, 상단이 원주 방향으로 굴절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64)는 제 1 가압 부재로서의 토션스프링(68)이 접속되어 있다.The protrusions 63 protrude sideways and are formed at three positions with an interval of about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ck member 60. [ The engaging protrusion 64 protrudes upward, and the upper end is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atching projection 64 is connected to a torsion spring 68 as a first pressing member.

다음으로, 연동 부재(70)를 도 7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연동 부재(7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Next, the interlocking member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7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terlocking member 70. Fig.

<연동 부재(70)>&Lt; Interlocking member 70 >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동 부재(70)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전달 부재(71a, 71b)와, 이 연결 전달 부재(71a, 71b)끼리를 연결하는 변형 전달 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전달 부재(71a, 71b)는 예를 들면 기어이며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71a, 71b)의 구멍에 관통된 변형 전달 부재(72)를 통해서 기어(71a, 71b)끼리가 연결되어 연동 부재(70)가 구성되어 있다. 또, 기어(71a, 71b)는 회전식 댐퍼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7, the interlocking member 7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71a and 71b connecting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And 7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71a and 71b are, for example, gears and have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gears 71a and 7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penetrating through the holes of the gears 71a and 71b to constitute an interlocking member 70. [ The gears 71a and 71b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damper.

변형 전달 부재(72)는, 예를 들면 밀착 코일스프링이나 비틀림와이어 등이며 자유롭게 비선형상으로 변형한다. 여기에서, 비선형상이란 직선이 아닌 것을 말한다. 즉, 변형 전달 부재(72)는 자유롭게 만곡 또는 굴곡된다. 변형 전달 부재(72)는 기어(71a, 71b)가 회전함으로써 압축된다. 밀착 코일스프링을 예로 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밀착 코일스프링은 기어(71a)가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압축되는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이 때문에, 기어(71a)가 회전하면 밀착 코일스프링의 일단부(73)가 화살표(L)의 방향으로 비틀린다. 밀착 코일스프링은 압축됨과 함께 강성이 높아지고, 일단부(73)에 추종해서 타단부(74)가 화살표(R)의 방향으로 비틀린다. 동시에, 기어(71b)가 화살표(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작용은 변형 전달 부재(72)가 비틀림와이어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for example, a contact coil spring or a twisted wire, and is freely deformed into a non-linear shape. Here, the nonlinear phase is not a straight line. That is,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freely curves or curves.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compressed as the gears 71a and 71b rotate. The close contact coil spring is wound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compressed when the gear 71a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 Therefore, when the gear 71a is rotated, the one end portion 73 of the close contact coil spring is twis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The contact coil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rigidity is increased, and the other end portion 74 is twis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following the one end portion 73. At the same time, the gear 71b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R. This action is the same even if the strain transmitting member 72 is a twisted wire.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재(10, 20, 40, 60, 70)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각 부재(10, 20, 40, 60, 70)의 조립 수순을 도 4, 도 6, 도 7 및 도 8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컵홀더(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mbers 10, 20, 40, 60, and 70 are configured. Next,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members 10, 20, 40, 60, and 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6, 7, and 8. Fig. Fig. 8 shows the appearance of the cup holder 1. Fig.

도 4 및 도 8에 있어서, 지지체(40)의 연동 부재 수용부(49)에 연동 부재(70)가 수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동 부재(70)의 기어(71a, 71b)가 연동 부재 수용부(49)의 연동부 지지 구멍(51)에 수용되고, 연동 부재(70)의 변형 전달 부재(72)가 만곡해서 지지체(40)의 하측 통부(41)를 반 바퀴 돈 상태에서 하측 통부(41)의 외주에 배치된다.4 and 8, the interlocking member 7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locking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49 of the support body 40.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gears 71a and 71b of the interlocking member 70 are received in the interlocking portion support holes 51 of the interlocking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49, and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of the interlocking member 70 is bent So that the lower cylinder portion 41 of the support body 40 is plac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ylinder portion 41 in a half-turn state.

도 4 및 도 6에 있어서, 제 2 부재(20)의 제 2 부재 본체부(21)에 로크 부재(60)가 부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로크 부재(60)가 제 2 부재 본체부(21)의 해제 부재(25)에 관통되고, 로크 부재(60)의 걸림 경사면부(67)가 해제 부재(25)에 있어서의 걸림 돌출부(27)의 걸림부(28)에 걸리고, 로크 부재(60)의 제 1 평면부(65)에 해제 부재(25)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29)의 맞닿음부(31)가 맞닿는다.4 and 6, the lock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second member main body portion 21 of the second member 20. The locking member 60 is passed through the releasing member 25 of the second member main body 21 and the engaging slope surface portion 67 of the locking member 60 is engaged with the releasing member 25 of the releasing member 25. [ The abutting portion 31 of the abutting projection 29 of the releasing member 25 abuts against the first flat surface portion 65 of the lock member 60 All.

이 상태에서, 도 4에 있어서 제 2 부재 본체부(21)와 제 2 부재 구동부(33)가 상하로부터 지지체(40)에 부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해제 부재(25)가 위쪽으로부터 지지체(40)의 수용 구멍(43)에 관통됨과 함께, 로크 부재(60)의 돌기부(63)가 지지체(40)의 고정부(42)에 배치되고, 제 2 부재 본체부(21)의 제 2 래크(32a, 32b)의 선단부가 연동 부재 수용부(49)의 안쪽 수용 구멍(54)에 관통된다. 로크 부재(60)는 고정부(42)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2 래크(32a, 32b)는 기어(71a, 71b)와 맞물린다. 토션스프링(68)은 지지체(40)의 지지 바닥부(44)의 걸림봉부(48)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부재 구동부(33)가 아래쪽으로부터 수용 구멍(43)에 관통되고, 구동용 코일스프링(34)이 고정부(42)의 아래에 맞닿아 압축된 상태에서, 제 2 부재 바닥부(35)가 해제 부재(25)의 하단에 접속된다.4, the second member main body 21 and the second member driver 33 are attached to the support body 40 from above and below. The protruding portion 63 of the lock member 60 is disposed at the fixed portion 42 of the support body 40. The protruding portion 63 of the lock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 43 of the support body 40 from above, And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of the second member main body portion 21 pass through the inner receiving hole 54 of the interlocking member receiving portion 49. [ The lock member (60) is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ixing portion (42). And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are engaged with the gears 71a and 71b. The torsion spring 68 is connected to the latching bar portion 48 of the support bottom portion 44 of the support body 40. The second member driving portion 33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hole 43 from the bottom and the driving coil spring 34 abuts against the bottom of the fixed portion 42 to be compressed, 35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leasing member 25.

다음으로, 도 4 및 도 8에 있어서, 수용물 지지부(15)와 제 1 부재 본체부(11)가 상하로부터 지지체(40)에 부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부재 본체부(11)의 제 1 래크(13a, 13b)의 선단부가 아래쪽으로부터 연동 부재 수용부(49)의 바깥쪽 수용 구멍(53)에 관통되고, 제 1 부재 바닥부(12)의 통과 구멍(14)에 제 2 부재 바닥부(35)가 배치된다. 제 1 래크(13a, 13b)는 기어(71a, 71b)와 맞물린다. 또한, 수용물 지지부(15)가 위쪽으로부터 바깥쪽 상측 통부(45)와 안쪽 상측 통부(47)의 사이에 관통되며 제 1 래크(13a, 13b)의 상단에 접속된다.Next, in Fig. 4 and Fig. 8,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and the first member main body portion 11 are attached to the support body 40 from above and below.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racks 13a and 13b of the first member main body portion 11 penetrate from the lower side to the receiving hole 53 outside the interlocking member receiving portion 49, And the second member bottom portion 35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4 of the second member 12. The first racks 13a and 13b are engaged with the gears 71a and 71b.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penetrates from the upper side between the upper upper tubular portion 45 and the upper upper tubular portion 47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racks 13a and 13b.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컵홀더(1)에서는, 연동 부재(70)가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측, 또한 해제 부재(2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2(b) 참조).In the cup hold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locking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and on the outside of the releasing member 25 (see Fig. 12 (b)).

이와 같은 컵홀더(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연동기구는, 연동 부재(70)와, 제 1 래크(13a, 13b)와, 제 2 래크(32a, 32b)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해제 부재(25)와, 로크 부재(60)와, 제 2 부재 구동부(33)로 로크 장치가 실현된다. 이하, 연동기구 및 로크 장치의 작용을 컵홀더(1)의 동작과 함께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컵홀더(1)에 있어서 제 2 부재(20)가 비사용 위치(Y1)로부터 사용 위치(Y2)로 이동할 때의 로크 장치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비사용 위치(Y1)에 있어서 로크 장치가 작동하여 제 2 부재(20)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고, 도 10은 로크가 해제되는 도중의 상태가 도시되고, 도 11은 로크가 해제된 직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In this cup holder 1, the interlocking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realized by the interlocking member 70, the first racks 13a and 13b, and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Further, the lock device is realized by the release member 25, the lock member 60, and the second member driver 33.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and the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1. Fig. 9 to 11, the state of the lock device when the second member 20 is moved to the use position (Y 2) from the non-use position (Y 1) is illustrated in the cup holder (1). 9 is shown a state on the way that the locking device is activated by being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20 is locked, Figure 10 is the lock is released in the non-use position (Y 1), 11 is a lock The state immediately after being released is shown.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사용 위치(Y1)에서는, 로크 부재(60)에 있어서의 걸림 경사면부(67)가 해제 부재(25)에 있어서의 걸림 돌출부(27)의 걸림부(28)에 걸리고, 로크 부재(60)의 제 1 평면부(65)에 해제 부재(25)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29)의 맞닿음부(31)가 맞닿아 있다. 제 2 부재(20)는 압축된 구동용 코일스프링(34)에 의해서 사용 위치(Y2)를 향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때, 토션스프링(68)은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 해제 부재(25)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해제 부재(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주회(周回)하는 방향인 로크 부재(60)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토션스프링(68)이 가압되어 있어도 된다. 즉, 도 9(c)에 있어서 로크 부재(60)가 왼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ure 9, the non-use position (Y 1), the engaging projection 27 of the engaging inclined surface portion 67 is turned off member 25 of the lock member 60 engaging portion ( 28 and the abutting portion 31 of the abutment projection 29 of the releasing member 25 abuts on the first flat surface portion 65 of the lock member 60. [ The second member 20 is urged downward toward the use position Y 2 by the compressed driving coil spring 34.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68 is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ck member 60, which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entral axis of the releasing member 25 and which is a direction that rotates around the center axis of the releasing member 25, the decelerating slope face portion 66 And the torsion spring 68 may be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utment portion 31 is dropped. That is, the lock member 60 may be pressed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9 (c).

이 상태에서, 조작용 코일스프링(24)(도 12 참조)에 저항해서 조작부(23)가 아래쪽으로 눌리면 로크가 해제되고,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25)가 하강함과 함께 로크 부재(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로크 부재(60)는 걸림 경사면부(67)가 해제 부재(25)의 걸림부(28)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림으로써, 토션스프링(68)에 저항해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크 부재(60)가 회전하면 제 1 평면부(65)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딩하고, 로크 부재(60)가 계속 회전해서 감속 경사면부(66)가 맞닿음부(31)에 대하여 더 슬라이딩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ng portion 23 is pushed downward against the operating coil spring 24 (see Fig. 12), the lock is released. As shown in Fig. 10, the releasing member 25 descends The lock member 60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lock member 60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gainst the torsion spring 68 by the engagement slope surface portion 67 being pressed downward by the engagement portion 28 of the release member 25. [ When the lock member 60 is rotated, the first flat surface portion 65 slides against the abutment portion 31 and the lock member 60 continues to rotate so that the deceleration inclined surface portion 6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butting portion 31 .

감속 경사면부(66)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딩한 후,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용 코일스프링(34)의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제 2 부재 바닥부(35)가 아래쪽으로 눌리고, 맞닿음부(31)가 감속 경사면부(66)를 따라 서서히 슬라이딩하면서 통과 홈부(61)를 통과한다. 동시에 해제 부재(25)가 로크 부재(60)를 통과해 하강하고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한다.The restoring force of the driving coil spring 34 acts as shown in Fig. 11 after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slides against the abutment portion 31, so that the second member bottom portion 35 moves downward And the abutment portion 31 slides slowly along the deceleration slanting surface portion 66 and passes through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 At the same time, the releasing member 25 descends through the lock member 60 and the second member 20 moves to the use position Y 2 .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션스프링(68)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 부재(60)는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 있어서, 로크가 해제되기 직전에서부터 직후에 이르러 감속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storing force by the torsion spring 68 acts when the locking member 60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rictional force by the sliding of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and the abutting portion 31 The lock member 60 is decelerated immediately before the lock is released and immediately after the lock member 60 is moved in the part of the process in which the second member 20 is moved to the use position Y 2 .

다음으로, 연동기구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8은 컵홀더(1)에 있어서 제 2 부재(20)가 비사용 위치(Y1)로부터 사용 위치(Y2)로 이동할 때의 연동기구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비사용 위치(Y1)에 있어서 연동기구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고, 도 14 및 도 15는 연동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가 도시되고, 도 16 및 도 17은 연동기구가 작동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Next, the interlock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12 to 18 is the state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when the second member 20 is moved to the use position (Y 2) from the non-use position (Y 1) is illustrated in the cup holder (1). 12 and 13 are the state before the interlock mechanism is working is shown in the non-use position (Y 1), 14 and 15 is shown a state on the way, which interlock mechanism is in operation, 16 and 17 The state after the interlocking mechanism is operated is shown.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사용 위치(Y1)에서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상하로 떨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부재(10)가 가장 하단에 배치되고 제 2 부재(20)가 가장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주면과 대면해서 제 2 래크(32a, 32b)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용 코일스프링(24)에 저항해서 조작부(23)가 아래쪽으로 눌리면, 로크 장치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고, 연동 부재(70)를 통해서 각 부재(10, 20)가 위아래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부재(20)가 하강할 때 제 2 래크(32a, 32b)가 하강함으로써, 이 제 2 래크(32a, 32b)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각 기어(71a, 71b)가 회전(도 14(b)에 있어서 기어(71a)가 화살표(R)로 회전, 기어(71b)가 화살표(L)로 회전)함과 함께, 변형 전달 부재(7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환언하면, 각 기어(71a, )는 변형 전달 부재(72)를 통해서 연동한다. 각 기어(71a, 71b)가 회전함으로써,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래크(13a, 13b)와 함께 제 1 부재(10)가 상승한다.12 and the like shown in Figure 13, non-use position (Y 1)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10 and second member 20 from falling down. That is, the first member 10 is disposed at the lowest end and the second member 20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are disposed so as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 14 and 15, when the operating portion 23 is pushed downward against the operating coil spring 24, the lock by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and the interlocking member 70 The members 10 and 20 move relatively up and down.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member 20 descends,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descend, so that the gears 71a and 71b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acks 32a and 32b descend The gear 71a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R and the gear 71b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L in Fig. 14 (b)), and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In other words, each of the gears 71a, 71 is interlocked via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As the gears 71a and 71b are rotated, the first member 10 rises together with the first racks 13a and 13b as shown in Figs. 16 and 17.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부재(10, 20)가 위아래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수용물 지지부(15)가 상승해서 콘솔(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착좌면부(22)가 콘솔(2)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각 부재(10, 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착좌면부(22)의 외주면과 대면해서 제 1 래크(13a, 13b)가 배치되어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5 is raised and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console 2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relative to the console 2 as the members 10 and 20 relatively move up and down, And the respective members 10 and 20 are moved to the use position Y 2 . In this state, the first racks 13a and 13b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

사용 위치(Y2)에 있어서의 컵홀더(1)를 다시 비사용 위치(Y1)로 되돌릴 경우, 수용물 지지부(15)를 아래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연동 부재(70)를 통해서 각 래크(13a, 13b, 32a, 32b)와 함께 각 부재(10, 20)가 승강한다. 이때,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밀어내림 위치(X1, X2)가 동시에 눌려서 수용물 지지부(15)가 밀려들어갔을 경우, 제 1 부재(10)가 거의 수평으로 하강함과 함께 제 2 부재(20)가 상승한다. 한편, 예를 들면, 밀어내림 위치(X1)만이 눌려서 수용물 지지부(15)가 밀려들어갔을 경우, 제 1 부재(10)는, 제 1 래크(13a)가 제 1 래크(13b)보다도 약간 앞서 하강하지만, 순식간에 추종해서 제 1 래크(13b)도 하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래크(13a)가 하강하는 것에 수반해 기어(71a)가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변형 전달 부재(72)의 일단부(73)가 화살표(L)의 방향으로 비틀린다. 변형 전달 부재(72)는 압축됨과 함께 강성이 높아지며, 일단부(73)에 추종해서 타단부(74)가 화살표(R)의 방향으로 비틀리고, 동시에 기어(71b)가 화살표(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부재(10)는 거의 수평으로 하강하고, 동시에 제 2 부재(20)가 상승해서 각 부재(10, 20)가 비사용 위치(Y1)로 되돌아간다. 또, 이 작용은 밀어내림 위치(X2)만이 눌려서 수용물 지지부(15)가 밀려들어간 경우여도 마찬가지이다.When returning to the operating position (Y 2), a cup holder (1) in the back to the non-use position (Y 1), by placing the receiving water support 15 and push it to the bottom of each rack by a link member 70 ( 13a, 13b, 32a, and 32b. 16 and 17, when the pushing down positions X 1 and X 2 are simultaneously pressed and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is pushed in, the first member 10 descends almost horizontally, The two members 20 rise.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only the pushing-down position X 1 is pushed and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is pushed in, the first member 10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ck 13a is slightly However, the first rack 13b is also lowered in a moment following. More specifically, when the gear 71a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as the first rack 13a descends, the one end portion 73 of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compressed and the rigidity is increased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74 is twis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following the one end portion 73 and at the same time the gear 71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 The first member 10 desc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member 20 ascends and the members 10 and 20 return to the unused position Y 1 . Further, the action is the same even if only the depression position (X 2) into the receiving water support 15 pushed pressed.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기구 및 로크 장치가 컵홀더(1)와 함께 작동한다.The interlocking mechanism and the locking device operate together with the cup holder 1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동기구의 효과를 설명한다.Next, effects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기구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동 부재(70)는, 복수의 기어(71a, 71b)와, 이 기어(71a, 71b)끼리를 연결하는 변형 전달 부재(72)로 구성되고, 기어(71a, 71b)의 구멍에 관통된 변형 전달 부재(72)를 통해서 기어(71a, 71b)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변형 전달 부재(72)는 밀착 코일스프링이나 비틀림와이어 등이며 자유롭게 만곡 또는 굴곡된다. 따라서, 연동 부재(70)의 레이아웃이 자유로워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적은 부품으로 연동 부재(70)를 구성할 수 있다.8, the interlocking member 70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71a and 71b and a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gears 71a and 71b to each other 72 and the gears 71a, 71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passing through the holes of the gears 71a, 71b.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a contact coil spring, a torsion wire, or the like and freely curved or bent. Therefore, the layout of the interlocking member 70 is flexible, and the layout can be flexibly designed. Further, the interlocking member 70 can be constituted by a small number of parts.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 위치(Y2)에 있어서, 가령, 밀어내림 위치(X1)만이 눌려서 수용물 지지부(15)가 밀려들어갔을 경우, 제 1 부재(10)는, 제 1 래크(13a)가 제 1 래크(13b)보다도 약간 앞서 하강하지만, 순식간에 추종해서 제 1 래크(13b)도 하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래크(13a)가 하강하는 것에 수반해 기어(71a)가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변형 전달 부재(72)의 일단부(73)가 화살표(L)의 방향으로 비틀린다. 변형 전달 부재(72)는 압축됨과 함께 강성이 높아지고, 일단부(73)에 추종해서 타단부(74)가 화살표(R)의 방향으로 비틀리고, 동시에 기어(71b)가 화살표(R)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제 1 부재(10)는 거의 수평으로 하강한다. 즉, 각 래크(13a, 32a)를 통해서 기어(71a)가 회전함과 함께 변형 전달 부재(72)가 비틀려서 기어(71b)가 회전하기 때문에, 각 기어(71a, 71b)가 거의 동시에 연동하고, 각 래크(13b, 32b)도 연동한다. 따라서, 빠르면서도 안정되게 제 1 부재(10) 또는 제 2 부재(20)를 승강시킬 수 있다.16 and 17, when only the push-down position X 1 is pushed and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is pushed in at the use position Y 2 , the first member 10, the first rack 13a is lowered slightly before the first rack 13b, but the first rack 13b is also lowered as soon as it follows. More specifically, when the gear 71a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as the first rack 13a descends, the one end portion 73 of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L .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compressed and the rigidity is increased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74 is twis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following the one end portion 73 and at the same time the gear 71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 Therefore, the first member 10 descends almost horizontally. That is, since the gear 71a rotates through the respective racks 13a and 32a and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twisted to rotate the gear 71b, the gears 71a and 71b are interlocked almost simultaneously , And the racks 13b and 32b also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first member 10 or the second member 20 can be raised and lowered quickly and stably.

연동기구에 따르면, 변형 전달 부재(72)가 밀착 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와이어여서 자유롭게 만곡 또는 굴곡되기 때문에, 연동 부재(70)의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mechanism,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freely curved or bent by being a contact coil spring or a twisted wire, so that the layout of the interlocking member 70 can be flexibly designed.

연동기구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물 지지부(15)가 제 1 부재(10)에 구비되고,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착좌면부(22)가 제 2 부재(20)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비사용 위치(Y1)에 있어서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주면과 대면해서 제 2 래크(32a, 32b)가 배치되고, 사용 위치(Y2)에 있어서 착좌면부(22)의 외주에 제 1 래크(13a, 13b)가 배치되어 있다. 연동 부재(70)는 수용물 지지부(15)의 내측, 또한 해제 부재(2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 래크(13a, 13b, 32a, 32b)를 통해서 수용물 지지부(15)가 상승함과 함께 착좌면부(22)가 하강하고,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용물을 착좌면부(22)에 얹어놓고 수용물 지지부(15)에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mechanism, as shown in Figs. 12 and 16, the receptacle support 15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in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formed in a disk shape is provided in the second Is provided on the member (20). Fur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in the non-use position (Y 1) accommodated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ort 15 it is disposed a second rack (32a, 32b), use position (Y 2) in the The first racks 13a and 13b are disposed. The interlocking member 7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releasing member 25.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rises through the respective racks 13a, 13b, 32a, and 32b and the seat seating surface portion 22 descends, and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Moves to the use position Y 2 . Therefore, the receptacle can be supported on the receptacle supporting portion 15 by being placed on the seating surface portion 22.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 외에 이하의 실시형태여도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형태는, 제 1 부재(10)가 하강할 때에 변형 전달 부재(72)가 비틀려서 압축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 2 부재가 하강할 때에 변형 전달 부재가 비틀려서 압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이 구성에서는, 제 2 래크(32a)가 하강하는 것에 수반해 기어(71a)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변형 전달 부재(72)도 같은 방향으로 비틀린다. 변형 전달 부재(72)는 압축됨과 함께 강성이 높아지고, 일단부에 추종해서 타단부가 왼쪽 방향으로 비틀리고, 동시에 기어(71b)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2 부재(20)는 거의 수평으로 하강하고, 동시에 제 1 부재(10)가 상승해서 각 부재(10, 20)가 사용 위치(Y2)에 배치된다. 즉, 기어(71a)가 회전함과 함께 변형 전달 부재(72)가 비틀려서 기어(71b)가 회전하기 때문에, 각 기어(71a, 71b)가 거의 동시에 연동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twisted and compressed when the first member 10 is lowe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twisted Or may be compressed. Referring to Fig. 12 (b), in this configuration, as the gear 71a rotates in the right direction as the second rack 32a descends,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also twisted in the same directio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compressed and the rigidity is increased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twisted in the left direction following the one end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gear 71b is rotated in the leftward direction. The second member 20 desc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member 10 ascends and the respective members 10 and 20 are disposed at the use position Y 2 . That is, since the gear 71a rotates and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72 is twisted and the gear 71b rotates, the gears 71a and 71b interlock with each other almost simultaneously.

본 실시형태는, 제 1 부재(10)와 제 2 부재(20)가 비사용 위치(Y1) 또는 사용 위치(Y2)로 이동하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 2 부재가 고정되고 제 1 부재만이 상승해서 사용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 또는 제 1 부재가 고정되고 제 2 부재만이 하강해서 사용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한쪽에만 래크가 구비되어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are moved to the non-use position Y 1 or the use position Y 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s another embodiment, Or only the first member is moved upward to the use position, o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is fixed and only the second member is moved down to the use position. In this configuration, only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rack.

본 실시형태는, 연결 전달 부재가 2개의 기어(71a, 71b)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3개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기어의 수에 따라서 복수의 래크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에 구비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 is composed of two gears 71a and 71b,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ituted by three or more gears as another embodiment. In this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racks are provided 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gears.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전달 부재가 각 기어(71a, 71b)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링크 기구에 의해 연결 전달 부재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링크 기구를 통해서 연동 부재와 제 2 부재가 연결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are the gears 71a and 71b, bu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king member may be constituted by a link mechanism. In this configuration, the linking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nected through the link mechanism.

다음으로, 로크 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effect of the locking device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 장치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60)는 원환이며, 내주면에 한 쌍의 통과 홈부(61)와 한 쌍의 걸림 홈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통과 홈부(61)는 제 1 평면부(65)와의 경계에 감속 경사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부재(60)는 상면에 걸림 돌출부(64)가 형성되며 토션스프링(68)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0)의 해제 부재(25)는 지주부(26)의 측면에 맞닿음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 돌출부(29)는 지주부(26)의 측면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된 봉 형상임과 함께 측방을 향해 돌출되며, 공극(30)에 있어서의 하단면에 맞닿음부(31)가 형성되어 있다.6, the lock member 60 is a toric member, and a pair of passing groove portions 61 and a pair of engaging groove portions 62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 member 60 .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is formed with a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at a boundary with the first flat face portion 65. [ The lock member 60 has a latch projection 6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torsion spring 68 is connected thereto. 4, the releasing member 25 of the second member 2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portion 29 abut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6. As shown in Fig. The abutting projection 29 protrudes sideways together with the rod-shaped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butment portion 26, and the abutment portion 31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ir gap 30 have.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60)가 해제 부재(25)에 관통되고, 로크 부재(60)의 제 1 평면부(65)에 해제 부재(25)의 맞닿음부(31)가 맞닿는다. 이 구성에 의해, 해제 부재(25)가 하강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68)에 저항해서 로크 부재(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크 부재(60)가 회전하면 제 1 평면부(65)가 맞닿음부(31)에 대해서 슬라이딩하고, 로크 부재(60)가 계속 회전해서 감속 경사면부(66)가 맞닿음부(31)에 대하여 더 슬라이딩한다. 그 후,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용 코일스프링(34)의 복원력이 작용함으로써 제 2 부재 바닥부(35)가 아래쪽으로 눌리고, 맞닿음부(31)가 감속 경사면부(66)를 따라 서서히 슬라이딩하면서 통과 홈부(61)를 통과한다. 동시에 해제 부재(25)가 로크 부재(60)를 통과해 하강하고,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한다.The lock member 60 is passed through the release member 25 and the abutment portion 31 of the release member 25 is engaged with the first plane portion 65 of the lock member 60, Respectively.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eleasing member 25 is lowered, the lock member 60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gainst the torsion spring 68 as shown in Figs. 9 and 10. Fig. When the lock member 60 is rotated, the first flat surface portion 65 slides against the abutment portion 31 and the lock member 60 continues to rotate so that the deceleration inclined surface portion 6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butting portion 31 . 11, the second member bottom portion 35 is pushed downward by the action of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34 for driving, and the abutting portion 31 is pressed against the deceleration slanting surface portion 66, And passes through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while sliding gradually. At the same time, the releasing member 25 descends through the lock member 60, and the second member 20 moves to the use position Y 2 .

즉, 로크 부재(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션스프링(68)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 부재(60)는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 있어서, 로크가 해제되기 직전에서부터 직후에 이르러 감속한다.That is, since the lock member 60 is rotated by the torsion spring 68 when i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rictional force by the sliding of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and the abutment portion 31 acts , The lock member 60 decelerates from immediately before the lock is released to immediately after the lock member 60 in a part of the process of moving the second member 20 to the use position Y 2 .

따라서, 원활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어 탑승자에 대해서 고급적인 인상을 줄 수 있는 컵홀더(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에어댐퍼 등을 사용해서 제 2 부재(20)의 동작을 완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a smooth operation can be realized, and a cup holder 1 capable of giving a high-grade impression to the occupant can be realized.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buff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ember 20 by using, for example, an air damper or the like, a compact configuration can be realized.

특히,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속 경사면부(66)는, 통과 홈부(61)에 있어서, 로크 부재(6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는 맞닿음부(31)가 감속 경사면부(66)를 따라 서서히 슬라이딩함으로써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원활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6,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is inclined by proj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gradually from the upper face of the lock member 60 toward the lower face in the passage groove portion 61. As shown in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second member 20 is decelerated to move slowly as the abutting portion 31 slides along the decelerating slant face portion 66 gradually. Therefore, smooth operation can be realized.

로크 장치에 따르면, 감속 경사면부(66)는 소정의 슬라이딩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갖는 부재이다. 즉, 감속 경사면부(66)와 맞닿음부(31)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저항에 의해 제 2 부재(20)가 감속되어 천천히 이동한다. 따라서, 원활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k device,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is a member having a frictional force which causes a predetermined sliding resistance. That is, the second member 20 is decelerated and moved slowly by the frictional resistance caused by the sliding of the abutting portion 31 and the deceleration slanting surface portion 66. [ Therefore, smooth operation can be realized.

로크 장치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0)의 제 2 부재 구동부(33)에 구동용 코일스프링(34)이 구비되고,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20)는 압축된 구동용 코일스프링(34)에 의해서 사용 위치(Y2)를 향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부재(20)를 확실히 사용 위치(Y2)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k devic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member driving portion 33 of the second member 20 is provided with the driving coil spring 34, and as shown in Figs. 12 and 16 Likewise, the second member 20 is urged downward toward the use position Y 2 by the compressed driving coil spring 34. Therefore, the second member 20 can be reliably moved to the use position Y 2 .

또, 로크 장치는 이하의 구성이어도 된다.The lock device may hav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로크 부재(60)에서는 감속 경사면부(66)가 소정의 슬라이딩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갖는 부재이지만, 로크 장치는 다른 구성으로서, 맞닿음부가 소정의 슬라이딩 저항을 일으키는 마찰력을 갖는 부재여도 된다.In the lock member 60, the deceleration slanting face portion 66 is a member having a frictional force that causes a predetermined sliding resistance. However, the locking device may be a member having a frictional force that causes a predetermined sliding resistance.

로크 부재(60)에서는, 제 2 부재(20)에 대해서 로크 부재(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지만, 로크 장치는 다른 구성으로서, 로크 부재에 대해 제 2 부재가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가압 부재가 해제 부재에 구비되고,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 감속 경사면부와 맞닿음부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해제 부재가 가압되어 있다.In the lock member 60, the lock member 60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ember 20. However, the lock device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and the second member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lock member. In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releasing member, and the releasing member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utting portion is dropped by the first pressing member.

로크 부재(60)에서는, 제 1 가압 부재가 토션스프링(68), 제 2 가압 부재 및 조작용 코일스프링이 코일스프링(24, 34)이지만, 로크 장치는 다른 구성으로서, 같은 작용을 실현할 수 있으면 각각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등이어도 된다.In the lock member 60, although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the torsion spring 68, the second pressing member, and the operating coil spring are the coil springs 24 and 34, the locking device can have the same effect Coil springs, torsion springs, leaf springs, etc., respectively.

로크 부재(60)에서는, 압축된 구동용 코일스프링(34)에 의해서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를 향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로크 장치는 다른 구성으로서, 신장된 구동용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제 2 부재가 사용 위치를 향해 아래쪽으로 인장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lock member 60, the second member 20 is pressed downward toward the use position Y 2 by the compressed drive coil spring 34. However, as a different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pulled downward toward the use position by the coil spring.

로크 부재(60)에서는, 구동용 코일스프링(34)이 구비되어 있지만, 로크 장치는 다른 구성으로서, 구동용 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자중에 의해 제 2 부재가 하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In the lock member 60, although the drive coil spring 34 is provided, the lock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e coil spring is not provided and the second member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로크 부재(60)에서는, 제 2 부재(20)의 해제 부재(25)는 걸림부(28)에 단일한 맞닿음부(31)가 형성되어 있지만, 로크 장치는 다른 구성으로서, 복수의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25)에 있어서, 맞닿음 돌출부(129)는 하단이 지주부(126)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맞닿음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 돌출부(129)는 제 1 맞닿음부(181)보다도 로크 부재(160)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융기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180)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하단면에 제 2 맞닿음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구성은 로크 부재(6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lock member 60, the release member 25 of the second member 20 has a single abutting portion 31 formed in the retaining portion 28, but the lock device may have a plurality of abutments May be formed. 18, in the releasing member 125, the abutting projection 129 has a first abutting portion 181 whose lower end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butment portion 126 Respectively. The protruding protrusion 129 has a protruding portion 180 form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ck member 160 with respect to the first abutting portion 181. The protrusion 180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abutting portion 182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ck member 6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로크 장치에 따르면, 도 1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160)의 제 1 평면부(165)에 해제 부재(125)에 있어서의 맞닿음 돌출부(129)의 제 1 맞닿음부(181)가 맞닿아 있다. 조작부(123)가 아래쪽으로 눌려서 로크가 해제되면, 도 1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25)가 하강함과 함께, 토션스프링에 저항해서 로크 부재(16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평면부(165)가 제 1 맞닿음부(181)에 대해서 슬라이딩하고, 로크 부재(160)가 계속 회전해서 감속 경사면부(166)가 제 1 맞닿음부(181)에 대해서 더 슬라이딩한다. 제 1 맞닿음부(181)가 통과 홈부(161)를 통과한 후, 도 18(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 부재(125)가 더 하강함과 함께, 토션스프링에 저항해서 감속 경사면부(166)가 제 2 맞닿음부(182)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18 (b), the first flat portion 165 of the lock member 160 is engaged with the first abutment of the abutting projection portion 129 of the releasing member 125, The contact portion 181 abuts. 18 (c), when the operating member 123 is pushed downward to release the lock, the releasing member 125 is lowered and the lock member 160 is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gainst the torsion spring The plane portion 165 slides against the first abutment portion 181 and the lock member 160 continues to rotate so that the deceleration slanting surface portion 166 slides further against the first abutment portion 181 do. After the first abutment portion 181 passes through the passage groove portion 161, as shown in Fig. 18 (d), the releasing member 125 further descends and the deceleration inclined surface The portion 166 sli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abutting portion 182.

즉, 로크 부재(160)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토션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166)와 제 1 맞닿음부(181)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또한 감속 경사면부(166)와 제 2 맞닿음부(182)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크 부재(160)는 제 2 부재(20)가 사용 위치(Y2)로 이동하는 과정의 일부에 있어서, 로크가 해제되기 직전에서부터 직후에 이르러 감속한다. 따라서, 원활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lock member 160 is acted upon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torsion spring when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rictional force by the sliding of the deceleration slant face portion 166 and the first abutment portion 181 acts , and the process of moving to a deceleration slope portion 166 and the second due to friction action by the sliding of the abutment portion 182, locking member 160 includes a second member 20, the use position (Y 2) The deceleration is reached immediately before the lock is released and immediately thereafter. Therefore, smooth operation can be realized.

또, 로크 부재에 대해서 제 2 부재가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가압 부재가 해제 부재에 구비되고,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서 감속 경사면부와 맞닿음부를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해제 부재가 가압되어 있다.Further, the second membe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lock member. In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press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releasing member, and the releasing member is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member in the direction of dropping the reduced inclined face portion and the abutting port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는 것이 아니면, 각종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1 : 컵홀더 2 : 콘솔
10 : 제 1 부재 11 : 제 1 부재 본체부
12 : 제 1 부재 바닥부 13a, 13b : 제 1 래크
14 : 통과 구멍 15 : 수용물 지지부
20 : 제 2 부재 21 : 제 2 부재 본체부
22 : 착좌면부 23, 123 : 조작부
24 : 조작용 코일스프링 25, 125 : 해제 부재
26, 126 : 지주부 27, 127 : 걸림 돌출부
28, 128 : 걸림부 29, 129 : 맞닿음 돌출부
30, 130 : 공극 31 : 맞닿음부
32a, 32b : 제 2 래크 33 : 제 2 부재 구동부
34 : 구동용 코일스프링 35 : 제 2 부재 바닥부
40 : 지지체 41 : 하측 통부
42 : 고정부 43 : 수용 구멍
44 : 지지체 바닥부 45 : 바깥쪽 상측 통부
46 : 부착부 47 : 안쪽 상측 통부
48 : 걸림봉부 49 : 연동 부재 수용부
50 : 연동부 지지부 51 : 연동부 지지 구멍
52 : 래크 수용 구멍 53 : 바깥쪽 수용 구멍
54 : 안쪽 수용 구멍 60, 160 : 로크 부재
61, 161 : 통과 홈부 62 : 걸림 홈부
63 : 돌기부 64 : 걸림 돌출부
65, 165 : 제 1 평면부 66, 166 : 감속 경사면부
67 : 걸림 경사면부 68 : 토션스프링
69 : 제 2 평면부 70 : 연동 부재
71a, 71b : 기어(연결 전달 부재) 72 : 변형 전달 부재
73 : 일단부 74 : 타단부
180 : 융기부 181 : 제 1 맞닿음부
182 : 제 2 맞닿음부 L, R : 화살표
X1, X2 : 밀어내림 위치 Y1 : 비사용 위치
Y2 : 사용 위치
1: Cup holder 2: Console
10: first member 11: first member main body part
12: first member bottom 13a, 13b: first rack
14: through hole 15: receptacle support
20: second member 21: second member main body part
22: seating face 23, 123:
24: operating coil spring 25, 125: releasing member
26, 126: supporting part 27, 127: engaging projection
28, 128: engaging portion 29, 129: abutting projection
30, 130: void 31: abutment part
32a, 32b: second rack 33: second member driver
34: driving coil spring 35: second member bottom
40: support body 41: lower cylinder
42: fixing part 43: receiving hole
44: support bottom part 45: outer upper tubular part
46: attachment portion 47: inner upper cylinder portion
48: latching part 49: interlocking member accommodating part
50: interlocking portion supporting portion 51: interlocking portion supporting hole
52: Rack receiving hole 53: Outer receiving hole
54: inner receiving hole 60, 160: locking member
61, 161: passage groove portion 62:
63: protrusion 64:
65, 165: first plane portion 66, 166: deceleration slope portion
67: engaging slope portion 68: torsion spring
69: second plane portion 70: interlocking member
71a, 71b: gear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 72:
73: one end 74: the other end
180: ridge portion 181: first abutment portion
182: second abutment portion L, R: arrow
X 1 , X 2 : Push-down position Y 1 : Non-use position
Y 2 : Location

Claims (9)

제 1 부재 또는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떨어지는 방향 또는 다가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부재가 구비된 연동기구로서,
상기 연동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전달 부재와, 상기 연결 전달 부재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자유롭게 비선형상(非線形狀)으로 변형하는 변형 전달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이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변형 전달 부재를 통해서 복수의 상기 연결 전달 부재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An interlocking mechanism having an interlocking member for mo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interlocking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for connec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transmitting members together and deforming freely in a nonlinear manner ,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rotating in the moving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이동 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1 래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부재는 이동 방향을 향해 복수의 제 2 래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전달 부재는 상기 제 1 래크와 상기 제 2 래크를 맞물리게 하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rack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racks toward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linkage transmitting member is a gear that engages the first rack and the second r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전달 부재가 밀착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상기 밀착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n urging coil spring,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urging coil spring is compress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전달 부재가 밀착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상기 밀착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n urging coil spring,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urging coil spring is compres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전달 부재가 와이어이며,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 wir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wire is compress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전달 부재가 와이어이며,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의 적어도 한쪽이 이동함과 함께 상기 와이어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is a wir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wire is compress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달 부재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관통된 상기 변형 전달 부재를 통해서 상기 연결 전달 부재끼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 and the connection transmitting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eformation transmitting member penetrating the open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 수용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용물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부재에 수용물이 얹어놓아지는 착좌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가 이동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제 2 래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재 또는 상기 제 2 부재가 이동한 후에 있어서 상기 착좌면부의 주위에 상기 제 1 래크가 배치되고,
상기 연동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member is provided with an acceptance support for supporting a side of the acceptance,
A seating surface portion on which the water is placed is provided on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second rack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receptacle support portion before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The first rack is disposed arou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after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moves,
And the interlock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 지지부 및 상기 착좌면부가 이동 방향을 축으로 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기구.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ceptacl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ing surface portion are circular with the movement direction as the axis.
KR1020180036755A 2017-03-30 2018-03-29 Interlocking mechanism KR2018011165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8025 2017-03-30
JP2017068025A JP6663619B2 (en) 2017-03-30 2017-03-30 Interlocking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55A true KR20180111655A (en) 2018-10-11

Family

ID=6386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55A KR20180111655A (en) 2017-03-30 2018-03-29 Interlocking mechanis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63619B2 (en)
KR (1) KR20180111655A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384A (en) * 2003-11-19 2005-06-09 Inoac Corp Container holder
JP4407375B2 (en) * 2004-05-17 2010-02-0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Cup holder
JP2009040196A (en) * 2007-08-08 2009-02-26 Toyoda Gosei Co Ltd Cup holder
JP6098276B2 (en) * 2013-03-26 2017-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Seat slid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63619B2 (en) 2020-03-13
JP2018167762A (en)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31B1 (en) Lock device
US6974189B2 (en) Vertically adjustable chair armrest
US8757577B2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JP4784086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US20130206950A1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US11731544B2 (en) Seating device
EP3143896B1 (en) Children&#39;s safety belt connection buckle
EP3254890A1 (en) Manual typ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nd vehicle seat comprising the same
JP6702240B2 (en) Key switch device
US20140049081A1 (en) Adjustment mechanism for juvenile product
CN116620141A (en)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US8904898B2 (en) Electronic shift lever for improving operability in automatic transmission
CN104564925A (en) Braking mechanism and load support mechanism
US7225957B2 (en) Cup holding device
KR20180111655A (en) Interlocking mechanism
CN110150890B (en) Multi-gear support adjusting mechanism and adjustable seat
JP5837802B2 (en) Armrest device
JPH09190735A (en) Key switch and keyboard having the same
JP6872127B2 (en) Cup holder
KR101628753B1 (en) Seat for automobile having armrest
JP6391146B2 (en) Table device
KR101446092B1 (en)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KR20120133388A (en) Detent fitting for locking two vehicle parts
KR101716981B1 (en) Apparatus for folding seat back in vehicle
KR102049653B1 (en) Clutch springs and clutch roller insertion devices for assembling pumping devices of vehicle s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