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092B1 -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 Google Patents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092B1 KR101446092B1 KR1020130088758A KR20130088758A KR101446092B1 KR 101446092 B1 KR101446092 B1 KR 101446092B1 KR 1020130088758 A KR1020130088758 A KR 1020130088758A KR 20130088758 A KR20130088758 A KR 20130088758A KR 101446092 B1 KR101446092 B1 KR 101446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bottle
- knob
- lifting
- lowering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크기의 컵이나 물병을 안정감 있게 지지해줄 수 있는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에 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sizes of cups or water bottles in a stable manner.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 운행을 할 시 운전자나 동승자는 갈증 또는 졸음을 해소하기 위해 커피나 음료를 섭취하곤 한다. 이러한 커피나 음료는 주로 컵이나 캔 등의 원통형 용기를 통해 제공된다.Drivers or passengers may consume coffee or drinks to relieve thirst or drowsiness when driving long distances using the vehicle. Such coffee or beverage is mainly supplied through a cylindrical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can.
또한 차량에는 이러한 음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컵 홀더가 마련되어 있어서, 운전자나 동승자가 마시던 음료용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컵홀더는 차량의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플로어 콘솔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Further,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cup holder for accommodating such a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drunk by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be temporarily stored. The cup holder can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in the vehicle, most commonly being installed on a floor console.
그러나 종래의 차량 콘솔에 설치되는 컵 홀더 장치는 일정 깊이와 직경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거치시키기에는 불안함이 있다.However, since the cup holder device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vehicle console has a fixed depth and a fixed diameter, it is uncomfortable to mount containers of various sizes.
예컨대 종이컵을 거치시킬 수 있는 크기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면, 수납 공간의 크기가 작아 비교적 큰 물병은 아예 거치시킬 수가 없다.For example, if a storage space of a size capable of storing a paper cup is provided,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is small, and a relatively large water bottle can not be stored at all.
반대로 큰 물병을 수납하고자 수납 공간을 크게 만든다면, 작은 크기의 캔이나 종이컵이 수납공간 내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면서 음료가 쏟아질 가능성이 더 높다.On the contrary, if the storage space is made large in order to store a large water bottle, a small-sized can or a paper cup is not fix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drink is more likely to be poured while shaking.
또한 보통의 컵 홀더 장치는 용기의 하단부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에 높이를 갖는 기다란 용기를 거치시키면, 아랫부분만 수납공간의 측면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급정거나 선회시 불안정한 지지 상태의 용기가 쓰러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dinary cup holder device can be fitted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When a long container having a height is mounted thereon, only the lower portion is fixed at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Courage can fall.
한편 차량 콘솔에 설치되는 컵 홀더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8930호(2012.10.30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구조')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18930 (2012.10.30 'Cup holder structure of automobile console box') relating to a cup holder installed in a vehicle console is know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콘솔에 설치함으로써 컵이나 물병 등의 음료용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되, 물병의 측면을 지지하는 물병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은 물론 크기도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와 크기의 음료용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급정거나 급회전시에도 용기가 쓰러져 내용물이 흘러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water bottle, So that the size of the container can be controlled as well as the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tably gripped in various heights and sizes,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even when suddenly or suddenly turned, The purpose is to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는, 상부가 개방된 장착공간을 갖는 콘솔바디; 물병의 측면에 접촉되는 물병접촉부가 형성된 물병지지부와, 상기 물병지지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승강부재를 가지며, 상기 물병접촉부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상기 콘솔바디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식거치부;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솔바디에 설치되는 물병받침부;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력으로 밀어올리는 스프링; 및 상기 승강식거치부를 고정시키거나 승강 가능하게 해제시키는 록장치;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for a car console, comprising: a console body having a mounting space with an open top;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igarettes having a water bottle support portion having a water bottl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an elevation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ater bottle support portion and installed in a mounting space of the console body with the water bottle contact portions facing each other; A water bottle holder installed on the consol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feet; A spring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laws to push up the lifting member with an elastic force; And a locking device for releasably releasing or releasing the elevating mount.
여기서,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에서 상기 각각의 승강부재는 하부가 서로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록장치는, 사용자가 누름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서 상부로 돌출 장착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양측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뭉치;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뭉치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식거치부의 승강부재에 밀착되는 한쌍의 로킹바; 및 상기 사용자의 누름이 해제되면 상기 노브를 탄성력으로 밀어올리는 노브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브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노브와 슬라이딩뭉치가 상승하여, 상기 슬라이딩뭉치의 하부가 상기 한쌍의 로킹바를 양측으로 밀어서 상기 한쌍의 로킹바가 상기 승강식거치부의 승강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식거치부가 고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누름이 있으면 상기 노브와 슬라이딩뭉치가 하강하여 상기 한쌍의 로킹바가 상기 슬라이딩뭉치의 측면을 타고 안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로킹바와 상기 승강부재의 밀착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식거치부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올라갈 수 있다.Here, the elevating members of the pair of elevating / lowering members are inclined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elevating members face each other, and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knob protruding upward from the mounting space so that a user can press the elevating member; A sliding ba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nob and inclin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become wider as they are lowered; A pair of locking bars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liding bundle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an elevating member of the elevating / lowering member; And a knob spring for pushing up the knob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user is released from the push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depressed, the knob and the sliding bundle are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knob sp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undle pushes the pair of locking bars to both sides so that the pair of locking bar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levating member of the elevating / lowering stopper portion to fix the elevating / lowering mounting por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knob and the sliding barrel, A pair of locking bars are pulled inwar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bundle so that the locking bar and the elevating member are released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levating type elevating portion can be pushed up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또한,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가 상승할 시, 상기 경사진 승강부재가 상기 물병받침부에 걸려 바깥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서로 마주하고 있는 상기 물병접촉부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platforms are lifted, the inclined lifting members are hooked on the water bottle support and are bent outwar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bottle contact parts facing each other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에 의하면, 컵이나 물병 등의 음료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물병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작은 크기의 컵은 물론 소정의 높이를 갖는 물병도 중간 지점 이상에서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급정거나 급회전 시에도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물병지지부에서 물병에 접촉되는 물병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물병도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the automobile co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water bottle supporting part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water bottle can be adjusted, so that a water bottl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s well as a small- So that it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collapse even in a sudden stop or a sudden turn.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bottle supporting part and the water bottle contact part contacting the water bottle can be increased, so that a water bott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an be stably moun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물병 고정 구조에서 콘솔바디에 물병 받침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물병 고정구조에서 A-A' 절단면을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도2의 물병 고정구조에서 노브를 눌렀을 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에서 작은 사이즈의 컵을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에서 큰 사이즈의 물병을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bottle support device is coupled to a console body in the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when the knob is pressed in the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FIG.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mall size cup is mounted in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large-sized water bottle is mounted in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those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병 고정 구조는 크게 콘솔바디(10), 한쌍의 승강식거치부(110,120), 물병받침부(130), 록장치(140) 및 스프링들(151,152,153)을 포함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콘솔바디(10)에는 한쌍의 승강식거치부(110,120), 물병받침부(130), 록장치(140) 및 스프링(151,152,153) 등의 다른 구성품들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11)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착공간(11)의 일측에는 노브승강홈(12)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The
이하에서는 콘솔바디(10)의 장착공간(11)에 구성품들이 장착되는 순서대로 설명을 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he order in which the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먼저 승강식거치부(110,120)를 승강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록장치(140)는 노브(141), 슬라이딩뭉치(142), 제1로킹바(143), 제2로킹바(144), 제1지지블록(145), 제2지지블록(146) 및 노브스프링(153)으로 구성된다.The
노브(14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노브(141)의 하부에는 양측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진 형태, 즉 역삼각형 형태의 슬라이딩뭉치(14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뭉치(142)의 양쪽 경사진 측면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142a)와 제2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노브스프링지지돌기(14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노브(141)와 슬라이딩뭉치(142)는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각각 제작된 후 접착이나 볼트 조임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슬라이딩뭉치(142)가 마련된 노브(141)는 콘솔바디(10)의 노브승강홈(12)에 안착되며, 하부의 노브스프링지지돌기(142b)에 노브스프링(153)이 설치된다.The
제1로킹바(143) 및 제2로킹바(144)는 노브(141)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하는 슬라이딩뭉치(142)의 경사면 움직임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여 승강식거치부(110,120)의 승강부재(112,122) 내측과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승강식거치부(110,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각각의 로킹바(143,144)의 일측에는 슬라이딩뭉치(142) 측면의 결합돌기(142a)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43a)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로킹바(143,144)가 슬라이딩뭉치(142)의 측면 경사면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또한 슬라이딩뭉치(142)는 노브(141)의 누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지만, 이에 결합된 로킹바(143,144)는 수평으로만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로킹바(143,144)는 제1지지블록(145)과 제2지지블록(146)에 의해 상하 움직임이 차단된다.Further, although the
즉 슬라이딩뭉치(142)의 측면 결합돌기(142a)에 로킹바(143,144)가 각각 슬라이딩 결합된 후, 노브(141)가 노브승강홈(12)에 안착되면, 제1지지블록(145)과 제2지지블록(146)이 각각 제1로킹바(143)와 제2로킹바(144)의 일 지점의 상하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공간(11) 측면에 고정된다. 지지블록(145,146)은 접착, 후크끼움 또는 볼트 조임 등의 방식으로 장착공간(11)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바는 슬라이딩뭉치(142)가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지지블록(145,146)에 의해 상하 방향 움직임은 고정되고, 수평 방향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콘솔바디(10)의 장착공간(11)과 노브승강홈(12)에 록장치(140)들이 먼저 설치된 이후 물병받침부(130)가 설치된다. 물병받침부(130)는 컵이나 물병 등의 음료용기 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물병받침부(130)의 전후방 길이는 장착공간(11)의 전후방 길이보다 짧게 설계되며, 장착공간(11)의 중심에 삽입된 상태로 후크 끼움, 또는 볼트 조임 등의 방식으로 장착공간(11)에 고정 설치된다.The
승강식거치부(110,120)는 컵이나 물병 등의 음료용기 측면을 양쪽에서 밀착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승강식거치부(110)와 제2승강식거치부(120)의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제1승강식거치부(1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에 제1물병지지부(111)가 위치하며, 제1물병지지부(111)의 일측에는 대략 반원 형태의 제1물병접촉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물병지지부(111)의 타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승강부재(1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승강부재(112) 하단에 제1스프링(151)이 지지되는 제1스프링지지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water
마찬가지로 제2승강식거치부(120) 역시 제2물병접촉부(121a)가 형성된 제2물병지지부(121)와, 제2스프링(152)이 지지되는 제2스프링지지돌기(123)가 하단에 형성된 제2승강부재(122)로 이루어진다.Likewise, the second lifting and lowering
또한 제1승강부재(112)와 제2승강부재(122)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제작된다.In addition, the first
이러한 제1승강식거치부(110)와 제2승강식거치부(120)는 제1물병접촉부(111a)와 제2물병접촉부(121a)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제1승강부재(112)가 물병받침부(130)의 일측 바깥에 삽입되고, 타측 바깥에는 제2승강부재(122)가 삽입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The first lifting and lowering
이렇게 승강식거치부(110,120)와 물병받침부(130) 및 록장치(140)들이 장착공간(11)에 설치 완료된 상태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에서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콘솔바디(10)의 표면과 승강식거치부(110,120)의 물병지지부(111,121)는 평탄한 면을 공유하게 되며, 물병지지부(111,121) 사이에 물병접촉부(111a,121a)가 만나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물병지지부(111,121) 측면으로 노브(141)의 상부가 돌출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물병접촉부(111a,121a)가 마주한 상태의 형태가 원형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물병지지부(111,12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병접촉부(111a,121a)의 형태가 타원형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물병지지부(111,121) 사이의 간격이 멀어졌을 때 큰 물병을 파지하기 적합한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병 고정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참조하여, 승강식거치부(110,120)의 작동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도3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승강식거치부(110)와 제2승강식거치부(120)는 하강한 상태이고, 노브(141)와 슬라이딩뭉치(142)는 상승한 상태이다. 노브(141)와 슬라이딩뭉치(142) 하단에는 노브스프링지지돌기(142b)에 노브스프링(15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141)와 슬라이딩뭉치(142)는 노브스프링(153)의 탄성력 때문에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을시 밀려 올라간 상태를 유지한다.3, the first lifting and lowering
이에 따라 슬라이딩뭉치(142)의 측면 경사면에 슬라이딩 결합된 제1로킹바(143)와 제2로킹바(144)는 양측 거리가 가장 먼 슬라이딩뭉치(14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로킹바(143,144)들이 각각 좌우로 밀려난 상태에서 로킹바(143,144)의 반대쪽 끝이 각각 제1승강부재(112)와 제2승강부재(122)의 안쪽 측면을 밀고 있는 상태가 된다.The
여기서 제1승강부재(112)와 제2승강부재(122)의 하부에는 제1스프링(151)과 제2스프링(152)이 설치되어 있고,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재(112,122)들을 밀어 올리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지만, 승강부재(112,122)의 안쪽 경사진 면이 로킹바(143,144)에 걸려 있기 때문에 승강식거치부 전체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ere, a
이렇게 도3의 상태에서는 도5에서와 같이 종이컵이나 조그마한 물병을 제1물병접촉부(111a)와 제2물병접촉부(121a) 사이에 수납할 수 있고, 물병의 바닥은 물병받침부(130)에 받쳐지고 측면은 물병접촉부(111a,121a)에 의해 지지된다.3, a paper cup or a small water bottle can be accommodated between the first water
하지만 물병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직경이 클 경우 도3의 상태에서는 수납이 불안정하거나, 수납 자체가 안될 수도 있다.However, when the water bottle is relatively high or the diameter is large, the state of Fig. 3 may be unstable or the housing itself may not be achieved.
이 경우 사용자는 노브(141)를 눌러 승강식거치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press the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콘솔바디(10)에서 돌출된 상태의 노브(141) 상단을 누르면, 슬라이딩뭉치(142)가 함께 하강하면서 노브스프링(153)이 압축된다.4,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또한 슬라이딩뭉치(142)의 하강으로 인해 슬라이딩뭉치(142)에 결합되어 있는 제1로킹바(143)와 제2로킹바(144)는, 슬라이딩뭉치(142)의 양측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킹바(143,144)는 지지블록(145,146)에 의해 상하 이동은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로킹바(143,144)는 수평 이동만 가능하며 로킹바(143,144)의 일측이 슬라이딩뭉치(142)의 양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로킹바(143,144)가 안쪽으로 잡아당겨지는 것이다.The
즉, 승강부재(112,122)의 안쪽 경사면을 밀착하고 있던 로킹바(143,144)가 슬라이딩뭉치(142)의 하강으로 인해 잡아당겨짐으로써, 로킹바(143,144)와 승강부재(112,122)도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That is, since the locking bars 143 and 144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inclined surfaces of the elevating
따라서 제1승강부재(112)와 제2승강부재(122) 하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1스프링(151)과 제2스프링(152)은 탄성력을 발휘하여 승강부재(112,122)를 위로 밀어올림으로써 도4에서와 같이 승강식거치부(110,120) 전체가 상승하게 된다.The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물병이라 하더라도, 승강식거치부(110,120)의 상승으로 인해 물병접촉부(111a,121a)가 물병의 하부가 아닌 중간 지점 이상을 측면에서 지지할 수가 있어서, 차량의 급회전이나 급선회에서도 쓰러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water bottle is relatively high, the water
한편 승강식거치부(110,120)의 승강부재(112,122)는 하부로 갈수록 서로를 향해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는데, 이 때문에 승강부재(112,122)가 상승할 시에는 안쪽 측면이 물병받침부(130)의 측면에 걸리면서 휘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ng
즉 경사진 상태의 승강부재(112,122)가 물병받침부(130)의 굴곡진 하부 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승강부재(112,122)의 더 좁은 간격을 이루는 지점이 물병받침부(130)와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물병받침부(130)와 밀착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승강부재(112,122)의 상부가 바깥쪽으로 휘어지게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elevating
이에 따라 물병지지부(111,121) 안쪽에 형성된 물병접촉부(111a,121a)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게 되는 것이며, 도6에서와 같이 간격이 커진 물병접촉부(111a,121a) 사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물병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물론 이상에서는 승강부재(112,122)가 상승하면서 물병받침부(130)에 걸려 휘어지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상부의 물병접촉부(111a,121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힌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승강부재(112,122) 상승시 상부가 벌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승강부재(112,122)의 하부에 힌지 구조(미도시)를 설치하여 승강부재(112,122)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도록 하고, 이후 스프링(151,152)이 탄성력으로 승강부재(112,122)의 하부를 밀어올리면, 승강부재(112,122)의 상부가 물병받침부(130) 측면에 걸리면서 힌지 부분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벌어짐으로써 상부의 물병접촉부(111a,121a)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콘솔바디(10)에 형성된 장착공간(11) 상부는 승강부재(112,122)의 벌어짐을 허용하도록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upper and lower water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즉 제1승강부재(112)의 내측과 제2승강부재(124)의 내측에 각각 단조절용돌기(114,124)가 형성된 것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a car co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amely, the step-adjusting
이에 따라 로킹바(143,144)의 양단은 단조절용기(114,124)의 턱에 걸려 더욱 견고하게 승강부재(112,122)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oth ends of the locking bars 143 and 144 are caught by the jaws of the
또한, 사용자가 노브(141)를 누르면 슬라이딩뭉치(142)가 하강하면서 로킹바(143,144)가 잡아당겨지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112,122)가 상승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승강부재(112,122)의 내측에 형성된 단조절용돌기(114,124)가 로킹바(143,144)를 스치고 지나가면서 마찰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141)를 한꺼번에 깊이 누르지 않고, 살며시 누르면 로킹바(143,144)가 일정량만 이동하며, 승강부재(112,122) 역시 한꺼번에 상승하지 않고 마찰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소정 높이만 승강한 후, 다시 로킹바(143,144) 양단에 단조절용돌기(114,124)가 걸리면서 멈추게 된다.When the user depresses the
즉 단조절용돌기(114,124)에 의해 승강부재(112,122)가 한꺼번에 상승하는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자는 노브(141)를 누르면서 들리는 마찰음, 또는 손으로 전해지는 촉감, 또는 승강부재(112,122)의 상승 높이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거치시키고자 하는 컵의 크기에 대응하는 적당한 거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에 의하면, 컵이나 물병 등의 음료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물병지지부(111,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작은 크기의 컵은 물론 소정의 높이를 갖는 물병도 중간 지점 이상에서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급정거나 급회전 시에도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물병지지부(111,121)에서 물병에 접촉되는 물병접촉부(111a,121a)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물병도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ccording to the water bottle fixing structure of the automobile co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water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콘솔바디
11 : 장착공간
12 : 노브승강홈
110 : 제1승강식거치부
111 : 제1물병지지부
111a : 제1물병접촉부
112 : 제1승강부재
113 : 제1스프링지지돌기
114 : 제1단조절용돌기
120 : 제2승강식거치부
121 : 제2물병지지부
121a : 제2물병접촉부
122 : 제2승강부재
123 : 제2스프링지지돌기
124 : 제2단조절용돌기
130 : 물병받침부
140 : 록장치
141 : 노브
142 : 슬라이딩뭉치
142a : 제1결합돌기
142b : 노브스프링지지돌기
143 : 제1로킹바
143a : 결합홈
144 : 제2로킹바
145 : 제1지지블록
146 : 제2지지블록
151 : 제1스프링
152 : 제2스프링
153 : 노브스프링10: Console body
11: Mounting space
12: Knob lifting groove
110: First lifting / lowering rack
111: First water bottle support
111a: first water bottle contact portion
112: first elevating member
113: first spring supporting projection
114: first-stage adjusting projection
120: second lifting / lowering position
121: second water bottle support
121a: second water bottle contact
122: second elevating member
123: second spring supporting projection
124: second-stage adjusting projection
130:
140: Locking device
141: Knob
142: Sliding sheath
142a: first engaging projection
142b: Knob spring supporting projection
143: First locking bar
143a: Coupling groove
144: Second locking bar
145: first support block
146: second support block
151: first spring
152: second spring
153: Knob spring
Claims (3)
물병의 측면에 접촉되는 물병접촉부가 형성된 물병지지부와, 상기 물병지지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승강부재를 가지며, 상기 물병접촉부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상기 콘솔바디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는 한쌍의 승강식거치부;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솔바디에 설치되는 물병받침부;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력으로 밀어올리는 스프링; 및
상기 승강식거치부를 고정시키거나 승강 가능하게 해제시키는 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에서 상기 각각의 승강부재는 하부가 서로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록장치는,
사용자가 누름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서 상부로 돌출 장착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양측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뭉치;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뭉치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식거치부의 승강부재에 밀착되는 한쌍의 로킹바; 및
상기 사용자의 누름이 해제되면 상기 노브를 탄성력으로 밀어올리는 노브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브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노브와 슬라이딩뭉치가 상승하여, 상기 슬라이딩뭉치의 하부가 상기 한쌍의 로킹바를 양측으로 밀어서 상기 한쌍의 로킹바가 상기 승강식거치부의 승강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식거치부가 고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누름이 있으면 상기 노브와 슬라이딩뭉치가 하강하여 상기 한쌍의 로킹바가 상기 슬라이딩뭉치의 측면을 타고 안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로킹바와 상기 승강부재의 밀착이 해제되어 상기 승강식거치부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A console body having an upper mounting space;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igarettes having a water bottle support portion having a water bottl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a water bottle and an elevation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ater bottle support portion and installed in a mounting space of the console body with the water bottle contact portions facing each other;
A water bottle holder installed on the consol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feet;
A spring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laws to push up the lifting member with an elastic force; And
And a locking device for releasably releasing the elevating-type mounting portion from being elevated or lowered,
Wherein each of the elevating members of the pair of elevating and lowering members is inclin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faces each other,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A knob protruding upward from the mounting space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knob;
A sliding ba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knob and inclin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become wider as they are lowered;
A pair of locking bars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liding bundle and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an elevating member of the elevating / lowering member; And
And a knob spring for pushing up the knob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user depresses the knob,
The knob and the sliding block are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knob spring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pushes the pair of locking bars to both sides, The knob and the sliding pile are lowered so that the pair of locking bars ride on the side of the sliding pile and are pulled inward while the knob is pushed by the user, And the lifting attachment portion is pushed up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상기 한쌍의 승강식거치부가 상승할 시, 상기 경사진 승강부재가 상기 물병받침부에 걸려 바깥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서로 마주하고 있는 상기 물병접촉부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attachment portions is lifted, the inclined lifting members are hooked on the water bottle holder and are bent outwar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bottle contact portions facing each other is increased. Fixed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8758A KR101446092B1 (en) | 2013-07-26 | 2013-07-26 |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8758A KR101446092B1 (en) | 2013-07-26 | 2013-07-26 |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6092B1 true KR101446092B1 (en) | 2014-10-06 |
Family
ID=5199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8758A KR101446092B1 (en) | 2013-07-26 | 2013-07-26 |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609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55340A (en) * | 2019-06-01 | 2019-08-23 |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air-service is with preventing the kettle to topple from fixing device |
CN110733394A (en) * | 2019-10-08 | 2020-01-31 |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 liftable cup sta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355B1 (en) * | 2000-12-11 | 2003-04-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Cup Support Device of Cupholder |
KR20070039629A (en) * | 2005-10-10 | 2007-04-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vice for holding cups |
-
2013
- 2013-07-26 KR KR1020130088758A patent/KR10144609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355B1 (en) * | 2000-12-11 | 2003-04-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Cup Support Device of Cupholder |
KR20070039629A (en) * | 2005-10-10 | 2007-04-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vice for holding cup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55340A (en) * | 2019-06-01 | 2019-08-23 |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air-service is with preventing the kettle to topple from fixing device |
CN110733394A (en) * | 2019-10-08 | 2020-01-31 |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 liftable cup stand |
CN110733394B (en) * | 2019-10-08 | 2020-12-15 |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 Liftable cup sta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29494B2 (en) | Holding elements and associated holding devices for use with accumulators | |
US7520482B2 (en) | Cup holder for vehicles | |
JP2021030766A (en) |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 |
US9346387B2 (en) | Cup holder and storage bin assembly | |
US5598999A (en) |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 |
KR20060121494A (en) | Cup holder structure in car | |
KR101397329B1 (en) | Cup holder apparatus for depth adjusting function | |
US9975493B2 (en) | Vehicular console device | |
CN109649239B (en) |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 |
JP2005112332A (en) | Drink container holder for vehicle | |
KR101446092B1 (en) | Bottle holding structure of console in vehicle | |
JP2004066902A (en) | Cup holder device | |
KR101574440B1 (en) | cup holder for automobile | |
CN112140972A (en) | Automobile-used push type saucer and car | |
WO2015025494A1 (en) | Cup holder | |
KR100980665B1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JP2014069762A (en) | Cup holder | |
KR101039998B1 (en) | Multipurpose purechase Holder | |
JP6001479B2 (en) |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 |
KR20190008601A (en) | Chocks for vehicles | |
JP2015223979A (en) | Lifting type container holder | |
JP4407375B2 (en) | Cup holder | |
JP2019073260A (en) |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 |
KR20050053405A (en) | Device for holding a cup for center consol of vehicles | |
KR102307150B1 (en)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