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150B1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7150B1 KR102307150B1 KR1020140121354A KR20140121354A KR102307150B1 KR 102307150 B1 KR102307150 B1 KR 102307150B1 KR 1020140121354 A KR1020140121354 A KR 1020140121354A KR 20140121354 A KR20140121354 A KR 20140121354A KR 102307150 B1 KR102307150 B1 KR 102307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dispensing device
- supply source
- moving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는 음료배출구가 구비된 바디; 및 상기 바디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바디와 음료공급원 본체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Start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rovided with a beverage outlet; and a sliding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so that the body slid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inclu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공급원에 연결되어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음료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음료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nnected to a beverage supply source for discharging beverages to the outs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that is easily slid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음료배출장치는 음료공급원에 연결되어 음료공급원의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다.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supply source to discharge the beverage of the beverage supply source to the outside and supply it to the user.
이러한 음료배출장치는 물을 여과하여 공급하는 정수기 등의 음료공급원에 구비된다.Such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in a beverage supply source such as a water purifier that filters and supplies water.
음료배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음료공급원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음료배출장치가 음료공급원에 고정되게 구비되면, 비교적 큰 크기의 용기를 음료배출장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어렵거나 음료배출장치의 높이가 사용하기 불편할 정도로 높을 수 있다.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is generally provided to be fixed to a beverage supply source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is way, if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beverage supply source, it may be difficult to position a container of a relatively large size under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or the height of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may be high enough to be inconvenient to use.
또한, 음료배출장치를 음료공급원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거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is movably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source, the configuration is relatively complicated or it is not easy to m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recognition of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음료배출장치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to be easily mov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음료배출장치 아래에 비교적 큰 용기와 작은 용기가 모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both a relatively large container and a small container to be positioned under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음료배출장치가 음료공급원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to be movably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sourc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음료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배출장치는 음료배출구가 구비된 바디; 및 바디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바디와 음료공급원 본체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Beverage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rovided with a beverage outlet; and a slid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so that the body slid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include.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는 바디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음료공급원 본체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liding member may include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a fixing member provided so that the movable member is slidably moved and connected to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는 음료공급원 본체에 형성된 지지부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part may be prov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formed in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고정부재에 구비된 가이드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portion movably provided in the guide portion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홀더부는 지지부에 포함되는 돌출테두리에 걸리는 멈춤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portion may have a stopper protrusion caught on the protrusion included in the support portion.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mov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이동부를 포함하여 음료배출장치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liding part can be easily mov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배출장치 아래에 비교적 큰 용기와 작은 용기가 모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a relatively large container and a small container may be located under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음료배출장치가 음료공급원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n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be movably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sourc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가 적용된 음료공급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확대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upply source to which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partially exploded enlarged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음료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illustr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will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related components among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peration in each embodiment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extended numbers.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가 적용된 음료공급원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확대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supply source to which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It is a partially exploded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배출장치(100)는 바디(200)와, 슬라이딩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바디body
바디(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이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바디(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바디(200)에는 음료배출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배출구(210)는 바디(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음료배출구(210)의 바디(200)에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디(20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음료배출구(210)는 음료공급원(BS)에 연결관 등(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공급원(BS)의 음료가 연결관을 유동하여 음료배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음료배출구(210)와 음료공급원(BS)을 연결하는 전술한 연결관은 바디(200)의 중공의 내부와 후술할 슬라이딩 이동부(300) 및 음료공급원 본체(B)를 통하여 음료공급원(BS)에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그러나, 음료배출구(210)와 음료공급원(BS)을 연결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부(300)를 거치지 않고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음료공급원은, 예컨대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음료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나 커피 또는 탄산수 등 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The beverage supply source may be, for example, a water purifier that filters water and supplies it to the user. However, the source of the beverag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beverag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supply beverages such as water, coffee, or carbonated water.
슬라이딩 sliding 이동부moving part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도1과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디(200)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바디(200)와 음료공급원 본체(B)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200)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저위치인 제1위치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고위치인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sliding movement unit 300 is the
이에 따라, 음료수를 받는 용기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바디(200)를 최저위치인 제1위치로 이동시키고, 용기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바디(200)를 최고위치인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음료배출구(210) 아래에 용기가 용이하게 위치하게 하여 음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ize of the container for receiving beverages is relatively small, the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음료배출장치(100)가 음료공급원(BS)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공급원 본체(B)에 형성된 지지부(S)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지부(S)는 대략 직사각형의 돌출테두리(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돌출테두리(T)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This sliding moving part 300 may be prov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S) formed in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B) as shown in Figures 3 to 5. To this end, the support (S) may includ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rotruding edge (T). In addition, the sliding moving unit 300 may be prov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rim (T).
그러나,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음료공급원 본체(B)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음료공급원 본체(B)에 직접 볼트 등에 의해서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ding movement unit 300 is provided in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onfiguration is possible, such as being provided by bolts or the like directly to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B).
슬라이딩 이동부(300)는 이동부재(310), 고정부재(320) 및, 탄성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moving unit 300 may include a moving
이동부재(310)는 바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310)는 바디(2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이러한 이동부재(3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200), 즉 바디(200)의 후면에 볼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The moving
그러나, 이동부재(310)가 바디(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재(310)가 바디(200)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바디(200)와 일체로 되어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ving
이동부재(310)에는 홀더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310)의 양 측면에 홀더부(31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홀더부(311)는 이동부재(310)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이동부재(310)에 연결되어 이동부재(310)에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그러나, 홀더부(311)는 이동부재(310)와 일체로 되어 이동부재(310)에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이러한 홀더부(311)는 고정부재(320)에 구비되는 후술할 가이드부(32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부(311)에 가이드부(32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이동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홀더부(311)가 가이드부(32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그러나, 홀더부(311)가 고정부재(320)의 가이드부(32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재(320)의 가이드부(321)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홀더부(311)에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홀더부(311)에는 멈춤돌기(311a)가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돌기(311a)는 홀더부(3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311)의 하단에 구비된 멈춤돌기(311a)가 지지부(S)의 돌출테두리(T)에 걸리면, 이동부재(310)가 더 이상 이동, 즉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311)의 상단에 구비된 멈춤돌기(311a)가 지지부(S)의 돌출테두리(T)에 걸리면, 이동부재(31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when the stopping
이동부재(3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310)의 관통구멍(312)은 바디(200) 내부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바디(200)의 후면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과 고정부재(320)에 형성된 후술할 관통구멍(322)과 연통될 수 있다.A through
이에 의해서, 바디(200)의 음료배출구(210)에 연결된 연결관 등이 바디(200)의 관통구멍과 이동부재(310)의 관통구멍(312) 및 고정부재(320)의 관통구멍(322)을 통하여 음료공급원(BS)에 연결될 수 있다.Thereby,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고정부재(320)에는 이동부재(31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고정부재(320),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20)의 양측에는 가이드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310)의 홀더부(311)에 형성된 이동홈에 가이드부(321)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이동부재(31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고정부재(320)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또한, 고정부재(320)는 음료공급원 본체(B)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부(300)가 음료공급원 본체(B)의 지지부(S)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경우에, 고정부재(320)는 볼트 등에 의해서 지지부(S)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고정부재(320)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3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20)의 관통구멍(322)에도 이동부재(310)의 관통구멍(312)처럼 바디(200)의 음료배출구(210)에 연결된 연결관 등이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배출구(210)에 연결된 연결관 등이 음료공급원(BS)에 연결될 수 있다.A through
고정부재(320)에 형성된 관통구멍(322)은 이동부재(310)에 형성된 관통구멍(312)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310)가 고정부재(3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고 하더라도, 바디(200)의 음료배출구(210)에 연결된 연결관 등이 음료공급원(BS)에 계속 연결될 수 있다.The through
탄성부재(330)는 이동부재(310)와 고정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부재(310)에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310), 즉 이동부재(310)가 연결된 바디(200)가 도3에 도시된 제1위치에서 도5에 도시된 제2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탄성부재(330)의 연결을 위해서 이동부재(310)와 고정부재(320)에는 연결돌기(313,323)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이러한 탄성부재(330)는 이동부재(310)와 고정부재(320)의 일측과 타측, 즉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탄성부재(330)는 이동부재(310)의 상부와 고정부재(320)의 상부에 연결되고, 다른 탄성부재(330)는 이동부재(310)의 하부와 고정부재(3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그러나, 탄성부재(330)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재(31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0)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ovided position of the
탄성부재(3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3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동부재(31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제1위치에서는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이 이동부재(310)에 작용하지 않는다. 즉, 탄성부재(33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부재(310), 즉 이동부재(310)에 연결된 바디(200)에 외력을 작용하여 이동부재(310)를 도4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 즉 상승시키면, 탄성부재(330)가 최대로 변형된다.However,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moving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위치부터는 이동부재(3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부재(310)가 도5에 도시된 제2위치까지 이동, 즉 상승하게 된다.An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4, even if no external force acts on the moving
또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때는 사용자가 제2위치에서 도4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부재(310)를 이동시키면, 도4의 위치부터는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부재(310)가 제1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moving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if the user moves the mov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배출장치를 사용하면, 음료배출장치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음료배출장치 아래에 비교적 큰 용기와 작은 용기가 모두 위치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음료배출장치가 음료공급원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can be easily mov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both a relatively large container and a small container can be located under the beverage discharging device. An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may be movably provided to the beverage supply sourc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음료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s no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limitedly applied,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100 : 음료배출장치 200 : 바디
210 : 음료배출구 300 : 슬라이딩 이동부
310 : 이동부재 311 : 홀더부
311a : 멈춤돌기 312,322 : 관통구멍
313,323 : 연결돌기 320 : 고정부재
321 : 가이드부 330 : 탄성부재
BS : 음료공급원 B : 음료공급원 본체
S : 지지부 T : 돌출테두리100: beverage dispensing device 200: body
210: beverage outlet 300: sliding moving part
310: moving member 311: holder part
311a: stop projection 312,322: through hole
313,323: connecting projection 320: fixing member
321: guide part 330: elastic member
BS : Beverage source B : Beverage source body
S : Support part T : Protrusion edge
Claims (8)
상기 바디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바디와 음료공급원 본체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음료공급원 본체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음료배출장치.a body provided with a beverage outlet; and
a sliding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and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so that the body slid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cludes,
The sliding unit includes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a fixed member connected to the beverage supply source body and provided so that the moving member is slidably move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and the fixed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respectively,
The movable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and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s the movable member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1354A KR102307150B1 (en) | 2014-09-12 | 2014-09-12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1354A KR102307150B1 (en) | 2014-09-12 | 2014-09-12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1671A KR20160031671A (en) | 2016-03-23 |
KR102307150B1 true KR102307150B1 (en) | 2021-10-05 |
Family
ID=5564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1354A KR102307150B1 (en) | 2014-09-12 | 2014-09-12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71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180B1 (en) * | 2017-04-24 | 2020-01-09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52159A1 (en) * | 2002-12-06 | 2004-06-24 | Jura Elektroapparate Ag | Height-adjustable discharge slider |
JP2014506508A (en) * | 2011-02-07 | 2014-03-17 | ブレイビロア・ホールディング・ビー.ブイ. |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ith a hand-adjustable emitter |
-
2014
- 2014-09-12 KR KR1020140121354A patent/KR1023071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52159A1 (en) * | 2002-12-06 | 2004-06-24 | Jura Elektroapparate Ag | Height-adjustable discharge slider |
JP2014506508A (en) * | 2011-02-07 | 2014-03-17 | ブレイビロア・ホールディング・ビー.ブイ. |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ith a hand-adjustable emit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1671A (en) | 2016-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353447A1 (en) | Supporting Device | |
CN108235727B (en) | Metered dose dispenser and method of use | |
WO2006116370A3 (en) | Tablet dispenser | |
US20150352993A1 (en) | Sliding and removable cup holder assembly for vehicle | |
NZ596919A (en) | Beverage cartridge with filter guard | |
EP2772386A3 (en) |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355654B1 (en) | Cosmetics container of nozzle type | |
WO2009034323A3 (en) | Cups for beverage dispensing | |
RU2018107252A (en) | STORAGE CONTAINER FOR VEHICLE | |
US20160106245A1 (en) | Container holder | |
RU2016138798A (en) | LIQUID DISPLAY DEVICE AND VALVE WITH RETURNABLE MEANS | |
KR102307150B1 (en)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
MX2020007504A (en) | Cutlery dispensing assembly. | |
JP2016013838A (en) | Discharger | |
KR101574440B1 (en) | cup holder for automobile | |
JP6568806B2 (en) | Discharge container that discharges contents to discharge surface | |
WO2014035609A3 (en) | Beverage dispenser | |
US20150060484A1 (en) | Discharge pump making sound when pumping | |
WO2008108012A1 (en) | Container for stick-shaped cosmetics | |
AU2017261765B2 (en) | Coffee machine suitable for dispensing into cups of different heights | |
KR102204326B1 (en) | A cup holder | |
JP6150725B2 (en) | Dilution bottle and beverage delivery device | |
RU2016134011A (en) | SWITCHING DEVICE WITH HOUSING AND REPLACEABLE SWITCHING MODULE | |
KR20100049801A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KR20170001498U (en) | Portable Ur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