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359A -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 Google Patents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359A
KR20180111359A KR1020170042218A KR20170042218A KR20180111359A KR 20180111359 A KR20180111359 A KR 20180111359A KR 1020170042218 A KR1020170042218 A KR 1020170042218A KR 20170042218 A KR20170042218 A KR 20170042218A KR 20180111359 A KR20180111359 A KR 2018011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ed
terminal
person
photographing
photograp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호
Original Assignee
진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호 filed Critical 진현호
Priority to KR102017004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1359A/ko
Priority to PCT/KR2018/002469 priority patent/WO2018182189A1/ko
Publication of KR2018011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3293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피촬영자를 촬영하는 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피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는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촬영자 단말기; 및 피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며, 피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촬영자 단말기에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피촬영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Apparatus for photo angle guide}
본 발명은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로서, 사진촬영시에 촬영되는 사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증가 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여가활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에 버금가는 기능을 갖고 있어 사진촬영을 하고 그 즉시 각종 SNS 등에 해당 사진을 업로딩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사진촬영을 도와줄 사람이 없는 경우 스마트폰을 든 사람이 손을 앞으로 뻗어 구도를 맞춘 다음 촬영을 하는데 화각이나 구도 등에 제한을 받게 되어 원하는 사진촬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다단으로 인,출입 가능한 프레임 선단에 스마트폰을 고정한 뒤 이를 이용해서 사진을 촬영하는 이른바 "셀카봉"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셀카봉을 이용하더라도 제한된 각도와 거리가 있기 때문에 거울을 통하여 각도와 표정 분위기 등등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37298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진촬영시에 촬영되는 사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진각도 도우미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피촬영자를 촬영하는 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피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는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촬영자 단말기; 및 피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며, 피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촬영자 단말기에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피촬영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은, 피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기 동기화 모듈;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화면에 표시하는 촬영화면 표시 모듈;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촬영화면 전송 모듈;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을 촬영 시점으로 결정하는 촬영 시점 결정 모듈; 및 상기 촬영 시점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여 저장하는 촬영 영상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동기화 모듈은, 한 개의 촬영자 단말기와 복수개의 피촬영자 단말기가 있는 경우, 하나의 촬영자 단말기와 하나의 피촬영자 단말기를 1:1로 동기화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동기화 모듈은, 촬영자 단말기에서 피촬영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이용하여 촬영자 단말기와 피촬영자 단말기를 1:1로 동기화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피촬영자 단말기는, 수신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에서 인물 특징점을 추출하며, 추출한 인물 특징점이 미리 등록된 피촬영자 특징점과 오차 범위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피촬영자 식별 아이디와 함께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촬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촬영자 단말기의 단말기 동기화 모듈은,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피촬영자 단말기와 1:1 동기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촬영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피촬영자 촬영화면이 표시되는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필드; 및 피촬영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셀카촬영화면이 표시되는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촬영자 단말기는, 상기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 필드와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의 표시 위치와 크기를 드래깅 입력을 통하여 가변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피촬영자 단말기는, 상기 셀카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촬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촬영자 단말기의 촬영 영상 생성 모듈은,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과 함께 셀카촬영화면이 포함된 촬영 영상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진촬영시에 촬영되는 사진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도와줄 수 있어, 다양한 각도에서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자 단말기와 피촬영자 단말기간의 동작 예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자 단말기와 피촬영자 단말기간의 1:1 동기화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촬영자 촬영화면이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는 피촬영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촬영자 촬영화면과 셀카촬영화면이 모두 함께 표시된 피촬영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촬영자 촬영화면과 셀카촬영화면이 드래깅에 의해 크기와 위치가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촬영자 영상과 셀카영상이 모두 포함된 촬영 영상의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자 단말기와 피촬영자 단말기간의 동작 예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촬영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촬영자를 촬영하되, 그 촬영화면을 피촬영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피촬영자가 현재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둘 중 어느 하나의 제어에 의해 촬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는 촬영자 단말기(100)와 피촬영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촬영자 단말기(100)는, 피촬영자를 촬영하는 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지만 스마트폰이외에도 태블릿 PC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라면 다른 다양한 단말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촬영자 단말기(100)는, 피촬영자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촬영자 단말기(100)는,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200)로 실시간 전송한다. 그리고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는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즉, 촬영자 단말기(10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피촬영자의 촬영 화면에서 촬영자 단말기(100)의 촬영 버튼이 촬영자로부터 눌리어진 경우, 촬영 버튼이 눌리어진 순간의 촬영 화면을 피촬영자의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한다.
또한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은, 촬영자 단말기(10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피촬영자의 촬영 화면은 피촬영자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피촬영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버튼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 있는 순간의 촬영 화면을 피촬영자의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한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촬영자 단말기(1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 본 발명의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앱)에 대해서는 도 3과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피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마찬가지로 카메라를 구비한 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촬영자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자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자 단말기(100)로부터 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며, 피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촬영자 단말기(100)에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피촬영자는 자신의 피촬영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촬영자 단말기(100)에서 찍히는 피촬영자의 모습을 확인하여, 피촬영자 자신 포즈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자 단말기와 피촬영자 단말기간의 1:1 동기화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촬영자 촬영화면이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는 피촬영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촬영자 촬영화면과 셀카촬영화면이 모두 함께 표시된 피촬영자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촬영자 촬영화면과 셀카촬영화면이 드래깅에 의해 크기와 위치가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촬영자 영상과 셀카영상이 모두 포함된 촬영 영상의 예시 그림이다.
촬영자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동기화 모듈(110), 촬영화면 표시 모듈(120), 촬영화면 전송 모듈(140), 촬영 시점 결정 모듈(150), 촬영영상 생성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동기화 모듈(110)은, 피촬영자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즉 피촬영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통신 등의 1;1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단말기 동기화 모듈(110)은, 한 개의 촬영자 단말기(100)와 한 개의 피촬영자 단말기(200)를 1:1 동기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 동기화 모듈(110)은, 도 4와 같이 한 개의 촬영자 단말기(100)와 복수개의 피촬영자 단말기(200)가 있는 경우, 하나의 촬영자 단말기(100)와 하나의 피촬영자 단말기(200)를 1:1로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피촬영자 단말기(2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촬영자 단말기(100)와 1:1 동기화를 위하여, 촬영자 단말기(100)에서 피촬영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에서 인물 특징점을 추출하며, 추출한 인물 특징점이 미리 등록된 피촬영자 특징점과 오차 범위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피촬영자 식별 아이디와 함께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촬영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에서 얼굴 영상을 추출하여 얼굴 영상의 눈, 코, 입의 위치와 형상 등의 특징점 정보가 제1피촬영자 단말기(200)에 미리 등록된 제1피촬영자의 눈, 코, 입의 위치와 형상의 특징점 정보와 오차범위내에서 유사하다면, 제1피촬영자 단말기(200)는 제1피촬영자 식별 아이디와 함께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촬영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자 단말기(100)의 단말기 동기화 모듈(110)은,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피촬영자 단말기(200)와 1:1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피촬영자 단말기(200)가 있다 하더라도 실제로 촬영되고 있는 피촬영자가 소유한 피촬영자 단말기(200)와 1:1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촬영화면 표시 모듈(120)은,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자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패널의 화면에 표시한다.
촬영화면 전송 모듈(140)은,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200)로 실시간 무선 전송한다.
촬영시점 결정 모듈(150)은, 촬영자로부터 촬영자 단말기(100)에 마련된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을 촬영 시점으로 결정한다.
촬영영상 생성 모듈(130)은, 촬영 시점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촬영자의 촬영 요청 또는 피촬영자의 촬영 요청이 있는 순간의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촬영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체는,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촬영자 단말기(100)로부터 피촬영자 촬영화면을 수신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촬영자 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나아가 추가적으로,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피촬영자 단말기(200)에 마련된 카메라를 통해 피촬영자를 직접 촬영하는 화면(이하, '셀카촬영화면'이라 함)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촬영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피촬영자 촬영화면이 표시되는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필드(10)와, 피촬영자 단말기(2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셀카촬영화면이 표시되는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20)를 구비하여, 피촬영자 촬영화면과 셀카촬영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피촬영자는 자신의 피촬영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피촬영자 촬영화면과 셀카촬영화면을 동시에 열람하며 얼굴 각도 등을 조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 필드와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20)의 표시 위치와 크기를 드래깅 입력을 통하여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 필드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시키고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20)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 필드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20)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피촬영자 단말기(200)는, 셀카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촬영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촬영자 단말기(100)의 촬영 영상 생성 모듈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200)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과 함께 셀카촬영화면이 포함된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촬영자 단말기(100)는 피촬영자의 셀카촬영화면까지도 포함된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 촬영 영상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촬영자 단말기
110:단말기 동기화 모듈
120:촬영화면 표시 모듈
130:촬영영상 생성 모듈
140:촬영화면 전송 모듈
150:촬영시점 결정 모듈

Claims (8)

  1. 피촬영자를 촬영하는 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피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는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촬영자 단말기; 및
    피촬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며, 피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촬영자 단말기에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피촬영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 어플리케이션은,
    피촬영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말기 동기화 모듈;
    피촬영자를 촬영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화면에 표시하는 촬영화면 표시 모듈;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피촬영자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촬영화면 전송 모듈;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거나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을 촬영 시점으로 결정하는 촬영 시점 결정 모듈; 및
    상기 촬영 시점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촬영 영상으로서 생성하여 저장하는 촬영 영상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동기화 모듈은,
    한 개의 촬영자 단말기와 복수개의 피촬영자 단말기가 있는 경우, 하나의 촬영자 단말기와 하나의 피촬영자 단말기를 1:1로 동기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동기화 모듈은,
    촬영자 단말기에서 피촬영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을 이용하여 촬영자 단말기와 피촬영자 단말기를 1:1로 동기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피촬영자 단말기는, 수신한 피촬영자의 촬영화면에서 인물 특징점을 추출하며, 추출한 인물 특징점이 미리 등록된 피촬영자 특징점과 오차 범위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피촬영자 식별 아이디와 함께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촬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촬영자 단말기의 단말기 동기화 모듈은,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피촬영자 단말기와 1:1 동기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촬영자 단말기는,
    상기 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피촬영자 촬영화면이 표시되는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필드; 및
    피촬영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셀카촬영화면이 표시되는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
    를 포함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촬영자 단말기는,
    상기 피촬영자 촬영화면 표시 필드와 셀카촬영화면 표시 필드의 표시 위치와 크기를 드래깅 입력을 통하여 가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촬영자 단말기는, 상기 셀카촬영화면을 실시간으로 촬영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촬영자 단말기의 촬영 영상 생성 모듈은, 촬영자로부터 촬영 버튼의 눌림이 있는 순간 또는 피촬영자 단말기로부터 촬영 버튼 동작 메시지가 수신되는 순간의 피촬영자의 촬영화면과 함께 셀카촬영화면이 포함된 촬영 영상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KR1020170042218A 2017-03-31 2017-03-31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KR20180111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18A KR20180111359A (ko) 2017-03-31 2017-03-31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PCT/KR2018/002469 WO2018182189A1 (ko) 2017-03-31 2018-02-28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18A KR20180111359A (ko) 2017-03-31 2017-03-31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571A Division KR20190020717A (ko) 2019-02-21 2019-02-21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59A true KR20180111359A (ko) 2018-10-11

Family

ID=6367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18A KR20180111359A (ko) 2017-03-31 2017-03-31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11359A (ko)
WO (1) WO20181821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25B1 (ko) * 2004-05-07 201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촬영 버튼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진 촬영 방법
KR20060073658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44475B1 (ko) * 2006-06-0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5724592B2 (ja) * 2011-04-28 2015-05-2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撮像装置、撮像データ共有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39025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189A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345B2 (ja) 画像撮影方法及び装置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US113686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and storage medium
KR102494698B1 (ko) 카메라의 초점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70975B2 (en) Preview image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1129198A1 (zh) 一种长焦场景下的拍摄方法及终端
WO2022042776A1 (zh) 一种拍摄方法及终端
CN108762501B (zh) Ar显示方法、智能终端、ar设备及系统
CN108632543B (zh) 图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31130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iris image
WO2022001806A1 (zh) 图像变换方法和装置
WO2022267464A1 (zh) 一种对焦的方法及相关设备
CN105578037A (zh) 一种基于无线通讯的具有辅助姿势功能的摄影装置
CN113596316A (zh) 拍照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CN105959563B (zh) 图像存储方法和图像存储装置
WO2021175097A1 (zh) 一种非视距物体的成像方法和电子设备
CN108986803B (zh) 场景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CN109308740B (zh) 3d场景数据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572957B (zh) 一种拍摄对焦方法及相关设备
KR20190020717A (ko)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KR20180111359A (ko) 사진각도 도우미 장치
JP7339939B2 (ja) 撮影プレビュー画像を表示する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US112523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ooting image, and storage medium
CN107968742B (zh) 影像显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17813B (zh) 无人飞行器拍摄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