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924A - End tool conn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End tool connec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924A
KR20180109924A KR1020187022730A KR20187022730A KR20180109924A KR 20180109924 A KR20180109924 A KR 20180109924A KR 1020187022730 A KR1020187022730 A KR 1020187022730A KR 20187022730 A KR20187022730 A KR 20187022730A KR 20180109924 A KR20180109924 A KR 20180109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ide half
half body
shaf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3056B1 (en
Inventor
코지 나카무라
야스키 오키나카
히로아키 미야사코
토모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추덴코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추덴코,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추덴코
Publication of KR2018010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4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rigid, e.g. shelf-rea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조작봉(操作棒)으로 구성되는 원격 조작봉이라 하더라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선단(先端) 공구를 교환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절연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1)는,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의 연결구(連結具)(20)와, 선단 공구(2)의 플러그(7)로 이루어진다. 플러그(7)는 환형(環狀) 홈(7a)과 끼움결합축(7b)을 가진다. 연결구(20)는 선단측의 플러그 받이구(22)와 작업자측(hand side)의 통부(30)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받이구(22)의 하우징부(26)에 매설된 록킹 볼(26a)이, 외측에 설치된 슬리브부(28)의 내측돌기부(28b)에 의해 직경 축소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록킹 볼(26a)이 환형 홈(7a)에 끼움삽입되어 연결 상태가 록킹된다. 원격 조작봉(12)에는, 마개체(18)의 플랜지부(18b)가 개구 가장자리에 걸림고정된 상태에서 삽입설치부(18a)가 삽입되어 있다. 통부(30)는, 원격 조작봉(12)과 플랜지부(18b)를 덮도록 배치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operation rod capable of quickly and reliably replacing a tip tool even with a remote operation rod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ration rods (operation rods), and also to maintain good insulation with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To provide a tip-end tool connection structure.
The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ng tool 20 at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operating rod 12 and a plug 7 of the distal tool 2. The plug 7 has an annular groove 7a and a fitting engagement shaft 7b. The connector 20 has a plug receiving hole 22 on the tip side and a barrel 30 on the hand side. The locking ball 26a embedded in the housing portion 26 of the plug receiving port 22 is pressed in the diameter reducing direction by the inner protruding portion 28b of the sleeve portion 28 provided on the outer side. The locking ball 26a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7a and the connection state is locked. The insertion operation portion 18a is inserted into the remote operation rod 12 in a state where the flange portion 18b of the stopper member 18 is engaged with the opening edge. The barrel portion 30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remote operation rod 12 and the flange portion 18b.

Figure P1020187022730
Figure P1020187022730

Description

선단 공구 연결 구조End tool connection structure

[0001] 본 발명은, 가선(架線) 공사에 있어서, 고전압이 인가(印加)되고 있는 가선과 기타 부품을 원격 위치로부터 안전하게 조작하는 원격 조작용의 선단 공구를, 교환 가능하게 연결하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tooling end tool for safely manipulating a high-voltage applied wire and other parts from a remote position in a wire work, Structure.

[0002] 종래의 원격 조작 파지구(把持具)(100)의 예를 도 6에 나타낸다. 가선 공사에 있어서, 활선(活線)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 대상으로부터 작업자측(手元側; hand side)이 절연되어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원격 조작봉(操作棒)(112)의 주(主) 조작봉(114)이나 부(副) 조작봉(116)에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FRP재 등이 이용되고 있다.[0002] FIG. 6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mote manipulating wave gripper (grasper) 100. In case of live wire work, the work side (hand side) should be insulated from the work subject. For this reason, an FRP material or the like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is generally used for the main operation rod 114 and the sub operation rod 116 of the remote control rod (operation rod) 112.

[0003] 그러나, 절연재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우천시의 작업에서는, 비가 선단측으로부터 작업자측으로 타고 전해져 도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산 형상의 비막이(101)가 복수 개소(個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단측과 작업자측 간의 절연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even if it is constituted by an insulating material, in a rainy work, rai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leading end side to the worker side, thereby possibly causing a conductive accident.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umbrella-shaped non-membranes 101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s a result, the insulating state between the tip end side and the worker side is satisfactorily maintained and the work can be performed safely.

[0004] 그런데, 가선 공사에 있어서는, 파지(把持)나 절단 등의 용도에 따라 복수의 공구가 구분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버킷 카를 이용하는 작업 등에 있어서는, 수동 공구의 중량이나 작업 스페이스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공구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범용(汎用)의 원격 조작봉(112)의 선단에 교환 타입의 선단 공구를 조합함으로써 중량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었다.[0004] Incidentally, in the wiring work, a plurality of tools are divided and used depending on applications such as grasping and cutting. However, in a work using a bucket car or the like,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weight of the manual tool and the working space, so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number of tools. Therefore, conventionally, weight reduction has been achieved by combining a tip tool of a replacement type at the tip of a universal (general-purpose) remote control rod 112.

[0005] 도 6에 나타낸 원격 조작 파지구(100)에도 교환 타입의 선단 공구인 파지구 쌍(102)이 이용되고 있다. 플라이어 타입(plier-type)의 파지구 쌍(102)은, 고정 파지구(104)와 가동(可動) 파지구(106)가 주 조작봉(114)과 부 조작봉(116)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remote control waveguide 100 shown in FIG. 6 also uses a waveguide pair 102 which is an exchangeable tip tool. The pair of plier-type wave earth pairs 10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ationary waveguide 104 and the movable waveguide 106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operating rod 114 and the operating rod 116, respectively Lt; / RTI >

[0006] 구체적으로는, 주 조작봉(114)의 선단에 설치된 요철 끼움결합부(114a)가 고정 파지구(104)측의 요철 끼움결합부(104a)에 연결되고, 요철 끼움결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개(120)를 통과시킴으로써 연결 상태가 고정된다. 또한, 부 조작봉(116)의 선단에 설치된 요철 끼움결합부(116a)와 가동 파지구(106)측의 요철 끼움결합부(106a) 간의 연결 상태는, 마찬가지로, 요철 끼움결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개(122)를 통과시킴으로써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concave-convex fitting portion 114a provided at the tip of the main operating rod 114 is connected to the concave-convex fitting portion 104a of the fixed waveguide 104 side, and the concave- The connection state is fixed. The connecting state between the concave-convex fitting portion 116a provided at the tip of the sub-operating rod 116 and the concave-convex fitting portion 106a of the movable waveguide 106 side is also similar to that of the concave- By passing through the stopper 122.

[0007] 이와 같이, 공구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원격 조작봉(112)의 부분은 공용(共用) 가능하고, 중량 저감과 비용 삭감이 도모된다. 이러한 구성의 원격 조작 파지구(100)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ol can be exchanged, the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rod 112 can be used in common, and weight reduction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The remote control waveguide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0008] 1.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59865호 공보1.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59865

[0009]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원격 조작봉(112)에 파지구 쌍(102)을 연결할 때, 주 조작봉(114)과 고정 파지구(104)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개(120)를 통과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부 조작봉(116)과 가동 파지구(106) 간의 연결도 동일한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높은 작업 위치에 있어서, 밸런스를 잡으면서 섬세한 작업을 행할 경우, 부품 낙하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은 저하되어 버린다.6, when the pair of waveguides 102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rod 112,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ain operation rod 114 and the stationary waveguide 104 is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pass the plug 120 through. In addition, the same operation is requir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sub operating rod 116 and the movable wave earth 106. In this manner, when delicate work is performed while keeping balance in a high work position, there is a fear of falling down of the parts, so the work must be done with care and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0010] 또한, 도 6의 파지구 쌍(102)과 같은 플라이어 타입의 선단 공구의 경우에는, 주 조작봉(114)과 부 조작봉(116)의 2개의 봉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적어도 일방에 대해서는, 축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 고정하는 등의 간단하고 쉬운 구성은 채용할 수 없다.In the case of a plier-type tip tool such as the waveguide pair 102 of FIG. 6, since two rods of the main operating rod 114 and the auxiliary operating rod 116 must be connected, , It is not possible to employ a simple and easy configuration such as fastening and fixing by rotating the entire shaft.

[0011] 더욱이, 일반적으로, 선단 공구와 원격 조작봉 간의 연결 부분은, 복수의 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빗방울 등에 대한 실링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 때문에,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한 중량 증가나, 비용 증대가 문제가 된다.[0011] Furthermore, in general,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ip end tool and the remote operating rod is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so that the sealing structure for raindrops and the like is complicated.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of an increase in weight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an increase in cost.

[00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복수의 조작봉으로 구성되는 원격 조작봉이라 하더라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선단 공구를 교환할 수 있고, 게다가,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절연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0012] 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operation rod capable of promptly and reliably replacing a tip tool even with a remote operation rod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eration ro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good insulation.

[0013]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는, 선단 공구가 가지는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環狀) 홈 내에, 둘레 방향(周方向)으로 배열한 록킹(施錠) 볼의 일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연결 상태의 상기 플러그를 록킹할 수 있는 플러그 받이구가 선단에 설치된 원격 조작봉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로서, 상기 원격 조작봉의 선단측에 삽입되는 삽입설치부와, 상기 원격 조작봉의 선단측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걸림고정 가능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마개체(栓體)와, 작업자측에, 상기 원격 조작봉의 선단측의 일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모두 덮는 통부(筒部)를 가지며, 선단측에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연결구(連結具)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eading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locking) arrangemen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in an annular groove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lug of a tip tool, And a plug insertion hole for allowing the plug in the connected state to be locked by pushing a part of the ball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operation rod, A stopper hav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be engaged with an edge of an opening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operating rod; And a connector having a tubular portion that covers the tubular portion and has the plug receiving portion at the tip end thereof.

[0014] 또한, 본 발명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플러그 받이구는, 상기 플러그가 끼움삽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록킹 볼이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 상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록킹 볼을 직경 축소 방향으로 가압가능한 내측돌기부를 내측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가지며, 작업자측의 끝단 가장자리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슬리브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부는, 일단(一端)이, 상기 개구 가장자리와 상기 플랜지부와의 경계에 삽입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슬리브부의 작업자측의 끝단 가장자리에 접촉 또는 상기 노치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직경 확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된 중공(中空) 구조의 스토퍼 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tip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receiving socket has a socket portion into which the plug is inserted, and a socket portion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socket portion, And an inner protrud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able to sl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which is capable of pressing the locking ball in a diametrically reducing direction with sliding, Wherein one end of the sleeve is inserted into a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edge and the flang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edge of the sleeve portion on the side of the operator, A notch extending in the diameter increasing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notch, And a stopper pin having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 lid is formed.

[0015] 또한, 본 발명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단 공구는, 축단(軸端)에 상기 플러그를 가진 고정측 반체(半體)와, 상기 고정측 반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플라이어 타입으로 축부착(軸着)된 가동측(可動側) 반체와, 상기 가동측 반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自由端)측에 상기 플러그를 가지는 접속 핀을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작봉은, 상기 고정측 반체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주축과, 상기 접속 핀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조작축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반체와 상기 주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부는, 상기 가동측 반체와 상기 조작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소켓부보다 구성면의 수가 적은 다각 타입(多角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5]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tool includes a fixed side half body having the plug at its shaft end and a fixed side half body having a relative A movable side half which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base so as to be rotatable and a connection pin which is swingably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half and which has a plug at the free end side Wherein the remote control rod has a main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hole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fixed side half and an operation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hole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connecting pin, Wherein the plug and the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main shaft and the main shaft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having a smaller number of constituent surfaces than the plug and socket portions connecting the movable side half- And that is characterized.

[0016] 또한, 본 발명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단 공구는, 축단에 상기 플러그를 가진 고정측 반체와, 상기 고정측 반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플라이어 타입으로 축부착된 가동측 반체와, 상기 가동측 반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측에 상기 플러그를 가지는 접속 핀을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작봉은, 상기 고정측 반체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주축과, 상기 접속 핀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조작축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반체와 상기 주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부는 다각 타입(多角型)이며, 상기 가동측 반체와 상기 조작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부는 둥근 타입(丸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6]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tip tool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ide half body having the plug at its shaft end, and a pivot shaft having a plier type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a connection pin pivot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half body and having the plug at a free end side thereof, wherein the remote operation rod is connected to the plug side of the plug- And an operating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portion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connecting pin, wherein the plug and the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the main shaft are of a polygonal type, And the plug and the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movable side half and the operation shaft are round type.

[001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조작봉의 선단의 개구가 마개체의 삽입설치부와 플랜지부에 의해 차폐되고, 또한, 원격 조작봉의 개구 가장자리와 플랜지부가 플러그 받이구의 통부에 의해 덮이므로, 플러그 받이구 등을 타고 떨어져 내린 빗물 등이, 플랜지부를 돌아 들어가 원격 조작봉의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여, 내부 구조를 통한 도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킹 볼에 의해 연결 상태에 있는 플러그를 플러그 받이구에 록킹할 수 있으므로, 선단 공구의 교환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성 향상과 작업 효율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control rod is shielded by the insertion fitting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stopper, and the opening edge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rod are covered by the plug portion of the plug receiving socket. Therefore, rainwater or the like that has fallen off the plug receptacle or the like can not enter the in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s through the flange portion, thereby preventing a conductive accident through the internal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plug in the connected state can be locked to the plug receiving hole by the locking ball, the tip tool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ced.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realize both safety improvement and work efficiency improvement at the same time.

[0018]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슬리브부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원터치로 선단 공구의 탈부착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된 중공 구조의 스토퍼 핀이, 개구 가장자리와 플랜지부와의 경계로부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만일, 개구 가장자리까지 빗물 등이 침입한 경우라 하더라도, 중공 구조의 스토퍼 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 tip end tool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t one-touch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eeve portion, and the stopper pin of the hollow structure having the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if rainwater or the like enters the opening edg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opper pin of the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safety is improved.

[0019]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모두 다각 타입 플러그로 구성된 고정측 반체 및 가동측 반체에 있어서, 고정측 반체의 다각 타입 플러그의 구성면 수가 적기 때문에, 연결시의 둘레 방향으로의 각도 증분(angular increment)은, 고정측 반체가 크다. 이에 따라, 설치 각도를 헤매는 일 없이, 최적의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에 반해, 가동측 반체에 있어서는, 먼저 고정측 반체가 연결되면, 이와 동시에 대체적인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구조상 연결 개소가 많아 고정측 반체보다 위치가 안정되기 어려운 가동측 반체에 대해서는, 오히려, 섬세한 위치결정이 요구되므로, 고정측 반체보다 구성면 수가 많은 다각 타입 플러그를 구비하는 편이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since the number of constituent surfaces of the fixed side half-body polygonal type plug is small in the fixed side half and the movable side half composed of all the polygonal type plugs, The angular increment of the fixed side is large. Thus, it is easy to accurately position in the optimum direction without wandering the installation angle. On the other hand, in the movable side half, when the fixed side half is first connected, an alternative positioning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since a precise positioning is required for the movable side half, which is difficult to stabilize its position more than the fixed side half due to its large number of connection points due to its structure, positioning with a polygonal type plug having a larger number of constituent surfaces than the fixed side half is facilitated .

[0020]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고정측 반체가 다각 타입 플러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시에 둘레 방향에서 취할 수 있는 위치는 그 다각 타입 플러그를 구성하는 면수로 한정되어, 위치결정이 용이하다. 이에 반해, 가동측 반체는 둥근 타입 플러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개소가 많아 위치가 안정되기 어려운 구조라 하더라도, 설치 각도가 한정되는 일 없이 연결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since the fixed side half is composed of a polygonal type plug, the position that can be take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time of connection is limited to the number of faces constituting the polygonal type plug, Positioning is eas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ovable side half is formed of a round type plug, even if the position is not stable because there are many connection points, conne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limiting the installation angle.

[002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를 일부 파단(破斷)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도이고, (b)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를 가지는 원격 조작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집게 타입의 선단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커터 타입의 선단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원격 조작 파지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roken state. FIG.
Fig. 2 shows a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Fig. 1, wherein Fig. 2 (a) is a side view and Fig. 2 (b) is a sectional view seen from the front.
Fig. 3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trol rod having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the tip tool of the clamping type.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cutter type tip tool. Fig.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 operation section.

[002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며, 작용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2를 참조한다.[0022] Hereinafter, a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0023] 도 1을 참조하면, 선단 공구 연결 구조(1)는, 선단 공구(2)의 플러그(7)와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측에 설치된 연결구(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연결구(20) 및 원격 조작봉(12)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1, the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is constituted by a plug 7 of a distal end tool 2 and a connecting port 20 provided on a distal end side of a remote operating rod 12. [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portions of the connector 20 and the remote operation rods 12 are shown broke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structure.

[0024]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7)를 연결구(20)에 끼움결합할 때의 방향은, 원격 조작봉(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작업자측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리할 때의 방향은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측으로서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선단 공구(2)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1에서는 연결구(20)에 연결되는 축단 주변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다.1,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7 is fitted into the fitting 20 is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direction of the opera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mote operating rod 12, and similarly, The direction of separation is indicated by an arrow as the distal end 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 For reference, the tip tool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Fig. 1, only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shaft e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 is shown.

[0025] 선단 공구(2)의 플러그(7)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환형 홈(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단에는 단면 형상이 육각형인 끼움결합축(7b)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7 of the tip tool 2, an annular groove 7a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tting shaft 7b having a hexagonal sectional shape is provided at the shaft end.

[0026] 한편, 연결구(20)는 선단측의 플러그 받이구(22)와 작업자측의 통부(30)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받이구(22)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부(26)와, 이 하우징부(26)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슬리브부(28)를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ort 20 is constituted by a plug receiving hole 22 on the distal end side and a cylindrical portion 30 on the operator side. The plug receiving hole 22 has a housing portion 26 form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leeve portion 28 disposed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26.

[0027] 하우징부(26)에는 선단 공구(2)의 플러그(7)의 끼움결합축(7b)을 수용하는 소켓부(24)가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24)는, 끼움결합축(7b)과 동일한 육각 타입이다.The housing portion 26 is provided with a socket portion 24 on the inner side for receiving the fitting engagement shaft 7b of the plug 7 of the tip end tool 2. [ The socket portion 24 is of the same hexagonal type as that of the fitting engagement shaft 7b.

[0028] 소켓부(24)보다 선단측에는, 4개의 록킹 볼(26a)이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록킹 볼(26a)은, 직경 축소 방향으로 일부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Four locking balls 26a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socket portion 24. [ These locking balls 26a are arranged with a margin so that they can protrude a part in the diameter reduction direction.

[0029] 상기의 슬리브부(28)는, 하우징부(26)의 외주(外周) 상을 슬라이딩할 때, 내측의 슬라이딩 접촉면(28a)(도 2(a) 참조)에 돌출 설치된 내측돌기부(28b)가 접촉함으로써, 록킹 볼(26a)을 직경 축소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끼움결합축(7b)이 소켓부(24)에 끼움삽입되어, 플러그(7)가 플러그 받이구(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리브부(28)가 록킹 볼(26a)을 가압하면, 록킹 볼(26a)의 선단이 플러그(7)의 환형 홈(7a) 내로 들어가, 연결 상태가 록킹된다. 참고로, 하우징부(26)의 선단측의 개구 부근에는, 외주측에 스토퍼 링(26b)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리브부(28)가 선단측으로 슬라이딩할 때, 내측돌기부(28b)가 스토퍼 링(26b)에 접촉하여, 선단측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므로, 슬리브부(28)가 하우징부(26)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The sleeve portion 28 has an inner protruding portion 28b protruding from the inner sliding contact surface 28a (see FIG. 2 (a)) when slid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portion 26. [ So that the locking ball 26a is pr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Since the fitting portion 7b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24 so that the sleeve portion 28 is engaged with the locking ball 26a when the plug 7 is connected to the plug receiving hole 22, The tip end of the locking ball 26a enters the annular groove 7a of the plug 7 and the connection state is locked. For reference, a stopper ring 26b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side near the opening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housing portion 26. [ As a result, when the sleeve portion 28 slides to the distal end side, the inner protrusion 28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ring 26b and the sliding of the sleeve portion 28 toward the distal end side is restricted, There is no dropout.

[0030] 슬리브부(28)는, 하우징부(26)의 외주에 배치된 편향 스프링(biasing spring)(27)에 의해, 하우징부(26)에 대해 선단측으로 편향되고 있다. 이 때문에, 외력(外力)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슬리브부(28)는, 내측돌기부(28b)가 스토퍼 링(26b)에 접촉된 상태로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측돌기부(28b)에 의해 록킹 볼(26a)이 직경 축소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7)를 플러그 받이구(22)에 연결할 때에는, 록킹 볼(26a)을 프리 상태로 하기 위해, 편향에 저항하여 슬리브부(28)를 작업자측으로 슬라이드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결 후에는, 작업 상태가 안정되도록, 슬리브부(28)를 선단측에 고정시켜 록킹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The sleeve portion 28 is biased toward the distal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ortion 26 by a biasing spring 27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portion 26. The sleeve 28 is located on the leading end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rojection 28b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ring 26b and the inner projection 28b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ring 26b in the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locking ball 26a is pressed toward the diameter reducing side. 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plug 7 to the plug receiving hole 22, it is necessary to slide the sleeve portion 28 against the worker in order to bring the locking ball 26a into the free state, against the deflection. After the connec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locking state by fixing the sleeve portion 28 to the tip end side so that the working state is stabilized.

[0031]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받이구(22)의 슬리브부(28)에는, 작업자측에 노치(28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받이구(22)의 작업자측에는 통부(30)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부(30) 중 슬리브부(28)의 작업자측의 끝단 가장자리 부근에는, 원격 조작봉(12)의 직경 확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스토퍼 핀(3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In the sleeve portion 28 of the plug receiving tool 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notch 28c is formed on the operator side. On the other hand, on the operator side of the plug receiving hole 22, a cylindrical portion 30 is provided. A stopper pin (32) protrudes from the tubular portion (30) in the vicinity of the end edge of the sleeve portion (28) on the worker side so as to extend in the diameter increasing direction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0032] 스토퍼 핀(32)의 직경은 슬리브부(28)의 노치(28c) 내에 수용 가능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노치(28c)의 깊이는, 스토퍼 핀(32)을 노치(28c) 내에 수용하도록 하여 슬리브부(28)가 작업자측으로 슬라이드하였을 때, 슬리브부(28)의 내측돌기부(28b)가 록킹 볼(26a)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The diameter of the stopper pin 32 is set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notch 28c of the sleeve portion 28. The depth of the notch 28c is set such that when the sleeve portion 28 slides to the operator side so that the stopper pin 32 is received in the notch 28c, the inner protrusion 28b of the sleeve portion 28 contacts the locking ball 26a, respectively.

[0033] 따라서, 슬리브부(28)를 하우징부(26)와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돌려, 노치(28c)를 스토퍼 핀(32)의 위치에 맞추면, 슬리브부(28)의 작업자측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해 록킹 볼(26a)이 직경 확대 방향으로 퇴피 가능해지므로, 플러그(7)를 플러그 받이구(22)에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leeve portion 28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elative to the housing portion 26 and the notch 28c is aligned with the position of the stopper pin 32, the sliding of the sleeve portion 28 toward the operator The plug 7 can be connected to the plug receiving hole 22 because the locking ball 26a can be retracted in the diameter increasing direction.

[0034] 또한, 슬리브부(28)의 작업자측의 끝단 가장자리 중, 노치(28c) 이외의 부분이 스토퍼 핀(32)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슬리브부(28)를 둘레 방향으로 돌리면, 스토퍼 핀(32)에 의해 슬리브부(28)의 작업자측으로의 슬라이딩이 규제되므로, 록킹 볼(26a)이 직경 축소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며, 연결된 플러그(7)는 플러그 받이구(22)에 대해 록킹된 상태가 된다.When the sleeve portion 28 is turned in the peripheral direc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portion other than the notch 28c of the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leeve portion 28 on the side of the operator can contact the stopper pin 32, The sliding of the sleeve portion 28 toward the operator side is restricted by the pin 32 so that the locking ball 26a protrudes in the diameter reducing direction and the connected plug 7 is inserted into the plug receiving hole 22 So that it is locked.

[0035] 다음으로, 통부(30)와 원격 조작봉(12) 간의 연결 부분에 주목한다.Next, attention is pai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arrel portion 30 and the remote operation rod 12.

[0036]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에는, 개구를 메우듯이 마개체(18)가 부착되어 있다. 마개체(18)는, 원격 조작봉(12)의 내경(內徑)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격 조작봉(12)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는 삽입설치부(18a)와,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16a)에 걸림고정되는 플랜지부(18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8b)보다 선단측에는, 소켓부(24) 내에 끼움삽입 가능한 소켓 끼움삽입부(18c)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30)는, 이와 같이 배치된 마개체(18)와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A stopper 18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to cover the opening. The tongue piece 18 is formed with a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and includes an insertion installation portion 18a inserted and arranged inside the remote operation rod 12, And a flange portion 18b which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opening edge 16a of the rod 12. A socket fitting insertion portion 18c is form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flange portion 18b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socket portion 24. [ The barrel 30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distal end 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and the stopper piece 18 arranged in this way.

[0037] 또한, 상술한 스토퍼 핀(32)은, 마개체(18)의 플랜지부(18b)와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16a)와의 경계 위치에 일단이 매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핀(32)의 예로서, 스프링 핀이 이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토퍼 핀(32)은, 중공 구조를 가지고 있고,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면, 스프링 핀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여기서는, 스토퍼 핀(32)의 슬릿(32a)은 원격 조작봉(12)의 둘레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The stopper pin 32 is one end embedded in a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flange portion 18b of the stopper member 18 and the opening edge 16a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ring pin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stopper pin 32 is shown. The stopper pin 32 may be a spring pin if it has a hollow structure and a sl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slit 32a of the stopper pin 32 is disposed towar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

[0038] 이어서, 도 2를 이용하여,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0039] 도 2는,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측 및 연결구(20)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끼움삽입 방향으로부터 바라 본 측면도를, 도 2(b)는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and the connector 20. Fig. 2 (a) is a side view as seen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and Fig. 2 (b) is a 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0040] 우천시 등, 공구가 비에 젖는 경우에는, 선단측과 작업자측 간의 절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 있어서는, 플러그 받이구(22)의 하우징부(26)와 통부(30)는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하우징부(26)의 선단측으로부터 빗방울 등이 침입했을 경우, 내측을 타고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측으로 물이 전해질 가능성이 있다.[0040] When the tool is wet with rain, such as during rai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good insulation between the tip side and the worker side.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portion 26 of the plug receiving tool 2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30 have a hollow structure. Therefore, if raindrops or the like intrudes from the distal end side of the housing portion 26, water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on the inside.

[0041] 그러나,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서는, 통부(30)에 연결되는 플러그 받이구(22)의 내측에는 직경 축소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숄더부(肩部)(26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숄더부(26c)와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16a)와의 사이에, 마개체(18)의 플랜지부(18b)가 개재(介在)된다. 이 플랜지부(18b)는,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16a)와 거의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직경 확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부(26)의 선단측으로부터 빗방울 등이 침입한 경우라 하더라도, 소켓부(24)로부터 숄더부(26c)와 플랜지부(18b)와의 사이를 지나 원격 조작봉(12)의 외주면으로 빠진다. 이와 같이 물이 빠지는 경로는 도면 중에 있어서, 일점쇄선(一點鎖線)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However, in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the shoulder portion 26c is formed inside the plug receiving hole 22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30 so as to protrude in the diameter reducing direction. Therefore, A flange portion 18b of the stopper portion 18 is interposed between the shoulder portion 26c and the opening edge 16a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 The flange portion 18b protrudes in the diameter enlarged side so as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as the opening edge 16a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and accordingly the raindrop or the like entering from the tip side of the housing portion 26 Even if it is between the shoulder portion 26c and the flange portion 18b from the socket portion 24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n this way is indicated by an arrow of one-dot chain line in the figure.

[0042] 또한,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서는, 중공 구조의 스토퍼 핀(32)이,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16a)와 플랜지부(18b)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스토퍼 핀(32)의 슬릿(32a)은 둘레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16a)와 플랜지부(18b) 사이에 체류하는 수분은, 슬릿(32a)으로부터 스토퍼 핀(32)의 내측으로 흘러 들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의 물이 빠지는 경로는 도면 중에 있어서,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In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the hollow stopper pin 32 is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edge 16a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and the flange portion 18b. Further, the slit 32a of the stopper pin 32 is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water staying between the opening edge 16a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and the flange portion 18b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stopper pin 32 from the slit 32a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t this time i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 in the figure.

[0043]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서는, 연결구(20)의 선단측으로 침입한 빗방울 등을 원격 조작봉(12)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일 없이, 외부로 배출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봉(12)의 선단에는 마개체(18)의 삽입설치부(18a)가 삽입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측은 고무마개(34)로 시일되어 있으므로, 원격 조작봉(12)의 내부를 통한 작업자측으로의 수분 침입을 거의 완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ip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ndrops or the like which have entered the tip end side of the connecting port 20 are not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It is easy to structure. Since the operator's side is sealed with the rubber stopper 34 as well as the insertion installation portion 18a of the stopper 18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It is possible to almost completely inhibit the water intrusion into the operator's side through the inside.

[0044] 다음으로, 선단 공구 연결 구조(1)를 이용한 원격 조작용 공구에 대해 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a remote manipulation tool using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0045] 도 3은, 주축(14)과 조작축(16)을 구비한 원격 조작봉(12)을 나타내고 있다. 작업자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레버(17)에 의해 조작축(16)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작축(16)의 선단측에는, 도 1 및 2에 나타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를 구성하는 연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축(14)의 선단측에도,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와 동일한 연결구(21)가 이용되고 있다. 조작축(16)측의 연결구(20)와 주축(14)측의 연결구(21)의 차이는, 연결구(20)의 소켓부(24)의 형상이 육각 타입인 데 반해, 연결구(21)의 소켓부의 형상은 사각 타입(四角型)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주축(14)에 설치되는 연결구(2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며, 도 1 및 2를 대용(代用)하여 참조하기로 한다.FIG. 3 shows a remote operation rod 12 having a main shaft 14 and an operating shaft 16. And the operation shaft 16 is reciproc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operation lever 17 rotatably provided on the operator's side.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operating shaft 16,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port 20 constituting the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shown in Figs. 1 and 2. Also, a coupling hole 21, which is the same as the tip tool coupling structure 1, is used at the leading end side of the main shaft 14.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 20 on the operation shaft 16 side and the connecting port 21 on the main shaft 14 side is that the socket portion 24 of the connecting port 20 has a hexagonal shape, And the shape of the socket portion is a square typ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hole 21 provided on the main shaft 14 is not shown in the figure and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1 and 2 as a substitute.

[0046] 도 4는, 도 3의 원격 조작봉(12)에 부착되는 집게 타입의 선단 공구(2)를 나타내고 있다. 선단 공구(2)는 도 3의 원격 조작봉(12)의 주축(14)에 연결되는 고정측 반체(4)와, 접속 핀(10)을 통해 원격 조작봉(12)의 조작축(16)에 연결되는 가동측 반체(8)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는, 접속 핀(10)의 자유단(10a)측의 플러그(7)와 원격 조작봉(12)의 조작축(16) 간의 연결 구조를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0046] Fig. 4 shows a tip type tool 2 of the grip type attached to the remote operation rod 12 of Fig. The distal end tool 2 includes a fixed side half 4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4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of Fig. 3 and a fixed side half 4 connected to the operation shaft 16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via the connection pin 10. [ And a movable side member 8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member 8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The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shown in Fig. 1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lug 7 on the free end 10a side of the connecting pin 10 and the operating shaft 16 of the remote operating rod 12 as an example will be.

[0047] 고정측 반체(4)의 축단측에도, 접속 핀(10)의 자유단(10a)측과 마찬가지로 플러그(5)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5)의 외주면에는 환형 홈(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단측에는 사각 타입의 끼움결합축(5b)이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5)와 주축(14)의 연결 구조도, 도 1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와 동일하다.A plug 5 is provided on the shaft end side of the fixed side half 4 similarly to the free end 10a side of the connection pin 10. An annular groove 5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5, and a rectangular fitting-engagement shaft 5b is provided on the shaft end sid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lug 5 and the main shaft 14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of Fig.

[0048] 이와 같이 구성된 선단 공구(2)는, 도 3에 나타낸 원격 조작봉(12)에 연결될 때, 먼저, 고정측 반체(4)의 플러그(5)와 주축(14)이 연결된다. 이때, 플러그(5)의 끼움결합축(5b)은 사각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둘레 방향으로 90도 증분(increment)으로 연결 위치가 선택 가능하다. 즉, 육각 타입의 끼움결합 구조 등에 비해 각도 증분이 크기 때문에, 설치 방향을 헤매는 일 없이 접속 핀(10)의 플러그(7)와 조작축(16) 간의 위치 맞춤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tip tool 2 thus configured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rod 12 shown in FIG. 3, the plug 5 of the fixed side half 4 and the main shaft 14 are connected first. At this time, since the fitting engagement axis 5b of the plug 5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connection position can be selected in an increment of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since the angle increment is larger than that of the hexagonal fitt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lign the plug 7 of the connecting pin 10 with the operating shaft 16 without losing the installation direction, .

[0049] 한편, 플러그(7)측에 대해서는, 회동 조작시의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가동측 반체(8)와 접속 핀(10)의 연결 부분에, 어느 정도의 여유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조작축(16)과 조작 레버(17)의 연결 부분에도 여유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 핀(10)과 조작축(16) 사이에는, 축회전 방향으로의 엇갈림이 생기기 쉽다.On the plug 7 side, a certain degree of clearance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ovable side body 8 and the connection pin 10 in order to reduce the resistance at the time of the turning operation, A clearance is also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operating shaft 16 and the operating lever 17. [ Therefore, a gap in the shaft rotating direction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connecting pin 10 and the operating shaft 16. [

[0050]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서는, 접속 핀(10)과 조작축(16)의 연결 부분에, 육각 타입의 끼움결합축(7b) 및 소켓부(24)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엇갈림을 해소하여 끼움결합시키기 위해, 최대 60도만큼 축 둘레로 상대회전시키면 되므로, 사각 타입보다 끼움결합이 용이하다.However, in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xagonal-type fitting engagement shaft 7b and the socket portion 24 are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onnecting pin 10 and the operating shaft 16, Therefore, it is easier to engage with the square type than with the square type because it can be relatively rotated about the axis by 60 degrees at maximum to eliminate the stagger and engage with each other.

[0051] 도 5는, 도 3의 원격 조작봉(12)에 부착되는 커터 타입의 선단 공구(52)를 나타내고 있다. 선단 공구(52)는, 도 3의 원격 조작봉(12)의 주축(14)에 연결되는 고정측 반체(54)와, 접속 핀(10)을 통해 원격 조작봉(12)의 조작축(16)에 연결되는 가동측 반체(58)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여기서는, 접속 핀(1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집게 타입의 선단 공구(2)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 의하면, 선단 공구(2, 52)와 같은 플라이어 타입의 다양한 형태의 공구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IG. 5 shows a cutter type tip tool 52 attached to the remote operation rod 12 of FIG. 3. The tip tool 52 includes a fixed side half body 54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4 of the remote operation rod 12 of Fig. 3 and an operation shaft 16 Side movable body 58 is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body 58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For refer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in 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clamping tool 2 shown in Fig. 4, an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eading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tools of the plier type such as the tip end tools 2 and 52.

[0052] 또한, 도 5의 선단 공구(52)의 고정측 반체(54)의 축단측에도, 도 4의 선단 공구(2)와 마찬가지로 록킹용의 환형 홈(55a)과 사각 타입의 끼움결합축(55b)을 가지는 플러그(55)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플러그(55)부터 먼저 원격 조작봉(12)의 주축(14)에 접속하면, 가동측 반체(58)의 접속 핀(10)의 위치결정이 용이해지므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5, an annular groove 55a for locking and a square-shaped fitting shaft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axial end side of the fixed side half body 54 of the tip tool 52 shown in FIG. 5 in the same manner as the tip tool 2 shown in FIG. 55b. As a result, when the plug 55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14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first, positioning of the connecting pin 10 of the movable side half body 58 is facilitated, and efficient operation becomes possible .

[005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단 공구 연결 구조(1)에 의하면, 슬리브부(28)를 슬라이딩 조작하는 것만으로 연결 상태의 록킹 또는 해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사각 타입 플러그(5)와 육각 타입 플러그(7)를 조합함으로써 위치결정이 용이해지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ip tool connect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locking / unlocking of the connected state can be easily switched only by sliding the sleeve portion 28, and the rectangular type plug 5 and the hexagonal-type plug 7, the positioning can be facilitated,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0054] 이에 더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부분에 침입한 수분을 원격 조작봉(12)(의 주축(14), 조작축(16))의 내부에 침입시키는 일 없이,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선단측과 작업자측 간의 절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 향상이 도모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trud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effectively removed from the outside without intruding into the in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 12 (the main shaft 14 and the operating shaft 16) Therefore, the insulation state between the tip end side and the worker side can be well maintained, and the safety of the work can be improved.

[0055] 참고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부(28)의 노치(28c)는, 끝단 가장자리에 1개소만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notch 28c of the sleeve portion 28 has only one edge portion at the edge, but it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0056]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 핀(32)은, 슬릿(32a)을 둘레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마개체(18)의 플랜지부(18b)와 원격 조작봉(12)의 개구 가장자리와의 경계를 타고 체류하는 물을, 스토퍼 핀(32)의 내부로 인도할 수 있는 배치라면, 슬릿(32)이 형성되는 방향은 둘레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opper pin 32 is arranged so as to face the slit 32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owever, the flange portion 18b of the stopper member 18 and the remo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t 32 is formed is not limit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ter staying in the boundary with the opening edge of the operating rod 12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stopper pin 32. [

[0057]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주축측에 사각 타입, 조작축측에 육각 타입의 플러그를 구비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축측, 조작축측 모두 다각 타입의 플러그를 이용하는 경우, 주축측이 조작축측보다 구성면의 수가 적은 다각 타입의 플러그라면, 어떠한 조합이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위치결정이 용이해져,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a square type is provided on the main shaft side and a hexagonal type plug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shaft side is show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a multi-type plug is used on both the main shaft side and the operation shaft side, the positioning can be easily performed in any combination of multiple types of plugs, Can be improved.

[0058] 나아가, 조작축측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조작축측에 둥근 타입의 플러그를 설치하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주축측에는 다각 타입의 플러그를 구비하면, 주축의 연결은 설치 방향이, 다각 타입 플러그를 구성하는 면수(面數)로 한정되므로 위치결정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구성상 주축보다 연결 개소가 많아, 그 만큼 여유도 많은 조작축에 대해서는, 둘레 방향으로의 설치 방향이 한정되지 않는 둥근 타입인 편이 연결이 용이해진다.Furthermore, as a configuration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peration on the operation shaft side, a configuration in which a round type plug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shaft side can be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main shaft side is provided with a polygonal type plug, the main shaft connection is limited to the number of faces constituting the polygonal type plug, so positioning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haft having a larger number of connection points than the main shaft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having a much larger margin, the connection is facilitated for a round type in which the installation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not limited.

[0059] 본 발명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는, 주축 및 조작축으로 이루어진 2축 타입의 원격 조작봉에 대해, 작업성 향상 및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므로, 특히, 플라이어 타입의 선단 공구를 이용하는 원격 조작봉의 용도에 있어서 유용하다.The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orkability and ensure safety with respect to a biaxial type remote operation rod made up of a main shaft and an operation shaft, and in particular, a remote operation rod using a plier- It is useful in applications.

[0060] 1 : 선단 공구 연결 구조
2, 52 : 선단 공구
4, 54 : 고정측 반체
5, 7, 55 : 플러그
5a, 7a, 55a : 환형 홈
5b, 7b, 55b : 끼움결합축
8, 58 : 가동측 반체
10 : 접속 핀
10a : 자유단
12 : 원격 조작봉
14 : 주축
16 : 조작축
16a : 개구 가장자리
17 : 조작 레버
18 : 마개체
18a : 삽입설치부
18b : 플랜지부
18c : 소켓 끼움삽입부
20, 21 : 연결구
22 : 플러그 받이구
24 : 소켓부
26 : 하우징부
26a : 록킹 볼
26b : 스토퍼 링
26c : 숄더부
27 : 편향 스프링
28 : 슬리브부
28a : 슬라이딩 접촉면
28b : 내측돌기부
28c : 노치
30 : 통부
32 : 스토퍼 핀
32a : 슬릿
34 : 고무마개
100 : 원격 조작 파지구
101 : 비막이
112 : 원격 조작봉
114 : 주 조작봉
116 : 부 조작봉
102 : 파지구 쌍
104 : 고정 파지구
106 : 가동 파지구
104a, 106a, 114a, 116a : 요철 끼움결합부
120, 122 : 마개
[0060] 1: End tool connection structure
2, 52: tip tool
4, 54: fixed side half body
5, 7, 55: Plug
5a, 7a, 55a: annular groove
5b, 7b, 55b:
8, 58: movable side half body
10: Connection pin
10a: free end
12: Remote control rod
14:
16: Operation axis
16a: opening edge
17: Operation lever
18: Do not eat
18a:
18b: flange portion
18c: socket fitting insertion portion
20, 21: connector
22: Plug socket
24:
26:
26a: Locking ball
26b: Stopper ring
26c:
27: biasing spring
28: Sleeve portion
28a: sliding contact surface
28b:
28c: notch
30: Tongue
32: Stopper pin
32a: slit
34: Rubber stopper
100: Remote manipulator earth
101: Non-membrane
112: remote operation rod
114: main operation rod
116:
102: Pair of Earth pairs
104: Fixed wave earth
106:
104a, 106a, 114a, and 116a:
120, 122: plug

Claims (4)

선단(先端) 공구가 가지는 플러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環狀) 홈 내에, 둘레 방향으로 배열한 록킹 볼의 일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연결 상태의 상기 플러그를 록킹할 수 있는 플러그 받이구가 선단에 설치된 원격 조작봉의 선단 공구 연결 구조로서,
상기 원격 조작봉의 선단측에 삽입되는 삽입설치부와, 상기 원격 조작봉의 선단측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걸림고정 가능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마개체(栓體)와,
작업자측(手元側; hand side)에, 상기 원격 조작봉의 선단측의 일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모두 덮는 통부(筒部)를 가지며, 선단측에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연결구(連結具)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
A portion of a locking ball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ushed in an annular groove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lug of a tip tool so that a plug receiving hole capable of locking the plug in a connected state A distal end tool connecting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 rod,
A stopper portion having a flange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an edge of an opening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
A tubular portion which covers a part of a distal end side of the remote control rod and the flange portion on the hand side of the operator and has a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tool connecting structur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받이구는,
상기 플러그가 끼움삽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록킹 볼이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 상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록킹 볼을 직경 축소 방향으로 가압가능한 내측돌기부를 내측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가지며, 작업자측의 끝단 가장자리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된 슬리브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부는,
일단(一端)이, 상기 개구 가장자리와 상기 플랜지부와의 경계에 삽입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슬리브부의 작업자측의 끝단 가장자리에 접촉 또는 상기 노치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직경 확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된 중공(中空) 구조의 스토퍼 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receiving /
A socket portion into which the plug is inserted,
A housing portion in which the socket portion is disposed inside and the locking balls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leeve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liding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so as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sliding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ide capable of pressing the locking ball in a diametrically reducing direction with sliding and having a notch formed in a part of the end edge of the worker, Respectively,
The tubular portion
Wherein one end is inserted in a boundary between the opening edge and the flang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edge of the worker side of the sleeve portion or the diameter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stopper pin having a hollow structure with a sli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공구는,
축단(軸端)에 상기 플러그를 가진 고정측 반체(半體)와,
상기 고정측 반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플라이어 타입(plier-type)으로 축부착(軸着)된 가동측(可動側) 반체와,
상기 가동측 반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自由端)측에 상기 플러그를 가지는 접속 핀을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작봉은,
상기 고정측 반체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주축과,
상기 접속 핀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조작축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반체와 상기 주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부는, 상기 가동측 반체와 상기 조작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소켓부보다 구성면의 수가 적은 다각 타입(多角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ip tool comprises:
A fixed side half body having the plug at its shaft end,
A movable side half body pivotally attached to the fixed side half body in a plier type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a connection pin which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half body and has the plug at a free end side,
The remote control rod
A main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hole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an operation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hole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connection pin,
Wherein the plug and the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the main shaft are polygonal type having a smaller number of constituent surfaces than the plug and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movable side half body and the operation shaft. Connection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공구는,
축단에 상기 플러그를 가진 고정측 반체와,
상기 고정측 반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플라이어 타입으로 축부착된 가동측 반체와,
상기 가동측 반체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측에 상기 플러그를 가지는 접속 핀을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작봉은,
상기 고정측 반체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주축과,
상기 접속 핀의 상기 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플러그 받이구를 가지는 조작축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반체와 상기 주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부는 다각 타입이며,
상기 가동측 반체와 상기 조작축을 연결하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부는 둥근 타입(丸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공구 연결 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ip tool comprises:
A fixed side half having the plug at its shaft end,
A movable side half body which is shaft-mounted as a plier type so that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side half body is possible,
A connection pin pivot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side half body and having a plug at a free end side thereof,
The remote control rod
A main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hole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an operation shaft having the plug receiving hole connectable with the plug of the connection pin,
The plug and the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fixed side half body and the main shaft are of a polygonal type,
Wherein the plug and the socket portion connecting the movable side half body and the operation shaft are of a round type.

KR1020187022730A 2016-01-12 2017-01-12 Tip tool connection structure KR1021730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3737 2016-01-12
JP2016003737A JP6590704B2 (en) 2016-01-12 2016-01-12 Tip tool connection structure
PCT/JP2017/000897 WO2017122753A1 (en) 2016-01-12 2017-01-12 Tip tool connecti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924A true KR20180109924A (en) 2018-10-08
KR102173056B1 KR102173056B1 (en) 2020-11-02

Family

ID=5931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730A KR102173056B1 (en) 2016-01-12 2017-01-12 Tip tool connec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90704B2 (en)
KR (1) KR102173056B1 (en)
CN (1) CN108698229B (en)
TW (1) TWI702121B (en)
WO (1) WO201712275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295A (en) * 2022-04-12 2023-10-19 (주)가온 Temporary hook for indirect live wire that is easy to fasten to duckbill c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2237B2 (en) 2017-07-21 2021-05-19 株式会社永木精機 Operation rod connection structure
JP7125748B2 (en) * 2018-10-17 2022-08-25 京都機械工具株式会社 tip tool
CN111251052B (en) * 2020-02-24 2021-06-01 浙江辛巴达机器人科技有限公司 Primary and secondary anchor clamps are used in robot material loading
TWI725881B (en) * 2020-06-24 2021-04-21 唯誠實業股份有限公司 Insulated post structure
CN113991513A (en) * 2021-10-28 2022-01-2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安县供电公司 Insulating rod of quick butt joint
CN115405598A (en) * 2022-08-26 2022-11-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Connection structure and insulated operation device
WO2024084895A1 (en) * 2022-10-18 2024-04-25 株式会社永木精機 Remote operation plier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281A (en) * 2003-01-31 2004-09-09 Toshiba Social Automation Systems Co Ltd Sorting device
JP2008253059A (en) * 2007-03-30 2008-10-16 Izumi Products Co All-weather type operation rod
JP3159865U (en) 2010-03-19 2010-06-03 株式会社永木精機 Remote control gripper
JP2013091505A (en) * 2011-10-25 2013-05-16 Es Project:Kk Manual filling machine and head component thereof
JP2014528366A (en) * 2011-10-13 2014-10-27 マクドナルド デットワイラー アンド アソシエイ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obot repair multifunction tool
KR20150040927A (en) * 2012-08-17 2015-04-15 나가노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collet chuck
JP3202192U (en) * 2015-11-06 2016-01-21 株式会社スターエム Rotating tool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442B2 (en) * 1994-08-30 2001-07-09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Hot stick tool waterproof structure
JP3442683B2 (en) * 1999-03-01 2003-09-02 日東工器株式会社 Pipe fittings
JP3983728B2 (en) * 2003-09-18 2007-09-26 日東工器株式会社 Pipe fittings and sockets for pipe fittings
JP4662881B2 (en) * 2006-04-13 2011-03-30 中国電力株式会社 Insulated operation rod support structure
CN102136695B (en) * 2010-12-28 2012-11-28 河北省电力公司超高压输变电分公司 Overhauling tool used for +/-660kV direct-current transmission line
TWM482890U (en) * 2014-03-26 2014-07-21 Run-Ying Hu Electric insulating elbow type header operating ba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281A (en) * 2003-01-31 2004-09-09 Toshiba Social Automation Systems Co Ltd Sorting device
JP2008253059A (en) * 2007-03-30 2008-10-16 Izumi Products Co All-weather type operation rod
JP3159865U (en) 2010-03-19 2010-06-03 株式会社永木精機 Remote control gripper
JP2014528366A (en) * 2011-10-13 2014-10-27 マクドナルド デットワイラー アンド アソシエイ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Robot repair multifunction tool
JP2013091505A (en) * 2011-10-25 2013-05-16 Es Project:Kk Manual filling machine and head component thereof
KR20150040927A (en) * 2012-08-17 2015-04-15 나가노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collet chuck
JP3202192U (en) * 2015-11-06 2016-01-21 株式会社スターエム Rotating tool soc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295A (en) * 2022-04-12 2023-10-19 (주)가온 Temporary hook for indirect live wire that is easy to fasten to duckbill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056B1 (en) 2020-11-02
WO2017122753A1 (en) 2017-07-20
JP2017124451A (en) 2017-07-20
TW201729955A (en) 2017-09-01
JP6590704B2 (en) 2019-10-16
TWI702121B (en) 2020-08-21
CN108698229B (en) 2021-08-17
CN108698229A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924A (en) End tool connection structure
WO2016021612A1 (en) Lock mechanism for tubular body
US10098284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protected transmission
DE102012207571B4 (en) Cover device with dust extraction when used with a power tool
GB2398540A (en) Hand saw
DE4031090A1 (en) DEVICE ON ELECTRIC HAND MACHINE TOOLS
CN109155507B (en) Remote rotary operation tool
US9728891B2 (en) Electrical connector provided with a cable clamping device
DE102017222525A1 (en) Hand tool
JP2015191889A (en) Electric plug connector
CN103119670B (en) For separably Ampereconductors being fixed to the device of current transformer housing
US20100112854A1 (en) Easily-gripped coaxial connector element
KR102415313B1 (en) Manual cable cutter
CN106716737A (en) High-current plug with clip lock
US6957977B1 (en) Plug retention apparatus
US6634897B2 (en) Twist-lock connector
DE102015222433A1 (en) Hand luminous device
JP6660011B2 (en) Ground short-circuit device
US11673235B2 (en) Pliers
KR101415440B1 (en) Connector fitting jig and low-insertion-force connector
DE102012103935B4 (en) Housing with switch cover
DE102006041949B3 (en) Connection point for a jumper lead, to start a vehicle motor stalled with a flat battery, has a connector moving partially within an insulating sleeve shrouding it in the rest position
US10176948B2 (en) Manual charging apparatus for vacuum interrupter
JP2018110490A (en) Front end tool and insulating pliers
US20230009862A1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