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862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862A
KR20180109862A KR1020187018357A KR20187018357A KR20180109862A KR 20180109862 A KR20180109862 A KR 20180109862A KR 1020187018357 A KR1020187018357 A KR 1020187018357A KR 20187018357 A KR20187018357 A KR 20187018357A KR 20180109862 A KR20180109862 A KR 20180109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onnector
plug
locking member
fea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네 바벳
조세프 크라우텐바허
토비아스 스태들러
마르틴 빔머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10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커넥터(4)와 제2 커넥터(6)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2)에 관한 것으로, 제1 커넥터(4)와 제2 커넥터(6)는 플러그 커넥터(2) 연장의 주축을 따른 결합 이동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커넥터(4)에 연계된 잠금 부재(8)가 연장의 주축을 따라 체결 위치(A)와 해제 위치(B) 사이를 이동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0)가 반경 방향(III)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체결 위치(A)로부터 해제 위치(B)로의 잠금 부재(8)의 이동이 고정 부재(10)의 적어도 반경 방향(III)으로의 이동을 유발하며, 그리고 체결 위치(A)로부터 해제 위치(B)로의 잠금 부재(8)로의 이동에 의해 고정 부재(10)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와 연결하기 위한 축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체결 위치(A)에서 잠금 부재(8)가 고정 부재(10)의 반경 방향(II)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와 함께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 위성(satellite)에도 관련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회로기판 및/또는 예를 들어 전류 또는 예를 들어 빛 또는 레이저 광 등의 광학적 방사 등의 전기 또는 광학적 신호들을 위한 케이블들을 분리 및 결합시키는 데 사용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숫 부품(male part)과 암 부품(female part)의 적어도 두 부품들로 구성된다.
플러그 연결(plugged connection)의 숫 부품은 외측을 향하는 접촉 텅(contact tongue)을 가지는 반면, 암 부품은 내측을 향하는 개구부(opening)를 가진다. 그러나 양성(both genders)의 플러그 부재(plug element)들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도 있다.
케이블 또는 어댑터의 단부에 부착되면, 숫 부품은 플러그로도 지칭된다.
케이블 또는 소켓의 단부에 부착되거나 장치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설치되면, 암 부품은 커플링(coupling)으로도 지칭된다.
예를 들어, 이름이 암시하듯 서로 플러그 결합(plugged)되는 SMP 플러그 커넥터는 40GHz까지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 고주파(RF) 신호들에 사용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약 22 내지 약 68N의 최대 인장력까지의 연결을 보장한다. 더 높은 인장력이 발생되면 연결이 분리된다.
더 높은 인장력에서 원치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의 축방향의 두 단부 위치(end position)들 간을 이동할 수 있는 잠금 슬리이브(securing sleeve)를 가지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가 DE 44 39 852 A1호로 알려졌다. 잠금 슬리이브를 플러그의 자유단(free end)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들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그러면 이 고정 위치에서 대응 고정 부재(counter-fixing element)들과 맞물려 플러그가 소켓 내에 유지(hold)될 수 있게 된다. 잠금 슬리이브를 반대 방향, 즉 자유단과 멀리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와 대응 고정 부재와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어 플러그는 작은 힘을 인가해도 소켓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DE 44 39 852 A1호로 알려진 동축 케이블은 플러그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잠금 슬리이브가 자유단에 위치하지 않아, 즉 연결의 형성을 위해 제1 단계에서는 잠금 슬리이브가 결합 이동(joining movement)과 반대로 자유단에서 멀리 이동된 다음, 제2 단계에서 플러그를 소켓에 결합하기 위해 자유단을 향한 결합 이동의 방향으로 이동될 것을 요구한다. 이 부자연스러운 일련의 운동이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로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증가된 인장력에 대해 신뢰성 높게 연결이 체결되는 동시에 조작이 용이한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는 문제에 기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문제는 청구항 1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sed in) 특징들(features)을 가지는 전술한 방식의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해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방식의 플러그 커넥터에서,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축방향의 결합 이동(joining movement)을 가능하게 하도록 잠금 부재(securing element)가 체결 위치(locking position)에서 고정 부재(fixing element)의 반경 방향 운동을 허용할 수 있게 설계된다.
여기서, 제1 커넥터가 플러그이고 제2 커넥터가 소켓이거나, 제1 커넥터가 소켓으로 설계되고 제2 커넥터가 플러그로 설계된다.
이 구성은 제1 커넥터 역시 체결 위치에서의 결합 이동으로 제2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어서 이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결합 이동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잠금 부재를 결합 이동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제1 커넥터가 하나의 단계에서 즉시 제2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 과정 동안 잠금 부재가 파지 부재(grip element)로 기능하여 한손 조립(single-handed assembly)을 가능하게 하므로 이는 플러그 커넥터에 의한 연결의 생성을 극히 간단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해제 효과(unlocking effect)를 가지는 잠금 부재 덕분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유지력(holding force)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필요할 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해제 기능(release function)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가 예를 들어 22 내지 68 N보다 큰 높은 인장력의 인가 하에서도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 또는 공급 전압 등 전기의 전송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플러그 커넥터는 예를 들어 빛 또는 레이저 광 신호 등의 광학적 신호의 전송을 위해 설계되어 예를 들어 두 광학적 도파관(waveguide)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외부 접점(outer contact)과 내부 접점(inner contact)을 가지는 동축(coaxial) 플러그 커넥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는 달리 플러그 커넥터가 예를 들어 행(row) 또는 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외부 도체가 활성 또는 비활성이 될 수 있는 복수의 접점들을 가지는 등 다른 형태 또는 플러그 접점 구성들을 가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는 40GHz까지의 주파수의 RF 신호들을 위한 SMP 플러그 커넥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위치는 제2 커넥터를 대향하는(facing) 제1 커넥터의 자유단(free end)에 위치할 수 있고, 해제 위치는 제2 커넥터로부터 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즉 구조 부재(construction element)의 개재 없이 또는 구조 부재의 개재로 고정 부재와 작동상 연결(operative connection)된다. 작동상 연결이란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간의 그들의 위치에 따라, 잠금 부재와 고정 부재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적어도 부분적 또는 일시적으로 접촉 또는 비접촉한다는 걸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 자체가 설계상 회전 대칭(rotationally symmetrical)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플러그 커넥터 연장의 주축과 직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위치에서 고정 부재는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제1 이동거리(travel length)만큼 이동할 수 있고, 잠금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제2 이동거리만큼 체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데, 제2 이동거리는 제1 이동거리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제 위치에서의 고정 부재가 체결 위치에서의 대응 고정 부재(counter-fixing element)로부터 더 큰 거리가 보장되어 제1 커넥터의 제2 커넥터로부터의 신뢰성 높은 분리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스냅인 훅(snap-in hook)을 가지면 대응 고정 부재는 스냅 체결(snap-locking)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스냅인 훅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대응 스냅인 훅(counter-snap-in hook)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커넥터의 제2 커넥터에 대한 연결은 예를 들어 22 내지 68 N보다 큰 높은 인장력의 인가 하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와 대응 고정 부재는 스냅 체결 연결 대신에 클램핑 연결(clamped connection)을 형성하거나 다른 강제 체결(force-locking) 또는 형상 체결(form-locking) 연결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삽입 영역과 제2 삽입 영역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소켓 삽입 경사부(socket insertion bevel)인 제1 삽입 영역은 제2 삽이 영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정 부재의 반경 방향 운동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 함께 결합될 때, 제1 삽입 영역과 제2 삽입 영역은 예를 들어 스냅인 훅인 고정 부재가 변형되어 예를 들어 대응 스냅인 훅으로 설계된 대응 고정 부재와 맞물려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삽입 영역은 플러그에 할당되고, 제1 삽입 영역은 소켓에 할당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플러그를 소켓에 도입할 때 플러그의 사전 정합(pre-centring)이 동시에 이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는 도전성 재질로 제조된다. 이는 잠금 부재가 EMC 차폐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고정 부재가 예를 들어 동축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 도체 단면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잠금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는 각각 이중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 접점 부재(shield contact element)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 도체와 도전 방식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차폐 손실은 고정 부재의 슬롯 붙이(slotted) 설계로 보상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RF 차폐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 부재와 작동상 연결되는 인입 경사부(withdrawal bevel)가 구비되어, 인입 접촉면(withdrawal contact surface)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정 부재의 제3의 방향, 특히 반경 방향으로의 운동을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 잠금 부재를 이동시키면, 인입 경사부는 예를 들어 스냅인 훅인 고정 부재가 변형되어 예를 들어 대응 스냅인 훅으로 설계된 대응 고정 부재와 맞물림(engagement)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경사부와 인입 접촉면은 제1 커넥터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잠금 부재의 해제 효과는 제2 커넥터와 독립적이어서, 제1 커넥터는 해제 효과를 잃지 않고 다른 제2 커넥터에도 맞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경사부는 고정 부재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 부재는 특히 간단한 단일 부품 구조(single-part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인입 경사부가 고정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인입 경사부와 고정 부재가 다른 재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 접촉면은 잠금 부재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잠금 부재는 특히 간단한 단일 부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인입 접촉면은 잠금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인입 접촉면과 잠금 부재가 다른 재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제1 커넥터의 주 플러그 몸체(main plug body)와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는 체결 및 해제 위치 사이에서 주 플러그 몸체의 가이드(guide) 내에 분리 불가능하게 유지(hold)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잠금 부재는, 연결의 형성 동안 결합 이동을 통해 잠금 부재가 망실되거나 미리 장착될 필요 없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는 잠금 슬리이브(securing sleeve)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잠금 부재는 예를 들어 원통 내의 재질 절개부(incut)들에 의해 형성된 반경 방향 등간격(regular radial interval)으로 이격되며 각각 그 자유단에 스냅인 훅이 구비된 접촉 텅(contact tongue)들을 가지는, 특히 간단한 단일 부품 구조와 균일한 재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와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위성(satellite)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성은 과학, 상용, 또는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구나 달 등의 행성 등의 천체(celestial body)를 타원 또는 원형 궤도로 도는 인공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인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의 비연결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1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의 제1 단계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의 제2 단계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의 제3 단계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의 제4 단계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의 최종 단계를 보이는 도면, 그리고
도 8은 분리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를 잠금 해제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예를 들어 위성(satellite)의 예를 들어 회로기판 및/또는 케이블들 등의 두 부품들의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2)이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는 다른 설비들의 회로기판 및/또는 케이블들을 도전 방식(electrically conductive manner)으로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2)는 RF 신호등의 전기적 신호의 전송 또는 공급 전압의 전송을 위해 설계된다. 이와는 달리, 플러그 커넥터(2)는 예를 들어 빛 또는 레이저 광 등의 광학적 신호의 전송을 위해 설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광학적 부품들 및/또는 광학적 도파관(waveguide)들을 서로 연결한다.
플러그 커넥터(2)는 숫 부품(male part)과 암 부품(female part)을 가질 수 있는데, 숫 부품과 암 부품의 연결 대상이 예를 들어 회로기판 및/또는 케이블인가와 무관하게, 이하에서 숫 부품은 제1 커넥터(4)로 암 부품은 제2 커넥터(6)로 지칭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4)는 플러그로 설계되고 제2 커넥터(6)는 소켓으로 설계된다.
도전성 연결 또는 광학적 신호를 전송하는 연결은 뒤에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제1 커넥터(4)가 그 연장의 주축을 따라 제1,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축 방향(I)을 따라 제2 커넥터(6)를 향해 이동하여 이와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2)로 이뤄진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2)는 연장의 주축으로 긴 기본적 형태를 가져 내부 도체(inner conductor; 56)와 외부 도체(outer conductor; 54)를 가지는 동축(coaxial) 플러그 커넥터로 설계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와 달리, 플러그 커넥터(2)는 예를 들어 접점들이 행 또는 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다른 플러그 접점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4)는 주 플러그 몸체(main plug body; 24), 절연 몸체(insulating body; 26), 잠금 부재(securing element; 8), 및 고정 부재(fixing element; 10)와 함께 내부 도체 플러그 소켓(inner conductor plug socket; 28)을 가진다.
또한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내부 도체 플러그 소켓(28)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 핀(connection pin; 20)에 추가하여,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에 고정하기 위해 제2 커넥터(6)는 고정 부재(10)와 상호작용하는 대응 고정 부재(counter-fixing element; 12)를 가진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0)와 대응 고정 부재(12)는 스냅 체결(snap-locking) 연결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이와는 달리, 고정 부재(10)와 대응 고정 부재(12)가 클램핑 연결(clamped connection)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플러그 커넥터(2)는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RF 차폐(shielding)를 위한 제1 차폐 접점 부재(shield contact element)(52a)와 제2 차폐 접점 부재(52b)를 가지는 RF 쉴드(shielding)를 구비한다. 제1 차폐 접점 부재(52a)는 주 플러그 몸체(24)와 잠금 부재(8) 사이에 위치하여 주 몸체(24) 둘레에 고리 형태(annular manner)로 연장되는 반면, 제2 차폐 접점 부재(52b)는 제2 커넥터(6)의 주 소켓 몸체(58)와 잠금 부재(8) 사이에 위치하여 잠금 부재(8) 둘레에 고리 형태로 연장된다. 주 플러그 몸체(24)와 주 소켓 몸체(58)가 각각 외부 도체(54)의 단면들을 형성하므로, 제1 차폐 접점 부재(52a)와 제2 차폐 접점 부재(52b)는 외부 도체(54)와 도전 방식(electrically conductive manner)으로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도체(56)는 제2 커넥터(6)의 연결 핀(20)과 제1 커넥터(4)의 내부 도체 플러그 소켓(28)으로 구성되는 반면, 외부 도체(54)는 제1 커넥터(4)의 고정 부재(10)의 외부 접점 부(outer contact section; 18)와 제2 커넥터(6)의 대응(mating) 접점 부(22)로 형성된다.
내부 도체(56)와 외부 도체(54)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 몸체(26)는 고정 부재(10)와 내부 도체 플러그 소켓(28) 사이에 위치한다.
특히 잠금 부재(8)와 고정 부재(10)의 구체적 상세를 도 2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절연 몸체(26)와는 달리 잠금 부재(8)는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고 잠금 슬리이브(securing sleeve)로 설계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8)는 또한 주 플러그 몸체(24)의 가이드 내에서 연장의 주축을 따라 체결 위치(locking position; A)와 해제 위치(unlocking position; B) 간을 제1 방향(L)과 제1 방향(I) 반대의 제2 방향(II)으로 분리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은 제1 스탑(stop)(34)과 제2 스탑(36)에 의해 제한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체결 위치(locking position; A)는 제1 커넥터(4)의 전단(front end; D) 또는 제2 커넥터(6)에 대향하는 단부에 위치하고, 해제 위치(unlocking position; B)는 후단(rear end: P) 또는 제2 커넥터(6)로부터 먼 단부에 위치한다. 도 2에서, 잠금 부재(8)는 전단(D)의 체결 위치(A)에 위치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0) 역시 도전성 재질로 제조되며 복수의 슬릿(slit; 32)들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텅(contact tongue; 30)들을 가진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0)는 슬리이브 형태로 설계되는데, 복수의 슬릿(32)들은 이 고정 부재(10)의 원주 상에 등간격(regular interval)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0)는 제2 커넥터(6)의 대응 스냅인 훅(counter-snap-in hook; 40)들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대응 고정 부재(counter-fixing element; 12)들과 스냅 체결(snap-locking) 연결을 하는 복수의 스냅인 훅(snap-in hook; 38)들을 가진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냅인 훅(38)들의 대응 스냅인 훅(40)들과의 맞물림을 통한 스냅 체결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텅(30)의 제3, 즉 반경 방향(III)으로의 변형은 제1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joining movement) 동안 서로 만나는, 삽입 접촉면으로 설계된 제1 삽입 영역(insertion region)(42)과 소켓 삽입 경사부(bevel)로 설계된 제2 삽입 영역(14)을 통해 보장된다(도 1 참조). 이를 위해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 삽입 영역(42)과 제2 삽입 영역(14)이 각각 경사면(ramp)의 형태로 설계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3 방향(III)은 제 1 방향(I)에 대해 대략 90o의 각도를 형성한다. “대략(substantially)"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제조 공차 이내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1 방향(I)과 제2 방향(II)은 플러그 커넥터(2)의 연장의 주축을 따라 연장되는 반면, 동축 플러그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2)의 대략 회전 대칭 구조 때문에 제3 방향(III)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0)는 또한 인입 경사부(withdrawal bevel; 16)를 가진다. 더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잠금 부재(8)가 체결 위치(A)로부터 해제 위치(B)로 이동할 때 인입 경사부(16)는 제1 방향(I) 반대의 제2 방향(II)으로의 이동의 결과 잠금 부재(8)의 인입 접촉면(44)과 접촉하게 되고, 경사면 형태의 설계 때문에 접촉 텅(30)이 제3, 즉 반경 방향(III)으로 변형하게 된다.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와 연결하는 조립 과정을 도 3 내지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 커넥터(4)와 제2 커넥터(6)가 분리 조건에 있는 제1 단계를 도시하는데, 제1 커넥터(4)가 제1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joining movement)을 통해 제2 커넥터(6)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잠금 부재(8)는 파지 부재(grip element)로 작용한다. 여기서 잠금 부재(8)는 체결 위치(A)에 있다. 체결 위치(A)에서 잠금 부재(8)는 제2 스탑(36)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결합 이동 동안 제1 커넥터(4)에 대한 잠금 부재(8)의 상대이동이 방지되어 잠금 부재(8)가 한손 조립(single-handed assembly) 동안 파지 부재로 기능한다.
도 4는 제1 커넥터(4)가 제1 방향(I)의 결합 이동을 통해 제2 커넥터(6)에 삽입됨으로써 제1 커넥터(4)의 고정 부재(8)의 제1 삽입 영역(42)이 제2 커넥터(6)의 제2 삽입 영역(14)으로 진입하여 제1 커넥터(4)의 제2 커넥터(6) 내의 사전 정합(pre-centring)을 이루는 제2 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의 계속으로 고정 부재(10)의 플러그 삽입 경사부(plug insertion bevel; 46)(도 2 참조)가 제2 삽입 영역(14)에 접촉하게 되는 제3 단계를 도시한다. 이와 동시에, 연결 핀(20)(도 1 참조)이 내부 도체 플러그 소켓(28)(도 1 참조)에 진입하여 내부 도체(56)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은 제1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의 계속으로 접촉 텅(30)들이 플러그 삽입 경사부(46)와 제2 삽입 영역(14)의 경사로 형태(ramp-formed)의 설계를 통해 제3 방향(III)으로 제1 이동거리(travel length)(L1)만큼 변형된 제4 단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의 계속으로 제1 커넥터(4)가 최종적으로, 제1 커넥터(4)의 전단(D)이 제2 커넥터(6)의 기부(base)에 접촉하고, 탄성 설계에 의해 제3 방향(III)에 반대되는 제4 방향(IV)으로 복원되는 단부 위치에 도달한 제5 단계를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외부 도체(54)가 대응 접촉 부(mating contact section; 22) 내에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스냅인 훅(38)(도 2 참조)의 접촉면(48)과 대응 스냅인 훅(40)(도 1 참조)과의 맞물림(meeting)은 제1 커넥터(4)가 제2 방향(II), 즉 결합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냅인 훅(38)과 대응 스냅인 훅(40)은 제1 커넥터(1)를 제2 커넥터(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제2 방향(II)으로 예를 들어 500 N 크기의 인장력이 필요하도록 설계된다.
제1 내지 제5 단계 동안, 잠금 부재(8)는 체결 위치(A)에 남아있어 접촉 텅(30)들(도 2 참조)의 변형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변형 운동에 충분한 공간을 허용한다.
도 8은 잠금 부재(8)가 제2 방향(II)으로의 이동으로 체결 위치(A)에서 해제 위치(B)로 이동한 추가적인 단계를 도시한다.
이동의 결과, 인입 접촉면(44)이 인입 경사부(16)와 접촉하게 되는데, 인입 경사부(16)의 경사로 형태의 설계의 결과 접촉 텅(30)들(도 2 참조)은 제3 방향(III)으로 제2 이동거리(L2)만큼 변형된다. 제2 이동거리(L2)가 제1 이동거리(L1)보다 커서 스냅인 훅(38)과 대응 스냅인 훅(40)은 더 이상 서로 접촉하지 않거나 맞물림(engagement)이 풀린다. 그러면 제1 커넥터(4)는 약간의 힘의 소모로 제2 커넥터(6)로부터 아무 문제없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 이동을 수행하기 전에, 먼저 잠금 부재(8)를 제1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그 대신 제1 커넥터(4)가 제2 커넥터(6)에 한 단계로 즉시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2)가 제공된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2)의 연결의 생성을 크게 간단하게 하여 한손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2)가, 제1 커넥터(4)의 제2 커넥터(6)와의 스냅 체결(snap-locking)을 통해 예를 들어 22 내지 68 N보다 높은, 심지어 500 N의 높은 인장력 하에서도 제1 커넥터(4)와 제2 커넥터(6)의 연결을 유지하는 고정 부재(10)를 가진다.

Claims (15)

  1. 제1 커넥터(4)와 제2 커넥터(6)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2)로,
    제1 커넥터(4)와 제2 커넥터(6)가 플러그 커넥터(2) 연장의 주축을 따른 결합 이동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커넥터(4)에 연계된 잠금 부재(8)가 연장의 주축을 따라 체결 위치(A)와 해제 위치(B)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분리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대응 고정 부재(12)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0)가 구비되고,
    고정 부재(10)가 반경 방향(III)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잠금 부재(8)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부재(10)와 작동상 연결되어, 체결 위치(A)로부터 해제 위치(B)로의 잠금 부재(8)의 이동이 고정 부재(10)의 적어도 반경 방향(III)으로의 이동을 유발하며,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축 방향(II)의 분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 위치(A)로부터 해제 위치(B)로의 잠금 부재(8)로의 이동에 의해 고정 부재(10)와 대응 고정 부재(12)가 반경 방향(III)으로의 이동을 통해 해제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2)에서,
    제1 커넥터(4)를 제2 커넥터(6)와 연결하기 위한 축 방향(I)으로의 결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체결 위치(A)에서 잠금 부재(8)가 고정 부재(10)의 반경 방향(III)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청구항 1에서,
    체결 위치(A)에서 고정 부재(10)가 적어도 반경 방향(III)으로 제1 이동거리(L1)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잠금 부재(8)를 체결 위치(A)로부터 해제 위치(B)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10)가 반경 방향(III)으로 제2 이동거리(L2)만큼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이동거리(L2)가 제1 이동거리(L1)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2에서,
    스냅 체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부재(10)가 스냅인 훅(38)을 가지며 대응 고정 부재(12)가 스냅인 훅(38)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대응 스냅인 훅(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에서,
    제1 삽입 영역(42)과 제2 삽입 영역(14)이 구비되고, 제2 삽입 영역(14)이 제1 삽입 영역(42)과 상호작용을 통해 고정 부재(10)의 반경 방향(III)으로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설계되고,
    특히 제1 삽입 영역(42)이 제1 커넥터(4)에 연계되고 제2 삽입 영역(14)이 제2 커넥터(6)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에서,
    잠금 부재(8) 및/또는 고정 부재(10)가 도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청구항 5에서,
    잠금 부재(8)가 적어도 하나의 차폐 접촉 부재(52a, 52b)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2)의 외부 도체(54)에 도전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에서,
    잠금 부재(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동상 연결되는 인입 경사부(16)가 구비되어, 인입 접촉면(44)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정 부재(10)의 제3 방향(III)으로의 이동을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청구항 7에서,
    인입 경사부(16)와 인입 접촉면(44)이 제1 커넥터(4)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청구항 8에서,
    인입 경사부(16)가 고정 부재(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청구항 8 또는 9에서,
    인입 접촉면(44)이 잠금 부재(8)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에서,
    잠금 부재(8)가 제1 커넥터(4)의 주 플러그 몸체(24)에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선행하는 항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항에서,
    잠금 부재(8)가 잠금 슬리이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선행하는 항들 중의 하나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의 제1 커넥터(4).
  14. 청구항 1 내지 12 중의 하나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의 제2 커넥터(6).
  15. 적어도, 청구항 1 내지 12 중의 하나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를 구비한 위성.
KR1020187018357A 2016-02-05 2017-01-31 플러그 커넥터 KR20180109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000297.8A EP3203591B1 (de) 2016-02-05 2016-02-05 Steckverbinder
EP16000297.8 2016-02-05
PCT/EP2017/000119 WO2017133838A1 (de) 2016-02-05 2017-01-31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862A true KR20180109862A (ko) 2018-10-08

Family

ID=5535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357A KR20180109862A (ko) 2016-02-05 2017-01-31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13618A1 (ko)
EP (1) EP3203591B1 (ko)
JP (1) JP2019504460A (ko)
KR (1) KR20180109862A (ko)
CN (1) CN108496282A (ko)
CA (1) CA3007616A1 (ko)
TW (1) TW201803227A (ko)
WO (1) WO2017133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5660B1 (ja) * 2018-06-19 2019-11-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及び相手側コネクタ
CN109841999A (zh) * 2019-02-22 2019-06-04 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板间射频连接器
CN112510434A (zh) * 2019-09-16 2021-03-1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轴向浮动的内接触部的同轴连接器
DE102020110291A1 (de) * 2020-04-15 2021-10-2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Rundsteckverbinder mit Schirmanbindung
SE545812C2 (en) * 2022-06-29 2024-02-06 Scania Cv Ab A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9852C2 (de) 1994-11-08 1998-04-09 Spinner Gmbh Elektrotech HF-Stecker mit einer Verriegelungsmechanik
GB2324204A (en) * 1997-04-01 1998-10-14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or locking mechanism
US8087954B2 (en) * 2006-01-26 2012-01-03 Huber+Suhner Ag Coaxial plug-type connector arrangement
CN2896603Y (zh) * 2006-09-29 2007-05-02 瞿金良 快插、自锁型射频同轴连接器
US7651361B2 (en) * 2008-04-30 2010-01-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ull tether for latch release
DE602008005122D1 (de) * 2008-06-09 2011-04-07 Interlemo Holding Sa Steckverbinder für selbstverriegelndes Verbindungssystem
DE102012100615B4 (de) * 2012-01-25 2014-08-14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ungssystem für Steckverbinder
US9153911B2 (en) * 2013-02-19 2015-10-06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tinuity connector
US8944838B2 (en) * 2013-04-10 2015-02-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locking ring
US9385446B2 (en) * 2013-04-30 2016-07-05 Ppc Broadband, Inc. Connector assembly, port accessory and method for slide-on attachment to interface ports
US9048599B2 (en) * 2013-10-28 2015-06-02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gripping member with a notch and disposed inside a shell
DE102013113631B3 (de) * 2013-12-06 2015-04-23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Steckkraftbegrenzung
CN104037541A (zh) * 2014-07-03 2014-09-10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解锁结构的连接器
EP2978079A1 (de) * 2014-07-23 2016-01-27 Multi-Holding AG Kupplung
DE202015001505U1 (de) * 2015-02-26 2015-03-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pielfreie Steckverbindung mit CP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4460A (ja) 2019-02-14
US20190013618A1 (en) 2019-01-10
TW201803227A (zh) 2018-01-16
EP3203591B1 (de) 2020-10-28
CA3007616A1 (en) 2017-08-10
EP3203591A1 (de) 2017-08-09
CN108496282A (zh) 2018-09-04
WO2017133838A1 (de)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862A (ko) 플러그 커넥터
KR102302166B1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EP231115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6695636B2 (en)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EP145542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ring, especially a coaxial plug
US8221161B2 (en) Break-away adapter
US116828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US20150024628A1 (en) Coaxial plug connector arrangement
JP2019515457A (ja) 少なくとも1つのプラグコネクタを含むプラグ接続装置
JP2002252066A (ja) 直角型同軸電気コネクタ
US20180205191A1 (en) Plug connector
EP3766145A1 (en) Coaxial bias t-connector
WO2018060873A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9601870B1 (en)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CN117013303A (zh) 用于能够插接式与配对插接连接器部件连接的插接连接器部件的接触插件
KR102530543B1 (ko) 동축 rf 커넥터
JP2010123429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US2024014597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