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539A -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 Google Patents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539A
KR20180109539A KR1020170039405A KR20170039405A KR20180109539A KR 20180109539 A KR20180109539 A KR 20180109539A KR 1020170039405 A KR1020170039405 A KR 1020170039405A KR 20170039405 A KR20170039405 A KR 20170039405A KR 20180109539 A KR20180109539 A KR 2018010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reducing
sol
reducing material
substit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동
손대희
허진
Original Assignee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손대희
허진
이헌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손대희, 허진, 이헌동 filed Critical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Priority to KR102017003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539A/ko
Publication of KR2018010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부심 저감물질을 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Glare Reducing Dispersion Sol, Glare Reducing Coating Sol and Glare Reducing Film}
본 발명은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부심 저감물질을 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자들은 주간 운전에 비해 야간 운전을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 야간 운전의 어려움은 인지과정의 문제점으로 인한 것인데, 기본적으로 어둠에 의해 시야의 범위가 좁아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반대편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전조등으로 인한 눈부심 또한 큰 문제로 작용한다.
특히, 차량의 전조등이 기존 할로겐 전구에 비하여 빛의 세기나 도달 범위가 증가된 고휘도 방전 램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나 LED 램프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에서 상대편 운전자가 느끼는 눈부심으로 인한 증발현상과 현혹현상이 증대되어 불편함과 함께 사고 위험성을 증대되고 있다(조명 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5권 제4호, 2011년 4월 등).
또한, 반대편 차선 운전자를 배려하지 않은 비규격 HID 전구 및 고전력 코팅전구 등과 같은 불법 전조등의 사용될 경우 대향차 운전자는 눈부심과 시력 회복 시간이 증가하여 일시적인 시력상실을 겪을 수도 있으며, 눈부심에 대한 적응도가 낮은 저시력자나 고령 운전자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해 안전상 치명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조등의 위, 아래 각도를 자동 조절해 최대한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대향차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막는 지능형전조등시스템(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과 상향등자동전환장치(ADB, Adaptive Driving Beam) 같은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상향등을 켜고 주행하다가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 선행차 불빛을 인지하면 하향 등으로 자동 전환하거나 룸미러 앞에 달린 카메라가 맞은편에서 다가오는 차량 위치를 감지하면 전조등 위쪽에 금속 조각을 올려 그림자를 만들어냄으로써 상향등 상태에서도 상대방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미국에서도 이러한 전조등 기술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자동차의 충돌시험에만 중점을 두던 방식에서 벗어나 전조등 평가를 조사 항목에 추가하여 차량 안정성을 종합 평가하고자 하고 있으며, 미국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는 기존 최고 등급 안전한 차에게 주어졌던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op Safety Pick+)의 지위를 기존 충돌성능의 '톱 세이프티 픽' 요건에 더해 '양호'(Acceptable) 이상의 전조등 성능을 갖춘 차량에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국내에서도 상대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주는 스마트 차량 전조등(이하 스마트 전조등)의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허청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2006년~2015년)간 차량 전조등 분야의 전체 특허출원 중 스마트 전조등의 출원 비중이 2006년 11%에서 2015년 42%로 증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조등을 스마트 전조등으로 교체하는 발생자 위주의 눈부심 저감 방식은 실제 스마트 전조등을 설치한 차량수가 많아야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아직까지 스마트 전조등 설치비용이 높은 점과 강제성 있는 관련 규제 법규가 없는 현실을 고려할 때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썬바이저에 결합하는 방식의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이 간단하게 눈부심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들이 선보이고는 있다. 이들은 전조등 광원과 비슷한 색상의 제품으로 눈의 순응시간의 단축에는 장점이 있으나, 직접 개폐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무엇보다 눈부심 상황을 제외한 다른 일반 운전 상황 속에서는 오히려 어둠을 증대시켜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야간 운전 시 대향편 차량의 전조등의 종류와 위치 등에 관계없이 눈부심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에 의한 개폐 내지 탈착이 요구되지 않으며, 눈부심 상황을 제외한 다른 일반 운전 상황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반응자 측면에서의 눈부심 저감 내지 방지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0983533 "초고주파를 이용하여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 2010. 09. 2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눈부심 저감물질을 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눈부심 저감물질을 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에 대한 감도가 높은 황색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야간 운전 시 대향차의 전조등에 의한 눈부심은 방지하여 주면서도, 눈부심 상황이 아닌 경우의 시야 확보에는 방해가 되지 않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부착 또는 개폐 방식이 아니라 자동차 앞유리에 상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형지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어 눈부심 저감층의 보호가 가능한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550~590nm 대역의 황색파장을 집중적으로 흡수하여 주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550nm 파장의 빛을 70% 이상 투과시키고, 560~590nm에서 형성되는 최대 흡수 파장의 빛을 5% 이상 30% 이하 투과시키는 눈부심 저감층을 통해 눈부심은 저감시켜주면서도 외부 색상의 왜곡은 최소화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눈부심 저감물질을 제1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M은 중심금속을 나타내며, X1 내지 X8은 치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중심금속은 Co, Pd, Ni, Cu, Zn, VO 및 TiO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페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tert 부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탄소수 1~6을 가지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디옥사진 화합물은 아래의 화학식 2와 같이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Y1 내지 Y4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Y1 및 Y3는 동일한 것으로 페닐기이고, Y2 및 Y4는 동일한 것으로 에틸 아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제1유기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분산제는 변성 폴리우레탄 타입의 유무기 안료 분산용 고분자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1~5wt%, 상기 제1유기용제 90~98.2wt% 및 상기 분산제 0.2~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경화제 및 제2유기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0~20wt%, 상기 경화제 40~45wt% 및 상기 제2유기용제 40~4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은, 상기 경화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아크릴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은, 상기 제2유기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상기 눈부심 저감층의 두께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상기 눈부심 저감층의 상기 기재층과 접하지 않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이형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상기 눈부심 저감층은 550nm 파장의 빛을 70% 이상 투과시키고, 560~590nm에서 형성되는 최대 흡수 파장의 빛을 5% 이상 30%이하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눈부심 저감물질을 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눈부심 저감물질을 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눈에 대한 감도가 높은 황색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야간 운전 시 대향차의 전조등에 의한 눈부심은 방지하여 주면서도, 눈부심 상황이 아닌 경우의 시야확보에는 방해가 되지 않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탈부착 또는 개폐 방식이 아니라 자동차 앞유리에 상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이형지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어 눈부심 저감층의 보호가 가능한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550~590nm 대역의 황색파장을 집중적으로 흡수하여 주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550nm 파장의 빛을 70% 이상 투과시키고, 560~590nm에서 형성되는 최대 흡수 파장의 빛을 5% 이상 30% 이하 투과시키는 눈부심 저감층을 통해 눈부심은 저감시켜주면서도 외부 색상의 왜곡은 최소화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및 이의 제조를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과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공하는 효과를 준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의 일 실시예들의 단면도
도 4는 UV/VIS 투과 실험의 개념도
도 5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이 포함되지 않은 유기용제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의 시험예 1 및 2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8은 눈부심 저감층이 없는 필름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9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10은 눈부심 저감 필름의 비교예 1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11은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2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12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비교예 2의 UV/VIS 투과 그래프
도 13은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의 시편 사진
도 14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비교예 1의 시편 사진
도 15는 아무런 필름도 통하지 않고 태양광에 노출된 그림의 사진
도 16은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을 통한 필터링이 이루어진 그림의 사진
도 17은 눈부심 저감 필름의 비교예 1을 통한 필터링이 이루어진 그림의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눈부심 저감물질을 제1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것이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황색파장의 빛에 대한 흡수성능이 우수한 물질을 말하는데, 황색파장이란 눈부심을 유발하는 황색파장 영역대의 빛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550~59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황색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포르피린계 색소, 디옥사진 색소, 퀴나크리돈 색소, 로다민계 색소 및 사프라닌계 색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은 포르피린(porphyrins) 및 프탈로사이아닌(phthalocyanines)과 유사한 테트라피롤 거대 고리 화합물(tetrapyrrole macrocycles)로서, 특정 파장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다.
상기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도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M은 중심금속을 나타내며, X1 내지 X8은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중심금속(M)은 Co, Pd, Ni, Cu, Zn, VO 및 TiO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시광선 영역의 흡수파장은 중심금속(M)에 의해 변경되는데, 중심금속의 종류에 따라 최대 20nm 정도의 흡수파장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페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즉, X1과 X2으로 이루어진 쌍을 예로 들면, X1이 수소원자이면, X2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페닐기가 됨),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tert 부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즉, X1과 X2으로 이루어진 쌍을 예로 들면, X1이 수소원자이면, X2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tert 부틸기가 됨),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탄소수 1~6을 가지는 알킬기인 것(즉, X1과 X2으로 이루어진 쌍을 예로 들면, X1이 수소원자이면, X2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탄소수 1~6을 가지는 알킬기가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옥사진 화합물은 CI Pigment violet 23, 카르바졸 디옥사진 바이올렛(carbazole dioxazine violet) 등으로 불리우는 보라색 유기 안료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디옥사진 화합물은 보라색 색소 물질로서 아래의 화학식 2와 같이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Y1 내지 Y4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이때, Y1과 Y2, Y3과 Y4의 2개의 치환기는 각각 달라, Y1과 Y3는 동일한 것으로 페닐기이며, Y2와 Y4는 동일한 것으로, 에틸 아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물론, Y1과 Y2, Y3과 Y4는 서로 이어진 형태의 환구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기용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상용 유기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제는 고체 미립자를 액 중에 분산시키고 안정한 졸을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변성 폴리우레탄 타입의 유무기 안료 분산용 고분자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1~5wt%, 상기 제1유기용제 90~98.2wt% 및 상기 분산제 0.2~5wt%를 포함한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이 1wt%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눈부심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wt%를 초과할 경우 분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1~5wt%, 상기 제1유기용제 90~98.2 wt% 및 상기 분산제 0.2~5wt%를 혼합한 뒤 지르코늄 볼을 이용한 볼밀법 등을 이용하여 분산졸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경화제 및 제2유기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은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0~20wt%, 상기 경화제 40~45wt% 및 상기 제2유기용제 40~45wt%를 포함하여 기재층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도막 두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조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에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0.1~1wt% 포함되는 것 바람직하며, 0.1~0.2wt%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의 함량이 0.1wt% 보다 낮으면 황색파장 빛의 흡수를 통한 눈부심 저감 효과가 미미하고, 1wt% 보다 높으면 황색파장 빛만이 아니라 주변 파장대의 빛까지 흡수하게 되어 색상 왜곡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을 제1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것을 말한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눈부심을 유발하는 황색파장 영역대의 빛, 구체적으로 550~590nm의 파장을 가지는 빛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다.
상기 경화제는 열 경화 또는 광 경화되는 바인더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열 경화 또는 광 경화 바인더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아크릴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기용제는 상기 제1유기용제와 동일하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의 일 실시예들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기본적으로, 기재층(10)과,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2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0)은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의 기본적인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기재층(10)은 투명성을 가지는 각종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은 황색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눈부심을 저감시켜 주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은 550~590nm 파장의 빛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은 550nm부터 560~590nm에서 형성되는 최대 흡수 파장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투과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되, 외부 색상 왜곡의 방지를 위해서 550nm 파장의 빛을 70% 이상 투과시키고, 560~590nm에서 형성되는 최대 흡수 파장의 빛을 5% 이상 30%이하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은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 나이프 코팅, 롤투롤 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 코팅되고 열이나 UV조사를 통해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설비의 경우 대면적 코팅에 있어서 가장 평탄한 도막 표면을 나타내고 생산성 또한 다른 설비보다 높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의 두께는 3~4㎛인 것이 바람직한데, 두께가 3㎛ 보다 작을 때에는 광학 특성을 발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표면 내스크레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두께가 4㎛ 보다 클 경우에는 경도가 높아져 상기 기재층(10)과의 부착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및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의 상기 기재층(10)과 접하지 않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층(30)과, 상기 점착층(30)에 부착된 이형지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30)은 차량의 유리와 같은 피착면에 눈부심 저감 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의 상기 기재층(10)과 접하지 않는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포네이트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층(40)은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을 보호하여 주며, 사용 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은 상기 이형지층(40)의 분리 시 상기 점착층(30)으로 인해 차량의 앞유리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층(40)은 상기 기재층(10)과 마찬가지로 각종의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눈부심 저감층(20) 및 상기 점착층(30)에는 기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활제, 가소제등을 눈부심 저감을 위한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 졸이나 점착 용액 등에 첨가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 졸이나 점착 용액에서 0.1~0.5 wt% 정도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의 효과를 아래의 시험을 통해 입증하도록 한다.
1.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의 효과 검증
(1) 시편의 준비
1)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1
2-Butenedinitrile, 2-phenyl-, (E)-(cas no. 61638-11-7)을 출발물질로 제조된 중심금속 Mg인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에서 Mg를 탈리시키고 Co를 부가한 금속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1g, Basf 사의 EFKA 4008 2g을 메틸이소부틸케톤 61.7g에 혼합시켜 0.3mm 규격의 지르코니아 비드 400g이 포함된 용기에 투입하여 분산(분산시간은 10~100시간)하여 소형 볼밀기를 이용하여 분산졸을 제조하였다.
2)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2
CI Pigment 23 5g 과 Basf 사의 EFKA 4701 5g을 메틸이소부틸케톤 90g에 혼합시켜 0.5mm 규격의 지르코니아 비드 400 g이 포함된 용기에 투입하여 소형 볼밀기를 이용하여 분산(분산시간은 10~100시간)하여 분산졸을 제조하였다.
(2) 시험 1(광 흡수특성 시험)
-시험 목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의 광 흡수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시험 방법: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가 채워진 셀에 300~1100nm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측정하되, 기준셀과 측정셀에 각각 분산졸 용매(MEK)만을 채워 측정하여 기준선(Baseline)을 설정( 기준선이 100% 투과의 기준이 된다)한다. 그리고 측정셀에 시험예에 따른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을 채워서 기준셀과 비교하여 투과도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를 통해 용매에 용해된 시험예들만의 고유한 광 흡수특성을 얻어낸다.
-결과 고찰: 기준셀에서 측정된 UV/VIS 투과 그래프가 도 5에 나타나 있고,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1 및 2의 UV/VIS 투과 그래프가 도 6 및 7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은 550~590nm의 황색파장 대역의 빛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눈부심 저감 필름의 효과 검증
(1) 시편의 준비
1) 눈부심 저감 필름 시험예 1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1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 졸 20g,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80g, 메틸이소부틸케톤 80g을 혼합하여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조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열경화 롤투롤 방식을 통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0) 위에 코팅시켜 도막 두께가 3~4㎛ 되도록 눈부심 저감층(20)을 형성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이 코팅된 배면에 6~7㎛ 두께로 점착층(30)을 만든 뒤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형지층(40)을 형성시켰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1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의 함량은 1.5wt%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은 0.31g 포함되게 되고, 그 함량은 0.17wt%가 된다.
2) 눈부심 저감 필름 시험예 2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2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 졸 20g,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80g, 메틸이소부틸케톤 80g을 혼합하여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조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열경화 롤투롤 방식을 통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0) 위에 코팅시켜 도막 두께가 3~4㎛ 되도록 눈부심 저감층(20)을 형성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이 코팅된 배면에 6~7㎛ 두께로 점착층(30)을 만든 뒤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형지층(40)을 형성시켰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2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의 함량은 5wt%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은 1g 포함되게 되고, 그 함량은 0.56wt%가 된다.
3) 눈부심 저감 필름 비교예 1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1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 졸 160g,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60g을 혼합하여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조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열경화 롤투롤 방식을 통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0) 위에 코팅시켜 도막 두께가 3~4㎛ 되도록 눈부심 저감층(20)을 형성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이 코팅된 배면에 6~7㎛ 두께로 점착층(30)을 만든 뒤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형지층(40)을 형성시켰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1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의 함량은 1.5wt%이므로, 본 비교예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은 2.47g 포함되게 되고, 그 함량은 1.12wt%가 된다.
4) 눈부심 저감 필름 비교예 2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2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 졸 80g,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100g, 메틸이소부틸케톤 100g을 혼합하여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제조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을 열경화 롤투롤 방식을 통해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0) 위에 코팅시켜 도막 두께가 3~4㎛ 되도록 눈부심 저감층(20)을 형성하고, 상기 눈부심 저감층(20)이 코팅된 배면에 6~7㎛ 두께로 점착층(30)을 만든 뒤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형지층(40)을 형성시켰다.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시험예 2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의 함량은 5wt%이므로, 본 비교예에서 눈부심 저감물질은 4g 포함되게 되고, 그 함량은 1.43wt%가 된다.
(2) 시험 2-1(광 흡수특성 시험)
-시험 목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의 광 흡수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시험 방법 및 장비: 가시광선 투과 및 적외선 차단 관찰은 JASCO (JAPAN) 650 UV/VIS spectrometer으로 baseline을 공기 중에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고찰: 도 8에는 눈부심 저감층이 없는 필름의 UV/VIS 투과 그래프가 나타나 있고, 도 9 및 10에는 각각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 및 비교예 1의 UV/VIS 투과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 및 12에는 각각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2 및 비교예 2의 UV/VIS 투과 그래프가 나타나 있다.
도 9 및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 및 2는 모두 550~590nm 파장의 빛을 선택적 집중적으로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구체적으로, 도 9를 보면 시험예 1의 경우 550nm 파장의 빛을 70%정도 투과시키고, 투과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590nm 부근에 형성된 최대흡수파장의 빛은 10% 정도 투과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며, 도 11을 보면 시험예 2의 경우 550nm 파장의 빛을 65% 정도 투과시키고, 투과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590nm 부근에 형성된 최대흡수파장의 빛은 20% 정도 투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비교하여, 도 10 및 12를 참조하면, 비교예 1 및 2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들은 보다 광범위하게 500~600nm 파장의 빛 즉, 주황과 녹색 영역의 빛까지 흡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보면 비교예 1의 경우 500~550nm 파장의 빛도 많이 흡수하고 있어, 이 구간에서 투과율이 40% 이하로 저하되고, 600nm 부근에서는 0%에 가까운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2를 보면 비교예 2의 경우 400nm 부근에서부터 투과율이 가파르게 낮아져 500nm 부근에서 20% 정도의 투과율을 보이고, 최대흡수파장에서는 0%의 투과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비교를 통하여 본 발명의 눈부심 저감 필름에 의할 경우 색상의 왜곡 없이 눈부심을 유발하는 황색파장의 빛만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반면, 비교예에 의할 경우 광범위한 파장의 빛이 흡수되어 색상의 왜곡 현상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3) 시험 2-2(시인성 시험)
-시험 목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인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시험 방법 및 장비: 앞서 살펴본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의 시편 및 비교예 1의 시편을 준비하고, 이들을 각각 그림 앞에 배치하여 그림의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결과 고찰: 도 13에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의 시편 사진이 나타나 있고, 도 14에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비교예 1의 시편 사진이 나타나 있다. 도 13 및 14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에 비하여 비교예에 따른 눈부심 저감 필름이 상대적으로 훨씬 진한 색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코팅된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에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이 과도하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5에는 아무런 필름도 통하지 않고 태양광에 노출된 그림의 사진이 나타나 있고, 도 16에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시험예 1을 통한 필터링이 이루어진 그림의 사진이 나타나 있으며, 도 17에는 눈부심 저감 필름의 비교예 1을 통한 필터링이 이루어진 그림의 사진이 나타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눈부심의 유발 원인이 되는 황색파장 대역의 빛만이 필터링 되고 다른 색상의 왜곡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도 17을 살펴보면 황색파장 대역 외에 주황 및 녹색 대역의 빛까지 광범위하게 흡수된 결과 색상의 왜곡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눈부심 저감 필름에 의할 경우 눈부심은 저감시키면서 다른 색상의 왜곡은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재층 20: 눈부심 저감층
30: 점착층 40: 이형지층

Claims (25)

  1. 눈부심 저감물질을 제1유기용제에 분산제와 함께 분산시킨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은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아자포르피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화학식 1]
    Figure pat00005

    (M은 중심금속을 나타내며, X1 내지 X8은 치환기를 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금속은 Co, Pd, Ni, Cu, Zn, VO 및 TiO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5. 제3항에 있어서,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페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6. 제3항에 있어서,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tert 부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7. 제3항에 있어서,
    X1과 X2, X3와 X4, X5와 X6, X7과 X8는 각각 쌍을 이루되 각 쌍의 치환기들은 하나의 치환기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수소원자 이외의 치환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며 탄소수 1~6을 가지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옥사진 화합물은 아래의 화학식 2와 같이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화학식 2]
    Figure pat00006

    (Y1 내지 Y4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9. 제8항에 있어서,
    Y1 및 Y3는 동일한 것으로 페닐기이고, Y2 및 Y4는 동일한 것으로 에틸 아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기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변성 폴리우레탄 타입의 유무기 안료 분산용 고분자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1~5wt%, 상기 제1유기용제 90~98.2wt% 및 상기 분산제 0.2~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경화제 및 제2유기용제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14. 제12항의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경화제 및 제2유기용제를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0~20wt%, 상기 경화제 40~45wt% 및 상기 제2유기용제 40~4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10~20wt%, 상기 경화제 40~45wt% 및 상기 제2유기용제 40~45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아크릴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기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19.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13항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20.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14항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21.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15항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22.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제16항의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이 도포되어 형성된 눈부심 저감층을 포함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층의 두께는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층의 상기 기재층과 접하지 않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이형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저감층은 550nm 파장의 빛을 70% 이상 투과시키고, 560~590nm에서 형성되는 최대 흡수 파장의 빛을 5% 이상 30%이하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저감 필름.
KR1020170039405A 2017-03-28 2017-03-28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KR20180109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05A KR20180109539A (ko) 2017-03-28 2017-03-28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05A KR20180109539A (ko) 2017-03-28 2017-03-28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39A true KR20180109539A (ko) 2018-10-08

Family

ID=6386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405A KR20180109539A (ko) 2017-03-28 2017-03-28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5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728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assembly
CA2651319A1 (en) Infrared radiation blocking laminate
CN104487397A (zh) 热线遮蔽用夹层结构体
KR20220144872A (ko) 저반사 차광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저반사 차광층 및 저반사 차광층 적층체
CN114930201A (zh) 低反射材
JP2019020602A (ja) 複合タングステン酸化物粒子含有樹脂、複合タングステン酸化物粒子分散液および複合タングステン酸化物粒子分散粉
JP7075713B2 (ja) 分散体、着色層、着色膜、着色基材、着色合わせ基材、およびインク
WO2020042207A1 (zh) 一种防紫外光夜视兼容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109539A (ko) 눈부심 저감물질 분산졸, 눈부심 저감물질 코팅졸 및 눈부심 저감 필름
JP4528104B2 (ja) 車両用ミラー
EP3870995B1 (de) Ir-transparentes sensor- und kamerasystem für kraftfahrzeuge
CN1706908A (zh) 作为电致变色材料的化合物以及电致变色组件
US11472344B2 (en) Electrochromic mirror module
JP2020160148A (ja) 自動車用防眩性シートおよび自動車用防眩性合わせガラス
US20230373393A1 (en) Optical systems for side/rear view mirror of a vehicle
CN210337526U (zh) 一种汽车智能遮光板
CN211995395U (zh) 一种智能防眩汽车内后视镜
JPS6224203A (ja) プラスチツク防眩濾光板
US10781986B2 (en) Low-glare automotive headlight
KR100521954B1 (ko) 자동차 미러
CN112711158A (zh) 电致变色镜片模块
KR20230033568A (ko) 재귀반사시트
JP2021006887A (ja) 再帰性反射フィルム、及び再帰性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9210996A1 (de) Retroreflektierende folie, folie, datenträger und verwendung
CN102152728A (zh) 防眩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