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11A - 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11A
KR20180108411A KR1020177023398A KR20177023398A KR20180108411A KR 20180108411 A KR20180108411 A KR 20180108411A KR 1020177023398 A KR1020177023398 A KR 1020177023398A KR 20177023398 A KR20177023398 A KR 20177023398A KR 20180108411 A KR20180108411 A KR 2018010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ment
position fixing
water
taste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지 장
지펭 헤
Original Assignee
포산 순더 메이디 워터 디스펜서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32568.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56972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219849.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562312U/zh
Application filed by 포산 순더 메이디 워터 디스펜서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산 순더 메이디 워터 디스펜서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4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07Specific properties of the central tube or the permeate chann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02F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6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perme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26Absorption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3Specific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2Elements in series
    • B01D2317/025Permeat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01D27/146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 시스템(100)으로서,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승압 펌프(4) 및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를 포함한다.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는 필터 하우징(11)과 복합 필터 소자(12)를 포함하고, 필터 하우징(11)은 원수 입구(111), 예비 처리수 출구(114), 예비 처리수 입구(115), 순수 출구(112)와 농축수 출구(113)를 포함한다. 복합 필터 소자(1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123)를 포함하고, 예비 처리수 출구(114)는 여과 어셈블리의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출수단 및 승압 펌프와 연통되고, 예비 처리수 입구(115)는 여과 어셈블리의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입수단 및 승압 펌프(4)와 연통된다.

Description

정수 시스템
본 발명은 수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따르면, 정수 시스템 중 종래에 흔히 사용하는 복합 필터 소자로는 탄소봉 + 한외여과 필터 소자, PP + 활성탄 복합 필터 소자, 과립 활성탄 + 한외여과 등이 있다. 그런데, 밀봉 내압과 성능 측면의 원인으로, 나노 여과막 또는 역삼투막 관련 복합 필터 소자(filter element)가 매우 적다. 겨우 몇 개뿐인 역삼투막 복합 필터 소자 중에서, 입맛을 개선하는 후치형 활성탄 필터 소자는 여전히 일체형 복합 필터 소자의 바깥 쪽에 위치하여, 기기 전체의 사이즈 소형화에 불리하다.
또한, 정수 시스템에 설치된 승압 펌프는 장기적인 사용 중에 쉽게 막혀 정수 시스템의 사용과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가 작고 신뢰성이 높고 사용 수명이 긴 정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은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 승압 펌프 및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복합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은 원수 입구, 예비 처리수 출구, 예비 처리수 입구, 순수 출구와 농축수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필터 소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어셈블리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는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출수단과 연통되며,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는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입수단과 연통되며; 상기 승압 펌프는 일단이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와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승압 펌프는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로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농축수 출구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은, 여과 어셈블리의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를 상하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복합 필터 소자 전체를 입체적으로 배치한다. 이로써 복합 필터 소자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필터 하우징의 내압에 유리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기기 전체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배출되는 물의 품질도 좋다. 또한 승압 펌프를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하류에 설치함으로써 승압 펌프에 들어간 물이 예비처리 필터 소자에 의해 여과되도록 한다. 이로써 승압 펌프가 막히는 리스크를 줄이고, 정수 시스템의 수명을 늘이며, 정수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 시스템은 상기 승압 펌프와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 사이에 연결된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하류에 설치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가 막히는 리스크를 줄이고, 정수 시스템의 수명을 더 늘이고, 정수 시스템의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수 입구와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 상기 순수 출구와 상기 농축수 출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단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원수 입구, 예비 처리수 출구, 예비 처리수 입구, 순수 출구와 농축수 출구가 필터 하우징에서의 분포가 합리하고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 내의 수로 설계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전체 복합 필터 소자의 구조가 합리하고 안정해진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중심 집수관과 상기 중심 집수관에 권취된 정밀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 입구는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입수단과 연통된다. 상기 복합 필터 소자는, 고리형을 이루며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되는 제1 엔드캡; 고리형을 이루는 엔드캡 본체와 상기 엔드캡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통형을 이루는 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캡 본체는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격판은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제2 엔드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엔드캡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중심 집수관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에는 순수 유출에 적합한 순수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순수 채널은 상기 순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와 상기 제2 엔드캡 사이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농축수 채널과 유통 채널이 한정되고, 상기 유통 채널은 상기 중심 집수관과 연통되며, 상기 농축수 출구와 농축수 채널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제1 엔드캡과 제2 엔드캡을 통해, 복합 필터 소자의 장착과 조립이 편리해지고, 입맛 필터 소자를 제2 엔드캡 내에 설치함으로써, 복합 필터 소자 내의 수로 설계에 유리하고, 복합 필터 소자 내의 수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배출되는 물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수 시스템은 연결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은 상기 엔드캡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 집수관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하우징과 상기 제2 엔드캡 사이에 상기 농축수 채널이 한정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연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와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상기 유통 채널이 한정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연결 하우징을 통해, 입맛 필터 소자의 조립이 편리해지고, 입맛 필터 소자와 여과 어셈블리를 편리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입맛 필터 소자 사이에는 돌출 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입맛 필터 소자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입맛 필터 소자 사이의 틈새가 상기 유통 채널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설치된 돌출 블록을 통해, 유통 채널의 형성을 편리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하우징에 고리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 집수관의 출수단은 상기 고리형 돌기 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입맛 필터 소자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연결이 편리해지고, 연결이 빠르고 확실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수 시스템은 제1 위치 고정 부재와 제2 위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는 각각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축방향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제1 위치 고정 부재와 제2 위치 고정 부재를 통해 입맛 필터 소자를 연결 하우징 내에 편리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파이프상을 이루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은 상기 순수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는 제1 위치 고정 본체와 상기 제1 위치 고정 본체에 형성된 제1 위치 한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고정 본체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상기 중심 집수관에 근접한 일단을 막으며, 상기 제1 위치 한정 돌기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 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는 제2 위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2 위치 한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 본체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상기 중심 집수관에서 멀어진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위치 한정 돌기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 한정 돌기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를 관통한 통수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입맛 필터 소자를 파이프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입맛 필터 소자에 편리하게 순수 채널을 형성한다. 또한, 제1 위치 고정 부재의 제1 위치 한정 돌기와 제2 위치 고정 부재의 제2 위치 한정 돌기가 각각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과 결합됨으로써, 입맛 필터 소자의 장착 및 위치 고정이 더 편리하고 빨라지도록 하며, 복합 필터 소자 내의 유로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이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내며, 일부분은 이하 설명으로부터 명료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진행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료해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터 소자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 위치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나타냈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는 시종 일관하게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소자를 나타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용어 ‘중심’, ‘상’, ‘하’, ‘수직’, ‘수평’, ‘상부’, ‘하부’, ‘내’, ‘외’, ‘축방향’, ‘반경방향’, ‘원주방향’ 등이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된 도면을 기반으로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칭되는 장치 또는 소자가 특정 방위를 가지거나 또는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되어야 함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지 않음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제1’, ‘제2’로 한정된 구성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당해 구성요소를 명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다수’의 의미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100)은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승압 펌프(4)와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는 필터 하우징(11)과 필터 하우징(11) 내에 설치된 복합 필터 소자(12)를 포함하고, 복합 필터 소자(1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123)를 포함한다. 여과 어셈블리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서로 이격된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포함하고, 입맛 필터 소자(123)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와 서로 연결되어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하류에 위치한다. 여과 어셈블리의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123)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복합 필터 소자(12) 전체가 입체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복합 필터 소자(12)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필터 하우징(11)의 내압에 유리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기기 전체의 사이즈 소형화에 유리하며 배출되는 물의 품질이 좋다.
그 중,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는 PAC(PP와 C, PP면과 활성탄의 복합 필터 소자(12))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는 복합 필터 소자(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분포된 PP 부직포 권취층(PP부직포 권취층의 정밀도는 5μm로 설정할 수 있다)과 활성탄 섬유 권취층을 포함할 수 있고,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는 녹, 흙 모래, 수중에 흡착된 이색, 이상한 냄새, 잔류 염소 및 일부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유입되는 수질을 확보하고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입맛 필터 소자(123)는 활성탄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맛 필터 소자(123)는 활성탄 봉일 수 있다. 입맛 필터 소자(123)는 휘발성 유기물과 잔류 염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필수 광물질 예를 들어 미량칼슘, 규산, 카보네이트 등을 남길 수 있으며, 입맛이 감미롭고 부드럽도록 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1)은 원수 입구(111), 예비 처리수 출구(114), 예비 처리수 입구(115), 순수 출구(112)와 농축수 출구(113)를 구비한다. 예비 처리수 출구(114)는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출수단과 연통되고, 예비 처리수 입구(115)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입수단과 연통된다. 승압 펌프(4)의 일단은 예비 처리수 출구(114)와 서로 연결되고 타단은 예비 처리수 입구(115)와 서로 연결되며, 승압 펌프(4)는 예비 처리수 출구(114)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예비 처리수 입구(115)에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 승압 펌프(4)를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하류에 설치함으로써, 승압 펌프(4)에 들어간 물이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하여 여과되게 한다. 이로써 승압 펌프(4)가 막히는 리스크를 줄이고, 정수 시스템(100)의 수명을 늘이며, 정수 시스템(10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이격시킴으로써,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처리된 물이 승압 펌프(4)의 승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들어가 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와 농축수 출구(113)는 서로 연결되고,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는 폐수 비율을 조절하여 정수 시스템(100)의 작동 압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정수 시스템(100)의 작업 과정을 간단히 요약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원수는 필터 하우징(11)의 원수 입구(111)로부터 필터 하우징(11) 내에 들어가고, 여과 어셈블리의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다.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물은 필터 하우징(11)의 예비 처리수 출구(114)를 통해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에서 유출되어 승압 펌프(4)에 의해 승압된다. 이에 따라, 원수가 승압 펌프(4)에 들어가기 전에 1차적으로 여과되어 승압 펌프(4)가 막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승압된 후의 물은 필터 하우징(11)의 예비 처리수 입구(115)를 통해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내로 유입되어,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의해 정밀하게 여과된다.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의해 여과되어 형성된 순수는 입맛 필터 소자(123)을 통하여 여과되어 입맛이 개선되며, 마지막으로 입맛이 개선된 순수는 필터 하우징(11)의 순수 출구(112)를 통하여 유출되어 마실 수 있도록 공급된다. 생성된 농축수는 필터 하우징(11)의 농축수 출구(113)를 거쳐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에서 유출되며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를 통하여 정수 시스템(100)에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100)은, 여과 어셈블리의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123)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복합 필터 소자(12) 전체를 입체적으로 배치한다. 이로써 복합 필터 소자(12)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필터 하우징(11)의 내압에 유리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기기 전체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배출되는 물의 품질도 좋다. 또한 승압 펌프(4)를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하류에 설치함으로써 승압 펌프(4)에 들어간 물이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여과된다. 이로써 승압 펌프(4)가 막히는 리스크를 줄이고, 정수 시스템(100)의 수명을 늘이며, 정수 시스템(10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 시스템(100)은, 승압 펌프(4)와 예비 처리수 입구(115) 사이에 연결된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3)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입수 전자밸브를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하류에 설치함으로써,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3)가 막히는 리스크를 줄이고, 정수 시스템의 수명을 더 늘이며 정수 시스템(100)의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원수 입구(111)와 예비 처리수 입구(115)는 필터 하우징(11)의 상단에 위치하고, 예비 처리수 출구(114), 순수 출구(112)와 농축수 출구(113)는 필터 하우징(11)의 하단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원수 입구(111), 예비 처리수 출구(114), 예비 처리수 입구(115), 순수 출구(112)와 농축수 출구(113)가 필터 하우징(11)에서의 분포가 합리하고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내의 수로 설계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입맛 필터 소자(123)는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입맛 필터 소자(123)를 여과 어셈블리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전체 복합 필터 소자(12)의 구조가 합리하고 안정해지며 복합 필터 소자(12) 내부의 유로 설계에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는 중심 집수관(1221)과 중심 집수관(1221)에 권취된 정밀 여과막(1222)을 포함하고, 원수 입구(111)와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입수단은 연통된다. 그 중,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정밀 여과막(1222)은 역삼투막 또는 나노 여과막일 수 있다.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는 세균 바이러스, 중금속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는 다중막 권취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복합 필터 소자(12)는 제1 엔드캡(124)과 제2 엔드캡(125)을 더 포함한다. 제1 엔드캡(124)은 고리형을 이루며 여과 어셈블리의 일단에 설치되고(예를 들어, 도 3에서 제1 엔드캡(124)이 여과 어셈블리의 하단에 설치된 것을 참조)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시에서, 제1 엔드캡(124)의 주변에는 위로 연장된 제1 플랜징부(1241) 및 제1 플랜징부(1241)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엔드캡(124)의 반경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제2 플랜징부(1242)가 형성되며, 제1 플랜징부(1241)와 제2 플랜징부(1242) 사이에는 고리형의 제1 수용 챔버(1243)가 형성되며,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하단은 상술한 제1 수용 챔버(1243) 내에 수용되며 제1 플랜징부(1241)의 내측벽 및 제2 플랜징부(1242)의 외측벽과 긴밀히 결합된다.
제2 엔드캡(125)은 고리형을 이루는 엔드캡 본체(1251)와 엔드캡 본체(1251)의 일단(도 3의 엔드캡 본체(1251)의 하단을 참조)으로부터 축방향(도 3의 상하 방향을 참조)을 따라 연장되고 통형을 이루는 격판(1252)을 포함한다. 엔드캡 본체(1251)는 여과 어셈블리의 타단에 설치되고(예를 들어, 도 3에서 엔드캡 본체(1251)가 여과 어셈블리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참조)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서로 연결된다. 격판(1252)은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 사이에 위치하여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이격시킨다. 이로써,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편리하게 이격시킬 수 있어,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처리된 물이 승압 펌프(4)를 통하지 않고 바로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들어가 여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엔드캡 본체(1251)의 하단의 외주변에는 아래로 연장된 제3 플랜징부(12511)가 더 형성되고, 제3 플랜징부(12511)와 격판(1252) 사이에는 고리형의 제2 수용 챔버(1253)가 형성되며,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의 상단은 상기 제2 수용 챔버(1253) 내에 수용되며 제3 플랜징부(12511)의 내측벽 및 격판(1252)의 외측벽에 긴밀히 결합되어 제2 엔드캡(125)과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가 안정적이고도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입맛 필터 소자(123)는 엔드캡 본체(1251) 내에 설치되고, 입맛 필터 소자(123)와 중심 집수관(1221)은 서로 연결되며, 입맛 필터 소자(123)에는 순수 유출에 적합한 순수 채널(a3)이 형성되고, 순수 채널(a3)은 순수 출구와 연통된다. 입맛 필터 소자(123)와 제2 엔드캡(125) 사이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농축수 채널(a1)과 유통 채널(a2)이 한정되며, 유통 채널(a2)은 중심 집수관(1221)과 연통되며, 농축수 출수구는 농축수 채널(a1)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제1 엔드캡(124)과 제2 엔드캡(125)을 통하여, 복합 필터 소자(12)의 장착과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입맛 필터 소자(123)를 제2 엔드캡(125) 내에 설치함으로써, 복합 필터 소자(12) 내의 수로 설계에 유리하고, 복합 필터 소자(12) 내의 수로 구조가 간단하며, 배출되는 물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복합 필터 소자(12)의 여과 과정을 간단하게 요약하여 설명한다.
도 3(도면 중 화살표 방향은 수류 방향임)을 참조하면서 도 1, 도 2와 도 4를 결부하면, 원수는 먼저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며,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물은 필터 하우징(11)의 예비 처리수 출구(114)를 통하여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에서 유출되며 승압 펌프(4)에 의해 승압된다. 승압된 물은 필터 하우징(11)의 예비 처리수 입구(115)를 통해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내로 유입되고,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의해 정밀하게 여과된다.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의해 여과되어 형성된 순수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중심 집수관(1221)에 의해 수집되고, 중심 집수관(1221) 내의 순수는 상기 유통 채널(a2)을 통하여 입맛 필터 소자(123)로 유입되어 여과되어 입맛이 개선되며, 입맛이 개선된 순수는 입맛 필터 소자(123)의 순수 채널(a3) 및 필터 하우징(11)의 순수 출구(112)를 통해 유출되어 마실 수 있도록 공급된다. 생성된 농축수는 농축수 채널(a1) 및 필터 하우징(11)의 농축수 출구(113)를 통해 정수 시스템(100)으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 시스템(100)은 연결 하우징(126)을 더 포함한다. 연결 하우징(126)은 엔드캡 본체(1251) 내에 설치되어 중심 집수관(1221)과 서로 연결되고, 연결 하우징(126)과 제2 엔드캡(125) 사이에는 농축수 채널(a1)이 한정된다. 입맛 필터 소자(123)는 연결 하우징(126) 내에 설치되며, 입맛 필터 소자(123)와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 사이에는 유통 채널(a2)이 한정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연결 하우징(126)에 의하여 입맛 필터 소자(123)의 조립이 편리해지고, 입맛 필터 소자(123)와 여과 어셈블리를 편리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과 입맛 필터 소자(123) 사이에 돌출 블록(1261)이 설치되어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과 입맛 필터 소자(123)가 이격되도록 하며,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과 입맛 필터 소자(123) 사이의 틈새는 유통 채널(a2)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설치된 돌출 블록(1261)을 통해,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과 입맛 필터 소자(123)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여, 입맛 필터 소자(123)와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 사이에 상술한 유통 채널(a2)이 쉽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중심 집수관(1221) 내로부터 흘러 나오는 물이 입맛 필터 소자(123)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여과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 블록(1261)은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블록(1261)은 하나이고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블록(1261)은 바(bar)형일 수도 있으며, 이격되게 배치되는 여러 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하우징(126)에는 고리형 돌기(1262)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 집수관(1221)의 출수단(도 3과 도 4에서 중심 집수관(1221)의 상단을 참조)은 고리형 돌기(1262) 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중심 집수관(1221)이 연결 하우징(126)의 고리형 돌기(1262) 내에 결합됨으로써, 입맛 필터 소자(123)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연결이 편리해지고, 연결이 빠르고도 확실하게 되도록 하며, 중심 집수관(1221) 내의 순수가 연결 하우징(126) 내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나아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리형 돌기(1262)의 내주벽과 중심 집수관(1221)의 외주벽 사이에는 밀봉 부재(1264)(예를 들어, 밀봉 링)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하우징(126)과 중심 집수관(1221) 사이의 연결 밀봉성을 확보하고, 농축수 채널(a1) 내의 농축수가 연결 하우징(126)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정수 시스템(100)은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를 더 포함한다.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는 각각 입맛 필터 소자(123)의 축방향 양단에 설치되며 입맛 필터 소자(123)와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설치된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를 통하여, 입맛 필터 소자(123)에 대하여 축방향(도 3의 상하 방향을 참조)에서 위치 한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입맛 필터 소자(123)를 연결 하우징(126) 내에 편리하게 위치 고정하여 복합 필터 소자(12)의 구조가 안정적이고도 확실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입맛 필터 소자(123)는 파이프상을 이루고, 입맛 필터 소자(123)의 축방향 양단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맛 필터 소자(123)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다. 입맛 필터 소자(123)의 내측 홀이 순수 채널(a3)을 구성하므로, 입맛 필터 소자(123)에 별도로 순수 채널(a3)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1 위치 고정 부재(127)는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와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에 형성된 제1 위치 한정 돌기(1273)를 포함한다.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123)의 중심 집수관(1221)에 근접한 일단(도 3의 입맛 필터 소자(123)의 하단을 참조)을 막아 입맛 필터 소자(123) 내의 순수 채널(a3)과 중심 집수관(1221)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중심 집수관(1221) 내의 물이 입맛 필터 소자(123)의 여과를 거치지 않고 바로 순수 채널(a3)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위치 한정 돌기(1273)는 입맛 필터 소자(123)의 내측 홀 내에 결합된다.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는 제2 위치 고정 본체(1281)와 제2 위치 고정 본체(1281)에 형성된 제2 위치 한정 돌기(1283)를 포함한다. 제2 위치 고정 본체(1281)는 입맛 필터 소자(123)의 중심 집수관(1221)에서 멀어진 일단(도 3의 입맛 필터 소자(123)의 상단을 참조)에 설치되고, 제2 위치 한정 돌기(1283)는 입맛 필터 소자(123)의 내측 홀 내에 결합된다. 또한 제2 위치 한정 돌기(1283)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를 관통한 통수홀(128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순수 채널(a3) 내의 순수는 제2 위치 고정 부재(128)의 통수홀(1284)을 통하여 유출되어 마실 수 있도록 공급된다.
이에 따라, 입맛 필터 소자(123)를 파이프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입맛 필터 소자(123)의 순수 채널(a3)의 형성이 편리해지도록 한다. 또한,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의 제1 위치 한정 돌기(1273)와 제2 위치 고정 부재(128)의 제2 위치 한정 돌기(1283)를 각각 입맛 필터 소자(123)의 내측 홀에 결합시킴으로써, 입맛 필터 소자(123)의 장착 및 위치 고정이 더욱 편리하고 빨라지도록 하며, 복합 필터 소자(12) 내의 유로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정수 시스템(100)은 상술한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승압 펌프(4)와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를 포함한다. 나아가, 정수 시스템(100)은 입수 라인(b1), 순수 라인(b2), 농축수 라인(b3), 예비 처리 라인(b4),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3), 단일방향 밸브(5), 고압 스위치(6)와 수도꼭지(8)를 더 포함한다.
그 중,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는 상술한 필터 하우징(11)과 복합 필터 소자(12)를 포함하고, 복합 필터 소자(12)는 상술한 여과 어셈블리, 제1 엔드캡(124), 제2 엔드캡(125), 입맛 필터 소자(123), 연결 하우징(126),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를 포함한다. 나아가, 여과 어셈블리는 상술한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포함하고, 제1 엔드캡(124)은 여과 어셈블리의 하부에 설치되고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 및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와 모두 연결된다. 제2 엔드캡(125)은 여과 어셈블리의 상단에 설치되고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와 서로 연결된다. 연결 하우징(126)은 제2 엔드캡(125) 내에 설치되고, 연결 하우징(126)의 상단은 개방되고, 그 하단은 연결 하우징(126)의 내측 챔버와 연통되는 관통홀(1263)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1263)의 주변에는 아래로 연장된 고리형 돌기(12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 집수관(1221)의 상단은 고리형 돌기(1262) 내에 결합된다.
입맛 필터 소자(123)는 연결 하우징(126) 내에 설치되고,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제2 위치 고정 부재(128)는 각각 입맛 필터 소자(123)의 하단과 상단에 설치된다. 연결 하우징(126)의 바닥벽에는 상기 돌출 블록(126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위치 고정 부재(127)는 연결 하우징(126) 내에 위치하며,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의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는 상기 돌출 블록(1261)에 지지되어,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와 연결 하우징(126)의 바닥벽 사이가 이격되도록 한다. 이로써, 중심 집수관(1221) 내의 순수가 원활하게 연결 하우징(126)의 유통 채널(a2)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는 원형을 이루고, 제1 위치 고정 본체(1271)의 주변에는 위로 연장된 제5 플랜징부(1272)가 형성되어 있다. 입맛 필터 소자(123)의 하단과 제5 플랜징부(1272)의 내주벽은 가압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입맛 필터 소자(123)의 결합 안정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제5 플랜징부(1272)와 연결 하우징(126)의 내주벽 사이는 이격되며, 이때 제1 위치 고정 부재(127)와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 사이의 틈새 및 입맛 필터 소자(123)의 외주벽과 연결 하우징(126)의 내벽 사이의 틈새는 함께 상기 유통 채널(a2)를 구성한다. 제2 위치 고정 본체(1281)는 원형을 이루고, 제2 위치 고정 본체(1281)의 주변에는 아래로 연장된 제6 플랜징부(1282)가 형성되며, 입맛 필터 소자(123)의 상단과 제6 플랜징부(1282)의 내주벽은 가압적으로 접촉하여 제2 위치 고정 부재(128)와 입맛 필터 소자(123)의 결합 안정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입수 라인(b1)과 필터 하우징(11)의 원수 입구(111)는 서로 연결되고, 예비 처리 라인(b4)의 일단은 예비 처리 출구와 서로 연결되고 타단은 예비 처리 입구와 서로 연결되며, 수류 방향에서 승압 펌프(4)와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3)는 예비 처리 라인(b4)에 직렬 연결된다. 순수 라인(b2)은 필터 하우징(11)의 순수 출구(112)와 서로 연결되고, 수류 방향에서 단일방향 밸브(5), 고압스위치(6)와 수도꼭지(8)는 순차적으로 순수 라인(b2)에 직렬 연결되며, 단일방향 밸브(5)는 순수 출구(112)에서 수도꼭지(8)로의 방향에서 단일방향으로 도통되며, 단일방향 밸브(5)는 순수 라인(b2) 내의 물이 복합 필터 소자(12)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압 스위치(6)는 순수 라인(b2) 내의 수압에 따라 수도꼭지(8)가 열린 상태인지 아니면 닫힌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도꼭지(8)를 열때, 정수 시스템(100)이 작동을 시작하고,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3)가 열리고 고압 스위치(6)가 닫히며, 원수가 원수 라인에 유입되고 필터 하우징(11)의 원수 입구(111)를 거쳐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내에 유입된다.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내에 유입된 원수는 먼저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며, 예비처리 필터 소자(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물은 필터 하우징(11)의 예비 처리수 출구(114)를 통하여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에서 유출되어 예비 처리 라인(b4) 내에 유입된다. 예비 처리 라인(b4) 내에 유입된 물은 승압 펌프(4)에 의해 승압된 다음 필터 하우징(11)의 예비 처리수 입구(115)를 통하여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1) 내에 유입되며,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를 통하여 정밀하게 여과된다.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에 의해 여과되어 형성된 순수는 정밀 여과 필터 소자(122)의 중심 집수관(1221)에 의해 수집되고, 중심 집수관(1221) 내의 순수는 상기 유통 채널(a2)을 통해 입맛 필터 소자(123)에 유입되어 여과되어 입맛이 개선되며, 입맛이 개선된 순수는 입맛 필터 소자(123)의 순수 채널(a3) 및 필터 하우징(11)의 순수 출구(112)를 통해 유출되고 순수 라인(b2) 내로 유입되며, 마지막으로 수도꼭지(8)을 통해 흘러나와 마실 수 있도록 공급된다. 생성된 농축수는 농축수 채널(a1) 및 필터 하우징(11)의 농축수 출구(113)을 통해 농축수 라인(b3)에 유입되며, 마지막으로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7)를 통해 정수 시스템(100)에서 배출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교체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100: 정수 시스템 1: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
11: 필터 하우징 111: 원수 입구
112: 순수 출구 113: 농축수 출구
114: 예비 처리수 출구 115: 예비 처리수 입구
12: 복합 필터 소자 121: 예비처리 필터 소자
122: 정밀 여과 필터 소자 1221: 중심 집수관
1222:정밀 여과막 123: 입맛 필터 소자
124: 제1 엔드캡 1241: 제1 플랜징부
1242: 제2 플랜징부 1243: 제1 수용 챔버
125: 제2 엔드캡 1251: 엔드캡 본체
12511: 제3 플랜징부 1252: 격판
1253: 제2 수용 챔버 126: 연결 하우징
1261: 돌출 블록 1262: 고리형 돌기
1263: 관통홀 1264: 밀봉 부재
127: 제1 위치 고정 부재 1271: 제1 위치 고정 본체
1272: 제5 플랜징부 1273: 제1 위치 한정 돌기
128: 제2 위치 고정 부재 1281: 제2 위치 고정 본체
1282: 제6 플랜징부 1283: 제2 위치 한정 돌기
1284: 통수홀 3: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
4: 승압 펌프 5: 단일방향 밸브
6: 고압 스위치 7: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
8: 수도꼭지 a1: 농축수 채널
a2: 유통 채널 a3: 순수 채널
b1: 입수 라인 b2: 순수 라인
b3: 농축수 라인 b4: 예비 처리 라인

Claims (10)

  1. 정수 시스템으로서,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 승압 펌프 및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 필터 소자 어셈블리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복합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은 원수 입구, 예비 처리수 출구, 예비 처리수 입구, 순수 출구와 농축수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필터 소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여과 어셈블리와 입맛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 어셈블리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는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정밀 여과 필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는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출수단과 연통되며,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는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의 입수단과 연통되며;
    상기 승압 펌프는 일단이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와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승압 펌프는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로 수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폐수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농축수 출구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펌프와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 사이에 연결된 입수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입구와 상기 예비 처리수 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예비 처리수 출구, 상기 순수 출구와 상기 농축수 출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는 중심 집수관과 상기 중심 집수관에 권취된 정밀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 입구는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의 입수단과 연통되며,
    상기 복합 필터 소자는,
    고리형을 이루며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되는 제1 엔드캡;
    고리형을 이루는 엔드캡 본체와 상기 엔드캡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통형을 이루는 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캡 본체는 상기 여과 어셈블리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격판은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소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예비처리 필터 소자와 상기 정밀 여과 필터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제2 엔드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엔드캡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중심 집수관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에는 순수 유출에 적합한 순수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순수 채널은 상기 순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와 상기 제2 엔드캡 사이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농축수 채널과 유통 채널이 한정되고, 상기 유통 채널은 상기 중심 집수관과 연통되며, 상기 농축수 출구와 농축수 채널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연결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하우징은 상기 엔드캡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 집수관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하우징과 상기 제2 엔드캡 사이에 상기 농축수 채널이 한정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상기 연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맛 필터 소자와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상기 유통 채널이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입맛 필터 소자 사이에는 돌출 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입맛 필터 소자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입맛 필터 소자 사이의 틈새가 상기 유통 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하우징에는 고리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 집수관의 출수단은 상기 고리형 돌기 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위치 고정 부재와 제2 위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는 각각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축방향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맛 필터 소자는 파이프상을 이루고,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은 상기 순수 채널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위치 고정 부재는 제1 위치 고정 본체와 상기 제1 위치 고정 본체에 형성된 제1 위치 한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고정 본체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상기 중심 집수관에 근접한 일단을 막으며, 상기 제1 위치 한정 돌기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 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는 제2 위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2 위치 한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 본체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상기 중심 집수관에서 멀어진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위치 한정 돌기는 상기 입맛 필터 소자의 내측 홀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위치 한정 돌기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위치 고정 부재를 관통한 통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시스템.
KR1020177023398A 2017-03-07 2017-05-25 정수 시스템 KR20180108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32568.2A CN108569727B (zh) 2017-03-07 2017-03-07 净水系统
CN201710132568.2 2017-03-07
CN201720219849.7U CN206562312U (zh) 2017-03-07 2017-03-07 净水系统
CN201720219849.7 2017-03-07
PCT/CN2017/086001 WO2018161438A1 (zh) 2017-03-07 2017-05-25 净水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11A true KR20180108411A (ko) 2018-10-04

Family

ID=6344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398A KR20180108411A (ko) 2017-03-07 2017-05-25 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82297A1 (ko)
EP (1) EP3594183B1 (ko)
KR (1) KR20180108411A (ko)
RU (1) RU2667289C1 (ko)
WO (1) WO2018161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8968A (zh) * 2019-12-12 2021-06-18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野外手动应急供水系统及供水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7467A (zh) * 2020-02-19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滤芯、净水系统及净水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876A (en) * 1990-01-17 1992-01-07 Trysan Research, Inc. Apparatus for multistage purification of water
WO2001054792A1 (fr) * 2000-01-26 2001-08-02 Obschestvo S Ogrannichennoi Otvetstvennostiju Adekvatnye Tekhnologii Dispositif de filtration de liquide
US20030205518A1 (en) * 2002-05-06 2003-11-06 Vanderkooi Karen J. Water filter assembly
JP2007136384A (ja) * 2005-11-21 2007-06-07 Family Service Eiko Co Ltd 透過水製造装置
CN104478039A (zh) * 2014-11-03 2015-04-01 陶再兵 无废水反渗透纯水机
WO2016095401A1 (zh) * 2014-12-19 2016-06-2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一体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系统
CN104528976A (zh) * 2014-12-19 2015-04-2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一体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系统
CN104556457B (zh) * 2015-01-30 2017-06-06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系统
WO2016127505A1 (zh) * 2015-02-09 2016-08-1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一体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系统
US20160367920A1 (en) * 2015-06-16 2016-12-22 New Century Membrane Technology Co., Ltd. Water purifier
CN205346995U (zh) * 2015-12-16 2016-06-29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复合滤芯及具有其的复合滤芯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8968A (zh) * 2019-12-12 2021-06-18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野外手动应急供水系统及供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2297A1 (en) 2019-12-19
RU2667289C1 (ru) 2018-09-18
EP3594183B1 (en) 2021-06-23
WO2018161438A1 (zh) 2018-09-13
EP3594183A4 (en) 2020-02-26
EP3594183A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25B1 (ko) 정수 시스템
EP3257822B1 (en) Water purifying system having an integrated composite filter cartridge
CN108569727B (zh) 净水系统
KR20180108411A (ko) 정수 시스템
EP3424886B1 (en) Composite filter element, composite filter element assembly,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08569787B (zh) 复合滤芯、复合滤芯组件及净水系统
CN205367922U (zh) 净水系统
CN108569784B (zh) 净水系统
KR101995359B1 (ko) 정수 시스템
CN108569785B (zh) 净水系统
CN206562312U (zh) 净水系统
CN104556305A (zh) 纯水机用过滤组件
CN215712121U (zh) 反渗透复合滤芯和净水机
US10370268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215712120U (zh) 具有反渗透滤芯的复合滤芯和净水机
RU2664934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CN218795126U (zh) 高流量反渗透膜滤芯
CN216038945U (zh) 一种ro膜后置炭复合滤芯
CN110040860A (zh) 反渗透复合滤芯组件
CN210176591U (zh) 一种ro水路系统
CN110255746B (zh) 一种复合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112919663A (zh) 反渗透复合滤芯和净水机
CN106045092A (zh) 净水器及其后置活性炭滤芯
CN206372697U (zh) 一种外压式管式微滤膜组件
JPH0681620U (ja) 液体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