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242A -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242A
KR20180108242A KR1020170037743A KR20170037743A KR20180108242A KR 20180108242 A KR20180108242 A KR 20180108242A KR 1020170037743 A KR1020170037743 A KR 1020170037743A KR 20170037743 A KR20170037743 A KR 20170037743A KR 20180108242 A KR20180108242 A KR 20180108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ion
comparative example
gellan gum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95B1 (ko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3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젤란검 및 상기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촉진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원물을 장시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으며, 원물이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부유되므로 이를 부유시키기 위한 추가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원물 손상 가능성이 적고, 다양한 형태의 용기 및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ellan gum}
본 발명은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젤란검 및 상기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촉진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꽃잎 등의 원물이 포함된 액상 화장료는 원물이 용기 바닥 면에 가라 앉아 있기 때문에 원활한 내용물 토출을 위해 브로우 용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펌프 디스펜서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합성 점증제 또는 검류를 사용하여 화장료 내의 원물이 가라앉지 않고 안정하게 부유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에센스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점도가 요구되므로, 화장료의 타입이 젤상으로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닦아 내는 타입의 스킨 또는 클렌징 워터와 같은 물형(water-like) 화장료의 경우, 화장솜에 침적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점도 있는 제형은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타입의 화장료에는 원물을 부유시키는 것이 어렵다.
원물을 포함하는 액상 화장료의 경우, 원물이 장시간 부유되지 않고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용기로의 충진 시 가라앉은 원물을 부유시켜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 에어펌핑과 같은 추가공정이 요구된다. 다만, 이 때 원물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어 문제된다.
액상 타입의 화장료에 적용되기 위해 점도가 낮으면서 원물을 장시간 부유시킬 수 있는 화장료를 개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면서 저점도인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젤란검 및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촉진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저점도를 유지하면서 원물을 장시간 부유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젤란검; 및
상기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촉진하는 첨가제인, 1가 금속 이온 또는 2가 금속 이온; 을 포함하는,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젤란검; 및 상기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촉진하는 첨가제인, 1가 금속 이온 또는 2가 금속 이온; 을 포함하는,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젤란검"은 포도당, 글루콘산, 람노스가 규칙적으로 반복된 곧은사슬 모양의 다당류를 의미하며, 엘로데아속의 수초로부터 분리된 슈도모나스 엘로데아(Pseudomonas elodea)를 사용하여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시켜서 얻은 고분자 다당류 검물질을 정제·건조·분쇄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란검은 200,000 내지 300,000 달턴(Dalton)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젤란검은 아실기가 결합된 것 또는 아실기가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아실기가 제거된 젤란검은 보다 투명도가 높아서 워터 타입의 화장료에 이용하는 데에 보다 적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젤란검은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5 내지 0.5 중량%, 구체적으로 0.02 내지 0.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장시간 동안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 원물이 가라앉을 수 있으며, 0.5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 내에 젤 입자들이 증가되어 워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하기에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일으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젤란검의 카르복시기와 결합하여 젤란검을 역평행 이중 나선구조로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젤란검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함량이 2 중량%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만 구조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이 경우 높은 함량으로 인해 저점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반면, 상기 첨가제와 함께 존재하는 경우 이중 나선 구조로 존재한다.
상기 첨가제는 1가 금속 이온 또는 2가 금속 이온일 수 있다. 상기 1가 금속 이온은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루비듐 이온, 세슘 이온, 구리 이온, 은 이온, 및 금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1가 금속 이온은 젤란검 간의 전하 반발력을 상쇄시켜 간접적으로 구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2가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철 이온 및 구리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2가 금속 이온은 젤란검의 카르복시 이온과 강하게 결합하여 구조 변화를 직접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젤란검 함량에 따라 조절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4 내지 0.0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는 것일 수 있다.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는 것은 원물이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장시간 동안 부유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원물을 2년 이상 부유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물을 2년 이상 3년 이하로 부유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물은 비드 또는 건조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장미꽃잎, 금잔화 꽃잎, 엘더플라워, 루드베키아, 구형 아가(agar) 캡슐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원물은 직경이 500 ㎛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0 ㎛ 이상 10 c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000 ㎛ 이상 2 cm 이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매우 낮아 무점도에 가까워 물형 제형이 요구되는 화장품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100 내지 1000 mPa·s, 보다 구체적으로 100 내지 500 mPa·s, 더욱 구체적으로 100 내지 400 mPa·s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용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공지의 성분, 예를 들어 보습제, 분말성분,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미용성분, 당지질, 식물추출액, 방부제, 향료, pH 조정제, 또는 색소 등을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2-헵탄디올,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린,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네오펜틸글리콜,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스, 갈락토스 등의 글리콜류, 프락토스, 수크로스, 말토스, 자일로스, 자일로비오스, 올리고당의 환원물, 단백질, 무코다당, 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등일 수 있다.
분말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산화티탄, 실리콘처리 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황산바륨 등의 백색 무기안료, 산화철, 카본블랙, 티탄산화티탄 소결물 및 군청 등의 유색 무기 안료, 탈크, 실리콘처리 탈크, 백운모, 카올린, 탄화규소,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무수규산,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규조토,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질화붕소 등의 백색 체질 분체,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철 운모 티탄, 실리콘처리 운모 티탄, 어린박, 폴리에틸렌계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수지 분체, 스테아린산 아연 및 N-아실리신 등의 유기 저분자성 분체, 전분, 실크 분말 및 셀룰로스 분말 등의 천연 유기 분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청색 404호 및 황색 401호 등의 유기 안료 분체,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분체 안료, 마이카, 금분 등의 금박 분체 및 미립자 산화 티탄 피복 운모 티탄 등의 복합 분체 등일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메톡시신남산 유도체, 우로카닌산 등일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BHT, BHA, 비타민 C류, 비타민 E류,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염 등일 수 있다.
미용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상기 비타민을 포함한 비타민류,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염, 소염제 및 생약 등일 수 있다.
당지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스핑고당지질 등일 수 있다.
식물추출액의 비제한적인 예는 알로에베라, 위치하젤, 하마메리스, 오이, 레몬, 라벤더 및 장미 등의 추출물일 수 있다.
방부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페녹시에탄올 및 에탄올 등일 수 있다.
향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캠퍼유, 귤오일, 페퍼민트오일, 쟈스민 앱솔루트, 파인오일, 라임오일, 라벤더오일, 로즈오일 및 머스크오일 등일 수 있다.
pH 조정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에데트산, 에데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쿠엔산, 쿠엔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일 수 있다.
색소의 비제한적인 예는 청색 1호, 청색 204호, 적색 3호 및 황색 201호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담체와 함께 용액, 현탁액, 유탁액,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클렌징 워터, 팩, 또는 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출원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원물을 장시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어 원물이 함유된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점도가 낮아 액상 형태의 화장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원물이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부유되므로 이를 부유시키기 위한 추가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원물 손상 가능성이 적고, 다양한 형태의 용기 및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에서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부터 순서대로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로 나타낸 것이며, 원물 용액을 첨가한 후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관찰한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이 화장솜에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1은 비교예 1, #2는 비교예 2, #3은 비교예 3, #4는 실시예 1, #5는 실시예 2, #6는 실시예 3, #7은 실시예 4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4 내지 11의 조성물에서 원물 용액 첨가 직후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비교예 4 내지 11의 결과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4 내지 11의 조성물에서 원물 용액 첨가 20분 후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비교예 4 내지 11의 결과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4 및 5의 조성물에서 원물 용액 첨가 40분 후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좌측이 비교예 4, 우측이 비교예 5의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 4 및 5의 조성물에서 원물 용액 첨가 12시간 후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좌측이 비교예 4, 우측이 비교예 5의 결과이다.
도 7은 비교예 12 내지 19의 조성물에서 원물 용액 첨가 직후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비교예 12 내지 19의 결과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비교예 18 및 19의 조성물에서 원물 용액 첨가 10분 후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좌측이 비교예 18, 우측이 비교예 19의 결과이다.
도 9는 실시예 5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원물 첨가 후 2년이 지난 후의 원물의 부유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실시예 5 내지 9의 결과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0 및 비교예 20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원물 첨가 후 24시간이 지난 후의 원물의 부유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좌측이 실시예 10, 우측이 비교예 20의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1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원물 첨가 후 24시간이 지난 후의 원물의 부유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좌측이 실시예 1, 우측이 실시예 11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 2가 금속 이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다음 표 1과 같은 함량을 가지는 젤란검 용액, 첨가제 용액, 원물 용액을 제조한 뒤, 이를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젤란검 용액은 Kelcogel(젤란검) 1% 용액을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20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첨가제 용액은 로즈향(제조사:보락)과 염화칼슘(1%)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원물 용액은 증류수와 장미 꽃잎(제조사: Lessonia, 원료명: Rosa Gallica Exfoliator 2000, 꽃잎 크기: 2000㎛)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 밖의 성분으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KMO-6(1,2-hexanediol), Cetiol-HE 810(제조사: cognis), 및 Sunbet C2M(제조사: 선진화학)을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젤란검 용액 증류수 73.57 70.57 65.57 55.57
시트르산(10%) 0.3 0.3 0.3 0.3
Kelcogel(1%) 2 5 10 20
첨가제 용액 로즈향 0.03 0.03 0.03 0.03
CaCl2(1%) 6 6 6 6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 8 8 8
KMO-6 1 1 1 1
Cetiol-HE 810 3 3 3 3
Sunbet C2M 1 1 1 1
원물 용액 증류수 5 5 5 5
장미 꽃잎 0.1 0.1 0.1 0.1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
젤란검 함량(중량 %)
0.02 0.05 0.1 0.2
비교예 1-3: 젤란검 함량을 변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젤란검 함량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함량은 다음 표 2와 같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젤란검 용액 증류수 75.57 75.07 74.57
시트르산(10%) 0.3 0.3 0.3
Kelcogel(1%) 0 0.5 1
첨가제 용액 로즈향 0.03 0.03 0.03
CaCl2(1%) 6 6 6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 8 8
KMO-6 1 1 1
Cetiol-HE 810 3 3 3
Sunbet C2M 1 1 1
원물 용액 증류수 5 5 5
장미 꽃잎 0.1 0.1 0.1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
젤란검 함량(중량 %)
0 0.005 0.01
비교예 4 내지 11
젤란검이 아닌 다른 점증제를 이용한 경우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젤란검 용액 및 첨가제 용액 대신에 점증제 용액 및 로즈향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함량은 다음 표 3과 같다.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 함량(중량 %)
점증제 용액 81.87
로즈향 0.03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
KMO-6 1
Cetiol-HE 810 3
Sunbet C2M 1
증류수 5
장미 꽃잎 0.1
점증제 용액에 포함되는 점증제의 종류 및 함량은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점증제는 각각 Keltrol F(1%)(제조사: CP Kelco), Amigel(1%)(제조사: Alban Muller International), Aronvis MX(1%)(제조사: KOWA AMERICAN CORPORATION) 및 ARISTOFLEX AVC(1%)(제조사: Clariant)을 사용하였으며,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점증제 함량(중량%)를 함께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점증제 종류 Keltrol F Amigel Aronvis MX ARISTOFLEX AVC
점증제 함량 2 10 2 10 2 10 2 10
증류수 함량 79.87 71.87 79.87 71.87 79.87 71.87 79.87 71.87
전체 조성물
기준 점증제
함량(중량 %)
0.02 0.1 0.02 0.1 0.02 0.1 0.02 0.1
비교예 12 내지 19
젤란검이 아닌 다른 점증제를 이용한 경우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젤란검 용액 및 첨가제 용액 대신에 점증제 용액, 로즈향, 수산화칼륨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함량은 다음 표 5와 같다.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 함량(중량%)
점증제 용액 81.78
로즈향 0.03
KOH(10%) 0.09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
KMO-6 1
Cetiol-HE 810 3
Sunbet C2M 1
증류수 5
장미 꽃잎 0.1
점증제 용액에 포함되는 점증제의 종류 및 함량은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점증제는 각각 Carbopol981(2%)(제조사: noveon), Carbopol980(2%)(제조사: noveon), Pemulen TR-1 polymeric emulsifier(2%)(제조사: noveon), 및 Pemulen TR-2 polymeric emulsifier(2%)(제조사: noveon)을 사용하였으며,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점증제 함량(중량%)를 함께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점증제 종류 Carbopol981 Carbopol980 Pemulen TR-1 polymeric emulsifier Pemulen TR-2 polymeric emulsifier
점증제 함량 1 5 1 5 1 5 1 5
증류수 함량 80.78 76.42 80.78 76.42 80.78 76.42 80.78 76.42
전체 조성물
기준 점증제
함량(중량 %)
0.02 0.1 0.02 0.1 0.02 0.1 0.02 0.1
실험예 1: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분석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의 pH, 점도, 및 원물(장미꽃잎)의 부유 정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7와 같이 나타났으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의 부유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좌측부터 순서대로 도 1에 나타냈다. 점도는 RVDV-II+PRO(제조사: Brookfield)를 사용하여 DIR (4rod/6rpm/1min)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원물 용액을 첨가하고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4의 부유 정도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도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H 5.15 5.23 5.34 5.22 5.18 5.13 5.21
점도
(mPa·s)
0 0 33.3 100 266.7 833.3 1000
부유 정도 X X
○: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됨.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물이 가라앉음.
X : 원물이 가라앉음.
상기 결과로부터, 젤란검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2 중량% 미만인 경우 장시간 동안 원물이 안정적으로 부유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젤란검 함량이 0.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1Pa·s을 초과하여 무점도에 가까운 액상 형태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솜에 흡수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도 2과 같이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각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솜에 토출시킨 경우 모두 화장솜에 잘 흡수되었으며, 내용물이 침적되어 화장솜에 흡수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 차이는 조성물을 화장솜에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젤란검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분석
비교예 4 내지 11에 따른 조성물의 pH 및 점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 8과 같이 나타냈다. 부유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원물 용액 첨가 직후의 결과를 도 3에, 원물 용액 첨가 20분 후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비교예 4 내지 11의 결과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나타냈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pH 7.63 7.58 7.61 7.65 7.79 7.83 7.73 7.66
점도
(mPa·s)
0 66.7 0 33.3 0 0 0 0
도 3 및 도 4와 같이, 비교예 4 내지 11의 조성물 모두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기 못하였고, 원물이 바닥에 가라앉았다. 비교예 4 내지 11 중 그나마 원물 부유 정도가 가장 좋은 비교예 5의 조성물 및 이와 동일한 점증제를 사용하고 점증제의 함량만 상이한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40분 후 및 12시간 후의 부유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각 도 5 및 도 6과 같이 나타났고, 각 도면에서 좌측 결과가 비교예 4, 우측 결과가 비교예 5에 따른 결과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시간이 지나자 결국 비교예 5에서도 원물이 모두 가라앉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2 내지 19에 따른 조성물의 pH 및 점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부유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원물 용액 첨가 직후의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비교예 12 내지 19의 결과를 좌측부터 순서대로 나타냈다.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pH 6.94 6.36 6.83 6.19 7.13 6.45 6.98 6.41
점도
(mPa·s)
0 0 0 0 0 0 0 0
도 7과 같이, 비교예 12 내지 19의 조성물 모두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기 못하였고, 원물이 바닥에 가라앉았다. 비교예 19의 조성물에서 그나마 원물이 가장 많이 부유되었으나, 비교예 18 및 19의 조성물의 10분 후 부유 정도를 관찰한 결과 도 8과 같이 나타났으며, 결국 원물이 모두 가라앉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4 및 19는 젤란검 이외에 다른 점증제를 각각 실시예 1 및 3과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되도록 제조한 것이나, 안정하게 원물을 장시간 동안 부유시키는 조성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즉, 장미꽃잎과 같이 입자 크기가 큰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기 위해서는 젤란검 및 첨가제를 이용하여야 하고, 젤란검 이외의 점증제는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9: 원물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원물 용액에서 장미꽃잎 대신에 각각 금잔화 꽃잎(가로직경 5mm, 세로직경 3cm)(실시예 5), 엘더플라워(가로직경 5mm, 세로직경 5mm)(실시예 6), 또는 흰 루드베키아(가로직경 5mm, 세로직경 1.5cm)(실시예 7), 파란 루드베키아(가로직경 5mm, 세로직경 1.5cm)(실시예 8), 및 구형 아가(agar) 캡슐(직경: 4mm)(제조사: IN2BIO, 원료명: Softlets P WH PW TO04)(실시예 9)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5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원물 첨가 후 2년 지난 후의 원물의 부유정도 관찰하였다. 도 9에 좌측부터 실시예 5 내지 9의 순서로 나타내었다. 원물을 다양하게 이용한 경우에도 모두 원물이 안정하게 부유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및 비교예 20: 첨가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분석
실시예 10은 CaCl2(1%) 용액 대신 시트르산 나트륨(Na-Citrate)(10%)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0은 첨가제를 이용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성분들의 함량은 하기 표 10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비교예 20
젤란검 용액 증류수 73.57 79.57
시트르산(10%) 0.3 0.3
Kelcogel(1%) 2 5
첨가제 용액 로즈향 0.03 0.03
Na-Citrate(10%) 6 -
디프로필렌글라이콜 8 8
KMO-6 1 1
Cetiol-HE 810 3 3
Sunbet C2M 1 1
원물 용액 증류수 5 5
장미 꽃잎 0.1 0.1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
젤란검 함량(중량 %)
0.02 0.05
실시예 10 및 비교예 20에 따른 조성물의 pH, 점도, 및 원물(장미꽃잎)의 부유 정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 11과 같이 나타났다.
실시예 10 비교예 20
pH 6.99 6.05
점도(mPa·s) 100 0
부유 정도 X
부유 정도는 원물 용액 첨가 후 24시간이 지난 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관찰한 것이며, 이를 도 10에 나타냈다. 좌측이 비교예 20, 우측이 실시예 10의 결과이다.
1가 금속 이온을 이용한 실시예 10의 경우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안정하게 원물을 부유시킬 수 있으나, 첨가제를 넣지 않은 비교예 20의 조성물은 원물을 전혀 부유시킬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젤란검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분석
실시예 11은 Kelcogel 대신에 Gellan gum-High Acyl(제조사: Ziko) (1%)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원물의 부유 정도를 확인하였다. 원물 첨가 후 24시간이 지난 후의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으며, 좌측은 실시예 1, 우측은 실시예 11에 따른 결과이다. 아실기가 결합된 조성물은 원물을 잘 부유시킬 수 있기는 하나, 젤란검 함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조성물이 다소 불투명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젤란검; 및
    상기 젤란검의 구조 변화를 촉진하는 첨가제인, 1가 금속 이온 또는 2가 금속 이온; 을 포함하는, 원물을 안정하게 부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100 내지 1000 mPa·s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물은 직경이 500 ㎛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원물은 비드 또는 건조꽃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원물을 2년 이상 부유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가 금속 이온은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루비듐 이온, 세슘 이온, 구리 이온, 은 이온, 및 금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가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철 이온 및 구리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란검은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37743A 2017-03-24 2017-03-24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743A KR102453895B1 (ko) 2017-03-24 2017-03-24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743A KR102453895B1 (ko) 2017-03-24 2017-03-24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42A true KR20180108242A (ko) 2018-10-04
KR102453895B1 KR102453895B1 (ko) 2022-10-11

Family

ID=6386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743A KR102453895B1 (ko) 2017-03-24 2017-03-24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9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616A (ja) * 1993-01-29 1994-08-23 L'oreal Sa 膨張マイクロスフィアの添加により変成した水性ゲル型の新規化粧用または外皮薬用組成物
JP2002291859A (ja) * 2001-03-30 2002-10-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ゲル状組成物
KR20070002718A (ko) * 2005-06-30 2007-01-0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500268A (ja) * 2003-08-01 2007-01-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目に見えるビーズを有する水性液体洗濯洗剤組成物
KR20110002699A (ko) * 2009-07-02 2011-01-10 롯데제과주식회사 인삼분쇄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8917A (ko) * 2010-11-30 2012-06-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JP2014181224A (ja) * 2013-03-21 2014-09-29 Kose Corp 化粧料
KR20170012810A (ko) * 2015-07-24 2017-02-03 (주)뷰티화장품 천연꽃잎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KR20170031474A (ko)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제닉 식물 입자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 입자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4616A (ja) * 1993-01-29 1994-08-23 L'oreal Sa 膨張マイクロスフィアの添加により変成した水性ゲル型の新規化粧用または外皮薬用組成物
JP2002291859A (ja) * 2001-03-30 2002-10-08 Kobayashi Pharmaceut Co Ltd ゲル状組成物
JP2007500268A (ja) * 2003-08-01 2007-01-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目に見えるビーズを有する水性液体洗濯洗剤組成物
KR20070002718A (ko) * 2005-06-30 2007-01-05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2699A (ko) * 2009-07-02 2011-01-10 롯데제과주식회사 인삼분쇄물을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8917A (ko) * 2010-11-30 2012-06-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JP2014181224A (ja) * 2013-03-21 2014-09-29 Kose Corp 化粧料
KR20170012810A (ko) * 2015-07-24 2017-02-03 (주)뷰티화장품 천연꽃잎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KR20170031474A (ko)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제닉 식물 입자체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 입자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hon Reoroji Gakkaishi, Vol. 31, No. 5, pp. 337-342, 2003 *
키엘 카렌듈라 토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95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5228A1 (en) A cream-like solid agarose-in-water gel particles suspension as an intermediate cosmetics product
TWI541025B (zh) W / O / W type emulsion with time stabil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787960B1 (fr) Nouvelles émulsions huile-dans-eau riches en sels, à viscosité élevée et stables au cours du temps
EP2941303B1 (fr) Nouvelles émulsions huile-dans-eau riches en sels, à viscosité élevée et stables au cours du temps
CN110505868B (zh) 个人护理组合物
WO2015155639A1 (en) A gel-like agarose admixture for intermediate cosmetics product
PL298132A1 (en) Bioactive products obtained from as well a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products
DE102009045981A1 (de) Antifalten-Kosmetikum mit Strandkamillenextrakt
DE10053051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Pflanzenextrakten
EP2253305A2 (de) Hautbehandlung zur Porenverfeinerung
US20190110967A1 (en) Water-bas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ffect pigment and a cosmetic active
KR101516384B1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9452B1 (ko) 나노에멀젼 유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3895B1 (ko) 젤란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9928A (ko)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45489B2 (ko)
CN106456467A (zh) 用于增强有色化妆品的局部施用的组合物和方法
EP3936575A1 (en) Surface-treated inorganic particle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ispersion solution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JP610131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635300B1 (ko)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1725031B1 (ko) 홍삼 추출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599A (ko) EGF 및 hGH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1614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11153085A (ja) 肌荒れ防止用化粧品
KR20180057858A (ko) 천연 식물 추출물과 pha를 함유한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