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048A -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 Google Patents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048A
KR20180108048A KR1020170037185A KR20170037185A KR20180108048A KR 20180108048 A KR20180108048 A KR 20180108048A KR 1020170037185 A KR1020170037185 A KR 1020170037185A KR 20170037185 A KR20170037185 A KR 20170037185A KR 20180108048 A KR20180108048 A KR 20180108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subject
modul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154B1 (ko
Inventor
박귀현
Original Assignee
박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현 filed Critical 박귀현
Priority to KR102017003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15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G06K9/002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는 안면 외곽 인식 모듈; 수신된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모듈; 정지위치 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Apparatus and method that automatically interacts with the subject of smart mirror, and smart mirr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는 백화점 화장품 코너, 쇼핑 코너와 더불어 미용실, 헬스장, 공중 화장실 등 사회전반적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미러는 하나의 거울 설치로 수많은 사용자의 수요를 해결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글로벌 e-커머스 사업자인 이베이(eBay)는 미국의 패션 브랜드인 레베카 밍코프(Rebecca Minkoff)의 일부 매장에 스마트 미러를 설치하였다. 도 2는 이베이의 '매직 미러'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명 '매직 미러(Magic Mirror)'라고 불리우는 이베이의 스마트 미러 시스템은 양방향 터치스크린 기능이 탑재된 대형 거울이다. '매직 미러'는 쇼핑 관련 정보 탐색이나 피팅룸(Fitting Room)에서의 시착 의상 선택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매장에 방문한 고객들은 우선 전용 앱을 통해 체크인을 한 뒤 '매직 미러'를 통해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제품을 탐색하게 된다. 시착을 원하는 제품은 스크린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매장 측에서는 선택한 제품들이 피팅룸에 준비되면 해당 고객에게 알림 문자를 발송하게 된다. 피팅룸에도 '매직 미러'는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고객들이 간편하게 다른 색상 및 사이즈를 시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조치이다. 시착한 의상의 사이즈나 색상 교환이 필요할 경우 의상 가격표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를 '매직 미러'에 인식시키면 다른 사이즈나 색상의 재고 현황을 즉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매직 미러'는 고객이 선택한 의상과 어울리는 다른 의상이나 액세서리 등을 추천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원하는 아이템을 발견했을 경우 다시 피팅룸 밖으로 나올 필요 없이 '매직 미러' 상의 버튼을 클릭해 점원을 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매직 미러'는 온라인 계정과의 연동을 통한 결제 및 온라인 쇼핑 등과의 연계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피팅룸에서 의상 시착 후 이베이의 결제 플랫폼인 페이팔(PayPal) 계정을 이용하면 계산대에 갈 필요 없이 '매직 미러' 스크린 상에서 즉시 결제가 가능하다. 피팅룸에서 착용했던 제품 정보를 자신의 온라인 계정에 저장해 놓으면 추후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본의 가전 제조업체인 파나소닉(Panasonic)은 가상으로 헤어스타일이나 메이크업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를 공개하였다. 도 3은 파나소닉의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나소닉의 '스마트 미러'는 카메라에 사용되는 인물 인식 기술과 보안 시스템 용도로 개발된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해 거울 앞에 앉은 사람의 얼굴 특징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와 어울리는 메이크업이나 헤어스타일을 추천하는 것이다. 예컨대 이용자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 이미지에 눈썹과 속눈썹 모양, 아이섀도우, 립스틱, 볼터치 등 부분 메이크업을 적용하면서 변화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해볼 수 있으며 남성 이용자는 얼굴 윤곽에 어울리는 가상 수염 스타일 적용도 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지난 2014년 9월 베를린에서 개최된 가전 전시회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Berlin)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2015년 1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된 국제 가전쇼 CES(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 Show) 2015에서도 시연되었다. 파나소닉의 '스마트 미러'는 센서 및 얼굴 인식 소프트웨어를 통해 피부 상태를 측정한 후 맞춤형 메이크업을 제안한다. 얼굴형, 주름, 상처, 다크서클 등 피부 상태를 즉각적으로 분석해 적절한 메이크업 방법이나 피부 처방을 위한 화장품 등을 추천할 수도 있다. 프로토 타입으로만 공개된 ‘스마트 미러’는 추천 기능 및 음성 인식 기능 등을 강화하며 상용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처럼 스마트 미러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의 화장실, 미용실, 의류 업체, 공중 화장실 등에 상용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3644호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 미러는 미러의 본래 목적을 디스플레이 때문에 상실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미러의 본래 목적은 피사체를 사용자가 보기 위한 것인데, 스마트 미러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미러의 본래 목적이 종종 달성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미러에 대해 미러의 본래 목적을 충실히 적용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는 안면 외곽 인식 모듈; 수신된 상기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모듈; 상기 정지위치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 상기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모듈; 및 상기 위치 우선순위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는 안면 외곽 인식 모듈; 수신된 상기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모듈; 상기 정지위치 정보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 및 출력가능크기의 조합인 출력가능정보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정보 생성 모듈; 상기 출력가능정보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정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모듈; 및 상기 위치 우선순위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의한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안면 외곽 인식 모듈이,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는 안면 외곽 인식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정지위치 판정 모듈이, 수신된 상기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이, 상기 정지위치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위치 생성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위치 우선순위 모듈이, 상기 출력가능위치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단계; 및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이, 상기 위치 우선순위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단계;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의한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안면 외곽 인식 모듈이,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는 안면 외곽 인식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정지위치 판정 모듈이, 수신된 상기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이, 상기 정지위치 정보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 및 출력가능크기의 조합인 출력가능정보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정보 생성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위치 우선순위 모듈이, 상기 출력가능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정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단계; 및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이, 상기 위치 우선순위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단계;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면에서 빛을 반사하여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빛을 투과하여 상기 후면에서 출력되는 출력 콘텐츠가 상기 정면의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상기 출력 콘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상기 인식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인식 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상기 출력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미러의 사용자가 피사체를 충분히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스마트 미러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미러가 사용자에 반응하게 되므로, 스마트 미러의 사용자 경험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 미러의 디스플레이 내용을 터치 스크린이나 다른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이베이의 '매직 미러'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파나소닉의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사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외곽 디텍션 단계를 도시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지위치 판정 단계를 도시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가능위치 판정 단계를 도시한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계산 단계를 도시한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단계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피사체를 미러부의 좌표 내에서 플로팅하는 모듈, 관련된 정보가 피사체의 주변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얼굴 화장법 관련 영상을 보는 동시에 스마트 미러에 비춰진 피사체를 통해 화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는 사용자(100)가 스마트 미러(10) 정면에 서면 피사체(101)가 반사에 의해 발생되고, 인식부(15)에서 사용자(100)를 감지하면 도 5와 같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10)는 미러부(11), 디스플레이부(12),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 통신부(14), 인식부(15), 인식정보 데이터베이스(151)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부(11)는 높은 반사율과 높은 투과율을 지닌 one-way mirror 또는 two-way mirror로 구성될 수 있다. 미러부(11)는 스마트 미러(10)의 최전방에 구비되어,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2)에서 출력되는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러부(11)에서는 사용자가 피사체로 반사된다.
디스플레이부(12)는 미러부(11)의 후방에 구비되고,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특정 콘텐츠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는 디스플레이부(12)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내용을 제어하고, 출력되는 콘텐츠인 출력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인식부(15)에 의해 수신되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2)에 출력될 콘텐츠인 출력 콘텐츠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인식부(15)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와 연결되어 스마트 미러(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안면 외곽 인식 및 시선 트래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 시선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부(15)는 카메라, 뎁스 카메라, IR센서,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지면 압력센서 등을 포함한 센싱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인식정보 데이터베이스(151)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와 연결되어 인식부(15)에서 생성되는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 시선 트래킹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사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정보 데이터베이스(151)는 통신부(14)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4)와 연결되는 구성들과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콘텐츠 제공 시스템(20)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 콘텐츠 제공 시스템(20)은 스마트 미러(10), 피사체가 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30), 서버(21), 콘텐츠 제공 장치(22), 데이터베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스마트 미러(10), 사용자 클라이언트(30), 서버(21) 간의 통신 경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인터넷의 필수적인 부분이 아닌, 전용 또는 프라이빗 통신 링크들(예를 들어, VPN, WAN, MAN 또는 LAN)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스마트 미러(10)의 피사체가 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로서, 통신부(14)와의 근거리 통신(Wi-Fi, BLE, Zigbee, Lora 등)을 통해 페어링 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장치(22)는 서버(21)를 통해 출력 콘텐츠를 스마트 미러(10)에 송신하고, 데이터베이스(23)와 연결되어 출력 콘텐츠를 입출력할 수 있다.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 서버(21), 콘텐츠 제공 장치(22),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퍼스널 컴퓨터(PC),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기타 등등과 같은 컴퓨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컴포넌트(유선 또는 무선)를 가진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Microsoft Windows-compatible 오퍼레이팅 시스템(OS), Apple OS X 또는 iOS, Linux 배포판, 또는 Google의 Android OS와 같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버(21), 콘텐츠 제공 장치(22), 사용자 클라이언트(30)는, 상기 스마트 미러(1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Microsoft Internet Explorer, Mozilla Firefox, Google Chrome, Apple Safari 및/또는 Opera와 같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는 안면 외곽 인식 모듈(131), 정지위치 판정 모듈(132),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133),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외곽 인식 모듈(131)은 인식부(15)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미러부(11)에 출력되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하여 안면 외곽 인식 모듈(131)에서는 인식부(15)의 좌표와 미러부(11)의 가상 좌표를 매칭해야 하는 allocation 또는 converting 단계가 필요하다.
정지위치 판정 모듈(132)은 수신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 또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의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정지위치로 판정하고 해당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133)는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 상기 정지위치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미러부(11)의 크기를 기초로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모듈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지위치 정보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 및 출력가능크기의 조합을 복수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가능위치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을 특정 부분 이상 점유할 수 없는 요건과, 피사체의 안면 외곽에 대해 지나치게 멀리 떨어질 수 없는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는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133)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기존에 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모듈이다.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은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에서 생성된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모듈이다. 이때, 출력 콘텐츠가 복수개 존재하고, 각각의 출력 콘텐츠에 대해 우선순위가 존재한다면(예를 들어, Amazon의 추천 상품 콘텐츠나 Google Admob의 광고 콘텐츠 우선순위) 각각의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azon.com의 상품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 Celine의 가방이 1순위이고 Hera의 Sun block이 2순위일 때, 피사체의 좌측이 1순위이고 상단이 2순위인 경우, Celine의 가방이 피사체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되고, Hera의 Sun block이 피사체의 상단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콘텐츠의 우선순위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 콘텐츠 제공 장치(22), 데이터베이스(23), 사용자 클라이언트(30), 광고주 클라이언트, 서비스 주체 클라이언트/서버 등에서 설정될 수 있고, 우선순위의 설정에 이용되는 기술로 Collaborative Filtering, 각종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추천 모델링 등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에 따르면, 스마트 미러의 사용자가 피사체를 충분히 관찰할 수 있으면서도 스마트 미러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미러가 사용자에 반응하게 되므로, 스마트 미러의 사용자 경험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기 스마트 미러(10)가 본 문서에 기술되지 않은 다른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덧붙여, 방화벽, 인증 시스템, 결제 처리 시스템, 네트워크 관리 도구, 로드 밸런서 등과 같은 종래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은 것이므로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오프라인 광고의 광고 효과 추적 시스템(1)은 클라우드-기반 컴퓨터 구현을 포함하는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단일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고성능 CPU 및 1G 또는 그 이상의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고, LINUX 또는 그것의 변형과 같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구동하는 서버 클래스 컴퓨터들이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상기 오프라인 광고의 광고 효과 추적 시스템(1)의 상기 작동은, 하드웨어 또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스토리지 내에 설치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고, 본 문서에서 기술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들은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장치들과 데이터 접근 및 검색을 위한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미러(10)는, 여기서 기술된 상기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인쇄, 또는 데이터의 다른 표현을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에서 생성된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에 따라, 출력가능위치의 내에서 출력 콘텐츠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사체에서 가까운 거리에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멀수록 피사체에서 먼 거리에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야 내에 출력 콘텐츠가 모두 들어오고 시야 밖으로 출력 콘텐츠가 벗어나지 않아, 가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에서 생성된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에 따라 출력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부/화장/건강 등에 관한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고, 거리가 멀수록 날씨/일정/뉴스 등에 관한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attribute 중 하나로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러부(11)와의 거리가 가까울 때 주로 이용하는 출력 콘텐츠와 유사한 카테고리의 출력 콘텐츠, Collaborative Filtering에 의해 추천되는 출력 콘텐츠, 기타 추천 모델에 의해 거리가 가까울 때 주로 이용하는 출력 콘텐츠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되는 출력 콘텐츠가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가까울 때 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거울을 통해 자신의 피사체를 쳐다보는 단계, 관련된 정보가 피사체의 주변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가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얼굴 화장법 관련 영상을 보는 동시에 스마트 미러에 비춰진 피사체를 통해 화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과 관련하여,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은 안면 외곽 디텍션 단계(S10), 정지위치 판정 단계(S20), 출력가능위치 판정 단계(S30), 우선순위 계산 단계(S40), 콘텐츠 출력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외곽 디텍션 단계(S10)는 인식부(15)에서 생성된 안면 외곽 정보를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의 안면 외곽 인식 모듈(131)이 수신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외곽 디텍션 단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15)의 인식범위(150)에 사용자의 피사체(101)에 대한 안면 외곽(200)이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이용되는 알고리즘으로는 facial node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안면 외곽 디텍션 단계에서는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미러부(11)에 출력되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 외곽 디텍션 단계(S10)에서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인식부(15)의 인식범위(150) 좌표와 미러부(11)의 가상 좌표를 allocation 또는 converting 시켜서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정지위치 판정 단계(S20)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의 정지위치 판정 모듈(132)이 수신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 또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의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정지위치로 판정하고 해당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지위치 판정 단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에서는 식별된 안면 외곽의 정지(특정 방향에 대해 특정 속도 이하로 이동 등으로 사용자가 거울을 보려는 의도를 파악)한 상태에 대해 정지위치(201)를 인식부(15)가 스마트 미러(10)로 특정하는 인식범위(150) 내에서 판정할 수 있다.
출력가능위치 판정 단계(S30)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의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133)이 상기 정지위치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미러부(11)의 크기를 기초로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가능위치 판정 단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는 사용자가 정지하여서 거울을 이용할 것으로 판정이 되면, 인식부(15)의 인식범위(150) 내에서 해당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지위치와 출력 콘텐츠가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출력가능위치(202)의 후보군(A,B,C)을 판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지위치 정보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 및 출력가능크기의 조합을 복수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가능위치는 피사체의 얼굴을 가리면 안되면서도, 지나치게 멀리 위치하는 것도 방지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가능위치는 피사체의 안면 외곽을 특정 부분 이상 점유할 수 없는 요건과, 피사체의 안면 외곽에 대해 지나치게 멀리 떨어질 수 없는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우선순위 계산 단계(S40)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의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이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133)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기존에 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계산 단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의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은 S30에서의 출력가능위치 후보군 중 기존의 콘텐츠 출력 시 사용자의 시선이 가장 집중된 곳을 순서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시선 트래킹 정보(203)를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단계(S50)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13)의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에서 생성된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204)를 출력하는 모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단계를 도시한 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미러(10)에서는 사용자의 피사체(101)가 위치하지 않은 출력가능위치 중 사용자의 시선이 빈번하여 UX적으로 용이한 위치에 출력 콘텐츠(204)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 콘텐츠가 복수개 존재하고, 각각의 출력 콘텐츠에 대해 우선순위가 존재한다면(예를 들어, Amazon의 추천 상품 콘텐츠나 Google Admob의 광고 콘텐츠 우선순위) 각각의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azon.com의 상품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 Celine의 가방이 1순위이고 Hera의 Sun block이 2순위일 때, 피사체의 좌측이 1순위이고 상단이 2순위인 경우, Celine의 가방이 피사체의 좌측에 디스플레이되고, Hera의 Sun block이 피사체의 상단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콘텐츠의 우선순위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 콘텐츠 제공 장치(22), 데이터베이스(23), 사용자 클라이언트(30), 광고주 클라이언트, 서비스 주체 클라이언트/서버 등에서 설정될 수 있고, 우선순위의 설정에 이용되는 기술로 Collaborative Filtering, 각종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추천 모델링 등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다른 실시예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따르면, 콘텐츠 출력 단계(S50)에서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에서 생성된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에 따라, 출력가능위치의 내에서 출력 콘텐츠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사체에서 가까운 거리에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멀수록 피사체에서 먼 거리에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야 내에 출력 콘텐츠가 모두 들어오고 시야 밖으로 출력 콘텐츠가 벗어나지 않아, 가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콘텐츠 출력 단계(S50)에서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위치 우선순위 모듈(134)에서 생성된 출력가능위치의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때,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에 따라 출력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이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부/화장/건강 등에 관한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고, 거리가 멀수록 날씨/일정/뉴스 등에 관한 출력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콘텐츠 출력 단계(S50)에서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135)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attribute 중 하나로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러부(11)와의 거리가 가까울 때 주로 이용하는 출력 콘텐츠와 유사한 카테고리의 출력 콘텐츠, Collaborative Filtering에 의해 추천되는 출력 콘텐츠, 기타 추천 모델에 의해 거리가 가까울 때 주로 이용하는 출력 콘텐츠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되는 출력 콘텐츠가 사용자와 미러부(11)의 거리가 가까울 때 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내에 기술된 특징들 및 장점들은 모두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히 많은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도면들, 명세서, 및 청구항들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읽기 쉽도록 그리고 교시의 목적으로 선택되었고, 본 발명의 주제를 묘사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빠뜨리는 것 없이 만들려고 의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상기한 개시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설명의 일부는 정보 상 연산의 기호 표현 및 알고리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적 설명 및 표현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작업의 핵심을 효율적으로 다른 당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동작은 기능적, 연산적, 또는 논리적으로 설명되지만, 컴퓨터나 이와 동등한 전기 회로, 마이크로코드 등에 의해 구현될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또한 이것은 모듈로서의 이러한 동작의 배열을 나타내기 위해, 때때로 일반성의 상실 없이 편리하게 입증된다. 상기 기술된 동작 및 그들의 연관된 모듈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임의의 단계, 동작, 또는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장치와 조합하여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공정, 단계,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기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될 수 있다. 이들 장치는 요구되는 목적을 위해 특별히 제작될 수 있고/있거나, 컴퓨터 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일반적-목적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전자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미디어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참조되는 임의의 연산 시스템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증가한 연산 능력을 위한 다중 프로세서 디자인을 채택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읽기 쉽도록 그리고 교시의 목적으로 선택되었고, 본 발명의 주제를 묘사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출원의 임의의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개시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의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0: 스마트 미러
11: 미러부
12: 디스플레이부
13: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14: 통신부
15: 인식부
20: 스마트 미러 콘텐츠 제공 시스템
21: 서버
22: 콘텐츠 제공 장치
23: 데이터베이스
30: 사용자 클라이언트
100: 사용자
101: 피사체
131: 안면 외곽 인식 모듈
132: 정지위치 판정 모듈
133: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
134: 위치 우선순위 모듈
135: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
150: 인식부의 인식범위
151: 인식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고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외곽 인식 모듈;
    수신된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모듈;
    상기 정지위치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
    상기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모듈; 및
    상기 위치 우선순위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2.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고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외곽 인식 모듈;
    수신된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모듈;
    상기 정지위치 정보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 및 출력가능크기의 조합인 출력가능정보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정보 생성 모듈;
    상기 출력가능정보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정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모듈; 및
    상기 위치 우선순위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3.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의한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안면 외곽 인식 모듈이,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고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외곽 인식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정지위치 판정 모듈이, 수신된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이, 상기 정지위치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출력 콘텐츠의 크기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위치 생성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위치 우선순위 모듈이, 상기 출력가능위치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단계; 및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이, 상기 위치 우선순위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단계;
    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
  4. 미러부, 디스플레이부, 인식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에 의한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안면 외곽 인식 모듈이,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 정보를 수신하고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생성하는 안면 외곽 인식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정지위치 판정 모듈이, 수신된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속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특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의 상기 피사체의 안면 외곽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정지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정지위치 판정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출력가능위치 생성 모듈이, 상기 정지위치 정보 및 상기 미러부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가능위치 및 출력가능크기의 조합인 출력가능정보를 복수개 생성하는 출력가능정보 생성 단계;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위치 우선순위 모듈이, 상기 출력가능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출력가능정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기저장된 시선 트래킹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위치 우선순위 단계; 및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출력 모듈이, 상기 위치 우선순위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단계;
    을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방법.
  5. 정면에서 빛을 반사하여 사용자의 피사체를 생성하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면에서 정면 방향으로 빛을 투과하여 상기 후면에서 출력되는 출력 콘텐츠가 상기 정면의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출력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인식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상기 출력 콘텐츠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 콘텐츠의 출력 위치를 상기 인식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인식 정보에 따라 조정하는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상기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상기 출력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미러.
KR1020170037185A 2017-03-23 2017-03-23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KR10200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85A KR102002154B1 (ko) 2017-03-23 2017-03-23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85A KR102002154B1 (ko) 2017-03-23 2017-03-23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048A true KR20180108048A (ko) 2018-10-04
KR102002154B1 KR102002154B1 (ko) 2019-07-19

Family

ID=6386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185A KR102002154B1 (ko) 2017-03-23 2017-03-23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WO2021033811A1 (ko) * 2019-08-22 2021-02-25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CN113591562A (zh) * 2021-06-23 2021-11-02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28108B1 (ko) * 2022-11-02 2023-05-02 홍미영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853A (ko) * 2015-02-06 201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60123644A (ko) 2015-04-16 2016-10-26 (주) 사름 스마트 미러 장치 및 사용자 맞춤형 영상 제공 방법
KR20160144305A (ko)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22088A (ko) * 2015-08-19 201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853A (ko) * 2015-02-06 201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60123644A (ko) 2015-04-16 2016-10-26 (주) 사름 스마트 미러 장치 및 사용자 맞춤형 영상 제공 방법
KR20160144305A (ko) * 2015-06-08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22088A (ko) * 2015-08-19 201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대상의 모션에 기반한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증강현실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48B1 (ko) * 2018-10-12 2020-01-31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WO2021033811A1 (ko) * 2019-08-22 2021-02-25 이상재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CN113591562A (zh) * 2021-06-23 2021-11-02 北京旷视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28108B1 (ko) * 2022-11-02 2023-05-02 홍미영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154B1 (ko)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154B1 (ko)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US10963047B2 (en) Augmented mirror
EP3198376B1 (en) Image display method performed by device including switchable mirror and the device
US11068051B2 (en) Augmented mirror
US10043317B2 (en) Virtual trial of products and appearance guidance in display device
US20140032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recommendations
US20180260983A1 (en) Makeup simulation assistance apparatus, makeup simulation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akeup simulation assistance program
WO2018012136A1 (ja)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
US11222452B2 (en) System and method of augmenting images of a user
WO2017108703A1 (en) Augmented mirror
US20170148225A1 (en) Virtual dressing system and virtual dressing method
US119782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facial attribute classification and use thereof
KR102178566B1 (ko) 전자 거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3539159A (ja) バーチャルフィッティ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200139934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류 착용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174053B1 (ko)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안경 피팅 시스템의 운영방법
WO2017108702A1 (en) Augmented mirror
US20190378172A1 (en) Fashion display system, method,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apparatus
WO2015172229A1 (en) Virtual mirror systems and methods
CN108629824B (zh) 图像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JP2020095581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店舗
KR102528108B1 (ko)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CN109008484B (zh) 一种货架试妆系统及方法
KR20200071196A (ko) 얼굴 인식 기반 가상 피팅 시스템
Venkata et al. AI-Enhanced Digital Mirrors: Empowering Women's Safety and Shopping Exper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