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108B1 -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108B1
KR102528108B1 KR1020220144588A KR20220144588A KR102528108B1 KR 102528108 B1 KR102528108 B1 KR 102528108B1 KR 1020220144588 A KR1020220144588 A KR 1020220144588A KR 20220144588 A KR20220144588 A KR 20220144588A KR 102528108 B1 KR102528108 B1 KR 10252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output
mirr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미영
Original Assignee
홍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미영 filed Critical 홍미영
Priority to KR102022014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거울 겸용으로 쓰이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미러 미디어; 상기 미러 미디어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기 미러 미디어에 대한 시선, 상기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영역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니터링부;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출력 영역 및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DIGITAL CONTENT OUTPUT SYSTEM USING MIRROR MEDIA}
본 발명은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가 비치는 영역 등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의 출력 영역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러 디스플레이 혹은 스마트 미러는 외형은 거울이지만 반투명 성질의 거울 뒤에 디스플레이가 부착되어 있어 디스플레이에서 정보를 표출하게 되면 거울 위로 정보가 보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와 같은 미러 디스플레이는 시각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신선하게 다가오기 때문에 광고, 패션 분야에서 점차 사용이 늘어가는 추세이다.
일 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0-1613038호에는 미용실에서 설치한 스마트 미러를 통해 고객 정보 및 광고 정보,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을 분석하여 고객을 식별하는 기능 및 고객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을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광고를 표출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가 비치는 영역과 같은 정보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한 영역과 관련된 광고를 출력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기술 측면으로는 개발이 부진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가 비치는 영역 등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의 출력 영역을 제어하는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거울 겸용으로 쓰이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미러 미디어; 상기 미러 미디어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기 미러 미디어에 대한 시선, 상기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영역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니터링부;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출력 영역 및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은, 상기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컨텐츠 각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광고물에 대한 광고 컨텐츠인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는, 사용자의 시선을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신체 영역이나 거울에 비치는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 사용자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가 촬영한 동일한 사용자의 상기 미러 미디어에 대한 체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 시,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미러 미디어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에 대한 상세 서브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전, 연동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서브 컨텐츠 출력 및 기타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상기 서브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가 비치는 영역 등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의 출력 영역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러 미디어에 출력된 다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의 시선이 오랫동안 머무는 컨텐츠를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을 끄는 컨텐츠를 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선이 오랫동안 머무는 컨텐츠의 정보 및 기타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광고와 더불어 제품 구입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영역을 나타낸 예.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된 다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전송하는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브 컨텐츠가 출력되는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출력 과정 및 서브 컨텐츠의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시선 및 사용자가 비치는 영역 등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의 출력 영역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기로 하며, 하나의 기술적 특징 및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한편 이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영역을 나타낸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4에는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의 예가, 도 5에는 출력된 다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예가, 도 6에는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정보를 전송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브 컨텐츠가 출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9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출력 과정 및 서브 컨텐츠의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의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크게 미러 미디어(10), 사용자 모니터링부(20) 및 제어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 미디어(10)는, 거울 겸용으로 쓰이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미러 미디어(10)를 바라보는 사용자(1)를 촬영하고, 사용자(1)의 시선을 파악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미디어를 거울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 미디어의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미러 필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러 미디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미러 미디어(10) 앞에 있는 사용자(1)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는, 상기 미러 미디어(10)를 바라보는 사용자(1)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1)의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대한 시선,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비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11)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러 미디어(10)의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1)를 촬영하여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비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을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적외선 센서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눈의 각막에서 반사되면서 형성되는 반사광 검출 및 동공의 위치를 구하는 알고리즘인 Starbu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에서 파악한 사용자(1)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출력 영역 및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은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비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을 제외한 그 외의 영역(12)으로 한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미디어(10) 앞에 있는 사용자(1)가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비치면서 형성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을 제외한 그 외의 영역(12)에 상기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에 대응되는 영역에 컨텐츠 각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광고물에 대한 광고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신체에 대응되는 광고물이란, 얼굴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립스틱, 치약, 칫솔, 가글, 치아미백제 등과 같은 입과 관련된 광고물, 선글라스, 안경, 콘택트렌즈, 눈 화장을 위한 화장품 등과 같은 눈과 관련된 광고물, 비염 치료제 등과 같은 코와 관련된 광고물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이 외에도 상체, 하체, 손, 발 등 다양한 신체에 대응되는 광고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비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을 제외한 그 외의 영역(12)에 신체에 대응되는 광고물에 대한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되, 상기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광고물)의 종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컨텐츠 각각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과 관련된 광고물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을 제외한 그 외의 영역(12) 중 사용자의 입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영역(13)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와 관련된 광고물을 포함하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 영역(11)을 제외한 그 외의 영역(12) 중 사용자의 상체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영역(14)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는, 사용자(1)의 시선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에서 파악한 사용자(1)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신체 영역(예를 들어 눈, 코, 입 등)이나, 거울에 비치는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에서 사용자(1)의 시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선 추적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시선 추적 기술이란 사람의 눈동자를 관찰하여 그 사람이 어디를 보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시선 추적 기술은 사람의 시선을 파악함으로써 사람이 외부의 시각적인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와 사람 사이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심리학이나 신경 과학, 마케팅 연구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선 추적 기술에는 대표적으로 적외선 기반의 방식이 있다.
적외선 기반의 시선 추적 기술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첫번째 단계는 사용자의 눈 영역을 촬영한근적외선 영상으로부터 동공 및 적외선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검출된 동공 및 적외선 반사광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바라보는 시선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적외선 반사광이란 glint 또는 corneal reflection이라고도 하며 적외선 광원이 눈의 각막에서 반사된 빛을 뜻한다.
한편, 사람의 눈에는 홍채와 동공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에서 사람의 눈을 촬영하면 홍채의 색이 짙은 경우 동공과 홍채를 쉽게 구분할 수 없는 반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촬영한 영상에서는 홍채가 비교적 밝게 촬영되고, 동공이 뚜렷하게 촬영되어 동공을 검출하기 용이하고, 검출된 동공에서 중심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을 통해 동공을 검출하는데, 이때 Li et al. 이 2005년에 발표한 Starburs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동공을 검출할 수 있다.
Starburst 알고리즘은 동공 경계에 해당하는 특징점들을 검출하여 동공의 위치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적외선으로 촬영된 동공 영상을 입력 받아 동공의 중심점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tarburst 알고리즘과 사용자의 시선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정확도를 위하여 적외선 센서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눈의 각막에서 반사되면서 형성되는 반사광을 검출하여 상기 미러 미디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미러 미디어의 어느 영역을 향하고 있는지 사용자의 시선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에서 시선 추적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1)의 시선을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에서 파악한 사용자(1)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신체 영역이나, 거울에 비치는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의 시선이 입 부분을 향하고 있으면, 입과 관련된 광고물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의 시선이 상체 부분을 향하고 있으면 상체와 관련된 광고물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다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 사용자(1)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제외한 다른 컨텐츠를 블러(Blur) 처리하거나, 작은 크기로 출력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1)의 시선을 끄는 컨텐츠를 강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이 외에도 사용자(1)의 시선을 끄는 컨텐츠를 강조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가 촬영한 동일한 사용자(1)의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대한 체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을 초과 시,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미러 미디어(10)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은 서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미러 미디어(1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인 것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의 단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서브 컨텐츠에는, 도 7의 1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사진, 제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 제품 구매 링크 및 제품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와 같은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브 컨텐츠를 통해 제품 구매 링크를 제공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광고물에 대한 구입을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연결하여 구입을 유도할 수 있고, 제품의 상세페이지 링크를 제공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광고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는 광고물의 홍보 페이지를 연결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외에도 광고물을 사용자에게 가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광고물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컨텐츠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전, 연동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서브 컨텐츠 출력 및 기타 상기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상기 서브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 설치된 단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링크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묻는 질문을 전송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6의 10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링크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묻는 질문을 전송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시, 상기 서브 컨텐츠 및 기타 상기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출력하여 사용자(1)가 상기 서브 컨텐츠 및 기타 상기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는, 상기 미러 미디어(10)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헤어샵이나 뷰티샵에 상기 미러 미디어(10)를 설치 시에는 가상으로 헤어, 메이크업을 적용하여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의류 매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의류 코디 및 추천, 의류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류 제품에 대한 소개 및 의류나 액세서리를 직접 입어보지 않아도 가상에서 착용한 후 사용자에게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홍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이나 선글라스와 같은 아이웨어 피팅 및 추천 서비스, 주식, 날씨, 대중교통 정보 등의 생활정보 제공 등 다양한 상기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미러 미디어(10)를 바라보는 사용자(1)를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배치되어 있는 적외선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해 촬영하고(S10), 상기 미러 미디어(10)를 바라보는 사용자(1)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1)의 시선 및 사용자가 비치는 영역 등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파악한다(S20).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1)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출력 영역 및 컨텐츠를 제어하여(S30),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컨텐츠를 출력한다(S40).
한편, 컨텐츠의 출력 영역 및 컨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물의 종류를 기반으로, 사용자(1)의 신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컨텐츠를 출력하고(S301), 출력된 다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1)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한다(S302).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20)가 촬영한 동일한 사용자(1)의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대한 체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서브 컨텐츠 출력 및 기타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S303), 사용자(1)가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브 컨텐츠를 출력한다(S304).
종합적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1)의 시선 및 사용자(1)가 비치는 영역 등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출력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의 출력 영역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1)의 시선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1)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1)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미러 미디어(10)에 출력된 다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1)의 시선이 오랫동안 머무는 컨텐츠를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의 시선을 끄는 컨텐츠를 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1)의 시선이 오랫동안 머무는 컨텐츠의 정보 및 기타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광고와 더불어 제품 구입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거울 겸용으로 쓰이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미러 미디어;
    상기 미러 미디어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기 미러 미디어에 대한 시선, 상기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영역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모니터링부;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미러 미디어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출력 영역 및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는,
    사용자의 시선을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는 영역의 신체 영역이나 거울에 비치는 객체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출력하되,
    상기 미러 미디어에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를 통해 상기 미러 미디어 앞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상기 미러미디어에 비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눈 영역을 촬영한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동공 검출 및 상기 동공의 경계에 해당하는 특징점들을 검출하여 동공의 위치를 파악하여 동공의 중심점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적외선 센서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눈의 각막에서 반사되면서 형성되는 반사광을 검출하되, 검출된 상기 동공의 중심점 및 상기 반사광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 미디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되,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은,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종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컨텐츠 각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광고물에 대한 광고 컨텐츠이되,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상기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그 외의 영역 중, 상기 광고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물과 대응되는 신체 영역과 가장 가까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은,
    상기 미러 미디어에 비치는 사용자의 신체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도중, 사용자의 시선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는 영역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보다 더욱 뚜렷하고, 크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니터링부가 촬영한 동일한 사용자의 상기 미러 미디어에 대한 체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 시, 연동된 사용자 단말에 상기 미러 미디어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에 대한 상세 서브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기 전, 연동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서브 컨텐츠 출력 및 기타 미러 미디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상기 서브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KR1020220144588A 2022-11-02 2022-11-02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KR10252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588A KR102528108B1 (ko) 2022-11-02 2022-11-02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588A KR102528108B1 (ko) 2022-11-02 2022-11-02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108B1 true KR102528108B1 (ko) 2023-05-02

Family

ID=8638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588A KR102528108B1 (ko) 2022-11-02 2022-11-02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840A (ja) * 2008-01-29 2009-08-13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20140127421A (ko) * 2013-04-24 2014-11-04 핑거터치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08048A (ko) * 2017-03-23 2018-10-04 박귀현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KR20200076965A (ko) * 2018-12-20 2020-06-30 정민권 미러 디스플레이
KR20210061062A (ko) *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객체의 반사 이미지의 위치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11383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코맥스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미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0840A (ja) * 2008-01-29 2009-08-13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20140127421A (ko) * 2013-04-24 2014-11-04 핑거터치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거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08048A (ko) * 2017-03-23 2018-10-04 박귀현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KR20200076965A (ko) * 2018-12-20 2020-06-30 정민권 미러 디스플레이
KR20210061062A (ko) *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객체의 반사 이미지의 위치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11383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코맥스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미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태훈, 강현민. "수정 Starburst 알고리즘과 Homography Normalization을 이용한 시선추적".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18. No 5. 2014.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587B2 (en) Power management in an eye-tracking system
US9791912B2 (en) Intelligent user mode selection in an eye-tracking system
US10963047B2 (en) Augmented mirror
KR102093198B1 (ko) 시선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10559102B2 (en) Makeup simulation assistance apparatus, makeup simulation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akeup simulation assistance program
US11068051B2 (en) Augmented mirror
WO2017108703A1 (en) Augmented mirror
CN110313006B (zh) 一种人脸图像检测方法及终端设备
KR102002154B1 (ko) 스마트 미러의 피사체 자동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러
KR102528109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KR102528108B1 (ko) 미러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KR102174053B1 (ko)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안경 피팅 시스템의 운영방법
WO2017108702A1 (en) Augmented mirror
KR20150024179A (ko) 사용자의 의도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9296B1 (ko) 네일팁제품 매칭 방법
Yildiz et al. A novel gaze input system based on iris tracking with webcam mounted eyeglasses
US20220100455A1 (en) Dua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atima et al. Internet of Mirrors for Connected Healthcare and Beauty: A Prospective Vision
Sekar et al. Democratizing Deep Learning-Based Non-Contact Vitals
JP20221331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eiensieck et al.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OpenFace 2.0 Gaze Tracking
CN115760307A (zh) 用于电子商务的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WO2022173724A1 (en) Transitioning content in views of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using alternative positional constraints
CN115423545A (zh) 一种基于皮肤检测结果的商品推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15106907A (ja) 画像出力システム、画像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