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992A -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 Google Patents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992A
KR20180107992A KR1020170037037A KR20170037037A KR20180107992A KR 20180107992 A KR20180107992 A KR 20180107992A KR 1020170037037 A KR1020170037037 A KR 1020170037037A KR 20170037037 A KR20170037037 A KR 20170037037A KR 20180107992 A KR20180107992 A KR 2018010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reactor
substituted
present
hydro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279B1 (ko
Inventor
박효승
정우성
송인협
정일구
최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279B1/ko
Priority to PCT/KR2018/000338 priority patent/WO2018174390A1/en
Priority to US16/305,222 priority patent/US10870098B2/en
Priority to JP2018563685A priority patent/JP7122259B2/ja
Priority to CN201880002927.5A priority patent/CN109641977B/zh
Priority to EP18772086.7A priority patent/EP3469007B1/en
Publication of KR2018010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08L91/08Mineral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2Scale prevention in a polymerisation reactor or its auxiliary parts
    • C08F2/005Scale prevention in a polymerisation reactor or its auxiliary parts by addition of a scale inhibitor to the polymerisation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2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e.g. avoiding explosions, or improving the yield by suppressing side-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4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of aluminium or boron
    • B01J31/143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of aluminium or boron of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4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of aluminium or boron
    • B01J31/14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of aluminium or boron of bo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4Phosphines, i.e. phosphorus bonded to only carbon atoms, or to both carbon and hydrogen atoms, including e.g. sp2-hybridised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benzene, phosphole or anionic phospholide ligands
    • B01J31/2404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 B01J31/2409Cyclic ligands, including e.g. non-condensed polycyclic ligands, the phosphine-P atom being a ring member or a substituent on the ring with more than one complexing phosphine-P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between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2/0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between unsaturated hydrocarbons by oligomerisation of well-defined unsaturated hydrocarbons without ring formation
    • C07C2/06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between unsaturated hydrocarbons by oligomerisation of well-defined unsaturated hydrocarbons without ring formation of alkenes, i.e. acycl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2/08Catalytic processes
    • C07C2/26Catalytic processes with hydrides or organic compounds
    • C07C2/36Catalytic processes with hydrides or organic compounds as phosphines, arsines, stilbines or bismuth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5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selected from boron, aluminium, gallium, indium, thallium or rare ear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245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 B01J2219/00247Fouling of the reactor or the proces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20Olefin oligomerisation or telo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30Addition reactions at carbon centres, i.e. to either C-C or C-X multiple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6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VI (VIA or VIB)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62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07C11/04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07C11/107Alkenes with six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07C2523/26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C07C25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07C25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07C2531/14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of aluminium or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C07C25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C07C2531/24Phosph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 소정의 파울링 방지제를 투입하여, 반응 중 생성된 중합체의 총 생성량을 최소로 억제함과 동시에, 반응 중 생성된 중합체들이 반응기 내벽에 파울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FOULING INHIBITOR AND OLIGOMERISATION OF OLEFI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파울링 방지제를 투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파울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부가 가치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제조에 필요한 선형 알파-올레핀(Linear alpha-olefin, LAO)은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반응은 상당량의 부텐, 기타 올레핀 및 이들의 이성질체, 특정 고급 올리고머, 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이 함께 생성되고, 반응기 내벽 및 반응기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 표면에 담체에서 이탈된 촉매 및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반응시 생성된 부산물(예컨대, 폴리에틸렌)의 일부가 부착되거나 이들이 반응기 내 부유하여 파울링(fouling)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반응기 내 파울링은 반응열의 제어를 어렵게 만들고, 올레핀 단량체의 고른 확산을 방해하여 열효율 및 생산효율을 저하시킨다.
이에, 상기와 같은 반응기 내 파울링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양태의 기술들이 제시되었다. 먼저, 미국특허 제4,956,427호에서는 반응기 내 금속 표면에 아미노 실리콘을 가수분해하여 이를 경화시켜 코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코팅 작업시 장기간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등 고비용이 요구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미국특허 제3,984,387호에서는 반응기 내에 질소, 헬륨 등의 불활성 기체를 올레핀 단량체와 함께 투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올레핀 단량체의 분압이 감소하여 중합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다음으로, 미국특허 제4,012,574호에는 중합시 과불화탄소기(perfluorocarbon group)와 친수성기(hydrophilic group)를 포함하는 파울링 방지제를 투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파울링 억제효과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 효과적으로 반응기 내 파울링(fouling), 관막힘(plugging) 등의 공정상 문제점을 극복하여, 향상된 작업성과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미국특허 제4,956,427호 미국특허 제3,984,387호 미국특허 제4,012,574호
본 발명에 제시되는 구체예에서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파울링 방지제로 유용한 소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제시되는 구체예에서는 소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 중 발생하는 파울링 저감효과에 대한 현저함은 물론이고, 반응 효율에 악영향을 야기하지 않는 파울링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제시되는 구체예에서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반응시, 부산물(예컨대, 폴리에틸렌)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생성된 부산물들로 인한 반응기 내 고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파울링 저감효과에 탁월함을 보이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은 상술된 효과에 의해 반응열의 제열이 용이할 뿐 아니라 촉매활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올리고머화에 의해 1-헥센과 1-옥텐을 고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제시되는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파울링 방지제로 포함하는 알파-올레핀 올리고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울링 방지제로 융점이 150 ℃ 이하인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탄화수소계 화합물로, 바람직하게는 15 개 이상의 분자당 평균 탄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파울링 방지제를 이용하는 파울링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파울링을 방지하는 방법은 소정의 파울링 방지제를 이용함으로써, 반응기 내 파울링(fouling), 관막힘(plugging) 등의 공정상 문제점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을 가능케 한다. 이때, 상기 방법은 용액 반응, 슬러리 반응, 기상 반응 등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저하게 향상된 파울링 저감효과로 인해,고활성으로 올레핀, 특히 에틸렌을 삼량체화 및/또는 사량체화하여 높은 선택도로 1-헥센과 1-옥텐의 생산이 가능하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은 반응기 내 투입된 매질에 융점이 30 내지 130 ℃인 석유계 왁스 또는 폴리올레핀 왁스, 조촉매 및 주촉매를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 내에 올레핀을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올레핀의 올리고머화시 소량의 첨가에도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의 생성량을 최소화하여, 반응기 내 발생하는 파울링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향상된 작업성과 생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예컨대, 폴리에틸렌), 즉 고착성 중합체 및 부유성 중합체의 총 생성량을 최소로 억제함으로써, 반응 중 생성된 중합체들이 반응기 내벽에 파울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응기 내벽에서의 열전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반응시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촉매활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제어된 파울링 저감효과로 인해, 향상된 촉매활성으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반응의 신속한 개시, 안정적인 가동 및 양호한 재현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의 생성량 감소에 있어,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기술적 장애 요인을 극복하고,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의 생성량 감소에 예상치 못한 시너지 효과의 달성이 가능하여, 생산 효율 증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반응 이후 반응기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의 반응 이후 반응기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3의 반응 이후 반응기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하여 파울링이 효과적으로 저감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파울링"은 올레핀의 올리고머화시, 반응기 내 불연속적으로 유발되는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에 의한 연속적 작업의 문제를 의미하며, 상기 파울링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형태로 존재한다. 2개 형태의 파울링은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이 반응기중 어느 위치에서 형성되는지에 따라 고착성 중합체 또는 부유성 중합체로 기술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올리고머화"는 올레핀이 소중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중합되는 올레핀의 개수에 따라 삼량화 (trimerization), 사량화 (tetramerization)라고 불리며, 이를 총칭하여 다량화(multimerization)라고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에틸렌으로부터 삼량화 또는 사량화 되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주요 공단량체인 1-헥센 및 1-옥텐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화합물로, 분자당 평균 탄소수(carbon count)가 1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정제된 단일 화합물이거나 서로 다른 분자당 평균 탄소수를 갖는 둘 이상의 화합물의 블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석유계 왁스"는 고비점 탄화수소(예컨대, 석유)들 및 상온(20 ℃)에서 통상적으로 액체인 탄화수소들로부터 수득되는 연질(soft), 유성(oily), 반-고형(semi-solid)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고형(semi-solid) 혼합물의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파라핀 왁스"는 석유계 왁스 중 하나로,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중량% 이상의 선형 탄화수소를 가지며, 일예로, 18 내지 45개의 분자당 평균 탄소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마이크로결정성 왁스"는 석유계 왁스 중 하나로, 상기 파라핀 왁스 보다 높은 비율의 분지형 탄화수소(예컨대, 이소파라핀 등)를 가지며, 환형 탄화수소를 더 포함하는 것 또한 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페트롤리움 젤리"는 석유계 왁스 중 하나로, 상기 마이크로결정성 왁스를 원하는 점도까지 백색의 미네랄 오일로 조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페트롤리움 젤리의 시판 실시형태는 바셀린(VASELINE)®이라는 상품명으로 입수가능 하다. 시판의 바셀린(VASELINE)®의 융점은 48 내지 85 ℃ 수준이며, 미네랄 오일, 방향족 오일,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등; 피마자 오일 등과 같은 트리글리세리드-기반 식물성 오일, 폴리부텐 오일 등과 같은 합성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 등; 에서 선택되는 단일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오일의 함량을 조절하여 블렌드함으로써, 다양한 양태의 물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융점이 150 ℃ 이하인 반-고형(semi-solid) 형태가 우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용어, "융점(melting point, Tm)"은 최대 흡열성 피크의 온도에 상응하는 지점의 온도를 의미하며, 상기 융점은 ASTM D2117 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링 방지제는 파울링의 저감효과가 현저하고, 용액 중합, 슬러리 중합, 기상 중합 등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링 방지제는 상술된 올리고머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선형 알파 올레핀(예컨대, 1-헥센, 1-옥텐 등)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적은 사용량에도 불구하고 파울링 저감효과에 탁월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링 방지제는 융점이 150 ℃ 이하인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상술된 융점의 범위를 만족하기 위해, 15 개 이상의 분자당 평균 탄소수를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개의 분자당 평균 탄소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개의 분자당 평균 탄소수를 갖는 저분자량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일예 중 하나인 상기 저분자량의 화합물은 반-고형(semi-solid)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의 분자량은 200 내지 1,000을 만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저분자량의 화합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상술된 융점의 범위를 만족하기 위해, 50 초과의 분자당 평균 탄소수를 갖는 고분자량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일예 중 하나인 상기 고분자량의 화합물은 반-고형(semi-solid)이거나 고형(solid)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것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량의 화합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9,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울링 방지제는 분자당 헤테로원자비가 0.01 이하인 탄화수소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1의 분자당 평균 헤테로원자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헤테로원자비는 탄소원자수 대비 헤테로원자수의 비율(헤테로원자수/탄소원자수)을 의미하며, 상기 헤테로원자는 B, N, O, S, P 및 Si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울링 방지제는 반응 중 파울링 저감 효율에 시너지를 나타냄과 동시에 수급의 편의성과 생산비용의 측면에서, 하기 나열의 일예로 구체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울링 방지제의 일 구체예로는 융점이 150 ℃ 이하인 천연 왁스 및 합성 왁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천연왁스는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및 마이크로결정성 왁스(Microcrystalline Wax) 등을 포함하는 석유계 왁스; 오조케라이트(ozocerite, earth wax) 및 세레신(sericin) 등을 포함하는 미네랄계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제팬 왁스(japan wax), 아프리카나래새 왁스(esparto grass wax), 코르크 왁스(cork wax), 구아루마 왁스(guaruma wax), 쌀눈 오일 왁스, 사탕수수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ouricury wax), 몬탄 왁스(montan wax), 밀랍(beeswax), 셸락 왁스(shellac wax), 경랍(spermaceti), 라놀린(울 왁스, anolin) 및 분지포상 유지 (uropygial grease) 등을 포함하는 동·식물계 왁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왁스의 화학적 변형된 왁스 형태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상술된 효과에 있어, 상기 석유계 왁스가 우선된다.
상기 합성 왁스는 수첨 이성화 왁스(hydroisomerised wax), 수첨 이성화 피셔-트롭쉬 왁스(hydroisomerised Fischer-Tropsch wax), 폴리올레핀 왁스(polyolefin wax) 및 피셔-트롭쉬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상술된 효과에 있어,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 프로필렌 왁스 등)가 우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울링 방지제의 일 구체예로는 융점이 30 내지 150 ℃인 탄화수소계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울링 방지제의 일 구체예로는 융점이 30 내지 130 ℃의 석유계 왁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울링 방지제의 일 구체예로는 융점이 30 내지 130 ℃의 폴리올레핀 왁스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파울링 방지제를 이용한 파울링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파울링 방지제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공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링을 방지하는 방법은 융점이 150 ℃ 이하인 탄소수 15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법에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투입하는 조건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올레핀의 올리고머화를 위한 조촉매 및 주촉매 보다 우선적으로 투입되거나 조촉매와 주촉매가 투입되는 중간에 투입되거나 조촉매와 주촉매의 투입완료 후 추가 투입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링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반응에 사용되는 매질 내 0.05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중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이 활제(lubricant)로 작용하여, 반응 중 생성된 중합체들이 반응기 내벽에 고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반응 중 부산물로 생성되는 중합체의 발생 거동을 변화시켜 중합체 총 생성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반응기 내벽에서의 열전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반응열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올레핀의 고른 확산 및 촉매활성을 도와 향상된 생산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파울링 방지제를 이용한 파울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시, 생성되는 부산물, 즉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의 생산량을 최소로 억제함과 동시에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들이 반응기 내벽에 고착되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시, 발생하는 반응기 내 파울링(fouling), 관막힘(plugging) 등의 공정상 문제점을 극복하여, 향상된 작업성과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의 생성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반응 중 야기될 수 있는 촉매활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은 반응기 내에 고착되어 열전달을 방해하여 LAO 생산수율을 저해하고, 장기간 동안 공정을 운전하지 못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향상된 촉매활성으로 특히, 에틸렌을 이용하여 삼량체화 및/또는 사량체화되어 1-헥센과 1-옥텐을 높은 선택도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은 반응기에 융점이 30 내지 130 ℃인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울링 방지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촉매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에 올레핀을 투입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석유계 왁스 및 폴리올레핀 왁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과 촉매 조성물의 투입 순서는 반응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공정상 편의에 따라 투입 순서는 적절하게 조절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 조성물은 주촉매 단독 또는 주촉매와 조촉매가 혼합된 혼합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석유계 왁스는 페트롤리움 젤리, 파라핀 왁스 및 마이크로결정성 왁스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융점의 조건을 만족하는 석유계 왁스로 페트롤리움 젤리가 목적하는 효과에 있어 현저함을 보여, 우선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융점의 조건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왁스로 폴리에틸렌 왁스가 목적하는 효과에 있어 현저함을 보여, 우선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물성을 만족하는 석유계 왁스 및/또는 폴리올레핀왁스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 중 생성된 부산물의 총 생성량을 저감시켜 반응기 내 파울링을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촉매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특히 에틸렌의 삼량체화 및/또는 사량체화에 고선택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석유계 왁스의 사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공정의 매질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촉매는 올레핀을 올리고머화할 수 있는 착체 형태의 촉매라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헤테로원자 리간드가 배위결합된 주촉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촉매는 전이금속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원자 리간드와 배위결합된 착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R1)nA-B-C(R2)m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 비소, 안티몬, 산소, 비스무스, 황, 셀레늄 및 질소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B는 A 및 C 사이의 연결 그룹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A 또는 C의 각 원자가 및 산화 상태로 결정된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1 은 n ≥ 2 일때,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상기 R2 는 m ≥ 2 일때,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빌 또는 헤테로하이드로카빌은 하이드로카본 또는 헤테로하이드로카본으로부터 유도되는 1개의 결합위치를 갖는 라디칼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하이드로카빌렌 또는 헤테로하이드로카빌렌은 하이드로카본 또는 헤테로하이드로카빌렌으로부터 유도되는 2개의 결합위치를 갖는 라디칼을 의미하며, 상기 헤테로의 의미는 탄소가 O, S, N, B, Si, P 등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환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로카빌, 헤테로하이드로카빌 및 할로겐 등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 일 수 있으며,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C6-C20)아릴, (C6-C20)아르(C1-C10)알킬, (C1-C10)알킬, (C2-C10)알케닐, (C2-C10)알키닐, (C3-C7)시클로알킬, 헤테로(C5-C20)아릴, 헤테로(C3-C7)시클로알킬, (C1-C10)알콕시, (C6-C20)아릴옥시, -NR21R22,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 등에서 선택되고, 상기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알킬, (C1-C10)알콕시, (C6-C20)아릴옥시 및 할로겐 등으로부터 하나 이상이 더 치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간드의 B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렌을 포함하는 유기 연결 그룹; 및 단일 원자 링크를 포함하는 무기 연결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메틸렌, 디메틸메틸렌, 에탄-1,2-디일, 에텐-1,2-디일, 1,2-프로필렌, 프로판-1,2-디일, 프로판-1,3-디일, 사이클로프로판-1,1-디일, 사이클로프로판-1,2-디일, 부탄-2,3-디일, 사이클로부탄-1,2-디일, 사이클로펜탄-1,2-디일, 사이클로헥산-1,2-디일, 사이클로헥산-1,1-디일, 1,2-페닐렌, 나프탈렌-1,8-디일, 페난트렌-9,10-디일, 페난트렌-4,5-디일, 9,10-안트라센-디일, 1,2-카테콜레이트, 1,2-디아릴하이드라진-1,2-디일(-N(Ar)-N(Ar)-, 여기서, Ar은 아릴기임), 1,2-디알킬하이드라진-1,2-디일(-N(Alk)-N(Alk)-, 여기서 Alk는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기임), 1-알킬-2-아릴하이드라진-1,2-디일(-N(Alk)-N(Ar)-, 여기서 Alk는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기이고, Ar은 아릴기임), -N(R')-X1-N(R")-(여기서, R' 및 R"는 독립적으로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기이고, X1은 하이드로카빌렌기임), =C(R')-N(R")-, =C(R'-C(R")(R"')- (여기서 =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R',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릴기임), -B(R')-, -Si(R')2-, -P(R')-, 및 -N(R')- (여기서, R'는 수소, 하이드로카빌기, 헤테로하이드로카빌기 또는 할로겐임) 등의 유기 연결 그룹; 및 단일원자 또는 2원자 연결 스페이서(linker spacer) 등의 무기 연결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이금속은 바람직하게 크롬일 수 있다. 상기 크롬은 크롬(Ⅲ)아세틸아세토네이트, 삼염화크롬 트리스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크롬(Ⅲ)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크롬 전구체에 의해 제공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테로원자 리간드는 -P-C-C-P- 골격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2개의 포스핀 원자 사이의 탄소원자에 이웃하는 구조가 입체적으로 달라짐에 따라 삼량체화 및 사량체화 반응의 활성과 선택도를 목적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비대칭으로 보다 용이하게 공간을 제어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일예로는 하기 화학식 2의 리간드일 수 있으며, 상기 골격 구조 내 탄소는 키랄 탄소로서 (R,R) 또는 (S,S) 배열 쌍을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R15 및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이거나, R15과 R16은 서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렌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렌으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촉매는 크롬 전구체에 의해 제공된 크롬과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간드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촉매는 상기 주촉매의 활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인 촉매 활성의 구현을 위하여 투입되는 것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유기 붕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알루미녹산, 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알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화합물, 알킬옥시 알루미늄 화합물 및 아릴옥시 알루미늄 화합물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루미녹산은 선형, 고리형, 케이지형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메틸알루미녹산(MAO), 메틸이소부틸알루미녹산(MMAO), 에틸알루미녹산(EMAO), 이소부틸알루미녹산(IBAO), 테트라이소부틸알루미녹산(TIBAO) 등에서 선택되는 알킬알루미녹산 뿐만 아니라 변형 메틸알루미녹산(mMAO) 등의 변형된 알킬 알루미녹산(일예, [(Ra)n(Rb)1- nAlO]m, 상기 화학식에서 Ra 및 Rb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이드로카빌, 할로겐으로 치환된 하이드로카빌 또는 할로겐이고, n은 0과 1 사이의 수,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 알루미늄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디이소부틸알루미늄 및 트리옥틸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디메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프로필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옥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메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프로필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헥실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메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옥시 알루미늄 화합물은 디메틸알루미늄히드리드, 디에틸알루미늄히드리드, 디프로필알루미늄히드리드, 디이소프로필알루미늄 히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히드리드 및 디옥틸알루미늄히드리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아릴옥시 알루미늄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트리페녹시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페녹사이드, 메틸알루미늄디페녹사이드등의 아릴옥시 알루미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붕소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인, 트리스(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인, 트리스(2,3,4,5-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인, 트리스(3,4,5-트리플루오로페닐)보레인, 트리스(2,3,4-트리플루오로페닐)보레인, 페닐비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인,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2,3,4,5-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3,4,5-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2,2,4-트리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페닐비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및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등; 페로세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1,1'-디메틸페로세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은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메틸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메틸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노르말 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노르말 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2,4,6-펜타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시클로헥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포스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메틸페닐)포스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및 트리(디메틸페닐)포스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N,N-디메틸아닐리니움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르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메틸리니움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르페닐보레이트 및 트리스펜타플루오르보레인에서 선택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조촉매는 상기 주촉매의 크롬 원자의 몰비를 기준으로, 알루미늄 또는 붕소 원자의 몰비가 각각 1:0.01 내지 1:1000이 되도록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500의 몰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100의 몰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촉매는 반응 용매(매질)에 용해 가능하거나 반응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반응 용매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C3-C20의 탄화수소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탄화수소계 용매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부탄,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노난, 데칸, 도데칸,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MCH), 메틸시클로펜탄(MCP),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MCH), 메틸시클로펜탄(MCP)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생성되는 올리고머는 예컨대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옥타데센 등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1-헥센 및/또는 1-옥텐을 고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이들 생성물이 우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올레핀을 이용한 올리고머화 반응시, 1-헥센 및/또는 1-옥텐 이외 부산물로 형성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에 대한 감소된 선택성으로, 폴리올레핀의 총 생성량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생성된 부산물들에 의한 반응기 내벽에 파울링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더불어, 상기 올리고머화 반응은 슬러리상 조건 또는 용액상 조건 등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은 임의의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때, 상기 적합한 온도는 0 내지 20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20 ℃)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용액상의 조건에 있어서 사용되는 반응 용매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C3-C20의 탄화수소계 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탄화수소계 용매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부탄,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노난, 데칸, 도데칸,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MCH), 메틸시클로펜탄(MCP),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MCH), 메틸시클로펜탄(MCP)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은 대기압(1 bar) 내지 500 bar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내지 100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내지 60 bar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 특히 융점이 30 내지 130 ℃인 석유계 왁스 및/또는 폴리올레핀 왁스를 사용함에 따라 부산물로 생성되는 폴리올레핀의 총생성량에 대한 저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생성된 폴리올레핀들에 의한 반응기 내벽에 고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에 있어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촉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주촉매: 조촉매의 몰비가 1:10 내지 1:10000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융점이 30 내지 130 ℃인 석유계 왁스; 및 알파-올레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 올리고머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융점이 30 내지 130 ℃인 폴리올레핀 왁스; 및 알파-올레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 올리고머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알파-올레핀 올리고머는 1-헥센, 1-옥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우선된다.
이때, 상기 알파-올레핀 올리고머 조성물 중 상기 석유계 왁스 및/또는 폴리올레핀 왁스의 함유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파-올레핀 올리고머 조성물 중 0.001 내지 1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 ppm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에 불과하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별도로 언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미-배치 반응기(semi-batch reactor)에서 수행되었으며, 반응에 사용되는 모든 유기 용매는 실리카겔, 분자체 5A 활성알루미나가 충진된 관을 통과시킨 후 고순도의 질소로 버블링시켜 수분, 산소 및 기타 촉매독 물질 등을 충분히 제거시킨 후 사용하였다. 모든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진행하였고, 대부분의 시약은 Aldrich나 STREM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메틸알루미녹산 혹은 변형알루미녹산(일예, mMAO-12, mMAO-3A 또는 mMAO-7)은 AkzoNobel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메틸알루미녹산의 분자량은 58.016 g/mol, 실시예에서 사용한 변형알루미녹산(mMAO-3A)의 분자량은 70.07 g/mol로 계산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반응 생성물의 양은 하기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반응 생성물(LAO) 중 1-헥센과 1-옥텐의 함량(중량%)의 분석]
Agilent GC 7890를 이용하여 반응 용액 내 1-헥센 및 1-옥텐의 중량%를 분석하였다.
(제조예 1)
비스-[(S,S)-(페닐)2PCH(메틸)CH(메틸)P(페닐)2이염화(μ-염화)크롬] ([CrCl2(μ-Cl){(P,P)-k2-(S,S)-((Ph)2P(Me)CH-CH(Me)P(Ph)2)}]2)의 제조
삼테트라하이드로퓨란 삼염화 크롬(CrCl3(THF)3) 1.1 g(3.0 mmol)을 이염화메탄 100 mL에 녹인 후 (S,S)-(페닐)2PCH(메틸)CH(메틸)P(페닐)2 리간드 화합물 1.28 g(3.0 mmol)을 역시 이염화메탄 50 mL에 녹여서 서서히 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3 시간동안 교반 후 진공으로 휘발물을 제거한 다음, 석유에테르 100 mL를 적가하여 푸른색 고체를 침전으로 수득하였다. 석유에테르 100 mL로 2번 세척하여 표제화합물 1.58 g(수율 90 %)를 얻었다.
(실시예 1)
충분히 건조 후 질소로 치환시킨 2 L 용량의 세미-배치 반응기에 메틸시클로헥산(MCH) 1L을 투입하고,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제품명 WHITE PROTOPET®) 1g을 MCH 10ml에 분산시켜, 상기 세미-배치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조촉매 18wt% mMAO-3A 헵탄 용액 1.57 g(4 mmol)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한 다음, 상기 세미-배치 반응기의 온도를 60 ℃로 가열하였다. 이후 에틸렌으로 반응기 내의 압력을 27 bar까지 채웠다. 상기 세미-배치 반응기 상부 촉매 포트에 비스-[(S,S)-(페닐)2PCH(메틸)CH(메틸)P(페닐)2이염화(μ-염화)크롬] 3.1 mg (5.3μmol-Cr) 투입한 다음 후 에틸렌으로 반응기 내의 압력을 30 bar까지 채운 뒤 연속적으로 에틸렌을 공급하여, 80분 동안 올리고머화 반응을 수행하였다(교반조건; 200 rpm). 이후 촉매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하여, 100 ml 10 vol% 염산 수용액을 함유한 에탄올(wt:wt, 10 vol% 염산 수용액:에탄올=1:1)을 반응용액에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 생성물을 여과 및 분리하였다. 반응 여액에서의 회수된 반응 생성물은 생성물은 60 ℃의 진공오븐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여과에 의해 회수된 1차 중합체(부유성 폴리에틸렌, 1st PE)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반응 생성물을 제거된 세미-배치 반응기에 MCH 1L를 투입하고, 15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반응용액을 드레인(drain)하여, 2차 중합체(고착성 폴리에틸렌, 2nd PE)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 이후 반응기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429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02g, 1-옥텐의 양은 227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57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37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2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비스-[(S,S)-(페닐)2PCH(메틸)CH(메틸)P(페닐)2이염화(μ-염화)크롬]을 5.8mg (10.0 μmol-Cr)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588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47g, 1-옥텐의 양은 341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2.12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1.24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88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제품명 WHITE PROTOPET®) 1g 대신 Mitsui Hi-wax 220P(융점 110 ℃, Mitsui Chemicals, Inc. 제조) 1.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72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08g, 1-옥텐의 양은 264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11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10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01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제품명 WHITE PROTOPET®) 1g 대신 Mitsui Hi-wax 400P(융점 126 ℃, Mitsui Chemicals, Inc. 제조) 1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비교예 3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58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85g, 1-옥텐의 양은 273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34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21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13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Mitsui Hi-wax 720P(융점 113 ℃, Mitsui Chemicals, Inc. 제조) 1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비교예 3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70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88g, 1-옥텐의 양 282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83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72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11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0.5g을 사용하고, 조촉매 18wt% mMAO-3A 헵탄 용액 대신 10wt% MAO 톨루엔 용액 2.32 g (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86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17 g, 1-옥텐의 양 269 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72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06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66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조촉매 18wt% mMAO-3A 헵탄 용액 대신 10wt% MAO 톨루엔 용액 2.32 g (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16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26 g, 1-옥텐의 양 290 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75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14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61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3g을 사용하고, 조촉매 18wt% mMAO-3A 헵탄 용액 대신 10wt% MAO 톨루엔 용액 2.32 g (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28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29 g, 1-옥텐의 양 299 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68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13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55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2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Paraffin Wax 0.5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608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35 g, 1-옥텐의 양 373 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1.71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48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1.23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 이후 반응기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도 2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411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76g, 1-옥텐의 양 235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1.17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47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70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비스-[(S,S)-(페닐)2PCH(메틸)CH(메틸)P(페닐)2이염화(μ-염화)크롬]을 5.8mg (10.0 μmol-Cr)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94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26g, 1-옥텐의 양 268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2.84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2.3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54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에서 조촉매 18wt% mMAO-3A 헵탄 용액 대신 10wt% MAO 톨루엔 용액 2.32 g (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반응 이후 반응기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도 3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419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28g, 1-옥텐의 양 290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0.98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22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76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mineral oil(Sigma Aldrich) 1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31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07g, 1-옥텐의 양 224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1.2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83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37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Paraffin oil(Sigma Aldrich) 1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597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227g, 1-옥텐의 양 370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3.12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1.34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1.78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YUBASE 3(SK Energy Co., Ltd.) 1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42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85g, 1-옥텐의 양 257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1.28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86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42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2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YUBASE 6(SK Energy Co., Ltd.) 1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26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181g, 1-옥텐의 양 245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1.33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76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0.57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2에서 페트롤리움 젤리(petroleum jelly, WHITE PROTOPET®) 1g 대신 Polypropylene glycol(Sigma Aldrich) 0.05g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수행하여 반응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1차 중합체 및 2차 중합체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3 g의 반응 생성물(LAO, C6+C8)을 수득하였고, 그 중 1-헥센의 양은 4g, 1-옥텐의 양 9g이었다. 또한, 부산물로 수득된 폴리에틸렌(PE)의 총량은 2.78 g이었으며, 이중 1차 중합체는 0.42 g이었으며, 2차 중합체는 2.36 g이었다(하기 표 1 참조).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일드한 조건에서 높은 수율로 1-헥센 및/또는 1-옥텐을 생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산물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PE)의 총 생성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킴과 동시에 반응기 내 고착되는 폴리에틸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파울링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대비 PE 총 생성량을 46.74% 수준으로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고착성 폴리에틸렌을 28.57%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응용예 또한 없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1)

  1. 융점이 150 ℃ 이하인 탄소수 15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이용하는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천연 왁스 및 합성 왁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융점이 30 내지 130 ℃의 석유계 왁스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융점이 30 내지 130 ℃의 폴리올레핀 왁스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화합물은 분자당 헤테로원자비가 0.0001 내지 0.01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융점이 150 ℃ 이하인 탄소수 15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공정의 반응기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매질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의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투입하는 것인 반응기 파울링 방지 방법.
  10. 반응기에 융점이 30 내지 130 ℃인 석유계 왁스 또는 폴리올레핀 왁스를 포함하는 파울링 방지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촉매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에 올레핀을 투입하여, 올리고머화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계 왁스는 페트롤리움 젤리, 파라핀 왁스 및 마이크로결정성 왁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는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계 왁스 또는 폴리올레핀 왁스는 반응기 내 매질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조성물은 주촉매 및 조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주촉매는 전이금속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원자 리간드가 배위결합된 착체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화학식 1]
    (R1)nA-B-C(R2)m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C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 비소, 안티몬, 산소, 비스무스, 황, 셀레늄 및 질소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B는 A 및 C 사이의 연결 그룹이고,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A 또는 C의 각 원자가 및 산화 상태로 결정된 정수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1 은 n ≥ 2 일때,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상기 R2 는 m ≥ 2 일때,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렌을 포함하는 유기 연결 그룹; 및 단일 원자 링크를 포함하는 무기 연결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원자 리간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내지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R15 및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이거나, R15과 R16은 서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하이드로카빌렌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하이드로카빌렌으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촉매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유기 붕소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단계는, 0 내지 200 ℃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단계는, 40 내지 100 ℃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단계는, 1 내지 800 bar 의 압력 범위에서 수행되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은 에틸렌이고, 1-헥센, 1-옥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KR1020170037037A 2017-03-23 2017-03-23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KR10201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37A KR102018279B1 (ko) 2017-03-23 2017-03-23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PCT/KR2018/000338 WO2018174390A1 (en) 2017-03-23 2018-01-08 Method of inhibiting reactor fouling and oligomerisation of olefin using the same
US16/305,222 US10870098B2 (en) 2017-03-23 2018-01-08 Method of inhibiting reactor fouling and oligomerisation of olefin using the same
JP2018563685A JP7122259B2 (ja) 2017-03-23 2018-01-08 ファウリング防止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レフィンのオリゴマー化方法
CN201880002927.5A CN109641977B (zh) 2017-03-23 2018-01-08 抑制反应器结垢的方法和使用其的烯烃低聚反应
EP18772086.7A EP3469007B1 (en) 2017-03-23 2018-01-08 Method of inhibiting reactor fouling and oligomerisation of olefi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037A KR102018279B1 (ko) 2017-03-23 2017-03-23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92A true KR20180107992A (ko) 2018-10-04
KR102018279B1 KR102018279B1 (ko) 2019-09-04

Family

ID=6358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037A KR102018279B1 (ko) 2017-03-23 2017-03-23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0098B2 (ko)
EP (1) EP3469007B1 (ko)
JP (1) JP7122259B2 (ko)
KR (1) KR102018279B1 (ko)
CN (1) CN109641977B (ko)
WO (1) WO2018174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6814B (zh) * 2019-07-30 2024-04-09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减少提质反应器中的结垢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387A (en) 1974-08-07 1976-10-05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linear α-olefin polymers having ultra high molecular weight
US4012574A (en) 1974-01-14 1977-03-1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olymerization process
US4956427A (en) 1988-12-23 1990-09-1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Process for reducing polymer build-up in polymerization equipment during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s
JP2010526647A (ja) * 2007-01-18 2010-08-05 エスケー エナジー 株式会社 エチレン四量体化触媒系及びこれを用いた1−オクテンの製造方法
KR20100097284A (ko) * 2009-02-26 201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울링이 저감된 폴리올레핀의 제조방법
US20120016097A1 (en) * 2009-03-27 2012-01-19 Weber Michael W Olefin Oligomerization Reaction Processes Exhibiting Reduced Foul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3827A1 (en) * 1990-10-23 1992-04-24 Toshihide Shimizu Polymer scale preventive composition
KR100271582B1 (ko) 1993-02-04 2000-11-15 린다 에스 잘리 올 레핀의 삼량체화, 올리고머화 및/또는 중합화방법, 및 이를 위한 촉매 시스템의 제조 방법
JP3505210B2 (ja) * 1993-11-30 2004-03-08 三菱化学株式会社 α−オレフイン低重合体の製造方法
US5677375A (en) * 1995-07-21 1997-10-1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in situ polyethylene blend
US6080903A (en) * 1995-12-15 2000-06-27 Uop Llc Process for oligomer production and saturation
JPH115806A (ja) * 1997-06-19 1999-01-12 Mitsui Chem Inc オレフィン系ワックスの製造方法
US6380451B1 (en) 1999-12-29 2002-04-30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s for restoring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an oligomerization reactor
JP2002294561A (ja) * 2001-03-30 2002-10-09 Dainippon Ink & Chem Inc 不織布壁紙防汚加工剤用合成樹脂エマルジョン、不織布壁紙用防汚加工剤および不織布壁紙
US7273959B2 (en) * 2003-10-10 2007-09-25 Shell Oil Company Catalytic trimerization of olefinic monomers
US20070270558A1 (en) * 2006-05-16 2007-11-22 Paul Keith Scherrer Pulsing olefin polymerization fluidized-bed reactors
US8604118B2 (en) * 2008-12-26 2013-12-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ntifoulant for impact copolymers and method
EP2543682A4 (en) * 2010-03-03 2014-06-25 Sk Innovation Co Ltd HIGHLY ACTIVE, HIGHLY SELECTIVE ETHYLENE OLIGOMERIZATION CATALYST, AND PROCESS FOR PREPARING HEXEN OR OCTENE USING THE CATALYST
BR112014024524B1 (pt) 2012-05-09 2020-04-22 Sasol Tech Pty Ltd tetramerização de etileno
EP2847147B1 (en) 2012-05-11 2017-07-12 Saudi Arabian Oil Company Ethylene oligomerization process
US10336954B2 (en) 2013-02-07 2019-07-02 B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fouling in hydrocarbons or petrochemicals
CN104250334B (zh) * 2013-06-28 2017-04-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氯乙烯‑丙烯酸酯类共聚物的制备方法
US9073029B2 (en) * 2013-09-25 2015-07-07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eterring fouling in a polymerization rea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574A (en) 1974-01-14 1977-03-1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Polymerization process
US3984387A (en) 1974-08-07 1976-10-05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linear α-olefin polymers having ultra high molecular weight
US4956427A (en) 1988-12-23 1990-09-1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Process for reducing polymer build-up in polymerization equipment during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s
JP2010526647A (ja) * 2007-01-18 2010-08-05 エスケー エナジー 株式会社 エチレン四量体化触媒系及びこれを用いた1−オクテンの製造方法
KR20100097284A (ko) * 2009-02-26 201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울링이 저감된 폴리올레핀의 제조방법
US20120016097A1 (en) * 2009-03-27 2012-01-19 Weber Michael W Olefin Oligomerization Reaction Processes Exhibiting Reduced Fou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8158A1 (en) 2019-10-10
US10870098B2 (en) 2020-12-22
KR102018279B1 (ko) 2019-09-04
CN109641977A (zh) 2019-04-16
EP3469007B1 (en) 2021-03-10
WO2018174390A1 (en) 2018-09-27
JP7122259B2 (ja) 2022-08-19
EP3469007A4 (en) 2019-12-25
JP2020512269A (ja) 2020-04-23
EP3469007A1 (en) 2019-04-17
CN109641977B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949B1 (ko) 파울링 방지방법 및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US9260358B2 (en) Process for oligomerization of olefins that uses a catalytic composition that comprises an organometallic complex that contains a phenoxy ligand that is functionalized by a heteroatom
US10421064B2 (en) Catalys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oligomerization of ethylene to produce 1-hexene and/or 1-octene
TWI434733B (zh) 催化劑組合物及其用於製備直鏈型α-烯烴之方法
JP6947812B2 (ja) エチレンのオリゴマー化方法
KR102018279B1 (ko) 파울링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의 올리고머화 방법
US11453627B2 (en) Method of increasing alpha-olefin content
CN103100421A (zh) 用于乙烯四聚的催化剂组合物
CN112920874A (zh) 一种聚烯烃合成油的制备方法
CN109701644B (zh) 一种催化剂组合物及其应用
CN107282114B (zh) 一种乙烯三聚用催化剂组合物及其应用
KR20240027648A (ko) 알파-올레핀 삼량화 촉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파-올레핀 삼량체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