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621A -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621A
KR20180107621A KR1020170036190A KR20170036190A KR20180107621A KR 20180107621 A KR20180107621 A KR 20180107621A KR 1020170036190 A KR1020170036190 A KR 1020170036190A KR 20170036190 A KR20170036190 A KR 20170036190A KR 20180107621 A KR20180107621 A KR 20180107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lens assembly
optical len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786B1 (ko
Inventor
서진선
전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786B1/ko
Priority to US16/485,921 priority patent/US11435552B2/en
Priority to PCT/KR2018/002636 priority patent/WO2018174431A1/ko
Publication of KR2018010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8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designed fo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소형이고, 적외선 촬영과 가시광선 촬영이 가능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촬상용 카메라 시스템과 관련하여 통신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 캠코더, PC 카메라(퍼스널 컴퓨터에 부속된 촬상 장치)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_CCD)와 씨모스 이미지 센서(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_CMOS)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 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상(image)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는 상(image)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
최근 홍채용 카메라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고, 홍채용 렌즈를 사용할 경우 적외선(IR) 영역에 해당하는 광학계 모듈을 별도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광학계 모듈을 추가할 경우 사이즈가 커지고, 단가가 비싸진다.
모바일 전자 장치에서 전면 카메라는 영상 통화 및 셀프 카메라를 찍기 위해 많이 사용되므로, 본인이 촬영 가능하도록 사람의 일반적인 팔 길이를 고려할 때 20-50cm 정도의 거리에서 사람의 얼굴 전체가 촬영될 수 있도록 60도 이상의 화각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이미지 센서에 얼굴 전체가 촬영되지만 배율에 의해 홍채 사이즈가 정확하게 홍채 인식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컨대, 가시광 광학 시스템에 적외선 영역을 위한 이동 렌즈군을 삽입하여 별도의 포커싱 동작 없이 적외선 영역에서도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컨대, 적외선에 대해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되며,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14 < T34 / OAL < 0.3
V3-V2 > 35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볼록한 물체 측면을 가지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고 오목한 상 측면을 가지는 제2렌즈, 상기 제2렌즈의 상 측에 배치된 제3 렌즈, 및 가장 상 측에 배치된 상 측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렌즈와 상 측 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상 측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이 적외선 통과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되며,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14 < T34 / OAL < 0.3
V3-V2 > 35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예컨대, 소형이고, 가시광 영역과 함께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고정 초점 광학계에 적외선 촬영을 위한 이동 렌즈군을 삽입하거나 이탈시켜 별도의 포커싱 동작 없이 가시광 영역에서의 촬영과 적외선 영역에서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자 장치는, 소형이고, 고성능으로 멀티미디어(예: 사진, 또는 동영상 등)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렌즈들 사이에 삽입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렌즈들 사이에 삽입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렌즈들 사이에 삽입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3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3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 렌즈군이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1)를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1)는 물체 측(O)(object side)으로부터 상 측(image side)(I)으로 배치된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렌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 측(image side)은, 예를 들면, 상(image)이 결상되는 상면(IMG)(image plane)이 있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물체 측(object side)은 피사체(object)가 있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렌즈의 "물체 측면"은, 예를 들면, 광축(OA)을 기준으로 하여 피사체가 있는 쪽의 렌즈 면으로 도면상 좌측 면을 의미하며, "상 측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면이 있는 쪽의 렌즈 면으로 도면상 우측 면을 나타낼 수 있다. 상면(IMG)은 예를 들어, 촬상 소자 면 또는 이미지 센서 면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어, 씨모스 이미지 센서(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3매 이상의 렌즈들 중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렌즈군(LM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L11)와, 제1렌즈(L11)의 상 측에 배치된 제2렌즈(L21), 제2렌즈(L21)의 상 측에 배치된 제3렌즈(L31), 및 제3렌즈(L31)의 상 측에 배치된 제4렌즈(L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렌즈군(LM1)이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렌즈군이 다른 렌즈들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1)는 가장 상 측(I)에 배치된 제5렌즈(L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L11)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L11)는 물체 측(O)으로 볼록한 물체 측면(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L11)는 양볼록 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L21)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L21)는 상 측(I)으로 오목한 상 측면(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L31)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L31)는 상 측(I)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L41)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L51)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 5렌즈(L51)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렌즈(L51)는 광축(OA) 근처 영역에서 물체 측(O)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축 근처 영역은 광축으로부터 소정 반경 범위(예를 들어, 최초 변곡점 위치)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변곡점은, 예를 들면, 곡률 반경의 부호가 (+)에서 (-)로 변하거나 (-)에서 (+)로 변하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변곡점은, 예를 들면, 렌즈의 형상이 볼록(convex)에서 오목으로 변하거나 오목에서 볼록으로 변하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은, 예를 들면, 곡면이나 곡선의 각 점에 있어서의 만곡의 정도를 표시하는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제5렌즈(L51)의 물체 측면(10)은 렌즈 중심부가 물체 측(O)으로 볼록하고, 렌즈 주변부는 물체 측(O)으로 오목할 수 있다. 제5렌즈(L51)의 상 측면(11)은 렌즈 중심부가 상 측(O)으로 오목하고, 렌즈 주변부는 상 측(I)으로 볼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L11), 제2렌즈(L21), 제3렌즈(L31), 제4렌즈(L41), 및 제5렌즈(L51)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L11), 제2렌즈(L21), 제3렌즈(L31), 제4렌즈(L41), 및 제5렌즈(L51)가 각각 양면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렌즈(L21)와 제3렌즈(L31) 사이에 조리개(ST)가 구비될 수 있다. 조리개(ST)는 광속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개구 조리개, 가변 조리개, 또는 마스크 형태의 스톱(s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렌즈(L5-1)와 상면(IMG)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OD1)가 구비될 수 있다. 광학 소자(OD1)는 예를 들어 광대역 통과 필터(broad band pass filter), 또는 커버 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소자로서 광대역 통과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400-10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대역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광대역 통과 필터는 예를 들어,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모두 통과시킬 수 있다. 하지만, 광학 소자 없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고, 고해상도 및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수차 특성이 양호하고 2.0 이하의 F 넘버를 가지는 밝은 촬상 광학계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 렌즈군(LM1)은 적외선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렌즈군(LM1)은 한 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렌즈군(LM1)은 한 면이 평면인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렌즈군(LM1)은 평판형 제6렌즈(L61)와 일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제7렌즈(L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L61)와 제7렌즈(L71)가 접합될 수 있다. 제6렌즈(L61)와 제7렌즈(L71)는 각각 구면 렌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판 렌즈와 볼록 렌즈를 접합하는 경우 용이하게 적외선 통과 코팅을 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1)은 예를 들어, 적외선 통과 코팅 또는 가시 광선 차단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통과 코팅이 구비되는 경우, 가시 광선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차단되고, 적외선이 투과되어 상면(image plane)에 전달될 수 있다. 적외선 통과 코팅은 가시광선을 차단(또는 반사)시키는 재료로 제작되거나,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렌즈군(LM1)이 이동하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광축(OA)을 벗어나 위치한 구성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가시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2는 이동 렌즈군(LM1)이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에 삽입되도록 이동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가시광선 영역의 광은 차단되고, 적외선 영역의 광이 투과되어 상 면(image plane)에 결상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1)이 광축(OA) 상으로 이동될 때, 적외선 광을 이용하여 홍채를 촬영할 수 있다. 홍채 촬영에는 가시광선보다 적외선 광이 적합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에서 빛이 반사될 때, 각막에서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높아 각막에서 반사된 가시광선에 의한 각막 의미지로 인해 홍채 이미지가 정밀하게 촬영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통과 코팅을 이용하여 가시광선을 차단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홍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고화소, 밝은 렌즈, 슬림화된 구조이고, 이동 렌즈군(LM1)을 이동하여 적외선 영역에서 촬영이 가능하다. 이동 렌즈군(LM1)을 이용하여 가시 광선과 적외선 파장에 따라 발생하는 포커스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적외선 촬영시 포커싱을 위한 별도의 모듈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화와 생산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이동 렌즈군(LM1)을 이용하여 물체 거리 차이에 따른 포커스 차이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고정 포커스 시스템(fixed focus system)인 경우, 물체 거리 및 광 파장에 따른 포커스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 영역에서는 물체 거리가 50cm이고, 적외선 영역에서는 홍채 인식 거리로서 30cm의 물체 거리를 가정할 때, 물체 거리 차이에 따른 베스트 포커스 차이가 대략 20um 정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의 파장에 따른 베스트 포커스 차이는 대략 10um 정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체 거리와 광의 파장에 따른 포커스 차이가 총 30um 이상 발생하여 해상력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는 고화소의 밝은 렌즈일수록 더 심화되며, 이를 반드시 보정해 주어야 원하는 해상력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고화수의 밝은 렌즈의 경우 심도가 얕기 때문에 포커스가 10um 이상 벗어나면 해상력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이동 렌즈군(LM1)이 물체 거리와 광의 파장에 따른 포커스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플레어 현상을 줄이고, 민감도를 감소시키고, 수차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이동 렌즈군의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이동 렌즈군의 렌즈 매수를 적게 하고, 슬림한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2)를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2)는 물체 측(O)으로부터 상 측(I)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L12),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L2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L32), 제4렌즈(L42)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L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3렌즈(L32)와 제4렌즈(L42)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렌즈군(LM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2)은 예를 들어, 상 측(I)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지는 한 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2)은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이동 렌즈군(LM2)은 양면 비구면 렌즈 한 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2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2)의 이동 렌즈군(LM2)이 광축(OA)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5렌즈(L52)와 상면(IMG)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OD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수치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3)를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3)는 물체 측(O)으로부터 상 측(I)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L13),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L23),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L33), 제4렌즈(L43) 및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L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3렌즈(L33)와 제4렌즈(L43)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렌즈군(LM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3)은 예를 들어, 평판형 제6렌즈(L63)와 일면이 평면이고, 다른 면이 볼록한 제7렌즈(L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L63)와 제7렌즈(L73)가 접합될 수 있다. 제6렌즈(L63)와 제7렌즈(L73)는 각각 구면 렌즈일 수 있다. 도 10은 제2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3)의 이동 렌즈군(LM3)이 광축(OA)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5렌즈(L53)와 상면(IMG)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OD3)가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의 식들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제1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1)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다른 수치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0.14 < T34 / OAL < 0.3 <식 1>
V3-V2 > 35 <식 2>
여기서, T34는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는 제1렌즈(L11)의 물체 측면에서 상면(IMG)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의 공기 간격은 제3렌즈(L31)의 상 측면(7)과 제4렌즈(L41)의 물체 측면(8)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식 1은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의 거리와 전장의 비율을 한정한 것이다. (T34 / OAL)이 식 1의 하한 값보다 작을 때 이동 렌즈군(LM1)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다. (T34 / OAL)이 식 1의 상한 값보다 클 때 해상력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옵티칼 렌즈 시스템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다.
식 2는 제2렌즈(L21)와 제3렌즈(L31)의 아베수 비를 한정한 것으로, 식 2를 만족할 때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2 < f2 / f < -0.8 <식 3>
여기서, f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를, f2는 제2렌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f2 / f)이 식 3의 하한 값보다 작을 때, 제 2렌즈의 초점 거리가 길어져 박형화가 어려워지고, (f2 / f)이 식 3의 상한 값보다 클 때, 제2렌즈의 초점 거리가 짧아져서 제조 민감도가 증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 < f IR < 300 <식 4>
여기서, fIR은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이동 렌즈군이 식 4를 만족할 때 물체 거리 및 광의 파장에 따른 포커스 차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는 0보다 크고 200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는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이동 렌즈군에 의해, 고정 초점 렌즈계에서 가시광 영역과 적외선 영역에서 발생하는 포커스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식 5>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설계에 따른 수치 실시예를 통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각 수치 실시예에서 렌즈면 번호(1,2,3..Sn; n은 자연수)는 물체 측(O)으로부터 상 측(I)으로 순차적으로 일렬로 부쳐진다. f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를, R은 곡률 반경을, Dn은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nd는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나타낸다. ST는 조리개를 나타내고, obj는 피사체를 나타낸다. *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제1 수치 실시예>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LM1)이 광축(OA)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표 1은, 이 경우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제1 수치 실시예의 경우, F-number는 2.08이고, 반화각은 36.7도, 전체 초점거리(f)는 3.75mm이다.
렌즈면 R Dn nd vd
obj infinity 500    
1* 1.448772 0.69965 1.5441 56.09
2* -75.000000 0.02608    
3* 12.062602 0.18500 1.66066 20.37
4* 2.808659 0.13480    
ST infinity 0.22463    
6* -2.916821 0.36006 1.5441 56.09
7* -2.577090 0.69622    
8* -117.113075 0.40000 1.66066 20.37
9* 7.947845 0.06919    
10* 1.677608 0.85334 1.5441 56.09
11* 1.385358 0.22607    
12 infinity 0.11000 1.5168 64.2
13 infinity 0.52500    
IMG infinity 0.00000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LM1)이 제3렌즈(L31)와 제4렌즈(L41)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표 2는, 이 경우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 렌즈군(LM1)의 렌즈면은 7-1,7-2,7-3,7-4로 표기 되었다.
렌즈면 R Dn nd vd
obj infinity 500    
1* 1.448772 0.69965 1.5441 56.09
2* -75.000000 0.02608    
3* 12.062602 0.18500 1.66066 20.37
4* 2.808659 0.13480    
ST infinity 0.22463    
6* -2.916821 0.36006 1.5441 56.09
7(7*-1) -2.577090   0.1    
7-2 infinity 0.2 1.50858 61.34
7-3 infinity 0.04 1.52652 23.14
7-4 -26.08 0.356    
8* -117.113075 0.40000 1.66066 20.37
9* 7.947845 0.06919    
10* 1.677608 0.85334 1.5441 56.09
11* 1.385358 0.22607    
12 infinity 0.11000 1.5168 64.2
13 infinity 0.52500    
IMG infinity 0.00000    
표 3은 제1수치 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1 2 3 4 6 7 8 9 10 11
K -0.29816 0 161.8321 2.529586 4.593495 1.651936 0 11.20482 -2.87574 -1.59931
A -0.00122 0.002503 0.001865 0.00854 -0.12561 -0.07836 0.187254 -0.11761 -0.49754 -0.27104
B 0.06328 -0.10266 0.066364 0.095967 -0.10998 0.006897 -0.40048 0.272346 0.601848 0.199799
C -0.16489 0.883566 0.010106 -0.16539 0.230944 -0.42787 0.588706 -0.32738 -0.50656 -0.10999
D 0.197272 -3.33036 -0.24027 0.230614 -0.62372 1.700558 -0.6809 0.190922 0.27337 0.040246
E -0.0627 6.168835 0.223814 0 0.685199 -3.30279 0.502998 -0.06027 -0.09122 -0.00929
F -0.10816 -6.46666 0.004225 0 0 3.797863 -0.22089 0.009691 0.018263 0.001289
G 0.086789 3.667414 0 0 0 -2.36859 0.052122 -0.00054 -0.00201 -9.77E-05
H -0.02536 -0.87109 0 0 0 0.65336 -0.00504 -1.98E-05 9.38E-05 3.10E-06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광축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가시 광선에 대한 수차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파장이 656.2725(NM, nanometer), 587.5618(NM), 546.0740(NM), 486.1327(NM), 435.834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상면만곡은 파장이 587.5618(NM)인 광에 대해 나타낸 것이며, 왜곡수차는 파장이 587.5618(NM)인 광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적외선 광에 대해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파장이 840.0000(NM, nanometer), 820.0000(NM), 800.0000(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 것이며, 상면만곡은 파장이 820.0000(NM)인 광에 대해 나타낸 것이며, 왜곡수차는 파장이 820.0000(NM)인 광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제2 수치 실시예>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2)에서 이동 렌즈군(LM2)이 광축(OA)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표 4는 이 경우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제2수치 실시예의 경우, F-number는 2.05이고, 반화각은 37도, 초점 거리(f)는 3.7mm이다.
렌즈면 R Dn nd vd
obj infinity 500    
1* 1.442 0.746 1.5441 56.09
2* 23.798 0.055    
3* 25.839 0.19 1.66066 20.37
4* 3.113 0.097    
ST infinity 0.248    
6* -5.572 0.398 1.5441 56.09
7* -3.175 0.69    
8* -100 0.43 1.63493 23.89
9* 7.134 0.088    
10* 1.337 0.652 1.5348 55.71
11* 1.112 0.226    
12 infinity 0.11 1.5168 64.2
13 infinity 0.53    
IMG infinity 0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LM2)이 제3렌즈(L32)와 제4렌즈(L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표 5는, 이 경우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 렌즈군(LM2)의 렌즈면은 7-1,7-2,7-3으로 표기 되었다.
렌즈면 R Dn nd vd
obj infinity 500    
1* 1.442 0.746 1.5441 56.09
2* 23.798 0.055    
3* 25.839 0.19 1.66066 20.37
4* 3.113 0.097    
ST infinity 0.248    
6* -5.572 0.398 1.5441 56.09
7*(7*-1) -3.175 0.1    
7*-2 -300 0.2 1.66066 20.37
7*-3 -28.3 0.39    
8* -100 0.43 1.63493 23.89
9* 7.134 0.088    
10* 1.337 0.652 1.5348 55.71
11* 1.112 0.226    
12 infinity 0.11 1.5168 64.2
13 infinity 0.53    
IMG infinity 0    
표6은 제2수치 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1 2 3 4 6 7 8 9 10 11
K -0.24981 0.00000 866.11238 2.55416 44.90290 5.63288 0.00000 -495.89279 -2.02503 -0.95362
A 0.00264 -0.05571 -0.07242 0.00649 -0.15115 -0.09643 0.18215 -0.08441 -0.65026 -0.43034
B 0.04532 -0.01698 0.30083 0.01282 0.18332 0.01857 -0.38265 0.25930 0.73976 0.31559
C -0.12927 0.81110 -0.57081 1.11083 -3.24955 -0.74426 0.57221 -0.32594 -0.61935 -0.18128
D 0.18378 -3.19963 1.48332 -5.48523 20.64550 3.02286 -0.67440 0.19202 0.33027 0.06897
E -0.09365 6.10651 -4.00028 13.55278 -74.07919 -6.52389 0.50425 -0.06039 -0.10663 -0.01655
F -0.06702 -6.46612 6.91616 -18.13590 152.09742 8.11745 -0.22163 0.00962 0.02035 0.00239
G 0.08632 3.66742 -6.00774 13.04688 -168.35794 -5.56424 0.05185 -0.00054 -0.00212 -0.00019
H -0.02785 -0.87109 2.05295 -3.84162 78.59481 1.66867 -0.00495 -0.00001 0.00009 0.00001
표7은 제2수치 실시예에서의 이동 렌즈군(LM2)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7-2 7-3
K 0 0
A -0.00949 0.07328
B 0.25234 -0.80433
C -1.46325 4.75391
D 4.01242 -16.59415
E -6.14395 34.98712
F 5.65309 -44.57067
G -3.15798 33.19421
H 0.96485 -13.12334
K -0.12253 2.07564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광축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수치 실시예>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3)에서 이동 렌즈군(LM3)이 광축(OA)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표 8은, 이 경우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수치 실시예의 경우, F-number는 2.05이고, 반화각은 36.5도, 초점 거리(f)는 3.79mm이다.
렌즈면 R Dn nd vd
obj infinity 500    
1* 1.383975 0.771 1.5441 56.09
2* 75.016256 0.037    
3* 17.940384 0.19 1.66066 20.37
4* 2.776532 0.098    
ST infinity 0.288    
6* -6.254113 0.367 1.5441 56.09
7* -5.164688 0.635    
8* -2798.645245 0.43 1.63493 23.89
9* 8.383211 0.08    
10* 1.530377 0.72 1.5348 55.71
11* 1.283585 0.204    
12 infinity 0.11 1.5168 64.2
13 infinity 0.531    
IMG infinity 0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수치 실시예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3)에서 이동 렌즈군(LM3)이 제3렌즈(L33)와 제4렌즈(L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표 9는, 이 경우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동 렌즈군(LM3)의 렌즈면은 7-1,7-2,7-3,7-4로 표기 되었다.
렌즈면 R Dn nd vd
obj infinity 500    
1* 1.383975 0.771 1.5441 56.09
2* 75.016256 0.037    
3* 17.940384 0.19 1.66066 20.37
4* 2.776532 0.098    
ST infinity 0.288    
6* -6.254113 0.367 1.5441 56.09
7*(7*-1) -5.164688 0.095    
7-2 infinity 0.2 1.80518 25.46
7-3 infinity 0.04 1.52652 23.14
7-4 -20.640000 0.3    
8* -2798.645245 0.43 1.63493 23.89
9* 8.383211 0.08    
10* 1.530377 0.72 1.5348 55.71
11* 1.283585 0.204    
12 infinity 0.11 1.5168 64.2
13 infinity 0.531    
IMG infinity 0    
표10은 은 제3수치 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1 2 3 4 6 7 8 9 10 11
K 1.38398 75.01626 17.94038 2.77653 -6.25411 -5.16469 -2798.64525 8.38321 1.53038 1.28358
A -0.21595 0.00000 435.79385 1.83372 44.88890 8.70634 0.00000 -708.54020 -1.88069 -1.20070
B 0.00926 -0.01008 -0.04296 0.00517 -0.09829 -0.11473 0.18713 -0.08311 -0.62288 -0.34662
C 0.03210 -0.02222 0.24882 -0.03918 -1.26980 -0.02588 -0.39123 0.25910 0.73369 0.24888
D -0.10808 0.77234 -0.52683 1.18223 9.96683 -0.40347 0.57518 -0.32733 -0.62994 -0.13307
E 0.18076 -3.17551 1.45150 -5.43343 -46.64552 1.67736 -0.67492 0.19202 0.34085 0.04507
F -0.09753 6.10651 -4.00028 13.55275 127.10684 -3.31555 0.50390 -0.06027 -0.11145 -0.00908
G -0.06667 -6.46611 6.91617 -18.13601 -199.42893 3.79647 -0.22152 0.00965 0.02155 0.00099
H 0.08632 3.66741 -6.00773 13.04688 165.81368 -2.37269 0.05191 -0.00054 -0.00228 -0.00005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광축을 벗어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이 광축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서 이동 렌즈군(LM1)이 이동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 포함된 렌즈들은 경통(B)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제1 수치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된다. 경통(B)에는 이동 렌즈군(LM1)이 출입할 수 있는 홀(H)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렌즈군(LM1)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D)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 부호 SP는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다음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여러 가지 데이터와 식 1 내지 식 4를 만족함을 보인 것이다.
F f1 f2 f3 f4 f5 반화각 OAL F number T34 V3-V2 f2/f T34/OAL fIR
실시예1 3.75 2.6 -5.5 29.5 -11.1 457.3 37 4.51 2.08 0.696 35.7 -1.47 0.154 49.6
실시예2 3.69 2.8 -5.3 12.8 -10.4 1013.6 37 4.46 2.05 0.69 35.7 -1.44 0.154 48.9
실시예3 3.82 2.6 -4.9 48.5 -13.0 767.7 36 4.46 2.06 0.635 35.7 -1.28 0.142 39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촬영용 렌즈군에 적외선 촬영용 이동 렌즈군을 삽입하거나 이탈시킴으로써 별도의 포커싱 동작 없이 가시광 영역에서도 광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영역에서의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홍채 촬영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이동 렌즈군을 이용하여 고화소의 고정 초점 광학계에서 가시광선 촬영과 적외선 촬영시 발생하는 포커스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모바일용 기기에 장착되는 초소형 광학 기기에 적합하고,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에 포함된 렌즈 각각의 렌즈 면의 곡률 반경을 조절하고 비구면으로 제작함으로써 각종 수차를 줄이고 고해상도의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전자장치에서 홍채 인식용 카메라 렌즈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 이미지 촬영용 렌즈 시스템의 경우 자연광에 대한 영향으로 홍채 이미지 촬영이 어렵고, 작은 배율로 인한 홍채 이미지 사이즈의 축소로 인해 효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적외선 통과 코팅(또는 가시광선 차단 코팅) 및 적외선 광원을 적용하여 고품질의 홍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충분한 횡배율을 확보하여 홍채 인식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소형화하여 예를 들어, 모바일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를 채용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디지털 카메라, 교환 렌즈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핸드폰 카메라, 소형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MG)(예: 도 17의 전자 장치(201) 또는 도 18의 전자 장치(301))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서는 전자 장치(MG)가 모바일 폰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MG)는 적어도 하나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에 의해 결상된 상(image)를 수광하여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는 이동 렌즈군(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들이 채용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이동 렌즈군(LM1), 도 5에 도시된 이동 렌즈군(LM2), 도 9에 도시된 이동 렌즈군(LM3)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소형의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폰, 인증 장치 등의 전자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고성능으로 촬영이 가능한 촬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MG)는 적외선 촬영 시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광원(S)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S)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광원(S)으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사용자의 눈에서 반사되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를 통해 이미지 센서(110)에 결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MG)는 이동 렌즈군를 가지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와 적외선 광원을 채용하여 정밀하게 홍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10)는 적외선을 감광하는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감광 픽셀은 사용자의 홍채 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홍채 인증을 할 때, 전자 장치(MG)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인증을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F)(예를 들어, 도 17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50) 또는 도 18의 인터페이스(370))가 표시될 수 있다. 적외선 광원(S)으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사용자의 눈에서 반사되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를 통해 이미지 센서(110)에 결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에 의한 사용자 인증에 적용될 수 있다. 홍채 인식은 사람의 홍채 패턴이 사람마다 다른 점을 이용한 생체인증 기술 중 하나이다. 사용자가 카메라 또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포함된 전자 소자를 손에 쥐고, 자연스럽게 카메라를 볼 때 사용자의 홍채 패턴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자연스런 사용 상태에서의 팔 거리에서 두 눈이 촬영될 수 있는 화각(또는 초점 거리)이 확보되는 것이 좋다.
전자 장치(MG)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10)와 이미지 센서(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 인증을 할 때, 전자 장치(MG)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인증을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F)가 표시되고, 적외선 촬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홍채 인증을 위한 홍채 촬영 시에는 이동 렌즈군(LM)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이 끝난 후에는 가시광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이동 렌즈군(LM)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적외선 촬영과 가시광 촬영이 모두 구현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MG)(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자 장치(MG)에 구비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의 화각 범위 내에 위치하고 사용자 홍채가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장치(MG1)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와,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에 대응되는 이미지 센서(110)가 구비되고,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에 대응되는 이미지 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듀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촬영과 흑백 영상 촬영이 가능한 흑백 렌즈 시스템에 적용되고,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는 칼라 렌즈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홍채 인증을 위한 적외선 촬영시에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가 적외선 촬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 사진 촬영시에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가 흑백 사진 촬영 모드로 동작하여 흑백 영상을 촬영하고,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0)가 칼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흑백 영상과 칼라 영상을 합성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와,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는 서로 다른 화각 또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는 표준 렌즈 시스템이고,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은 광각 렌즈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는 광각 렌즈 시스템이고,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은 망원 렌즈 시스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MG1)가 복수 개의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와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에 의해 촬영된 각 영상을 합성하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의 화각(또는 초점 거리)과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의 화각(또는 초점 거리) 사이에 있는 화각(또는 초점 거리)을 가지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합성 처리를 통해 디지털 줌을 구현할 수 있다.
이동 렌즈군(LM)이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 내부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홍채 촬영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MG1)를 이용할 수 있고, 이동 렌즈군(LM)이 제거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00)와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120)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200) 내의 전자 장치(2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201)는 버스(110), 프로세서(220), 카메라 모듈(225), 메모리(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50), 디스플레이(260), 및 통신 인터페이스(2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2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210-2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5)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25)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컬 렌즈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2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240)은, 예를 들면, 커널(241), 미들웨어(2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2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2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241), 미들웨어(243), 또는 API(2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2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243), API(2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210), 프로세서(220), 또는 메모리(2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241)은 미들웨어(243), API(2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47)에서 전자 장치(2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243)는, 예를 들면, API(2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47)이 커널(2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2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2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2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210), 프로세서(220), 또는 메모리(2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2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2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247)이 커널(241) 또는 미들웨어(2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2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50)은 전자 장치(2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202), 제 2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2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204) 또는 서버(2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2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264)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202, 204) 각각은 전자 장치(2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204), 또는 서버(2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2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202, 2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2, 2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2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301)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전자 장치(2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310), 통신 모듈(320), (가입자 식별 모듈(324), 메모리(330), 센서 모듈(340), 입력 장치(350), 디스플레이(360), 인터페이스(370), 오디오 모듈(380), 카메라 모듈(391), 전력 관리 모듈(395), 배터리(396), 인디케이터(397), 및 모터(3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3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3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도 17의 통신 인터페이스(2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321),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3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3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3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3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3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은 프로세서(3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 또는 NFC 모듈(3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 또는 NFC 모듈(3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3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3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321), WiFi 모듈(323), 블루투스 모듈(325), GNSS 모듈(327) 또는 NFC 모듈(3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324)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예: 메모리(3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332) 또는 외장 메모리(3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3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3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3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3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3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3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3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340A), 자이로 센서(340B), 기압 센서(340C), 마그네틱 센서(340D), 가속도 센서(340E), 그립 센서(340F), 근접 센서(340G), 컬러(color) 센서(3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340I), 온/습도 센서(340J), 조도 센서(3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3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3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3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3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3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3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35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3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354), 키(key)(3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3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3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3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3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3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358)는 마이크(예: 마이크(3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60)(예: 디스플레이(360))는 패널(362), 홀로그램 장치(364), 또는 프로젝터(3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362)은, 도 17의 디스플레이(2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3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362)은 터치 패널(3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3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터치 패널(3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패널(3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3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3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60)는 패널(362), 홀로그램 장치(364), 또는 프로젝터(3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372), USB(universal serial bus)(3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376), 또는 D-sub(D-subminiature)(3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70)는,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3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3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3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7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80)은, 예를 들면, 스피커(382), 리시버(384), 이어폰(386), 또는 마이크(3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91)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옵티컬 렌즈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3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3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397)는 전자 장치(3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3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3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3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되며,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14 < T34 / OAL < 0.3
V3-V2 > 35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가장 상 측에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은 물체 거리와, 사용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발생하는 포커스 차이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소자가 400-10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이 800-1000nm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2 < f2 / f < -0.8
여기서, f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를, f2는 제2렌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 < f IR < 300
여기서, fIR은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이 평판 렌즈와, 일 평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볼록한 물체 측면을 가지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고 오목한 상 측면을 가지는 제2렌즈, 상기 제2렌즈의 상 측에 배치된 제3 렌즈, 및 가장 상 측에 배치된 상 측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렌즈와 상 측 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상 측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이 적외선 통과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14 < T34 / OAL < 0.3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V3-V2 > 35
여기서,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2 < f2 / f < -0.8
여기서, f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를, f2는 제2렌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 < f IR < 300
여기서, fIR은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이 평판 렌즈와, 일 평면 렌즈가 접합된 렌즈군 또는 메니스커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되며,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14 < T34 / OAL < 0.3
V3-V2 > 35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렌즈군이 800-1000nm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가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흑백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칼라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도 18의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L11:제1렌즈, L21:제2렌즈
L31:제3렌즈, L41:제4렌즈
L51:제5렌즈, LM1:이동 렌즈군
OD1:광학 소자, ST:조리개

Claims (20)

  1.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되며,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0.14 < T34 / OAL < 0.3
    V3-V2 > 35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는 가장 상 측에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은 물체 거리와, 사용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발생하는 포커스 차이를 보정하도록 구성된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소자가 400-100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광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이 800-1000nm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코팅을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2 < f2 / f < -0.8
    여기서, f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를, f2는 제2렌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8.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0 < f IR < 300
    여기서, fIR은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이 평판 렌즈와, 일 평면 렌즈를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진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진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12. 볼록한 물체 측면을 가지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 측에 배치되고 오목한 상 측면을 가지는 제2렌즈, 상기 제2렌즈의 상 측에 배치된 제3 렌즈, 및 가장 상 측에 배치된 상 측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렌즈와 상 측 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상 측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이 적외선 통과 코팅을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0.14 < T34 / OAL < 0.3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낸다.
  14. 제12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V3-V2 > 35
    여기서,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15. 제12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2 < f2 / f < -0.8
    여기서, f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를, f2는 제2렌즈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16. 제12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식>
    0 < f IR < 300
    여기서, fIR은 이동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이 평판 렌즈와, 일 평면 렌즈가 접합된 렌즈군 또는 메니스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18.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및 상기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3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서 이탈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 렌즈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렌즈군은 적외선 촬영을 위해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로 이동되며,
    다음 식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
    <식>
    0.14 < T34 / OAL < 0.3
    V3-V2 > 35
    여기서, T34는 제3렌즈와 제4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내고, OAL은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의 전장 길이를 나타내고, V2는 제2렌즈의 아베수를, V3은 제3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렌즈군이 800-1000nm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코팅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흑백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가 칼라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KR1020170036190A 2017-03-22 2017-03-22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38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90A KR102380786B1 (ko) 2017-03-22 2017-03-22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6/485,921 US11435552B2 (en) 2017-03-22 2018-03-06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8/002636 WO2018174431A1 (ko) 2017-03-22 2018-03-06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90A KR102380786B1 (ko) 2017-03-22 2017-03-22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21A true KR20180107621A (ko) 2018-10-02
KR102380786B1 KR102380786B1 (ko) 2022-04-01

Family

ID=6358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190A KR102380786B1 (ko) 2017-03-22 2017-03-22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35552B2 (ko)
KR (1) KR102380786B1 (ko)
WO (1) WO20181744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68A1 (ko) * 2020-09-03 2022-03-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광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29531B (zh) 2017-10-25 2018-07-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US11308618B2 (en) 2019-04-14 2022-04-19 Holovisions LLC Healthy-Selfie(TM): a portable phone-moving device for telemedicine imaging using a mobile ph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387A (ja) * 1993-06-29 1995-03-17 Ricoh Co Ltd 変倍レンズ
JP2002244037A (ja) * 2001-02-19 2002-08-28 Canon Inc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9042563A (ja) * 2007-08-09 2009-02-26 Sony Corp 撮像装置及び変倍レンズ
JP2011053526A (ja) * 2009-09-03 2011-03-17 Kinoshita Optical Research Institute Co Ltd ズームレンズ
EP2495596A2 (en) * 2011-03-02 2012-09-05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featuring a zoom lens with optical elements that are attachable and detachab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8510A (ja) 1981-12-23 1983-06-28 Canon Inc 切換え式変倍レンズ系
JPS60170815A (ja) 1984-02-16 1985-09-04 Olympus Optical Co Ltd 後群交換式変倍レンズ
JPS60176013A (ja) 1984-02-22 1985-09-10 Olympus Optical Co Ltd 補助レンズ系を備えた変倍レンズ系
US4887107A (en) 1986-07-29 1989-12-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DE3742244C1 (de) * 1987-12-12 1989-04-06 Daimler Benz Ag Vortriebsregelung fuer Fahrzeuge
JP3312345B2 (ja) 1993-01-13 2002-08-05 株式会社リコー コンバータレンズを内蔵したレンズ鏡胴
US5513042A (en) * 1993-06-29 1996-04-30 Ricoh Company, Ltd. Lens system with master lens system and conversion le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387A (ja) * 1993-06-29 1995-03-17 Ricoh Co Ltd 変倍レンズ
JP2002244037A (ja) * 2001-02-19 2002-08-28 Canon Inc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9042563A (ja) * 2007-08-09 2009-02-26 Sony Corp 撮像装置及び変倍レンズ
JP2011053526A (ja) * 2009-09-03 2011-03-17 Kinoshita Optical Research Institute Co Ltd ズームレンズ
EP2495596A2 (en) * 2011-03-02 2012-09-05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featuring a zoom lens with optical elements that are attachable and detach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568A1 (ko) * 2020-09-03 2022-03-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광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1761A1 (en) 2020-02-06
WO2018174431A1 (ko) 2018-09-27
US11435552B2 (en) 2022-09-06
KR102380786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2314B1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EP3532883B1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image using the same
KR102357292B1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0564404B2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451843B2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212729B (zh) 光学透镜组件以及包括其在内的电子装置
KR20180032058A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1054615B2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098064A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0067319B2 (en) Single focus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70096778A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장치, 및 이미지 형성 방법
KR20180069466A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180032057A (ko) 어안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장치
EP3674770B1 (en)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80786B1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180075226A (ko) 텔레 컨버터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471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3379A (ko)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