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523A - pellet stove - Google Patents

pellet st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523A
KR20180107523A KR1020170035918A KR20170035918A KR20180107523A KR 20180107523 A KR20180107523 A KR 20180107523A KR 1020170035918 A KR1020170035918 A KR 1020170035918A KR 20170035918 A KR20170035918 A KR 20170035918A KR 20180107523 A KR20180107523 A KR 2018010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unit
dust
pell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재엽
Original Assignee
가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재엽 filed Critical 가재엽
Priority to KR102017003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523A/en
Publication of KR2018010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24B13/008Ash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pellet stove, which comprises: a pellet inserting unit (102) disposed on one upper side of a housing (101); a combus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llet inserting unit (102) and mounted in the housing (101); a dust removing unit (120) cove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110); a radiating pipe (130) largely bent in the upper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lower side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an intake and exhaust unit (150) disposed on the other upper side of the housing (101)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adiating pipe (130).

Description

펠릿 난로{pellet stove} Pellet stove}

본 발명은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연소 과정에서 분진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는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st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llet stove that improves thermal efficiency and prevents external emission of dust in a combustion process.

최근에 원유 등 에너지원 가격의 급등으로 인하여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목 등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후 길이 3.8㎝, 굵기 0.6~0.8㎝ 이내의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해 가공한 우드 펠릿(wood-pellets)이 대체 에너지 연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우드 펠릿은 등유나 경유 등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양으로 높은 열효율을 낼 수 있고, 고온에서 완전 연소되기 때문에 소각 후에도 소각재가 거의 남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연소에 의한 유해 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Recently, due to the surge in the price of energy sources such as crude oil, forestry wastes and pulpwood are crushed to produce sawdust, and wood-pellets, which are processed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a length of 3.8 cm and a length of 0.6 to 0.8 cm,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energy fuel. Such wood pellets are capable of producing a relatively low amount of thermal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kerosene or light oil and are completely burned at a high temperature. Therefor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almost no ash is left after burning and noxious gas due to combustion hardly occurs. Do not pollute.

특히, 상기한 우드 펠릿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량도 일반 경유의 1/12 수준으로 미약하여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서 이산화탄소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 연료이고, 균일한 형태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어 정확한 에너지 양의 조절이 가능하며, 에너지의 밀도와 저장능력이 크다. Particularly, the wood pellets described above are the fuels excluded from the carbon dioxide regulation in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ecause the carbon emissions, which are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are as low as 1/12 of the ordinary diesel, To control the amount of energy accurately, and the density and storage capacity of energy are large.

이러한 우드 펠릿은 에너지 비용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선진국형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서, 우드 펠릿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These wood pellets are widely known as a developed country-friendly environment-friendly energy source that helps reduce energy costs, and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wood pellets in various fields.

이러한 우드 펠릿을 사용하기 위한 펠릿 난로의 요구에 힘입어 현재 다양한 종류의 펠릿 난로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Due to the demand for pellet stoves for using such wood pellets, various types of pellet stove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sold.

종래의 펠릿 난로는 연소실 내부 바닥 또는 바닥에 설치되는 연소그릇(재받이 그릇)으로 펠릿을 떨어뜨려 공급하고, 공급된 펠릿이 고온 및 송풍공기에 의해 연소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연소 열기는 연소실(연소로)의 상부에 연통되는 방열 덕트를 통해 상승기류와 함께 이동하여 펠릿 난로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Conventional pellet stoves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pellets are supplied dropwise to a combustion vessel (ash tray) installed on the floor or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supplied pellets are burnt by high temperature and air blowing. The combustion heat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combustion furnace) through a heat dissipating duct to move along with the upward flow,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ellet furnace, that is, the room.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펠릿 난로의 경우에 펠릿의 연소열에서 발생한 미세한 분진들이 상승기류에 일부 포함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pellet stove, there is a problem that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pellets is partially contained in the rising air stream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특허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3653호Patent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5365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펠릿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고 열효율을 향상시킨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llet stove capable of preventing external emission of dus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of pellets and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는 하우징(10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펠릿 투입부(102); 상기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장착된 연소부(110); 상기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분진 제거부(120); 상기 분진 제거부(1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다수 굴곡진 방열관(130); 및 상기 하우징(10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방열관(130)의 상부 단부에 연결 장착된 흡배기부(150);를 포함한다.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llet input part 102 provided at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101; A combus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pellet injection unit 102 and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1; A dust removing unit 120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110; A plurality of curved heat pipes (13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having an upward direction; And a suction and discharge unit 150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1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t radiation pipe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열관(130)의 상부 단부가 관통하는 분리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plate 14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heat discharging pipe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상기 연소부(110)는 상기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된 제 1 상부 원통체(111); 상기 제 1 상부 원통체(111)의 하부에 맞물려 구비된 제 2 상부 원통체(112); 상기 제 2 상부 원통체(112)의 하부에 맞물려 장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2 조절 통공(114-1)을 구비한 상부 테두리 링, 하부 일측에 점화기(116)가 관통하는 제 2 가이드공(114-3) 및 측면을 따라 다수 구비된 흡입공(114-4)을 구비한 중간 원통체(114);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에 중첩하고, 상기 제 2 조절 통공(114-1)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조절 통공(113-1)을 다수 구비하며 일측에 손잡이(113-2)를 구비한 공기 조절링(113); 상기 중간 원통체(114)를 둘러싸고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의 하부에 걸쳐지고 하부 일측에 제 1 가이드공(115-3)을 구비한 하부 원통체(115); 상기 하부 원통체(115)의 제 1 가이드공(115-3)과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제 2 가이드공(114-3)을 관통하여 구비된 점화기(116); 상기 하부 원통체(115)의 측면에 장착된 제 1 지지링(117);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장착된 기저판(118-1); 상기 기저판(118-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 이격체(118-2);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서 상기 이격체(118-2)의 상부에 맞물려 구비된 지지판(118-3); 및 상기 하부 원통체(115)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장착된 제 2 지지링(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connected under the pellet injection unit 102; A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2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An upper rim ring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2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adjusting through holes 114-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intermediate cylinder 114 having a guide hole 114-3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4-4 provided along the side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holes 113-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econd adjusting holes 114-1 are provided on the upp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and a handle 113-2 is provided on one side, An air conditioning ring (113) having an air inlet (112); A lower cylindrical body 115 surrounding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im ring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having a first guide hole 115-3 at a lower side thereof; An igniter 116 provided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115-3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and the second guide hole 114-3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 first support ring 117 mount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A base plate 118-1 fitted to the low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 separator 118-2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late 118-1; A support plate 118-3 mesh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118-2 inside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a second support ring (119) fitted to the lower rim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상기 분진 제거부(120)는 상기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removing unit 120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provid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상기 분진 제거부(120)는 하부에 서랍 형태로 구비된 분진받이(125); 일측면에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분진 가이드판(122); 상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의 아래에 이격되고, 상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의 하부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분진 가이드판(124); 및 상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과 제 2 분진 가이드판(124) 사이의 측면에 상기 방열관(130)과 연결된 연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removing unit 120 includes a dust collector 125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n a drawer shape; A first dust guide plate (122) inclined downward on one side; A second dust guide plate (124) spaced below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inclined in a direc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a communication pipe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pipe 130 at a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the second dust guide plate 12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상기 흡배기부(150)는 상기 방열관(130)이 일측에 연결된 팬부(152); 상기 팬부(152)의 타측에 구비된 에어 모터(151); 상기 팬부(152)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101)의 타측을 관통하는 배기관(153); 상기 배기관(153)의 상부에 다수의 토출구(154-2)를 구비한 배기판(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and exhaust unit 150 includes a fan 15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 radiating pipe 130; An air motor 15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n unit 152; An exhaust pipe 153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1 at an upper portion of the fan unit 152; And a discharge plate 154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54-2 at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15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상기 팬부(152)는 상기 에어 모터(151)를 구비한 타측에 적어도 두 개의 흡입 통공(152-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unit 152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suction holes 152-2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motor 151.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dictionary sens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defining the concept of a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or in his or her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100)는 제 1 조절 통공(113-1)과 제 2 조절 통공(114-1)을 통해 공기를 조절하여 유입하면서 펠릿을 하향 연소시키며, 유입된 공기량에 의해 펠릿의 연소량을 조절하여 화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ir flow through the first adjusting hole 113-1 and the second adjusting hole 114-1 to burn down the pellet while flowing the air through the first adjusting hole 113-1 and the second adjusting hole 114-1, The firepower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bustion of the pelle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100)는 연소부(110)에서의 하향 연소와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는 분진 제거부(120)를 이용하여, 종래에 열과 함께 상향으로 발산하는 분진의 누출을 방지하고 분진의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conventional art in which the downward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unit 110 and the dust removal unit 120 that surrounds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110 are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leakage of dust can be prevented and dust trea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연소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연소부의 조립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연소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흡배기부의 사시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pellet stov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ustion section constituting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fter assembly of the combustion unit constituting the pellet heart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section constituting a pellet hear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and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연소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연소부의 조립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연소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를 구성하는 흡배기부의 사시도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ustion unit constituting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unit constituting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and exhaust unit constituting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100)는 하우징(10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펠릿 투입부(102),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 장착된 연소부(110),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분진 제거부(120), 분진 제거부(1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다수 굴곡진 방열관(130),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방열관(130)의 상부 단부가 관통하는 분리판(140) 및 하우징(10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방열관(130)의 상부 단부에 연결 장착된 흡배기부(150)를 포함한다. The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llet injection part 10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1, a combustion part 11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ellet injection part 102, A dust removing unit 120 installed to surround a lower portion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a plurality of curved heat discharging pipes 130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having an upward direction, A separation plate 140 through which an uppe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tube 130 passes and an intake and exhaustion unit 15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1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tube 130.

펠릿 투입부(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상부 일측에 함입형의 깔대기 형태로서 아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펠릿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펠릿 투입부(102)는 선택적으로 상부에 뚜껑을 추가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ellet introduction part 102 is provided in a form of a funnel-shaped funnel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01 and is formed in a downward width in a downward direction, have. Here, the pellet injecting unit 102 may optionally include a lid on the upper part.

연소부(110)는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 장착되고 펠릿 투입부(102)에서 투입되어 쌓인 펠릿을 거꾸로, 즉 하향 방향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소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된 제 1 상부 원통체(111), 제 1 상부 원통체(111)의 하부에 맞물려 구비된 제 2 상부 원통체(112), 제 2 상부 원통체(112)의 하부에 맞물려 장착된 중간 원통체(114),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에 중첩하고 중간 원통체(114)의 제 2 조절 통공(114-1)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조절 통공(113-1)을 다수 구비하며 일측에 손잡이(113-2)를 구비한 공기 조절링(113), 중간 원통체(114)를 둘러싸고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의 하부에 걸쳐진 하부 원통체(115), 하부 원통체(115)의 제 1 가이드공(115-3)과 중간 원통체(114)의 제 2 가이드공(114-3)을 관통하여 구비된 점화기(116), 하부 원통체(115)의 측면에 장착된 제 1 지지링(117), 중간 원통체(114)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장착된 기저판(118-1), 기저판(118-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 이격체(118-2),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서 이격체(118-2)의 상부에 맞물려 구비된 지지판(118-3) 및 하부 원통체(115)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장착된 제 2 지지링(119)을 포함한다. The combust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pellet injecting unit 102 and connected thereto. The pellets injected from the pellet injecting unit 102 may burn the stacked pellets upside down, that is, downward. 2, the combus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llet charging unit 102, a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1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2 upper cylinder body 112, an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f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2, a second cylindrical body 114 superimposed on the upper rim ring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The air conditioning ring 113 and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each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djustment holes 113-1 corresponding to the two adjustment holes 114-1 and having a handle 113-2 on one side,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surrounding the upper ring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the first guide hole 115-3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and the second guide hole 115-3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 first support ring 117 mount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and a base plate 118 fitted to the low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 -1), base A separating member 118-2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eparating member 118-1, a supporting plate 118-3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ng member 118-2 inside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member 114, And a second support ring 119 fitted in engagement with the lower edge of the body 115.

제 1 상부 원통체(111)와 제 2 상부 원통체(112) 각각은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 중첩 면적을 조절하여 맞물려 장착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2 may have different lengths and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공기 조절링(113)은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과 동일한 원형 고리의 형태로서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에 중첩하고, 중간 원통체(114)의 제 2 조절 통공(114-1)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조절 통공(113-1)을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하며 일측에 손잡이(113-2)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 조절링(113)은 사용자가 손잡이(113-2)를 돌림에 따라 제 2 조절 통공(114-1)에 대한 제 1 조절 통공(113-1)의 통공 면적을 조절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ring 113 overlaps the upp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identical to the upper rim ring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and the second adjusting bore 114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handle 113-2 on one side thereof. The air control ring 113 controls the flow amount of the air by adjusting the through hole area of the first adjusting hole 113-1 with respect to the second adjusting hole 114-1 as the user turns the knob 113-2 Can be adjusted.

중간 원통체(114)는 상부에 공기 조절링(113)에 대응하는 원형 고리형태를 갖고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2 조절통공(114-1)을 구비한 상부 테두리 링, 하부 일측에 점화기(116)가 관통하는 제 2 가이드공(114-3) 및 측면을 따라 다수 구비된 흡입공(114-4)을 포함한다.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has an upper frame ring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air control ring 113 at the upper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adjusting through holes 114-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4-4 provid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hole 114-3.

점화기(116)는 제 1 가이드공(115-3)과 제 2 가이드공(114-3)을 관통하여 선단부가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 위치하고,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서 지지판(118-3)의 상부에 적재된 펠릿을 가열하여 점화시키는 부재로서 예컨대 토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The igniter 116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115-3 and the second guide hole 114-3 so that its tip end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Inside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For example, a torch shape can be applied as a member for heating and igniting the pellet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llet 118-3.

기저판(118-1)은 원반 형태로서 원주를 따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고 중간 원통체(114)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중간 원통체(114)의 하부에 장착된다. The base plate 118-1 is disk-shaped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in engagement with the low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

이격체(118-2)는 기저판(118-1)과 지지판(118-3) 사이에 구비되어 기저판(118-1)과 지지판(118-3)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부재로서, 도 2에서 원통 형태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봉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pacer 118-2 is a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ase plate 118-1 and the support plate 118-3 to form a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118-1 and the support plate 118-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rectangular barrel and a rod.

지지판(118-3)은 원반 형태로서 원주를 따라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고,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 측면에 닿으며, 이격체(118-2)의 상부에 맞물려 구비되어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서 펠릿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판(118-3)은 흡입공(114-4)의 아래에 내부 측면에 닿도록 구비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펠릿을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분진을 통과시킨다. The support plate 118-3 has a disk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contact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The support plate 118-3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118-2, 114). ≪ / RTI > The support plate 118-3 is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ction hole 114-4 under the suction hole 114-4, and passes heat and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rning the pellet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이러한 연소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배기부(150)의 공기 흡입동작에 의해 "A"와 같이 제 1 조절 통공(113-1)과 제 2 조절 통공(114-1)을 거쳐 공기를 조절하여 유입하고, 흡입공(114-4)을 거쳐 유입된 공기와 점화기(116)를 이용하여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 적재된 펠릿을 점화시켜 연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하여 유입된 공기량에 의해 펠릿의 연소량이 조절되고 화력을 조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mbustion unit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adjusting through hole 113-1 and a second adjusting through hole 114-1 as in the case of "A" by the air sucking opera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unit 150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le 114-4 and the igniter 116 can be used to ignite the pellets loaded in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burn the pellets. Accordingly, the amount of the pellets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air and the thermal power can be adjusted.

이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 열은 흡배기부(150)의 공기 흡입동작에 의해 기저판(118-1)을 거쳐 아래로 전달되고 분진 제거부(120)와 방열관(130)을 거쳐 외부로 방열되며, 이때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은 분진 제거부(120)의 분진받이(125)에 적재되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is transferred down through the base plate 118-1 by the air sucking operation of the intake and exhaust unit 150, is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the heat radiation pipe 130, Dus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being loaded on the dust receptacle 125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분진 제거부(120)는 제 1 지지링(117)의 하부에 하우징 상부가 맞물려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통 형태로서, 하부에 서랍 형태의 분진받이(125)를 구비하고, 일측면에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을 구비하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의 아래에 이격되어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의 하부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분진 가이드판(124)을 구비하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과 제 2 분진 가이드판(124) 사이의 측면에는 방열관(130)과 연결된 연통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The dust removing unit 120 has a tubular shap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ring 117 is engag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enclose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110 and has a drawer- And a first dust guide plate 122 that is inclined downward on one side of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is spaced below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a communicating tube (not shown)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ng tube 13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the second dust guide plate 124.

이러한 분진 제거부(120)는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을 이용하여 분진을 분진받이(125)로 유도하고, 제 2 분진 가이드판(124)을 이용하여 분진의 유입을 방지하여, 열을 방열관(130)으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분진받이(125)는 서랍 형태로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분진받이(125)에 적재된 분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The dust removing unit 120 guides the dust to the dust receiving unit 125 using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prevents the dust from flowing using the second dust guide plate 124, And can be sent to the heat radiating pipe 130. Here, since the dust receptacle 125 is provided in a drawer shape, the user can easily process the dust deposited on the dust receptacle 125.

방열관(13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관 형태로서 분진 제거부(120)의 하부에 구비된 연통관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다수 굴곡진 지그재그 형태를 갖으며, 분리판(140)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흡배기부(150)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열관(130)은 다수의 구부러진 관과 직선형 관을 조립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pipe 13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in the shape of a pip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large number of bending zigzags in the upper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intake / The heat radiating pipe 130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ent pipes and a straight pipe.

흡배기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관(130)이 팬부(152)의 일측에 연결되고 팬부(152)의 타측에 에어 모터(151)를 구비하며, 팬부(152)의 상부에 하우징(101)의 타측을 관통하는 배기관(153)을 구비하며, 배기관(153)의 상부에 다수의 토출구(154-2)를 구비한 배기판(154)을 구비한다. 여기서 배기판(154)을 둘러싸는 거치대(157)를 하우징(101)의 타측에 더 구비할 수도 있다. 5, the heat sink 1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an 152, the air motor 15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n 15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152 And an exhaust pipe 153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1 and an exhaust plate 154 having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54-2 at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153. Here, a holder 157 surrounding the exhaust plate 154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1.

이때, 팬부(152)는 에어 모터(151)를 구비한 타측에 적어도 두 개의 흡입 통공(152-2)을 더 구비할 수 있고, 흡입 통공(152-2)을 통해 흡입한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 모터(151)와 팬부(152)의 과열을 방지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an unit 152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suction holes 152-2 on the other side of which the air motor 151 is provided. By using the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15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motor 151 and the fan unit 152 from overheating.

이러한 흡배기부(150)는 에어 모터(151)를 이용하여 연결된 연소부(110)의 제 1 조절 통공(113-1)과 제 2 조절 통공(114-1)을 거쳐 공기를 유입시키고, 연소부(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공기와 함께 분진 제거부(120)와 방열관(130)을 거쳐 배기판(154)의 토출구(154-2)를 통해 외부로 방출한다. The intake and exhaust unit 150 introduces air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adjustment holes 113-1 and 114-1 of the combustion unit 110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air motor 151,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4-2 of the discharge plate 154 via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the heat radiation pipe 130 together with the ai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100)는 제 1 조절 통공(113-1)과 제 2 조절 통공(114-1)을 통해 공기를 조절하여 유입하면서 펠릿을 하향 연소시키며, 유입된 공기량에 의해 펠릿의 연소량을 조절하여 화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난로(100)는 연소부(110)에서의 하향 연소와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는 분진 제거부(120)를 이용하여, 종래에 열과 함께 상향으로 발산하는 분진의 누출을 방지하고 분진의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ir flow through the first adjusting hole 113-1 and the second adjusting hole 114-1 so that the pellet is burnt down while the air i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hermal power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bustion of the pellets by the amount of air that has been supplied. The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downward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unit 110 and the dust removing unit 120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110, Leakage of diverging dust can be prevented and dust trea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펠릿 난로 101: 하우징
102: 펠릿 투입부 110: 연소부
111: 제 1 상부 원통체 112: 제 2 상부 원통체
113: 공기 조절링 113-1: 제 1 조절통공
113-2: 손잡이 114: 중간 원통체
114-1: 제 2 조절통공 114-3: 제 2 가이드공
114-4: 흡입공 115: 하부 원통체
115-3: 제 1 가이드공 116: 점화기
117: 제 1 지지링 118-1: 기저판
118-2: 이격체 118-3: 지지판
119: 제 2 지지링 120: 분진제거부
122: 제 1 분진 가이드판 124: 제 2 분진 가이드판
125: 분진받이 130: 방열관
140: 분리판 150: 흡배기부
151: 에어 모터 152: 팬부
152-2: 흡입 통공 153: 배기관
154: 배기판 154-2: 토출구
157: 거치대
100: Pellet stove 101: Housing
102: pellet charging part 110: combustion part
111: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2: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3: air conditioning ring 113-1: first adjusting vent
113-2: handle 114: intermediate cylinder
114-1: second adjusting aperture 114-3: second guide aperture
114-4: Suction hole 115: Lower cylinder
115-3: first guide ball 116: igniter
117: first support ring 118-1: base plate
118-2: spacing member 118-3: support plate
119: second support ring 120: dust removal agent
122: first dust guide plate 124: second dust guide plate
125: Dust receptacle 130: Heat dissipating tube
140: separator plate 150: intake /
151: Air motor 152:
152-2: Suction through hole 153: Exhaust pipe
154: exhaust plate 154-2: outlet
157: Cradle

Claims (7)

하우징(10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펠릿 투입부(102);
상기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장착된 연소부(110);
상기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분진 제거부(120);
상기 분진 제거부(1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다수 굴곡진 방열관(130); 및
상기 하우징(10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방열관(130)의 상부 단부에 연결 장착된 흡배기부(150);
를 포함하는 펠릿 난로.
A pellet insertion portion 10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1;
A combustion unit 110 connected to the pellet injection unit 102 and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1;
A dust removing unit 120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110;
A plurality of curved heat pipes (13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dust removing unit (120) and having an upward direction; And
A suction and discharge unit 15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1 a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heat radiation pipe 130;
The pellet stove contai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열관(130)의 상부 단부가 관통하는 분리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ng plate (14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1) and through which an upper end of the heat discharging pipe (130)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10)는
상기 펠릿 투입부(102)의 아래에 연결된 제 1 상부 원통체(111);
상기 제 1 상부 원통체(111)의 하부에 맞물려 구비된 제 2 상부 원통체(112);
상기 제 2 상부 원통체(112)의 하부에 맞물려 장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 2 조절 통공(114-1)을 구비한 상부 테두리 링, 하부 일측에 점화기(116)가 관통하는 제 2 가이드공(114-3) 및 측면을 따라 다수 구비된 흡입공(114-4)을 구비한 중간 원통체(114);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에 중첩하고, 상기 제 2 조절 통공(114-1)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조절 통공(113-1)을 다수 구비하며 일측에 손잡이(113-2)를 구비한 공기 조절링(113);
상기 중간 원통체(114)를 둘러싸고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상부 테두리 링의 하부에 걸쳐지고 하부 일측에 제 1 가이드공(115-3)을 구비한 하부 원통체(115);
상기 하부 원통체(115)의 제 1 가이드공(115-3)과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제 2 가이드공(114-3)을 관통하여 구비된 점화기(116);
상기 하부 원통체(115)의 측면에 장착된 제 1 지지링(117);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장착된 기저판(118-1);
상기 기저판(118-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 이격체(118-2);
상기 중간 원통체(114)의 내부에서 상기 이격체(118-2)의 상부에 맞물려 구비된 지지판(118-3); 및
상기 하부 원통체(115)의 하부 테두리에 맞물려 장착된 제 2 지지링(1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unit 110
A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connected under the pellet introduction part 102;
A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2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cylindrical body 111;
An upper rim ring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cylindrical body 112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adjusting holes 114-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intermediate cylinder 114 having a guide hole 114-3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4-4 provided along the side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holes 113-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econd adjusting holes 114-1 are provided on the upp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er 114 and a handle 113-2 is provided on one side, An air conditioning ring (113) having an air inlet (112);
A lower cylindrical body 115 surrounding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im ring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having a first guide hole 115-3 at a lower side thereof;
An igniter 116 provided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115-3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and the second guide hole 114-3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 first support ring 117 mount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A base plate 118-1 fitted to the lower rim of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 separator 118-2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late 118-1;
A support plate 118-3 mesh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118-2 inside the intermediate cylindrical body 114; And
A second support ring 119 fitted to the lower rim of the lower cylindrical body 115;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제거부(120)는 상기 연소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removing unit (120)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to enclose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1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제거부(120)는
하부에 서랍 형태로 구비된 분진받이(125);
일측면에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분진 가이드판(122);
상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의 아래에 이격되고, 상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의 하부면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분진 가이드판(124); 및
상기 제 1 분진 가이드판(122)과 제 2 분진 가이드판(124) 사이의 측면에 상기 방열관(130)과 연결된 연통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ust removing unit 120
A dust collector 125 provided in a lower portion in a drawer shape;
A first dust guide plate (122) inclined downward on one side;
A second dust guide plate (124) spaced below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inclined in a direc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A communicating tube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ng tube (130) at a side surface between the first dust guide plate (122) and the second dust guide plate (124);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부(150)는
상기 방열관(130)이 일측에 연결된 팬부(152);
상기 팬부(152)의 타측에 구비된 에어 모터(151);
상기 팬부(152)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101)의 타측을 관통하는 배기관(153);
상기 배기관(153)의 상부에 다수의 토출구(154-2)를 구비한 배기판(1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ake /
A fan part 15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 radiating tube 130;
An air motor 15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n unit 152;
An exhaust pipe 153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1 at an upper portion of the fan unit 152;
An exhaust plate 154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54-2 at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pipe 153;
≪ / RTI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152)는 상기 에어 모터(151)를 구비한 타측에 적어도 두 개의 흡입 통공(152-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n unit (152) further comprises at least two suction holes (152-2)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motor (151).
KR1020170035918A 2017-03-22 2017-03-22 pellet stove KR201801075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18A KR20180107523A (en) 2017-03-22 2017-03-22 pellet st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18A KR20180107523A (en) 2017-03-22 2017-03-22 pellet sto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23A true KR20180107523A (en) 2018-10-02

Family

ID=6386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918A KR20180107523A (en) 2017-03-22 2017-03-22 pellet sto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52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71A (en) 2019-11-28 2021-06-07 (주) 한성스틸 Pellet Stove For Reduction Time Of First Ignition
KR102366314B1 (en) 2020-11-20 2022-02-23 (주) 한성스틸 Pellet Stove For Reduction Time Of First Ignition and preheat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71A (en) 2019-11-28 2021-06-07 (주) 한성스틸 Pellet Stove For Reduction Time Of First Ignition
KR102366314B1 (en) 2020-11-20 2022-02-23 (주) 한성스틸 Pellet Stove For Reduction Time Of First Ignition and preheating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564B2 (en) Combustion furnace
KR101291402B1 (en) Wood pellet stove
KR20150060137A (en) Stove air circulation system
KR20180107523A (en) pellet stove
EP2821698A1 (en) Secondary tube combustion chamber located in the primary combustion chamber of a solid biofuel gasification boiler
KR101231948B1 (en) Sealed double burner
KR200486674Y1 (en) Stove
KR101849395B1 (en) Pellet stove
JP3218622U (en) Wood pellet primary combustion device and wood pellet combustion device combining it with a heater body
KR101224417B1 (en) Pellet stove
KR101474763B1 (en) Heater for camping
KR20140118362A (en) Pellet stove type heating
KR102483061B1 (en) Pellet Stove with Natural Exhaust Gas Emission
KR101650807B1 (en) Pellet combustion device
KR20110020977A (en) Wood pellet far infrared ray heater
CN113208460A (en) Cooking apparatus with heat sources in a stacked arrangement
KR100786072B1 (en) Gas Range of Radiation Heating Type
CN217584543U (en) Wood particle combustion fireplace
JP2018200158A (en) Combustion apparatus and combustion method
JP2004049279A (en) Smokeless roaster for charcoal grilling
KR102176942B1 (en) Combustion device for stove
KR200452565Y1 (en) brazier apparatus for roast using corns as fuel
JP2010230186A (en) Pellet stove and combustion case for firewood used for the same
US20220268445A1 (en) Cabinet circulator solid fuel heater combustion system
KR20180075823A (en) Combus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