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462A - 서랍장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서랍장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462A
KR20180107462A KR1020170035783A KR20170035783A KR20180107462A KR 20180107462 A KR20180107462 A KR 20180107462A KR 1020170035783 A KR1020170035783 A KR 1020170035783A KR 20170035783 A KR20170035783 A KR 20170035783A KR 20180107462 A KR20180107462 A KR 20180107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drawer
lock
hol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314B1 (ko
Inventor
김준상
Original Assignee
김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상 filed Critical 김준상
Priority to KR102017003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31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서랍을 포함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서랍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서랍 브라켓(111); 상기 서랍 브라켓과 결합하여 서랍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서랍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가이드부(120); 및 상기 가이드부(120)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120)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텐션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텐션부(130)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12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최대값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힘의 최대값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랍장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Drawer}
본 발명은 서랍장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장의 무게 중심이 과도하게 옮겨져서 서랍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서랍으로 이루어진 서랍장의 경우, 여러 개의 서랍이 한꺼번에 열려 있을 겨우 무게 중심이 변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여러 개의 서랍을 한꺼번에 열고 매달리는 장난을 치는 경우가 많은데, 서랍장의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있는 상태에서 장난을 치는 아이쪽으로 서랍장이 넘어져 아이가 사망하는 사고가 실제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랍장의 뒷 부분을 벽에 고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서랍장 설치를 위하여 벽에 고정용 구멍을 내야하므로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지 아니한다.
근래들어 하나의 서랍을 열면 나머지 서랍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개념을 채용한 서랍장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서랍이 열리는 경우는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무게 중심의 과도한 이동을 막을 수 있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방식의 서랍장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가구 비용의 과도한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랍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서랍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이 부가되어 서랍을 열고 닫는 작동이 정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67096호(등록공고일: 2007.10.17.) 일본 등록특허 제5794429호(발행일:2015.10.1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서랍이 열리고 닫히는 동작이 정확하고, 사용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서랍을 포함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서랍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서랍 브라켓(111); 상기 서랍 브라켓과 결합하여 서랍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서랍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가이드부(120); 및 상기 가이드부(120)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120)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텐션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텐션부(130)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12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최대값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힘의 최대값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120)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힘은 상기 복수 개의 서랍들 중 하나를 열기위하여 당기거나, 닫기 위하여 위하여 미는 것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텐션부(130)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으로 힘을 받는 슬라이딩 바(133);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되, 상기 가이드부(120)에 연결된 텐션 돌기부(124); 및 상기 슬라이딩 바(133) 및 상기 텐션 돌기부(124)를 링크 결합시키는 텐션 링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력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여 얻어지되, 상기 슬라이딩 바(133)가 상기 텐션 돌기부(124)의 이동 경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탄성력이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텐션부(130)는 텐션 브라켓(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텐션 브라켓(131)에는 수직 방향의 장공인 제1 텐션 홀(135)과 수평 방향의 장공인 제2 텐션홀(136)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바(133)의 양단은 상기 제2 텐션 홀(136)을 관통하고, 상기 텐션 돌기부(124)의 양단은 상기 제1 텐션홀(135)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0)의 상단에는 로크부(140)가 구비되되, 상기 로크부(140)는, 로크 링크(142); 상기 로크 링크(142)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로크 돌기부(123); 상기 상기 로크 링크(142)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143); 및 상기 로크 링크(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형의 힌지홀(148)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힌지홀(148)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는 힌지바(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크부(140)는 로크 브라켓(141)을 더 포함하되, 상기 로크 브라켓(141)에는 수직 방향의 장공인 제1 로크홀(145) 및 원형인 제2 로크홀(146)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돌기부(123)의 양단은 상기 제1 로크홀(145)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힌지바(144)의 양단은 상기 제2 로크홀(146)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서랍 브라켓(111)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111a)과, 상기 걸림홈(111a)의 하단부와 연결되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111b)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이동 돌기부(122)가 상기 걸림홈(111a)또는 상기 이동홈(111b)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걸림홈(111a)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걸림홈(111a)과 상기 이동홈(111b)이 연결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서랍들(110) 중 하나를 당기게 되면 상기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이동홈(111b)을 따라 움직이고, 그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서랍장용 안전 장치가 협소한 공간의 서랍장 측면, 즉 서랍장 본체와 서랍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주로 설치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용 안전 장치는 서랍장의 후단부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서랍장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랍장을 자동으로 잠그는 과정에서 탄성수단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서랍장의 잠금 동작 및 열림 동작이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서랍장용 안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용 안전 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든 서랍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서랍장용 안전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서랍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서랍장용 안전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열리고 있는 서랍에 설치된 서랍 브라켓과 이동 돌기부의 움직임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나의 서랍이 열리는 과정에서, 나머지 닫혀 있는 서랍에 설치된 서랍 브라켓과 이동 돌기부의 움직임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로크부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텐션부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여러 서랍들 중 하나의 서랍이 열리는 과정에서 텐션부에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바와 텐션 돌기부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용 안전 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을 도시한 것이다. 서랍장은 서랍장 본체(100)와 다수 개의 서랍장(110)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용 안전 장치는 서랍장의 뒷 부분에 설치되며, 서랍장의 전면부는 외관면에서 일반적인 서랍장과 차이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용 안전 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의 후면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자용 안전 장치는, 크게 가이드부(120), 상기 가이드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텐션부(130),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20)의 타단에 형성된 로크부(140)로 이루어지는데, “텐션부”라는 표현은 가이드부(120)의 움직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는 의미로, “로크부”라는 표현은 서랍의 움직임을 로킹(locking)할 수 있다, 즉 서랍이 열리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랍장의 본체(100)는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복수 개의 서랍들(111) 모두가 닫혀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가이드부 및 서랍 브라켓의 구성 및 기능]
우선 가이드부(120)는 복수 개의 서랍(110)을 가로질러 수직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가이드바(121)를 포함하는데, 가이드바(121) 측면에는 서랍들(111)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이동 돌기부(122)가, 각각의 서랍들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바(121)의 상부에는 로크 돌기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바(122)의 하부에는 텐션 돌기부(1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돌기부들(122,123,124)의 기능은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돌기부들(122,123,124)은 가이드바(121)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지만 가이드바(122)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위 관통공에 기둥 형태의 부품을 끼워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돌기부들은 상기 가이드바(121)에 강체 결합되므로, 이들 돌기부들 중 하나만 움직여도 나머지 돌기부들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움직이게 된다.
서랍들(110)의 후면에는 서랍 브라켓(111)이 나사 체결 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데, 서랍 브라켓(111)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위 홈의 형상을 살펴보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111a)의 하단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111b)의 하단이 서로 이어져 있는데, 도 4와 같이 모든 서랍들(11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 돌기부(122)가 상기 가이드홈(111a)과 상기 걸림홈(111b)이 연결되는 부분(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도 6(a) 참조). 이 경우 가이드바(120)는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나의 서랍(110)을 열게 되면, 위 서랍(110)에 부착된 서랍 브라켓(111) 역시 위 서랍(110)과 같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 때 돌기부(122) 및 가이드바(121)의 수평 위치는 변동되지 않으므로 이동 돌기부(122)는 가이드홈(111a)의 경사진 부분과 부딪혀서 경사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도 6(b) 및 (c)참조). 도 6에서 서랍 브라켓(111)은 고정되고 이동 돌기부(122)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브라켓(111)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고(도 6 상에 화살표로 움직임 방향 표시됨), 이동 돌기부(122)는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이동 돌기부들(122)은 가이드바(121)에 강체 결합되어 있으므로, 나머지 이동 돌기부들(122) 역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부(120)는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은 하나의 서랍이 열렸을 때, 열리지 않은 나머지 서랍에 부착된 서랍 브라켓(111)과 이동 돌기부(122)의 움직임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열린 서랍과는 다르게 이동 돌기부(122)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여서 서랍 브라켓(111)의 걸림홈(111b)에 위치하게 된다(도 7(b) 및 (c)참조). 이러한 상태, 즉 가이드부(12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다른 서랍을 열려고 하면 서랍 브라켓(111)이 이동 돌기부(122)에 걸리게 되어 서랍이 열리지 않게 된다. 도 5에도 이동 돌기부(122)가 서랍 브라켓(111)에 걸려서 서랍이 움직일 수 없게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 텐션부의 구성 및 기능 ]
텐션부(130)는 가이드부(120)가 특정 위치(특히, 제1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자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즉, 도 6 및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돌기부(122)의 위치가 변동된 상태에서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는다면, 이동 돌기부(122) 및 이와 연결된 가이드바(121)는 그 자중 때문에 변동된 위치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텐션부(130)는 가이드바(121)의 일단에 연결되어, 가이드바(121)가 낮은 위치(제2 위치)에 있으면 낮은 위치에 있는 대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가이드바(121)가 높은 위치(제1 위치)에 있으면(서랍 중 하나가 열려서, 나머지 서랍이 잠긴 상태) 높은 위치에 있는 대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힘(텐션)을 부가한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텐션부(13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텐션부(130)는 텐션 브라켓(131)과, 위 텐션 브라켓(131)에 설치된 탄성부(132), 상기 탄성부(132)에 의하여 가해진 힘에 의하여 움직이려 하는 슬라이딩 바(133), 상기 슬라이딩 바(133)와 가이드부의 텐션 돌기부(124)를 링크 결합시키는 텐션 링크부(134)를 포함한다.
텐션 브라켓(131)의 하단부는 나사 등에 의하여 서랍장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고, 텐션 브라켓(131)의 측면부에는 제1 텐션홀(135)과 제2 텐션홀(136)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텐션홀(135)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즉, 수평 방향 직경이 수직 방향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장공이고, 제2 텐션홀(136)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즉, 수직 방향 직경이 수평 방향 직경보타 크게) 형성된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텐션홀(135)에는 슬라이딩 바(133)의 양단이 걸려있어 슬라이딩 바(133)가 수평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속되고, 제2 텐션홀(136)에는 텐션 돌기부(124)가 걸려 있어 텐션 돌기부(124)가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구속된다. 그리고 탄성부(132)는 상기 슬라이딩바(133)에 힘을 가하도록 하는데, 힘의 방향은 제2 텐션홀(136) 쪽을 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132)로서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힘을 발생시키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이용될 수 있을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딩 바(133)와 텐션 돌기부(124)는 텐션 링크부(13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탄성부(132)에 의하여 슬라이딩 바(133)에 가해지는 힘은 텐션 돌기부(124)의 움직임, 다시 말하자면 가이드바(121)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슬라이딩 바(133)와 텐션 돌기부(124)의 움직임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a)에 도시된 상태는 텐션 돌기부(124)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즉 가이드부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서랍들 중 하나가 열려서 나머지 서랍이 잠긴 상태인데, 이 때 슬라이딩 바(133)는 제1 텐션홀(135) 내에서 제2 텐션홀(136)과 가장 가까운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도 10(a) 참조).
그리고 서랍을 닫는 힘에 의해 텐션 돌기부(124)가 하방으로 움직이면서 제2 텐션홀(136)의 중간 부분을 지날 무렵 슬라이딩 바(133)는 제1 텐션홀(135) 내에서 제2 텐션홀(136)과 가장 먼 자리에 위치하게 되고(도 10(b) 참조), 다시 텐션 돌기부(124)가 제2 텐션홀(136)의 가장 아래 부분에 위치하게 될 때 슬라이딩 바(133)는 제1 텐션홀(135) 내에서 제2 텐션홀(136)과 가장 가까운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도 10(c) 참조). 이때 탄성부에 의해 가해지는 힘(즉, 움직임에 저항하는 힘)은 도 10(a)에서 도 10(b)의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 점점 커지다가, 도 10(b)에서 도 10(c) 상태로 될 때는 탄성력이 도리어 텐션 돌기부(124)가 제2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므로, 도 10(b)에서 도 10(c) 상태로의 변화는 가하는 힘이 없어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텐션 돌기부(124)와 슬라이딩 바(133)의 위치 관계 및 힘의 관계는 이들이 텐션 링크부(134)에 의하여 링크 결합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제1 텐션홀(135)과 제2 텐션홀(136)의 형상을 고려하면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바(133)의 위치를 고려하면 도 10(a)와 도 10(c) 상태에서는 탄성부(132)의 힘이 비교적 작은데 반하여, 도 10(b)의 상태에서는 탄성부(132)의 힘이 위 두 상태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10(a)의 상태에서 도 10(c)의 변하거나, 도 10(c)에서 도 10(a)의 상태로 변하기 위해서는 탄성부(132)가 도 10(b) 상태에서 가하는 최대 힘(움직임에 저항하는 힘)을 이길 수 있어야 하므로 도 10(a)와 도 10(b)의 상태가 조절로 옮겨지는 상태는 발생하지 아니하고, 탄성부(132)가 슬라이딩 바(133)에 가하는 최대 장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텐션 돌기부(124)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최대 힘 이상의 힘은 사용자가 서랍을 당겨서 열 때, 또는 서랍을 밀어서 닫을 때 가해지는 힘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텐션부(130)의 존재로 인하여, 가이드바(121) 및 위 가이드바(121)에 부착된 이동 돌기부(122)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로킹부의 구성 및 기능]
가이드바(121)의 일단에 텐션부(130)가 구비되어 있다면, 가이드바(121)의 타단에는 로크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로크부(140)는 어떠한 서랍도 열리지 않도록 모든 서랍들을 잠그는 기능을 가진다.
도 8을 참조하여 로크부(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로크부(140)는 로크 브라켓(141), 가이드바(113)에 형성된 로크 돌기부(113), 로크 링크부(142) 및 손잡이(143)를 포함한다.
상기 로크 링크부(142)의 일단은 로크 돌기부(123)에 링크 결합되고, 로크 링크부(142)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크 링크부(142)의 중간 부분에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힌지홀(148)이 형성되어 있는데, 위 힌지홀(148)에는 힌지바(144)가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로크 브라켓(141)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즉, 수직 방향 직경이 수평 방향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장공인 제1 로크홀(145)과 원형인 제2 로크홀(1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1 로크홀(145)에는 로크 돌기부(113)가 끼워져 로크 돌기부(113)가 수직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리고 힌지바(144)의 양단은 제2 로크홀(146)에 끼워지게 되는데, 힌지바(144)를 중심으로 로크 링크(142)는 회동하게 된다.
위 손잡이(143)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로크 링크(142)는 힌지바(14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로크 돌기부(113)가 수직 방향 상방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로크 돌기부(113)는 가이드바(121)에 결합되어 있어 모든 이동 돌기부(122)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서랍 브라켓(111)의 걸림홈(111b)에 걸리게 되므로, 어떠한 서랍도 열리지 않게 된다. 손잡이(143)를 위로 올리게 되면 로킹 상태가 해제됨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위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20)의 하단에 텐션부(130)가, 상단에 로크부(14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위치가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손잡이는 아이들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위 실시예와 같이 서랍장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 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 서랍장 본체 110 : 서랍
111 : 서랍 브라켓 111a: 이동홈
111b: 걸림홈 120 : 가이드부
121 : 가이드바 122 : 이동 돌기부
123 : 로크 돌기부 124 : 텐션 돌기부
130 : 텐션부 131 : 텐션 브라켓
132 : 탄성부 133 : 슬라이딩 바
134 : 텐션 링크부 135: 제1 텐션홀
136: 제2 텐션홀 140: 로크부
141: 로크 브라켓 142: 로크 링크부
143: 손잡이 144: 힌지바
145: 제1 로크홀 146: 제2 로크홀
148: 힌지홀

Claims (9)

  1. 복수 개의 서랍들을 포함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서랍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서랍 브라켓(111);
    상기 서랍 브라켓과 결합하여 서랍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서랍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가이드부(120); 및
    상기 가이드부(120)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부(120)가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텐션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텐션부(130)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12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크기는,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최대값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힘의 최대값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0)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힘은 상기 복수 개의 서랍들 중 하나를 열기위하여 당기거나, 닫기 위하여 위하여 미는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130)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으로 힘을 받는 슬라이딩 바(133);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되, 상기 가이드부(120)에 연결된 텐션 돌기부(124); 및
    상기 슬라이딩 바(133)와 상기 텐션 돌기부(124)를 링크 결합시키는 텐션 링크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하여 얻어지되, 상기 슬라이딩 바(133)가 상기 텐션 돌기부(124)의 이동 경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탄성력이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130)는 텐션 브라켓(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텐션 브라켓(131)에는 수평 방향의 장공인 제1 텐션 홀(135)과 수직 방향의 장공인 제2 텐션홀(136)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바(133)의 양단은 상기 제1 텐션 홀(135)을 관통하고, 상기 텐션 돌기부(124)의 양단은 상기 제2 텐션홀(136)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0)의 상단에는 로크부(140)가 구비되되, 상기 로크부(140)는,
    로크 링크(142);
    상기 로크 링크(142)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로크 돌기부(123);
    상기 상기 로크 링크(142)의 타단에 결합된 손잡이(143); 및
    상기 로크 링크(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홀(148)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바(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140)는 로크 브라켓(141)을 더 포함하되, 상기 로크 브라켓(141)에는 수직 방향의 장공인 제1 로크홀(145) 및 원형인 제2 로크홀(146)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돌기부(123)의 양단은 상기 제1 로크홀(145)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힌지바(144)의 양단은 상기 제2 로크홀(146)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랍 브라켓(111)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111a)과, 상기 걸림홈(111a)의 하단부와 연결되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111b)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걸림홈(111a) 또는 상기 이동홈(111b)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걸림홈(111a)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걸림홈(111a)과 상기 이동홈(111b)이 연결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서랍들(110) 중 하나를 당기게 되면 상기 이동 돌기부(122)는 상기 이동홈(111b)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가이드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용 안전 장치.
KR1020170035783A 2017-03-22 2017-03-22 서랍장용 안전 장치 KR10190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783A KR101905314B1 (ko) 2017-03-22 2017-03-22 서랍장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783A KR101905314B1 (ko) 2017-03-22 2017-03-22 서랍장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462A true KR20180107462A (ko) 2018-10-02
KR101905314B1 KR101905314B1 (ko) 2018-10-05

Family

ID=6386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783A KR101905314B1 (ko) 2017-03-22 2017-03-22 서랍장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921B1 (ko) * 2020-06-19 2020-08-27 유연순 개방외 서랍에 대한 자동 걸림수단이 구비된 서랍장
KR102178513B1 (ko) * 2020-09-08 2020-11-13 민광표 안전 잠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558A (en) 1974-02-19 1975-06-10 Sunar Ltd Lock and interlock mechanism
JP4807779B2 (ja) 2006-01-11 2011-11-02 共栄工業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KR200437406Y1 (ko) * 2006-12-11 2007-11-29 박승부 서랍 안전인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921B1 (ko) * 2020-06-19 2020-08-27 유연순 개방외 서랍에 대한 자동 걸림수단이 구비된 서랍장
KR102178513B1 (ko) * 2020-09-08 2020-11-13 민광표 안전 잠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314B1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922B1 (ko) 안전 서랍장
CN110036170B (zh) 用于防止家具倾翻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家具
KR101905314B1 (ko) 서랍장용 안전 장치
US20030048050A1 (en) Cabinet latch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20160015907A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2013530801A (ja) 排出装置及び引出し装置
JP2013087602A (ja) スライド蝶番及びスライド蝶番を備えた収納体
JP5914557B2 (ja) 係止部材、戸当たり、及びロッド係止機構
KR102115978B1 (ko) 양측이 개방되는 가구용 폴딩도어 장치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JP6973706B2 (ja) カバー開閉装置
TWI476318B (zh) 緩衝鉸鍊
JP2018204209A (ja) 扉体開閉装置並びにこの扉体開閉装置を備えた各種キャビネット
US10794602B2 (en) Cooking appliance
KR102241844B1 (ko) 가구 서랍의 풀아웃 가이드 고정용 홀더
US20100253193A1 (en) Lateral File Drawer And Anti-Tip Device
JP5307432B2 (ja) フラップ扉付キャビネット
KR200234001Y1 (ko) 서랍장의 서랍 반자동 개폐장치
EP3785568B1 (en) Engagement assembly, sliding rail mechanism having same, drawer, refrigerator
JP5955641B2 (ja) 耐震安全装置
EP3155930B1 (en) Dampened opening guide for sliding parts of furniture, such as drawers or the like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KR102139374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