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41A -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41A
KR20180106541A KR1020170035035A KR20170035035A KR20180106541A KR 20180106541 A KR20180106541 A KR 20180106541A KR 1020170035035 A KR1020170035035 A KR 1020170035035A KR 20170035035 A KR20170035035 A KR 20170035035A KR 20180106541 A KR20180106541 A KR 2018010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current
un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096B1 (ko
Inventor
박충섭
노태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96B1/ko
Priority to US15/710,628 priority patent/US9944218B1/en
Priority to DE102017218247.4A priority patent/DE102017218247A1/de
Priority to CN201710956781.5A priority patent/CN108633146B/zh
Publication of KR2018010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05B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95Linear regulators
    • H05B45/397Current mirr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류 제어 장치는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와,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와 기준 신호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Current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램프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차량의 모든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부는 조명 기능뿐 아니라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조명부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램프는 원거리, 근거리, 후방을 조명하는 조명용과, 제동, 선회방향, 비상상황을 알리는 신호용과, 차폭, 차체 높이, 번호판 조명, 주차 중임을 표시하는 표시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러스터에는 브레이크 경고등 및 시트벨트 경고등, ABS(Anti-lock Brake System) 경고등, TCS(Traction Control System) 경고등, 그리고 기타 차량 내 부속 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경고상태 등을 표시하는 조명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센터페시아에는 오디오, 공기 조화기, 비상등과 같은 각종 기기의 조작 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조작 버튼들에는 야간 주행 시 또는 터널이나 주차장 주행 시, 운전자의 시각적 인지를 위한 조명부가 내장되어 있다.
차량은 내부 조명부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레오스타트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식으로 저항 방식, 리니어 제어 방식, 스위칭 제어 방식이 있다.
이 중 저항 방식은 회로가 단순하고 설계 원가가 낮으나 정전류 제어가 불가하여 조명부의 밝기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방식은 전압 변동에도 조명부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설계를 변경함으로써 조명부의 램프의 수량과 전류 변화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회로가 복잡하고 설계원가가 높으며 전자기파에 약한 단점이 있다.
리니어 방식은 전압 변동에도 조명부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단순한 회로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조명부의 램프 1개당 공급할 수 있는 전류값이 정해져 있고 발열이 심하여 충분한 PCB면적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 원가를 줄이면서 조명부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 제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 측면은 넓은 전류 범위를 갖는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램프의 일정한 오차율 이내의 정전류에 대응하는 출력핀에 자동으로 램프를 연결하는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와,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와 기준 신호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기준 신호 발생부는 제1기준 저항과, 제1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기준 저항과, 제2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기준 전류 설정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기준 신호는 제1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1기준 신호와, 제2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제1기준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출력 신호 궤환부는 제1션트 저항과, 제1션트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션트 저항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는, 제1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제2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제1션트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출력 궤환 신호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신호 선택 절환부는 제1기준 신호와 제2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연결하는 제1신호 선택부와,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제2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비교부의 제2입력단에 연결하는 제2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복수 개의 출력핀은 제1전류를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제1전류보다 크기가 작은 제2전류를 출력하는 제2출력핀을 포함하고, 제1 신호 선택부는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기준 신호를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고,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2기준 신호를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며, 제2 신호 선택부는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고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2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비교부는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1기준 신호의 전압과,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1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고,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2기준 신호의 전압과,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2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제1전류에 대응하는 제1기준 전류와, 제2 전류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기준 전류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제1 신호 선택부와 제2 신호 선택부에 연결되고, 제1 신호 선택부와 제2신호 선택부의 절환 상태를 변경하는 설정핀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기준 전류 설정부는 제1기준 전류 및 제2기준 전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가진 설정 저항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램프; 램프에 연결되고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와,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와 기준 신호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램프가 연결된 출력 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기준 신호 발생부는, 제1기준 저항과, 제1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기준 저항과, 제2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기준 전류 설정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제1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기준 신호와, 제2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제1기준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출력 신호 궤환부는 제1션트 저항과, 제1션트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션트 저항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는, 제1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제2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제1션트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출력 궤환 신호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신호 선택 절환부는 제1기준 신호와 제2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는 제1신호 선택부와,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제2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비교부의 제2입력단에 전달하는 제2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복수 개의 출력핀은 제1전류를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제1전류보다 크기가 작은 제2전류를 출력하는 제2출력핀을 포함하고, 제1 신호 선택부는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기준 신호를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고,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2기준 신호를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며, 제2 신호 선택부는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출력 궤환신호를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고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2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비교부는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1기준 신호의 전압과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1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고,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2기준 신호의 전압과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2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제1전류에 대응하는 제1기준 전류와, 제2 전류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기준 전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기준 전류 설정부는 제1기준 전류 및 제2기준 전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가진 설정 저항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제1 신호 선택부와 제2 신호 선택부에 연결되고, 제1 신호 선택부와 제2신호 선택부의 절환 상태를 변경하는 설정핀을 더 포함하고, 설정 핀이 상태가 오픈 상태이면 제1 신호 선택부와 제2신호 선택부가 제1절환 상태로 변경되고, 설정 핀이 상태가 그라운드 상태이면 제1 신호 선택부와 제2신호 선택부가 제2절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제1출력핀과 제2출력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선택부;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설정핀을 오픈 상태로 제어하고, 출력 선택부를 제어하여 램프가 제1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하고, 검출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설정 전류보다 크면 설정핀과 출력 선택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하고, 검출된 전류가 설정 전류 이하이면 설정핀의 상태를 그라운드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출력 선택부를 제어하여 램프가 제2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의 제어부는 비교부의 비교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는 조명부; 복수 개의 램프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류 제어 장치를 갖는 구동부; 복수 개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동작 명령을 구동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구동부의 각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동작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램프가 연결된 어느 하나에 출력 핀의 출력 궤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출력 궤환 신호에 기초하여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램프를 대 전류로 제어할 때 전류 제어 장치의 내부 저항값을 작게 하여 전압 강하가 감소되도록 하고, 램프를 소 전류로 제어할 때 전류 제어 장치의 내부 저항값을 크게 하여 전류 오차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정전류 제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류 제어 장치의 내부 전압 강하를 줄임으로써 내부의 발열을 줄일 수 있으며 발열 감소로 인해 출력 가능한 전류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 가능한 전류값 증가에 따라 출력 가능한 전류값의 범위를 넓힐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 가능한 전류값의 범위가 넓고 정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램프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회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의 플랫폼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램프의 전류 제어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전면에 마련된 조명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후면에 마련된 조명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와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조명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명 제어 장치의 구동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전류 조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제 1출력핀에 램프가 연결되었을 때 전류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제 2출력핀에 램프가 연결되었을 때 전류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 예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전면에 마련된 조명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후면에 마련된 조명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의 예시도이며,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와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조명부의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및 전후좌우 도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라스(117)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 윈도우 글라스(1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차량의 모든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부(120)는 조명 기능뿐 아니라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한다.
조명부(120)는 차량의 외장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램프는 원거리, 근거리, 후방을 조명하는 조명용 램프와, 제동, 선회방향, 비상상황을 알리는 신호용 램프와, 차폭, 차체 높이, 번호판 조명, 주차 중임을 표시하는 표시용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2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장의 전면에 마련된 복수의 램프는, 도로를 비추는 헤드 램프(121)와, 광선이 도로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갓길을 비추어 안개가 끼었을 때 운전자가 방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포그 램프(122)와, 차량의 폭의 경계를 표시하는 사이드 램프(123a)와, 차량의 방향을 변경할 때나, 방향 변경을 신호하기 위한 방향 지시 램프(124a)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램프(121)는 장거리(대략 100m)의 도로를 비추는 하이빔 램프(121a)와, 단거리(대략 30m)의 도로를 비추는 로우 빔 램프(121b)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장의 후면에 마련된 복수의 램프는, 차량의 폭의 경계를 표시하는 사이드 램프(123b)와, 차량의 방향을 변경할 때나, 방향 변경을 신호하기 위한 방향 지시 램프(124b)와, 헤드 램프(121)의 온 동작 시에 자동으로 온 동작되는 테일 램프(미등, 125)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했을 때 후방의 차량에게 제동을 경고하는 제동 램프(126a)와, 후진할 때 후방의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백업 램프(127)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외장의 후면에 마련된 조명부(120)는, 후면의 리어 윈도우 글라스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했을 때 후방의 차량에게 제동을 경고하는 제동 램프(126b)와, 차량의 번호판에 빛을 비추는 번호판 램프(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20)는 차량의 외장의 전면에 마련되되 사이드 미러(119)의 앞면에 배치된 보조 램프(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램프(129)는 사이드 미러에 마련되고 제동 또는 선회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일 수도 있고, 차폭을 표시하기 위해 사이드 미러(119)에 추가적으로 마련된 발광다이오드(LED)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각 램프는 차량 전면 및 후면의 좌우에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3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31: 131a, 131b)와, 대시 보드(13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안내하는 클러스터(즉, 계기판, 133)와,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34)과, 오디오 장치와 공기조화기의 조절판이 있는 센터 페시아(135)를 포함한다.
센터 페시아(135)에는 오디오 장치, 공기 조화기, 블루투스 장치 및 시트의 열선 등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136)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내장에도 내장용 조명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장에 마련된 내장용 조명부(140)는 클러스터(133)와 헤드 유닛(136)에 마련된 복수의 램프를 포함한다.
클러스터(133)는 냉각수 온도계 표시 램프, 연료계 표시 램프, 방향 지시 램프, 하이 빔 표시 램프, 경고 램프, 안전벨트 경고 램프,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 램프, 도어 열림 경고 램프, 엔진 오일 경고 램프, 연료부족 경고 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클러스터(133)는 타코미터의 문자 표시 램프, 속도계 문자 표시 램프 등과 같은 문자 조명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36)은 오디오 장치, 공기 조화기 및 시트의 열선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조작 버튼(136a)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36)은 복수의 조작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 버튼에 마련되고, 각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 램프(141)를 포함하고, 복수의 조작 버튼에 각각 마련되고 각 조작 버튼에 새겨진 문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빛을 출력하는 문자 조명 램프(14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능의 동작 상태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포함하고, 이때 동작 램프는 기능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외장에 마련된 헤드 램프, 포그 램프, 방향 지시 램프의 온 동작을 지시하고, 오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램프 레버(139)를 더 포함한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 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의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은 오디오 장치, 조명부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아울러 차량의 외장과 내장에 마련된 조명부의 각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LED 또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조명 제어 장치(2)는 조명부(120), 전원부(150), 입력부(160), 검출부(170), 제어부(180), 구동부(190)를 포함한다.
조명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램프는 차량의 외장에 마련된 램프일 수도 있고, 차량의 내장에 마련된 램프일 수도 있다.
아울러 램프는 LED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LED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된 LED 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부(150)는 배터리(미도시)에 연결되고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력을 내부 구성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각 구성부에 제공한다.
전원부(150)는 상용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입력부(160)는 램프의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자동 온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60)는 센터페시아 또는 헤드유닛에 마련된 버튼일 수도 있고, 램프 레버(139)일 수도 있다.
검출부(170)는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을 검출하는 가압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60)를 통해 램프 온 명령이 입력되면 구동부(190)에 램프 온 명령을 전송하고, 자동 온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검출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이면 구동부(190)에 램프 온 명령을 전송하고 검출된 조도가 기준 조도를 초과하면 구동부(190)에 램프 오프 명령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조명부의 램프가 헤드 램프이면 헤드 램프의 온 명령을 전송하고, 조명부의 램프가 방향 지시 램프이면 방향 지시 램프의 온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60)를 통해 램프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구동부(190)에 램프 오프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조명부의 램프가 제동 램프이면 가압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여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었다고 판단되면 구동부(190)에 램프 온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램프에 인가될 정전류의 용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 선택 명령을 구동부(190)의 전류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180)는 설정된 정전류의 용량에 기초하여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180a)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80a)는 구동부의 전류 제어 장치의 설정핀에 연결될 수 있고, 설정된 정전류의 용량에 대응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신호를 전류 제어 장치의 설정핀을 통해 전류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제1 전류와 제2전류를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을 때, 설정부(180a)는 통신부(미도시) 또는 별도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어느 하나의 전류의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설정된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신호를 구동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류가 설정되었을 때 신호 선택 절환부가 제1절환 상태이어야 하고, 제2전류가 설정되었을 때 신호 선택 절환부가 제2절환 상태이어야 하면, 설정부(180a)는 설정된 정전류가 제1전류이면 구동부에 제1절환 신호를 전송하고, 설정된 전류가 제2전류이면 구동부에 제2절환 신호를 전송한다.
설정부(180a)는 전류 제어 장치의 설정핀을 통해 신호 선택 절환부에 스위치의 절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설정부(180a)는 설정핀과 신호 선택 절환부의 연결 구성에 기초하여 설정핀의 설정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상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정부(180a)는 설정핀의 상태가 그라운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 선택 절환부가 제1절환 상태가 되도록 하고, 설정핀의 상태가 오픈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 선택 절환부가 제2절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부(180a)는 설정핀의 상태를 오픈 상태 또는 그라운드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픈 상태는 회로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며, 그라운드 상태는 그라운드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구동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정전류를 전달한다.
여기서 정전류의 용량은 조명부에 마련된 램프의 기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90)는 집적 회로(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한다.
이 집적회로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용량의 복수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고, 램프 구동을 위해 복수의 전류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190)는 조명부에 마련된 램프의 수에 대응하는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명부의 램프의 수와 전류 제어 장치의 수는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전류 제어 장치에서 출력 가능한 전류의 용량은 조명부에 마련된 램프의 기능에 따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즉 구동부(190)는 복수 개의 램프의 전류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부(120)는 테일 램프(미등, 125)인 제1램프와, 제동 램프(126a)인 제2램프와, 백업 램프(127)인 제3램프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고, 제1램프, 제2램프 및 제3램프 중 제1램프의 밝기가 가장 어둡고 제3램프의 밝기가 가장 밝다고 가정한다.
구동부(190)는 제1램프(125)를 제어하기 위한 제1전류 제어 장치(190a), 제2램프(126a)를 제어하기 위한 제2전류 제어 장치(190b), 제3램프(127)를 제어하기 위한 제3전류 제어 장치(190c)를 포함한다.
제1전류 제어 장치(190a)는 제1램프(125)의 밝기를 제1밝기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1전류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제1전류의 크기가 제1전류크기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제1전류 제어 장치(190a)는 서로 다른 용량의 복수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고, 복수의 전류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류 제어 장치의 복수의 출력핀 중 제1램프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정전류에 대응하는 제1전류를 출력하는 출력핀에 제1램프가 연결될 수 있다.
제2전류 제어 장치(190b)는 제2램프(126a)의 밝기를 제2밝기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2전류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제2전류의 크기가 제2전류크기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제2전류 제어 장치(190b)는 서로 다른 용량의 복수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고, 복수의 전류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전류 제어 장치의 복수의 출력핀 중 제2램프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정전류에 대응하는 제2전류를 출력하는 출력핀에 제2램프가 연결될 수 있다.
제3전류 제어 장치(190c)는 제3램프(127)의 밝기를 제3밝기로 유지시키기 위한 제3전류를 출력하되,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제3전류 크기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제3전류 제어 장치(190c)는 서로 다른 용량의 복수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고, 복수의 전류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전류 제어 장치의 복수의 출력핀 중 제3램프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정전류에 대응하는 제3전류를 출력하는 출력핀에 제3램프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전류크기는 제2전류크기보 더 크고 제2전류 크기는 제1전류크기보다 더 크다.
제1전류 제어 장치(190a), 제2전류 제어 장치(190b) 및 제3전류 제어 장치(190c)는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만이 상이할 뿐, 그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1전류 제어 장치(190a)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류 제어 장치(190a)는 전압 조정부(191), 보호부(192), 기준전류 설정부(193), 출력 제어부(194) 및 전류 조정부(195)를 포함한다.
제1전류 제어 장치(190a)는 집적 회로로, 집적 회로 내부의 구성부와 외부의 구성부인 전원부(150), 제어부(180) 및 조명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핀(a1 내지 a1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핀은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핀과 그라운드 핀,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핀,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전류를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출력핀, 기준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 전류 설정핀, 제어부(180)와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제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핀은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핀(a1), 그라운드 핀(a2),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핀(a3), 제1전류가 출력되는 제1출력핀(a4), 제1전류의 크기보다 작은 제2 전류가 출력되는 제2출력핀(a5), 제1기준 전류 또는 제2기준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전류 설정핀(a6), (a7)을 포함하고, 그 외에도 복수 개의 핀(a8), (a9), (a10), (a11), (a1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핀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핀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핀(a3)은 외부의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선택 절환부가 제1절환 상태로 절환되도록 하거나 신호 선택 절환부가 제2 절환 상태로 절환되도록 할 수 있다.
전압 조정부(191)는 제1전류 제어 장치 내부로 인가된 전압(Vs)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압을 출력 제어부(194)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을 출력 제어부(194)에 전달한다.
보호부(192)는 제1전류 제어 장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출력 제어부(194)에 전류 조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출력 제어부(194)는 출력되는 전류값이 조정되도록 전류 조정부(195)를 제어한다.
보호부(192)는 제1전류 제어 장치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출력 제어부(194)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출력 제어부(194)는 수신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고 수신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출력되는 전류값이 조정되도록 전류 조정부(195)를 제어한다.
기준 전류 설정부(193)는 램프에 공급되는 기준 전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전류에 대한 정보를 출력 제어부(194)에 전송한다.
여기서 기준 전류는 제1전류에 대응하는 제2기준 전류와, 제2전류에 대응하는 제2기준 전류를 포함할 수 있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일 수 있다. 기준 전류 설정부(193)는 외부의 설정 저항(Rref)과 연결되고 연결된 설정 저항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기준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 저항의 저항값은 램프에서 요구되는 정전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기준 전류 설정부(193)의 내부에 기준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저항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 제어부(194)는 외부의 제어부(180)에서 전송된 램프 온오프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전류 조정부(195)에 동작 명령을 전송한다.
즉 출력 제어부(194)는 램프 온 명령이 수신되면 출력핀에 연결된 램프에 정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 조정부(195)에 동작 명령을 전송하고, 램프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출력핀에 연결된 램프가 오프되도록 전류 조정부(195)에 동작 정지 명령을 전송한다. 출력 제어부(194)는 전류 조정부(195)의 비교부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온, 턴 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출력 제어부(194)는 정전류 구동부의 턴온, 턴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전류 제어부(194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조정부(195)는 복수의 출력핀 중 어느 하나의 출력핀에 연결된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이러한 전류 조정부의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조정부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조정부(195)는 기준 신호 발생부(G), 출력 신호 궤환부(F), 신호 선택 절환부(M), 비교부(C) 및 정전류 구동부(Q)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발생부(G)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전류 중 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기준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기준 신호는 신호 선택 절환부를 통해 비교부에 전달된다.
기준 신호 발생부(G)는 기준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기준 센싱 점을 포함하며, 이 기준 센싱 점의 수는 출력 가능한 전류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센싱 점의 위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기준 신호 발생부(G)는 복수 개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신호 궤환부(F)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 개의 전류 중 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출력 궤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출력 궤환 신호는 신호 선택 절환부를 통해 비교부에 전달된다.
출력 신호 궤환부(F)는 출력 궤환 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출력 센싱 점을 포함하며, 이 출력 센싱 점의 수는 출력 가능한 전류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센싱 점의 위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출력 신호 궤환부(F)는 복수 개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선택 절환부(M)는 설정부(180a)의 절환 신호에 기초하여 절환 상태를 변경하고, 변경된 절환 상태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 발생부에서 전달된 기준 신호를 비교부에 전달하고, 변경된 절환 상태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 궤환부에서 전달된 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부에 전달한다.
신호 선택 절환부(M)는 출력 가능한 전류의 수에 대응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선택 절환부의 신호 선택부는 출력 가능한 전류의 수에 대응하는 절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가능한 전류가 3개이면 신호 선택부는 3개의 절환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가능한 전류가 5개이면 신호 선택부는 5개의 절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선택부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C)는 기준 신호와 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부(C)는 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기준 신호의 크기 이상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기준 신호의 크기 미만이면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신호와 출력 궤환 신호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정전류 구동부(Q)는 정전류 제어부(194a)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를 수행함으로써 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정전류 구동부(Q)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조정부의 회로 구성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출력 가능한 전류의 크기가 두 개일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 조정부의 회로 구성도이다.
전류 조정부(195)는 제1출력핀(a4)을 통해 출력되는 제1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고, 제2출력핀(a5)을 통해 출력되는 제2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여기서 제1출력핀(a4)을 통해 출력되는 제1전류는 제2출력핀(a5)을 통해 출력되는 제2전류보다 더 큰 전류일 수 있다.
즉, 제1출력핀(a4)에는 제1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램프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출력핀(a5)에는 제1전류보다 작은 제2 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램프가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조정부(195)는 전압핀(a1)에 이미터 단이 연결되고 비교부(c)에 베이스 단이 연결되는 정전류 구동부(Q)와, 정전류 구동부의 컬렉터 단에 병렬 연결된 기준 신호 발생부(G)와 출력 신호 궤환부(F)를 포함한다.
기준 신호 발생부(G)는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2 기준 저항(R11, R12)을 포함하고, 출력 신호 궤환부(F)는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2 션트 저항(R21, R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직렬 연결된 제1, 2 기준 저항(R11, R12)과 직렬 연결된 제1, 2 션트 저항(R21, R22)는 정전류 구동부(Q)와 비교부(C) 사이에서 병렬 관계를 갖는다.
제1기준 저항의 저항값은 제1션트 저항의 저항값과 동일하고, 제2기준 저항의 저항값은 제2션트 저항의 저항값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가, 출력되는 전류의 기준 전류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기준 신호 발생부(G)는 제1기준 저항(R1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에 위치한 제1 기준 센싱 점과, 제2기준 저항(R1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에 위치한 제2 기준 센싱 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준 저항(R1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은 제1기준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신호 궤환부(F)는 제1션트 저항(R21)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에 위치한 제1 출력 센싱 점과, 제2션트 저항(R2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에 위치한 제2 출력 센싱 점을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제2 션트 저항(R22)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은 제1션트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신호 궤환부(F)의 제1 출력 센싱 점은 제1출력핀(a4)에 연결될 수 있고, 출력 신호 궤환부(F)의 제1 출력 센싱 점은 제 2출력핀(a5)에 연결될 수 있다.
전류 조정부(195)는 기준 신호 발생부(G)의 복수의 기준 센싱 점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센싱 점을 선택하기 위한 제1신호 선택부(M1)와, 출력 신호 궤환부(F)의 복수의 출력 센싱 점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센싱 점을 선택하기 위한 제2신호 선택부(M2)와, 제1신호 선택부와 제2 신호선택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비교부(C)를 더 포함한다.
제1, 2 신호 선택부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신호 선택부의 입력단은 제1기준 저항(R11)의 일 단에 배치된 제1기준 센싱 점(P11)과 제2기준 저항의 일단에 배치된 제2 기준 센싱 점(P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신호 선택부(M2)의 입력단은 제1션트 저항(R21)의 일 단에 배치된 제1 출력 센싱 점(P21)과 제2션트 저항의 일 단에 배치된 제2 출력 센싱 점(P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신호 선택부의 출력단과 제2 신호 출력부의 출력단은 비교부(C)의 제1, 2입력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비교부(C)는 제2신호 선택부를 통해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제1신호 선택부를 통해 수신된 기준 신호의 크기 이상이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2신호 선택부를 통해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제1신호 선택부를 통해 수신된 기준 신호의 크기 미만이면 로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비교부(C)의 출력단은 정전류 제어부(194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비교부(C)는 비교 신호인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를 정전류 제어부(194a)에 출력한다.
아울러 비교부(C)는 정전류 구동부(Q)의 게이트 단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정전류 구동부(Q)는 PNP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류 구동부(Q)의 컬렉터 단에는 제1기준저항(R11)과 제1션트저항(R21)이 연결될 수 있다.정전류 구동부(Q)의 게이트 단은 정전류 제어부(194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신호 선택부(M1)는 설정핀(a3)이 오픈 상태이면 제1 기준 센싱 점(P11)이 비교부(C)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고, 설정핀(a3)이 그라운드 상태이면 제2 기준센싱 점(P12)이 비교부(C)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기준 센싱점(P11)이 비교부(C)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제1기준 저항(R11)의 양 단의 전압이 비교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기준 센싱 점(P12)이 비교부(C)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직렬 연결된 제1, 2 기준 저항(R11, R12)의 양 단의 전압이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신호 선택부(M2)는 설정핀(a3)이 오픈 상태이면 제1 출력 센싱 점(P21)이 비교부(C)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고, 설정핀(a3)이 그라운드 상태이면 제2 출력 센싱 점(P22)이 비교부(C)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비교부는 제1입력단으로 반전 입력단(-)를 포함하고, 제2입력단으로 비반전 입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출력 센싱 점(P21)이 비교부(C)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제1션트 저항(R21)의 양 단의 전압이 비교부의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출력 센싱 점(P22)이 비교부(C)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직렬 연결된 제1, 2 션트 저항(R21, R22)의 양 단의 전압이 비교부의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부(C)는 설정핀(a3)이 오픈 상태이면 제1기준 센싱 점(P11)의 전압과 제2출력 센싱점(P21)의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부(C)는 설정핀(a3)이 그라운드 상태이면 제2 기준 센싱 점(P12)의 전압과제2출력 센싱 점(P22)의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부(C)는 두 전압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신호는 하이 신호이고 제2신호는 로우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부(C)는 설정핀(a3)이 오픈 상태일 때 제1출력 센싱 점의 전압이 제1기준 센싱 점의 전압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1출력 센싱 점의 전압이 제1기준 센싱 점의 전압 미만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비교부(C)는 설정핀(a3)이 그라운드 상태일 때 제2출력 센싱 점의 전압이 제2기준 센싱 점의의 전압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출력 센싱 점의 전압이 제2 기준 센싱 점의 전압 미만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정전류 구동부(Q)는 베이스 단을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오프되어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베이스 단을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온되어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즉 정전류 구동부(Q)는 제1, 2 기준 저항과 제1, 2 션트 저항 쪽으로 흐르는 전류가 기준 전류보다 부족한 경우에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제1, 2 기준 저항과 제1, 2 션트 저항 쪽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하고, 제1, 2 기준 저항과 제1, 2 션트 저항에 기준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 2 기준 저항과 제1, 2 션트 저항 쪽으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류 조정부(195)는 제1, 2션트 저항에 각각 연결된 제1, 2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정함으로써 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가 기준 전류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류 제어 장치의 제1출력핀 또는 제2출력핀에 램프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램프가 연결된 출력핀에 따라 설정핀의 상태 및 설정 저항의 저항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류 조정부(195)는 설정핀(a3)이 오픈(Open) 상태이면 제1출력핀(a4)을 통해 출력되는 제1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고, 설정핀(a3)이 그라운드 상태이면 제2출력핀(a5)을 통해 출력되는 제2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이러한 전류 조정부(195)의 회로 동작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전류 제어 장치의 제 1출력핀(a4)에 램프가 연결되었을 때 전류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 예시도이다. 전류 제어 장치의 제 1출력핀(a4)은 제1 전류가 출력되는 핀으로, 전류 제어 장치의 제 1출력핀(a4)에 연결된 램프는 제1 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램프이다.
전류 제어 장치는 제 1출력핀(a4)을 통해 출력되는 제1전류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이때 전류 제어 장치의 설정핀(a3)은 오픈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신호 선택부(M1)와 제2신호선택부(M2)는 제1절환 상태로 절환될 수 있다.
제1신호 선택부(M1)가 제1절환 상태로 절환되는 것은, 제1 기준 센싱 점(P11)과 비교부의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기준 센싱 점(P11)은 제1출력 센싱 점(P21)에서 획득되는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점이다.
제2신호 선택부(M2)가 제1절환 상태로 절환되는 것은, 제1출력 센싱 점(P21)과 비교부의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출력 센싱 점(P21)은 전류 제어 장치의 제1출력핀(a4)과의 접점으로, 전류 제어 장치의 제1출력핀(a4)을 통해 램프로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점이다.
즉 제1신호 선택부(M1)는 제1 기준 센싱 점(P11)에서 발생된 제1기준 신호를 비교부의 반전 입력단에 전달하고, 제2신호 선택부(M2)는 제1 출력 센싱 점(P21)에서 발생된 제1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부의 비반전 입력단에 전달한다.
제1 기준 센싱 점(P11)에서 발생된 제1기준 신호는 제1 기준 저항의 전압에 대한 신호이고, 제1 출력 센싱 점(P21)에서 발생된 제1출력 궤환 신호는 제1 션트 저항의 전압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비교부(C)는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된 제1출력 궤환 신호와 반전 입력단에 입력된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제1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제1기준 신호의 크기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1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제1기준 신호의 크기 미만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즉 비교부는 제1기준 저항(R11)의 양단 전압과 제1션트 저항(R21)의 양단 전압을 비교하고, 제1션트 저항의 양단의 전압이 제1기준 저항의 양단의 전압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1션트 저항의 양단의 전압이 제1기준 저항의 양단의 전압 미만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신호는 하이 신호이고, 제2신호는 로우 신호일 수 있다.
정전류 제어부(194a)는 비교부(C)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정전류 제어부(194a)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온을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오프를 위한 제2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즉, 제1제어 신호는 정전류 구동부(Q)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의 타입에 따라 하이 신호일 수 있고, 이때 제2 제어신호는 로우 신호일 수 있다.
반면, 제1제어 신호는 정전류 구동부(Q)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의 타입에 따라 로우 신호일 수 있고, 이때 제2 제어신호는 하이 신호일 수 있다.
정전류 구동부(Q)는 PNP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정전류 구동부(Q)는 베이스 단을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오프되어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베이스 단을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온되어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류 제어 장치는 제1기준 저항의 전압에 기초하여 제1션트 저항의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제1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제1전류의 크기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한다.
즉 전류 조정부(195)는 제1출력핀(a4)을 통해 출력되는 제1전류가 제1기준 전류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기준 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외부의 설정 저항의 저항값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램프의 전류 오차 특성과 전압 강하 특성을 고려하여 램프를 대 전류로 제어함으로써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전류 제어 장치의 내부 저항값(즉 션트 저항값)을 작게 함으로써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제1기준 전류는 전류 정확도의 기준치에 기초하여 더욱 높게 설정 가능하다.
일반적인 램프의 전류 오차 특성과 전압 강하 특성은, 조명부의 램프로 출력되는 전류값이 작을수록 전류 오차가 커지고, 전류 제어 장치의 내부 저항값(션트 저항값)이 클수록 전류 오차가 작아지며, 전류 제어 장치의 설정 저항값이 클수록 전류 오차가 커지고, 전류 제어 장치의 내부 저항값이 작을수록 전압 강하가 감소한다.
여기서 전류 오차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와 기준 전류의 사이의 오차이다.
도 12는 전류 제어 장치의 제 2출력핀에 램프가 연결되었을 때 전류 제어 장치의 전류 제어 예시도이다.
전류 제어 장치의 제 2출력핀(a5)은 제2 전류가 출력되는 핀으로, 전류 제어 장치의 제 2출력핀(a5)에 연결된 램프는 제2 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램프이다.
여기서 제2기준 전류는 제1기준 전류보다 전류의 크기가 작다.
전류 제어 장치는 제 2출력핀(a5)을 통해 출력되는 제2전류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이때 전류 제어 장치의 설정핀(a3)은 그라운드 상태로 설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신호 선택부(M1)와 제2신호선택부(M2)는 제2절환 상태로 절환될 수 있다.
제1신호 선택부(M1)가 제2절환 상태로 절환되는 것은, 제2 기준 센싱 점(P12)과 비교부의 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2 기준 센싱 점(P12)은 제2출력 센싱 점(P22)에서 획득되는 신호와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점이다.
제2신호 선택부(M2)가 제2절환 상태로 절환되는 것은, 제2출력 센싱 점(P22)과 비교부의 비반전 입력단(+)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2출력 센싱 점(P22)은 전류 제어 장치의 제2출력핀(a5)과의 접점으로, 전류 제어 장치의 제2출력핀(a5)을 통해 램프로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점이다.
즉 제1신호 선택부(M1)는 제2 기준 센싱 점(P12)에서 발생된 제2기준 신호를 비교부의 반전 입력단에 전달하고, 제2신호 선택부(M2)는 제2 출력 센싱 점(P22)에서 발생된 제2출력 궤환 신호를 비교부의 비반전 입력단에 전달한다.
제2기준 센싱 점(P12)에서 발생된 제2기준 신호는 제1, 2 기준 저항의 양단의 전압에 대응하는 신호이고, 제2 출력 센싱 점(P22)에서 발생된 제2출력 궤환 신호는 제1, 2 션트 저항의 양단의 전압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비교부(C)는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된 제2출력 궤환 신호와 반전 입력단에 입력된 제2 기준 신호를 비교하고, 제2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제2기준 신호의 크기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2출력 궤환 신호의 크기가 제2기준 신호의 크기 미만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즉 비교부는 제1, 2기준 저항(R11, R12)의 양단 전압과 제1, 2션트 저항(R21, R22)의 양단 전압을 비교하고, 제1, 2션트 저항의 양단의 전압이 제1기준 저항의 양단의 전압 이상이면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1, 2션트 저항의 양단의 전압이 제1, 2기준 저항의 양단의 전압 미만이면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신호는 하이 신호이고, 제2신호는 로우 신호일 수 있다.
정전류 제어부(194a)는 비교부(C)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정전류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정전류 제어부(194a)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온을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오프를 위한 제2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즉, 제1제어 신호는 정전류 구동부(Q)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의 타입에 따라 하이 신호일 수 있고, 이때 제2 제어신호는 로우 신호일 수 있다.
반면, 제1제어 신호는 정전류 구동부(Q)에 마련된 스위치 소자의 타입에 따라 로우 신호일 수 있고, 이때 제2 제어신호는 하이 신호일 수 있다.
정전류 구동부(Q)는 PNP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정전류 구동부(Q)는 베이스 단을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오프되어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베이스 단을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온되어 컬렉터 단 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류 제어 장치는 제1, 2기준 저항의 양단 전압에 기초하여 제1, 2션트 저항의 양단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제2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제2전류의 크기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한다.
즉 전류 조정부(195)는 제 제2출력핀을 통해 출력되는 제2전류가 제2기준 전류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기준 전류의 전류 크기에 기초하여 외부의 설정 저항(Rref)의 저항값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램프의 전류 오차 특성과 전압 강하 특성을 고려하여 제2 전류 제어 시 내부 저항값을 크게 함으로써 전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정전류 제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2기준 전류는 전압 강하의 기준치에 기초하여 더욱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2)는 조명부(120), 전류 검출부(171), 제어부(181), 구동부(190) 및 출력 선택부(19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2)는 전원부(150), 입력부(160), 검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구성부들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예는 구동부의 전류 제어 장치(190d)에 연결된 조명부(120)의 램프가 제1 전류 제어용 램프인지 제2 전류 제어용 램프인지 모를 때 자동으로 설정핀(a3)의 상태를 설정하고 램프가 연결될 출력핀을 설정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 예의 제어부(181) 및 구동부(190)의 전류 제어 장치(190d) 구성 중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조명부(120)는 램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램프는 차량의 외장에 마련된 램프일 수도 있고, 차량의 내장에 마련된 램프일 수도 있다.
전류 검출부(171)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의 정보를 제어부(181)에 전송한다.
제어부(181)는 별도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설정핀(a3)을 오픈 상태로 설정하고, 출력 선택부(196)를 제어하여 조명부(120)의 램프가 제1출력핀(a4)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어부(181)는 전류 검출부(171)를 통해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설정핀(a3)과 제1출력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하거나, 설정핀(a3)과 제1출력핀의 상태를 변경 제어한다.
제어부(181)는 설정핀의 상태를 변경 제어함으로써 신호 선택 절환부의 절환 상태도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1)는 설정핀과 출력핀의 상태 설정이 완료되면 램프가 교체되기 전까지 설정핀과 출력핀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구동부(190)는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190d)를 포함한다.
전류 제어 장치(190d)는 설정핀의 상태가 오픈 상태이면 제1출력핀을 통해 제1 전류가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고, 설정핀의 상태가 그라운드 상태이면 제2출력핀을 통해 제2 전류가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출력 선택부(196)는 제1출력핀과 제2출력핀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어부(181)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램프가 제1출력핀 또는 제2출력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우선 조명 제어 장치는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전류 제어 장치(190d)의 설정핀(a3)을 오픈 상태로 제어(201)하고, 출력 선택부(196)를 제어하여 조명부(120)의 램프가 제1출력핀(a4)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출력핀을 통해 램프로 제1전류가 출력되도록 한다(202).
이때 전류 조정부의 정전류 구동부, 및 제1출력핀을 거쳐 램프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전류 검출부(171)를 이용하여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전류크기를 획득하고 검출된 전류 크기와 미리 설정된 설정 전류크기를 비교(204)한다.
조명 제어 장치는 검출된 전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 전류 크기보다 크면 설정핀(a3)의 상태를 오픈 상태로 유지시키고 제1출력핀과 램프의 연결 상태도 유지시킨다.
조명 제어 장치는 검출된 전류 크기가 설정 전류 크기 이하이면 설정핀(a3)의 상태를 그라운드 상태로 변경(205)하고 출력 선택부(196)를 제어하여 램프가 제2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2출력핀을 통해 램프로 전류가 출력되도록 한다(206).
이때 전류 조정부의 정전류 구동부 및 제2출력핀을 거쳐 램프로 제2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한다.
다음 조명 제어 장치는 상태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핀과 출력핀의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되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전류를 공급한다.
즉, 전류 제어 장치의 제1출력핀에 램프가 연결되었을 때 전류를 공급하는 구성과, 전류 제어 장치의 제2출력핀에 램프가 연결되었을 때 전류를 공급하는 구성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조명 제어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2)는 조명부(120), 제어부(182), 구동부(190) 및 출력 선택부(197)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2)는 전원부(150), 입력부(160), 검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구성부들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구동부의 전류 제어 장치(190e)의 제1, 2 출력핀에 각각 연결된 조명부(120)의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조명부(120)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한다.
아울러 하나의 전류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램프는 두 개일 수 있으며, 두 개의 램프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되 동시에 동작하지 않는다.
제어부(182)는 제1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출력 선택부(197)의 스위치를 온 제어하여 제1램프가 제2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하고, 설정핀이 그라운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제1램프의 온 명령을 전류 제어 장치(190e)에 전송한다.
아울러 제어부(182)는 제1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출력 선택부(197)의 스위치를 오프 제어하여 제1램프가 제2출력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2)는 제2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출력 선택부(197)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2램프가 제1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하고, 설정핀이 오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며 제2램프의 온 명령을 전류 제어 장치(190e)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2램프는 제1램프보다 더 밝은 램프로, 제1램프보다 기준 전류가 더 높다.
아울러 제어부(182)는 제2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출력 선택부(197)의 스위치를 오프 제어하여 제2램프가 제1출력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2)는 제2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제1설정 저항(Rref1)과의 연결을 분리하고, 제1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제2설정 저항(Rref2)과의 연결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190)는 집적회로를 포함하며, 이 집적회로는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의 전류 제어 장치와 달리, 또 다른 실시 예의 전류 제어 장치는 제1 기준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제1설정 저항(Rref1)과, 제2기준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제2설정 저항(Rref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류 제어 장치는 제2설정 저항을 연결하기 위한 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미연결된 핀을 이용하여 제2설정 저항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류 제어 장치(190e)는 제2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제1출력핀을 통해 제1 전류가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하고, 제1램프의 온 명령이 입력되면 제2출력핀을 통해 제2 전류가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류 제어 장치의 전류를 일정하게 제어(즉 출력되는 전류가 기준 전류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 선택부(197)는 제1출력핀에 연결 가능한 스위치와, 제2출력핀에 연결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어부(182)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1출력핀과 제2램프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제2출력핀과 제1램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각 실시 예는 차량의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 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차량의 램프 외에도 전류가 흐르는 각종 부하의 전류 제어 시에 구현 가능하다.
1: 차량
2: 조명 제어 장치
190: 전류 제어 장치
191: 전압 조정부
192: 보호부
193: 기준 전류 설정부
194: 출력 제어부
195: 전류 조정부
196, 197: 출력 선택부

Claims (18)

  1.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상기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상기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
    상기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와, 상기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와 기준 신호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는, 제1기준 저항과, 상기 제1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기준 저항과, 상기 제2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기준 전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준 신호는, 상기 제1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1기준 신호와, 상기 제2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상기 제1기준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궤환부는, 제1션트 저항과, 상기 제1션트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션트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는, 상기 제1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상기 제2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상기 제1션트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출력 궤환 신호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절환부는,
    상기 제1기준 신호와 상기 제2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연결하는 제1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상기 제2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비교부의 제2입력단에 연결하는 제2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출력핀은, 제1전류를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상기 제1전류보다 크기가 작은 제2전류를 출력하는 제2출력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기준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2기준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며,
    상기 제2 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출력핀에 상기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출력 궤환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2출력핀에 상기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2출력 궤환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1기준 신호의 전압과, 상기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1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2기준 신호의 전압과, 상기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2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에 대응하는 제1기준 전류와, 상기 제2 전류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기준 전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2 신호 선택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2신호 선택부의 절환 상태를 변경하는 설정핀을 더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설정부는,
    상기 제1기준 전류 및 상기 제2기준 전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가진 설정 저항을 포함하는 전류 제어 장치.
  9. 램프;
    상기 램프에 연결되고 상기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전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상기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출력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상기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 신호 발생부;
    상기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와, 상기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 선택 절환부;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 궤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출력 궤환 신호와 기준 신호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상기 램프가 연결된 출력 핀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는, 제1기준 저항과, 상기 제1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기준 저항과, 상기 제2기준 저항에 직렬 연결된 기준 전류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준 신호, 상기 제1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기준 신호와, 상기 제2기준 저항의 양 단 중 상기 제1기준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기준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궤환부는, 제1션트 저항과, 상기 제1션트 저항에 직렬 연결된 제2션트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출력 궤환 신호는, 상기 제1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상기 제2션트 저항의 양 단 중 상기 제1션트 저항과 인접하지 않은 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2출력 궤환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절환부는,
    상기 제1기준 신호와 상기 제2기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는 제1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1출력 궤환 신호와 상기 제2출력 궤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비교부의 제2입력단에 전달하는 제2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출력핀은, 제1전류를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상기 제1전류보다 크기가 작은 제2전류를 출력하는 제2출력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기준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2기준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1입력단에 전달하며,
    상기 제2 신호 선택부는, 상기 제1출력핀에 상기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출력 궤환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고 상기 제2출력핀에 상기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2출력 궤환 신호를 상기 비교부의 제2 입력단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1기준 신호의 전압과 상기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1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출력핀에 부하가 연결되면 상기 제1입력단에 입력된 제2기준 신호의 전압과 상기 제2입력단에 입력된 제2출력 궤환 신호의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에 대응하는 제1기준 전류와, 상기 제2 전류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기준 전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류 설정부는, 상기 제1기준 전류 및 상기 제2기준 전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가진 설정 저항을 포함하는 차량.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2 신호 선택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2신호 선택부의 절환 상태를 변경하는 설정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핀이 상태가 오픈 상태이면 상기 제1 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2신호 선택부가 제1절환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설정 핀이 상태가 그라운드 상태이면 상기 제1 신호 선택부와 상기 제2신호 선택부가 제2절환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핀과 상기 제2출력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선택부;
    상기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설정핀을 오픈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출력 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가 제1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검출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설정 전류보다 크면 상기 설정핀과 상기 출력 선택부의 상태를 유지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전류가 상기 설정 전류 이하이면 상기 설정핀의 상태를 그라운드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상기 출력 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가 제2출력핀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부의 비교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전류 구동부의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8.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복수 개의 램프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류 제어 장치를 갖는 구동부;
    상기 복수 개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동작 명령을 상기 구동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의 각 전류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류가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 핀;
    동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출력 핀 중 램프가 연결된 어느 하나에 출력 핀의 출력 궤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신호 궤환부;
    상기 출력 궤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정전류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70035035A 2017-03-21 2017-03-21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KR10234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35A KR102345096B1 (ko) 2017-03-21 2017-03-21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US15/710,628 US9944218B1 (en) 2017-03-21 2017-09-20 Current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DE102017218247.4A DE102017218247A1 (de) 2017-03-21 2017-10-12 Stromregeleinrichtung und dieselbe aufweisendes Kraftfahrzeug
CN201710956781.5A CN108633146B (zh) 2017-03-21 2017-10-13 电流控制装置及具有该装置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35A KR102345096B1 (ko) 2017-03-21 2017-03-21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41A true KR20180106541A (ko) 2018-10-01
KR102345096B1 KR102345096B1 (ko) 2021-12-30

Family

ID=6187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35A KR102345096B1 (ko) 2017-03-21 2017-03-21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4218B1 (ko)
KR (1) KR102345096B1 (ko)
CN (1) CN108633146B (ko)
DE (1) DE102017218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231A (ko) * 2016-06-02 2019-02-1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환경 발전장치 및 전류 제어회로
US11824478B2 (en) * 2020-07-08 2023-11-21 Infineon Technologies Ag Two output pin protocol for speed, direction, and diagnosis
US20220330400A1 (en) * 2021-04-12 2022-10-13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rfaces and techniques for cost effective control of light emitting diodes in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359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광기술원 발광 다이오드의 정전류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5698A (ko) * 2009-12-10 2011-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구동장치
KR20120074115A (ko) * 2010-12-27 2012-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6890B2 (en) * 2001-12-05 2003-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D driver circuit with PWM output
US6703893B1 (en) * 2002-11-25 2004-03-09 Intersil Americas Inc. Method of setting bi-directional offset in a PWM controller using a single programming pin
US20050017760A1 (en) 2003-07-22 2005-01-27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Current sense shunt resistor circuit
TWI342659B (en) * 2004-03-05 2011-05-21 Rohm Co Ltd Dc-ac converter, controller ic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uch dc-ac converter
JP2008148496A (ja) 2006-12-12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装置
JP2008275524A (ja) 2007-05-02 2008-11-13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残容量算出方法
JP2009261213A (ja) 2008-03-24 2009-11-0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0035270A (ja) * 2008-07-25 2010-02-12 Sanken Electric Co Ltd 電力変換装置
JP2010226916A (ja) 2009-03-25 2010-10-07 Sanke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回路
US8972032B2 (en) * 2009-06-25 2015-03-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overload protection of SMA device
CN102011945B (zh) * 2009-09-07 2012-06-13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可动态调整输出电压的发光装置及其相关控制方法
JP5636241B2 (ja) 2010-09-29 2014-12-03 ローム株式会社 Led駆動装置
US8773031B2 (en) * 2010-11-22 2014-07-08 Innosys, Inc. Dimmable timer-based LED power supply
KR101965892B1 (ko) * 2012-03-05 2019-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생성부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253035B1 (ko) 2012-03-30 2013-04-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감지 장치
CN102905443B (zh) * 2012-10-31 2014-12-10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线性恒流均流led驱动电路及其线路板结构
JP6259649B2 (ja) 2013-12-06 2018-01-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04125692A (zh) * 2014-08-11 2014-10-29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多路led恒流控制器及控制方法
CN104185350B (zh) * 2014-09-12 2017-09-15 南京矽力杰半导体技术有限公司 多路led恒流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359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광기술원 발광 다이오드의 정전류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65698A (ko) * 2009-12-10 2011-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구동장치
KR20120074115A (ko) * 2010-12-27 2012-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33146B (zh) 2021-04-23
DE102017218247A1 (de) 2018-09-27
CN108633146A (zh) 2018-10-09
KR102345096B1 (ko) 2021-12-30
US9944218B1 (en)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464B1 (ko) 차량 비상 시스템의 강화
US9616810B1 (en)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US10144341B2 (en) Low beam intensity control unit
US11938862B2 (en)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US20200290507A1 (en)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11590887B2 (en)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45096B1 (ko) 전류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KR101624188B1 (ko)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AU2019226226A1 (en) Enhance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hazard lights
CN111031642B (zh) 一种用于调节车灯角度的控制电路与控制系统
EP4281324A1 (en)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