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369A -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369A
KR20180106369A KR1020170034580A KR20170034580A KR20180106369A KR 20180106369 A KR20180106369 A KR 20180106369A KR 1020170034580 A KR1020170034580 A KR 1020170034580A KR 20170034580 A KR20170034580 A KR 20170034580A KR 20180106369 A KR20180106369 A KR 20180106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oordinate
dimensional
offset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395B1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3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23Q17/0914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adjusting cutting-tool geometry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23Q17/0919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adjusting cutting-tool geometry in presetting devices
    • B23Q17/0928Cutting angles of la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0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before or after machining
    • B23Q17/0919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adjusting cutting-tool geometry in presetting devices
    • B23Q17/0938Cutting angles of dril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5Monitoring tool breakage, life or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3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에 따르면,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된 2차원 기준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2차원 실제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옵셋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옵셋 좌표를 근거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틀어짐, 과도한 마모 등과 같은 비정상 인서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METHOD OF DETECTING AN ABNORMAL INSERT OF A CUTTING TOLO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삭 공구, 드릴링 공구 등과 같은 절삭 공구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한 이후, 새로운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비정상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 공구의 인서트는 사용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새로운 인서트로 교체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인서트의 교체는 주로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기구를 이용해서 기존 인서트를 새로운 인서트로 교체한 경우, 새로운 인서트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새로운 인서트의 위치는 1차원적으로만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작물과 접촉하는 새로운 인서트의 2차원적인 틀어짐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수 있다. 틀어진 인서트로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면, 공작물에 가공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서트의 틀어짐, 과도한 마모 등과 같은 비정상 인서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에 따르면,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된 2차원 기준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2차원 실제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옵셋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옵셋 좌표를 근거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인서트를 측정 장치의 터치 패드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방법은 상기 인서트와 상기 터치 패드 사이의 접촉점 수를 확인하여 상기 인서트가 비정상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방법은,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방법은 상기 옵셋 좌표에 따라 상기 인서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는 선삭 공구 또는 드릴링 공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는 측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된 2차원 기준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2차원 실제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옵셋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셋 좌표를 근거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와 상기 터치 패드 사이의 접촉점 수를 확인하여 상기 인서트가 비정상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표시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옵셋 좌표에 따라 상기 인서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실제 위치를 2차원 좌표 형태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틀어짐, 과도한 마모 등과 같은 비정상 인서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제 2차원 좌표를 기준 2차원 좌표와 비교하여 획득된 옵셋 좌표에 따라 절삭 공구의 인서트 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가 있게 되어, 공작물의 가공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절삭 공구의 정상적인 인서트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절삭 공구의 비정상적인 인서트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비정상 인서트의 옵셋 좌표를 산출하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해서 선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선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해서 드릴링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드릴링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는 측정부(110), 제어부(120), 경보부(130) 및 보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측정부(110)는 인서트와 접촉하는 터치 패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112)가 인서트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부(110)는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인서트는 공구대의 이동에 의해서 터치 패드(112)와 접촉할 수 있다.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는 제어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된 인서트의 2차원 기준 좌표가 제어부(120) 내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도 제어부(120)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범위는 공작물 가공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허용된 인서트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인서트의 2차원 기준 좌표 및 허용 범위는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설정된 2차원 기준 좌표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2차원 기준 좌표와 2차원 실제 좌표 간의 차이, 즉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인서트가 실제로 위치하고 있는 2차원 실제 좌표의 옵셋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셋 좌표는 2차원 좌표이므로, 인서트의 배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 이내라면, 이러한 지점에 위치한 인서트에 의해서 가공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20)는 현재의 인서트가 정상 위치에 배치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이러한 지점에 위치한 인서트에 의해서 가공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현재의 인서트가 비정상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현재의 인서트 위치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면, 경보부(130)는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할 수 있다. 경보부(130)의 경보에 의해서, 작업자는 인서트의 틀어짐, 과다 마모 등과 같은 비정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보정부(140)는 제어부(120)에 의해 산출된 옵셋 좌표에 따라 인서트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보정부(140)는 인서트를 옵셋 좌표만큼 이동시켜서, 인서트를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2는 절삭 공구의 정상적인 인서트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절삭 공구의 비정상적인 인서트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비정상 인서트의 옵셋 좌표를 산출하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절삭 공구(T0)의 기준 인서트(I0)의 기준 2차원 좌표(P0)는 제어부(120) 내에 설정될 수 있다. 기준 2차원 좌표(P0)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도 제어부(120)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절삭 공구(T0)를 새로운 절삭 공구(T1)로 교환하게 되면, 실제 인서트(I1)의 위치(P1)가 기준 2차원 좌표(P0)로부터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인서트(I1)의 위치(P1)는 기준 2차원 좌표(P0)로부터 X축 방향으로 Δx 및 Y축 방향으로 Δy 만큼 옵셋될 수 있다.
기준 2차원 좌표(P0)로부터 실제 인서트(I1)의 2차원 실제 좌표(P1) 사이의 차이인 Δx와 Δy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실제 인서트(I1)의 비정상 위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해서 선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선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선삭 공구(TC)의 기존 인서트를 새로운 인서트(IC)로 교체할 수 있다. 선삭 공구(TC)의 인서트(IC)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서, 인서트(IC)가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틀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구대의 이동에 의해서 인서트(IC)가 측정부(110)의 터치 패드(112)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T210에서, 인서트(IC)가 터치 패드(112)에 접촉할 수 있다. 인서트(IC)와 터치 패드(112)의 접촉에 의해서, 측정부(110)는 인서트(IC)의 실제 2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서트(IC)는 공구대의 이동에 의해서 터치 패드(112)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인서트(IC)의 실제 2차원 좌표는 제어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T220에서, 제어부(120)는 인서트(IC)의 실제 2차원 좌표를 기준 2차원 좌표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인서트(IC)의 옵셋된 위치를 나타내는 옵셋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T230에서, 제어부(120)는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 이내이면, 인서트(IC)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됨을 의미하므로, 단계 ST240에서, 선삭 공구(TC)를 이용한 가공이 진행될 수 있다.
반면에,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인서트(IC)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불량이 발생됨을 의미하므로, 단계 ST250에서, 경보부(130)가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단계 ST260에서, 보정부(140)가 옵셋 좌표를 인서트(IC)의 위치에 반영할 수 있다. 즉, 보정부(140)는 인서트(IC)를 옵셋 좌표만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인서트(IC)를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해서 드릴링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드릴링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를 감지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구대의 이동에 의해서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가 측정부(110)의 터치 패드(112)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드릴링 공구(TD)로 공작물을 가공한 이후, 단계 ST310에서,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 즉 드릴링 공구(TD)의 하단을 터치 패드(112)에 접촉할 수 있다.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와 터치 패드(112)의 접촉에 의해서, 측정부(110)는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의 실제 2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드릴링 공구(TD)는 공구대의 이동에 의해서 터치 패드(112)로부터 후퇴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의 실제 2차원 좌표는 제어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T320에서, 제어부(120)는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와 터치 패드(112) 사이의 접촉점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와 터치 패드(112) 사이의 접촉점의 수가 2개 이상이면,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에 파손과 같은 구조적 형상 결함이 발생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ST360에서, 경보부(130)는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단계 ST370에서, 작업자는 파손된 드릴링 공구(TD)를 새로운 드릴링 공구로 교체할 수 있다.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와 터치 패드(112) 사이의 접촉점의 수가 1개이면,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는 정상적인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ST330에서, 제어부(120)는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의 실제 2차원 좌표를 기준 2차원 좌표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의 옵셋된 위치를 나타내는 옵셋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T340에서, 제어부(120)는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 이내이면,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됨을 의미하므로, 단계 ST350에서, 드릴링 공구(TD)를 이용한 가공이 진행될 수 있다.
반면에, 옵셋 좌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가 과도하게 마모되었음을 의미하거나, 또는 드릴링 공구(TD)의 인서트 위치가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과도하게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므로, 단계 ST360에서, 경보부(130)가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단계 ST370에서, 작업자는 마모된 드릴링 공구(TD)를 새로운 드릴링 공구로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보정부(140)가 드릴링 공구(TD)의 위치를 옵셋 좌표에 따라 보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실제 위치를 2차원 좌표 형태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틀어짐, 과도한 마모 등과 같은 비정상 인서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제 2차원 좌표를 기준 2차원 좌표와 비교하여 획득된 옵셋 좌표에 따라 절삭 공구의 인서트 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가 있게 되어, 공작물의 가공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측정부 112 ; 터치 패드
120 ; 제어부 130 ; 경보부
140 ; 보정부

Claims (13)

  1.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된 2차원 기준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2차원 실제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옵셋된 좌표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옵셋 좌표를 근거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인서트를 측정 장치의 터치 패드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와 상기 터치 패드 사이의 접촉점 수를 확인하여 상기 인서트가 비정상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좌표에 따라 상기 인서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구는 선삭 공구 또는 드릴링 공구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8. 절삭 공구의 인서트의 2차원 실제 좌표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2차원 실제 좌표를 공작물 가공 조건에 따라 설정된 2차원 기준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2차원 실제 좌표가 상기 2차원 기준 좌표로부터 옵셋된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옵셋 좌표를 근거로 상기 인서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인서트와 접촉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와 상기 터치 패드 사이의 접촉점 수를 확인하여 상기 인서트가 비정상 형상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기준 2차원 좌표로부터 설정된 허용 범위 이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좌표가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표시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셋 좌표에 따라 상기 인서트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장치.
KR1020170034580A 2017-03-20 2017-03-20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38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80A KR102384395B1 (ko) 2017-03-20 2017-03-20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580A KR102384395B1 (ko) 2017-03-20 2017-03-20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69A true KR20180106369A (ko) 2018-10-01
KR102384395B1 KR102384395B1 (ko) 2022-05-10

Family

ID=6387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80A KR102384395B1 (ko) 2017-03-20 2017-03-20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3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572A (ja) * 1997-12-24 1999-07-13 Minoru Okada Nc工作機械の工具交換時における刃先位置設定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nc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572A (ja) * 1997-12-24 1999-07-13 Minoru Okada Nc工作機械の工具交換時における刃先位置設定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nc工作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395B1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9967B2 (en) A method for measuring an object
US9518876B2 (en) Method and measuring system for determining deformations of a geometric body with the aid of force measuring sensors or deformation measuring sensors
CN105547330A (zh) 梳棉机墙板定规测量面倾斜度校验装置及使用方法
CN105737722A (zh) 细纱机罗拉隔具定规检测面垂直度的校验装置
JP5217137B2 (ja) タッチプローブ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US9527185B2 (en) Test gauge
CN109669391A (zh) 一种轮毂刀具管理系统和方法
EP1107080B1 (en) Probe chord error compensation
KR20180106369A (ko) 절삭 공구의 비정상 인서트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07378638A (zh) 一种接触式对刀仪结构
KR101325150B1 (ko) 세팅 오차를 반영한 가공 공정 감시 장치 및 방법
JP5437693B2 (ja) 主軸又はアタッチメント主軸の補正値自動計測方法
JP2009251621A (ja) 工作機械の基準位置補正装置
TWM462360U (zh) 垂直軸之檢測裝置
CN220829151U (zh) 滑轨滑槽量规
JP5219480B2 (ja) ワーク加工方法
JP7328427B2 (ja) 板厚の測定装置及び板厚の測定方法
CN104457504A (zh) 曲轴曲柄臂偏心圆半径检具
JP4052213B2 (ja) 三次元加工物評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7152171B2 (ja) 板厚の測定装置及び板厚の測定方法
CN106643398A (zh) 纺织捻线机滚筒轴定位规误差校验装置及使用方法
CN205784992U (zh) 一种小凸台的外径测量装置
CN106435880A (zh) 粗纱机中罗拉定规误差校验装置及方法
JP5067601B2 (ja) 特性測定装置
CN115302542A (zh) 一种多车型通用的在线自动点检机器人抓手系统、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