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282A - 파일 연결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파일 연결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282A
KR20180106282A KR1020170034365A KR20170034365A KR20180106282A KR 20180106282 A KR20180106282 A KR 20180106282A KR 1020170034365 A KR1020170034365 A KR 1020170034365A KR 20170034365 A KR20170034365 A KR 20170034365A KR 20180106282 A KR20180106282 A KR 20180106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unit
file
guide
adap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티엔
주식회사 포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티엔, 주식회사 포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티엔
Priority to KR102017003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282A/ko
Publication of KR2018010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파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어댑터 유닛; 상기 상부 파일과 연결되는 하부 파일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과 상호 가이드되면서 접하는 하부 어댑터 유닛; 및 상호 접합된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 및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의 접합부위로 체결되는 체결용 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 연결용 어댑터{Adaptor for connecting profiles}
본 발명은, 파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간편하게 상부 및 하부 파일의 연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전처럼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일 연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파일, 즉 건축용 콘크리트 파일을 다수 개 상하로 연결하고자 할 때, 파일 연결용 어댑터(adaptor for connecting profiles)를 사용한다.
파일 연결용 어댑터의 기존 방식은 한 개의 파일, 즉 하부 파일을 묻어 놓고, 그 사이에 어댑터를 설치한 후, 이음할 파일, 즉 상부 파일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하부 파일과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고정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어댑터의 구조가 복잡해서 파일의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으며, 특히 파일의 연결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크레인으로 고중량의 상부 파일을 계속 붙잡고 있어야 해서 작업비용 증가와 함께 안전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높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70104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간편하게 상부 및 하부 파일의 연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전처럼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일 연결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 파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어댑터 유닛; 상기 상부 파일과 연결되는 하부 파일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과 상호 가이드되면서 접하는 하부 어댑터 유닛; 및 상호 접합된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 및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의 접합부위로 체결되는 체결용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용 어댑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은,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파일의 하단부에 접하는 상부 접합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접합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부 파일에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은, 하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파일의 상단부에 접하는 하부 접합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접합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하부 파일에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 및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이 가이드되면서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접합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접합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가 대응되면서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접합 플레이트 상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규칙되게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방사형 가이드 리브이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접합 플레이트에 마련되되 상기 방사형 가이드 리브의 내측 골 영역에 배치되어 가이드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방사형 가이드 리브와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가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체결용 키가 체결되는 키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간편하게 상부 및 하부 파일의 연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전처럼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일 연결용 어댑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파일이 연결된 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2의 분해도,
도 3은 상부 파일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하부 파일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적용된 파일 연결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상부 어댑터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파일이 연결된 상태의 도면, 도 2는 도 2의 분해도, 도 3은 상부 파일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하부 파일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적용된 파일 연결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상부 어댑터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간편하게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의 연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전처럼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부 어댑터 유닛(130)과 하부 어댑터 유닛(140), 그리고 상호 접합된 상부 어댑터 유닛(130) 및 하부 어댑터 유닛(140)의 접합부위로 체결되는 체결용 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은 콘크리트 파일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은 단위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 1처럼 상호 축방향으로 이어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가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파일(110)의 하부 영역에는 상부 플레이트(115)가 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상부 어댑터 유닛(130)의 상부 고정부재(133)가 체결되는 체결홀(116)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하부 파일(120)에는 후술할 하부 어댑터 유닛(140)의 하부 고정부재(143)가 체결되는 체결홀(126)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각 체결홀(116, 126)은 나사산이 형성된 부시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을 연결하기 위한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의 일 구성으로서 상부 어댑터 유닛(130)은 상부 파일(1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 어댑터 유닛(130)은 상부 관통공(131)을 구비하며, 상부 파일(110)의 하단부에 접하는 상부 접합 플레이트(132)와, 상부 접합 플레이트(1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부 파일(110)에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 고정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합 플레이트(132)는 도넛 형상의 원반형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고정부재(133)는 앵커 볼트일 수 있으며, 상부 파일(110)의 하단부의 체결홀(116)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을 연결하기 위한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의 일 구성으로서 하부 어댑터 유닛(140)은 상부 파일(110)과 연결되는 하부 파일(120)의 상단부 즉 하부 파일(1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 어댑터 유닛(140)은 하부 관통공(141)을 구비하며, 하부 파일(120)의 상단부에 접하는 하부 접합 플레이트(142)와, 하부 접합 플레이트(14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하부 파일(120)에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고정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접합 플레이트(142) 역시, 상부 접합 플레이트(132)와 마찬가지로 도넛 형상의 원반형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고정부재(143) 역시, 앵커 볼트일 수 있으며, 하부 파일(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체결홀(126)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어댑터 유닛(140)을 하부 파일(120)의 상단부에 결합시키고, 상부 어댑터 유닛(130)을 상부 파일(110)의 하단부에 결합시킨 후, 하부 파일(120)을 매립하고 상부 파일(110)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하부 파일(120)의 하부 어댑터 유닛(140)에 대한 상부 파일(110)의 상부 어댑터 유닛(130)의 상대 위치를 맞추면서 접합시킬 때, 이들을 서로 가이드하는 수단이 마련되면 하부 어댑터 유닛(140)에 대한 상부 어댑터 유닛(130)의 접합과정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에는 상부 어댑터 유닛(130) 및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140)이 가이드되면서 접합될 수 있도록 상부 접합 플레이트(132)와 하부 접합 플레이트(142)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가이드부(150)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가이드부(150)가 대응되면서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부(1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150)는 상부 어댑터 유닛(130)을 이루는 상부 접합 플레이트(132) 상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산(151)과 골(152)이 규칙되게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방사형 가이드 리브(150)로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150)는 마치 방사형 별 모양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가이드부(160)는 하부 어댑터 유닛(140)을 이루는 하부 접합 플레이트(142)에 마련되되 방사형 가이드 리브(150)의 내측 골(152) 영역에 배치되어 가이드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160)로 적용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160)의 선단부는 라운딩처리되기 때문에 상부 어댑터 유닛(130)을 하부 어댑터 유닛(140)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을 접합시키고자 할 때, 제1 가이드부(150)의 내측 골(152) 영역에 가이드 부재(160)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160)가 환봉 형상이나 반드시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안쪽으로 돌출되는 ㄱ자 또는 ㄷ자 형상의 구부러진 플레이트 타입으로 변경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방사형 가이드 리브(150)와 다수의 가이드 부재(160)가 접하는 영역에는 키 체결공(153,163)이 형성된다. 상부 어댑터 유닛(130)을 하부 어댑터 유닛(140)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이 접합되도록 한 이후에는 이들이 분리되지 않게 체결용 키(170)를 사용한다.
즉 체결용 키(170)는 상호 접합된 상부 어댑터 유닛(130) 및 하부 어댑터 유닛(140)의 접합부위로 체결되는 부재인데, 이러한 체결용 키(170)는 방사형 가이드 리브(150)와 다수의 가이드 부재(160)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키 체결공(153,163)에 일체로 끼워지게 삽입될 수 있다. 체결용 키(170)는 도 5의 A부분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테이퍼진 윙부(171)가 형성되어 키 체결공(153, 163)에 체결 시 타격에 의해 테이퍼진 윙부(171)가 일부 키 체결공(153, 162)으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억지끼움 방식으로 키 체결공(153, 163)에 체결될 수 있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체결용 키(170)를 나사식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너트로 잠금하도록 볼트 너트 고정방식으로 변경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연결용 어댑터(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상부 파일(110)의 하단부에 상부 어댑터 유닛(130)을, 그리고 하부 파일(120)의 상단부에 하부 어댑터 유닛(140)을 결합시킨다.
다음, 하부 어댑터 유닛(140)이 결합된 하부 파일(120)을 시공위치에 매립시킨다. 그리고는 크레인으로 상부 파일(110)을 들어 올려 상부 파일(110)의 상부 어댑터 유닛(130)이 하부 파일(120)의 하부 어댑터 유닛(140)에 위치 대응되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부 어댑터 유닛(130)과 하부 어댑터 유닛(140)에 제1 가이드부(150)와 제2 가이드부(160)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부 어댑터 유닛(130)을 하부 어댑터 유닛(140)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이들을 접합시키고자 할 때, 제1 가이드부(150)의 내측 골(152) 영역에 가이드 부재(160)가 정확하게 가이드되면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어댑터 유닛(130)과 하부 어댑터 유닛(140)의 접합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50)와 제2 가이드부(160)의 가이드작업이 완료되면 체결용 키(170)를 방사형 가이드 리브(150)와 다수의 가이드 부재(160)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키 체결공(153,163)에 일체로 끼움으로써 상부 파일(110)과 하부 파일(120) 간의 연결, 즉 이음작업을 손쉽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보다 간편하게 상부 및 하부 파일(110,120)의 연결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전처럼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파일 연결용 어댑터 110 : 상부 파일
120 : 하부 파일 130 : 상부 어댑터 유닛
131 : 상부 관통공 132 : 상부 접합 플레이트
133 : 상부 고정부재 140 : 하부 어댑터 유닛
141 : 하부 관통공 142 : 하부 접합 플레이트
143 : 하부 고정부재 150 : 제1 가이드부
151 : 산 152 : 골
160 : 제2 가이드부 170 : 체결용 키

Claims (5)

  1. 상부 파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어댑터 유닛;
    상기 상부 파일과 연결되는 하부 파일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과 상호 가이드되면서 접하는 하부 어댑터 유닛; 및
    상호 접합된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 및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의 접합부위로 체결되는 체결용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은,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파일의 하단부에 접하는 상부 접합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접합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부 파일에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은,
    하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파일의 상단부에 접하는 하부 접합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접합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하부 파일에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댑터 유닛 및 상기 하부 어댑터 유닛이 가이드되면서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접합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접합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가 대응되면서 가이드되는 제2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용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접합 플레이트 상에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이 규칙되게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방사형 가이드 리브이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접합 플레이트에 마련되되 상기 방사형 가이드 리브의 내측 골 영역에 배치되어 가이드되는 다수의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용 어댑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가이드 리브와 상기 다수의 가이드 부재가 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체결용 키가 체결되는 키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연결용 어댑터.
KR1020170034365A 2017-03-20 2017-03-20 파일 연결용 어댑터 KR20180106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365A KR20180106282A (ko) 2017-03-20 2017-03-20 파일 연결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365A KR20180106282A (ko) 2017-03-20 2017-03-20 파일 연결용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82A true KR20180106282A (ko) 2018-10-01

Family

ID=6387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365A KR20180106282A (ko) 2017-03-20 2017-03-20 파일 연결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8814A1 (en) * 2020-09-26 2022-03-31 Jiangsu Ocean University Frp composite material pile prepared by frp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and pile forming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98814A1 (en) * 2020-09-26 2022-03-31 Jiangsu Ocean University Frp composite material pile prepared by frp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and pile forming methods
US11655605B2 (en) * 2020-09-26 2023-05-23 Jiangsu Ocean University FRP composite material pile prepared by FRP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and pile forming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0336A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KR20200025564A (ko)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KR20180106282A (ko) 파일 연결용 어댑터
KR101562984B1 (ko) 이형 파일용 상하부 분리형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
KR20130017177A (ko) 커플러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101842485B1 (ko) 파일 연결용 어댑터
KR101839306B1 (ko)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KR101905667B1 (ko) 자동 체결 조인트
KR10170112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101842484B1 (ko) 파일 연결용 어댑터
KR2014013000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20180002773U (ko) 파일 연결용 어댑터
JP5885110B2 (ja) 杭の継手部構造
JP7174474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KR20180116894A (ko) 파일 연결용 어댑터
KR20220163666A (ko) 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phc 파일 구조체
JP7281125B2 (ja) Rcセ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の挿入型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セrc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
KR102502141B1 (ko) 폼세이버 커플러
TW201420845A (zh) 樁的無焊接接頭
KR101942682B1 (ko) 복합 말뚝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102463054B1 (ko) 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phc 파일 구조체
CN104160198A (zh) 管接头
CN212001114U (zh) 一种适用于山坡可拆卸式混凝土溜槽装置
CN209873785U (zh) 管桩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