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974A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eating laund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974A
KR20180104974A KR1020170031966A KR20170031966A KR20180104974A KR 20180104974 A KR20180104974 A KR 20180104974A KR 1020170031966 A KR1020170031966 A KR 1020170031966A KR 20170031966 A KR20170031966 A KR 20170031966A KR 20180104974 A KR20180104974 A KR 20180104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um
sensor
cov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6700B1 (en
Inventor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700B1/en
Publication of KR2018010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The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um for receiving a cloth; an air supply passage for guiding air into the drum;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flow out from the drum; a sensor cover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and forming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nsor cover.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Device for treating laundry}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rying function.

세탁물(이하 '포')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젖은 포를 건조시킨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공기 유로 및 포가 수용되는 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압력을 가하는 팬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rying laund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uring") supplies dry air to dry a wet pour.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drum in which an air passage and a bag are accommodated.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heater for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guided along the air flow path, and a fan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for applying air to flow the air. Further, there is known a conventional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filter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와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로 분류된다. 또한, 드럼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되고 나머지는 순환되어 다시 드럼으로 공급되는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가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classified into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exhaust type drying system and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type drying system depending on how air having undergone heat exchange with a can be treated. Further, there is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ybrid system in which a part of the air inside the drum is exhausted and the other is circulated and supplied to the drum again.

포에 적절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서 포의 건조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습도 센서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습도 센서는 감지 대상 공기에 노출된 감지부를 구비한다.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egree of drying of the cloth in order to supply a suitable hot air to the cloth. For this purpose,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humidity sensor is known. The humidity sensor has a sensing unit exposed to the sensing object air.

종래 기술에서, 습도 센서의 감지부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습도 감지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습도 센서의 감지부의 이물질 축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accumulates in the sensing unit of the humidity sensor, thereby limiting the humidity sensing.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minimize foreign matter accumulation in the sensing part of the humidity sensor.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습도 센서 주변으로 축적된 이물질이 쉽게 탈락되도록 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matters accumulated in the vicinity of the humidity sensor.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상기 제 1 및 2과제를 달성하면서도 공기의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flow resistance of air while achieving the first and second problems.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기 제 1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습도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커버를 제공하고, 센서 커버의 개구부가 공기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게 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a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 cover for accommodating a humidity sensor, so that the opening of the sensor cover look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상기 센서 커버의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게 하고, 상기 센서 커버의 내측면 중 하측면이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게 한다.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opening of the sensor cover faces downwar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forms a downward tilt in the downstream direction.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유선형의 센서 커버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third problem,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eamlined sensor cover.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 상기 배기 유로 내에 배치되고, 공기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마주보는 개구부를 가진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류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비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drum for receiving a laundry; An air supply passage for guiding air into the drum;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flow out from the drum; A sensor cover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and defining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sensor cover. 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stream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based on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internal space.

상기 내부 공간은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The inner space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as it goes downstream

상기 내부 공간의 개구부의 방향은 하측 방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inner space may include a lower component.

상기 센서 커버의 내측면 중 하측면은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may form a downward slop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상기 배기 유로는 하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유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e exhaust passage may include a flow path portion for guiding air downward. The sensor cover may be disposed in the flow path portion.

상기 센서 커버의 상류부는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stream portion of the sensor cover may be formed to be streamlined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센서 커버의 외표면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may be formed to become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상기 센서 커버의 외표면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may be elong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inner space may be elong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 상기 배기 유로 내에 배치되고, 공기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마주보고 하측을 향하는 개구부를 가진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drum for receiving a laundry; An air supply passage for guiding air into the drum;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flow out from the drum; A sensor cover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and defining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down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flow direction;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sensor cover.

센서 커버의 개구부가 공기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습도 센서에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하며, 개구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opening of the sensor cover face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thereby blocking the contact of foreign matter with the humidity sensor and minimizing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in the opening portion.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류부에 배치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습도 센서에 도달하는 것을 어렵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 humidity sensor is disposed at an upstream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thereby making it difficult for the foreign matter to reach the humidity sensor through the opening.

또한, 개구부의 단면적을 넓게 하여, 이물질의 축적에 의해 개구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내부 공간은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축적은 내부 공간의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더 어렵게 된다.Furth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is widened to prevent the opening from clogging due to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Furthermore, since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so as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in a downstream direction,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becomes more difficult as it goes downward in the internal space.

또한, 상기 개구부의 내측 주변에는 공기의 흐름에 일부 정체가 발생하여 이물질이 퇴적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가 하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개구부 주위에 누적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쉽게 센서 커버의 외부로 탈락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ome stagnation may occur in the air around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foreign matter may accumulate. By moving the opening toward the lower sid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around the opening easily fall out of the sensor cover due to gravity It is effective.

또한, 상기 센서 커버의 내측면 중 하측면이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탈락된 이물질이 상기 센서 커버의 내측면에 떨어지더라도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forms a downward inclination in the downstream direction, even if the dropped foreign matter fal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it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또한, 상기 센서 커버의 상류부를 유선형으로 형성하거나 외표면이 하류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함으로써,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upstream portion of the sensor cover is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or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become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e flow path resistance is minimized.

또한, 상기 센서 커버의 외표면 및 내부 공간을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센서 커버의 외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방향성을 유지해주고, 이물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습도 센서에 도달하는 것을 어렵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nsor cover to be long in the air flow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rectionality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and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reaching the humidity sensor through the opening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내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일측 사이드 커버(12)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기 시단부(43a)와, 배기 시단부(43a) 내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90) 및 습도 센서(8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센서 수용부(90)를 공기 흐름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배기 시단부(43a)와, 배기 시단부(43a) 내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90') 및 습도 센서(8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센서 수용부(90')를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of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of Fig. 1, with the side cover 12 on one side thereof being remov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nsor housing portion 90 and the humidity sensor 8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and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of Fig. 4 cut vertically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haust start end 43a of FIG. 2 and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and the humidity sensor 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side the exhaust start end 43a.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of FIG. 6 taken along lines S1-S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로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의 도면 참조부호의 뒤에는 콤마(')를 표시한다.In order to distinguish one embodiment fro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a (') is shown after a reference numeral of a portion which differs from an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도 4 내지 도 6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 previous (F) / after (R) / left (Le) / right (R) / upper (U) / lower 6,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irections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류'와 '하류'는 공기 유로 내의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Upstream' and 'Downstream' referred to below refer to the direction of airflow in the air flow path.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건조기(100)를 기준으로 구체화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포를 건조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라면 어떤 장치든 적용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having a drying function.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is embodied based on the dryer 1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apparatus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is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or drying a cloth.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드럼(23)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10)은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12)와, 후측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13)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지지하는 베이스(15)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4)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투입구(11a)를 형성한다. 투입구(11a)를 통해, 포가 드럼(23)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드럼(23) 내의 포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sing 10 that forms an appearance. The casing 10 provides an interior space in which the drum 23 and other arrangements are disposed. The casing (10) includes a front cover (11) forming a front face, a side cover (12) forming both side faces, and a back cover (13) forming a rear face. The casing (10) forms a bottom surface and includes a base (15) for supporting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casing (10) includes a top cover (14) forming an upper side. The casing (10) forms a charging port (11a). Through the inlet port 11a, the carriage can be pulled into the drum 23 or the pail in the drum 23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베이스(15)는 수평한 판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5) 위에 일체로 형성된 케비닛(12, 13)이 설치된다. 케비닛(12, 13)은 전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커버(12) 및 백 커버(13)를 포함한다. 탑 커버(14)는 케비닛(12, 13)의 상측에 배치된다.The base 15 is made of a horizontal plate. And cabinets 12 and 13 integrally formed on the base 15 are installed. The cabinets 12 and 13 are formed in a " C "shape having an open front face, and include a side cover 12 and a back cover 13. The top cover 14 is disposed above the cabinets 12, 13.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포를 드럼(23) 내로 인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11a)를 형성한다. 투입구(11a)는 프론트 커버(11)에 형성된다.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forms a charging port 11a through which the laundry can be drawn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drum 23. The inlet 11a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11.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투입구(11a)를 여닫는 도어(18)를 포함한다. 도어(18)는 프론트 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8a)과, 도어 프레임(18a)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18b)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8a)은 중앙부에 홀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18a)의 상기 홀에 도어 글래스(18b)가 설치된다. 도어 글래스(18b)는 드럼(23)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어 글래스(18b)는 드럼(23)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oor 18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11a. The door 18 includes a door frame 18a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cover 11 and a door glass 18b installed on the door frame 18a. The door frame 18a has a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door glass 18b is installed in the hole of the door frame 18a. The door glass 18b is made of a transparent member so that the inside of the drum 23 can be seen. The door glass 18b is convex inward of the drum 23.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1)의 상부에 배치된 컨트롤 패널(16)을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16)은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작동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정보를 음성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은 사용자로부터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panel 16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1. The control panel 16 includes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not shown) for outputting information by voice.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The control panel 16 includes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from a user.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button, a dial, a touch screen, and the like.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포를 수용하는 드럼(23)을 포함한다. 드럼(23)은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23)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드럼(23)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23)은 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드럼(23)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전면은 투입구(11a)와 연결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drum 23 that receives a blanket. The drum 23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10. The drum 23 is rotatably disposed. The drum 23 may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The drum 23 forms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bobbin. The drum 23 is cylindrical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ed, and the front surface is connected to the inlet 11a.

드럼(23)의 내주면에는 의류를 퍼 올리기 위한 리프터(23a)가 구비된다. 리프터(23a)는 드럼(2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리프터(23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복수의 리프터(23a)가 드럼(23)의 회전축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23)가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23a)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23, a lifter 23a for lifting clothes is provided. The lifter 23a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23. The lifter 23a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lifters 23a can be arrang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um 23. [ While the drum 23 is being rotated, the clothes are lifted by the lifter 23a and fall can be repeated.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를 포함한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는 케이싱(10) 내에 배치된다. 전방 서포터(27)는 드럼(23)의 전단을 지지한다. 후방 서포터(28)는 드럼(23)의 후단을 지지한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는 링 형태의 돌기 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가 형성된다. 드럼(23)의 전단 및 후단이 상기 가이드와 맞물림으로써, 드럼(23)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ront supporter 27 and a rear supporter 28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drum 23. 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supporter 28 are disposed in the casing 10. [ The front supporter 27 supports the front end of the drum 23. The rear supporter 28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drum 23. 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supporter 28 are formed with a guide made of a ring-shaped projection or groove or the like. By engag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rum 23 with the guide, the drum 23 can be stably rotated.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에는 각각 드럼(23)을 지지하는 롤러(24)가 구비된다. 드럼(23)의 외주면이 롤러(24)와 접촉된다.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supporter 28 are provided with rollers 24 for supporting the drum 23, respective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2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24.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모터(M)를 포함한다. 모터(M)는 드럼(23)을 회전시킨다. 모터(M)는 팬(51)을 회전시킨다. 도 2를 참고하여, 모터(M)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기능 및 팬(5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양축 모터(M)이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드럼(23)을 회전시키는 제 1모터 및 팬을 회전시키는 제 2모터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모터(M)는 어느 경우로 구비되든 무방하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otor (M). The motor M rotates the drum 23. The motor M rotates the fan 51. 2, the motor M is a two-axis motor M that performs a function of rotating the drum 23 and a function of rotating the fan 51. [ Although not shown,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include a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drum 23 and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fan, respectively. The motor M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y case.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모터(M)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재(22)를 포함한다. 모터 지지부재(22)는 베이스(15) 상에 고정된다. 모터 지지부재(22)는 모터 지지부재(22)에 의해 지지된다. 모터(M)는 드럼(23)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M)는 팬(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양축 모터(M)는 팬(51)과 결합되는 팬 모터 축(51s)과, 드럼(23)에 감긴 벨트(29)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갖는 수용부 모터 축(23s)을 포함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otor support member 22 for supporting a motor M. [ The motor support member 22 is fixed on the base 15. The motor support member 22 is supported by the motor support member 22. The motor M provides power for rotating the drum 23. The motor M can rotate the fan 51. [ The two-shaft motor M includes a fan motor shaft 51s coupled with the fan 51 and an accommodation motor shaft 23s having a drive pulley on which the belt 29 wound around the drum 23 is engaged.

벨트(2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26)가 모터 지지부재(22)에 설치된다. 벨트(29)가 상기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26)에 걸린 상태로 드럼(23)의 외주면을 감싼다. 모터(M)의 회전시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벨트(29)가 이송되고, 벨트(29)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23)가 회전된다.An idle pulley (26)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elt (29) is installed on the motor support member (22). The belt 29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23 with the driving pulley and the idle pulley 26 engaged. The belt 29 is transported by the drive pulley when the motor M is rotated and the drum 23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belt 29 and the belt 29. [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드럼(23)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40)를 포함한다. 공기 유로는 드럼(23)에 대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air flow passage 4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drum 23 and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drum 23. The air flow path guides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to the drum (23).

공기 유로(40)는 드럼(23)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41)를 포함한다. 급기 유로(41)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 또는 케이싱(10) 외부의 공기를 드럼(23) 내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기 유로(41)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케이싱의 내측면과 드럼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드럼(23) 내로 안내한다. The air passage (40) includes an air supply passage (41) for guiding air into the drum (23). The air supply flow path 41 can guide the air inside the casing 10 or the air outside the casing 10 into the drum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supply flow path 41 guides air (ai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inside the casing 10 into the drum 23.

공기 유로(40)는 드럼(23)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43)를 포함한다. 배기 유로(43)는 케이싱(10)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유로(43)는 드럼(23) 내의 공기를 케이싱(10)의 외부로 안내한다.The air passage (40) includes an exhaust passage (43) for guiding the air to flow out of the drum (23). The exhaust flow path 43 can guide air into or out of the casin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haust passage 43 guides the air in the drum 23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유로는 드럼(23)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고 유출된 공기가 다시 드럼(23) 내로 유입되게 안내하도록,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가 연결된 순환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flow path may include a circulation flow path in which the exhaust flow path and the air supply flow path are connected so that air flows out of the drum 23 and the outflowed air flows back into the drum 23 .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23)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를 포함한다. 히터(53)는 급기 유로(41) 상에 배치된다. 히터(53)는 급기 유로(41)와 연결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히터(53)를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재(53a)를 포함한다. 히터 지지부재(53a)는 베이스(15)에 고정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heater 53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23. The heater 53 is disposed on the air supply passage 41. The heater 53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flow path 41.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heater supporting member 53a for supporting the heater 53. [ The heater support member 53a is fixed to the base 15.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공기 유로(40) 상에 배치된 팬(51)을 포함한다. 팬(51)은 공기 유로(40) 상의 공기가 흐르도록 압력을 가한다. 팬(52)은 급기 유로(41) 및 배기 유로(4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유로(40)는 드럼(23) 내의 공기를 유출시켜 드럼(23) 내로 다시 유입시키는 순환 덕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팬(51)은 상기 순환 덕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51)은 배기 유로(43) 상에 배치된다. 팬(51)은 원심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an 51 disposed on the air passage 40. The fan 51 pressurizes the air on the air passage 40 to flow. The fan 52 may be disposed in any one of the air supply passage 41 and the exhaust passage 43. As another example, the air passage 40 may include a circulating duct (not shown) that allows the air in the drum 23 to flow out and back into the drum 23, in which case the fan 51 is located on the circulating duct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n 51 is disposed on the exhaust flow path 43. The fan 51 may be provided as a centrifugal fan.

팬(51)은 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팬(51)은 모터(M)의 팬 모터 축(51s)에 결합된다. 팬(51)의 회전시 팬(51)의 흡입력에 의해 드럼(23) 내에 부압이 작용하여, 급기 유로(41)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23) 내로 유입된다. 도 2의 화살표 As를 참고하여, 히터(5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급기 유로(41)의 히터 연결부(41a)로 유입된 후, 출구(41b) 및 급기구(28a)를 통해 드럼(23) 내로 공급된다.The fan 51 is rotated by the motor M. The fan 51 is coupled to the fan motor shaft 51s of the motor M. [ A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drum 23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51 when the fan 51 rotates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 flows into the drum 23.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53 flows into the heater connection portion 41a of the air supply flow passage 41 and then flows into the drum 23 via the outlet 41b and the air supply mechanism 28a, .

팬(51)의 회전에 의해 드럼(23) 내의 공기가 배기 유로(43) 내로 유입된다. 전방 서포터(27)는 입구(27a)의 하측에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홀을 형성한다. 팬(51)의 작동시 드럼(23) 내의 공기가 배기구 및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배기 유로(43) 내로 유입된다. The air in the drum 23 flows into the exhaust passage 43 by the rotation of the fan 51. [ The front supporter 27 forms a hole through which the air exhaust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27a passes. The air in the drum 23 flows into the exhaust passage 43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holes of the front supporter 27 when the fan 51 operates.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5)를 포함한다. 필터(55)는 공기 유로(40)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에 구비된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의 후측에 배치된다. 필터(55)는 드럼(23)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된다. 필터(55)는 드럼(23) 내로부터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채집한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에 배치되는 필터 마운트(55a, 55b)를 포함한다. 필터 마운트(55a, 55b)는 필터 삽입구를 형성한다. 필터 마운트(55a, 55b)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 배치되는 전방 파트(55a)와 후방 파트(55b)를 포함한다. 전방 파트(55a)는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과 연결되고, 후방 파트(55b)는 공기가 통과하는 상기 배기구를 형성한다. 복수의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다. 필터(55)는 상기 필터 삽입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체 필터부(55c)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삽입구는 상측을 향해 오픈(open)된다. 교체 필터부(55c)는 미세한 소공을 가지는 필터망을 포함할 수 있다. 교체 필터부(55c)는 상기 필터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끌어 올려져 상기 필터 삽입구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교체 필터부(55c)가 상기 필터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팬(51)이 작동하면, 드럼(23) 내의 공기가 상기 배기구, 교체 필터부(55c) 및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lter (55) for filtering off foreign matter. The filter 55 filters foreign matter in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passage 40. The filter 55 is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er 27. The filter 55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upporter 27. The filter 55 is dispos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drum 23. The filter 55 collec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a lint floating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23 through the exhaust port. The filter 55 includes filter mounts 55a and 55b disposed on the front supporter 27. [ The filter mounts 55a and 55b form a filter insertion port. The filter mounts 55a and 55b include a front part 55a and a rear part 55b, which are coupled and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part 55a is connected to the hole of 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part 55b forms the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 plurality of the exhaust ports are formed. The filter 55 includes a replacement filter portion 55c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through the filter insertion port. The filter insertion port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The replacement filter portion 55c may include a filter net having fine pores. The replacement filter portion 55c can be pulled up by the user's opera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port and can be pulled out from the filter insertion port. When the fan 51 is operated while the replacement filter portion 55c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port, the air in the drum 23 flows through the holes of the exhaust port, the replacement filter portion 55c and the front supporter 27 sequentially ≪ / RTI >

배기 유로(43)는 팬(51)의 상류측에 배치된 배기 시단부(43a)를 포함한다. 배기 시단부(43a)는 전방 서포터(27)의 전방에 배치된다. 배기 유로(43)는 팬(51)의 하류측에 배치된 배기 후단부(43b)를 포함한다. 배기 유로(43)는 팬(51)을 수용하고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 하우징(43c)을 포함한다. 팬 하우징(43c)은 배기 시단부(43a) 및 배기 후단부(43b)와 연결된다. 배기 후단부(43b)의 일단은 팬 하우징(43c)에 연결되고, 배기 후단부(43b)의 타단은 백 커버(13)의 배출홀(13a)에 연결된다. 도 2의 화살표 Ae을 참고하여, 드럼 내의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 시단부(43a), 팬 하우징(43c) 및 배기 후단부(4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동한다. 배기 유로(43)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홀(13a)을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배출된다.The exhaust flow path 43 includes an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an 51. [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supporter 27. [ The exhaust flow path 43 includes an exhaust rear end 43b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an 51. [ The exhaust flow path 43 includes a fan housing 43c which receives the fan 51 and forms a flow path of air. The fan housing 43c is connected to the exhaust start end 43a and the exhaust back end 43b. One end of the exhaust rear end 43b is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43c and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back end 43b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13a of the back cover 13. [ Referring to the arrow Ae in FIG. 2,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ort in the drum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xhaust start end 43a, the fan housing 43c, and the exhaust rear end 43b.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haust passage 4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 through the exhaust hole 13a.

배기 시단부(43a)는, 배기 시단부(43a)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입구(43a1)와, 배기 시단부(43a) 내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출구(43a2)를 형성한다. 유입구(43a1)는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홀에 연결된다. 유출구(43a2)는 상기 팬 하우징(43c)의 입구에 연결된다. 유입구(43a1)는 유출구(43a2)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좌우 방향 중 일측으로 유입구(43a1)가 배치되고 타측으로 유출구(43a2)가 배치된다. 유입구(43a1)는 배기 시단부(43a)의 후측면에 형성된다. 유출구(43a2)는 배기 시단부(43a)의 후측면에 형성된다.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forms an inlet 43a1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passes and an outlet 43a2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passes. The inlet 43a1 is connected to the hole of the front supporter 27. [ The outlet 43a2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an housing 43c. The inlet 43a1 is disposed above the outlet 43a2. An inlet 43a1 is disposed at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n outlet 43a2 is disposed at the other side. The inlet 43a1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start end 43a. The outlet 43a2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start end 43a.

배기 유로(43)는 하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부분(P)을 포함한다. 즉, 상기 유로 부분(P)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은 하측 방향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 부분(P)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Ae)을 3차원 방향 벡터(

Figure pat00001
)로 가정할 때, 상기 3차원 백터(
Figure pat00002
)는 하측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 부분(P)은 배기 시단부(43a)이다. 배기 시단부(43a) 내의 공기의 흐름 방향(Ae)은 하향 경사 방향이다.The exhaust flow path 43 includes a flow path portion P for guiding air downward. That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 the flow path portion P includes the lower direction component. The flow direction Ae of air in the flow path portion P is defined as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vector (
Figure pat00001
), The three-dimensional vector (
Figure pat00002
) Includes the lower-direction vector compon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w path portion P is an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The flow direction Ae of the air in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is a downward inclination direction.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수용된 포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80)를 포함한다. 습도 센서(80)는 포를 거쳐 흐르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습도 센서(80)는 배기 유로(43) 내에 배치된다. 습도 센서(80)는 공기 유로(40) 내로 감지부가 노출된다. 습도 센서(80)는 배기 유로(43)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습도 센서(80)는 센서 커버(90, 90')의 내부 공간(G, G')에 배치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humidity sensor 80 that senses the degree of drying of the received cloth. The humidity sensor 80 senses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loth. The humidity sensor 80 is disposed in the exhaust flow path 43. The humidity sensor (80) exposes the sensing portion into the air passage (40). The humidity sensor (80) senses the humidity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exhaust passage (43). The humidity sensor 80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s G, G 'of the sensor covers 90, 90'.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습도 센서(80)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90, 90')를 포함한다. 센서 수용부(90, 90')는 일측에 개구부(90h, 90h')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G, G')을 형성하는 센서 커버(92, 92')를 포함한다. 센서 커버(92, 92')는 배기 유로(43) 내에 고정된다.Referring to Figs. 4 to 7,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sensor receiving portions 90 and 90 'for accommodating the humidity sensor 80. As shown in Fig. The sensor receiving portions 90 and 90 'include sensor covers 92 and 92' that form internal spaces G and G 'that form openings 90h and 90h' on one side.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ixed in the exhaust passage 43.

센서 커버(92, 92')는 배기 유로(43) 내에 배치된다. 센서 커버(92, 92')는 상기 배기 시단부(43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커버(92, 92')는 상기 유로 부분(P)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92)는 커버 지지부(91)에 의해 배기 유로(43) 내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92)는 배기 유로(43)의 내측면에 직접 고정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43. The sensor covers 92 and 92 'may be disposed within the exhaust start end 43a.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disposed in the flow path portion P. The sensor cover 9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ixed in the exhaust passage 43 by the cover supporting portion 91. The sensor cover 9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direct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43.

센서 커버(92, 92')는 공기 흐름 방향(Ae)의 반대 방향을 마주보는 개구부(90h, 90h')를 가진 내부 공간(G, G')을 형성한다. 센서 커버(92, 92')는 내부 공간(G, G')이 상기 개구부(90h, 90h')를 제외하고 막혀있도록 구비된다. The sensor covers 92 and 92 'form internal spaces G and G' having openings 90h and 90h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provided so that the internal spaces G and G' are closed except for the openings 90h and 90h '.

센서 커버(92, 92')는 하측을 향하는 개구부(90h, 90h')를 가진 내부 공간(G, G')을 형성한다. 즉, 개구부(90h, 90h')가 향하는 방향이 연직 하향 방향 또는 하향 경사 방향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 부분(P) 내의 공기 흐름 방향(Ae)이 하향 경사 방향을 향하고, 개구부(90h, 90h')의 방향도 하향 경사 방향을 향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form internal spaces G and G' with openings 90h and 90h 'facing downward.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s 90h and 90h 'are directed may be a downward direction or a downward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flow direction Ae in the flow path portion P faces downward oblique direction, and the directions of the openings 90h and 90h 'also face downward oblique direction.

센서 커버(92, 92')는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커버(92, 92')는 공기 흐름 방향(Ae)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센서 커버(92, 92')는 흐르는 공기가 센서 커버(92, 92')의 외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꺾이며 이동하게 형성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may be formed as a whole in a streamlined shape.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in a streamlined manner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such that the flowing air smoothly bends and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센서 커버(92, 92')의 외표면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된다. 센서 커버(92, 92')의 외표면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흐름 방향(Ae)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하류측으로 갈수록 센서 커버(92, 92')의 상기 단면의 둘레가 점점 커진다.The out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so as to become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e out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to become gradually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Specifically, the circumferenc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센서 커버(92, 92')의 외표면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센서 커버(92, 92')는 공기 흐름 방향(Ae)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폭보다 공기 흐름 방향(Ae)으로의 길이가 크도록 형성된다.The out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elong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to have a larger length in the air flow direction Ae than a width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센서 커버(92, 92')는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된다. 센서 커버(92, 92')는 3차원 곡률을 가진 판체로 형성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as a plate having a three-dimensional curvature.

센서 커버(92, 92')는, 센서 커버(92, 92')의 상류측을 이루는 커버 상류부(92a, 92a')를 포함한다. 커버 상류부(92a, 92a')는 공기 흐름 방향(Ae)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커버 상류부(92a, 92a')는 흐르는 공기가 커버 상류부(92a, 92a’)의 외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꺾이며 이동하게 형성된다. 커버 상류부(92a, 92a’)는 공기 흐름 방향(Ae)을 마주보며 배치된다. 커버 상류부(92a, 92a’)는 공기 흐름 방향(Ae)을 바라보는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includ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that constitute the upstream side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are formed to be streamlined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are formed such that the flowing air smoothly bends and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are disposed facing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include convex curved surfaces facing the air flow direction Ae.

센서 커버(92, 92')는 센서 커버(92, 92')의 하류측을 이루는 커버 하류부(92c, 92c')를 포함한다. 커버 하류부(92c, 92c')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의 둘레가 점점 커진다. 커버 하류부(92c, 92c')는 공기 흐름 방향(Ae)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외표면을 형성한다. 커버 하류부(92c, 92c')는 상기 개구부(90h, 90h')를 형성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includ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which constitute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form an outer surface inclin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form the openings 90h and 90h'.

센서 커버(92, 92')는 커버 상류부(92a, 92a’)와 커버 하류부(92c, 92c')를 연결하는 커버 중간부(92b, 92b')를 포함한다. 커버 중간부(92b, 92b')의 상류 측단은 커버 상류부(92a, 92a’)의 하류 측단과 연결된다. 커버 상류부(92a, 92a’)의 하류 측단은 커버 하류부(92c, 92c')의 상류 측단과 연결된다. 커버 중간부(92b, 92b')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의 둘레가 점점 커진다. 커버 중간부(92b, 92b')는 공기 흐름 방향(Ae)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외표면을 형성한다. 커버 중간부(92b, 92b')는 상기 개구부(90h, 90h')를 형성한다.The sensor covers 92 and 92 'include cover intermediate portions 92b and 92b' connecting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and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The upstream ends of the cover middle portions 92b and 92b 'are connected to the downstream ends of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The downstream side ends of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are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s of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 cover intermediate portions 92b and 92b 'gradually become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e cover middle portions 92b and 92b 'form an outer surface inclin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cover middle portions 92b and 92b 'form the openings 90h and 90h'.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 중 하측면은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한다.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에는 상대적으로 공기의 흐름이 약하여 이물질(L)이 축적될 수 있다. 특히, 커버 하류부(92c, 92c')의 내측면에는 상당량의 이물질(L)이 축적될 수 있다. 이물질(L)은 공기의 흐름이나 중력의 작용 등에 의해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으로 떨어진 이물질(L)이 상기 하측면의 하향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개구부(90h, 90h')를 통해 센서 커버(92, 9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s 92, 92 'forms a downward inclination in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foreign matter L can be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due to a relatively low air flow. In particular, a considerable amount of foreign matter L can be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 The foreign matter L may fall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by the action of air flow or gravity. The foreign matter L that has fallen to the inner side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moves along the downward inclination of the lower sid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through the openings 90h and 90h ' .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된다.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흐름 방향(Ae)에 수직한 평면과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의 교선 기준으로, 하류측으로 갈수록 센서 커버(92, 92')의 상기 교선의 길이가 점점 커진다.The inn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so as to become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e inn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are formed to become gradually larg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intersection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intersection of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내부 공간(G, G')은 내부 공간(G, G')의 상류측에 배치된 상류부(G1, G1')를 포함한다. 내부 공간(G, G')은 내부 공간(G, G')의 하류측에 배치된 하류부(G3, G3')를 포함한다. 하류부(G3, G3')은 상류부(G1, G1')와 하류부(G3, G3')를 연결하는 중간부(G2, G2')를 포함한다. 하류부(G3, G3')의 하류 측단이 상기 개구부(90h, 90h')이다.The internal spaces G and G 'include upstream portions G1 and G1'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ternal spaces G and G '. The internal spaces G and G 'includ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ternal spaces G and G '. Th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include intermediate portions G2 and G2' connecting the upstream portions G1 and G1 'and th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The downstream ends of th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are the openings 90h and 90h'.

커버 상류부(92a, 92a’)는 내부 공간의 상류부(G1, G1')를 형성한다. 커버 하류부(92c, 92c')는 내부 공간의 하류부(G3, G3')를 형성한다. 커버 하류부(92c, 92c')는 개구부(90h, 90h')를 형성한다. 커버 중간부(92b, 92b')는 내부 공간의 중간부(G2, G2')를 형성한다. The cover upstream portions 92a and 92a 'form the upstream portions G1 and G1' of the internal space.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form th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of the internal space. The cover downstream portions 92c and 92c 'form openings 90h and 90h'. The cover middle portions 92b and 92b 'form intermediate portions G2 and G2' of the inner space.

공기 흐름 방향(Ae)에 대한 수직 방향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개구부(90h, 90h')의 단면적은 내부 공간의 상류부(G1, G1')의 단면적보다 크다. 내부 공간의 중간부(G2, G2')의 상기 단면적은 상류부(G1, G1')의 상기 단면적보다 크다. 내부 공간의 하류부(G3, G3')의 상기 단면적은 중간부(G2, G2')의 상기 단면적보다 크다. 개구부(90h, 90h')의 상기 단면적은 하류부(G3, G3')의 상류 측단의 상기 단면적보다 크다. 내부 공간(G, G')은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openings 90h and 90h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upstream portions G1 and G1' of the inner space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a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G2 and G2 'of the inner spac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stream portions G1 and G1'.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of the inner space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mediate portions G2 and G2'.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s 90h and 90h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stream ends of the downstream portions G3 and G3'. The internal spaces G and G 'ar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as they go downstream.

습도 센서(80)는 내부 공간의 상류부(G1, G1')에 배치된다. 습도 센서(80)는 센서 커버(92, 92')의 내측면 중 상류 측면에 배치된다. 습도 센서(80)의 감지부는 개구부(90h, 90h')를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습도 센서(80)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구비된다. 습도 센서(80)의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가 구비된다. 습도 센서(80)는 센서용 PCB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80 is disposed at the upstream portions G1 and G1 'of the internal space. The humidity sensor 80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sensor covers 92 and 92 '. The sensing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8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openings 90h and 90h '. A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umidity sensor 80 is provided. A circu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humidity sensor 80 is provided. The humidity sensor 80 may include a PCB for the sensor.

내부 공간(G, G')의 개구부(90h, 90h')의 방향은 하측 방향 성분을 포함한다. 내부 공간(G, G')의 개구부(90h, 90h')의 방향을 3차원 방향 벡터(

Figure pat00003
)로 가정할 때, 상기 3차원 백터(
Figure pat00004
)는 하측 방향 벡터 성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G, G')의 개구부(90h, 90h')의 방향은 하향 경사 방향이다.The directions of the openings 90h and 90h 'of the internal spaces G and G' include a downward component. The directions of the openings 90h and 90h 'of the internal spaces G and G'
Figure pat00003
), The three-dimensional vector (
Figure pat00004
) Includes the lower-direction vector component.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s of the openings 90h and 90h 'of the inner spaces G and G' are downward slanting directions.

내부 공간(G, G')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내부 공간(G, G')은 공기 흐름 방향(Ae)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의 폭보다 공기 흐름 방향(Ae)으로의 길이가 크도록 형성된다.The internal spaces G and G 'are elong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internal spaces G and G 'are formed so that the length in the air flow direction Ae is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90)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9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90)는 센서 커버(92, 92')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91)를 포함한다. 커버 지지부(91)의 일단은 배기 유로(43)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커버 지지부(91)의 타단은 센서 커버(92)에 고정된다. 커버 지지부(91)는 커버 상류부(92a)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91)는 센서 커버(92)의 상류측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sensor receiving portion 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cover supporting portion 91 for supporting the sensor covers 92 and 92 '. One end of the cover supporting portion 91 is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43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supporting portion 91 is fixed to the sensor cover 92. The cover supporting portion 91 can be fixed to the cover upstream portion 92a. The cover support 91 can be fixed to the center of the upstream side of the sensor cover 92.

센서 커버(92)는 전체적으로 종 모양으로 형성된다. 센서 커버(92)는 공기 흐름 방향(Ae)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을 축으로 하는 회전체(solid of revolution) 형상이다. 센서 커버(92)의 외표면은 상기 가상의 직선을 축으로 하는 회전체(solid of revolution) 형상이다. 센서 커버(92)의 내측면은 상기 가상의 직선을 축으로 하는 회전체(solid of revolution) 형상이다.The sensor cover 92 is formed as a whole in a bell shape. The sensor cover 92 is in the form of a solid of revolution about an imaginary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air flow direction Ae.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92 is in the form of a solid of revolution about the hypothetical straight line.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92 is in the form of a solid of revolution about the virtual straight line.

커버 상류부(92a)의 공기 흐름 방향(Ae)을 마주보는 외표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커버 중간부(92b)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하류부(92c)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 수용부(90)의 개구부(90h)는 원형을 이룬다.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upstream portion 92a facing the air flow direction Ae is hemispherical. The cover middle portion 92b is formed in a frustum shape. The cover downstream portion 92c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The opening 90h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has a circular shape.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수용부(90')는, 센서 커버(92')가 배기 유로(43)의 내표면에 직접 고정된다. 센서 커버(92')는 배기 유로(43)의 내표면에 고정되는 커버 고정부(92d')를 포함한다. 커버 고정부(92d')는 배기 유로(43)의 내표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커버 고정부(92d')는 공기 흐름 방향(Ae)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6 and 7, in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cover 92' is direct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assage 43. The sensor cover 92 'includes a cover fixing portion 92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43. The cover fixing portion 92d 'includes a portion which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43. The cover fixing portion 92d 'is elongated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Ae.

센서 커버(92')는 전체적으로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92)를 절반으로 자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 커버(92')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커버(92)를 상기 가상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형상이다. 내부 공간(G')의 일측은 센서 커버(92')의 내측면이 구획하고, 내부 공간(G')의 타측은 배기 유로(43)의 내표면이 구획할 수 있다.The sensor cover 92 'is formed as a whole by cutting the sensor cover 9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half. The sensor cover 92 'is a shape obtained by cutting the sensor cover 92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to a plane including the hypothetical axis. One side of the inner space G 'is partitio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92'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G 'is partitio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passage 43.

커버 상류부(92a’)는 반구형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중간부(92b')는 원뿔대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중간부(92b')는 배기 유로(43)의 내표면에서 돌출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커버 하류부(92c')는 원뿔대의 절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하류부(92c')는 배기 유로(43)의 내표면에서 돌출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센서 수용부(90')의 개구부(90h')는 반원형을 이룬다.The cover upstream portion 92a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half shape. The cover middle portion 92b 'is formed in a half shape of a truncated cone. The cover middle portion 92b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43. The cover downstream portion 92c 'is formed in a half shape of a truncated cone. The cover downstream portion 92c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43. The opening 90h 'of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90' has a semicircular shape.

100 : 세탁물 처리장치 10 : 케이싱
15 : 도어 23 : 드럼
24 : 롤러 27 : 전방 서포터
28 : 후방 서포터 40 : 공기 유로
41 : 급기 유로 43 : 배기 유로
43a : 배기 시단부 43a1 : 유입구
43a2 : 유출구 43b : 배기 후단부
43c : 팬 하우징 51 : 팬
53 : 히터 55 : 필터
60 : 전극 센서 M : 모터
90, 90' : 센서 수용부 91 : 커버 지지부
92, 92' : 센서 커버 92a, 92a' : 커버 시단부
92b, 92b' : 커버 중간부 92c, 92c' : 커버 종단부
92d' : 커버 고정부 90h, 90h' : 커버 홀
G, G' : 센서 커버의 내부 공간 G1, G1' : 내부 공간의 상류부
G2, G2' : 내부 공간의 중간부 G3, G3' : 내부 공간의 하류부
100: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 casing
15: door 23: drum
24: roller 27: front supporter
28: rear supporter 40: air passage
41: air supply flow path 43: exhaust flow path
43a: Exhaust starting end 43a1: Inlet port
43a2: Outlet 43b: End of exhaust
43c: fan housing 51: fan
53: heater 55: filter
60: Electrode sensor M: Motor
90, 90 ': sensor receiving portion 91: cover supporting portion
92, 92 ': sensor cover 92a, 92a': cover front end
92b, 92b ': cover middle portion 92c, 92c': cover end portion
92d ': Cover fixing portion 90h, 90h': Cover hole
G, G ': internal space of sensor cover G1, G1': upstream part of internal space
G2, G2 ': middle part of inner space G3, G3': lower part of inner space

Claims (10)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
상기 배기 유로 내에 배치되고, 공기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마주보는 개구부를 가진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내부 공간의 상류부의 단면적보다 큰 세탁물 처리장치.
A drum for receiving the can;
An air supply passage for guiding air into the drum;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flow out from the drum;
A sensor cover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and defining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And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sensor cover,
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is larg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stream portion of the inner space, based on a cross-sectional area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류부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midity sensor is disposed upstream of the internal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하류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in a downstream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개구부의 방향은 하측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inner space includes a lower direction compon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의 내측면 중 하측면은 하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forms a downward tilt in a downstream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로는 하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유로 부분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haust flow path includes a flow path portion for guiding air downward,
And the sensor cover is disposed in the flow path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의 상류부는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stream portion of the sensor cover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with respect to an air flow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의 외표면은 하류측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is formed to be larger toward a downstream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의 외표면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is elong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Wherein the inner space is elongated in the air flow direction.
포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유로;
상기 드럼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유로;
상기 배기 유로 내에 배치되고, 공기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을 마주보고 하측을 향하는 개구부를 가진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센서 커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A drum for receiving the can;
An air supply passage for guiding air into the drum;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flow out from the drum;
A sensor cover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and defining an inner space having an opening facing down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flow direction; And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sensor cover.
KR1020170031966A 2017-03-14 2017-03-14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2436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66A KR102436700B1 (en) 2017-03-14 2017-03-14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66A KR102436700B1 (en) 2017-03-14 2017-03-14 Device for treating laund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74A true KR20180104974A (en) 2018-09-27
KR102436700B1 KR102436700B1 (en) 2022-08-25

Family

ID=6371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966A KR102436700B1 (en) 2017-03-14 2017-03-14 Device for treating laund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7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5701A1 (en) * 2020-11-18 2022-05-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ir duct structure and clothes dry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26A (en)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umidity sensor for clothes dryer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26A (en)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umidity sensor for clothes dryer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5701A1 (en) * 2020-11-18 2022-05-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Air duct structure and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700B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2114B1 (en) Clothing dryer
US9228293B2 (en) Clothing dryer
EP2287387A2 (en) Dryer door and dryer comprising the same
KR20100040478A (en) Clothing dryer and door of the same
US9885145B2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0732550B1 (en) Clothing dryer
CA2531591C (en) Clothes dryer with improved air flow
JP2007244469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2373023B1 (en) Fabric dryer
KR101225502B1 (en) Clothing dryer
KR20180104974A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JP2007029492A (en) Drum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KR20150121404A (en) Dryer for clothes
KR20210047013A (en) Clothes dryer
CN111712596A (en) Clothes treating device
CN111164256B (en) Drying machine
KR102373022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31501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20030041385A (en) Cloth dryer
KR102373024B1 (en) Fabric dryer
KR100669182B1 (en) Circulator for inhalation and exhaust of dryer
KR200264785Y1 (en) Cloth dryer
JP6572434B2 (en) Clothes dryer
KR101034195B1 (en) Clothes Drying Apparatus
KR100585323B1 (en) Clothes Dr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