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501B1 - Device for treating laundry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eating laund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501B1
KR102431501B1 KR1020170033584A KR20170033584A KR102431501B1 KR 102431501 B1 KR102431501 B1 KR 102431501B1 KR 1020170033584 A KR1020170033584 A KR 1020170033584A KR 20170033584 A KR20170033584 A KR 20170033584A KR 102431501 B1 KR102431501 B1 KR 10243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accommodating
accommodating space
laundr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6037A (en
Inventor
조홍준
류병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501B1/en
Priority to PCT/KR2018/003100 priority patent/WO2018169351A1/en
Publication of KR2018010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5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를 건조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는, 투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메인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서브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서브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메인 수용 공간과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서로 분리시키고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forming an inlet; a mai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asing and forming a main accommodating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a sub 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the door and forming a sub accommodating space. The sub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separating part separat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from each oth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Device for treating laundry}Laundry processing equipment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가진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 drying function.

세탁물(이하 '포')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젖은 포를 건조시킨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공기 유로 및 포가 수용되는 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안내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압력을 가하는 팬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하는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drying laund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oth') dries the wet cloth by supplying dry ai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n air passage and a drum in which the cloth is accommodat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heater for dehumidifying and heating air guided along the air flow path, and a fan disposed on the air flow path to apply pressure to flow the air. In addition,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ilter disposed on the air passage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known.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와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로 분류된다. 또한, 드럼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되고 나머지는 순환되어 다시 드럼으로 공급되는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가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classified in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n exhaust-type drying system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circulation-type drying system according to how the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with the fabric is treated. In addition, there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hybrid system in which some of the air inside the drum is exhausted and the rest is circulated and supplied back to the drum.

종래 기술(한국등록특허공보 10-1592318)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분리된 수용 공간에 담은 상태에서 포를 건조시킨다. 상기 종래 기술은, 포를 수용하는 메인 드럼의 개구를 개폐하는 수용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별도의 리드 부재와, 상기 수용 부재 및 상기 리드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별도의 포를 수용하는 서브드럼본체와, 상기 서브드럼본체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별도의 서브드럼리드부재를 구비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92318) dries the fabric in a state in which the fabric is placed in a separate accommodation space. In the prior art, a accommodat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main drum for accommodating the fabric, a separate lead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member,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lead member to separate and a sub-drum body accommodating the cloth of the sub-drum body, and a separate sub-drum lead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 front opening of the sub-drum body.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92318 (등록일자 : 2016년 2월 1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92318 (Registration Date: February 1, 2016)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포를 분리 건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dry the fabric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에서, 상기 서브드럼본체를 열기 위해서는 상기 리드 부재와 상기 서브드럼리드부재를 차례로 열어야 하며, 상기 메인 드럼을 열기 위해서는 또 다시 수용 부재를 열어야 해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open the sub-drum main body, the lid member and the sub-drum lead member must be sequentially opened, and in order to open the main drum, the receiving member must be opened again, which is inconvenient.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와 메인 드럼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야 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드럼본체와 상기 리드부재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되어야 해서, 2 중의 실러 등이 필요하여 구조적인 소요가 증가하는 무제가 있다. 또한, 개폐 동작을 위한 부품들이 많아 구조적인 소요가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irtightness between the door and the main drum must be maintained and airtightness between the sub-drum body and the lead member must also be maintained. have. In addition, there are many parts for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ructural requirements further increase.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분리된 수용 공간 모두에 건조가 원활하게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mooth drying in all of the separated accommodation spaces.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분리된 수용 공간을 회전 동작시켜 포의 전체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the separated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entire fabric can be dried evenly.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분리된 2개의 수용 공간 모두를 최소의 동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both of the two separated accommodating spaces with a minimum power.

종래 기술에 있어서 서브드럼 내의 포의 건조도 감지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dryness of the fabric in the sub-drum. A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포에 열풍을 공급하여 포를 건조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는, 분리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하면서도, 분리된 수용 공간 모두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the fabric by supplying hot air to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both of the separated accommodation spaces can be dried while forming a separate accommodating space.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투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메인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서브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서브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메인 수용 공간과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서로 분리시키고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용 분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casing for forming an inlet; a mai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asing and forming a main accommodating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t is disposed on the door and includes a sub accommodating portion forming a sub accommodating space. The sub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separating part separat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from each oth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separation un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oper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ub-accommodating space.

상기 분리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closes the inlet.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마주보는 수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에 상기 서브 수용부가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and may form a receiving groove facing the inlet. The sub accommodating part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상기 분리부는,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의 바깥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 may be provided to be foldable to the outside of the sub-accommodating space.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개폐용 분리부가 개폐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용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fixing separation unit for supporting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to be operable to open and close.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부의 포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disposed on the door and sensing the degree of drying of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space.

상기 세탁물 처리치는, 상기 메인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main accommodation unit. The sub-accommodating par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시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포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ub-accommodating part may be provided to be rotated by a cloth moving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whe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rotates.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분리부에서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부를 향해 돌출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blade protruding from the separation part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상기 메인 수용부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서브 수용부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accommodating part may be rotatably provided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and the sub accommodating part may be rotatably provided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blade may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receiving part.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 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lade may form a surface recess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receiving part.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수용부에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shaft coupled to the door and providing a rotation shaft to the sub-accommodating unit.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분리부가 고정되고, 상기 분리부와 함께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support part to which the separating part is fixe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separating part,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부로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대적 이동 궤적을 따라 노출 홀을 형성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disposed on the door and including a portion exposed into the sub-accommodating space. The support part may form an exposure hole along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relative to the support part.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회전축 커넥터와; 상기 분리부가 고정된 분리부 커넥터와; 상기 회전축 커넥터와 분리부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노출 홀의 일부를 가리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rotary shaft connector connected to the shaft; a separation part connector to which the separation part is fixed; A bridg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and the separation unit connector and cover a part of the exposed hole.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보다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bridge may be disposed inside the sub-accommodating space than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상기 과제 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포를 건조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는, 투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메인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수용부와; 상기 메인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서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시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포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서브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the fabric, the casing forming an inlet; a mai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asing and forming a main accommodating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motor for rotating the main accommodating par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t may include a sub-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the door, forming a sub-accommodating space, and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cloth moving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whe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is rotated.

세탁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1회의 건조 행정으로도, 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나누어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Even with one drying cycle using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bric can be divided and dri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또한, 포를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건조 행정을 할 수 있으며, 먼저 건조되는 포를 분리하여 건조 진행 시킴으로써 건조행정 중에 사용자가 먼저 건조된 포만 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separating the fabrics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and by separating the fabrics to be dried first and proceeding with dry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only the first dried fabrics during the drying process.

또한, 속옷 등의 청결도가 중요한 포나 흰색의 의류 등 변색 방지가 중요한 의류를 다른 종류의 포들과 분리시켜 건조함으로써, 일부 포의 청결도 유지와 변색 방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and drying clothes that are important to prevent discoloration, such as fabrics, such as underwear, or white clothes, where cleanliness is important,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some fabrics and preventing discoloration.

또한, 도어를 열고 닫음으로써 상기 메인 수용부가 개폐되고, 분리부를 열고 닫음으로써 상기 서브 수용부가 개폐되는 바, 구조적인 소요가 크게 감소하여 생산성이 올라가면서도, 사용자가 개폐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와 상기 케이싱 사이의 기밀성만 유지하면, 상기 메인 수용부 및 상기 서브 수용부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어, 오직 하나의 실러만 구비되면 되어 구조적인 소요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sub accommodating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paration part. It has the effect that Further, if only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door and the casing is maintained, the airtightness of the main accommodation part and the sub accommodation part can be maintained, and only one sealer is provided, thereby reducing structural requirements.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의 바깥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열림된 상태에서만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열 수 있게 해주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unit is provided to be foldable to the outside of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o that the sub accommodating space can be open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user.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메인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로 공급되는 열풍이 원활하게 상기 서브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art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oothly flows into the sub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서브 수용부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브 수용부 내의 포가 텀블링 동작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ub-accommodating part rotatably,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tumbling operation of the cloth in the sub-accommodating part.

또한,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의 이동하는 포에 의해 회전되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구동 모터 없이도 상기 서브 수용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가 상기 메인 수용부에만 회전력을 가하면, 포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서브 수용부에도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은 상기 메인 수용 공간에 비해 부피가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수로 회전되더라도 건조 행정이 충분히 진행될 수 있는 바,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상기 서브 수용부가 회전하여 효율적으로 동력이 분배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b accommodating part is rotated by the cloth moving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o that the sub accommodating part can be rotated without an additional driving motor. Specifically, when the motor applies a rotational force only to the main receiving portion, the rotational force by the cloth is also transmitted to the sub-accommodating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sub accommodating space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the drying process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even if the sub accommodating space is rotated at a relatively small rotational speed. This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distributing power.

또한, 상기 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메인 수용부 내에서 회전하는 포에 의한 회전력이 효율적으로 상기 서브 수용부에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blad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by the cloth rotating in the main accommodation portion is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ub accommodation portion.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함몰된 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의 포의 회전력이 더욱 효율적으로 상기 서브 수용부에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recessed surface of the blad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bric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is mor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ub accommodating portion.

또한, 상기 습도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서브 수용부내의 포의 건조도를 별도로 감지할 수 있어, 상기 서브 수용부 내의 포의 과건조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량 포를 부피가 큰 상기 메인 수용 공간에 넣으면 건조도 감지가 곤란한 반면, 부피가 작은 상기 서브 수용 공간에 넣으면 건조도 감지가 정확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humidity sensor,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detect the degree of dryness of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part, thereby preventing overdrying of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part. In addition, when a small amount of fabric is placed in the bulky main accommodating spac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dryness level, whereas when a small amount of fabric is placed in the sub-accommodating space with a small volu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yness detection is accurate.

나아가, 상기 서브 수용부 내의 포의 정확한 건조도 감지를 근거로 하여, 건조 행정의 다양하고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속옷 및 와이셔츠 등 비교적 빨리 건조되어 완전 건조 시점을 보다 정확히 감지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건조 행정을 중지하고 해당 포를 인출해야 할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Furthermore, based on the accurate detection of the dryness of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and efficient control of the drying process is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time of complete drying needs to be more accurately detected because underwear and shirts are dried relatively quickly, the drying process may be stopped and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time when the corresponding fabric should be taken out.

또한, 상기 지지부의 노출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이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의 포에 접촉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노출 홀이 맞물려 상기 서브 수용부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exposed hole of the support part,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can contact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and the exposed hole are engaged to rotate the sub-accommodating part This has the effect of stably guiding.

또한, 상기 브릿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면서도,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습도 센서의 상대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ile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bridge,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humidity senso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2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의 일측 사이드 커버(12)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라인 S1-S1'를 따라 세탁물 처리장치(20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본체(1)의 분해 사시도로서, 프론트 커버(11), 사이드 커버(12), 탑 커버(14) 및 베이스(15)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도어(110) 및 서브 수용부(150)를 도시한 부분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서브 수용부(15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라인 S2-S2'를 따라 도어(110) 및 서브 수용부(15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도어(210) 및 서브 수용부(250)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서브 수용부(25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라인 S3-S3'을 따라 도어(210) 및 서브 수용부(25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of FIGS. 1 and 2 when one side cover 12 is removed, as viewed from the ins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00 taken along the line S1-S1' of FIG. 3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1 of FIGS. 1 and 2 , in which the front cover 11 , the side cover 12 , the top cover 14 and the base 15 are removed.
FIG. 6 is a partial elevation view showing the door 110 and the sub-accommodating part 150 of FIG. 1 .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150 of FIG. 6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110 and the sub-accommodating part 150 taken along the line S2-S2' of FIG. 6 .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oor 210 and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of FIG. 2 .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of FIG. 9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210 and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taken along the line S3-S3' of FIG. 9 .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before (F) / after (R) / left (Le) / right (Ri) / up (U) / down (D)” mentioned below are clearly understoo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ast It is for explanation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standard is placed.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장치도 구현 가능하다.The use 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in front of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only to avoid confusion of the components referred to, and the order, importance, or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etc. is irrelevant For example, an apparatus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일 실시예로서 건조기(100, 200)가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포를 건조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라면 어떤 장치든 적용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equipped with a drying function. Although the dryers 100 and 200 ar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s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dries the fabric may be applied.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는 포에 열풍을 공급하여 포를 건조시킨다.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는 포를 수용하는 메인 수용 공간(Sm)을 제공하는 본체(1)와, 본체(1)의 투입구(11a)를 개폐하는 도어(110, 210)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는 서브 수용 공간(Ss)을 제공하는 서브 수용부(150, 250)를 포함한다.1 and 2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y hot air to the fabric to dry the fabric.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include a main body 1 providing a main accommodation space Sm for accommodating the cloth, and doors 110 and 210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1a of the main body 1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include sub 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providing a sub accommodating space Ss.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 1 및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의 공통 구성인 본체(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 which is a common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본체(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메인 수용부(23)와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10)은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12)와, 후측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13)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를 지지하는 베이스(15)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4)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투입구(11a)를 형성한다. 투입구(11a)를 통해, 포가 메인 수용부(23)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메인 수용부(23) 내의 포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body 1 includes a casing 10 defining an exterior. The casing 10 provides an interior space in which the main receptacle 23 and other components are disposed. The casing 10 includes a front cover 11 forming a front surface, a side cover 12 forming both side surfaces, and a back cover 13 forming a rear surface. The casing 10 includes a base 15 that forms a bottom surface and support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 The casing 10 includes a top cover 14 defining an upper side thereof. The casing 10 forms an inlet 11a. Through the inlet 11a, the cloth may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main receiving part 23 or the cloth in the main receiving part 23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베이스(15)는 수평한 판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5) 위에 일체로 형성된 케비닛(12, 13)이 설치된다. 케비닛(12, 13)은 전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커버(12) 및 백 커버(13)를 포함한다. 탑 커버(14)는 케비닛(12, 13)의 상측에 배치된다.The base 15 is made of a horizontal plate body. The cabinets 12 and 13 integrally formed on the base 15 are installed. The cabinets 12 and 13 are formed in a "C"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include a side cover 12 and a back cover 13 . The top cover 14 is disposed above the cabinets 12 , 13 .

본체(1)는 포를 메인 수용 공간(Sm)으로 인출입할 수 있는 투입구(11a)를 형성한다. 투입구(11a)는 프론트 커버(11)에 형성된다. The main body 1 forms an inlet 11a through which the fabric can be withdrawn into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he inlet 11a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11 .

본체(1)는 프론트 커버(11)의 상부에 배치된 컨트롤 패널(16)을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16)은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의 작동 상태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정보를 음성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은 사용자로부터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 includes a control panel 16 disposed on top of the front cover 11 . The control panel 16 includes an output unit (not shown) for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operating state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not shown) for outputting information by voice.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The control panel 16 includes an input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button, a dial, a touch screen, and the like.

본체(1)는 포를 수용하는 메인 수용부(23)을 포함한다. 메인 수용부(23)은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된다. 메인 수용부(23)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메인 수용부(23)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메인 수용부(23)는 전체적으로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다. 메인 수용부(23)는 포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 수용 공간(Sm)을 형성한다. 메인 수용 공간(Sm)은 메인 수용부(23)의 내부에 형성된다. 메인 수용 공간(Sm)은 투입구(11a)와 연결된다. 메인 수용부(23)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써, 전면은 투입구(11a)와 연결된다.The body 1 includes a main accommodating part 23 for accommodating the fabric. The main receiving part 23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10 .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rotatably disposed. The main receiving part 23 is rotatably provided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formed in a drum shape as a whole.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forms a main accommodating space Sm for accommodating the fabric.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is formed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is connected to the inlet 11a. The main receiving part 23 i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front and back, and the front is connected to the inlet 11a.

메인 수용부(23)의 내주면에는 의류를 퍼 올리기 위한 리프터(23a)가 구비된다. 리프터(23a)는 메인 수용부(23)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리프터(23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복수의 리프터(23a)가 메인 수용부(23)의 회전축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수용부(23)가 회전되는 중에, 리프터(23a)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될 수 있다.A lifter 23a for picking up clothes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lifter 23a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lifter 23a extend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plurality of lifters 23a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receiving part 23 . While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rotated, it may be repeated that clothes are picked up and dropped by the lifter 23a.

본체(1)는 메인 수용부(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를 포함한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는 케이싱(10) 내에 배치된다. 전방 서포터(27)는 메인 수용부(23)의 전단을 지지한다. 후방 서포터(28)는 메인 수용부(23)의 후단을 지지한다.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는 링 형태의 돌기 또는 홈 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가 형성된다. 메인 수용부(23)의 전단 및 후단이 상기 가이드와 맞물림으로써, 메인 수용부(23)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 includes a front supporter 27 and a rear supporter 28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supporter 28 are disposed in the casing 10 . The front supporter 27 supports the front end of the main receiving part 23 . The rear supporter 28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supporter 28 are formed with guides made of ring-shaped protrusions or grooves. As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engage the guide,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may be rotated stably.

전방 서포터(27)와 후방 서포터(28)에는 각각 메인 수용부(23)을 지지하는 롤러(24)가 구비된다. 메인 수용부(23)의 외주면이 롤러(24)와 접촉된다.The front supporter 27 and the rear supporter 28 are provided with rollers 24 for supporting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respective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24 .

본체(1)는 모터(M)를 포함한다. 모터(M)는 메인 수용부(23)을 회전시킨다. 모터(M)는 팬(51)을 회전시킨다. 도 2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서, 모터(M)는 메인 수용부(23)을 회전시키는 기능 및 팬(5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양축 모터(M)이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메인 수용부(23)을 회전시키는 제 1모터 및 팬을 회전시키는 제 2모터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모터(M)는 어느 경우로 구비되든 무방하다. RPM이 변경 제어되는 모터(M)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M)는 BLDC 모터일 수 있다.The body 1 includes a motor M. The motor M rotates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motor M rotates the fan 51 . Referring to FIG. 2 , in one embodiment, the motor M is a dual-axis motor M that performs a function of rotating the main receiving part 23 and a function of rotating the fan 51 . Although not show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and a second motor for rotating the fan, respectively. The motor M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y case. A motor M in which RPM is changed and controlle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motor M may be a BLDC motor.

본체(1)는 모터(M)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재(22)를 포함한다. 모터 지지부재(22)는 베이스(15) 상에 고정된다. 모터 지지부재(22)는 모터 지지부재(22)에 의해 지지된다. 모터(M)는 메인 수용부(23)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M)는 팬(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양축 모터(M)는 팬(51)과 결합되는 팬 모터 축(51s)과, 메인 수용부(23)에 감긴 벨트(29)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갖는 수용부 모터 축(23s)을 포함한다.The body 1 includes a motor support member 22 for supporting the motor M. The motor support member 22 is fixed on the base 15 . The motor support member 22 is supported by the motor support member 22 . The motor M provides power for rotating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motor M may rotate the fan 51 . The double-axis motor M includes a fan motor shaft 51s coupled to the fan 51 , and a housing part motor shaft 23s having a drive pulley on which a belt 29 wound around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caught.

벨트(2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26)가 모터 지지부재(22)에 설치된다. 벨트(29)가 상기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26)에 걸린 상태로 메인 수용부(23)의 외주면을 감싼다. 모터(M)의 회전시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벨트(29)가 이송되고, 벨트(29)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메인 수용부(23)가 회전된다.An idle pulley 26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elt 29 is installed on the motor support member 22 . The belt 29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n a state in which it is caught by the driving pulley and the idle pulley 26 . When the motor M rotates, the belt 29 is transported by the drive pulley, and the main receiving part 23 is rotated by the frictional force acting therebetween.

본체(1)는 메인 수용부(23)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메인 수용부(23)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공기 유로(40)를 포함한다. 공기 유로는 메인 수용부(23)에 대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안내한다.The main body 1 includes an air flow path 40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and outflowing the air from the inside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air flow path guides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to and from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공기 유로(40)는 메인 수용부(23)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급기 덕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41)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 또는 케이싱(10) 외부의 공기를 메인 수용부(23) 내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기 덕트(41)는 케이싱(10) 내부의 공기(케이싱의 내측면과 메인 수용부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메인 수용부(23) 내로 안내한다. The air flow path 40 may include an air supply duct 41 for guiding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air supply duct 41 may guide the air inside the casing 10 or the air outside the casing 10 into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supply duct 41 guides the air inside the casing 10 (ai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receptacle) into the main receptacle 23 .

공기 유로(40)는 메인 수용부(23) 내로부터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하는 배기 덕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43)는 케이싱(10)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 덕트(43)는 메인 수용 공간(Sm) 내의 공기를 케이싱(10)의 외부로 안내한다.The air flow path 40 may include an exhaust duct 43 guiding the air to flow out from the main accommodation part 23 . The exhaust duct 43 may guide air into or out of the casing 10 . In this embodiment, the exhaust duct 43 guides the air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 .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유로는 메인 수용 공간(Sm) 내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고 유출된 공기가 다시 메인 수용 공간(Sm) 내로 유입되게 안내하는 순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flow path may include a circulation duct that discharges air from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and guides the discharged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again.

본체(1)는 메인 수용부(23)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3)를 포함한다. 히터(53)는 급기 덕트(41) 상에 배치된다. 히터(53)는 급기 덕트(41)와 연결된다. 본체(1)는 히터(53)를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재(53a)를 포함한다. 히터 지지부재(53a)는 베이스(15)에 고정된다.The body 1 includes a heater 53 that heats the air flowing into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heater 53 is disposed on the air supply duct 41 . The heater 53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41 . The body 1 includes a heater support member 53a for supporting the heater 53 . The heater support member 53a is fixed to the base 15 .

본체(1)는 공기 유로(40) 상에 배치된 팬(51)을 포함한다. 팬(51)은 공기 유로(40) 상의 공기가 흐르도록 압력을 가한다. 팬(52)은 급기 덕트(41) 및 배기 덕트(43)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유로(40)는 메인 수용부(23) 내의 공기를 유출시켜 메인 수용부(23) 내로 다시 유입시키는 순환 덕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팬(51)은 상기 순환 덕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51)은 배기 덕트(43) 상에 배치된다. 팬(51)은 원심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1 includes a fan 51 disposed on an air flow passage 40 . The fan 51 applies pressure so that the air on the air passage 40 flows. The fan 52 may be disposed in any one of the air supply duct 41 and the exhaust duct 43 . As another example, the air flow path 40 may include a circulation duct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and introducing it back into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n this case the fan 51 is the It may be disposed on the circulation duct. In this embodiment, the fan 51 is disposed on the exhaust duct 43 . The fan 51 may be provided as a centrifugal fan.

팬(51)은 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팬(51)은 모터(M)의 팬 모터 축(51s)에 결합된다. 팬(51)의 회전시 팬(51)의 흡입력에 의해 메인 수용부(23) 내에 부압이 작용하여, 급기 덕트(41)를 통과한 공기가 메인 수용부(23) 내로 유입된다. 도 3 내지 도 5의 화살표 As를 참고하여, 히터(5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급기 덕트(41)의 히터 연결부(41a)로 유입된 후, 출구(41b) 및 급기구(28a)를 통해 메인 수용부(23) 내로 공급된다.The fan 51 is rotated by the motor M. The fan 51 is coupled to the fan motor shaft 51s of the motor M. When the fan 51 rotates, a negative pressure acts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51 ,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duct 41 flows into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3 to 5, after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53 flows into the heater connection part 41a of the air supply duct 41, through the outlet 41b and the air supply port 28a It is supplied into the main receptacle 23 .

팬(51)의 회전에 의해 메인 수용부(23) 내의 공기가 배기 덕트(43) 내로 유입된다. 전방 서포터(27)는 입구(27a)의 하측에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과홀(미도시)을 형성한다. 팬(51)의 작동시 메인 수용부(23) 내의 공기가 배기구(55h) 및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배기 덕트(43) 내로 유입된다. The air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flows into the exhaust duct 43 by rotation of the fan 51 . The front supporter 27 forms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let 27a passes. When the fan 51 is operated, the air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duct 43 through the exhaust port 55h and the through hole.

배기 덕트(43)는 팬(51)의 상류측에 배치된 배기 시단부(43a)를 포함한다. 배기 시단부(43a)는 상기 통과홀의 전방에 배치된다. 배기 덕트(43)는 팬(51)의 하류측에 배치된 배기 후단부(43b)를 포함한다. 배기 덕트(43)는 팬(51)을 수용하고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 하우징(43c)을 포함한다. 팬 하우징(43c)은 배기 시단부(43a) 및 배기 후단부(43b)와 연결된다. 배기 후단부(43b)의 일단은 팬 하우징(43c)에 연결되고, 배기 후단부(43b)의 타단은 백 커버(13)의 배출홀(13a)에 연결된다. 도 2의 화살표 Ae을 참고하여, 배기구(55h)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 시단부(43a), 팬 하우징(43c) 및 배기 후단부(4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이동한다. 배기 덕트(43)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홀(13a)을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배출된다. The exhaust duct 43 includes an exhaust start end 43a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an 51 . The exhaust start end portion 43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hrough hole. The exhaust duct 43 includes an exhaust rear end 43b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an 51 . The exhaust duct 43 includes a fan housing 43c that accommodates the fan 51 and forms a flow path for air. The fan housing 43c is connected to the exhaust start end 43a and the exhaust rear end 43b. One end of the exhaust rear end 43b is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43c, and the other end of the exhaust rear end 43b is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13a of the back cover 13 . Referring to arrow Ae of FIG. 2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port 55h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exhaust start end 43a, the fan housing 43c and the exhaust rear end 43b and mov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duct 4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a).

본체(1)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5)를 포함한다. 필터(55)는 공기 유로(40)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에 구비된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의 후측에 배치된다. 필터(55)는 메인 수용부(23)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된다. 필터(55)는 메인 수용부(23)로부터 배기구(55h)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채집한다. 필터(55)는 전방 서포터(27)에 배치되는 필터 마운트(55a, 55b)를 포함한다. 필터 마운트(55a, 55b)는 필터 삽입구를 형성한다. 필터 마운트(55a, 55b)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 배치되는 전방 파트(55a)와 후방 파트(55b)를 포함한다. 전방 파트(55a)는 전방 서포터(27)의 상기 통과홀과 연결되고, 후방 파트(55b)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55h)를 형성한다. 복수의 배기구(55h)가 형성된다. 필터(55)는 상기 필터 삽입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교체 필터부(55c)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삽입구는 상측을 향해 오픈(open)된다. 교체 필터부(55c)는 미세한 소공을 가지는 필터망을 포함할 수 있다. 교체 필터부(55c)는 상기 필터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끌어 올려져 상기 필터 삽입구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교체 필터부(55c)가 상기 필터 삽입구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팬(51)이 작동하면, 메인 수용부(23) 내의 공기가 배기구(55h), 교체 필터부(55c) 및 상기 통과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The body 1 includes a filter 55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The filter 55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passage 40 . The filter 55 is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er 27 . The filter 55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supporter 27 . The filter 55 is dispos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filter 55 collec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floating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through the exhaust port 55h. The filter 55 includes filter mounts 55a and 55b disposed on the front supporter 27 . The filter mounts 55a and 55b form a filter insert. The filter mounts 55a and 55b include a front part 55a and a rear part 55b which are coupled and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part 55a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front supporter 27 , and the rear part 55b forms an exhaust port 55h through which air passes.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55h are formed. The filter 55 includes a replacement filter unit 55c that is detachably inserted through the filter insertion hole. The filter insertion hole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The replacement filter unit 55c may include a filter net having fine pores. The replacement filter unit 55c may be pulled up by a user's manipula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and taken out from the filter insertion hole. When the fan 51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replacement filter unit 55c is inserted into the filter insertion hole, the air in the main accommodating unit 23 passes through the exhaust port 55h, the replacement filter unit 55c, and the through hole sequentially. pass through

도 1, 도 2, 도 3 및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는 투입구(11a)를 개폐하는 도어(110, 210)를 포함한다. 도어(110, 210)는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1, 2, 3 and 6 to 11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include doors 110 and 2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1a. The doors 110 and 21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10 .

도어(110, 210)는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11, 211)을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11, 211)은 프론트 커버(11)에 연결된다. 도어 프레임(111, 211)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판체로 형성된다.The doors 110 and 210 include door frames 111 and 211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10 . The door frames 111 and 211 are connected to the front cover 11 . The door frames 111 and 211 are gene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body.

도어(110, 210)는 서브 수용부(150, 250)가 배치되는 배치부(113, 213)를 포함한다. 서브 수용부(150, 250)는 도어(110, 21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도어(110, 210)에 착탈 불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The doors 110 and 210 include arrangement portions 113 and 213 in which the sub-accommodating portions 150 and 250 are disposed. The sub-accommodating units 150 and 250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doors 110 and 210 , or may be disposed non-removably on the doors 110 and 210 .

배치부(113, 213)는 도어(110, 210)의 투입구(11a)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배치부(113, 213)는 도어(110, 21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배치부(113, 213)는 도어(110, 21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어(110, 210)의 내측면이란, 도어(110, 2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에서 메인 수용부(23)의 내부를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The arrangement parts 113 and 213 are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the inlet 11a of the doors 110 and 210 . The arrangement parts 113 and 213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oors 110 and 210 . The arrangement parts 113 and 213 are disposed on inner surfaces of the doors 110 and 210 .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s 110 and 210 means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main receiving part 23 in a state where the doors 110 and 210 close the inlet 11a.

도어(110, 210)는 투입구(11a)를 마주보는 수용 홈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 홈은 배치부(113, 213)에 형성된다. 도어(110, 2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용 홈은 도어(110, 210)의 후측면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 홈의 후방에 서브 수용부(150, 250)가 배치된다. 도어(110, 210)의 상기 수용 홈에 의해 서브 수용 공간(Ss)의 부피를 넓혀줄 수 있다.The doors 110 and 210 form a receiving groove facing the inlet 11a.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arrangement portions 113 and 213 . When the door 110, 210 is described based on the closed state of the inlet 11a,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by recessing the rear side surfaces of the doors 110 and 210 forward. Sub-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ceiving groove. The volume of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may be increased by the accommodating grooves of the doors 110 and 210 .

도어(110, 210)는 투입구(11a)의 가장자리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실러(116, 216)를 포함한다. 실러(116, 216)는 서브 수용부(150, 2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실러(116, 216)는, 도어(110, 2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110, 210)와 케이싱(10) 사이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실러(116, 216)는 링 형으로 형성된다.The doors 110 and 210 include sealers 116 and 216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inlet 11a. The sealers 116 and 216 extend along the edges of the sub-receptacles 150 and 250 . The sealers 116 and 216 prevent air from flowing in or out through between the doors 110 and 210 and the casing 10 while the doors 110 and 210 are closed the inlet 11a. . The sealers 116 and 216 are formed in a ring shape.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서브 수용부(150, 250)를 포함한다. 서브 수용부(150, 250)는 포를 담기위한 서브 수용 공간(Ss)을 형성한다. 서브 수용 공간(Ss)과 메인 수용 공간(Sm)은 포를 담기 위한 서로 분리된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분리된 공간이란, 건조 행정 중 일반적인 포가 서브 수용 공간(Ss) 및 메인 수용 공간(Sm)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이동하지 못하게 분리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공기가 서로 통하지 못하게 분리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서브 수용 공간(Ss)은 메인 수용 공간(Sm)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수용 공간(Ss)의 부피는 메인 수용 공간(Sm)의 부피보다 작다. 서브 수용 공간(Ss)의 전후 방향 폭은 메인 수용 공간(Sm)의 전후 방향 폭보다 작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include sub-accommodating units 150 and 250 disposed on the door. The sub 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form a sub accommodating space (Ss) for containing the fabric.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and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provide a spac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containing the fabric. Here, the separated space means that the general carriage is separated so that it cannot move from one of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and the main receiving space (Sm) to the other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it means that the air is separated so that the air cannot pass through each other. does not mean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he volume of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of the sub accommodation space Ss is small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서브 수용부(150, 250)는 메인 수용 공간(Sm)과 서브 수용 공간(Ss)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151, 251)를 포함한다. 분리부(151, 251)는 메인 수용 공간(Sm)과 서브 수용 공간(Ss)으로 포가 담기는 공간을 서로 분리시킨다. 분리부(151, 251)는 복수의 통공(151h, 251h)을 형성한다. 복수의 통공(151h, 251h)을 통해, 서브 수용 공간(Ss) 및 메인 수용 공간(Sm)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The sub 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includ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for separat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an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from each other. Separation units 151 and 251 separate the space in which the fabric is contained into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an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1h and 251h. Air may move from any one of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and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o the other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51h and 251h.

분리부(151, 251)는, 도어(110, 2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에서 메인 수용 공간(Sm)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메인 수용 공간(Sm) 내로 공급되는 열풍이 원활하게 서브 수용 공간(Ss)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are formed to protrude in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110 and 210 close the inlet 11a. Through this,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may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분리부(151, 251)는, 도어(110, 210)의 내측면에서 사선으로 돌출된 측면과, 상기 측면에 연결된 후측면을 포함한다. 분리부(151, 251)는 서브 수용 공간(Ss)을 덮어준다. 도어(110, 2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에서, 분리부(151, 251)의 전방에 서브 수용 공간(Ss)이 배치된다.The separation units 151 and 251 include side surfaces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doors 110 and 210 and rear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The separation units 151 and 251 cover the sub accommodation space Ss.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110 and 210 close the inlet 11a,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paration units 151 and 251.

분리부(151, 251)는 배치부(113, 213)를 마주보는 내측면을 포함한다. 분리부(151, 251)의 상기 내측면은 함몰된 면을 형성하여, 서브 수용 공간(Ss)을 형성한다. 도어(110, 2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에서, 분리부(151, 251)의 상기 내측면은 후방으로 함몰된다.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include inner surfaces facing the arrangement parts 113 and 213 . The inner surfaces of the separation units 151 and 251 form a recessed surface to form a sub-accommodating space Ss.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110 and 210 close the inlet 11a, the inner surfaces of 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are depressed rearward.

후측에서 바라볼 때, 분리부(151, 25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분리부(151, 251)는 투입구(1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separation portions 151 and 251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a.

서브 수용부(150, 250)는 개폐 구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151, 251)는, 서브 수용 공간(Ss)의 바깥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통해, 서브 수용 공간(Ss)으로 포를 인입하거나 서브 수용 공간(Ss)으로부터 포를 인출할 수 있고, 도어(110, 210)가 열림된 상태에서만 서브 수용 공간(Ss)을 열 수 있게 해주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b-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include an opening/closing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are provided to be foldable to the outside of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Through this, the fabric can be drawn into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or the fabric can be withdrawn from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an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can be opened only when the doors 110 and 210 are opened. It can improve user safety.

분리부(151, 251)는, 서브 수용 공간(Ss)을 개폐시키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용 분리부(151b, 251b)를 포함한다. 개폐용 분리부(151b, 251b)는 서브 수용 공간(Ss)의 바깥측으로 개폐를 위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eparation units 151 and 251 include separation units 151b and 251b for opening and closing that are oper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ub accommodation space Ss.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parts 151b and 251b may be rotatably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for opening and closing.

분리부(151, 251)는, 개폐용 분리부(151b, 251b)가 개폐 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용 분리부(151a, 251a)를 포함한다. 고정용 분리부(151a, 251a)는 도어(110, 210)에 의해 지지되고, 개폐용 분리부(151b, 251b)는 고정용 분리부(151a, 25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분리부(151, 251)의 절반은 고정용 분리부(151a, 251a)이고, 나머지 절반은 개폐용 분리부(151b, 251b)이다.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include the fixing separation parts 151a and 251a that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parts 151b and 251b support so as to be operable to open and close. The fixing separation parts 151a and 251a may be supported by the doors 110 and 210 , and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parts 151b and 251b may be supported by the fixing separation parts 151a and 251a. Half of 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are fixed separation parts 151a and 251a, and the other half are separation parts 151b and 251b for opening and closing.

서브 수용부(150, 250)는, 개폐용 분리부(151b, 251b)가 서브 수용 공간(Ss)의 개폐를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152, 252)를 포함한다. 힌지부(152, 252)는 고정용 분리부(151a, 251a)에 고정된다. 개폐용 분리부(151b, 251b)는 힌지부(152, 252)를 회전축으로 하여 서브 수용 공간(Ss)의 개폐를 위한 회전을 할 수 있다. 힌지부(152, 252)는 분리부(151, 251)의 가운데 배치된다. 힌지부(152, 252)는 고정용 분리부(151a, 251a)와 개폐용 분리부(151b, 251b)의 경계상에 배치된다. 힌지부(152, 252)의 회전축의 연장 방향은 전후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The sub 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include hinge parts 152 and 252 that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separation parts 151b and 251b to be rotatab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The hinge parts 152 and 252 are fixed to the fixing separation parts 151a and 251a.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s 151b and 251b may rot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b accommodation space Ss using the hinge units 152 and 252 as a rotation axis. The hinge parts 152 and 252 ar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separation parts 151 and 251 . The hinge portions 152 and 252 are dispo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xing separation portions 151a and 251a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paration portions 151b and 251b.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hinge parts 152 and 252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서브 수용부(150, 250)는 개폐용 분리부(151b, 251b)가 서브 수용 공간(Ss)을 닫은 상태에서 잠금시키는 걸림 모듈(153, 253)을 포함한다. 걸림 모듈(153, 253)은 잠금 동작 및 잠금 해제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sub 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include locking modules 153 and 253 for locking the opening and closing separation parts 151b and 251b in the closed state of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The locking modules 153 and 253 are provided to enabl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세탁물 처리장치(100, 200)는 수용된 포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60, 70)를 포함한다. 습도 센서(60, 70)는, 포의 수분 양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값을 이용하는 전극 센서(60, 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100 and 200 include humidity sensors 60 and 70 for detecting the dryness of the received fabric. The humidity sensors 60 and 70 may include electrode sensors 60 and 70 using a resistance valu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moisture in the fabric.

전극 센서(60, 70)를 이용하여 포의 건조도의 수준을 감지할 수 있다. 전극 센서(60, 70)는 포의 수용 공간으로 노출된 양극을 구비한다. 전극 센서(60, 70)의 양극은 제 1극부(61, 71)와 제 2극부(62, 72)를 포함한다. 전극 센서(60, 70)의 양극 사이가 포에 의해 연결되면 양극 사이에 전기가 흐르는데, 이를 통해 포의 저항값이 측정될 수 있다. 이는 포의 수분이 많을수록 포의 저항값이 작아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The level of dryness of the fabric may be detected using the electrode sensors 60 and 70 . The electrode sensors 60 and 70 have an anode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fabric. The anodes of the electrode sensors 60 and 70 include first electrode portions 61 and 71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62 and 72 . When the poles of the electrode sensors 60 and 70 are connected by the fabric, electricity flows between the poles, through which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abric can be measured. This takes advantage of the property that the more moisture in the fabric, the smalle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abric.

습도 센서(60, 70)는 메인 수용 공간(Sm) 내부의 포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메인 습도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습도 센서(60)는 전방 서포터(27)에 배치된다. 메인 습도 센서(60)는 메인 수용부(23) 내에 구비된다. 메인 습도 센서(60)는 메인 전극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극 센서(60)는 메인 수용 공간(Sm) 내로 노출된 제 1극부(61)와 제 2극부(6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고하여, 메인 전극 센서(60)는 메인 수용 공간(Sm)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전극 센서(60)는 메인 수용 공간(Sm)의 전방측 하단부에 배치된다. 메인 전극 센서(60)는 배기구(55h)의 하부에 배치된다. 메인 전극 센서(60)는 투입구(11a)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제 1극부(61)와 제 2극부(6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humidity sensors 60 and 70 may include a main humidity sensor 60 for detecting the dryness of the fabric inside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The main humidity sensor 60 is disposed on the front supporter 27 . The main humidity sensor 60 is provided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main humidity sensor 60 may include a main electrode sensor 60 . The main electrode sensor 6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ortion 61 and a second electrode portion 62 exposed in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Referring to FIG. 4 , the main electrode sensor 60 may be disposed below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The main electrode sensor 60 is disposed at the front lower end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The main electrode sensor 60 is disposed below the exhaust port 55h. The main electrode sensor 60 is disposed below the inlet 11a. The first pole portion 61 and the second pole portion 62 ar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습도 센서(60, 70)는 서브 수용 공간(Ss) 내부의 포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서브 습도 센서(70)를 포함한다. 서브 습도 센서(70)는 도어(110, 210)에 배치된다. 서브 습도 센서(70)는 서브 수용부(150, 250) 내에 구비된다. 서브 습도 센서(70)는 서브 전극 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전극 센서(70)는 서브 수용 공간(Ss) 내로 노출된 제 1극부(71)와 제 2극부(72)를 포함한다. 도 4, 도 8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서브 전극 센서(70)는 서브 수용 공간(Ss)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전극 센서(70)는 서브 수용 공간(Ss)의 전방측 하단부에 배치된다. 서브 전극 센서(70)는 도어(110, 21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서브 전극 센서(70)는 배치부(113, 213)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 1극부(71)와 제 2극부(72)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서브 수용부(150, 250)내의 포의 건조도를 별도로 감지할 수 있어, 서브 수용부(150, 250) 내의 포의 과건조를 막을 수 있고, 소량 포를 부피가 큰 메인 수용 공간(Sm)에 넣으면 건조도 감지가 곤란한 반면 부피가 작은 서브 수용 공간(Ss)에 넣으면 건조도 감지가 정확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humidity sensors 60 and 70 include a sub-humidity sensor 70 that detects the dryness of the fabric inside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The sub humidity sensor 70 is disposed on the doors 110 and 210 . The sub humidity sensor 70 is provided in the sub accommodation units 150 and 250 . The sub-humidity sensor 70 may include a sub-electrode sensor 70 . The sub-electrode sensor 70 includes a first electrode portion 71 and a second electrode portion 72 exposed into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4, 8, and 11 , the sub-electrode sensor 70 may be disposed below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The sub-electrode sensor 7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The sub-electrode sensor 7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s 110 and 210 . The sub-electrode sensor 70 is disposed under the arrangement parts 113 and 213 . The first pole portion 71 and the second pole portion 72 ar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detect the degree of drying of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thereby preventing overdrying of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parts 150 and 250, and storing a small amount of fabric in the bulky main accommodating space. (Sm),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dryness level, whereas when it is placed in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with a small volume, it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the dryness level.

이하, 도 1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to 8 .

도어(110)의 상기 수용 홈은 배치부(113)에 형성된다. 배치부(113)의 후방면과 분리부(151)의 전방면은 서브 수용 공간(Ss)을 구획한다. 배치부(113)의 후방면은 서브 수용 공간(Ss) 내의 포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The receiving groove of the door 110 is formed in the arrangement part 113 . The rear surface of the arrangement part 11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paration part 151 partition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The rear surface of the arrangement part 11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abric in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분리부(151)는 도어(110)에 직접 고정된다. 분리부(151)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도어(110)에 고정된다.The separation unit 151 is directly fixed to the door 110 .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of the separation unit 151 is fixed to the door 110 .

고정용 분리부(151a)는 도어(1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고정용 분리부(151a)는 분리부(151)의 하측부이다. 고정용 분리부(151a)의 가장자리 중 개폐용 분리부(151b)와의 경계를 제외한 부분은 도어(110)에 고정된다.The fixing part 151a is fixedly coupled to the door 110 . The fixing part 151a is a lower part of the separating part 151 .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ixing separation unit 151a except for the boundary with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151b is fixed to the door 110 .

개폐용 분리부(151b)는 힌지부(152)에 의해 고정용 분리부(15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용 분리부(151b)는 분리부(151)의 상측부이다.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151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separation unit 151a by a hinge unit 152 .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151b is an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unit 151 .

힌지부(152)의 회전축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rotation axis of the hinge part 152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걸림 모듈(153)은, 개폐용 분리부(151b) 및 배치부(11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후크(151b1)와 다른 하나에 구비된 락(113b1)을 포함한다. 후크(151b1)는 락(113b1)에 걸려 개폐용 분리부(151b)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151b1)는 개폐용 분리부(151b)의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락(113b1)은 배치부(113)의 상단부에서 후크(151b1)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ngaging module 153 includes a hook 151b1 provided in any one of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151b and the arrangement unit 113 and a lock 113b1 provided in the other one. The hook 151b1 is caught by the lock 113b1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151b. In this embodiment, the hook (151b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eparation (151b). The lock 113b1 is formed in a shape engaged with the hook 151b1 at the upper end of the arrangement 113 .

이하, 도 2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9 to 11 .

도어(210)의 상기 수용 홈은 배치부(213)에 형성된다. 배치부(213)의 후측에 서브 수용부(250)의 지지부(255)가 배치된다. 지지부(255)의 후방면과 분리부(251)의 전방면은 서브 수용 공간(Ss)을 구획한다.The receiving groove of the door 210 is formed in the arrangement 213 . A support part 255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arrangement part 213 .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55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paration part 251 partition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서브 수용부(250)는 도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서브 수용 공간(Ss) 내의 포가 건조 행정 중 텀블링(tumbling) 동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서브 수용부(250)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축은 메인 수용부(23)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같은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21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able a tumbling operation during the drying cycle of the cloth in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is rotatably provided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The rotational axis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may be disposed on a substantially same straight line as the rotational axis of the main receiving part 23 .

세탁물 처리장치(200)는 서브 수용부(250)에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230)를 포함한다. 샤프트(230)는 지지부(255)에 회전축을 제공한다. 샤프트(230)는 도어(210)에 결합된다. 도어(110)가 투입구(11a)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샤프트(2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30)의 전단은 도어(210)에 연결되고, 샤프트(230)의 후단은 서브 수용부(25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230)의 후단은 지지부(255)에 연결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샤프트(230)를 대신하여, 상기 서브 수용부에 전면부에 링 형의 슬라이더(slider)를 배치시키고, 상기 링 형의 슬라이더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배치부에 링 형의 가이드가 구비시킬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00 includes a shaft 230 that provides a rotation shaft to the sub-accommodating unit 250 . The shaft 230 provides a rotation axis to the support 255 . The shaft 230 is coupled to the door 210 . When the door 110 is described based on the closed state of the inlet 11a, the shaft 230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shaft 230 is connected to the door 210, and the rear end of the shaft 230 is connected to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shaft 23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255 .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instead of the shaft 230, a ring-shaped slider is disposed on the front part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and the arrangement part is used to guid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ing-shaped slider. A ring-shaped guide can be provided.

분리부(251)는 지지부(255)에 고정된다. 지지부(255)는 도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리부(151)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255)에 고정된다.The separation part 251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255 . The support 25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210 .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of the separation unit 151 is fixed to the support unit 255 .

고정용 분리부(251a)는 도어(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고정용 분리부(251a)는 지지부(255)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고정용 분리부(251a)의 가장자리 중 개폐용 분리부(251b)와의 경계를 제외한 부분은 지지부(255)에 고정된다.The fixing part 251a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oor 210 . The fixing part 251a is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55 .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fixing separation unit 251a except for the boundary with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251b is fixed to the support unit 255 .

개폐용 분리부(251b)는 힌지부(252)에 의해 고정용 분리부(25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251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separation unit 251a by a hinge unit 252 .

힌지부(252)는 고정용 분리부(251a)와 함께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힌지부(252)의 연장 방향은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이다.The hinge part 252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together with the fixing separation part 251a.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inge part 252 is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습도 센서(170)는 배치부(113)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humidity sensor 170 is disposed under the arrangement unit 113 .

걸림 모듈(253)은, 개폐용 분리부(251b) 및 지지부(25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후크(251b1)와 다른 하나에 구비된 락(255b1)을 포함한다. 후크(251b1)는 락(255b1)에 걸려 개폐용 분리부(251b)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251b1)는 개폐용 분리부(251b)의 일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락(255b1)은 지지부(255)의 일측부에서 후크(251b1)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ngaging module 253 includes a hook 251b1 provided in any one of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251b and the support unit 255 and a lock 255b1 provided in the other one. The hook 251b1 is caught by the lock 255b1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251b. In this embodiment, the hook 251b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part 251b. The lock 255b1 is formed in a shape engaged with the hook 251b1 at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55 .

서브 수용부(250)는 분리부(251)가 고정되는 지지부(255)를 포함한다. 지지부(255)는 분리부(251)와 함께 서브 수용 공간(Ss)을 형성한다. 지지부(255)는 도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255)는 샤프트(230)와 연결되어, 샤프트(2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지지부(255)의 가장자리에 분리부(251)가 고정된다. 지지부(255)와 분리부(251)는 일체로 회전된다. 지지부(255)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된다. 지지부(255)의 전방면은 수용 홈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지지부(255)의 후방면은 전방으로 함몰되어 서브 수용 공간(Ss)을 형성한다.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includes a support part 255 to which the separating part 251 is fixed. The support part 255 forms a sub-accommodating space Ss together with the separation part 251 . The support 25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210 . The support 255 is connected to the shaft 230 and rotates around the shaft 230 . The separation part 251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255 . The support part 255 and the separation part 251 are integrally rotated. The support part 255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55 is formed to be convex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55 is depressed in the front to form the sub-accommodating space Ss.

습도 센서(270)는 배치부(213)의 하부에 배치된다. 지지부(255)는, 습도 센서(270)의 노출된 부분(71, 72)의 지지부(255)에 대한 상대적 이동 궤적을 따라 노출 홀(255h)을 형성한다. 노출 홀(255h)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노출 홀(255h)은 지지부(255)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를 통해, 습도 센서(270)의 노출된 부분(71, 72)이 서브 수용 공간(Ss) 내의 포에 접촉할 수 있고, 습도 센서(270)의 노출된 부분(71, 72)과 노출 홀(255h)이 맞물려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게 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270 is disposed under the arrangement unit 213 . The support part 255 forms an exposure hole 255h along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exposed parts 71 and 72 of the humidity sensor 270 relative to the support part 255 . The exposure hole 255h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exposure hole 255h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part 255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 this, the exposed portions 71 and 72 of the humidity sensor 270 may contact the fabric in the sub accommodation space Ss, and the exposed portions 71 and 72 of the humidity sensor 270 and the exposed holes ( 255h) is engaged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to be stably guided.

지지부(255)는 샤프트(230)에 연결된 회전축 커넥터(255a)를 포함한다. 회전축 커넥터(255a)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전축 커넥터(255a)는 수용 홈의 표면을 따라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축 커넥터(255a)의 중앙부에 샤프트(230)가 연결된다. 회전축 커넥터(255a)는 전후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체이다. 회전축 커넥터(255a)의 외주측 가장자리는 노출 홀(255h)의 내주 측 경계를 이룬다.The support 255 includes a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connected to the shaft 230 .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may form a curved surface along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 shaft 23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is a plate body having a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outer peripheral side edge of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forms the inner peripheral side boundary of the exposed hole 255h.

지지부(255)는 분리부(251)가 고정된 분리부 커넥터(255b)를 포함한다. 분리부 커넥터(255b)는 고리 형으로 형성된다. 분리부 커넥터(255b)는 수용 홈의 표면을 따라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분리부 커넥터(255b)의 외주측 가장자리에 분리부(251)가 고정된다. 분리부 커넥터(255b)의 내주 측 가장자리는 노출 홀(255h)의 외주 측 경계를 이룬다.The support part 255 includes a separation part connector 255b to which the separation part 251 is fixed. The separator connector 255b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separator connector 255b may form a curved surface along the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eparating part 251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edge of the separating part connector 255b. The inner peripheral side edge of the separating part connector 255b forms the outer peripheral side boundary of the exposed hole 255h.

지지부(255)는 회전축 커넥터(255a)와 분리부 커넥터(255b)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255c)를 포함한다. 브릿지(255c)는 분리부 커넥터(255b)의 회전력을 회전축 커넥터(255a)에 전달한다. 분리부 커넥터(255b)는 노출 홀(255h)의 일부를 가린다.The support part 255 includes a bridge 255c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and the separation part connector 255b. The bridge 255c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paration part connector 255b to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The separator connector 255b covers a part of the exposed hole 255h.

브릿지(255c)는, 습도 센서(270)의 노출된 부분(71, 72)을 간섭하지 않도록, 습도 센서(270)의 노출된 부분(71, 72)보다 서브 수용 공간(Ss) 내측에 배치된다. 브릿지(255c)는 회전축 커넥터(255a)의 후방면보다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브릿지(255c)의 전방면은 노출 홀(255h)을 마주본다. 이를 통해, 브릿지(255c)가 회전력을 전달하면서도, 지지부(255)에 대한 습도 센서(270)의 상대 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The bridge 255c is disposed inside the sub accommodation space Ss rather than the exposed portions 71 and 72 of the humidity sensor 27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xposed portions 71 and 72 of the humidity sensor 270 . . The bridge 255c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255a. The front surface of the bridge 255c faces the exposure hole 255h. Through this, while the bridge 255c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lative motion of the humidity sensor 27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55 .

서브 수용부(250)는, 메인 수용부(23)의 회전시 메인 수용 공간(Sm) 내에서 이동하는 포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메인 수용부(23)가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메인 수용 공간(Sm) 내의 포는 텀블링 동작을 하게되고, 텀블링 동작을 하는 포가 서브 수용부(25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된다. 이를 통해, 모터(M)가 메인 수용부(23)에만 회전력을 가하면, 포에 의한 회전력이 서브 수용부(250)에도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브 수용 공간(Ss)은 메인 수용 공간(Sm)에 비해 부피가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수로 회전되더라도 건조 행정이 충분히 진행될 수 있는데, 메인 수용 공간(Sm) 내의 포에 의해 서브 수용부(250)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메인 수용부(23)의 회전수보다 작은 회전수로 서브 수용부(250)가 회전하게 되고 효율적인 분리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The sub accommodating part 250 is provided to be rotated by the cloth moving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whe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rotates. While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is rotated by the motor M, the fabric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performs a tumbling operation, and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carriage sub-accommodating part 250 performing the tumbling operation. Through this, when the motor (M) applies a rotational force only to the main receiving portion 23, the rotational force by the cloth is also transferred to the sub-accommodating portion (250) has an effect. In addition, since the sub accommodating space Ss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he drying process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even when rotated at a relatively small rotational speed. By causing the 250 to rotate,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rotates at a rotation speed small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main receiving part 23,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n efficient separation and drying process is performed.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모터(M) 외에 별도로 상기 서브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에 회전되는 제 1기어를 상기 서브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 1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링 기어를 상기 서브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motor M,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ub-accommodating part may be provided. A first gear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may be disposed on an edge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and a ring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may be fixed to the edge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도시되진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리프터(23a)에 의해 상기 서브 수용부가 회전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프터(23a)는 메인 수용부(23)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서브 수용부에서 리프터(23a)의 이동 궤적 상으로 돌출된 암(arm)을 형성시켜, 리프터(23a)의 회전시 리프터(23a)가 상기 암을 밀어주어, 상기 암과 함께 상기 서브 수용부가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b-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to be rotated by the lifter 23a. The lifter 23a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An arm is formed in the sub-accommodating part to protrude on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lifter 23a, so that when the lifter 23a rotates, the lifter 23a pushes the arm, and the sub-accommodating part together with the arm It may be provided to rotate.

서브 수용부(250)는, 분리부(251)에서 메인 수용 공간(Sm) 내부를 향해 돌출된 블레이드(257)를 포함한다. 메인 수용 공간(Sm) 내의 텀블링되는 포가 블레이드(257)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서브 수용부(250)가 회전된다.The sub accommodating part 250 includes a blade 257 protruding from the separation part 251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The carriage blade 257 tumb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m is rotated, and accordingly, the sub accommodation part 250 is rotated.

블레이드(257)는, 메인 수용부(23)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블레이드(257)는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를 통해, 메인 수용부(23) 내에서 회전하는 포에 의한 회전력이 효율적으로 서브 수용부(250)에 전달될 수 있다.The blade 257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blade 257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 Through this, the rotational force due to the fabric rotating i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ub accommodating part 250 .

블레이드(257)는 분리부(251)에서 돌출된 리브이다. 블레이드(257)는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된다. The blade 257 is a rib protruding from the separating portion 251 . The blade 257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

블레이드(257)는, 메인 수용부(23)의 회전 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한다. 건조 행정시 메인 수용부(23)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제 1방향)으로만 회전되게 기설정될 수 있고, 블레이드(257)는 상기 제 1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수용 공간(Sm) 내에서 특정 방향(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는 포가 더욱 쉽게 블레이드(257)에 걸림되어, 포의 회전력이 효율적으로 서브 수용부(250)에 전달될 수 있다.The blade 257 forms a surface recess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 main receiving part 23 may be preset to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first direction) of a clockwise direction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blade 257 forms a surface re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can do. Through this, the fabric moving in a specific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m is more easily caught by the blade 257,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bric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ub accommodating part 250 . .

복수의 블레이드(257a, 267b)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257a, 267b)는 메인 수용부(23)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블레이드(257a, 267b)는 각각 메인 수용부(23)의 회전 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57)는 제 1블레이드(257a)와 제 2블레이드(257b)를 포함한다. 제 1블레이드(257a)와 제 2블레이드(257b)는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 1블레이드(257a)와 제 2블레이드(257b)는 각각 후측에서 바라볼 때, 제 1블레이드(257a)와 제 2블레이드(257b)는 전체적으로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블레이드(257a)와 제 2블레이드(257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블레이드(257a)와 제 2블레이드(257b) 사이에 고정용 분리부(251a)와 개폐용 분리부(251b)의 경계가 배치된다.A plurality of blades 257a and 267b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blades 257a and 267b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The plurality of blades 257a and 267b respectively form a recessed surfa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accommodating part 23 . In this embodiment, the blade 257 includes a first blade 257a and a second blade 257b. The first blade 257a and the second blade 257b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 When the first blade 257a and the second blade 257b are viewed from the rear, respectively, the first blade 257a and the second blade 257b are formed in a wavy shape as a whole. The first blade 257a and the second blade 257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boundary between the fixing separation part 251a and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part 251b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ade 257a and the second blade 257b.

제 1블레이드(257a)는 고정용 분리부(251a)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블레이드(257a)는 상기 제 1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한다.The first blade 257a protrudes backward from the fixing separation part 251a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ub-accommodating part 250 . The first blade 257a forms a surface re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제 2블레이드(257b)는 개폐용 분리부(251b)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서브 수용부(250)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블레이드(257b)는 상기 제 1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한다.The second blade 257b protrudes rearward from the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251b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ub-accommodating unit 250 . The second blade 257b forms a surface re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100, 200 : 세탁물 처리장치 1 : 본체
10 : 케이싱 23 : 메인 수용부
23a : 리프터 24 : 롤러
27 : 전방 서포터 28 : 후방 서포터
40 : 공기 유로 41 : 급기 덕트
43 : 배기 덕트 51 : 팬
53 : 히터 55 : 필터
60 : 메인 습도 센서 70 : 서브 습도 센서
M : 모터 110, 210 : 도어
111, 211 : 도어 프레임 113, 213 : 배치부
116, 216 : 실러 150, 250 : 서브 수용부
151, 251 : 분리부 151a, 251a : 고정용 분리부
151b, 251b : 개폐용 분리부 151h, 251h : 복수의 통공
152, 252 : 힌지부 153, 253 : 걸림 모듈
230 : 샤프트 255 : 지지부
255h : 노출 홀 255a : 회전축 커넥터
255b : 분리부 커넥터 255c : 브릿지
257 : 블레이드
Sm : 메인 수용 공간 Ss : 서브 수용 공간
100, 200: laundry treatment device 1: main body
10: casing 23: main receiving part
23a: lifter 24: roller
27: front supporter 28: rear supporter
40: air flow passage 41: supply air duct
43: exhaust duct 51: fan
53: heater 55: filter
60: main humidity sensor 70: sub humidity sensor
M: motor 110, 210: door
111, 211: door frame 113, 213: arrangement part
116, 216: sealer 150, 250: sub receiving part
151, 251: separation part 151a, 251a: separation part for fixing
151b, 251b: separation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151h, 251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2, 252: hinge part 153, 253: locking module
230: shaft 255: support
255h: exposed hole 255a: rotary shaft connector
255b: connector connector 255c: bridge
257 : Blade
Sm : Main accommodating space Ss : Sub accommodating space

Claims (18)

포를 건조시키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메인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수용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서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시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포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서브 수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for drying the fabric,
a casing forming an inlet;
a main accommoda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asing and forming a main accommodating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sub-accommodating part disposed on the door, forming a sub-accommodating space, and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cloth moving in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when the main accommodating part is rot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메인 수용 공간과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서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용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separation part separat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ub accommodating space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un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separation unit operably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ub accommodating space, and the door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clo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마주보는 수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홈에 상기 서브 수용부가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i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ing, forming a receiving groove facing the inlet,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sub-accommodating par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의 바깥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on unit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to be foldable to the outside of the sub-accommodating sp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개폐용 분리부를 지지하는 고정용 분리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on unit,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fixing separation part for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eparation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부의 포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humidity sensor disposed on the door and detecting the dryness of the fabric inside the sub-accommodating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분리부에서 상기 메인 수용 공간 내부를 향해 돌출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b-accommodating part,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blad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separation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용부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서브 수용부는 수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receiving part is provided rotatably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The sub-accommodating part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that is rotatably provided about a horizontal rotation axi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lade is
A laundry treatment devic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receiving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메인 수용부의 회전 방향으로 함몰된 면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lade is
Laundry treatment device for forming a surface recess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receiv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수용부에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haft coupled to the door and providing a rotation shaft to the sub-accommodating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수용부는,
상기 분리부가 고정되고, 상기 분리부와 함께 상기 서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b-accommodating part,
and a support part on which the separation part is fixed, the sub-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separation part, and a support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부로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의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대적 이동 궤적을 따라 노출 홀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humidity sensor disposed on the door and including a portion exposed into the sub-accommodating space,
The support por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forming an exposure hole along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relative to the support porti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에 회전축을 제공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회전축 커넥터;
상기 분리부가 고정된 분리부 커넥터; 및
상기 회전축 커넥터와 분리부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노출 홀의 일부를 가리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 shaft coupled to the door and providing a rotating shaft to the support;
The support part,
a rotary shaft connector connected to the shaft;
a separation part connector to which the separation part is fixed; and
and a bridge connecting between the rotation shaft connector and the separator connector and covering a part of the exposed hol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습도 센서의 노출된 부분보다 상기 서브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ridge is
Laundry treatment device disposed inside the sub-accommodating space than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humidity sensor.
삭제delete
KR1020170033584A 2017-03-17 2017-03-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2431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84A KR102431501B1 (en) 2017-03-17 2017-03-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PCT/KR2018/003100 WO2018169351A1 (en) 2017-03-17 2018-03-16 Laundry hand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84A KR102431501B1 (en) 2017-03-17 2017-03-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037A KR20180106037A (en) 2018-10-01
KR102431501B1 true KR102431501B1 (en) 2022-08-10

Family

ID=6352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84A KR102431501B1 (en) 2017-03-17 2017-03-17 Device for treating laund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501B1 (en)
WO (1) WO2018169351A1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5595A (en) * 1997-02-14 1998-08-25 Hitachi Ltd Small garment item drying device
KR100587323B1 (en) * 2003-04-28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enser assembly for automatic dryer
KR101314599B1 (en) * 2006-09-05 201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30123544A (en) *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oor apparatus for drum washing machine
KR102197861B1 (en) * 2014-01-29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having at least two tubs
KR101592318B1 (en) 2014-12-09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ryer
US11060229B2 (en) * 2015-04-27 2021-07-13 Lg Electronics Inc. Cloth-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351A1 (en) 2018-09-20
KR20180106037A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478A (en) Clothing dryer and door of the same
US920701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86508B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2294609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US2015014538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05237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32550B1 (en) Clothing dryer
KR102373023B1 (en) Fabric dryer
KR10193929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31501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2017008193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73022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6170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12114752A1 (en) Clothing-processing device
KR101999535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436700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102201860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73024B1 (en) Fabric dryer
KR102360869B1 (en) Fabric dryer
KR101246375B1 (en) Dryer having lack for holding footwear
JP6902700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JP6902701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WO2018155163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JP6902699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JP6902702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