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862A -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862A
KR20180104862A KR1020170031683A KR20170031683A KR20180104862A KR 20180104862 A KR20180104862 A KR 20180104862A KR 1020170031683 A KR1020170031683 A KR 1020170031683A KR 20170031683 A KR20170031683 A KR 20170031683A KR 20180104862 A KR20180104862 A KR 2018010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tition
touch screen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철
오영준
김수정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7003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862A/ko
Publication of KR2018010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탈착할 수 있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향해 눌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포함하되, 버튼부가 눌려지면, 버튼부의 하면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Removable remote control device,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 using removabl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mpetition assist system using removable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탈착할 수 있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와,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과, 탈착식 리모콘을 이용하여 경기의 진행을 돕기 위한 경기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관중이 입장하여 관람하고 응원하는 프로 야구와 같은 프로 스포츠 경기와는 달리, 사회인 야구와 같은 아마츄어 운동 경기는 관중이 많지 않다. 관중이 없이 조용한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와 심판은 운동 경기 중에 집중도가 많이 떨어지게 되며 흥미를 잃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아마츄어 운동 경기의 확산에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또한, 아마츄어 운동 경기는 경기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수들은 경기 후에 자신의 기록을 확인할 수 없고, 기록을 바탕으로 한 경기 분석 및 연습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록 시스템의 부재는 경기력 향상의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만일, 사회인 야구와 같은 아마츄어 운동 경기에서 비록 관중은 많지 않지만, 프로 경기와 같은 장내 아나운서의 선수 소개, 심판 판정의 강렬한 외침, 관중의 함성, 응원 음악이 경기 중에 적절한 시기에 나와주고, 선수들의 기록이 실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다면,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은 자기도 모르게 많은 관중들 속에서 경기를 하는 것처럼 생각하게 되어 경기가 활기를 띄게 될 것이고, 적은 수의 관중들도 경기에 몰입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선수들은 경기 후에 자신의 기록을 바탕으로 장단점 파악을 통한 효율적인 연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는 아마츄어 운동 경기의 활성화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 탈착될 수 있으며, 물리적 누름이 가능한 버튼을 가진 리모콘 장치를 제공하여, 별도의 리모콘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를 물리적인 누름이 가능한 리모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다른 목적은, 운동 경기 종류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작만으로 하나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모든 운동 경기에서 경기 보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 물리적 누름이 가능한 버튼을 가진 리모콘 장치를 부착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다양한 용도의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의 목적은, 관중이 많지 않은 경기에서 경기 분위기가 가라앉지 않도록 적절한 시기에 경기 진행 및 판정과 관련된 음성 및 음향을 경기장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의 다른 목적은, 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경기 진행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향해 눌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포함하되, 버튼부가 눌려지면, 버튼부의 하면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탈착식 리모콘 장치는 덮개부와 연결되며, 모바일 단말기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식 리모콘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부착부; 및 덮개부와 연결되며, 부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덮을 수 있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나누는 단계;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을 덮도록 탈착식 리모콘 장치가 결합되는 단계; 제 1 영역에 제 1 입력 영역들이 형성되는 단계;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버튼부가 제 1 입력 영역들 중 하나에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 2 영역에 제 2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입력 영역들은 제 1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의 하위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은, 경기 진행을 수행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으로서, 경기 진행자 단말기; 경기 진행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부터 경기 진행 요청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 경기 진행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에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경기 진행 정보를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되,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이며, 터치스크린에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형성되고,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을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향해 눌려질 수 있는 버튼부들을 포함하되, 버튼부가 눌려지면, 버튼부의 하면이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경기 진행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경기 보조 시스템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경기 진행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경기 진행 요청 신호는 경기 판정 신호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경기 판정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는 신호 전송부에 의해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경기 판정 신호는 경기 판정 정보 및 판정 세부 정보를 포함하며, 경기 진행자 단말기의 제 1 영역에는 경기 판정 정보들에 대응되는 제 1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버튼부들은 제 1 입력 영역들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버튼부가 제 1 입력 영역과 접촉하여 경기 판정 정보가 선택되면, 제 2 영역에는, 선택된 경기 판정 정보와 관련된 판정 세부 정보들에 대응되는 제 2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경기 보조 시스템은 경기 기록을 계산하는 경기 기록 계산부를 더 포함하되,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접촉된 제 1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경기 판정 정보와, 선택된 제 2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판정 세부 정보를 신호 수신부로 전송하고, 경기 기록 계산부는, 전송된 경기 판정 정보와 판정 세부 정보를 바탕으로 경기 기록을 계산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는, 계산된 경기 기록을 저장하고, 경기 진행 요청 신호는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를 포함하며, 신호 수신부가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부터 경기 참여자에 대한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는 정보 저장부에서 경기 참여자에 대응되는 경기 기록을 선택하며, 신호 전송부는, 선택된 경기 기록을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전송된 경기 기록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효과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 탈착될 수 있으며, 물리적 누름이 가능한 버튼을 가진 리모콘 장치를 제공하여, 별도의 리모콘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를 물리적인 누름이 가능한 리모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다른 효과는, 운동 경기 종류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조작만으로 하나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모든 운동 경기에서 경기 보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입력 방법의 효과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 물리적 누름이 가능한 버튼을 가진 리모콘 장치를 부착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다양한 용도의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의 효과는, 관중이 많지 않은 경기에서 경기 분위기가 가라앉지 않도록 적절한 시기에 경기 진행 및 판정과 관련된 음성 및 음향을 경기장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의 다른 효과는, 선수들의 경기 기록을 경기 진행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에서 경기 진행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10)는 터치스크린(2)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1)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터치스크린(2)을 통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서 스마트폰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터치스크린(2)은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모두 포함하며, 터치스크린(2)에 대한 접촉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1)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1)를 물리적 누름이 가능한 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10)는 덮개부(11), 버튼부(21, 22, 23, 24) 및 프레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터치스크린(2)의 일부인 제 1 영역(40)을 덮도록 터치스크린(2) 상에 위치된다.
덮개부(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21, 22, 23, 24)가 터치스크린(2)을 향해 눌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버튼부(21, 22, 23, 24)는 상호 간에 분리된 상태로 덮개부(11)로부터 돌출되도록 덮개부(11)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을 보지 않고도 원하는 버튼부(21, 22, 23, 24)를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버튼부(21, 22, 23, 24)는 도 1에서는 4개의 버튼부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10)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버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버튼부(21, 22, 23, 24)가 눌려지면, 버튼부(21, 22, 23, 24)의 하면은 터치스크린(2)과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1)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2)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적용 가능하며, 버튼부(21, 22, 23, 24)의 하면이 터치스크린(2)에 접촉되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부(30)는 덮개부(11)와 연결되며, 모바일 단말기(1)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됨으로써, 덮개부(11)가 터치스크린(2) 상에 움직임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부(30)는 측면 고정 돌기부(31)와 하면 고정 돌기부(32)가 덮개부(11)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터치스크린(2) 쪽으로 연장되어 종단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30)를 터치스크린(2) 쪽으로 밀게 되면, 측면 고정 돌기부(31)는 모바일 단말기(1)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후면에 종단의 돌기가 위치되고, 하면 고정 돌기부(32)는 모바일 단말기(1)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후면에 종단의 돌기가 위치됨으로써, 프레임부(30)가 모바일 단말기(1)에 고정된다. 프레임부(30)는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1)에 쉽게 착탈이 가능하며,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50)는 덮개부(11), 버튼부(21, 22, 23, 24), 부착부(71) 및 커버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터치스크린(2)의 일부인 제 1 영역(40)을 덮도록 터치스크린(2) 상에 위치된다.
덮개부(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21, 22, 23, 24)가 터치스크린(2)을 향해 눌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버튼부(21, 22, 23, 24)는 상호 간에 분리된 상태로 덮개부(11)로부터 돌출되도록 덮개부(11)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을 보지 않고도 원하는 버튼부(21, 22, 23, 24)를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버튼부(21, 22, 23, 24)는 도 2에서는 4개의 버튼부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50)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버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버튼부(21, 22, 23, 24)가 눌려지면, 버튼부(21, 22, 23, 24)의 하면은 터치스크린(2)과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1)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부착부(71)는 모바일 단말기(1)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이다. 커버부(81)는 덮개부(11)와 연결되며, 부착부(71)의 일측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터치스크린(2)을 덮을 수 있다.
부착부(71)는 모바일 단말기(1)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됨으로써, 덮개부(11)가 터치스크린(2) 상에 움직임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부착부(71)는 측면 고정 돌기부(72)와 하면 고정 돌기부(73)가 부착부(71)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로 터치스크린(2) 쪽으로 연장되어 종단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를 부착부(71) 쪽으로 밀게 되면, 측면 고정 돌기부(72)는 모바일 단말기(1)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전면에 종단의 돌기가 위치되고, 하면 고정 돌기부(73)는 모바일 단말기(1)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전면에 종단의 돌기가 위치됨으로써, 부착부(71)가 모바일 단말기(1)에 고정된다. 부착부(71)는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1)에 쉽게 착탈이 가능하며,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커버부(81)에는 터치스크린(2)의 제 2 영역(45)에 대응되도록 개구(82)가 형성되어, 커버부(81)를 터치스크린(2) 위에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영역(45)에 정보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화면을 도시한다.
모바일 단말기(1)에는 리모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을 통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어서 제 2 영역(45)을 통해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 후술할 경기 보조 시스템이 야구 경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심판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리모콘 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터치스크린(2)을 제 1 영역(40)과 제 2 영역(45)으로 나누고 제 1 영역(40)에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을 형성한다.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은 버튼부들(21, 22, 23, 24)의 위치와 각각 대응되도록 터치스크린(2) 상에 형성된다. 버튼부들(21, 22, 23, 24)은 각각 "스트라이크", "볼", "안타" 및 "아웃" 판정에 대응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의 제 1 영역(40)을 덮도록 위치된 덮개부(11)에 돌출된 버튼부(21, 22, 23, 24)를 누르면, 버튼부(21, 22, 23, 24)의 하면은 터치스크린(2)의 제 1 입력 영역(41, 42, 43, 44)에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1)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형성하게 된다. 도 3(a)는 타자가 2루타를 친 경우에 심판이 "안타"를 의미하는 버튼부(43)을 누른 상태인 것을 도시한다. 타자가 2루타를 치고, 심판이 버튼부(43)을 누르면 제 2 영역(45)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타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 2 입력 영역(46, 47, 48, 49)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2 입력 영역(46, 47, 48, 49)은 각각 "1루타", "2루타", "3루타" 및 "홈런" 판정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판은 "2루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입력 영역(47)을 손으로 터치하여 경기 기록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심판이 "2루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입력 영역(47)을 손으로 터치하여 경기 기록을 입력하면, 제 2 영역(45)의 화면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또 다른 제 2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심판은 실제로 2루타가 일어난 방향을 선택하여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경기 기록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심판은 경기중 판정을 한 후에 남는 시간 동안 제 2 영역을 통해 상세한 경기 기록을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에서 경기 진행자 단말기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100)은 정보 저장부(110), 신호 수신부(120), 제어부(130), 신호 전송부(140) 및 경기 기록 계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기 보조 시스템(100)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 및 스피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앞에서 설명한, 탈착식 리모콘 장치(10, 50)가 결합된 모바일 단말기(1)를 가리킨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경기 보조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공지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인터넷망, 데이터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진행자(예를 들어, 심판)가 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진행자가 경기 중에 판정 또는 진행과 관련된 입력을 신속하고 실수 없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들(21, 22, 23, 24)이 형성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버튼부(21, 22, 23, 24)가 눌려지면, 버튼부(21, 22, 23, 24)의 하면이 터치스크린(2)과 접촉하여 경기 진행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신호 수신부(120)로 전송한다(S110).
정보 저장부(110)에는 경기 진행 정보가 저장된다. 경기 진행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 출전 선수 명단 및 경기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경기가 야구 경기인 경우에, 경기 진행 정보는 "스트라이크", "볼", "아웃", "안타" 등과 같은 판정에 대한 심판의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로 만들어진 심판의 판정 음성은 관중들과 선수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말투나 톤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악 또는 관중의 함성 소리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기 진행 정보는 선수의 경기 기록 및 이를 음성으로 변환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경기가 야구 경기인 경우에, 경기 진행 정보는 선수의 경기 기록을 음성으로 변환한 오디오 데이터로서, "4번 타자 이대호", "4번 타자 이대호, 오늘 2타수 무안타입니다", "4번 타자 이대호 현재까지 5 경기 출전하여 타율 2할 8푼 5리에 홈런 1개입니다"와 같은 장내 아나운서의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로 만들어진 장내 아나운서 음성은 관중들과 선수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말투나 톤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악 또는 관중의 함성 소리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기 진행 정보는 경기 참여자인 감독에 의해 경기 전 제출된 출전 선수 명단일 수 있다. 감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경기 보조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출전 선수 명단을 입력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20)는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부터 네트워크(400)를 통해 경기 진행 요청 신호를 받는다(S110). 경기 진행 요청 신호는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 경기 진행 신호 및 경기 판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는 "4번 타자 이대호"와 같은 경기 참여자 소개 또는 경기 참여자의 경기 기록 소개와 관련된 경기 진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이고, 경기 진행 신호는 "플레이 볼"과 같은 경기 진행 알림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이고, 경기 판정 신호는 "스트라이크", "볼", "아웃", "세이프" 등과 같은 심판 판정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이다.
제어부(130)는 경기 진행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에서 선택한다.
신호 전송부(140)는 제어부(130)에 의해 선택된 경기 진행 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한다(S120).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스피커(230)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될 수도 있으며, 유선으로 상호 간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신호 전송부(140)에 의해 전송받은 경기 진행 정보를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한다(S130). "스트라이크", "볼", "아웃", "안타", "세이프" 등과 같은 판정에 대한 심판의 음성을 담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선수 소개를 하는 장내 아나운서의 음성을 담은 오디오 데이터가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스피커(230)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기 판정 신호는 "경기 판정 정보" 및 "판정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기 판정 정보"는 "스트라이크", "볼", "아웃", "안타", "세이프" 등과 같이, 발생 즉시 판단되어 심판에 의해 선언되는 판정을 의미하며, "판정 세부 정보"는 "1루수와 2루수 사이의 2루타"와 같이 경기 판정 정보에 의해 발생된 결과에 대한 세부 정보를 의미한다.
경기 판정 정보는 경기 진행자 단말기의 제 1 영역(40)에서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로서 표시되며, 판정 세부 정보는 제 2 영역(45)에서 제 2 입력 영역들(46, 47, 48, 49)로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버튼부(21, 22, 23, 24)가 제 1 입력 영역(41, 42, 43, 44)과 접촉하여 경기 판정 정보가 선택되면, 제 2 영역(45)에는, 선택된 경기 판정 정보와 관련된 판정 세부 정보들에 대응되는 제 2 입력 영역들(46, 47, 48, 49)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기 기록 계산부(150)는 경기 진행 요청 신호로서 전송되는 경기 판정 신호를 바탕으로 경기 참여자에 대한 경기 기록을 계산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를 통해 전송받는 모든 경기 판정 신호의 기록이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경기 참여자의 경기 기록에 계속 적용되어 경기 참여자의 경기 기록이 갱신된다.
갱신된 경기 기록은 경기 참여자가 경기장에 등장할 때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선수가 경기장에 등장할 때, 경기 진행자가 경기 진행자 입력기(220)를 통해 경기 참여자 소개에 대응되는 버튼을 누르면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신호 수신부(120)로 경기 진행 요청 신호로서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130)는 경기 참여자에 대응되는 경기 기록을 선택하며, 신호 전송부(140)는 경기 기록을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하고,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기록을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제 1 영역(40)에 형성되는 제 1 입력 영역(41, 42, 43, 44)에 대응되는 경기 판정 정보는 경기 흐름(즉, 선입력된 제 1 입력 영역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경기 시작전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은 하기와 같은 경기 판정 정보를 의미한다.
(1) 제 1 입력 영역(41): 경기 시작
(2) 제 1 입력 영역(42): 없음
(3) 제 1 입력 영역(43): 없음
(4) 제 1 입력 영역(44): 없음
"경기 시작"을 의미하는 제 1 입력 영역(41)이 선택된 후에는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은 하기와 같은 경기 판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1) 제 1 입력 영역(41): 스트라이크
(2) 제 1 입력 영역(42): 볼
(3) 제 1 입력 영역(43): 안타
(4) 제 1 입력 영역(44): 파울
만일, 심판이 "스트라이크"를 의미하는 제 1 입력 영역(41)을 3번 선택하게 되면(쓰리 아웃이 아닌 상황),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스피커(230)로 하여금 "스트라이크 아웃"이 출력되도록 하고, 제 1 입력 영역들(41, 42, 43, 44)은 하기와 같은 경기 판정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1) 제 1 입력 영역(41): 다음 타자 소개
(2) 제 1 입력 영역(42): 타자 교체
(3) 제 1 입력 영역(43): 투수교체
(4) 제 1 입력 영역(44): 타임아웃
이러한 방식으로, 물리적인 누름이 가능한 한정된 숫자의 버튼부들(21, 22, 23, 24)이 경기 진행에 맞추어 상황에 맞는 경기 판정 신호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100)은 드론, 영상 정보 수신부, 영상 정보 전송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은 경기 참여자들을 촬영할 수 있으며, 영상 정보 수신부는 공지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드론으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정보 전송부는 촬영 데이터를 경기 보조 시스템(100)에 가입된 회원들의 단말기들 또는 경기장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보조 시스템(100)을 야구 경기를 예로 들어 단계 별로 설명하고자 한다. 야구 경기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예로 든 경기일 뿐이며, 본 발명이 야구 경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힌다. 본 발명은 모든 운동 경기나 이벤트에 적용이 가능하다.
야구 경기에 참여하는 경기 참여자인 감독 및 선수들은 경기 보조 시스템(100)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구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경기 참여자인 양 팀 감독들은 경기 보조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경기 출전 선수의 명단과 타순을 입력한다.
경기 보조 시스템(100)의 정보 저장부(110)에는 각 선수들의 경기 기록(예를 들어, 이름, 소속, 포지션, 등번호, 타율, 방어율, 출전 경기수 등)이 저장되어 있다. 경기 기록은 야구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경기 기록 계산부(150)에 의해 갱신되어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야구 경기가 시작되면, 경기 진행자인 심판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를 몸에 지니고 경기를 진행한다. 심판은 경기 시작을 알리며,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시작"에 대응되는 버튼부를 누르면,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진행 요청 신호로서 "시작" 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신호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신호 수신부(120)에 전송된 "시작"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에서 검색하여 "플레이 볼"이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 정보로서 선택하고, 신호 전송부(140)가 네트워크(400)를 통해 "플레이 볼"이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스피커(230)로 "플레이 볼"이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기장에 "플레이 볼!"이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경기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음성 외에 신나는 음악 또는 관중의 함성 소리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공격팀의 1번 타자가 등장할 때, 심판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타자 입장"에 대응되는 버튼부를 누르면,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진행 요청 신호로서 "타자 입장" 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신호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신호 수신부(120)에 전송된 "타자 입장"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에서 검색하여 공격팀 감독이 입력한 출전 선수 명단에서 1번 타자에 대한 경기 기록 및 이에 대한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 정보로서 선택하고, 신호 전송부(140)가 네트워크(400)를 통해 1번 타자에 대한 경기 기록 및 이에 대한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스피커(230)로 1번 타자의 경기 기록에 대한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기장에 "1번 타자 김철수" 또는 "1번 타자 김철수, 현재까지 12 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할 2푼 9리입니다"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경기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음성 외에 1번 타자에 지정된 신나는 음악 또는 관중의 함성 소리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경기 기록에 대한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가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다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에는 경기 기록만 전송되고,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에 깔린 프로그램에서 전송 받은 경기 기록을 음성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수비팀의 투수가 공을 던져서 스트라이크가 되면, 심판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스트라이크"에 대응되는 버튼부를 누른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진행 요청 신호로서 "스트라이크" 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신호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신호 수신부(120)에 전송된 "스트라이크"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에서 검색하여 "스트라이크"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 정보로서 선택하고, 신호 전송부(140)가 네트워크(400)를 통해 "스트라이크"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스피커(230)로 "스트라이크"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기장에 "스트라이크!"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경기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음성 외에 음악 또는 관중의 함성 소리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공격팀의 타자가 2루타를 치면, 심판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안타"에 대응되는 버튼부를 누른다. 이어서,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의 제 2 영역(45)에 디스플레이되는 "2루타"에 대응되는 제 2 입력 영역을 선택하고, 더 나아가 어떤 방향의 2루타인지를 판정 세부 정보로서 입력을 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경기 진행 요청 신호로서 "2루타" 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신호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신호 수신부(120)에 전송된 "2루타"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110)에서 검색하여 "2루타"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 정보로서 선택하고, 신호 전송부(140)가 네트워크(400)를 통해 "2루타"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스피커(230)로 "2루타"라는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경기장에 "2루타!"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경기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음성 외에 음악 또는 관중의 함성 소리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경기 기록 계산부(150)는 각 타자의 공격 결과를 이용하여 각 타자의 경기 기록을 갱신하며, 갱신된 경기 기록은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다음 타순에서 사용된다.
여기서는 경기 판정과 관련된 음성이 담긴 오디오 데이터가 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다가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기 진행자 단말기(210)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경기 보조 시스템은, 관중이 많지 않은 아마츄어 경기에 활력을 불어 넣어, 선수 및 심판의 경기 집중도를 높이도록 하고, 선수, 심판 및 관중들에게 재미를 선사하여, 아마츄어 스포츠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모바일 단말기
2: 터치스크린
10, 50: 탈착식 리모콘 장치
11: 덮개부
21, 22, 23, 24: 버튼부
30: 프레임부
31, 72: 측면 고정 돌기부
32, 73: 하면 고정 돌기부
40: 제 1 영역
41, 42, 43, 44: 제 1 입력 영역
45: 제 2 영역
46, 47, 48, 49: 제 2 입력 영역
71: 부착부
81: 커버부
100: 경기 보조 시스템
110: 정보 저장부
120: 신호 수신부
130: 제어부
140: 신호 전송부
150: 경기 기록 계산부
210: 경기 진행자 단말기
230: 스피커
400: 네트워크

Claims (10)

  1.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향해 눌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를 포함하되,
    버튼부가 눌려지면, 버튼부의 하면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탈착식 리모콘 장치는
    덮개부와 연결되며, 모바일 단말기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탈착식 리모콘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부착부; 및
    덮개부와 연결되며, 부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덮을 수 있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
  4.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나누는 단계;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을 덮도록 탈착식 리모콘 장치가 결합되는 단계;
    제 1 영역에 제 1 입력 영역들이 형성되는 단계;
    탈착식 리모콘 장치의 버튼부가 제 1 입력 영역들 중 하나에 접촉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 2 영역에 제 2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입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입력 영역들은 제 1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의 하위 메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입력 방법.
  6. 경기 진행을 수행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경기 진행자 단말기;
    경기 진행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부터 경기 진행 요청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
    경기 진행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경기 진행 정보를 정보 저장부에서 선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경기 진행 정보를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되,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이며, 터치스크린에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형성되고,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을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향해 눌려질 수 있는 버튼부들을 포함하되, 버튼부가 눌려지면, 버튼부의 하면이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경기 진행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경기 보조 시스템은
    경기 진행자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경기 진행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며,
    경기 진행 요청 신호는 경기 판정 신호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경기 판정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는 신호 전송부에 의해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경기 판정 신호는 경기 판정 정보 및 판정 세부 정보를 포함하며,
    경기 진행자 단말기의 제 1 영역에는 경기 판정 정보들에 대응되는 제 1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버튼부들은 제 1 입력 영역들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버튼부가 제 1 입력 영역과 접촉하여 경기 판정 정보가 선택되면,
    제 2 영역에는, 선택된 경기 판정 정보와 관련된 판정 세부 정보들에 대응되는 제 2 입력 영역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경기 보조 시스템은
    경기 기록을 계산하는 경기 기록 계산부를 더 포함하되,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접촉된 제 1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경기 판정 정보와, 선택된 제 2 입력 영역에 대응되는 판정 세부 정보를 신호 수신부로 전송하고,
    경기 기록 계산부는, 전송된 경기 판정 정보와 판정 세부 정보를 바탕으로 경기 기록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정보 저장부는, 계산된 경기 기록을 저장하고,
    경기 진행 요청 신호는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를 포함하며,
    신호 수신부가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부터 경기 참여자에 대한 경기 참여자 소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는 정보 저장부에서 경기 참여자에 대응되는 경기 기록을 선택하며, 신호 전송부는, 선택된 경기 기록을 경기 진행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기 진행자 단말기는, 전송된 경기 기록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 보조 시스템.
KR1020170031683A 2017-03-14 2017-03-14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KR20180104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683A KR20180104862A (ko) 2017-03-14 2017-03-14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683A KR20180104862A (ko) 2017-03-14 2017-03-14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862A true KR20180104862A (ko) 2018-09-27

Family

ID=6371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683A KR20180104862A (ko) 2017-03-14 2017-03-14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8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959B1 (ko) 운동 수행의 이미지 데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들
US8241118B2 (en) System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employing virtual interactive arena
JP5751594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US20080188310A1 (en) Internet sports computer cellular device aka mega machine
CN110201399A (zh) 具有粉丝圈影响的获胜者锦标赛的创建
US8210947B2 (en) Game system using network,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me using network
AU2013231217A1 (en) Interactive system
US8973083B2 (en) Phantom gaming in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JP6547032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端末装置
US9210473B2 (en) Phantom gaming in a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JP5726373B2 (ja) オンラインゲームの中での社会的な交流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6870143B1 (ja) 応援支援システムおよび応援支援方法
KR20180104862A (ko) 탈착식 리모콘 장치,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 입력 방법 및 탈착식 리모콘 장치를 이용한 경기 보조 시스템
JP6732060B2 (ja) 競技補助システム
CN111506186B (zh) 运动娱乐系统
CN110753267B (zh) 显示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显示器
JP7208552B2 (ja) 応援支援システムおよび応援支援方法
JP7208551B2 (ja) 応援支援システム、応援支援方法、鑑賞支援システムおよび鑑賞支援方法
WO2021156997A1 (ja) スポーツ状況呈示システム
KR20110000094A (ko) 사이버 스크린 골프 시스템
JP2022099193A (ja) 試合映像処理システム
JP2020095699A (ja) 視覚障害者用情報提示システム
JP2017191475A (ja) ゲーム予想ポイント付与装置およびゲーム予想ポイント付与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