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349A -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 Google Patents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349A
KR20180104349A KR1020170030949A KR20170030949A KR20180104349A KR 20180104349 A KR20180104349 A KR 20180104349A KR 1020170030949 A KR1020170030949 A KR 1020170030949A KR 20170030949 A KR20170030949 A KR 20170030949A KR 20180104349 A KR20180104349 A KR 2018010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luid
unit
rail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주) 엔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피홀딩스 filed Critical (주) 엔피홀딩스
Priority to KR102017003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349A/ko
Publication of KR2018010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은 고정레일, 텅레일, 가열유체를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의 사이에 존재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가열유체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유체가열부,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노즐부 및 상기 유체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SNOW MELTING APPRATUS OF RAILWAY TURNOUT FOR STEA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유체가 분사되는 노즐부를 구비한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에서 철도 차량(이하, '철도 차량'이라함.)은 궤도를 이탈할 수 없는 상태도 운행되어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위치를 바꾸려면 자동차와 같이 차체의 전환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분기기를 통해 궤도 자체를 변경하여 철도 차량의 운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궤도는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일정간격으로 연설된 다수의 침목에 간격이 평행한 한 쌍의 고정레일이 위치된다. 또한, 고정레일은 고정부재에 의해 침목에 고정되어 고정레일을 통해 철도 차량이 고정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연설된 다수의 침목 상에 간격이 평행한 한 쌍의 고정레일이 설치되고, 철도 레일이 분기되는 분기기는 한 쌍의 고정레일 내측에 한 쌍의 텅레일이 설치된다. 즉, 텅레일과 고정레일이 함께 설치된 분기 지점에는 침목 상에 상판이 고정되고, 상판 위에 고정레일과 텅레일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선로전환기의 구동에 의하여 텅레일이 우측 고정레일 또는 좌측 고정레일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면 철도 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철도 분기기의 작동은 철도 레일의 궤도 수정이 필요하면 고정레일의 외부 측면에 위치한 선로전환기가 구동하고, 선로전환기의 구동력은 연결로드를 매개로 하여 이송로드를 좌 또는 우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송로드의 각 선단에 연결 고정된 한 쌍의 텅레일이 이송로드의 이송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철도 레일의 궤도가 변경된다.
그러나,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철도 분기기의 고정 레일 또는 텅레일의 표면에 강설로 인해 수분이 결빙되어 텅레일이 이동 불가능한 상태가 되거나 고정레일과 텅레일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철도 차량이 기설정된 궤도로 변경되지 않거나 궤도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고정레일 및 텅레일의 표면 또는 사이에 형성된 눈과 얼음을 제거해야하고, 결빙 요소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 및 인력이 소요되고, 철도 차량이 지연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제안된 철도 분기기 융설장치는 등유 등을 연소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열풍을 덕트를 통해 철도 분기기에 내뿜는 열풍식 해설 장치와 철도 레일의 첨단부분에 전기저항으로 가열하는 발열선 또는 히터를 설치하여 발열선 또는 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철도 레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식 해설 장치가 있다.
열풍식 해설 장치의 경우, 해설 능력은 뛰어나지만 가열 효율이 떨어지므로 연료비가 많이 들고, 실화의 위험이 있으며, 원거리까지 온풍을 도달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기 히터식 해설 장치의 경우, 철도 레일의 끝단을 가열하고 열전도에 의해 열이 철도 레일 전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발열효율이 떨어지고, 온도 상승의 속도가 늦어 빠른 시간 안에 철도 분기기에 쌓인 눈이나 결빙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철도 분기기 부근의 눈이나 결빙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융설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유체를 이용하여 철도 분기기 부근의 눈이나 결빙요소를 제거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가열부와 노즐부를 이용하여 가열유체가 단시간에 생성 및 분사되는 융설장치를 통해 결빙요소의 제거시간을 단축시키는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를 이용하여 눈이나 결빙요소를 감지하고, 이를 융설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방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는 가열유체를 고정레일 및 텅레일의 사이에 존재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가열유체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유체가열부 및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노즐부 및 상기 유체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폭보다 길이가 긴 타원(ellipse)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원(circle)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물 또는 순수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유체는 스팀 또는 과열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감지하는 결빙감지부 및 상기 유체를 가열하여 상기 가열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유체가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빙감지부 및 상기 전원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고정레일 또는 상기 텅레일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거나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결빙감지부는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 상태를 시각으로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방법은 고정레일 및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빙상태를 확인한 경우 유체가열부에서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열유체를 결빙위치에 분사하는 단계, 상기 결빙위치에 가열유체를 분사한 경우 결빙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빙상태가 해소된 경우, 상기 유체가열부의 동작이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결빙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열유체를 결빙위치에 분사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열유체를 이용하여 철도 분기기 부근의 눈이나 결빙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유체가열부와 노즐부를 이용하여 가열유체가 단시간에 생성 및 분사되는 융설장치를 통해 결빙요소의 제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부를 이용하여 눈이나 결빙요소를 감지하고, 이를 융설할 수 있다.
도 1은 분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 및 분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가 구비된 분기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의 노즐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만, 이하의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설명되는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적인 기능을 소개함에 있어서, 필요한 구성요소만이 도시된 것으로서, 그 외 다양한 구성요소가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에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도 1은 분기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기기(100)는 고정레일(110), 침목(120), 텅레일(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기기(100)는 철도 레일이 분기되는 분기지점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목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어 일정간격으로 연설된 침목(120)위에 간격이 평행한 한 쌍의 고정레일(110)을 포함하고, 한쌍의 고정레일(110) 내측에 또 다른 한 쌍의 텅레일(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부(140)를 통해 텅레일(130)이 우측 고정레일 또는 좌측 고정레일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면 철도 차량을 원하는 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 및 분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가 구비된 분기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기기 융설장치는(200)는 고정레일(210), 침목(220), 텅레일(230), 구동부(240), 노즐부(250), 유체가열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고정레일(210), 침목(220), 텅레일(230), 구동부(240)는 앞서 도 1의 고정레일(110), 침목(120), 텅레일(130) 및 구동부(140)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부(250)는 유체가열부(260)로부터 가열유체를 공급받아 고정레일(210)과 텅레일(230) 사이에 존재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가열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250)는 고정레일(210) 또는 텅레일(23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거나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250)는 가열유체를 고정레일(210)과 텅레일(230)으로 분사함으로써,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 비가 오거나 눈이 온 후 기온이 급강하면서 고정레일(210)과 텅레일(230) 사이에 생성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제거 및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겨울철에 일시적으로 발생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제거하여 결빙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철도 유지보수를 위한 유지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체가열부(260)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유체가열부(260) 내부에 저장된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노즐부(25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물 또는 순수일 수 있으며, 가열유체는 스팀 또는 과열증기일 수 있다.
여기서, 유체가열부(260)에서 액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생성하는 가열방식은 어떤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가열방식은 스팀 및 과열 증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순수 및 스팀에 열을 전달하는 공정에 따라 전기가열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가열방식은 도체의 용기에 직접 전류를 통하여 가열하는 직접 저항가열 방식과 열의 복사, 대류 또는 전도를 통하여 가열하는 간접 저항가열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 발생을 통한 직접 또는 간접 아크가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교류자기장을 이용하여 자기장 내에 놓여진 도체의 용기에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손실과 와류손실을 이용하여 도체의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고주파 가열 방식인 유도가열과 고주파 교류전기장 내에 놓인 유전체(절연체) 내에 발생하는 유전체 손실을 이용하여 유전체를 가열하는 유전가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가열방식의 특징으로는 연료의 연소 등과 같은 공해 요인이 없으며, 고온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점이다. 또한, 전기가열방식은 온도제어가 용이하며, 절연체 내부가열이 가능하고 진공 또는 그 밖의 특정 여건에서의 가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부적인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결빙감지부(미도시)와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빙감지부(미도시) 및 전원부(미도시)를 통하여 고정레일(210) 및 텅레일(230)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감지하고, 이를 제거할 수 있다.
결빙감지부(미도시)는 고정레일(210) 및 텅레일(220)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결빙감지부(미도시)는 고정레일(210) 및 텅레일(230)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 상태를 시각으로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생성하도록 유체가열부(26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50)는 가열유체를 눈과 수분의 결빙체에 분사하여 이를 제거함으로써 고정레일(310)과 텅레일(330)이 서로 접촉되어 철도 차량의 원활한 분기를 유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의 노즐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레일(410)에 결합된 노즐부(450)는 가열유체가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4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451)들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폭보다 길이가 긴 타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레일(510)에 결합된 노즐부(550)는 가열유체가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5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551)들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레일(610)에 결합된 노즐부(650)는 가열유체가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6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651)은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각각의 배출공(451, 551, 651)을 통해 가열유체가 다양한 형태로 배출되므로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제거함에 있어 결빙강도와 결빙면적에 따라 적절한 배출공의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레일 및 텅레일과 결합되는 노즐 및 노즐부의 갯수 및 간격은 임의로 조절될 수 있으며,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제거하기 위한 노즐 및 노증부의 분사각도는 사용자의 편의 및 레일의 종류에 따라 변형 실시 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기 융설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분기기 융설방법은 S710단계 내지 S750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레일 및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710).
S710단계에서 형성되는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 비가 오거나 눈이 온 후 기온이 급강하면서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생성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고정레일과 텅레일 사이에 생성되면, 제어부가 결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결빙상태를 확인한 경우, 유체가열부에서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S720).
S720단계에서 유체가열부는 전원부를 통해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유체가열부는 가열유체의 온도 및 압력이 눈과 수분의 결빙체 제거하기 위한 제어부 설정 값에 도달하면 가열유체를 노즐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가열유체를 결빙위치에 분사할 수 있다(S730).
S730단계에서 노즐부는 공급받은 가열유체를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존재하는 결빙위치에 분사할 수 있다.
이후, 결빙상태를 재확인할 수 있다(S740).
S740단계에서 제어부는 분사된 가열유체에 의해 눈과 수분의 결빙체 제거 여부를 확인하여 가열유체의 재분사 및 유체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결빙위치에 존재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제거되어 결빙상태가 해소된 경우, 유체가열부의 동작이 정지할 수 있다(S750).
즉, S750단계는 S730단계에서 가열유체가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되고 S740단계에서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제거되었음을 제어부가 확인하여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의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결빙위치에 존재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제거되지 않아 결빙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S730단계와 S74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고 눈과 수분의 결빙체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한 후 유체가열부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은 가열유체를 이용하여 철도 분기기 부근의 눈이나 결빙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유체가열부와 노즐부를 이용하여 가열유체가 단시간에 생성 및 분사되는 융설장치를 통해 결빙요소의 제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이용하여 눈이나 결빙요소를 감지하고 융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분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가열유체를 고정레일 및 텅레일의 사이에 존재하는 눈과 수분의 결빙체로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가열유체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유체가열부; 및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노즐부 및 상기 유체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폭보다 길이가 긴 타원(ellipse)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원(circle)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유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물 또는 순수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유체는,
    스팀 또는 과열증기를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감지하는 결빙감지부; 및
    상기 유체를 가열하여 상기 가열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유체가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빙감지부 및 상기 전원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를 제거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고정레일 또는 상기 텅레일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거나 일체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감지부는,
    상기 고정레일 및 상기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체 상태를 시각으로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장치.
  9. 고정레일 및 텅레일 사이의 눈과 수분의 결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빙상태를 확인한 경우 유체가열부에서 유체를 가열하여 가열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열유체를 결빙위치에 분사하는 단계;
    상기 결빙위치에 가열유체를 분사한 경우 결빙상태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빙상태가 해소된 경우, 상기 유체가열부의 동작이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상태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열유체를 결빙위치에 분사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기기 융설방법.
KR1020170030949A 2017-03-13 2017-03-13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KR20180104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49A KR20180104349A (ko) 2017-03-13 2017-03-13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949A KR20180104349A (ko) 2017-03-13 2017-03-13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349A true KR20180104349A (ko) 2018-09-21

Family

ID=6372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49A KR20180104349A (ko) 2017-03-13 2017-03-13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3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960A (ko) * 2018-12-18 2020-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히팅장치가 구비된 산악철도용 분기기
KR102273091B1 (ko) * 2021-03-11 2021-07-02 김성근 철도 분기기용 적설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960A (ko) * 2018-12-18 2020-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히팅장치가 구비된 산악철도용 분기기
KR102273091B1 (ko) * 2021-03-11 2021-07-02 김성근 철도 분기기용 적설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349A (ko) 분기기 융설장치 및 융설방법
KR102146933B1 (ko) 히팅장치가 구비된 산악철도용 분기기
EP2147159B1 (en) Heating system
US20160258124A1 (en) Magnetic Inductive Rail Switch Heater
CN102444058B (zh) 辐射式铁路道岔融冰除雪系统
CN104746394A (zh) 一种用于钢轨道梁的融冰雪装置
CN101512071B (zh) 支承件及用于加热支承件上的导向件的方法
KR101782248B1 (ko) 선로 분기부의 적설 및 결빙을 방지하여 선로 전환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선로 분기부 보호 시스템
RU2682803C1 (ru) Способ разогрева смерзшегося груза в вагонах грузового поез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00070716A (ko) 혹한기 철도 분기부 선로전환기 장애 예방을 위한 안티 아이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티 아이싱 방법
CN104746393A (zh) 一种钢轨道梁防冰雪装置
US3394251A (en) Heater apparatus
KR101276197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철도 분기기 융설장치
US10626560B2 (en) Magnetic inductive rail heating head
CN105463954A (zh) Pc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和融冰雪方法
RU2485656C1 (ru) Способ подогрева проводов контактной подвески
CN101311412A (zh) 一种快速融化铁路道叉冰雪的方法及装置
JP3242186B2 (ja) 軌道分岐部の異物除去装置
RU24769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гололеда с проводов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200256766Y1 (ko) 철도레일 전철기의 융설장치
US20190010670A1 (en) Device and a method for melting snow and ice of a railway
CN114837117B (zh) 一种接触轨除冰雪装置及其除冰雪方法
KR100864702B1 (ko) 철도레일의 고속 분기부 융설(融雪) 시스템
JPH03183806A (ja) 軌道切替部付近の融雪装置
JPH04189901A (ja) 鉄道線路分岐部周辺の融雪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